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283B1 -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283B1
KR102442283B1 KR1020210065479A KR20210065479A KR102442283B1 KR 102442283 B1 KR102442283 B1 KR 102442283B1 KR 1020210065479 A KR1020210065479 A KR 1020210065479A KR 20210065479 A KR20210065479 A KR 20210065479A KR 102442283 B1 KR102442283 B1 KR 10244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value
data collection
block chain
ami
mo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용
김태훈
현무용
김수호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의 스마트 미터에 설치되며,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모뎀; 상기 모뎀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미터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하는 AMI서버;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상기 AMI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검증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Blockchain-based AMI device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그리드의 원격검침 인프라에 적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침 데이터는 요금을 부과하는 기초자료가 된다.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효율적인 에너지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전기사용량 검침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수집된 검침 데이터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에너지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컨설팅의 기본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고 공급자에게는 피크부하를 줄여 경제적인 에너지원을 구성할 수 있는 기본 정보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그 신뢰성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자동원격검침의 가구수가 적고 월사용량 데이터 수집을 위해 검침원이 현장 방문하여 대부분을 수집하고 있었으므로 검침데이터의 신뢰성 검증의 필요성은 크게 대두되지 않았다. 그러나 원격검침가구가 증가하고시간대별 요금제(Time of Usage; TOU)기반의 피크 요금제(Critical Peak Pricing; CPP) 혹은 실시감 요금제(Real Time Pricing; RTP)가격정책이 시행되게 되면 실시간 혹은 15분단위로 검침데이터를 수집하여야 하므로, 검침 데이터의 수와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검침데이터를 인력으로 검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동화된 검침 데이터 및 검침 기기의 신뢰성확보를 위한 기술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의 원격 검침 시스템에서는 기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 형식을 각각 고유의 방식으로 생성하였으나, 공격자가 AMI 서버에서 기기정보를 위변조하게 되면 검증이 불가하기 때문에 기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기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검침 데이터 및 검침 기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의 스마트 미터에 설치되며,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모뎀; 상기 모뎀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미터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하는 AMI서버;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상기 AMI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검증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모뎀은 상기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모뎀은 상기 제1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제1기기 정보는 상기 제1식별값, 모뎀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제2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2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제2기기 정보는 상기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 제조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르면, 모뎀이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장치가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 AMI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 검증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검증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의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상기 AMI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모뎀이 상기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기 정보는 상기 제1식별값, 모뎀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상기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기기 정보는 상기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 제조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은 검침 데이터 및 검침 기기의 악의적 위변조를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미터의 하드웨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악의적인 검침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를 통하여 발생하는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의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모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 및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검침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 시스템은 스마트 미터(10), 데이터 수집장치(20) 및 AMI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Data Concentrator Unit; DCU)(20)는 모뎀(11)을 통하여 그룹내의 스마트 미터(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0)는 스마트 미터(30)로부터 댁내의 가스 계량기, 수도계량기의 검침 데이터와 함께 전력량계의 검침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검침 데이터는 미터번호, 검침년원일, 검시시분, 데이터 수집장치 ID, 유효전력량, 진상 무효 전력량, 지상 무효 전력량, 피상 전력량, 누적 유효 전력량, 누적진상 무효 전력량, 누적지상 무효 전력량, 누적피상 전력량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0)는 전주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모뎀(11)을 통하여 스마트 미터(10)에 집속된 전기, 수도, 가스의 검침 데이터를 전력선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0)는 수집하고자 하는 검침 데이터에 해당하는 객체 식별 시스템 코드를 스마트 미터(10)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검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0)가 전송하는 객체 식별 시스템 코드는 계량기 또는 전력량계가 검침하는 매체의 종류, 계량기 또는 전력량계의 채널 번호, 검침 데이터의 물리량, 검침 데이터의 처리 방법, 검침 데이터의 물리적 분류 및 검침 데이터의 시간적 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대응하는 일련의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 장치(20)는 복수개의 스마트 미터(1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검침 데이터를 수집한 데이터 수집 장치(20)는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서버(30) 검침 스케쥴러의 주기적인 요청에 응답하여 인터넷망과 같은 광역전달망을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에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은 모뎀(11), 데이터 수집장치(20), AMI서버(30) 및 위치정보 검증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11)은 수용가의 스마트 미터에 설치되며,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모뎀(11)은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종의 방식으로 논리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전 접근권한 정보를 그 이전 접근권한 정보의 해시 값을 모아 해시한 값과, 새로운 접근권한을 주기위한 정보를 다시 해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기기들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하려는 내용의 위변조를 막기 위한 해시를 만들고, 그것과 같이 저장되면 제1블록체인이 생성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그리드 망을 구성하는 모뎀(11)들이 제1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노드(node)가 되며, 각각의 노드에는 스마트그리드 망에 접근 허가를 요청하는 기기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제1블록체인에는 스마트 그리드 망에 접근을 요청한 기기에 대해 사전 공유 및 접근 합의된 기기의 정보와 대조하여 접근 권한(가상화폐가 아닌 정의된 숫자 또는 문자)이 해당 기기에 있다고 가정하고, 블록체인의 저장 알고리즘을 통해 접근 권한이 저장될 수 있다.
블록 검증의 과정은 접근권한 승인의 최종 단계로 특정 노드에서 생성된 접근권한이 부여된 블록체인의 내용을 다른 노드에서 위변조 사실이 없고, 그 접근 권한을 부여해도 되는 장치에 대해서 저장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제1블록체인은 거래(transaction), 검증(proof of work) 및 보상(incentive)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데 특징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생긴 연속된 블록을 일컬어 블록체인으로 지칭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블록이 서로 연결된 것처럼, 이전 블록과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기기 정보는 제1식별값, 모뎀(11)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11)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고객 번호는 한국 전력에서 전기사용 계약단위별로 부여되는 10자리의 고유번호로, 고객 번호 조회 시 스마트 미터가 설치된 수용가 위치를 나타내는 번호를 의미할 수 있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모뎀(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면, 제1식별값은 고객 번호의 해시값과 매핑되어 생성된 고유번호로써,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식별값은 고객 번호 해시값, 제조업체 코드, 타입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식별값은 b5fb013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b5fb는 고객 번호 해시값이고. 01은 제조업체 코드이고, 34는S타입 3상4선식 40A를 의미할 수 있다.
고객 번호 해시값은 SHA256을 이용하여 고객번호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를 CRC-16을 이용하여 2중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모뎀(11)은 제1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제1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모뎀(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모뎀(11)은 다른 모뎀(11)에 제1기기 정보를 전송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기기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에 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화된 내역은 모든 노드가 검증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합의하여 블록을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노드는 특정 그룹내의 모뎀(11)을 의미할 수 있다. 특정 그룹은 지역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거래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됨으로써 제1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뎀(11)은 다른 모뎀(11)으로부터 수신한 제1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뎀(11)은 특정 시점에서의 제1기기 정보를 하나의 블록 데이터로 취합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모뎀(11)은 사전에 설정된 hashcash문제에 따라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모뎀(11)은 그룹내 모뎀(11)의 제1기기 정보를 수집한 후 이에 hashcash문제를 적용하고, hashcash문제가 해결된 경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생성 시기는 hashcash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독립적이며, 블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hashcash문제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 블록을 생성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타 모뎀(11)에서 블록을 먼저 생성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hashcash문제의 난이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룹내 모뎀(11) 중 블록을 가장 먼저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블록을 타 모뎀(11)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모뎀(11)은 블록을 생성하는 중 타 모뎀(11)으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블록 생성을 중단하고, 타 모뎀(11) 블록에 대한 검증 결과를 기다린다. 모뎀(11)은 타 모뎀(11)의 블록이 검증된 경우에는 생성 중이던 블록을 폐기하고, 검증된 타 모뎀(11)의 블록을 이용하여 제1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뎀(11)은 그룹내 타 모뎀(11)에서 생성한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모뎀(11)은 그룹내 타 모뎀(11)의 제1기기정보와, 그룹내 타 모뎀(11)에서 생성한 블록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모뎀(11)은 그룹내 타 모뎀(11)의 제1기기 정보와, 그룹내 타 모뎀(11)에서 생성한 블록을 비교하여 각 제1기기 정보와 블록에 포함된 제1기기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모뎀(11)은 비교 결과를 데이터 수집장치(20)에 전송하고, 그룹내 모뎀(11)의 비교 결과를 취합하여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모뎀(11)은 그룹내 모뎀(11)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다고 결론 내려진 개수를 파악하고, 그 개수가 그룹내 모뎀(11)의 적어도 5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모뎀(11)은 검증된 블록을 이전 제1블록 체인에 연계하여 제1블록 체인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모뎀(11)은 블록을 생성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취합하여 제1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뎀(11)은 제1블록 체인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블록을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스템상에서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모뎀(11)으로부터 스마트 미터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종의 방식으로 논리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전 접근권한 정보를 그 이전 접근권한 정보의 해시 값을 모아 해시한 값과, 새로운 접근권한을 주기위한 정보를 다시 해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스마트 그리드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들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하려는 내용의 위변조를 막기 위한 해시를 만들고, 그것과 같이 저장되면 제2블록체인이 생성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마트 그리드 망을 구성하는 모뎀(11)들이 제1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노드(node)가 되며, 각각의 노드에는 스마트그리드 망에 접근 허가를 요청하는 기기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제2블록체인에는 스마트 그리드 망에 접근을 요청한 기기에 대해 사전 공유 및 접근 합의된 기기의 정보와 대조하여 접근 권한(가상화폐가 아닌 정의된 숫자 또는 문자)이 해당 기기에 있다고 가정하고, 블록체인의 저장 알고리즘을 통해 접근 권한이 저장될 수 있다.
블록 검증의 과정은 접근권한 승인의 최종 단계로 특정 노드에서 생성된 접근권한이 부여된 블록체인의 내용을 다른 노드에서 위변조 사실이 없고, 그 접근 권한을 부여해도 되는 장치에 대해서 저장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제2블록체인은 거래(transaction), 검증(proof of work) 및 보상(incentive)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데 특징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생긴 연속된 블록을 일컬어 블록체인으로 지칭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블록이 서로 연결된 것처럼, 이전 블록과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기기 정보는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20)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20) 제조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산화 번호는 한국 전력에서 지리 정보 시스템(GIS) 도면으로 관리하기 위해 부여하는 8자리 고유 번호로, 위도와 경도를 포함한 지리정보 데이터와 선로명칭, 그리고 그 선로상에서 전신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2식별값은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과 매핑되어 생성된 고유번호로써,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노드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식별값은 전산화 번호 해시값, 사업차수, 통신방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식별값은 bf99124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bf99는 전산화 번호 해시값이고. 12는 사업차수이고, 4는통신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전산화 번호 해시값은 SHA256을 이용하여 전산화 번호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결과를 CRC-16을 이용하여 2중 암호화하여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제2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제2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을 참조하면,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다른 데이터 수집장치(20)에 제2기기 정보를 전송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2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기기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에 동기화될 수 있다. 동기화된 내역은 모든 노드가 검증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 합의하여 블록을 완성할 수 있다. 이 때, 제2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하여 참여하는 노드는 특정 그룹내의 데이터 수집장치(20)를 의미할 수 있다. 특정 그룹은 지역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거래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됨으로써 제2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다른 데이터 수집장치(20)로부터 수신한 제2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특정 시점에서의 제2기기 정보를 하나의 블록 데이터로 취합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사전에 설정된 hashcash문제에 따라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그룹내 데이터 수집장치(20)의 제2기기 정보를 수집한 후 이에 hashcash문제를 적용하고, hashcash문제가 해결된 경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 생성 시기는 hashcash문제의 난이도에 따라 독립적이며, 블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즉, hashcash문제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 블록을 생성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에서 블록을 먼저 생성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hashcash문제의 난이도가 낮은 경우에는 그룹내 데이터 수집장치(20) 중 블록을 가장 먼저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블록을 타 데이터 수집장치(2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블록을 생성하는 중 타 데이터 수집장치(20)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블록 생성을 중단하고, 타 데이터 수집장치(20) 블록에 대한 검증 결과를 기다린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블록이 검증된 경우에는 생성 중이던 블록을 폐기하고, 검증된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블록을 이용하여 제2블록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그룹내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에서 생성한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그룹내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의 제2기기정보와, 그룹내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에서 생성한 블록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그룹내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의 제2기기 정보와, 그룹내 타 데이터 수집장치(20)에서 생성한 블록을 비교하여 각 제2기기 정보와 블록에 포함된 제2기기 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비교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비교 결과를 AMI서버(30)에 전송하고, 그룹내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비교 결과를 취합하여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그룹내 데이터 수집장치(20)의 비교 결과가 일치하다고 결론 내려진 개수를 파악하고, 그 개수가 그룹내 데이터 수집장치(20)의 적어도 50%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록을 검증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장치(20)는 검증된 블록을 이전 제2블록 체인에 연계하여 제2블록 체인을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블록을 생성 시점에 따라 순차적으로 취합하여 제2블록 체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제2블록 체인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블록을 삭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시스템상에서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AMI서버(30)는 데이터 수집장치(2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데이터 수집장치(20) 및 AMI서버(30)로부터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을 수신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AMI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모뎀(11)으로부터 수집한 제1기기 정보 및 스스로 생성한 제2기기 정보를 AMI 서버와 위치정보 검증서버(40)로 송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데이터 수집장치(20)가 보낸 데이터 중에서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을 추출하여 운영자에게 저장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운영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 승인 요청된 데이터를 검증 및 확인 후 AMI서버(30) 내 저장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운영자의 저장 승인에 따라, AMI 서버에 제1기기 정보 및 제2기기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저장된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은 운영자의 입력을 통하여 저장되는 정보이므로 신뢰할 수 있는 불가변 데이터이다.
이후, 데이터 집중장치가 위치정보 검증서버(40)로 송신하는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은 기기가 실시간으로 보내온 데이터이므로 위변조 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AMI 서버와 데이터 집중창치에서 전송한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AMI 서버에서 관리하는 불가변 데이터를 위치정보 검증서버(40)에 저장을 최종 승인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AMI 서버와 데이터 집중장치에서 보낸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을 지속적으로 비교하여 공격자의 데이터 위변조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운영자가 승인한 기기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위치정보 검증서버(40)는 운영자에게 이상 판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7를 참조하면, 먼저 모뎀은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 때, 모뎀은 제1식별값, 모뎀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 형식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할 수 있다(S701).
다음으로, 모뎀은 제1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S702).
한편, 데이터 수집장치는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집장치는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 제조번호를 포함하는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할 수 있다(S703).
다음으로, 데이터 수집장치는 제2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S704).
다음으로, AMI서버는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할 수 있다(S705~707).
다음으로, 위치정보 검증서버는 데이터 수집장치 및 AMI서버로부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할 수 있다(S708~709).
다음으로, 위치정보 검증서버는 데이터 수집장치 및 AMI서버로부터 수신한 제1식별값 및 제2식별값의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AMI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710).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은 AMI 기기의 위치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의 해시를 기기가 설치된 전력설비의 위치정보와 매핑하고, 이를 위치정보 검증서버에서 검증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인증을 통하여 기기간 공유되는 기기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여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검증서버에서 수집되는 기기 정보를 비교하고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이상 판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전송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스마트 미터
11: 모뎀
20: 데이터 수집장치
30: AMI서버
40: 위치정보 검증서버

Claims (13)

  1. 수용가의 스마트 미터에 설치되며,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모뎀;
    상기 모뎀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미터의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하는 AMI서버; 및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상기 AMI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검증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뎀은 상기 제1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 정보는 상기 제1식별값, 모뎀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 형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는 상기 제2블록체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2기기 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 정보는 상기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 제조번호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8. 모뎀이 고객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
    데이터 수집장치가 전산화 번호의 해시값을 포함하는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
    AMI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식별값을 포함하는 제1기기 정보 및 상기 제2식별값을 포함하는 제2기기정보를 검증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위치정보 검증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 검증서버가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 및 상기 AMI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식별값 및 상기 제2식별값의 일치 여부에 따른 비교 결과를 상기 AMI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모뎀이 상기 제1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1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 정보는 상기 제1식별값, 모뎀 MAC주소, 전력량계 아이디 및 모뎀 형식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별값을 생성하여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가 상기 제2기기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기기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합의된 블록으로 구성되는 제2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 정보는 상기 제2식별값, 데이터 수집장치 아이피 및 데이터 수집장치 제조번호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65479A 2021-05-21 2021-05-21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KR10244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79A KR102442283B1 (ko) 2021-05-21 2021-05-21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79A KR102442283B1 (ko) 2021-05-21 2021-05-21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283B1 true KR102442283B1 (ko) 2022-09-13

Family

ID=8328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79A KR102442283B1 (ko) 2021-05-21 2021-05-21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2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261B1 (ko) * 2017-06-09 2018-04-23 씨토 주식회사 사설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 중앙집중형 원격검침 보안시스템
KR20180072325A (ko) * 2016-12-21 2018-06-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및 원격 검침 시스템
KR102054256B1 (ko) *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325A (ko) * 2016-12-21 2018-06-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스마트 미터 및 원격 검침 시스템
KR101851261B1 (ko) * 2017-06-09 2018-04-23 씨토 주식회사 사설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 중앙집중형 원격검침 보안시스템
KR102054256B1 (ko) *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pa et al. Survey on blockchain for future smart grids: Technical aspects, applications, integration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Miglani et al. Blockchain for Internet of Energy management: Review, solutions, and challenges
CN111914269B (zh) 一种区块链和云存储环境下的数据安全共享方法和系统
CN109450638B (zh) 基于区块链的电子元器件数据管理系统及方法
CN107909358B (zh) 能源的结算方法、装置和系统
US11748825B2 (en) Operating smart sensors using distributed ledgers
US11676122B2 (en) Operating smart sensors using distributed ledgers
US11682086B2 (en) Operating smart sensors using distributed ledgers
CN11082702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采集交易系统和方法
EP3651112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the same
CN104506487B (zh) 云环境下隐私策略的可信执行方法
Long et al. Depet: A decentralized privacy-preserving energy trading scheme for vehicular energy network via blockchain and k-anonymity
CN111383021A (zh) 基于区块链网络的节点管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8876538B (zh) 一种订单信息处理方法
CN111144882B (zh) 处理数据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KR20220109099A (ko) 블록체인 기반으로 데이터 기밀성과 무결성을 강화한 전력 중개 방법 및 전력 중개 시스템
CN115115458B (zh) 一种基于区块链的近零碳排放园区的能源交易系统及方法
Yahaya et al. A Secure and Efficient Energy Trading Model Using Blockchain for a 5G‐Deployed Smart Community
CN111489164A (zh) 基于物联网标识和区块链的电力交易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WO2020122039A1 (ja) 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66024A (ko) 공개키 기반의 키 공유 메커니즘을 이용한 보안 키 설정 방법
Otoum et al. Enabling trustworthiness in sustainable energy infrastructure through blockchain and AI-assisted solutions
KR10244228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ami기기 검증 시스템 및 방법
Edmonds et al. Blockchain-enabled transactive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s in distribution networks
CN110619023A (zh) 结合区块链的物联网的水源检测数据上链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