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233B1 -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 Google Patents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233B1
KR102442233B1 KR1020200156131A KR20200156131A KR102442233B1 KR 102442233 B1 KR102442233 B1 KR 102442233B1 KR 1020200156131 A KR1020200156131 A KR 1020200156131A KR 20200156131 A KR20200156131 A KR 20200156131A KR 102442233 B1 KR102442233 B1 KR 10244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balls
gunpowder
excavation
bl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710A (ko
Inventor
이봉철
김선태
김홍영
송명규
신영진
정재훈
정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
이봉철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 이봉철, 김선태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5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00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0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 E21D9/1006Making by using boring or cutting machines with rotary cutt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6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making use of blast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1/00Blasting methods or apparatus, e.g. loading or tamping
    • F42D1/08Tamping methods; Methods for loading boreholes with explosives;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42D5/04Rendering explosive charges harmless, e.g. destroying ammunition; Rendering detonation of explosive charges harmless
    • F42D5/045Detonation-wave absorbing or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rilling And Exploitation, And Mining Machines And Methods (AREA)

Abstract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반의 막장면을 취약화하는 취약화 단계; 및 취약화된 상기 막장면을 기계굴착하는 기계굴착 단계를 포함하는,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Tunnel excavation method including mechanical excavation preceded by rock fragility}
본 발명은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에서의 암반굴착 방법은 크게 발파굴착과 기계굴착으로 구분된다. 기존에는 대부분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발파굴착을 적용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쾌적한 환경에 대한 사회적 욕구 증가와 발파작업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으로 인해 환경성 및 안전성이 우수한 TBM이나 로드헤더 등을 이용한 기계굴착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계굴착은 암반의 강도가 큰 경암 이상의 지반조건에서는 굴착능률이 저하되어 커팅헤드부의 비트 등 소모자재의 교체가 잦고, 순가동율의 감소에 따라 굴착공기가 지연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한 터널굴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반의 막장면을 취약화하는 취약화 단계; 및 취약화된 상기 막장면을 기계굴착하는 기계굴착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취약화 단계는, 상기 막장면에 장약공들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장약공들에 각각 화약을 설치하는 화약 설치 단계; 및 상기 화약을 폭발시켜 발파하는 발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약공들은, 상기 각 장약공의 발파 시, 상기 각 장약공에 대한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의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상기 각 장약공에 대한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의 파쇄권과 겹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천공 단계에서, 상기 막장면의 심발영역에 다수의 무장약공과 다수의 심발영역 장약공이 형성되고, 상기 막장면의 심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 상기 다수의 장약공이 형성되고, 상기 무장약공들은 상기 심발영역의 중심부에 상호 인접하여 다발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무장약공들과, 상기 심발영역 장약공들과, 상기 장약공들은 동일한 천공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화약 설치 단계에서, 상기 장약공들 외에 상기 심발영역 장약공들에도 화약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화약은 미진동화약일 수 있다.
상기 장약공들은, 상기 막장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굴착을 주된 굴착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파쇄를 목적으로 하는 통상적인 발파굴착에 비해 소음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다.
그리고 기계굴착 전 막장면의 취약화가 선행되기 때문에 경암 이상의 지반조건에서도 기계굴착 능률이 향상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기계굴착 장비를 사용하여 기계굴착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경제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막장면이 취약화될 정도로만 발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쇄를 목적으로 하는 통상적인 발파굴착에 비해, 소음 및 진동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며, 장약공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천공 작업 공수가 현저히 저감되며, 암반 손상이 억제되어 장기적인 터널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천공된 막장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공에 대한 발파 시 장약공을 중심으로 발파의 영향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장약공 사이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천공된 막장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은 취약화 단계(S100)와 기계굴착 단계를(S200) 포함한다. 이러한 터널굴착방법은 암반의 막장면을 미리 취약화시킨 후 기계굴착을 수행하기 때문에 암반의 강도가 큰 지반조건에서는 굴착능률이 향상되고, 커팅헤드부의 비트 등 소모자재의 교체가 감소하고, 순가동율의 증가하여 굴착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취약화 단계(S100)>
본 실시예에서 기계굴착 전 암반의 막장면을 취약화한다(S100). 본 실시예에서 막장면의 취약화란 막장면을 기계굴착하기 용이한 상태로 약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표현하면 막장면의 취약화란 기계굴착이 용이하도록 막장면에 균열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취약화 단계(S100)는 천공 단계(S110)와, 화약 설치 단계(S130)와, 발파 단계(S150)를 포함한다.
천공 단계(S110)
도 2는 천공된 막장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천공 장비(미도시)로 막장면(10)에 장약공들(110)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천공 장비는 점보 드릴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천공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장약공들(11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컨대, 장약공들(110)의 배열은 도 2와 같이 막장면(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약공들(110)은, 각 장약공(110)에 대한 발파 시,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과 겹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장약공들(110)에 화약을 설치하여 발파할 때 막장면(10)이 취약화를 넘어 분쇄되거나 파쇄되면 화약의 폭발력이 과도하다고 볼 수 있고, 이는 통상적인 발파굴착과 다를 바 없다. 이 경우, 과도한 소음이 발생하여 환경성을 저해하고, 민원이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장약공들(110)에 화약을 설치하여 발파할 때 막장면(10)의 취약화가 충분하지 않으면 화약의 폭발력이 부족하다 볼 수 있어 소음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충분히 취약화되지 않은 막장면(10)에 대한 기계굴착은 여전히 어려워진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약공에 대한 발파 시 장약공을 중심으로 발파의 영향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약공(110)에 화약을 설치하고 발파하는 경우,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압축권과, 분쇄권과, 파쇄권과, 균열권과, 진동권이 형성된다. 여기서 압축권과 분쇄권과 파쇄권은 암석이 적어도 파쇄되는 부분이고, 균열권은 파쇄에는 이르지 않고 균열만이 생기는 부분이고, 진동권은 균열없이 진동만이 전달되는 부분이다.
발파의 영향권 즉, 압축권과 분쇄권과 파쇄권과 균열권의 크기는 화약의 종류, 화약의 양, 암석의 강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실험적, 경험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다음 식(1)과 같은 발파진동추정식을 이용하여 발파의 영향권을 산출하였다.
V = K*(D/W1/2)-1.6 --------------------------식(1)
여기서, V는 진동속도(cm/s), K는 발파상수, D는 폭발중심으로부터 거리(cm), W는 화약의 양(kg)이다.
이때, K는 110 이상 130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K는 115 이상 125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K는 120이다.
이때, W는 0.1kg 이상 0.5kg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W는 0.12kg 이상 0.48kg 이하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W는 0.3kg일 수 있다.
식(1)의 진동속도 V와 관련하여, 굴착 대상 암반에 대한 실험 또는 수치해석을 통해 균열이 발생되는 제 1 진동 속도(V1)와 파쇄가 발생되는 제 2 진동 속도(V2)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제 1 진동 속도(V1)과 특정된 K 및 W를 식(1)에 대입하면, 굴착 대상 암반에 대해 제 1 진동 속도(V1)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거리(D1)가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 2 진동 속도(V2)를 특정된 K 및 W를 식(1)에 대입하면, 굴착 대상 암반에 대해 제 2 진동 속도(V2)에서 파쇄가 발생되는 거리(D2)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파의 영향권을 산출하는 경험식으로 예컨대, 스웨덴 폭발연구재단의 경험식 등 다양한 경험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장약공 사이의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장약공들(110)은 각 장약공(110)에 대한 발파 시,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과 겹치지 않도록 이격된다.
만약, 이웃하는 장약공들(110)의 파쇄권들이 일부라도 겹치는 경우 겹치는 부분에서 과도한 파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사용된 화약의 폭발력이 과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장약공들(110)의 균열권들이 일부라도 겹치지 않는 경우 장약공들(110) 사이 영역에 균열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사용된 화약의 폭발력이 빈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장약공들(110) 사이의 간격(d)은 각 장약공(110)에 대한 발파 시,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과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발파를 위한 화약의 폭발력을 최소화하면서 기계굴착을 위한 막장면(10)의 취약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파 시 발생하는 소음이 최소화되고 기계굴착이 쉬워진다.
도 6은 천공된 막장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천공 장비(미도시)로 막장면(10)의 심발영역에 무장약공들(130)과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을 형성하고, 막장면(10)의 심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장약공들(110)을 형성한다. 심발영역은 막장면(10)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무장약공(130)에는 발파를 위한 화약이 설치되지 않는다.
천공 장비는 점보 드릴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천공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무장약공들(130)은 심발영역의 중심부에 상호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무장약공들(130)은 막장면(10)의 중심(C)에 위치하는 하나의 무장약공(130)을 중심으로 나머지 무장약공들(130)이 둘러싸는 다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무장약공 다발 구조의 윤곽선에 대응하는 하나의 대직경 무장약공(미도시)이 형성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무장약공 다발 구조는 그 윤곽선에 대응하는 대직경 무장약공이 제 2 자유면을 제공하는 효과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제 1 자유면은 막장면(10)이다.
이러한 다발구조의 무장약공들(130)은 심발영역 장약공들(140)과 장약공들(110)에 대한 발파 시 막장 영역의 취약화를 촉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무장약공들(130)과, 심발영역 장약공들(140)과, 장약공들(110)은 동일한 천공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 하나의 대직경 무장약공을 형성하기 위해 심발영역 장약공(140) 및 장약공(110)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천공 장비와 별개의 천공 장비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공기가 단축되고 경제적이다.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은 무장약공들(130)의 주변에 위치한다.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의 배열은 도 6과 같이 사각형 점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장약공들(110)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예컨대, 장약공들(110)의 배열은 막장면(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장약공들(110)은, 각 장약공(110)에 대한 발파 시,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을 중심으로 하는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각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110)을 중심으로 하는 파쇄권과 겹치지 않도록 이격되어 배치된다.
화약 설치 단계(S130)
도 2,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장약공들(110)과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에는 각각 화약이 설치된다.
일례로, 심발영역 장약공들(140)과 장약공들(110)에 설치되는 화약은 소위 미진동화약이 사용될 수 있다. 미진동화약은 발파굴착공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에멀젼폭약에 비해 폭속이 작은 폭속을 가져 저진동을 유발한다. 예컨대, 미진동화약은 에멀젼폭약의 55~65% 수준의 폭속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진동화약은 에멀젼폭약의 57.5~62.5% 수준의 폭속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미진동화약은 에멀젼폭약의 60% 수준의 폭속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미진동화약을 사용하여 발파하는 경우,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심발영역 장약공들(140)과 장약공들(110)에 설치되는 화약은 통상적인 에멀젼폭약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화약의 양을 조절하여 저소음, 저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발파 단계(S150)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장약공들(110)에 설치된 화약을 폭발시켜 발파한다.
이때, 장약공들(110)은 시간차를 두고 폭발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약공들(110)이 동시에 폭발되는 경우에 비해 폭발음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
일례로, 장약공들(110)은 막장면(10)의 중심(C)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폭발될 수 있다. 이 경우, 폭발에 의한 취약화 영역은 막장면(10)의 중심(C)에서 점진적으로 확장되어갈 수 있다.
다른 예로, 막장면(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장약공들(110)의 동심원 배열들은 막장면(10)의 중심(C)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폭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장약공들(110)의 동심원 배열은 네 개이고, 네 개의 동심원 배열 중 막장면(10)의 중심(C)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폭발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동심원 배열에 위치하는 장약공들(110)은 동시에 폭발될 수 있다.
이 경우, 폭발에 의한 취약화 영역이 막장면(10)의 중심(C)에 대해 동심원 구조를 이루며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장약공들(110)의 동심원 배열들 중 막장면(10)의 중심(C)을 중심으로 홀수번째 동심원 배열과 짝수번째 동심원 배열은 시간차를 두고 폭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장약공들(110)의 동심원 배열은 네 개이고, 네 개의 동심원 배열 중 막장면(10)의 중심(C)에서 첫번째 동심원 배열과 세번째 동심원 배열이 먼저 폭발되고, 두번째 동심원 배열과 네번째 동심원 배열이 나중에 폭발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중에 폭발되는 동심원 배열군(ex. 두번째 동심원 배열과 네번째 동심원 배열을 포함)은 먼저 폭발되는 동심원 배열군(ex. 첫번째 동심원 배열과 세번째 동심원 배열을 포함)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먼저 폭발한 동심원 배열군에 의해 동심원 구조로 취약화된 취약화 영역 사이에 나중에 폭발되는 동심원 배열군이 위치한 상태에서, 나중에 폭발되는 동심원 배열군의 폭발하게 된다. 이 경우, 나중에 폭발되는 동심원 배열군의 폭발로 발생되는 취약화가 용이해진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심발영역 장약공들(140)과 장약공들(110)에 설치된 화약을 폭발시켜 발파한다.
이때, 심발영역 장약공들(140)을 먼저 폭발시켜 심발영역을 파쇄하거나 적어도 취약화시킨다. 심발영역을 파쇄하거나 취약화시키면, 심발영역을 제외한 막장면(1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취약화가 수월해진다.
심발영역을 취약화시킨 후 장약공들(110)을 폭발시킨다.
장약공들(110)은 시간차를 두고 폭발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2 및 도 3을 인용하며 언급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발파로 인해 막장면(10)은 기계굴착하기 용이한 상태로 취약화된다.
<기계굴착 단계(S200)>
기계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취약화된 막장면(10)을 기계굴착한다.
예를 들어, 기계굴착 장비는 터널 보링 머신 (Tunnel Boring Machine), 브레이커, 진동리퍼 또는 로드 헤더 등 공지된 장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은, 기계굴착을 주된 굴착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파쇄를 목적으로 하는 통상적인 발파굴착에 비해 소음 및 진동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은 기계굴착 전 막장면의 취약화가 선행되기 때문에 경암 이상의 지반조건에서도 기계굴착 능률이 향상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기계굴착 장비를 사용하여 기계굴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굴착방법은 막장면이 취약화될 정도로 발파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쇄를 목적으로 하는 통상적인 발파굴착에 비해, 소음 및 진동이 적어 환경친화적이며, 장약공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천공 작업 공수가 현저히 저감되며, 암반 손상이 억제되어 장기적인 터널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막장면 110 : 장약공
130 : 무장약공 140 : 심발영역 장약공

Claims (5)

  1. 암반의 막장면을 취약화하는 취약화 단계; 및
    취약화된 상기 막장면을 기계굴착하는 기계굴착 단계를 포함하는,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고,
    상기 취약화 단계는,
    상기 막장면에 장약공들을 천공하는 천공 단계;
    상기 장약공들에 각각 화약을 설치하는 화약 설치 단계; 및
    상기 화약을 폭발시켜 발파하는 발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장약공들은,
    상기 각 장약공의 발파 시, 상기 각 장약공에 대한 균열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의 균열권과 일부 겹치되, 상기 각 장약공에 대한 파쇄권이 이웃하는 다른 장약공의 파쇄권과 겹치지 않도록 이격되고,
    상기 천공 단계에서,
    상기 막장면의 심발영역에는 상기 막장면의 중심에 위치하는 하나의 무장약공을 중심으로 상기 하나의 무장약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무장약공들이 둘러싸는 원형 다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무장약공 다발 구조의 윤곽선에 대응되는 하나의 대직경 무장약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원형 다발 구조의 무장약공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나의 무장약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다수의 심발영역 장약공이 형성되며,
    상기 막장면의 심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 상기 다수의 장약공이 형성되되, 상기 다수의 장약공은 상기 막장면의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다수 개의 동심원 구조를 갖도록 배열되고,
    상기 화약 설치 단계에서,
    상기 막장면의 심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 형성된 장약공들 외에 상기 심발영역 장약공들에도 미진동 화약을 설치하고,
    상기 발파 단계에서,
    상기 심발영역 장약공들을 먼저 폭발시켜 심발영역을 파쇄 또는 취약화시킨 후, 상기 심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영역에 형성된 장약공을 폭발시키는,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6131A 2020-07-14 2020-11-20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KR10244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6131A KR102442233B1 (ko) 2020-07-14 2020-11-20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808 2020-07-14
KR1020200156131A KR102442233B1 (ko) 2020-07-14 2020-11-20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808 Division 2020-07-14 2020-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10A KR20220008710A (ko) 2022-01-21
KR102442233B1 true KR102442233B1 (ko) 2022-09-15

Family

ID=8005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6131A KR102442233B1 (ko) 2020-07-14 2020-11-20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2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888A (ko) * 2017-07-26 2019-02-08 박진 사전취약화 단계를 포함하여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킨 터널 굴착 방법
KR102091928B1 (ko) * 2017-12-28 2020-03-20 백종현 선 대구경 분할복합굴착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710A (ko) 202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5451B (zh) 一种隧道减震孔控制爆破的施工方法
CN113383206B (zh) 利用在炮孔装药的射流单元的爆破方法
CN103615941B (zh) 现代化铁路隧道浅埋段爆破方法
KR101551905B1 (ko) 대구경과 소구경의 장약공을 이용한 터널 발파 패턴 및 터널 발파 방법
CN108007285A (zh) 一种岩石巷道深孔分阶分段高效掏槽爆破方法
CN102401616A (zh) 立井爆破掘进方法
CN106767205B (zh) 繁华市区地铁车区间隧道微振综合控制爆破方法
CN103557758B (zh) 隧道爆破中扩挖区孔内外联合延时分区微差起爆网络
JP2018193678A (ja) トンネル掘削方法
CN109281672A (zh) 一种硬岩隧道开挖方法
KR101000570B1 (ko) 심발공 이중장약과 분산장약을 이용한 터널 고속굴착공법
CN105423832A (zh) 一种厚壁砖烟囱定向窗的爆破施工方法
CN111102892B (zh) 一种适用于深埋隧洞爆破开挖的楔形掏槽炮孔布置方法
CN103557756B (zh) 隧道爆破中超前导洞逐孔延时起爆网络
KR100682049B1 (ko) 소간격공과 대간격공을 이용한 진동제어 노천발파방법
KR102442233B1 (ko) 암반 취약화가 선행된 기계굴착을 포함하는 터널굴착방법
RU2554359C1 (ru) Способ разрушения замороженных грунтов при буровзрывной проходке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CN109405688A (zh) 临近既有营运隧道的爆破施工方法
CN108195242B (zh) 一种岩石爆破方法
KR100852960B1 (ko) 수퍼홀 피라미드형 노치균열 컷을 이용한 터널의 심발공부영역 형성방법
KR100885925B1 (ko) 대단면 원통형 구조물인 사일로의 발파해체 방법
CN112964143B (zh) 一种中空孔直眼掏槽三次爆破方法
CN110030889A (zh) 一种深孔分区三角网掏槽一次爆破成井的方法
KR19980068315A (ko) 2자유면에서의 2분위 소발파공법
CN209672960U (zh) 临近既有营运隧道的爆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