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650B1 -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650B1
KR102442650B1 KR1020210012606A KR20210012606A KR102442650B1 KR 102442650 B1 KR102442650 B1 KR 102442650B1 KR 1020210012606 A KR1020210012606 A KR 1020210012606A KR 20210012606 A KR20210012606 A KR 20210012606A KR 102442650 B1 KR102442650 B1 KR 10244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support frame
scr
large scr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9217A (ko
Inventor
박준형
Original Assignee
박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형 filed Critical 박준형
Priority to KR102021001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650B1/ko
Priority to PCT/KR2022/001216 priority patent/WO2022164151A1/en
Priority to JP2023546264A priority patent/JP2024505540A/ja
Priority to CN202280012226.6A priority patent/CN116868006A/zh
Priority to TW111104116A priority patent/TW202244432A/zh
Publication of KR20220109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6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21Removing nitrogen compounds
    • B01D53/8625Nitrogen oxides
    • B01D53/86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10Catalytic re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 행잉 서포트 타입으로 걸친 다수의 대형 SCR 카트리지를 결합부재로 결합 지지시켜 반응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hanging support construction between big SCR cartridge and supporting frame for dust collector with dry reaction of combustion furnace}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에 행잉 서포트 타입으로 걸친 1행(세로) 2열(가로)의 대형 SCR 카트리지들을 결합부재로 결합 지지시켜 반응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로 및 연소로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각종 유해물질 즉, NOx, SOx, HCl, 다이옥신, 비산재(FLY ASH)이 발생된다.
상기 유해물질을 포함된 배기가스는 대기로 방출되기 이전에 대기방지설비를 통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한 후 대기로 방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유해물질 종류에 따라서 유해물질 제거설비인 대기방지 설비들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유해물질 제거를 위해 제공되는 종래 집진장치로서,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9667호)에 공지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9667호)의 집진장치(70)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케이싱(74), 케이싱(74)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75)와 호퍼(76), 케이싱(74)의 내부에 상하로 탑재되는 SCR 카트리지(73), 에어 노즐(77)과 백 필터(78)을 포함한다.
SCR 카트리지(73)는 패널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는 저온(145~180℃)에서 반응하는 펠릿(pellet) 형상의 촉매가 들어가 있다. 선택 촉매 환원법(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은 화석연료나 폐기물을 연소하는 연소들로부터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SNCR에서 요소수를 분무하여 1차 반응하고 미반응된 암모니아 가스를 재이용하거나 추가로 암모니아수를 SCR촉매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더 넣어 필요한 반응 약품을 공급하는 방안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암모니아 가스(NH3)를 NOx와 반응시켜 N2와 H2O로 환원시키는 촉매이다.
케이싱 커버(75)와 SCR 카트리지(73) 사이의 챔버는 클린 존(71)이다.
클린 존(71)은 정화되지 않은 배기가스가 호퍼(76)로 들어와서 백 필터(78)와 SCR 카트리지(73)를 통과한 정화된 가스가 모이는 챔버이다.
또한, SCR 카트리지(73)는 케이싱(74)의 내벽(74a)에 고정된 ㄴ자 형강인 지지프레임(72)에 놓이게 된다.
통상, SCR 카트리지(73)는 크게 80kg 정도의 소형 카트리지와, 250~350kg 정도의 대형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소형 카트리지는 1개의 챔버에 田자 형상의 지지프레임(72)에 4개가 놓이며, 현장에 따라 챔버가 다수인 경우 소형 카트리지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을 따라 바둑판 타입으로 배열되게 된다.
즉, 소형 카트리지는 1개의 챔버 안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 모두 복수개 또는 그 이상으로 배열된다.
한편, 대형 카트리지는 1개의 챔버에 日자 형상의 지지프레임(72)에 2개가 놓이며, 현장에 따라 챔버가 다수인 경우 대형 카트리지가 가로방향을 따라 사다리 타입으로 배열되게 된다.
즉, 대형 카트리지는 1개의 챔버 내에 가로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 또는 그 이상, 세로방향을 따라서는 1개만 배열된다.
따라서, 소형 SCR 카트리지와 대형 SCR 카트리지는 가로방향을 따라서는 복수개 또는 그 이상이지만, 세로방향을 따라서는 소형 카트리지는 복수개 또는 그 이상, 대형 카트리지는 1개만 배열된 것으로 구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SCR 카트리지(73)는 지지프레임(72)에 그 자중만으로 놓여 있어서, 백 필터(78)를 통과한 가스에 의해 움직여 흔들리면 내부의 촉매가 한쪽으로 쏠려 촉매와 접촉 반응하지 않은 가스가 클린 존(71)으로 바로 들어가 반응효율을 낮추게 된다.
또한, SCR 카트리지(73)의 제작 오차, 사용 중 열변형(뒤틀림), 운전 중의 진동 등으로 인해 지지프레임(72)와의 틈새로 미반응 가스가 나가게 된다.
따라서, SCR 카트리지(73)를 통과하지 않은 가스가 클린 존(71)으로 바로 들어가 반응효율을 현저히 떨어트리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966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이싱의 내벽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에 행잉 서포트 타입으로 걸친 복수의 대형 SCR 카트리지를 결합부재로 결합 지지시켜 반응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은, 케이싱 커버와 백 필터 사이의 케이싱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전후(세로)방향으로 놓이는 단일, 좌우(가로)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복수로 배열되는 패널 형상의 대형 SCR 카트리지와,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 지지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고정되는 전후좌우 테두리 바와, 상기 전후 테두리 바에 고정되는 종 크로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걸쳐 행잉 서포트 되는 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둘레에 설치된 윙부가 지지프레임에 걸치기만 하는 행잉 서포트가 되기 때문에, 대부분 백 필터 상부를 이용해서 기존 시설을 개선할 때 투자비 및 부지 협소로 인해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을 때 대형 SCR 카트리지가 적합하다. 또한, 대형 제작이기 때문에, 제작 인건비와 자재비의 절감에도 좋고, 소형 SCR 카트리지의 밀폐용 패킹이 많이 들어가는 것에 비교해서 적은 면적의 밀폐 구조로도 촉매 반응효율이 높아 설계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ㄷ자 형강을 요홈 형상으로 지지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된 암나사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간단히 가압판을 가압시켜 대형 SCR 카트리지의 결합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고정되는 결합용 러그에 가압판을 끼운 채 결합용 러그의 결합공에 스플릿 핀을 삽입하면 결합이 끝나기 때문에, 다수의 가압판이 균일하게 가압되어 대형 SCR 카트리지의 다수가 수평을 잘 유지한다.
더욱이, 스플릿 핀의 한 쌍의 핀이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고, 한 쌍의 핀의 상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플릿 핀이 결합공에 삽입되면 한 쌍의 핀이 결합공에 압력을 가해 빠지기 어렵고, 경사면이 쐐기 작용으로 삽입될수록 지지프레임과 대형 SCR 카트리지 간의 가압에 따른 밀폐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지지프레임의 수직바와 대형 SCR 카트리지의 윙부 사이에 패킹이 더 설치됨으로써, 지지프레임과 대형 SCR 카트리지 간의 실링 효율을 더욱더 향상시킨다.
또한, 전후좌우 테두리 바의 외곽에 결합용 러그와 마주보는 가압판용 받침편이 더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압판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및 연소로용 건식 반응 집진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대형 SCR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촉매 충진용 덮개판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6-6선 및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일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적용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용 기본 지지프레임의 평면 배열도.
도 9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을 확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a1 및 a2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적용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용 기본 지지프레임의 평면 배열도.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 중 스플릿 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종래 집진장치의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은 가로 또는 행을 나타내고, 전후방향은 세로 또는 열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및 연소로용 건식 반응 집진기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대형 SCR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촉매 충진용 덮개판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4의 6-6선 및 7-7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일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적용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용 기본 지지프레임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9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a1 및 a2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가 적용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용 기본 지지프레임의 평면 배치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4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 중 스플릿 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단위 집진기 4개가 1,2,3,4 상한에 배치된 집진기 모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집진기가 1상한 또는 4상한에 위치한 것만 기준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및 연소로의 집진기(100)는 사각형의 케이싱(110), 케이싱(110)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케이싱 커버(130)와 호퍼(150), 케이싱(110)의 내부 상부에 탑재되는 복수의 대형 SCR 카트리지(200)와 에어 노즐(170) 및 백 필터(190), 케이싱(110)의 내벽에 고정된 채 복수의 대형 SCR 카트리지(200)가 놓여 받치는 지지프레임(300)과, 대형 SCR 카트리지(200)가 지지프레임(300)에 결합 지지시키는 결합부재(50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싱 커버(130)는 케이싱(11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 커버(130)와 대형 SCR 카트리지(200) 사이의 챔버에는 클린 존(140)이 형성된다.
대형 SCR 카트리지(2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철판으로 제작된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와,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의 측면을 따라 고정되는 윙부(220)를 포함한다.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는 패널 형상의 사각형 통으로서, 그 내부에 촉매가 담긴다.
윙부(220)는 지지프레임(300)의 상면에 걸쳐 지지된다.
윙부(220)는 전후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전후 윙부(221)와, 좌우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우 윙부(223)를 포함한다.
또한, 전후좌우 윙부(221)(223)는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측판(215)의 둘레를 따라 전후좌우 수평윙(221a)(223a)과, 전후좌우 수평윙(221a)(223a)의 타단에서 아래로 향하는 전후좌우 수직윙(221b)(223b)을 포함한다.
전후좌우 수평윙(221a)(223a)과 전후좌우 수직윙(221b)(223b)의 내부는 후술되는 패킹(600)이 삽입 장착될 홈으로서 기능을 하다.
물론, 패킹(600)이 없을 시에는 대형 SCR 카트리지(200)는 전후좌우 수평윙(221a)(223a)이 지지프레임(300)에 걸쳐 지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윙부(220)가 지지프레임(300)에 걸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대부분 백 필터 상부를 이용해서 기존 시설을 개선할 때 투자비 및 부지 협소로 인해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는 경우 대형 SCR 카트리지(200)가 적합하다.
또한, 대형 제작이기 때문에, 제작 인건비와 자재비의 절감에도 좋고, 소형 SCR 카트리지의 밀폐용 패킹이 많이 들어가는 것에 비교해서 적은 면적의 밀폐구조로도 촉매 반응효율이 높아 설계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는 외형을 이루는 상하 다공판(211)(213)과 측판(2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판(215)은 ㄷ자단면 형강이다.
이러한 상하 다공판(211)(213)과 측판(215)은 리벳팅에 의해 결합된다.
상하 다공판(211)(213)의 다공 분포 위치는 현장 여건과 비반응 영역 최소화에 맞게 상하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거나, 상 다공판(211)엔 중심측에 분포되고 하 다공판(213)엔 좌우측에 분포되거나, 아니면 그 반대의 위치로 분포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 다공판(211)의 상하면 각각에는 리프팅용 러그(lug)(240)가 2개씩 고정되어 있다.
리프팅용 러그(240)가 상하에 둔 이유는, 세운 상태에서 그 내부에 촉매를 충진하기 위함이다.
특히,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는 그 내부가 다수 분할된 외형 상 단일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 다수 분할을 위해, 상하 다공판(211)(213)의 내부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측판(215)과 같은 분할 리브형 ㄷ자 형강(250)이 더 고정되어 있다.
분할 리브형 ㄷ자 형강(250)은 리프팅 할 때 상하 다공판(211)(213)의 당김 변형이나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의 뒤틀림 변형 등을 억제하는 보강재의 역할을 한다.
분할 리브형 ㄷ자 형강(250)은 촉매가 담길 통을 전후 좌우로 구획시키기 때문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ㄷ자 형강인 측판(215)의 전후면에는 개구(231)가 형성되고, 개구(231)는 촉매 충진용 덮개판(233)에 의해 개폐된다.
촉매 충진용 덮개판(233)은 접시머리 볼트로 측판(215)의 전후면에 체결 설치된다.
이때, 도 10과 같이 개구(231)가 있는 전후 수직윙(221b)의 하단은 도 12 및 도 13의 좌우 수직윙(223b)의 하단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데(도 6 참조), 이것은 전후 수직윙(221b)이 개구(231)를 가리지 못하게 해서 촉매 넣고 빼고, 덮개판(233)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대형 SCR 카트리지(200)는 도 8에 도시한 지지프레임(300) 위에 2개가 놓이게 된다.
물론, 지지프레임(300)은 좌우로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SCR 카트리지(200)가 1행 4열로 배열되어 있다면, 지지프레임(300)도 좌우로 더 연장되게 된다.
지지프레임(300)은 ㄷ자 단면 형강으로서, 케이싱(110)의 내벽에 고정된다.
즉, 지지프레임(3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고정되는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와, 전후 테두리 바(310)(320)의 내부에 고정되는 종 크로스 바(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의 지지프레임(300)의 공간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2개의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210)가 배치된 채 지지프레임(300)의 상면에 걸쳐 지지되는 행잉 서포트 타입의 구조물을 구성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 필터(190)용 지지부에 지지프레임(300)이 지지된다.
지지프레임(300)은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직바(301)와 제2수직바(303), 제1,2수직바(301)(303)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바(305)로 이루어진 凹자단면 형강이다.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의 제1수직바(301)는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내벽에 고정된다.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의 제2수직바(303)와 종 크로스 바(350)의 제1,2수직바(301)(303)에는 윙부(220)가 걸쳐 지지되게 된다.
일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500)는 도 10,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바(305)의 바닥에 인서트 되는 암나사(510)와, 대형 SCR 카트리지(200)에 놓이는 가압판(530a 또는 530b)과, 암나사(510)에 체결되어 가압판(530a 또는 530b)이 대형 SCR 카트리지(200)를 지지프레임(300)에 가압 지지시키는 볼트(550)를 포함한다.
볼트(550)는 아이 볼트이다.
가압판(530a 또는 530b)은 도 13과 같이 종 크로스 바(350) 사이의 대형 SCR 카트리지(200)에 걸쳐 가압 지지하는 제1가압판(530a)과,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에 걸친 대형 SCR 카트리지(200)에 가압 지지하는 제2가압판(530b)을 포함한다.
제1가압판(530a)은 제1수평판으로서, 좌우의 대형 SCR 카트리지(200)를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한다.
제2가압판(530b)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평판(531b)과, 제2수평판(531b)에서 연결바(305) 쪽으로 절곡된 제2수직판(533b)을 포함한다.
제2수평판(531)은 ㄷ자 형강의 측판(215)과 전후 윙부(221)의 상면에 놓이고, 볼트(550)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수직판(533b)은 지지프레임(300)의 내부까지 내려오며, 끝단이 연결바(305)의 바닥에 닿으면 더 이상 체결되지 않는다.
또한, 제1,2수직바(301)(303)와 윙부(220) 사이에는 패킹(600)이 더 설치되어, 그 틈새로 반응하지 않은 가스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서 반응효율을 높인다.
다른 변형예에 따른 결합부재(500')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부재(500')는 지지프레임(300)의 상면에 소정 간격마다 용접 고정되는 결합용 러그(510)와, 결합용 러그(510')에 대형 SCR 카트리지(200)의 상면에 놓이는 가압판(530')과, 결합용 러그(510')의 결합공(511')에 삽입되어 가압판(530')을 가압한 채 결합시키는 스플릿 핀(540')을 포함한다.
가압판(530')은 도 17과 같이 4각 형상의 판으로 되어 있다.
스플릿 핀(54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타원형으로 절곡된 헤드(541')와, 헤드(541')의 양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핀(543')을 포함한다.
특히 스플릿 핀(540')은 띠 형상의 판을 절곡 형성한 핀이다.
또한, 한 쌍의 핀(543')의 상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경사면(545')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사면(545')은 도 17과 같이 정면에서 볼 때 쐐기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스플릿 핀(540')의 한 쌍의 핀(543')을 오므린 후 결합공(511')에 끼워 놓고 때려 박으면 전진하면서 경사면(545')에 의해 가압판(530')을 아래로 누르기 때문에,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고, 특히 대형 SCR 카트리지(200)와 지지프레임(300) 사이의 접촉 밀폐력을 향상시켜 반응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V자 형상으로 벌어진 한 쌍의 핀(543')이 결합공(511')에 삽입됨에 따라 벌어지려는 반발력이 작용해서, 임의의 이탈을 더욱더 방지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가압판(530')은 도 14의 종 크로스 바(350)를 사이에 둔 대형 SCR 카트리지(200)를 결합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500')는 대형 SCR 카트리지(200)와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500')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에 가압판용 받침편(550')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다른 변형예의 결합부재(500')는 전후좌우 테두리 바(310)(320)(330)(340)의 상면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결합용 러그(510')와, 결합용 러그(510')의 외곽에 마주하는 가압판용 받침편(550')과, 결합용 러그(510')에 끼워져 대형 SCR 카트리지(200)와 가압판용 받침편(550')의 상면에 놓이는 가압판(530')과, 결합용 러그(510')의 결합공(511')에 삽입되는 스플릿 핀(5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플릿 핀(540')이 결합되면, 가압판(530')이 대형 SCR 카트리지(200)와 가압판용 받침편(550')의 상면을 균등있게 가압해서 대형 SCR 카트리지(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소각 및 연소로의 집진기 110 : 사각형의 케이싱
130 : 케이싱 커버 140 : 클린 존
150 : 호퍼 170 : 에어 노즐
190 : 백 필터 200 : 대형 SCR 카트리지
210 :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 220 : 윙부
240 : 리프팅용 러그 300 : 지지프레임
301,303 : 제1,2수직바 305 : 연결바
500,500' : 결합부재 510 : 암나사
530a,530b : 가압판 550 : 볼트
510' : 결합용 러그 530' : 가압판
540' : 스플릿 핀 550' : 가압판용 받침편
600 : 패킹

Claims (9)

  1. 삭제
  2. 케이싱 커버와 백 필터 사이의 케이싱 내벽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전후(세로)방향으로 놓이는 단일, 좌우(가로)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놓이는 복수로 배열되는 패널 형상의 대형 SCR 카트리지와,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 지지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내벽의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고정되는 전후좌우 테두리 바와, 상기 전후 테두리 바에 고정되는 종 크로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공간 내에 배치되는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와,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걸쳐 행잉 서포트 되는 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좌우 테두리 바 및 종 크로스 바는 제1수직바와 제2수직바, 상기 제1,2수직바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바로 이루어진 凹자단면 형강이고,
    상기 전후좌우 테두리 바의 제1수직바는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고정되고,
    상기 윙부는 상기 전후좌우 테두리 바의 제2수직바와, 상기 종 크로스 바의 제1,2수직바에 걸쳐지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바의 바닥에 인서트 되는 암나사와,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에 놓이는 가압판과,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가압판이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가압 지지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종 크로스 바 사이의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에 걸쳐 놓이는 제1가압판과, 상기 전후좌우 테두리 바에 걸친 대형 SCR 카트리지에 놓이는 제2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압판은 제1수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가압판은 제2수평판과, 상기 제2수평판에서 상기 연결바 쪽으로 절곡된 제2수직판을 포함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연결바의 바닥에 고정되는 결합용 러그(lug)와, 상기 결합용 러그에 끼워져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에 놓이는 가압판과, 상기 결합용 러그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가압판을 가압한 채 결합시키는 스플릿 핀을 포함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후좌우 테두리 바에는 상기 결합용 러그와 마주보는 외곽에 가압판용 받침편이 더 고정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 핀은 헤드와, 상기 헤드의 양쪽에서 끝단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의 상면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윙부 사이에 패킹이 더 설치되되,
    상기 윙부는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평윙과, 상기 수평윙에서 아래로 향하는 수직윙을 포함하는 패킹홈이 형성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전후면에 형성된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이 설치되고,
    상기 윙부는 상기 대형 SCR 카트리지 본체의 전후 및 좌우에 형성되는 전후 윙부 및 좌우 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후 윙부의 수직윙 하단은 상기 개구가 완전 개방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좌우 윙부의 수직윙 하단은 상기 전후 윙부의 수직윙 하단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KR1020210012606A 2021-01-28 2021-01-28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KR10244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06A KR102442650B1 (ko) 2021-01-28 2021-01-28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PCT/KR2022/001216 WO2022164151A1 (en) 2021-01-28 2022-01-24 Hanging support structure between support frame and large scr cartridge integrated with dust reaction collector of incinerator and combustion furnace
JP2023546264A JP2024505540A (ja) 2021-01-28 2022-01-24 焼却及び燃焼炉の乾式反応集塵機一体型の大型scrカートリッジと支持フレームとの間の吊り支持構造物
CN202280012226.6A CN116868006A (zh) 2021-01-28 2022-01-24 集成有焚化炉和燃烧炉的粉尘反应收集器的支撑框架与大型scr箱之间的悬挂支撑结构
TW111104116A TW202244432A (zh) 2021-01-28 2022-01-28 介於支撐框架及大型選擇性觸媒還原匣(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rtridge)之間之與焚化爐及燃燒爐之粉塵反應收集器整合的吊掛支撐結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606A KR102442650B1 (ko) 2021-01-28 2021-01-28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217A KR20220109217A (ko) 2022-08-04
KR102442650B1 true KR102442650B1 (ko) 2022-09-13

Family

ID=8265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606A KR102442650B1 (ko) 2021-01-28 2021-01-28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4505540A (ko)
KR (1) KR102442650B1 (ko)
CN (1) CN116868006A (ko)
TW (1) TW202244432A (ko)
WO (1) WO20221641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935A (en) * 1993-05-21 1995-05-23 Peerless Manufacturing Company Wheeled SCR sealing mechanism
WO2017005679A1 (en) * 2015-07-08 2017-01-12 Lab Sa Device for cleaning fumes including a bagfilter and a cataly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9535A (ja) * 2006-05-16 2007-11-29 Daido Steel Co Ltd 金属スクラップ溶解炉の排ガス処理装置
KR100769667B1 (ko) 2006-05-22 2007-10-29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소각 및 연소로의 배기가스 일괄 처리시스템
KR100987197B1 (ko) * 2008-03-31 2010-10-11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집진기의 일체형 덮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집진기
KR101582964B1 (ko) * 2014-03-14 2016-01-06 현대머티리얼 주식회사 대용량 촉매담체 반응기의 담체 마운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935A (en) * 1993-05-21 1995-05-23 Peerless Manufacturing Company Wheeled SCR sealing mechanism
WO2017005679A1 (en) * 2015-07-08 2017-01-12 Lab Sa Device for cleaning fumes including a bagfilter and a cataly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68006A (zh) 2023-10-10
KR20220109217A (ko) 2022-08-04
WO2022164151A1 (en) 2022-08-04
JP2024505540A (ja) 2024-02-06
TW202244432A (zh)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838A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njection of NOx reducing agent
JPH01127892A (ja) 熱処理等をするための工業炉
US4935042A (en) Exhaust gas treating device
CN112253297B (zh) 用于包含整料的改进的元件框架
KR101854167B1 (ko) 배기가스 처리용 촉매장치
CN105107378B (zh) 一种用于scr脱硝催化剂的模块箱及组装方法
KR102442650B1 (ko) 소각 및 연소로의 건식 반응 집진기 일체형 대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행잉 서포트 구조물
JP5295403B2 (ja) 船舶用排ガス脱硝反応容器および排ガス脱硝設備
FI92522C (fi) Voimalaitos, jossa polttoaine poltetaan leijupedissä
KR102508356B1 (ko) 소각 및 연소로의 집진기용 소형 scr 카트리지와 지지프레임 간 바텀 서포트 구조물
KR101763366B1 (ko) 모듈식 가스화장치
US4167453A (en) Regenerator lining for regenerator chamber cells in coke ovens
CN102829654B (zh) 管板管束组件、列管式换热器及解析塔
CN102836615B (zh) 解析塔的塔体段连接装置及解析塔
CN213556344U (zh) 玻璃行业的脱硝防堵前置层
CN217149069U (zh) 一种新式炭化炉
CN218840421U (zh) 一种蜂窝式scr烟气脱硝催化剂模块包装箱
JP3217575B2 (ja) 燃焼方法
KR102369507B1 (ko) 촉매 모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촉매 모듈
CN210426220U (zh) 一种烟气余热回收用水温加热装置
CN212417407U (zh) 一种窑炉废气处理装置
CN216703949U (zh) 一种scr脱硝系统
CN215523779U (zh) 一种常压热水锅炉的后烟箱
KR101917066B1 (ko) 수랭 방식의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연소실
CN209735333U (zh) 一种用于垃圾焚烧炉的烟尘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