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463B1 -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 Google Patents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463B1
KR102441463B1 KR1020200113526A KR20200113526A KR102441463B1 KR 102441463 B1 KR102441463 B1 KR 102441463B1 KR 1020200113526 A KR1020200113526 A KR 1020200113526A KR 20200113526 A KR20200113526 A KR 20200113526A KR 102441463 B1 KR102441463 B1 KR 10244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scope
shelf
storage
storage cabinet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138A (ko
Inventor
김용모
Original Assignee
(주)오선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선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오선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0011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4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75Flat or flat-like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Drawers with castors, rollers or wheels, supported directly on a surface below, e.g. on a floor, shelf or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경 등의 광학기기를 수납, 보관하도록 하는 다기능의 보관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경 보관장의 선반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현미경 보관장에서 현미경을 꺼내고 수납하는 과정과 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유선과 무선의 충전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보관하면서 충전 기능을 실시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미경 보관장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도 별도로 구비된 차단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현미경의 외부 공기의 일차적 접촉을 차단하고 먼지 및 이물질 등의 오염물을 여과시킬 수 있으며, 현미경 보관장의 하단에 진동 흡수패드를 형성하여,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한 현미경의 손상이나 고장 및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현미경을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 Multi-function cabinet for microscope }
본 발명은 현미경을 수납, 보관하도록 한 다기능의 보관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미경의 수납을 편리하도록 하고 충전시키도록 유무선 충전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현미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미경을 꺼내고 수납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도록 하고, 보관하는 현미경의 충전을 통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은 육안으로는 관찰하기 어려운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미세한 구조를 확대시켜 세부적으로 관찰하는데 필수적인 광학 기기로서, 각종 실험기관이나 연구기관 및 학교에서 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미경은 확대되는 배율과 화질의 선명도 등이 나날이 발전하게 되었으며, 현미경으로 확대된 화상을 별도의 디스플레이에서 관찰하고 이미지를 보관, 저장하는 기술도 점차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현미경을 사용하는 다양한 분야의 실험기관 및 연구기관,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하는 학교 등에서는 다수 개의 현미경을 구비하였고, 대부분 고가의 현미경을 개별 보관, 또는 별도의 보관장에 넣어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미경을 수납하여 보관하도록 한 보관장에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0788호의 발명의 명칭 ‘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광학기기가 보관되는 공간에 골고루 더운 바람을 공급하고 필터를 통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유해물질, 냄새 등이 여과되며 일정 시간에 걸쳐 광학기기가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광학기기에 잔존하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 세균 번식이 방지되고 살균이 가능하며 광학기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기기 살균보관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2530호의 발명의 명칭 ‘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은, 광학기기가 보관되는 공간에 골고루 더운 바람을 공급하고 필터를 통해 순환 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유해물질, 냄새 등이 여과되며 일정 시간에 걸쳐 광학기기가 자외선에 노출되므로, 광학기기에 잔존하는 수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 세균 번식이 방지되고 살균이 가능하며 광학기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기기 살균보관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현미경 등의 광학기기를 수납, 보관하도록 한 보관장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충전이 필요한 현미경의 유선 및 무선 충전수단이 미비하기 때문에, 현미경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노출되었으며,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현미경 보관장의 외부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고 여과시키는 수단이 전무하여, 현미경에 먼지 및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현미경 보관장은 살균 및 탈취 기능이 구비되고 이러한 기능을 강조하였으나, 점차 발전되는 현미경의 성능과 구조에 따른 보관장의 다기능적인 개선과 연구가 미흡한 단점이 고스란히 노출되고 있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현미경 보관장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미경 보관장의 선반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현미경 보관장에서 현미경을 꺼내고 수납하는 과정과 작업이 손쉽고 편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유선과 무선의 충전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보관하면서 충전 기능을 실시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도 별도로 구비된 차단스크린을 통하여, 현미경의 외부 공기의 일차적 접촉을 차단하고 먼지 등의 오염물을 여과시킬 수 있고, 진동 흡수패드를 구비하여,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한 현미경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현미경을 수납, 보관하도록 하는 보관장 본체와, 보관장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현미경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선반부재와, 보관장 본체의 내부 공기를 살균, 정화시키도록 하는 살균부재로 구성된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에 있어서,
보관장 본체는,
전면에서 투시가능하고 개폐되는 도어와,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하단에 구비된 캐스터와, 본체를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와, 본체의 전면을 미세먼지 등을 차단, 여과시키도록 하는 차단스크린과, 하단에는 외력과 진동에 의한 본체의 흔들림을 완충, 흡수하도록 하는 진동 흡수패드를 형성하고;
선반부재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이동선반과, 이동선반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선반과, 현미경을 무선 충전시키도록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와, 현미경을 유선으로 충전시키도록 연결, 접속되도록 하는 유선충전단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경 보관장의 선반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현미경 보관장에서 현미경을 꺼내고 수납하는 과정과 작업이 용이하고 간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유선과 무선의 충전수단을 구비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보관하면서 충전 기능을 실시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미경 보관장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도 별도로 구비된 차단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현미경의 외부 공기의 일차적 접촉을 차단하고 먼지 및 이물질 등의 오염물을 여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미경 보관장의 하단에 진동 흡수패드를 형성하여,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한 현미경의 손상이나 고장 및 파손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현미경을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될 수 있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선반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스크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진동 흡수패드의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경을 수납, 보관하도록 하는 보관장 본체(10)와, 보관장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현미경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선반부재(20)와, 보관장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살균, 정화시키도록 하는 살균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보관장 본체(10)는 전면에 투시가능하고 개폐되는 도어(11)와,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하단에 구비된 캐스터(12)와, 본체를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13)와, 본체의 전면을 미세먼지 등을 차단, 여과시키도록 하는 차단스크린(14)과, 하단에는 외력이나 진동 등에 의한 본체의 진동과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진동 흡수패드(15)를 형성한다.
상기 도어(11)는 보관장 본체의 크기와 규격에 따라 단문형 또는 양문형의 방식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하나의 방식을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스크린(14)은 미세먼지와 부유물을 차단 및 여과되도록 하는 부직포 등의 항균 필터 소재로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보관장 본체의 상하 구획된 각 구간마다 설치하도록 구비하고, 차단스크린을 폐쇄 시에는 하강하여 하단에 구비된 걸고리(14a)로 고정하고, 개방 시에는 상단 양측에 구비된 복원스프링 롤(14b)에 의해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흡수패드(15)는 탄성이 있는 수지 등의 소재로서, 본체 하단의 각 변의 중앙부위에 각각 회동 및 절첩되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이동 시에는 절첩시켜 캐스터(12)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고, 고정 시에는 받침대(13)로 높이와 수평을 조정한 후에 회동시켜 본체 하단에서 지지,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선반부재(20)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이동선반(21)과, 이동선반(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선반(22)과, 현미경을 무선 충전시키도록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23)와, 현미경을 유선으로 충전시키도록 연결, 접속되도록 하는 유선충전단자(24)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선반(21)은 본체 양 측면에 고정된 이송레일(25)을 구비하고, 이동선반의 양측으로 로울러(26)를 형성하여, 로울러(26)가 이송레일(25)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동선반(21)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이송레일(25)은 로울러(26)가 요입되도록 한 쌍의 요입홈(25a)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로울러(26)는 요입홈(25a)에 요입되도록 양측의 전측과 후측 부위에 각각 형성한다.
상기 살균부재(30)는 보관장 본체 내부의 바이러스를 살균시키도록 자외선 램프(31)와, 본체 내에 공기를 정화, 공급시키도록 하는 송풍팬(32)과, 자외선 램프(31)와 송풍팬(32)을 구동시키도록 하는 구동부(33)를 형성한다.
상기 살균부재(30)의 구동부(33)를 구동하고, 외부에서 수동으로 기동과 설정 모드 등을 입력,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 패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1은 현미경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은, 보관장 본체(10) 내에 현미경(1)을 수납, 보관하고, 살균부재(30)의 구동부(33)를 통해 동작하는 자외선 램프(31)와 송풍팬(32)에 의해, 보관장 내부의 공기를 살균, 정화시키도록 한다.
보관장 본체(10)에 현미경을 꺼내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어(11)를 개방하도록 하고, 도어(11)가 개방되면 보관장 본체(10)의 상하로 구획된 각 공간마다 차단스크린(14)이 하강된 상태로서, 보관된 현미경의 외부 공기의 접촉이 차단되고, 부직포 등의 항균필터 소재의 차단스크린(14)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스크린(14)를 걸고리(14a)의 잠금을 해제하게 되면, 복원스프링 롤(14b)에 의해 차단스크린(14)이 자동으로 상승, 권취되어, 선반부재(20)에 현미경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부재(20)의 이동선반(21)을 인출하게 되면, 이송레일(25)의 요입홈(25a)에 요입된 로울러(26)는 이송레일(25)을 따라 회전, 이동하게 되면서, 로울러(26)가 양측에 결합된 이동선반(21)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동선반(21)에 후방 부위 거치된 무선충전 거치대(23)에 접촉되도록 하여 현미경을 거치시키거나, 현미경을 유선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충전단자(24)에 접속하게 되면, 편리하게 현미경을 보관하면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현미경이 거치된 이동선반(21)을 다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로울러(26)는 이송레일(25)을 따라 이송하게 되어, 요입홈(25a)에 요입되어 고정되고, 고정된 이동선반(21) 하부에서 지지선반(22)이 견고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보관되는 현미경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선반(21)을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차단스크린(14)을 하강시키게 되면 복원스프링 롤(14b)에 의해 권취된 차단스크린(14)이 하강하게 되고, 걸고리(14a)로 고정시키게 되면, 개방된 도어 상태에서도 현미경의 외부 먼지 등의 접촉을 차단, 여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직포 등의 항균필터 소재의 차단스크린(14)을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현미경 보관장의 청결 및 위생, 그리고 공기 정화 및 먼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보관장 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되어 회동, 절첩되는 진동 흡수패드(15)를 통하여, 보관장 본체(10)의 하중, 그리고 불의한 외력이나 건물의 진동 등의 상황에서도 외부 충격과 흔들림을 진동 흡수패드(15)에서 흡수, 완충시키기 때문에, 보관장에 보관되는 고가의 현미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장 본체 11 : 도어
12 : 캐스터 13 : 받침대
14 : 차단스크린 14a : 걸고리
14b : 복원스프링 롤 15 : 진동 흡수패드
20 : 선반부재 21 : 이동선반
22 : 지지선반 23 : 무선충전 거치대
24 : 유선충전단자 25 : 이송레일
25a : 요입홈 26 : 로울러
30 : 살균부재 31 : 자외선 램프
32 : 송풍팬 33 : 구동부

Claims (4)

  1. 전면에서 투시가능하고 개폐되는 도어(11)와, 본체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하단에 구비된 캐스터(12)와, 본체를 고정되도록 하는 받침대(13)와, 본체의 전면을 미세먼지 등을 차단, 여과시키도록 하는 차단스크린(14)과, 하단에는 외력과 진동에 의한 본체의 흔들림을 완충, 흡수하도록 하는 진동 흡수패드(15)를 구비하여, 현미경을 수납, 보관하도록 하는 보관장 본체(10)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한 이동선반(21)과, 이동선반(2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선반(22)과, 현미경을 무선 충전시키도록 하는 무선충전 거치대(23)와, 현미경을 유선으로 충전시키도록 연결, 접속되도록 하는 유선충전단자(24)를 구비하여, 보관장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현미경을 위치시키도록 하는 선반부재(20)와;
    보관장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살균, 정화시키도록 하는 살균부재(30)로 구성된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에 있어서,
    보관장 본체(10)의 차단스크린(14)은,
    미세먼지와 부유물을 차단 및 여과되도록 하는 항균필터 소재로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보관장 본체(10)의 상하 구획된 각 구간마다 전면에 구비하고, 차단스크린을 폐쇄 시에는 하강하여 하단에 구비된 걸고리(14a)로 고정하고, 개방 시에는 상단 양측에 구비된 복원스프링 롤(14b)에 의해 자동으로 복원되도록 형성하고;
    보관장 본체(10)의 진동 흡수패드(15)는,
    보관장 본체 하단의 각 변의 중앙부위에 회동 및 절첩되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이동 시에는 절첩시켜 캐스터(12)를 통해 이동되도록 하고, 고정 시에는 받침대(13)로 높이와 수평 조절 후에 회동시켜 본체 하단에서 지지, 고정되도록 형성하고;
    선반부재(20)의 이동선반(21)은,
    보관장 본체(10) 내의 양 측면에 고정된 이송레일(25)을 구비하고, 이동선반의 양측으로 로울러(26)를 형성하여, 로울러(26)가 이송레일(25)에 체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동선반(21)이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형성하되,
    이송레일(25)은 로울러(26)가 요입되도록 한 쌍의 요입홈(25a)을 구비하도록 하고, 로울러(26)는 요입홈(25a)에 요입되도록 양측의 전측과 후측 부위에 각각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3526A 2020-09-07 2020-09-07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KR10244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26A KR102441463B1 (ko) 2020-09-07 2020-09-07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526A KR102441463B1 (ko) 2020-09-07 2020-09-07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38A KR20220032138A (ko) 2022-03-15
KR102441463B1 true KR102441463B1 (ko) 2022-09-07

Family

ID=8081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526A KR102441463B1 (ko) 2020-09-07 2020-09-07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4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6836A (ja) * 2014-12-22 2016-06-30 英昭 大高 カ−ト
JP2019097755A (ja)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信州セラミックス シート部材及びこのシート部材を備えたカーテン類
JP2020116310A (ja) 2019-01-28 2020-08-06 日東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87U (ko) * 2010-01-21 2011-07-27 (주)유나 안전성이 우수한 시약 수납장
KR101510788B1 (ko) * 2013-05-08 2015-04-10 김문수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KR101548826B1 (ko) * 2013-12-19 2015-09-01 윤정한 주방용 수납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16836A (ja) * 2014-12-22 2016-06-30 英昭 大高 カ−ト
JP2019097755A (ja) 2017-11-30 2019-06-24 株式会社信州セラミックス シート部材及びこのシート部材を備えたカーテン類
JP2020116310A (ja) 2019-01-28 2020-08-06 日東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138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378B1 (ko) 이동형 아이솔레이터
KR102441463B1 (ko) 현미경용 다기능 보관장
JP2006030188A (ja) 秤用の通気防御装置
KR20060089845A (ko) 공기정화용 필터 구조물
KR102341395B1 (ko) 이동형 공기청정기
CN211725073U (zh) 一种纳米空气净化滤芯
KR101510788B1 (ko) 광학기기 살균보관함
CN210749996U (zh) 一种肢体清创车
KR101973263B1 (ko) 미닫이창문용 미세먼지 제거 장치
CN214764161U (zh) 一种可快速清灰的空气滤芯
JP2001149449A (ja) テーブル型又はワゴン型の空気浄化装置
KR100492317B1 (ko) 공기청정기
KR20220006223A (ko) 공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209441966U (zh) 一种光学元件生产用存储装置
CN209576133U (zh) 具有高效能的空气过滤器
JPH09220426A (ja) 空気浄化装置
KR200399420Y1 (ko) 침대 매트리스의 공기 청정장치
CN216048223U (zh) 一种药品生产用空调净化装置
CN218305372U (zh) 一种儿科护理用简易层流床
CN216148449U (zh) 一种具有自动消毒功能的重症护理箱
CN108670631A (zh) 一种便于病人呕吐的病床
US20230271125A1 (en)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CN217821069U (zh) 一种教学实验用病理样本放大器
WO2020166926A1 (ko) 가리개 소독 장치
KR20210157686A (ko) 공기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