KR102443369B1 -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369B1
KR102443369B1 KR1020200112198A KR20200112198A KR102443369B1 KR 102443369 B1 KR102443369 B1 KR 102443369B1 KR 1020200112198 A KR1020200112198 A KR 1020200112198A KR 20200112198 A KR20200112198 A KR 20200112198A KR 102443369 B1 KR102443369 B1 KR 102443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ing
user
station
wearab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151A (ko
Inventor
이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12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lmon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Nur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Outerwear In General, And Traditional Japanese Garments (AREA)

Abstract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박스(230)와, 상기 센서박스(2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은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는 옷걸이형상의 스테이션본체(110)와; 상기 스테이션본체(110)에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수단(123)과; 상기 무선충전수단(123)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Smart Clothing Station with Wireless Charging for Wearable Clothing}
본 발명은 스마트의류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는 웨어러블의류를 충전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급상황을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는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경향에 따라 예기치 못한 건강상의 악화를 염려하는 고령자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지근 거리에서 자녀 또는 의사가 이들 고령자들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진단하는 것 또한 여러가지 현실적인 요인으로 인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때로는, 치매 기타의 노인성 질환을 앓게 되어 환자들 본인은 물론 간병을 하는 가족들 또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하기 어려운 등의 고통을 겪기도 한다.
이외에도 선천적, 혹은 후천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 역시 다양한 위험에 노출된 채 생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신적 미성숙이나 퇴화 혹은 신체적 불편 등을 가지고 있는 신체적 약자들은 어떠한 위험상황이 발생되어도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다양한 사고나 기타 건강상의 위협 요인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신체적 질환이 있는 경우에 상황이 악화되어도 제대로 대처하기 어렵기도 하다. 최근 고독사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방증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노약자, 영유아, 장애인 등의 신체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신체적 약자에게 의류 형태로 입혀져 신체적 약자의 현재 신체상태와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는 웨어러블의류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1354625호,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제10-2114732호, "웨어러블 스마트 안전의류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의류를 충전하여 웨어러블의류를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웨어러블의류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응급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보호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의류(200)를 충전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박스(230)와, 상기 센서박스(2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은,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는 옷걸이형상의 스테이션본체(110)와; 상기 스테이션본체(110)에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수단(123)과; 상기 무선충전수단(123)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은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의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면 즉시 그 사실을 판단하게 되고,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은 웨어러블 의류를 무선방식으로 간편하게 충전하여 웨어러블의류를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이 포함된 스마트의류사용자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의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과 웨어러블의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에 웨어러블의류가 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과 웨어러블의류가 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사용자관리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사용자관리시스템(1)은 등록된 사용자(A)들의 몸에 착용하며 각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의류(200)와, 각 사용자(A)의 거주지(10)에 비치되어 해당 웨어러블 의류(200)를 무선충전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과, 사용자(A)의 거주지(10)에 비치되어 웨어러블 의류(200)에서 감지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받고 웨어러블 의류(200)를 충전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을 포함한다.
웨어러블 의류(200)는 각 사용자(A) 별로 구비되며, 고유번호가 부여된다.
여기서, 웨어러블 의류(20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은 사용자(A)가 거주하는 거주지, 즉 주택, 요양병원 등에 세트 형태로 비치된다.
웨어러블 의류(20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은 블루투스(B)를 통해 무선 통신하며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시각, 청각, 정신지체 등을 가진 장애인 환자그룹과, 폐렴, 치매, 뇌경색, 관절, 척추 환자와 같은 고령자 노인 환자 그룹, 혼자 활동이 어려운 유아와 같은 신체활동 취약자일 수 있다.
웨어러블 의류(200)는 사용자(A)의 몸에 착용되어 사용자(A)의 신체정보, 위치정보를 감지하게 된다. 웨어러블 의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고 벗기가 편하도록 조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점퍼 형태나 티셔츠 형태 또는 점프슈트 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웨어러블 의류(200)를 사용자(A)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의 (b)는 웨어러블 의류(2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의류(200)는 섬유로 형성되는 의류본체(210)와, 의류본체(210)의 전면 외부에 구비되는 입력부(220)와, 의류본체(210)에 구비되어 착용한 사용자(A)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박스(230)와, 사용자(A)의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GPS(240)와, 센서박스(230)에서 감지된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의류저장부(250)와, 비콘정보를 송출하는 비콘송신기(260)와, 센서박스(230)와 GPS(240), 비콘송신기(260)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의류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의류본체(210)는 방수, 방진, 충격완화 기술이 적용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의류본체(210) 내부에 수용된 센서박스(230)와 GPS(240), 의류저장부(250)와 비콘송신기(260) 및 배터리(270) 등의 구성들이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입력부(220)는 의류본체(2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신호가 인가된다.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270)의 전원이 센서박스(230)와 GPS(240), 비콘송신기(260) 등으로 공급되고 신체정보와 위치정보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 전송된다.
센서박스(230)는 의류본체(210)에 구비되어 의류본체(210)를 착용한 사용자(A)의 신체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박스(230)는 의류본체(210)의 내부에 내장되게 구비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본체(210)의 뒤쪽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박스(230)는 의류본체(210)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에 거치될 때, 충전박스(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박스(230)에서 감지된 신체정보는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되고, 웨어러블의류(200)가 거주지(10)로 들어가면 의류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 전송된다.
센서박스(230)는 사용자(A)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31)와, 사용자(A)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232)와,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센서(233)와, 혈압을 감지하는 혈압센서(134)를 포함한다.
가속도센서(231)는 자이로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센서(231)는 주거지 내에서 사용자(A)의 활동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의 옷걸이제어부(130)는 가속도센서(231)에서 수집한 활동정보를 전달받아 사용자(A)의 활동성을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가속도센서(231)에서 감지한 활동이 거의 없는 상태는 활동레벨 1로, 걸음 수준의 움직임은 활동레벨 2로, 뛰는 수준의 움직임은 활동레벨 3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누워있는 경우 상태레벨 1, 구름이나 회전운동은 상태레벨 2, 흔듬이나 떨림은 상태레벨 3으로 판단하게 된다.
옷걸이제어부(130)은 가속도센서(231)에서 감지한 활동레벨과 상태레벨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A)의 활동성을 추출하여 정상적인 활동인지 위급상황에 의한 비정상적인 활동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체온센서(232)에서 측정한 체온과 맥박센서(233)에서 측정한 맥박, 혈압센서(134)에서 측정한 혈압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로 전달되고, 옷걸이제어부(130)는 사용자(A)의 현재 신체상태가 정상상태인지 질병에 감염된 상태인지 위급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체온이 높은 상태로 가속도센서(231)에서 감지한 활동도 거의 없다면 옷걸이제어부(130)는 사용자(A)가 현재 질병에 의해 고온으로 활동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고 보호자나 관할 복지사에게 연락을 취하게 한다.
GPS(240)는 사용자(A)의 현재 위치정보를 송출한다. GPS(240)에서 송출한 위치정보는 관할구역의 서버(미도시)로 전송되고, 서버(미도시)는 사용자(A)가 현재 거주지(10) 내에 위치하는지 실외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A)가 치매노인인 경우, 평소 다니지 않던 곳에 위치정보가 있는 경우 서버(미도시)는 사용자(A)을 길을 잃은 것으로 판단하고, 보호자나 관할 복지사에게 연락을 취하게 한다.
의류저장부(250)는 센서박스(230)에서 수집한 신체정보와 GPS(240)의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는 비콘송신기(260)의 블루투스통신(B)을 통해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 전송된다.
비콘송신기(260)는 사용자(A)가 이동할 때 일정 범위 영역으로 비콘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콘송신기(260)는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다. 비콘송신기(260)는 사용자(A)가 거주지로 진입하면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 전송한다.
배터리(270)는 의류본체(210)에 구비된 각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하여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으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가 전송되게 한다. 배터리(270)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된다. 이를 위해 배터리(27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 간에는 트랜시버와 리시버간 충전 인터페이스 기술이 적용된다.
의류제어부(280)는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로 전송되도록 비콘송신기(260)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5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에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에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된 상태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은 웨어러블 의류(200)를 거치할 수 있는 옷걸이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 의류(200)를 옷걸이에 걸어둔 상태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은 스테이션본체(110)와, 스테이션본체(110)에 결합된 충전박스(120)를 포함한다. 스테이션본체(110)는 일반적인 옷걸이 형태로 구비되나 웨어러블 의류(200)가 센서박스(230)에 의해 일방적인 의류 보다 무게가 무거운 것을 고려하여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션본체(110)의 상부에는 스테이션본체(110)를 고정하는 고정고리(111)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스테이션본체(110)는 거주지 내부의 다양한 곳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충전박스(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본체(110)의 중심영역에 일체로 결합된다. 충전박스(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션본체(110)에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었을 때 센서박스(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충전박스(120)는 박스본체(127)와, 박스본체(127) 내부에 구비된 블루투스통신부(121)와, 웨어러블 의류(200)의 배터리(270)를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수단(123)과, 웨어러블 의류(200)로부터 전송된 신체정보가 저장되는 옷걸이저장부(125)와, 무선충전 중임을 표시하는 충전표시램프(126)를 포함한다.
또한, 충전박스(120)에는 무선충전수단(123)과 블루투스통신부(121)를 제어하는 옷걸이제어부(130)가 구비된다.
블루투스통신부(121)는 블루투스 5.0 기술이 적용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 의류(20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 간의 빠른 통신이 가능해진다.
무선충전수단(123)은 배터리(270)를 무선충전한다. 무선충전수단(123)은 공진 주파수 LC 회로 소형화 기술이 적용되며, 무선 125Khz 송출 자기 유도 회로 기술이 적용된다.
옷걸이저장부(125)에는 사용자(A)들의 병력기록과 그 동안 수집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 및 환경정보 히스토리 형태로 저장된다.
충전박스(120)에는 전원코드(140)가 결합된다. 전원코드(140)는 상용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내부로 공급한다.
충전표시램프(1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본체(127) 외측 표면에 구비되어 현재 충전여부와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한다. 충전표시램프(126)는 서로 다른 색상의 LED로 구비되어 발광되는 색상에 따라 사용자가 현재 충전정도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 빨간색이면 50% 미만으로 충전된 상태이고, 초록색이면 50% 이상으로 충전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옷걸이제어부(130)는 옷걸이저장부(125)에 저장된 히스토리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현재의 신체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A)의 위급상황을 판단한다.
즉, 체온이 기저장된 평균 체온보다 갑자기 높아졌다거나, 혈압이 갑자기 상승하거나 낮아진 경우 옷걸이제어부(130)는 사용자(A)가 위급상황인 것으로 판단한다.
옷걸이제어부(130)에는 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통신수단(미도시)은 Wifi와 같은 무선통신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유선통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옷걸이제어부(130)는 판단결과 위급상황으로 판단되면, 통신수단(미도시)을 이용해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로 연락하여 보호자가 사용자(A)가 현재 위급상황인 것을 인지하게 한다.
또한, 보호자가 없는 경우 옷걸이제어부(130)는 기등록된 응급기관으로 연락하여 사용자(A)를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이 포함된 스마트의류사용자관리시스템(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미도시)에 등록된 각 사용자(A)의 거주지(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의류(200)와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이 설치된다.
각 사용자(A)들은 신체활동시에 웨어러블 의류(200)를 착용한다. 그리고, 입력부(220)를 눌러 웨어러블 의류(200)의 각 구성들로 전원이 공급되게 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센서박스(230)의 가속도센서(231)와 체온센서(232), 맥박센서(233) 및 혈압센서(234)는 사용자(A)의 움직임과 체온, 맥박 및 혈압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체정보는 의류저장부(250)로 저장된다. GPS(240)는 위치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정보는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된다.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의 블루투스통신부(121)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웨어러블 의류(200)와 블루투스(B)를 통해 통신하고 의류저장부(250)에 저장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스캔한다. 스캔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는 옷걸이저장부(125)에 저장된다. 저장된 정보들은 누적되어 사용자(A)의 히스토리를 생성한다.
사용자(A)가 거주지 밖으로 이동하여 블루투스통신부(121)의 통신범위 밖으로 나가면, GPS(240)는 위치정보를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옷걸이제어부(130)는 히스토리를 통해 사용자의 행동패턴 등을 습득하고, 실시간 신체정보와 위치정보 및 환경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급상황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일례로, 신체정보와 가속도센서(231)에서 감지한 상태레벨을 기초로 하여 일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전혀 없다고 판단되면, 옷걸이제어부(130)는 사용자가 현재 실신했거나 신체활동 불가능상태로 판단하고 즉시 보호자 또는 사회복지사에게 연락을 하게 된다.
또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늘 거주지 주변을 벗어나지 않던 신체활동 취약자가 갑자기 거주지로부터 멀리 벗어나 일정 시간 이상 계속 그 주변을 배회하는 경우 이탈징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즉시 보호자 또는 사회복지사 또는 경찰에게 연락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웨어러블 의류(200)를 착용하고 있으면, 웨어러블 의류(200)의 배터리(270)가 소진된다. 이에 웨어러블 의류(20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의류스테이션(100)에 거치하여 배터리(270)를 충진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은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의류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면 즉시 그 사실을 판단하게 되고, 보호자 또는 관리자에게 통보하여 위급상황에 대처하여 사용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은 웨어러블 의류를 무선방식으로 간편하게 충전하여 웨어러블의류를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스마트의류사용자관리시스템 10 : 거주지
100 : 스마트의류스테이션 110 : 스테이션본체
111 : 고정고리 120 : 충전박스
121 : 블루투스통신부 123 : 무선충전수단
125 : 옷걸이저장부 126 : 충전표시램프
127 : 박스본체 130 : 옷걸이제어부
140 : 전원코드 200 : 웨어러블의류
210 : 의류본체 220 : 입력부
230 : 센서박스 231 : 가속도센서
232 : 체온센서 233 : 맥박센서
234 : 혈압센서 235 : GPS
250 : 의류저장부 260 : 비콘송신기
270 : 배터리 280 : 의류제어부
A : 사용자

Claims (5)

  1. 웨어러블 의류(200)를 충전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되며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박스(230)와, 상기 센서박스(23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70)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는 옷걸이형상의 스테이션본체(110)와;
    상기 스테이션본체(110)에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가 거치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270)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하는 무선충전수단(123)과;
    상기 무선충전수단(123)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140)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션본체(110)에는 상기 무선충전수단(123)이 수용되는 충전박스(120)가 구비되고,
    상기 충전박스(120)에는 상기 센서박스(230)와 무선통신하며 상기 센서박스(230)에서 수집한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받는 블루투스통신부(121)와;
    상기 충전박스(120)에 구비되어 상기 블루투스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받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위치정보가 히스토리로 저장되는 옷걸이저장부(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박스(120)에 구비되어 상기 웨어러블 의류(200)를 충전할 때 충전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충전표시램프(1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박스(230)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체온센서(232), 맥박을 감지하는 맥박센서(233), 혈압을 감지하는 혈압센서(234)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박스(120)에 구비되어 상기 블루투스통신부(121)로부터 수신받은 사용자정보를 기저장된 히스토리와 비교하여 응급상황여부를 판단하고, 응급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설정된 보호자에게 통신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응급상황임을 통지하는 옷걸이제어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의류스테이션.
KR1020200112198A 2020-09-03 2020-09-03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KR102443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8A KR102443369B1 (ko) 2020-09-03 2020-09-03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198A KR102443369B1 (ko) 2020-09-03 2020-09-03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51A KR20220031151A (ko) 2022-03-11
KR102443369B1 true KR102443369B1 (ko) 2022-09-16

Family

ID=8081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198A KR102443369B1 (ko) 2020-09-03 2020-09-03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3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100A (ja) * 2003-06-11 2007-02-0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充電システム
CN203943102U (zh) 2014-04-28 2014-11-19 金进精密泵业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衣及其充电衣架
KR102045935B1 (ko) * 2019-06-13 2019-11-18 김상현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625B1 (ko) 2013-05-06 2014-01-22 주식회사 카이언스 원격 보호 및 감시 시스템
KR102114732B1 (ko) 2018-11-30 2020-05-25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스마트 안전의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100A (ja) * 2003-06-11 2007-02-0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充電システム
CN203943102U (zh) 2014-04-28 2014-11-19 金进精密泵业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智能衣及其充电衣架
KR102045935B1 (ko) * 2019-06-13 2019-11-18 김상현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춘 의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151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5577B2 (en) Motion sensing necklace system
WO2010032961A2 (ko) 신발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방법 및 대처장치
US20150302719A1 (en) Man Down Detector
WO2014182720A1 (en) Mobile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JP7325651B2 (ja) ウェアラブルヘルスの充電時における健康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856053B1 (ko)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신발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KR20140049795A (ko)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관리 방법
KR101990032B1 (ko) 위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험 상황 판단 방법
JP6077037B2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2443369B1 (ko) 웨어러블의류 무선충전이 가능한 스마트의류스테이션
WO2019158954A1 (en) A wearable alarm device and a method of use thereof
CN110443978B (zh) 一种摔倒报警设备及方法
CN107846990A (zh) 智能内裤及其报警控制方法
US11156856B2 (en) Eyewear with wearing status detector
KR20210066453A (ko) 스마트 의류 스테이션을 이용한 신체활동 취약자의 데이터 수집 및 상황인지 처리 시스템
KR100874839B1 (ko) 도시조명 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인명구조 및 구급 신고가가능한 유비쿼터스 방식의 네트워크 시스템
KR101961990B1 (ko) 측정모듈이 구비된 안경을 이용한 위급상황판단 방법
KR20160120893A (ko) 배회감지기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CN111724569B (zh) 报警方法、装置和存储介质
EP4297645A1 (en) Fall-classification device and arrangement
KR20160001136A (ko) 위치 및 이동 방식을 추적할 수 있는 신발 및 이를 거치하고 충전시킬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
EP3936101A1 (en) Identification device, usage method, array and identification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KR20190007128A (ko) 유아의 위험상태 예측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KR20200016439A (ko) 착용자의 신발에 장착되는 감지모듈을 이용한 보행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