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216B1 -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216B1
KR102443216B1 KR1020210011829A KR20210011829A KR102443216B1 KR 102443216 B1 KR102443216 B1 KR 102443216B1 KR 1020210011829 A KR1020210011829 A KR 1020210011829A KR 20210011829 A KR20210011829 A KR 20210011829A KR 102443216 B1 KR102443216 B1 KR 10244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heel
load
cargo
vehicle
freigh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8884A (ko
Inventor
최성재
최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Priority to KR1020210011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2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being combined with other vehicle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22Driving wheels or live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1Mounting of sensor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60G2300/026Heavy duty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60G2400/204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04Means for informing, instructing or displ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재된 화물하중에 따라 화물차량 보조바퀴의 승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로, 화물하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 화물공간의 하부에 적재하중에 따라 증감하는 스프링의 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함으로써, 도로 주행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파손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계수가 변경된 경우에도 자가 보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적재하중에 따른 보조바퀴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특히 주행하는 도로상황에 따라 보조바퀴를 승강하는 에어백의 내부 공기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Up and down control apparatus for auxiliary wheel of freight truck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차량에 적재된 화물하중에 따라 화물차량 보조바퀴의 승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량은 적재된 화물로 인하여 중량이 매우 많이 나가기 때문에 주행 중 도로 및 교량의 파손이 우려됨에 따라, 지반이 약한 도로 및 교량의 경우 통행할 수 있는 중량 제한 표시를 하여 과적차량에 대하여서는 운행을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제하는 도로를 운행하기 위하여, 화물차량들은 중량 분산용 바퀴를 별도로 차량에 장착하여, 적재한 중량이 초과하게 되면 도로 위에 부양된 보조바퀴를 지면에 닿도록 하강시켜 바퀴 당 가해지는 하중(荷重)을 분산하여 통행 제한 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2635호에 보조바퀴를 승, 하강시키는 푸셔액슬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화물차량이 높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하면 공기압에 의해 화물차량의 바퀴 승강장치로 보조바퀴를 하강시켜, 주 바퀴와 하강된 보조바퀴가 화물의 중량을 분산함으로써 통행 제한 중량보다 낮아 통과가 가능함은 물론, 교량이나 도로에 영향을 주지 않고 통과할 수 있다.
화물차량은 평탄하고 단단한 지반을 가진 일반도로, 진흙이나 모래와 같이 지반강도가 보다 연약한 도로, 급한 오르막 경사를 가진 도로 등 다양한 도로를 주행하는데, 다양한 도로 주행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화물중량을 감지하는 센서의 파손이 잦다. 게다가, 다양한 도로환경에 상관없이 화물 적재 시 공기압에 의해 보조바퀴를 일률적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주행함에 따라 도로환경에 적합한 주행이 이루어지고 있질 않다.
즉, 급한 오르막 경사나 연약한 노면을 통행하는 경우 보다 강한 구동력이 요구되지만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보조바퀴의 하강으로 인하여 해당 구간을 쉽게 탈출하기 어려운 등 다양한 도로환경에 따라 보조바퀴의 승강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635호 (푸셔액슬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8409호 (트레일러차량 및 대형 화물차량용 보조바퀴 승하장치의 공압 제어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화물차량 보조바퀴의 승강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외부 충격에도 안전하게 적재된 화물하중을 측정할 수 있고, 주행되는 다양한 도로환경에 따라 보조바퀴의 승강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하중에 따라 하부에서 증감하는 스프링의 길이로부터 화물하중을 계산하는 화물하중 연산부, 및 화물하중의 크기에 따라 보조바퀴를 도로면에 승강되도록 보조바퀴가 결합된 가변축과 연결되는 에어백의 공기압을 제어하되, 주행하는 도로환경에 따라 보조바퀴가 하강한 상태에서 에어백의 공기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바퀴 하강 제어부를 구비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물차량의 하부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길이변화에 따라 길이가 증감되어 측정되는 라인센서를 더 구비하는데, 라인센서는 화물차량의 구동축 좌우방향으로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물하중 연산부는 아래와 같이 화물하중을 계산한다.
Figure 112021011114454-pat00001
본 발명에 있어서, 화물하중 연산부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화물공간에 연결된 라인센서의 기준위치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기준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물하중 연산부는 보조바퀴를 하강시킨 에어백의 공기압을 하중으로 변환하여 보조바퀴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계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물하중이 작용하는 주 바퀴의 하중과 상기 보조바퀴의 하중이 표시되는 제어 패널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는 화물하중이 임계하중을 초과하면 보조바퀴를 하강시키고, 또한 화물하중이 임계하중을 초과한 화물차량이 소정속도 이하로 험로(險路) 주행 시, 보조바퀴를 상승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는 험로를 탈출한 상기 화물차량이 설정된 소정속도를 초과하면, 상승된 상기 보조바퀴를 다시 하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물하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고, 화물공간의 하부에 적재하중에 따라 증감하는 판 또는 공압스프링의 거리변화를 감지하여 측정함으로써, 도로 주행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파손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계수가 변경된 경우에도 자가 보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적재하중에 따른 보조바퀴의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주행하는 도로상황에 따라 보조바퀴를 승강하는 에어백의 내부 공기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거나 연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장착되는 화물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패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물차량의 하부에 설치된 라인센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의 승강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요소의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하는", “결합되어”, “고정되어”등이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 결합 및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장착되는 화물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100)는 제어 패널부(110), 라인센서(120), 차량속도 취득부(130), 화물하중 연산부(140), 및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150)로 이루어진다.
제어 패널부(110)는 운전석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구동축(10)과 가변축(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주 바퀴(11)와 보조바퀴(21)의 현재 하중상태를 표시하는 도 3과 같은 터치패널로 이루어진다. 제어 패널부(110)는 운전자가 작동모드를 입력할 수 있는 작동모드 선택버튼(111)과, 주 바퀴(11)와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현재 하중상태를 표시하는 하중 표시부(112)가 구비된다.
이때, 선택버튼(111)은 주행하는 도로상황에 따라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작동모드 선택버튼(113)과, 가변모드 선택 시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하중을 조절하는 보조바퀴 하중 조절버튼(114)이 구비된다. 그리고, 하중 표시부(112)는 화물하중 연산부(140)에 의해 계산된 주 바퀴(11)와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하중이 숫자와 함께 시각적으로 인지가 용이하도록 축 하중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다.
라인센서(120)는 화물이 적재되는 화물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화물하중을 지지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따른 스프링의 길이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30)이 구비된 화물공간의 하단과 구동축(10) 사이에 라인 형태로 설치된다. 라인센서(120)는 화물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인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장착된 엔코더에 의해 적재되는 화물하중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증감되는 길이가 측정된다. 따라서, 라인센서(120)는 화물공간의 하부에 적재하중에 따라 증감하는 스프링(30)의 길이와 연동되어 길이가 증감되어 측정됨으로써, 도로 주행 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파손되지 않고 내구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인센서(120)는 도 4에서와 같이, 구동축(10)의 좌우방향으로 한 쌍으로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폭에 비하여 길이방향을 긴 화물공간의 좌우측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각각 측정할 수 있어, 좌우 밸런스에 맞도록 화물 적재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설령 화물공간의 일측 방향으로 화물이 편중되어 적재되더라도, 구동축(10)의 좌, 우 양측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각각 감지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중 일 측이 낮은 하중이더라도 다른 측의 높은 하중에 따라 보조바퀴(21)를 하강시킴으로써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차량속도 취득부(130)는 차량의 전자 제어유닛(ECU)과 연결되어 이로부터 차량의 현재속도 정보를 취득하는 통신모듈로, CAN 통신모듈, RS-232 또는 485 통신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속도 취득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다 강한 구동력이 요구되는 험로(險路) 주행 시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저속에서만 보조바퀴(20)를 상승시키도록 사용된다.
화물하중 연산부(140)는 화물적재 시 화물공간의 하부를 지지하는 스프링(30)의 하강에 따라 가변되는 라인센서(120)의 길이로부터 적재된 화물하중을 계산한다. 즉, 화물하중 연산부(140)는 화물적재 시 라인센서 길이 변화량(X), 차량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계수(K), 중력가속도(g)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화물하중(m)을 산출한다.
Figure 112021011114454-pat00002
여기서, 라인센서 길이 변화량(X)은 공차 시 화물공간의 하단에 연결된 라인센서(120) 일단의 기준위치로부터 화물하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된 위치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산출되며, 스프링의 탄성계수(K)는 스프링(30)의 재질이나 구조에 의해 사전에 측정된다.
이때, 누적되는 화물하중에 의한 스프링(30)의 탄성계수 변화로 인하여 라인센서(120)의 공차 시 기준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화물하중 연산부(140)는 보다 정확한 하중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차 시의 라인센서(120) 기준위치를 보정한다. 이를 위하여, 화물하중 연산부(140)는 일정기간 동안 공차 시의 라인센서(120) 기준위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데, 상당한 중량을 운송하는 화물차량의 특성 상, 화물이 적재된 상태와 공차인 상태의 라인센서(120)의 위치변화는 뚜렷이 구분되어 측정된다.
여기서, 적재 시 화물 중량에 따라 라인센서(120)의 하강 위치가 상이한 것과 달리, 공차 시에는 라인센서(120)가 하강되지 않아 기준위치가 대략적으로 일정하다. 하지만, 화물하중 연산부(140)에 의해 측정된 공차 시의 라인센서(120)의 기준위치가 일정하지 않고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누적되는 화물하중에 의한 스프링(30)의 탄성계수 변화로 인하여 기준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라인센서(120)의 기준위치를 보정한다.
이후, 보정된 기준위치로부터 하중에 의한 이동위치가 측정되어 라인센서 길이 변화량(X)을 산출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스프링(30)이 노후되어 탄성계수의 변화에 따라 라인센서(120)의 기준위치를 자동적으로 보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되는 차량에 적재되는 화물하중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화물하중 연산부(140)는 이와 같이 라인센서(120)의 길이변화로부터 화물하중을 산출하고, 화물하중 값을 주 바퀴(11) 개수로 나누어 주 바퀴(11)에 작용하는 현재 하중상태를 계산한다. 그리고,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현재 하중상태는 보조바퀴(21)를 하강시킨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하중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이와 같이 계산된 주 바퀴(11)와 보조바퀴(21)의 작용하는 현재 하중상태는 상술한 제어 패널부(110)의 하중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150)는 화물하중 연산부(140)에 의해 측정된 화물하중에 따라 보조바퀴(21)에 연결된 가변축(20)을 승강시킨다.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150)에 의한 보조바퀴(21)의 승강동작이 도 5(a),(b)에 도시되어 있는데, 가변축(20)에 연결된 하강 에어백(40) 및 상승 에어백(50)의 내부 공기압에 의해 보조바퀴(21)가 승강된다.
즉, 측정된 화물하중이 설정된 임계하중을 초과하면 도 5(a)와 같이, 가변축(20)에 연결된 하강 에어백(40)의 공기압을 증가시켜 보조바퀴(21)가 하강되고, 반대로 측정된 하중이 설정된 임계하중 미만이면 도 5(b)와 같이, 상승 에어백(50)의 공기압을 증가시키고 하강 에어백(40)의 공기압을 낮춰 보조바퀴(21)를 상승시킨다. 이때, 차량의 크기에 따라 허용하중에 차이가 있어, 가변축(20)을 승강시키는 임계하중은 사전에 설정된다.
본 발명의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150)는 특히, 차량의 주행환경에 따라 운전자가 입력하는 주행모드에 의하여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데, 자동모드는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하강된 보조바퀴(21)로 일정한 하중이 작용하도록 하는데, 이는 일반도로 주행 시 사용된다.
그리고, 가변모드는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가변시켜 하강된 보조바퀴(21)로 작용하는 하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가변된 보조바퀴(21)의 하중과 연동하여 주 바퀴(11)에 작용되는 하중을 상보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도로의 노면이 평탄하고 단단한 지반이라고 판단되면, 주 바퀴(11)로 작용하는 하중을 보다 경감하도록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증가시킴으로써, 주행 시 연비를 절감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오르막이나 흙길과 같이 무른 지반이면 하강 에어백(40)의 내부 공기압을 감소시켜 주 바퀴(11)에 의한 차량의 구동력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험로(險路) 모드는 경사각이 큰 오르막이나 진흙 웅덩이나 모래와 같이 지반강도가 약한 험로 주행 시, 험로에 미끄러지지 않고 탈출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이는 하강된 보조바퀴(21)를 상승시킴으로써, 주 바퀴(11)에 보다 강한 구동력으로 험로로부터 차량을 탈출시키는데, 보다 강한 구동력이 주 바퀴(11)에 발생할 수 있도록 차량의 속도가 설정된 소정속도 이하의 저속에서만 험로모드가 동작된다. 그리고, 험로 모드로 험로를 탈출하여 차량이 설정된 소정속도를 초과하면, 자동으로 험로모드는 해제되며 상승된 보조바퀴(21)가 다시 하강되어 하중을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행하는 도로상황에 따라 보조바퀴(21)를 승강시키는 에어백(40,50)의 내부 공기압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보조바퀴(21)에 작용되는 화물하중을 조절하거나 하강된 보조바퀴(21)를 상승시킬 수 있어, 주행도로에 따라 차량의 연비를 절감시키거나 보조바퀴(21)의 사용에도 주 바퀴(11)의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100)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화물차량에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100)를 장착하고, 차량의 허용하중에 따라 보조바퀴(21)가 하강하는 임계하중과 하강된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하중을 설정한다. 여기서, 보조바퀴(21)의 하중은 하강 에어백(40)에 작용하는 내부 공기압은 공압센서로 측정되며, 공압벨브로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목표 공기압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공차 시 및 일정 하중 적재 시 증감된 라인센서(120) 길이로부터 화물공간의 하단에 장착된 스프링(30)의 탄성계수를 측정하여 설정한다.
그런 다음, 화물공간에 화물을 적재하면 라인센서(120)의 길이변화로부터 화물하중이 계산되며, 계산된 화물하중은 제어 패널부(110)의 축 하중 표시부(112)에 표시된다. 이때, 측정된 화물중량이 임계하중을 초과하면, 하강 에어백(40)이 설정된 내부 공기압으로 팽창하여 보조바퀴(21)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하강한 보조바퀴(21)가 주 바퀴(11)와 함께 하중을 분산한다. 이때, 축 하중 표시부(112)에는 하강 에어백의 내부 공기압이 중량으로 환산되어 보조바퀴(21)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주행 중에 운전자는 도로의 노면과 지반의 상태에 따라 자동모드에서 가변모드로 변경하여 선택할 수 있는데, 가변모드 시 하강된 보조바퀴(21)의 하중을 가변축 하중 조절버튼(114)으로 상승 및 하강시켜 조절한다. 이때, 주행도로가 험로이면 험로모드로 선택하여 하강된 보조바퀴(21)를 상승시킴으로써, 주 바퀴(11)가 보다 강한 구동력으로 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된 화물하중은 일정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라인센서(120)의 길이변화로부터 자동적으로 측정되며, 측정된 공차 시의 라인센서(120)의 기준위치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누적되는 화물하중에 의한 스프링 탄성계수 변화로 인하여 기준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라인센서(120)의 기준위치를 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화물하중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구동축 11 : 주 바퀴
20 : 가변축 21 : 보조바퀴
30 : 스프링 40 : 하강 에어백
50 : 상승 에어백 100 :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110 : 제어 패널부
111 : 작동모드 선택버튼 112 : 하중 표시부
113 : 작동모드 선택버튼 114 : 보조바퀴 하중 조절버튼
120 : 라인센서 130 : 차량속도 취득부
140 : 화물하중 연산부 150 :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

Claims (10)

  1. 화물차량의 보조바퀴를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량에 적재된 화물하중에 따라 하부에서 증감하는 스프링의 길이로부터 화물하중을 계산하는 화물하중 연산부; 및
    상기 화물하중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를 도로면에 승강되도록 상기 보조바퀴가 결합된 가변축과 연결되는 에어백의 공기압을 제어하되, 주행하는 도로환경에 따라 상기 보조바퀴가 하강한 상태에서 에어백의 공기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화물차량의 하부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길이변화에 따라 길이가 증감되어 측정되는 라인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라인센서는 상기 화물차량의 구동축 좌우방향으로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화물하중 연산부는 아래와 같이 화물하중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Figure 112022060606893-pat00003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하중 연산부는,
    주기적으로 측정된 화물공간에 연결된 라인센서의 기준위치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면, 기준위치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하중 연산부는,
    상기 보조바퀴를 하강시킨 에어백의 공기압을 하중으로 변환하여 상기 보조바퀴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하중이 작용하는 주 바퀴의 하중과 상기 보조바퀴의 하중이 표시되는 제어 패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는,
    상기 화물하중이 임계하중을 초과하면 상기 보조바퀴를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는,
    상기 화물하중이 임계하중을 초과한 화물차량이 소정속도 이하로 험로(險路) 주행 시, 상기 보조바퀴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 승강 제어부는,
    상기 험로를 탈출한 상기 화물차량이 설정된 소정속도를 초과하면, 상승된 상기 보조바퀴를 다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KR1020210011829A 2021-01-27 2021-01-27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KR10244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29A KR102443216B1 (ko) 2021-01-27 2021-01-27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29A KR102443216B1 (ko) 2021-01-27 2021-01-27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84A KR20220108884A (ko) 2022-08-04
KR102443216B1 true KR102443216B1 (ko) 2022-09-14

Family

ID=8283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29A KR102443216B1 (ko) 2021-01-27 2021-01-27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882A (ja) * 1998-12-25 2000-07-11 Shigeo Hirose 6輪移動車両
KR200418233Y1 (ko) 2006-03-28 2006-06-08 주식회사 포멕 차량의 보조 축 공기현가장치의 자동 상승 및 하강장치
KR100629647B1 (ko) 2005-09-14 2006-10-02 노병철 차량의 하중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000557B1 (ko) *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과적 방지 장치
JP2020131822A (ja) * 2019-02-15 2020-08-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荷重推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409Y1 (ko) 2001-05-14 2001-12-28 조영채 트레일러차량 및 대형 화물차량용 보조바퀴 승하장치의공압 제어시스템
KR101382635B1 (ko) 2013-03-21 2014-04-07 삼우중공업(주) 푸셔액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0882A (ja) * 1998-12-25 2000-07-11 Shigeo Hirose 6輪移動車両
KR100629647B1 (ko) 2005-09-14 2006-10-02 노병철 차량의 하중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0418233Y1 (ko) 2006-03-28 2006-06-08 주식회사 포멕 차량의 보조 축 공기현가장치의 자동 상승 및 하강장치
KR102000557B1 (ko) * 2018-04-26 2019-07-16 주식회사 이알인터내셔널 과적 방지 장치
JP2020131822A (ja) * 2019-02-15 2020-08-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荷重推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884A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3089A (en) Air sp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601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weight of a machine payload
US4852674A (en) Method for displaying load distribution by monitoring a work vehicle suspension
US8195351B2 (en) Electric vehicle with pitch control device
KR100336872B1 (ko) 탑승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탑승-높이 제어시스템을 갖춘 차륜이 있는 차량
JP2659444B2 (ja) 動的ペイロード・モニタ
US20060267296A1 (en) Electronic control of vehicle air suspension
KR102023057B1 (ko) 차량의 가변축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KR101368061B1 (ko) 차량용 가변축 제어방법
CN108137300A (zh) 叉车
CN109562796B (zh) 用于识别和/或控制牵引车与挂车之间的耦联过程的方法
US20090152052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dustrial truck
US5994650A (en) Safety system for lift trucks
US20220288991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axle load on a mechanically suspended vehicle
JP4957940B2 (ja) 軸荷重表示装置
CN116745148A (zh) 高精度车辆荷载计算
KR102443216B1 (ko) 화물 차량의 보조바퀴 자동승강 제어장치
CN107407591B (zh) 作业机械的荷载计测装置
US20040031628A1 (en) Method to control at least one movement of an industrial truck
CA1321024C (en) Method for displaying load distribution by monitoring a work vehicle suspension
GB2387582A (en) A vehicle air suspension system including trailer load measurement means
KR102592203B1 (ko) 덤프트럭의 데크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20070647A (ko) 자동 포크 높이 제어 시스템 및 포크 높이 자동 제어 방법
JP2711750B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
KR20220144474A (ko) 다축차량의 가변축 제어용 속도 측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