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445B1 -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445B1
KR102441445B1 KR1020200068265A KR20200068265A KR102441445B1 KR 102441445 B1 KR102441445 B1 KR 102441445B1 KR 1020200068265 A KR1020200068265 A KR 1020200068265A KR 20200068265 A KR20200068265 A KR 20200068265A KR 102441445 B1 KR102441445 B1 KR 10244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grip
conductor fixing
handle
fix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1438A (ko
Inventor
최인영
김동민
송석훈
신철
이금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6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44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438A/ko
Priority to KR1020220111352A priority patent/KR102485034B1/ko
Priority to KR1020220111356A priority patent/KR102485038B1/ko
Priority to KR1020220111355A priority patent/KR102485037B1/ko
Priority to KR1020220111354A priority patent/KR102485036B1/ko
Priority to KR1020220111353A priority patent/KR102485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cutting cables or wires, or spli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21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도체 고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도체 고정장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와,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와 각각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고, 제1그립부와 맞물리도록 제1그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와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는 서로 접촉되어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여 도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CONDUCTOR FIXING DEVICE AND ELECTRIC WIRE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도체를 계단식 층으로 컷팅할 때 도체를 쉽게 고정할 수 있는 전선용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전선은 수백m 내지 수km 간격으로 커넥터에 의해 접속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력전선은 양단에 노출된 도체들 간의 연결을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전력전선은 접속 위치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절단되고, 절단된 상태에서 절연체(특히, XLPE)가 탈피되며, 절연체가 탈피된 후 접속을 위해 설계된 치수에 맞게 도체는 절단된다. 도체의 절단은 전기톱 등의 절단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데 도체가 연선으로 이루어져 절단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체를 계단형식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절단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8034호(발명의 명칭: 초고압 전력 전선의 도체 절단 지그, 공개일: 2012.12.2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선의 도체를 계단식 층으로 컷팅할 때 도체를 쉽게 고정할 수 있는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체 고정장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 및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각각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립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그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복수개의 상기 제2도체고정부는 서로 접촉되어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여 도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그립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본체; 및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그립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본체;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에 장착되는 가이드봉부; 상기 가이드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 측으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2그립부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가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그립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의 회동에 회동되는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프레임의 회동방향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스프링 측으로 또는 상기 스프링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작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상기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제2작동프레임블록; 및 상기 제2작동프레임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블록을 상기 가이드봉부 측 또는 상기 가이드봉부의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그립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그립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그립부본체; 및 상기 제2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 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되거나 상기 제1손잡이부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그립부본체는 상기 제1그립부본체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맞물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2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 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는 제2손잡이본체; 및 상기 제2손잡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를 밀어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에서 상기 제2손잡이본체를 분리시키며, 탄성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절단 시공방법은: 피박기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제거단계; 상기 전선의 도체를 도체 고정장치로 고정하는 도체고정단계; 및 상기 전선의 도체를 도체컷팅기로 컷팅하는 도체컷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복제거단계에서는 회전공구의 작동에 상기 회전공구와 연결된 상기 피박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컷팅단계에서는 상기 도체컷팅기가 상기 전선의 도체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상기 도체컷팅기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도체를 설정깊이 만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고정단계에서는 상기 도체 고정장치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진 상기 도체고정부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상기 도체고정부 순으로 상기 전선의 도체를 단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컷팅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도체고정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전선의 도체를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고정단계와 상기 도체컷팅단계는 상기 전선의 도체에 계단형태의 층이 형성되도록 반복되어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는 제1그립부와 제2그립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여 도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를 형성함에 따라, 전선의 도체를 단계별로 고정하여 계단식 층이 형성되도록 쉽게 컷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제2그립부의 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제1그립부의 장력조절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가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제2그립부의 분리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의 제1그립부의 장력조절부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가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1)는 제1그립부(100)와 제2그립부(200)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100)는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는 크기가 서로 다르다. 이때,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는 반원형상의 홈부로 크기가 서로 다르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그립부(200)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는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111)와 각각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와 접촉된다. 제2그립부(200)는 제1그립부(100)와 맞물리도록 제1그립부(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는 반원형상의 홈부로 크기가 서로 다르되, 마주보는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와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또한,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는 제1도체고정부(111)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와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는 서로 접촉되어 전선(10)의 도체(12)를 그립하여 도체(12)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를 각각 이룬다. 구체적으로, 제1그립부(100) 및 제2그립부(200)가 맞물리면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 중 어느 하나와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전선(10)의 도체가 그립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와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는 서로 접촉되면서 전선(10)의 도체(12)를 그립하여 도체(12)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를 각각 형성한다.
제1그립부(100)는 제1그립부본체(110)와 제1손잡이부(120)를 포함한다. 제1그립부본체(110)는 반원형상의 홈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111)를 구비한다. 제1손잡이부(120)는 제1그립부본체(110)와 연결되고, 제2그립부(2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제2그립부(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손잡이부(120)는 제1손잡이부본체(121), 가이드봉부(122), 스프링(123), 가압부(124) 및 작동부(125)를 포함한다. 제1손잡이부본체(121)는 제1그립부본체(110)와 연결된다. 제1손잡이부본체(121)는 일측이 개방된 막대 형상으로 일단부에 제1그립부본체(110)와 연결된다.
가이드봉부(122)는 제1손잡이부본체(121)에 장착된다. 가이드봉부(122)는 제1손잡이부본체(121)의 내부에 길게 배치되며, 외측에 후술된 스프링(123)이 감싸도록 설치된다.
스프링(123)은 가이드봉부(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스프링(123)은 압축스프링으로 가이드봉부(122)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된다.
가압부(124)는 가이드봉부(122)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가이드봉부(122)를 따라 스프링(123) 측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23)을 가압하여 압축한다.
작동부(125)는 제2그립부(200) 및 가압부(12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그립부(200)가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회동되면 스프링(123)을 가압하도록 가압부(124)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2그립부(200)가 제1손잡이부본체(121) 즉, 제1그립부(100) 측으로 회동되면, 작동부(125)는 제2그립부(200)의 회동에 회전되면서 가압부(124)를 스프링(123) 측으로 민다. 가압부(124)는 가이드봉부(122)를 따라 스프링(123) 측으로 이동되면, 스프링(123)은 가압부(124)의 압력에 의해 압축된다.
반대로, 제2그립부(200)가 제1손잡이부본체(121)의 반대측으로 즉, 제1그립부(100)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면, 작동부(125)는 제2그립부(200)의 회동에 회전되면서 가압부(124)를 스프링(123)과 이격되도록 한다. 가압부(124)는 가이드봉부(122)를 따라 스프링(123)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면, 스프링(123)은 가압부(124)의 압축해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작동부(125)는 제1작동프레임(125a)과 제2작동프레임(125b)을 포함한다. 제1작동프레임(125a)은 장력조절부(125a) 및 제2그립부(2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그립부(200)의 회동에 회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작동프레임(125a)은 제2그립부(200)가 제1손잡이부본체(121) 즉, 제1그립부(100) 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접혀지도록 회동된다. 반대로, 제1작동프레임(125a)은 제2그립부(200)가 제1손잡이부본체(121)의 반대측으로 즉, 제1그립부(100)의 반대측으로 회동됨에 따라 펼쳐지도록 회동된다.
제2작동프레임(125b)은 제1작동프레임(125a) 및 가압부(12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작동프레임(125a)의 회동방향에 따라 작동되어 가압부(124)를 스프링(123) 측으로 또는 스프링(123)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작동프레임(125b)은 제1작동프레임(125a)이 접혀지도록 회전되면, 제2작동프레임(125b)은 가압부(124)의 측으로 회동되면서 가압부(124)를 밀어 스프링(123)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스프링(123)은 가압부(124)에 의해 압축된다.
제2작동프레임(125b)은 제1작동프레임(125a)이 펼쳐지도록 회전되면, 제2작동프레임(125b)은 가압부(124)의 반대측으로 회동되면서 가압부(124)의 가압을 해제하고, 가압부(124)는 스프링(123)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스프링(123)의 가압을 해제한다. 이때, 스프링(123)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제2작동프레임(125b)은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과 장력조절부(125d)를 포함한다.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은 제1작동프레임(125a) 및 가압부(124)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압부(124)를 가압한다.
장력조절부(125d)는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과 결합되고,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을 가이드봉부(122) 측 또는 가이드봉부(122)의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제2그립부(200)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조절부(125d)는 장력조절블록(125e)과 장력조절볼트(125f)를 포함한다. 장력조절블록(125e)은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과 결합된다.
장력조절볼트(125f)는 장력조절블록(125e)에 나사결합되고, 장력조절볼트(125f)를 설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즉, 장력조절볼트(125f)를 조이면, 장력조절볼트(125f)에 밀려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은 가이드봉부(122) 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봉부(122)와 가까워진다. 이로 인해, 제2그립부(200)의 장력이 설정힘의 이하가 되어 제2그립부(200)를 제1그립부(100) 측으로 쉽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장력조절볼트(125f)를 설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의 가압을 해제하면, 즉, 장력조절볼트(125f)를 풀면,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은 가이드봉부(122)의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봉부(122)와 멀어진다. 이로 인해, 제2그립부(200)의 장력이 설정힘의 이상이 되어 제2그립부(200)를 제1그립부(100) 측으로 회전시킬 때 설정 이상의 힘을 사용하게 된다.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에 결합되고, 제2작동프레임블록(125c)을 가이드봉부(122) 측 또는 가이드봉부(122)의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제2그립부(200)의 장력을 조절한다. 장력조절부(125d)의 외주면에 스프링(125g)이 설치된다.
제2그립부(200)는 제2그립부본체(210), 제2손잡이부(220), 제2탄성스프링(230)을 포함한다. 제2그립부본체(210)는 반원형상의 홈으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211)를 구비하며, 제1손잡이부본체(12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손잡이부(220)는 제2그립부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125)와 힌지결합되며, 제1손잡이부(120) 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되거나 제1손잡이부(120)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된다.
제2탄성스프링(230)은 제2그립부본체(210)와 가이드봉부(122)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봉부(122)는 제1손잡이부본체(121)에 고정된 상태이다. 제2탄성스프링(230)은 제2손잡이부(220)가 제1손잡이부(120) 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이다. 반면에, 제2탄성스프링(230)은 제2손잡이부(220)가 제1손잡이부(120)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되면 탄성복원력으로 제2그립부본체(210)를 밀어 제2손잡이부(220)가 원활하게 펼쳐지도록 한다.
제2그립부본체(210)는 제1그립부본체(110)의 크기보다 작으며, 제1그립부본체(110)와 맞물린다. 이로 인해, 제2그립부본체(210)와 제1그립부본체(110)는 쉽게 맞물릴 수 있다.
제2손잡이부(220)는 제2손잡이본체(221)와 분리부(222)를 포함한다. 제2손잡이본체(221)는 제2그립부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125)와 힌지결합되며,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접혀지거나 제1손잡이부본체(121)의 반대측으로 펼쳐진다.
분리부(222)는 제2손잡이본체(2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면서 제1손잡이부본체(121)를 밀어 제1손잡이부본체(121)에서 제2손잡이본체(221)를 분리시키며, 탄성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된다. 분리부(222)는 분리프레임(222a)과 분리탄성부(222d)를 포함한다.
분리프레임(222a)은 분리프레임본체(222b)와 분리블록(222b)을 구비한다. 분리프레임본체(222b)는 분리프레임본체(222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분리프레임본체(222b)는 분리프레임본체(222b)에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분리블록(222b)은 분리프레임본체(222b)에서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돌출되며, 제1손잡이부본체(121)와 접촉가능하다. 분리블록(222b)은 분리프레임본체(222b)가 분리프레임본체(222b)에서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회전되면, 제1손잡이부본체(121)에 접촉되어 분리프레임본체(222b)가 제2손잡이본체(221)를 제1손잡이부본체(121)의 반대측으로 밀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제2손잡이부(220)가 제1손잡이부(120) 측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전환될 때 분리부(222)를 통해 쉽게 제2손잡이부(220)는 펼쳐질 수 있다.
분리탄성부(222c)는 분리블록(222b)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분리블록(222b)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분리탄성부(222c)는 분리프레임본체(222b)가 제1손잡이부본체(121) 측으로 회전된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1)는 제1그립부(100)와 제2그립부(20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 전선(10)의 도체(12)를 그립하여 도체(12)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를 형성함에 따라, 전선(10)의 도체(12)를 계단식 층으로 컷팅할 때 도체(12)를 단계별로 고정하여 쉽게 컷팅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체 고정장치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절단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전선 절단 시공방법은 피복제거단계(S10), 도체고정단계(S20), 도체컷팅단계(S30)를 포함한다. 피복제거단계(S10)에서는 피박기(2)를 이용하여 전선(10)의 피복(11)을 제거한다. 피복제거단계(S10)에서는 회전공구(4)의 작동에 회전공구(4)와 연결된 피박기(2)가 회전되면서 전선(10)의 피복(11)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피박기(2)를 충전식 전동드릴 등의 회전공구(4)와 연결하여 전선(10)의 피복(11)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설치한다. 회전공구(4)의 작동시키면, 회전공구(4)의 회전에 피박기(2)가 회동되면서 전선(10)의 피복(11)을 벗긴다. 이때, 피박기(2)는 원통형 형상으로 내부에 전선(10)이 삽입되며, 전선(10)의 피복(11)이 벗겨질 길이를 조정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선(10)의 피복(11)이 제거되면, 전선(10)의 내부에 위치된 도체(12)가 나타난다.
도체고정단계(S20)에서는 전선(10)의 도체(12)를 도체 고정장치(1)로 고정한다. 도체고정단계(S20)에서는 도체 고정장치(1)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어느 하나에 전선(10)의 도체(12)를 고정한다. 먼저, 도체 고정장치(1)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가장 크기가 큰 도체고정부(300)에 전선(10)의 도체(12)를 고정한다.
도체컷팅단계(S30)에서는 전선(10)의 도체(12)를 도체컷팅기(3)로 컷팅한다. 도체컷팅단계(S30)에서는 도체컷팅기(3)가 전선(10)의 도체(12)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도체컷팅기(3)를 회전시켜 전선(10)의 도체(12)를 설정깊이 만큼 절단한다.
구체적으로, 도체 고정장치(1)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어느 하나에 전선(10)의 도체(12)를 고정되면, 도체컷팅기(3)를 전선(10)의 도체(12)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도체컷팅기(3)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10)의 도체(12)가 설정깊이 만큼 절단된다. 이때, 도체컷팅기(3)는 전선(10)의 도체(12)에 삽입되는 커터날(미도시)과, 전선(10)의 도체(12)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미도시)을 구비한다. 또한, 도체컷팅기(3)는 전선(10)의 도체(12)의 절단위치를 설정하도록 길이조절부(미도시)도 구비한다.
도체고정단계(S20)에서는 도체 고정장치(1)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진 도체고정부(300)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도체고정부(300) 순으로 전선(10)의 도체를 단계적으로 고정한다. 도체컷팅단계(S30)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의 크기에 대응되게 전선(10)의 도체(12)를 컷팅한다.
도체고정단계(S20)와 도체컷팅단계(S30)는 전선(10)의 도체(12)에 계단형태의 층이 형성되도록 반복되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체고정단계(S20)에서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진 도체고정부(300)에 전선(10)의 도체를 고정한다.
도체컷팅단계(S30)에서는 도체컷팅기(3)를 전선(10)의 도체(12)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도체컷팅기(3)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10)의 도체(12)가 설정깊이 만큼 절단된다. 이로 인해, 전선(10)의 도체(12)가 도체컷팅기(3)에 의해 설정깊이 만큼 절단되어 설정 깊이만큼 크기가 작아진다.
다음으로, 도체고정단계(S20)에서 도체컷팅기(3)에 의해 설정깊이 만큼 절단된 전선(10)의 도체(12)를 복수개의 도체고정부(300) 중 두번째로 큰 크기를 가진 도체고정부(300)에 전선(10)의 도체를 고정한다.
도체컷팅단계(S30)에서는 도체컷팅기(3)를 전선(10)의 도체(12)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도체컷팅기(3)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선(10)의 도체(12)가 설정깊이 만큼 절단된다. 이로 인해, 전선(10)의 도체(12)가 도체컷팅기(3)에 의해 설정깊이 만큼 절단되어 설정 깊이만큼 크기가 더 작아진다. 도체고정단계(S20)와 도체컷팅단계(S30)를 반복하여 실행하여 전선(10)의 도체(12)에 계단형태의 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선(10)의 양단부에 노출된 도체(12)에 계단형태의 층이 형성되면, 계단형 컨넥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선(10)을 연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도체 고정장치 10 : 전선
11 : 피복 12 : 도체
100 : 제1그립부 110 : 제1그립부본체
111 : 제1도체고정부 120 : 제1손잡이부
121 : 제1손잡이부본체 122 : 가이드봉부
123 : 스프링 124 : 가압부
125 : 작동부 125a : 제1작동프레임
125b : 제2작동프레임 125c : 제2작동프레임블록
125d : 장력조절부 125e : 장력조절블록
125f: 장력조절볼트 125g : 스프링
200 : 제2그립부 210 : 제2그립부본체
211: 제2도체고정부 220 : 제2손잡이부
221 : 제2손잡이본체 222 : 분리부
222a : 분리프레임 222c : 분리블록
222d : 분리탄성부 230 : 제2탄성스프링
300 : 도체고정부
2 : 피박기 3 : 도체컷팅기
4 : 회전공구

Claims (14)

  1.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 및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각각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립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그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복수개의 상기 제2도체고정부는 서로 접촉되어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여 도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그립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본체; 및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그립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본체;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에 장착되는 가이드봉부;
    상기 가이드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 측으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2그립부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가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그립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의 회동에 회동되는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작동프레임의 회동방향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스프링 측으로 또는 상기 스프링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작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프레임은,
    상기 제1작동프레임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하는 제2작동프레임블록; 및
    상기 제2작동프레임블록에 결합되고, 상기 제2작동프레임블록을 상기 가이드봉부 측 또는 상기 가이드봉부의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그립부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립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그립부본체; 및
    상기 제2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 측으로 접혀지도록 회전되거나 상기 제1손잡이부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립부본체는 상기 제1그립부본체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맞물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손잡이부는,
    상기 제2그립부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 측으로 접혀지거나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의 반대측으로 펼쳐지는 제2손잡이본체; 및
    상기 제2손잡이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되면서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를 밀어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에서 상기 제2손잡이본체를 분리시키며, 탄성복원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체 고정장치.
  9. 피박기를 이용하여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제거단계;
    상기 전선의 도체를 도체 고정장치로 고정하는 도체고정단계; 및
    상기 전선의 도체를 도체컷팅기로 컷팅하는 도체컷팅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도체 고정장치는,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 및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각각 대응되는 크기로 서로 마주보며,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2도체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그립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그립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그립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와 복수개의 상기 제2도체고정부는 서로 접촉되어 전선의 도체를 그립하여 도체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도체고정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1그립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상기 제1도체고정부를 구비하는 제1그립부본체; 및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제2그립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손잡이부는,
    상기 제1그립부본체와 연결되는 제1손잡이부본체;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에 장착되는 가이드봉부;
    상기 가이드봉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봉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스프링 측으로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여 압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제2그립부 및 상기 가압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그립부가 상기 제1손잡이부본체 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도록 상기 가압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제거단계에서는 회전공구의 작동에 상기 회전공구와 연결된 상기 피박기가 회전되면서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컷팅단계에서는 상기 도체컷팅기가 상기 전선의 도체를 감싸도록 장착하고, 상기 도체컷팅기를 회전시켜 상기 전선의 도체를 설정깊이 만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고정단계에서는 상기 도체 고정장치의 복수개의 도체고정부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진 상기 도체고정부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상기 도체고정부 순으로 상기 전선의 도체를 단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컷팅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도체고정부의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전선의 도체를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고정단계와 상기 도체컷팅단계는 상기 전선의 도체에 계단형태의 층이 형성되도록 반복되어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절단 시공방법.
KR1020200068265A 2020-06-05 2020-06-05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441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65A KR102441445B1 (ko) 2020-06-05 2020-06-05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2A KR102485034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6A KR102485038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5A KR102485037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4A KR102485036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3A KR102485035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265A KR102441445B1 (ko) 2020-06-05 2020-06-05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55A Division KR102485037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3A Division KR102485035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2A Division KR102485034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4A Division KR102485036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6A Division KR102485038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38A KR20210151438A (ko) 2021-12-14
KR102441445B1 true KR102441445B1 (ko) 2022-09-07

Family

ID=7893514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265A KR102441445B1 (ko) 2020-06-05 2020-06-05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5A KR102485037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6A KR102485038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4A KR102485036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3A KR102485035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2A KR102485034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55A KR102485037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6A KR102485038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4A KR102485036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3A KR102485035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KR1020220111352A KR102485034B1 (ko) 2020-06-05 2022-09-02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6) KR102441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528A (ja) * 2015-05-22 2016-12-22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ェルクゼウグファブリック 剥離プラ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051B1 (ko) * 2009-05-21 2011-08-24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어스케이블 클램프
KR20150019758A (ko) * 2013-08-15 2015-02-25 양혜지 전기식 피복 및 전선 탈피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20528A (ja) * 2015-05-22 2016-12-22 ウェザッグ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ェルクゼウグファブリック 剥離プラ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036B1 (ko) 2023-01-06
KR20220127202A (ko) 2022-09-19
KR102485037B1 (ko) 2023-01-09
KR20220127201A (ko) 2022-09-19
KR20220126686A (ko) 2022-09-16
KR102485038B1 (ko) 2023-01-09
KR102485035B1 (ko) 2023-01-06
KR20220126687A (ko) 2022-09-16
KR102485034B1 (ko) 2023-01-06
KR20210151438A (ko) 2021-12-14
KR20220126688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8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and removing the shielding from a cable
US3596541A (en) Wire stripping tools
EP0727854B1 (en) Method for processing an end of a shielded cable
US20200373745A1 (en) Armored cable stripping tool for cutting the armor in two places
WO2005104321A1 (en) Improved cable stripping tool
US5062192A (en) Cable stripping tool
KR20190118764A (ko) 케이블용 탈피 및 절단장치
CN110620355A (zh) 用于电线的膜剥离工具
NO853678L (no) Avisoleringsverktoey for koaksialkabler og fremgagsmaate for kabelendens behandling
US3623384A (en) Device for removing cable insulation
US4945636A (en) Coaxial cable stripper
KR102441445B1 (ko) 도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절단 시공 방법
CN113224693A (zh) 编织物切割设备和编织物切割方法
US3237300A (en) Insulation cutting pliers having parallel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utting edges
US3880022A (en) Wire cutting and insulation stripping apparatus
KR100700710B1 (ko) 케이블 필러
JPH02214405A (ja) 多芯電気ケーブル導線の剥離と終端処理の為の装置
JP3415370B2 (ja) 電線切分け工具および掴線器
CN211743651U (zh) 10kV至20kV绝缘导线的绝缘层剥除工具组
JP2010142051A (ja) 切断刃ユニット
US3014387A (en) Sheath cutting tool for working sheath covered cables
FR2526238A1 (fr) Machine combinee pour la coupe programmee de fils electriques isoles et non isoles, le denudage des extremites et l'emmanchement et le sertissage de cosses et de protections isolantes
CN109638732B (zh) 高压电缆剥皮器
US3845536A (en) Covered wire wrapping apparatus
CN113224692B (zh) 箔片剥离设备和箔片剥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