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21B1 -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21B1
KR102442521B1 KR1020150183545A KR20150183545A KR102442521B1 KR 102442521 B1 KR102442521 B1 KR 102442521B1 KR 1020150183545 A KR1020150183545 A KR 1020150183545A KR 20150183545 A KR20150183545 A KR 20150183545A KR 102442521 B1 KR102442521 B1 KR 10244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con
application
providing
user
user 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4373A (ko
Inventor
권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8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4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가 제공되고 난 이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OTICON}
본 발명은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수행 완료에 따라 이모티콘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 상호 간에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매체가 발달되고 있다. 예를 들어, SNS서비스, 채팅서비스, 또는 블로그 등을 통한 게시물 공유 서비스 등이 활발하게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타사용자들과 원활하게 커뮤니케이션을 즐길 수 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활성화됨에 따라, 상술된 서비스들에서는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다 흥미롭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을 제안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모티콘을 제공하는 기법이 있으며, 사용자들은 자신의 대화 중간 중간에 이모티콘을 삽입함으로써 대화 상에서의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를 표현할 수 있고 대화에 대한 상대방의 흥미를 끌 수 있으며 재미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모티콘은 각 서비스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나 많은 경우 사용자가 구매해야지만 이용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이모티콘 중에서는 그 이용의 유효기간이 설정되어 있어 이모티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모티콘을 원활하게 이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0-2009-0075397호에서는, 이모티콘에 매핑되어 있는 동작, 소리, 영상으로 사용자의 감정 표현을 충실히 표현할 수 있는 통신 메시지의 송수신 방법에 관해 기술할 뿐, 사용자로 하여금 이모티콘을 보다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 제안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가 제공되고 난 이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계정부,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변경조건정보 및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저장하는 이모티콘저장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가 제공되고 난 이후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액션 감지결과 및 상기 변경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방법으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이모티콘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미 보유한 자신의 이모티콘 이용 유효기간을 연장하거나 이모티콘의 적어도 일부를 변형할 수 있어, 이모티콘 보유에 대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에 대한 보상으로서 이모티콘의 이용 유효기간 연장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액션 수행에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이모티콘’은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사용자의 감정, 느낌, 또는 의사를 나타내기 위한 아이콘으로서, 이와 같은 이모티콘은, 텍스트, 이미지(정적 이미지 및 동적 이미지) 또는 동영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그룹으로써, 동일한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되는 이모티콘들 각각은 동일한 ‘세트정보’를 공유한다. 이때 ‘세트정보’는 이모티콘 세트의 식별정보,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되는 이모티콘의 개수 및/또는 종류, 이모티콘 세트의 이용 유효기간, 및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의 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정의한 용어 이외에 설명이 필요한 용어는 아래에서 각각 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위성 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 및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0) 및 서버(20)는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단말(10)은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로는 SNS, 블로그 또는 채팅 등의 온라인 서비스 또는 게임 서비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모티콘이 사용되는 서비스를 서버(20)가 제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버(20)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상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의 구매(유상 또는 무상의 구매 포함) 또는 판매(유상 또는 무상의 판매 포함)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는 사용자단말(10)로부터 이모티콘 구매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모티콘 판매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서버(20)는 사용자단말(10)로 이모티콘 세트의 변경된 세트정보를 전송함에 따라 변경된 세트정보가 사용자단말(10)의 이모티콘 세트에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0)은 서버(2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팅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채팅서비스의 경우, 서버(20)는 채팅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단말(1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여, 또 다른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채팅에 참여하는 사용자단말(10)로 하여금 채팅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처리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단말(10)에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 경우, 채팅의 입력 또는 표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각종 데이터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단말(10)은 기 저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채팅서비스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10)에 저장된 데이터는 서버(20)로부터 제공 받은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기록 매체를 통해 사용자단말(1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이모티콘 제공 시스템(10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사용자단말(10)(또는 서버(20))과 통신할 수 있는 서드파티서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드파티서버(30)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드파티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예로는 SNS, 블로그 또는 채팅 등의 온라인 서비스 또는 게임 서비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액션이 수행될 수 있는 서비스를 서드파티서버(30)가 제공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서드파티서버(30)는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액션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입력 등의 사용자의 행위를 의미하며, 사용자액션은 예를 들어, 서드파티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사용자단말(10)에 기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접속,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소정의 레벨 달성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소정 입력 수행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서드파티서버(30)는, 서드파티서버(30)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액션을 감지하면, 사용자단말(10) 내에 설치된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액션을 감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10)에 저장된 정보 일부를 변경하거나, 또는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버(20)와 통신가능하며 사용자단말(10) 상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제1애플리케이션이라 하며, 사용자단말(10) 상에 설치 가능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10) 상에 설치되되,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하며, 서드파티서버(30)와 통신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2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
아울러 이하에서는 서버(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채팅 서비스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따라서 제1애플리케이션은 채팅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모티콘이 제공되어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서비스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하에서는 서버(20)가 이모티콘 제공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저장하는 이모티콘저장부(210)를 포함한다.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를 저장하며, 상기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의 이용 유효기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 중에서 변경 가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의 이용 유효기간이 어느 범위 내에서 변경가능한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에 추가될 수 있는 이모티콘을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또는 상기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의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저장부(210)는 이모티콘 세트의 변경조건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즉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는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변경될 수 있는데 이때의 조건을 변경조건정보라 한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저장부(21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기설정된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면 만족된다고 판단되는 변경조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모티콘제공부(220)는, 사용자단말(10)에 설치된 제1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모티콘을 채팅 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하고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됨을 감지하는 감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감지부(230)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10) 상에, 제2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사용자액션으로서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이 사용자액션으로서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이후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을 사용자가 수행하는지를 사용자액션으로서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접속이 상기 사용자액션으로서 수행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이후 제2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에 따라 제2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에 사용자가 접속하는지를 사용자액션으로서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이 소정 횟수 이상 수행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접속이 소정 시간에 수행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난 이후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입력이 수행되는지를 사용자액션으로서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이 게임 애플리케이션이어서, 사용자가 게임 상에서 소정의 레벨 달성하는 것을 사용자액션으로서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감지부(230)는 제2애플리케이션이 온라인 쇼핑 애플리케이션이어서,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에 응모하는 것을 사용자액션으로서 모니터링하고 감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230)는 사용자액션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단말(10) 상에서 감지하고 상기 감지결과를 상기 사용자단말(10)로부터 전송 받음으로써 어떤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액션 수행이 완료되었음을 제2애플리케이션이 감지함에 따라 제2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전송받을 수 있고 그 결과 감지부(230)는 어떤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모티콘변경부(240)는 감지부(230)에 의해 소정의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모티콘변경부(240)는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이용 유효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변경부(240)는 한달 동안 이용이 가능했던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 중에서, 이용 유효기간을 추가로 한달 연장하도록 변경함으로써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이모티콘 세트의 이용 유효기간을 계속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모티콘변경부(240)는, 이모티콘 세트에 소정 개수의 이모티콘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모티콘변경부(240)는 5개의 이모티콘으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에, 추가로 3개의 이모티콘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이모티콘 세트를, 총 8개의 이모티콘으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모티콘 수집에 대한 사용자의 수집욕을 자극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액션 수행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이모티콘변경부(240)는 이모티콘 세트를 삭제하고, 상기 삭제된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다른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이미지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에, 상기 이모티콘 세트에 포함되는 이모티콘과 동일한 이미지를 일부로서 갖되 동적 이미지로 구성되는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가 대응되면, 이모티콘변경부(240)는 정적 이미지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를 삭제하고, 상기 정적 이미지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동적 이미지로 구성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이모티콘 세트를 받을 수 있어 의욕적으로 사용자액션 수행에 참여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때 이모티콘변경부(240)는, 사용자액션 감지결과 및 변경조건정보에 기초하여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이모티콘변경부(240)는 변경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액션이 수행되었는지를, 사용자액션 감지결과 및 변경조건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변경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액션이 있었다면 해당 변경조건에 대응되는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계정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계정부(240)는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을 사용자정보에 기초하여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사용자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단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계정부(240)는, 예를 들어,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에 대해,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계정부(240)는,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에 대해,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계정부(240)가 제1애플리케이션 및 제2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감지부(230)가 제2애플리케이션의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수신하였을 때, 제2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되는 제1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 변경 등을 이모티콘변경부(240)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이모티콘 제공 장치(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이모티콘 제공 장치(2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모티콘 제공 장치(20)와 네트워크(N)를 통해 통신가능한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통해 나타나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S310).
즉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0개로 구성되며, 이용 유효기간이 ‘이번달말까지’인 이모티콘 세트(410)를 사용자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모티콘 세트(410)에 포함되는 임의의 이모티콘을 자유롭게 사용함으로써 채팅 시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S320),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이 완료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S330).
예를 들어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사용자단말(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액션이 수행됨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결과를 전달받음으로써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이 수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의 수행을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이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서드파티서버(30)로부터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이모티콘 제공 장치(20)가 전달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이 수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사용자단말(10)로 제공되었던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로부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수신하면,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상기 사용자단말(10)에 기설치된 제1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되었던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애플리케이션의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수신하면,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매칭된 제1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고,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도 4의 이모티콘 세트(410)의 이용 유효기간을 변경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제공된 이모티콘 세트(510)가 무제한의 기간 동안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도 4의 이모티콘 세트(410)에 소정 개수의 이모티콘을 추가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모티콘 세트(610)를 확장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이모티콘 세트(410)에 새로운 이모티콘 5개를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총 15개의 이모티콘으로 구성되는 이모티콘 세트(610)를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모티콘 제공 장치(20)는 도 4의 이모티콘 세트(410)에 대응되는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710)를 제공하면서 상기 이모티콘 세트(410)를 삭제함에 따라,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이모티콘 세트(71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 이모티콘 제공 장치
210: 이모티콘저장부
220: 이모티콘제공부
230: 감지부
240: 이모티콘변경부
250: 사용자계정부

Claims (10)

  1.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가 제공되고 난 이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 상에 설치된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이 상기 사용자액션으로서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사용자단말 상에 설치된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접속이 상기 사용자액션으로서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변경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이용 유효기간을 연장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변경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모티콘 세트에 소정 개수의 이모티콘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모티콘변경부는 추가적으로,
    상기 이모티콘 세트를 삭제하고, 상기 이모티콘 세트에 대응되는 또 다른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7.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장치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정보에 매칭하여 저장하는 사용자계정부;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이모티콘제공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변경조건정보 및 상기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저장하는 이모티콘저장부;
    상기 이모티콘 세트가 제공되고 난 이후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액션 감지결과를, 상기 제2애플리케이션의 서드파티서버로부터 전달받는 감지부; 및
    상기 사용자액션 감지결과가 상기 변경조건정보를 만족하면 보상으로서 상기 세트정보를 변경하는 이모티콘변경부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장치.
  8. 채팅 서비스를 위한 이모티콘 제공 방법으로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로,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에서의 이용을 위한 이모티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애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제2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소정의 사용자액션이 수행되는지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액션의 수행 완료에 대한 보상으로서 상기 제공된 이모티콘 세트의 세트정보를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모티콘 제공 방법.
  9.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10. 이모티콘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 8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83545A 2015-12-22 2015-12-22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KR102442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45A KR102442521B1 (ko) 2015-12-22 2015-12-22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545A KR102442521B1 (ko) 2015-12-22 2015-12-22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73A KR20170074373A (ko) 2017-06-30
KR102442521B1 true KR102442521B1 (ko) 2022-09-08

Family

ID=5927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545A KR102442521B1 (ko) 2015-12-22 2015-12-22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530B1 (ko) * 2019-01-31 2021-01-28 주식회사 온투 커스터마이징 디자인 통합 서비스 플랫폼 장치 및 그 제공 방법
EP4293607A1 (en) * 2021-04-01 2023-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ticker on basis of content inpu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40B1 (ko) * 2015-02-24 2015-08-12 박기광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666A (ko) * 2003-12-05 2005-06-1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사용자 정의 이모티콘 사용 방법
KR101592178B1 (ko) * 2013-11-14 2016-02-05 신동현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 사용자 감정상태 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340B1 (ko) * 2015-02-24 2015-08-12 박기광 채팅 메시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373A (ko) 2017-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4723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xt-sensitive display overlays to a mobile device via a network
US1053642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lient, server,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9306888B2 (en) Filtering notifications from a third party application to a user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based on an action of the user
US10673804B2 (en) Suggesting a message to user to post on a social network based on prior posts directed to same topic in a different tense
US9681166B2 (en) Techniques for emotion detection and content delivery
US10298534B2 (en) Associating an indication of user emotional reaction with content items presented by a social networking system
US9442903B2 (en) Generating preview data for online content
US10445782B2 (en) Expanded tracking and advertising targeting of social networking users
US9628524B2 (en) Tagging posts within a media stream
US9779459B2 (en) Social in line consumer interaction launch pad
CA29220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r-assisted e-commerce shopping
CN110869908A (zh) 实况视频的交互式观看界面
KR102127601B1 (ko) 사용자를 소셜 데이터에 매칭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50262238A1 (en) Techniques for Topic Extraction Using Targeted Message Characteristics
JP6630463B2 (ja) クライアントデバイスによって得られたビデオデータをレンダリング中に1つまたは複数のエフェクトで拡張するための構成
US10108732B2 (en) Social wallet
JP2023098931A (ja) 撮像装置によって以前キャプチャされた動画データに基づく、撮像装置による動画データキャプチャの修正
KR102442521B1 (ko) 이모티콘 제공 장치 및 이모티콘 제공 방법
US9396503B2 (en) Social queue
JP6518814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配信方法、コンピュータ装置、広告表示方法及び広告表示プログラム
US20140278871A1 (en) Providing incentives to a user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based on an action of the user
US20180124464A1 (en) Experience-directed dynamic steganographic content switching
KR20220085417A (ko) 게임 제공 장치 및 게임 제공 방법
KR102560846B1 (ko) 게임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54065A (ko) 게임일기제공장치 및 게임일기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