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318B1 -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318B1
KR102443318B1 KR1020190097036A KR20190097036A KR102443318B1 KR 102443318 B1 KR102443318 B1 KR 102443318B1 KR 1020190097036 A KR1020190097036 A KR 1020190097036A KR 20190097036 A KR20190097036 A KR 20190097036A KR 102443318 B1 KR102443318 B1 KR 10244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application
user
identification cod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569A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102019009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1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a)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 및 상기 쇼핑사이트에 가입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하여 각각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단계; (b)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가 공유되는 단계; (c) 상기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쇼핑사이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단계; 및 (d) 상기 공유되는 링크에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식별 코드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METHOD FOR SELLING ON-LINE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을 온라인으로 판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1년 동안의 명품 시장의 매출은 약 8 조원 정도이고, 소위 짝퉁 시장의 규모는 정품 시장의 규모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만약, 정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할 수만 있다면 기업의 가치는 상승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해외 유명 브랜드의 고가의 명품을 구매하는 경우 해외구매대행업체를 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해외구매대행업체는 명품 브랜드를 해외의 아울렛(outlet)이나 해외쇼핑몰 등에서 소량의 상품을 구매하여 국내의 소비자들에게 판매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얼만큼의 상품이 판매될지 예상할 수가 없어 재고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소량의 상품을 국내에 반입하여 판매하기 때문에, 유통구조상 다소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거나 수급 자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리고, 얼핏 동일한 제품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품번이 달라서 서로 다른 상품인 경우가 자주 있었다.
또한, 인플루언서(influencer), 파워 블로거(power blogger)와 같이 많은 유저(user)를 확보하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제품을 살 수 있도록 홍보를 의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특정 인플루언서나 파워 블로거가 직접 경험한 다음에 이에 대한 사용후기를 작성하여 SNS 상에서 이를 본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의욕을 느껴 구매에 이르게 되나 어느 인플루언서나 파워 블로거에 의한 구매인지는 알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운영자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하여 각각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단계; (b)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가 공유되는 단계; (c) 상기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시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시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단계; (d) 상기 공유되는 링크에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자동 배정되는 단계; 및 (e) 상기 사업자에게 배정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발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식별 코드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 채 전달가능하고, 상기 전달에 의해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제2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제2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자료(contents)는 상기 사업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절차가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게 부여된 운영자 코드를 통해 유입된 제3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 의해 상기 다수의 사업자 중 어느 하나의 고객으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쇼핑사이트에서 회원 탈퇴를 한 경우, 상기 식별 코드와 다른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인증 절차가 진행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업자에게 배당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식별 코드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다르게 함으로써 어느 경로를 통해 유입된 구매자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SNS 상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공유함으로써 별도의 광고를 하지 않고도 온라인 상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팔로워(follower)를 가진 사업자가 실제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고도 상품 또는 서비스를 포스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는 다수의 인터넷 회원(internet user)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정 식별 코드가 포함된 링크를 식별 코드가 포함된 채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활동이 왕성한 사업자의 고객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의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에 따른 고객 배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 의한 고객 배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배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의 절차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사업자별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에 따른 고객 배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 의한 고객 배정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운영자(220)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하여 각각 식별 코드가 부여(S110)되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가 공유(S120)되고, 상기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S130)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server) 등에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된다. 상기 공유되는 링크에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자동 배정(S140)되게 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가 공유되는 방식은 다수의 이용자가 있는 SNS 채널, 개인적인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한 전달 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download)받도록 하기 위한 링크주소를 의미하고, 모바일(mobile) 환경 또는 웹(web) 환경에 따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식별 코드별로 서로 다르게 되는데, 상기 식별 코드는 각각의 사업자에게 부여되는 사업자 코드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운영자 코드로 구분된다.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이하 '사업자 코드'라 칭하기로 한다.)는 사업자별로 다르게 부여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에 해당하는 인터넷주소(URL, uniform resource locator)에는 사업자 코드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주소를 통해 어느 사업자를 통해 유입된 고객인지를 알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는 인터넷쇼핑몰과 같이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를 위한 인터넷사이트를 의미할 수 있고,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지 않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홍보 또는 마케팅을 의한 인터넷사이트일 수도 있다. 나아가, 물품 또는 서비스와 무관한 인터넷사이트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보다 간단한 설명을 위해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한 인터넷사이트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쇼핑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같은 모바일 환경에서는 주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이루어지나 웹 환경에서는 주로 쇼핑사이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이루어진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와 쇼핑사이트의 운영자는 동일하다.
상기 사업자는 자신이 운영하고 있는 SNS 채널 일예로, 카카오톡(kakaotalk), 네이버 밴드(naver band), 각종 블로그(blog), 페이스북(facebook),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등에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에서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다.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생산, 제조 및 판매가격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사업자가 직접 사용한 소감 등을 적을 수 있다.
고객을 확보한 사업자는 상기 고객의 활동에 의해 수익금이 발생한다. 즉, 상기 사업자에게 배정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쇼핑사이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S150)가 발생되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업자에게 배당(S160)된다. 만약, 인증 절차를 마친 사용자를 고객으로 확보하게 되면 상기 구매자에 의해 발생되는 이익 중 일부가 사업자의 이익으로 배당되므로 사업자는 별도의 판촉 활동을 하지 않아도 사용자에 의해 매출이 발생되는 순간 사업자에게도 이익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사업자들은 사용자 수를 늘리기 위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많은 홍보를 하게 될 것이다. 이때의 홍보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홍보이며, 일예로 SNS를 통한 포스팅(posting)이 될 수 있다. 만약, 많은 팔로워(follower)를 가지고 있는 SNS 이용자(power socialer)라면 1회의 포스팅만으로도 많은 고객을 확보할 수도 있다.
상기 사업자는 가입신청을 통해 소정의 절차를 거쳐 선정되며, 서류심사를 통해 선정된 사람은 정식 사업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게 되며, 정식 사업자가 되면 사업자 코드가 부여되며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 사이에는 계약기간 내 매출액, 고객 유치건수 등을 기준으로 재계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업자 코드는 최초 발급일로부터 일정 기간 경과 후에 일정 요건을 충족한 경우에 재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사업자 코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에 최초 계약상의 조건을 달성하였는지를 심사하고, 심사 결과 최초 계약상의 조건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업자 자격이 박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는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고서도 SNS 상에 포스팅할 수 있는데,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자료(contents)는 상기 사업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로부터 제공된다. 즉, 일반적인 상품의 포스팅은 상품을 실제 구매한 이후에 작성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사업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고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 또는 자료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로부터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업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가 제공하는 스튜디오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듣거나 사진 촬영 등을 하게 되며 이에 대한 자료는 상기 사업자에게 무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사업자가 링크를 공유하는 방식은 상품 구매후기(review)와 유사한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구매하지 않고 포스팅을 하게 된다. 이는 상기 사업자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을 통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제1 사용자(111)가 제2 사용자(112)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전달해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 채 전달가능하다. 상기 전달에 의해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제2 사용자(112)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면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제2 사용자(112)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자동 배정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업자(110)의 사업자 코드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 상기 제1 사업자(110)의 고객이 된 제1-1 사용자(111)가, 제1-2 사용자(112)에게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본인 인증 절차를 거친 제1-2 사용자(112)는 상기 제1 사업자(110)의 고객이 된다. 이와 같이, 어느 사업자의 고객이 되는지 여부는 어느 사업자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인증 절차가 진행되었는지에 따라 정해진다. 즉, 제1 사업자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되는 모든 고객은 상기 제1 사업자 코드를 부여받은 제1 사업자(110)의 고객이 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사업자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제2-1 사용자(121)와, 상기 제2-1사용자(121)로부터 링크를 전달받아 인증 절차를 마친 제2-2 사용자(122)는 제2 사업자(120)의 고객이 된다.
상기 쇼핑사이트로 유입되는 구매자 중, 상기 사업자 코드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네이버(naver), 다음(daum)과 같은 포털사이트(portal site)에서 검색을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그러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증 절차시에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에게 부여된 운영자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도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에 의해 발생하는 수익을 사업자에게 배당하는데, 이를 위한 전단계로 포털사이트를 통해 유입된 구매자를 사업자들에게 균등하게 배정하여 사업자들의 수익 증가에 기여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사이트검색을 통해 유입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증 절차가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에게 부여된 운영자 코드를 통해 유입된 제3-1 사용자(221)에 의해 상기 쇼핑사이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3-1 사용자(22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에 의해 상기 다수의 사업자 중 어느 하나의 고객, 예를 들면 제1 사업자(110)에게 배정될 수 있고, 제3-2사용자(222)가 상기 사이트검색을 통해 상기 쇼핑사이트로 유입되어 인증 절차를 밟은 경우에 상기 제3-2사용자(222)를 제2 사업자(120)에게 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이트검색과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의 활동에 의해 쇼핑사이트로 유입된 사용자(221,222)는 사업자들에게 균등하게 배정된다. 예를 들면, 사업자가 100명이고,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220)에 의해 쇼핑사이트로 유입된 사용자(221,222)가 100명이라면 각각의 사업자에게 고객 1명씩 배정되어, 각각의 사업자는 자신의 사업자 코드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고객 이외에도 고객 1명이 추가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업자의 고객의 수 또는 사업자가 확보하고 있는 고객의 구매 실적이 우수한 사업자에게 우선 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인증 절차는 사용자 본인에 대한 인증 절차를 의미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쇼핑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하여 쇼핑사이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거나 회원 가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이름과 휴대번호, 주민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자동차 운전면허증 번호 등을 통하여 본인임을 인증받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정 사업자의 고객이 된 사용자(구매자)가 다른 사업자의 사업자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이미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작동하게 될 뿐이어서 다른 사업자의 고객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사업자(110)의 고객이 제2 사업자(120)의 사업자 코드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클릭하더라도 제1 사업자(110)의 고객으로 유지되는 것이지 제2 사업자(120)의 고객이 되거나 중첩하여 제1 사업자(110) 및 제2 사업자(120)의 고객으로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서 회원 탈퇴(S170)를 한 경우, 상기 식별 코드와 다른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인증 절차가 진행되면 상기 사용자는 제2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사업자(110)의 고객이었던 사용자가 제2 사업자(120)의 고객으로 변경되며, 이후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에 따른 이익은 상기 제2 사업자(120)에게 배당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업자의 고객은 자신이 특정인의 고객이 된다는 사실, 나아가 어느 사업자의 고객이 되는지는 알지 못하며, 알 필요도 없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업자는 개인사업자와 가맹사업자를 포함하는데, 상기 개인사업자는 개인 단독으로 사업자가 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가맹사업자는 상기 사업자가 아닌 1인 이상의 개인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개인사업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SNS 채널에 많은 수의 팔로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되고, 상기 가맹사업자는 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SNS 채널에 팔로워가 많지 않아 단독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사업자가 될 수 없는 경우에 다수의 개인이 하나의 가맹사업자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것에 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쿠폰을 판매할 수도 있다. 즉, 쿠폰 제공사와의 제휴를 통하여 쿠폰을 판매할 수 있다. 상기 쿠폰의 판매에 따른 이익은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 판매와 동일하게 상기 쿠폰을 구매한 사람을 고객으로 하는 사업자에게 배당된다. 상기 쿠폰은 일예로 커피, 음료와 같은 식품 쿠폰일 수 있으며, 나아가 여행상품권, 문화상품권, 금융상품, 보험상품 등도 판매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a)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server)에 의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운영자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가입된 다수의 사업자에 대하여 각각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단계;
    (b) 모바일(mobile) 또는 웹(web) 환경에서 구현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채널, 개인적인 메시지, 이메일을 포함하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가 공유되는 단계;
    (c)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공유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시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회원 가입시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단계;
    (d)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공유되는 링크에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제1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자동 배정되는 단계; 및
    (e)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업자에게 배정된 제1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쇼핑사이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가 발생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식별 코드별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업자는 소정의 절차를 거쳐 선정되고, 소정의 계약 조건을 달성해야 사업자 자격이 유지되며, 사업자 코드를 발급받은 날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한 시점에 계약상의 조건을 달성하였는지를 심사하고, 심사 결과 계약상의 조건을 달성하지 못한 경우에는 사업자 자격이 박탈되며,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는 상기 사업자의 식별 코드를 포함한 채 전달가능하고, 상기 제1 사용자를 통해 공유된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하여 유입된 제2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한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를 진행한 제2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인증 절차가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게 부여된 운영자 코드를 통해 유입된 제3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3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에 의해 다수의 사업자들에게 균등하게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또는 자료(contents)는 상기 사업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운영자로부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쇼핑사이트에서 회원 탈퇴를 한 경우, 상기 식별 코드와 다른 제2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링크를 통해 유입된 사용자에 의해 새롭게 인증 절차가 진행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식별 코드를 부여받은 사업자의 고객으로 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에 의해 발생하는 이익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사업자에게 배당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KR1020190097036A 2019-08-08 2019-08-08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KR102443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36A KR102443318B1 (ko) 2019-08-08 2019-08-08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036A KR102443318B1 (ko) 2019-08-08 2019-08-08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69A KR20210017569A (ko) 2021-02-17
KR102443318B1 true KR102443318B1 (ko) 2022-09-19

Family

ID=7473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036A KR102443318B1 (ko) 2019-08-08 2019-08-08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895A (ko) 2021-11-23 2023-05-31 송지을 가상 환경 내 물건 등재 및 판매 시스템
KR102543995B1 (ko) * 2022-01-25 2023-06-16 로움아이티 주식회사 서비스 가입 유도에 따른 회원유치 실적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0451A (ja) * 2012-05-17 2015-07-16 エルジー・ハウスホールド・アンド・ヘルスケア・エルティーディー 推薦販売によるボーナス精算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マーケティング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9176B1 (ko) * 2015-07-17 2017-06-20 줄라이세븐 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기반 무제한 보상형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이의 제공 방법
KR20170140789A (ko) * 2016-06-13 2017-12-21 고영 온라인 상품 개별 판매 url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0451A (ja) * 2012-05-17 2015-07-16 エルジー・ハウスホールド・アンド・ヘルスケア・エルティーディー 推薦販売によるボーナス精算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マーケティング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69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13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retail network
Rosenmayer et al. Omni-channel service failures and recoveries: refined typologies using Facebook complaints
US20130066695A1 (en) Social networking affiliate advertising rewards system
US20120271702A1 (en) Electronic comme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90069916A (ko) 샵 분배 기능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효율 분석 기능을 가지는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230206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ransactions based on a reply message
Boon et al. Teeth whitening, boot camp, and a brewery tour: a practical analysis of ‘deal of the day’
TW202205177A (zh) 用於在多階層行銷系統中結合產品及允許使用者激勵其下線之方法
TW202207121A (zh) 基於多層次行銷產品之樹而創建網路商店
KR102443318B1 (ko) Sns를 이용한 온라인 판매 방법
KR101653635B1 (ko) 신용카드 결제정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인맥정보를 기반으로 한 가맹점별 소셜 후원 방법
US201302119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marketplace
KR20120034944A (ko) 소셜커머스에 의한 할인쿠폰 판매 대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33479A (ko) 전자쿠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716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eting and Promoting Products and Services Over the Internet
US20130211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ffiliate marketing service in integrated marketplace
KR20140047473A (ko) 마일리지 서비스 시스템
Phan A technical practice of affiliate marketing: case study: coLanguage and OptimalNachhilfe
KR102216105B1 (ko) 바이럴 마케터를 이용한 바이럴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415292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공동구매 광고 방법
KR102666304B1 (ko) 인플루언서 또는 프로슈머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마켓팅 방법.
KR20130139436A (ko)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 운영방법
Jadcherla RetailSector–Online Market: Flipkart
TWM508731U (zh) 商品活動訊息的處理系統
Hadge Advertising and branding through social me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