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269B1 -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269B1
KR102441269B1 KR1020210102034A KR20210102034A KR102441269B1 KR 102441269 B1 KR102441269 B1 KR 102441269B1 KR 1020210102034 A KR1020210102034 A KR 1020210102034A KR 20210102034 A KR20210102034 A KR 20210102034A KR 102441269 B1 KR102441269 B1 KR 10244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spection
drone
block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테크
Priority to KR102021010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64C2201/1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는 중앙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비행날개가 갖추어져, 건물 내 천정에 스프링클러 또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점검대상의 위치로 공중이동되는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설정농도의 연기 또는 설정온도의 열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며 상기 점검대상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클러의 소화수가 내벽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게 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갖추어져, 상기 차단부를 통해 소화수가 저장되는 물받이부; 및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상기 드론부와 점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소화수가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Firefighting equipment inspection device using drone}
본 발명은 건물 내 소방설비를 무인으로 점검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건축기술과 건축자재의 급속한 발전과 도시의 수용능력부족 및 도시에서의 랜드마크적인 요소 등 사회적 욕구등의 이유로 하여 건축물의 고층화, 대형화, 복합형 등을 넘어 최근에는 50층을 넘는 초고층건축물이 도심속 곳곳에 건축되어 지고 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막대한 재산 상의 피해는 물론 수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대형 건축물에서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 제어하지 못한다면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 피해로부터 재산과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소방시설로서 가장 선호하는 설비는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가 있다. 사람이 상주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화재를 초기 대응할 수 있는 설비이면서 건축비용 대비하여 매우 적은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는 건물이 일단 축조된 후에는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가 아니라면 작동되어서는 안되지만, 장시간에 걸쳐 미사용 상태가 지속 될 경우 정기적으로 정상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주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8678호 '스프링클러 작동검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프링클러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며, 작동 검사후 배출된 소방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스프링클러로부터 배출되는 소방수의 배출량에 대응하여 리저버의 공간부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스프링클러 작동검사 장치는 소방설비 중에서 스프링클러의 작동검사만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천정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의 위치로 사다리를 이용해 올라가 작동검사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클러가 작동검사 중 배출되는 소방수의 배출량에 의해 하중이 증가되면서 스프링클러의 배관 또는 천장면의 구조물에 설치된 작동검사 장치의 검림 후크가 끊어져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2차적으로 스프링클러의 배관이 손상되거나 천장면의 구조물이 떨어질 우려가 발생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20-0371256호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화재감지기의 열감지검사와 연기감지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의 시험기에서 테스트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기를 이용하여 화재감지기 외에도 다른 소방설비도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나, 점검 수행시 사용자가 직접 시험기를 들고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기 가까이에 서서 점검이 확인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기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에 열을 가해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나, 배출되는 소방수를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감지기에만 국한되어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740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125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점검장치로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를 모두 무인으로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가 천정에 밀착되어 점검 수행시 발생하는 연기나 소화수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비점검대상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앙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비행날개가 갖추어져, 건물 내 천정에 스프링클러 또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점검대상의 위치로 공중이동되는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설정농도의 연기 또는 설정온도의 열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며 상기 점검대상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클러의 소화수가 내벽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게 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갖추어져, 상기 차단부를 통해 소화수가 저장되는 물받이부; 및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상기 드론부와 점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소화수가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는 단위날개가 시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구형태를 형성하고, 상단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 힌지부재로 결합되는 차단날개부;와, 상기 단위날개의 내측단에 나선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 고정되며,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로 복수 개의 오목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차단날개부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주면에 상기 각도조절홈과 대응되도록 각도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단위날개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설정폭으로 음각된 고정홈;과, 하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로 설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가 천정에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부의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점검부의 연기가 비점검대상인 화재감지기로 확산되어 점검오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드론부를 상기 스프링클러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점검부에서 열이 발생되게 하고, 관리자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드론부를 상기 화재감지기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점검부에서 연기가 발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받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를 감지하여 소화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드론부에 GPS수신기가 장착되어 실시간 이동위치를 파악하고, 관리자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소화수 감지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연기 감지시 발생되는 화재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정상작동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점검결과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관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소방설비가 설치되더라도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수단없이 소방설비가 설치된 위치로 공중 이동하여 해당 소방설비의 점검이 수행됨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점검장치로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를 점검할 수 있어 구매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건물 내 상주하지 않더라도 관리자단말기로 점검대상을 선택하여 점검주기에 따라 소방설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대상에 따라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소화수가 차단부의 내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른 비점검대상의 작동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의 확산날개에 의해 점검부의 연기가 점검대상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감지기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의 형상구조에 의해 스프링클러의 소화수가 내벽면을 따라 물받이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점검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의 단위날개가 시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하단이 물받이부의 상단에 힌지부재로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점검대상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가 차단날개부의 개방구 크기를 조절하여 점검대상을 차단부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깃의 나선형상 구조에 의해 스프링클러로부터 다방향으로 분사되는 소화수를 물받이부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재의 고정부재 및 회전부재 결합구조에 의해 관리자가 차단날개부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외부에 부딪히더라도 차단부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차단부의 상단에 탄성체가 갖추어져 천정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틈새를 차단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를 이용해 스프링클러나 화재감지기의 점검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선택된 점검대상에 따라 드론부와 점검부 및 회전부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검사작업이 편리하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실행모드에 따라 센서부로부터 소화수 감지신호를 전달받거나 화재감지기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정상작동을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로 점검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는 하나의 점검장치로 스프링클러와 화재감지기를 모두 무인으로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부가 천정에 밀착되어 점검 수행시 발생하는 연기나 소화수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비점검대상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점검장치'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는 드론부(100)에 점검부(200), 회전부(300), 차단부(400) 및 물받이부(500)가 설치되어, 스프링클러(10)나 화재감지기(20)를 점검하는 장치로 드론부(100)에 의해 점검대상이 무인으로 점검되어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와 같은 점검장치는 건물 내 설치된 스프링클러(10)나 화재감지기(20)의 위치로 공중 이동하는 드론부(100), 연기나 열을 발생시키는 점검부(200), 연기나 열을 빠르게 이동시키는 회전부(300), 연기나 열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400), 스프링클러(10)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수가 저장되는 물받이부(500), 점검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 소화수를 감지하는 센서부(700), 관리자단말기(1)와 무선연결하는 통신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부(100)는 천정에 설치된 스프링클러(10) 또는 화재감지기(20)의 위치로 이동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드론부(100)는 중앙에 점검부(200), 회전부(300), 차단부(400), 물받이부(500)가 설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장착공간을 중심으로 가장자리에 복수의 비행날개(110)가 갖추어지면서 공중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드론부(100)는 GPS수신기가 장착되어 관리자단말기(1)로 실시간 이동위치가 파악되고 이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드론부(100)는 설정된 점검대상의 위치로 최종 이동하여 점검대상의 하단에서 비행자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비행된다.
점검부(200)는 점검대상의 하부에 연기나 열을 발생시켜 점검대상이 화재를 감지해 정상작동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점검부(200)는 드론부(100)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점검대상인 스프링클러나 화재감지기를 점검하기 위해 연기발생기(210)와 열발생기(220)가 갖추어진다. 이때, 점검부(200)는 관리자가 선택한 점검대상에 따라 연기발생기(210)나 열발생기(220)가 작동되며,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검부(200)는 중앙에 카메라(2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점검작업시 점검대상의 이미지나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여 관리자단말기(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점검대상의 이미지나 영상을 통해 작업상황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도 원격으로 점검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점검부(200)는 제어부(600)에서 점검대상의 정상작동 여부가 판단되면 작동이 정지되고, 관리자에 의해 관리자단말기(1)로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회전부(300)는 점검부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점검대상으로 신속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회전부(300)는 점검부(200)의 하부 또는 점검부의 외주면에 분리되어 설치되며, 회전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확산날개(310)가 수평방향으로 갖추어진다. 이러한, 회전부(300)는 스프링클러 점검모드 실행시 작동되며, 점검부(200)와 동시에 실행됨으로써 스프링클러(10)가 즉시 반응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차단부(400)는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열 또는 소화수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차단부(400)는 회전부(300)의 확산날개(310)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점검부(200)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40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며, 점검대상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차단부(400)의 상단은 점검대상이 설치된 위치의 천정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사용예시도이다. 도 2와 3을 참조하면, 차단부(400)는 점검대상을 감싸며 연기나 열 또는 소화수가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날개부(410)와, 연기나 열이 상부로 이동하거나 소화수가 하부로 빠르게 이동되게 하는 가이드깃(4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날개부(410)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는 단위날개(411)가 시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구형태를 형성하고, 차단날개부(410)의 상단에 개방구(412)가 갖추어진다. 이때, 차단날개부(410)는 하단이 물받이부(500)의 상단에 힌지부재(40)로 결합됨으로써 개방구(412)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개방구(412)는 관리자에 의해 크기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점검대상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더라도 내부에 수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단날개부(410)의 힌지부재(40)는 물받이부(5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와, 차단날개부(410)의 하단에 고정되는 회전부재(42)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1)는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로 복수 개의 오목한 각도조절홈(41a)이 형성되어, 차단날개부(410)가 설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부재(42)는 고정부재(41)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주면에 각도조절홈(41a)과 대응되도록 각도고정돌기(42a)가 형성되어 차단날개부(410)가 설정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깃(420)은 단위날개(411)의 내측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주면을 향해 나선방향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깃(420)은 형상구조에 의해 점검부(200)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열이 가이드깃(420)을 타고 빠르게 점검대상으로 상승이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소화수가 가이드깃(420)을 타고 빠르게 물받이부(500)로 하강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차단부(400)는 단위날개(411)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설정폭으로 음각된 고정홈(430)과, 하단이 고정홈(43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되게 구비되는 탄성체(44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체(440)는 천정에 밀착되면서 차단부(400)의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점검부(200)의 연기가 비점검대상인 화재감지기(20)로 확산되어 점검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부(500)는 스프링클러(10) 점검 수행시 스프링클러(10)의 정상작동으로 소화수가 분출되면 내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물받이부(50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드론부(100)의 장착공간에 설치되며 차단부(4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물받이부(500)는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배출구(510)가 개폐되도록 갖추어져, 스프링클러(10)로부터 분출되는 소화수가 차단부(400)를 통해 내부로 저장된다.
물받이부(500)는 드론부(100)가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중량까지만 소화수가 저장되며, 이후에는 물받이부(500)의 배출구(510)가 개방되어 연결된 호스를 통해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물받이부(500)는 내부에 후술될 센서부(7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1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를 감지하고 기준높이를 초과하는 경우 배출구(510)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때, 물받이부(500)는 배출구(510)에 지면으로 연결된 긴 호스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받이부(500)에 저장된 소화수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600)는 점검대상에 따라 드론부(100), 점검부(200) 및 회전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제어부(600)는 점검하고자 하는 대상인 스프링클러(10) 또는 화재감지기(20)가 관리자단말기(1)로 선택되면, 선택된 대상에 따라 점검모드가 실행되며 점검모드에 맞게 각 구성의 동작이 제어된다.
제어부(600)는 관리자에 의해 스프링클러(10)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드론부(100)가 선택된 스프링클러(1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점검부(200)에서 스프링클러(10)가 작동되는 설정온도의 열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스프링클러(10)가 정상작동되면 소화수가 차단부(400)의 내벽면을 따라 회전부(300)를 통해 물받이부(500)로 안전하게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물받이부(500)에 설치된 센서부(700)로부터 소화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스프링클러 정상작동으로 판단하고, 관리자단말기(1)로 스프링클러 정상작동결과를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600)는 스프링클러(10)의 비작동으로 센서부(700)로부터 소화수 감지신호를 설정시간 내 전달받지 못하게 되면 스프링클러 비작동으로 판단하고, 관리자단말기(1)로 스프링클러 비정상작동결과를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관리자에게 스프링클러(10)의 점검결과에 대한 알람 메세지와 스프링클러(10)의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리자는 원거리에서도 스프링클러(10)의 점검결과와 스프링클러(10)의 현재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교체장비를 미리 준비해 교체작업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관리자에 의해 화재감지기(20)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드론부(100)가 선택된 화재감지기(20)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고, 점검부(200)에서 화재감지기(20)가 작동되는 설정농도의 연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부(300)의 확산날개(310)가 회전되도록 제어하며, 연기가 화재감지기(20) 측으로 빠르게 확산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600)는 화재감지기(20)가 정상작동되면 화재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화재감지기 정상작동을 판단하고, 관리자단말기(1)로 화재감지기 정상작동결과를 전달한다.
이와 달리, 제어부(600)는 화재감지기(20)의 비작동으로 화재 감지신호를 설정시간 내 전달받지 못하게 되면 화재감지기 비작동으로 판단하고, 관리자단말기(1)로 화재감지기 비정상작동결과를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스프링클러(10) 점검과 동일하게 화재감지기(20)의 점검결과에 대한 알람 메세지와 화재감지기(20)의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물받이부(500) 내에 설치되며 스프링클러(10)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를 감지하여 소화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또한, 센서부(700)는 물받이부(500) 내에서 소화수가 설정높이를 초과하면 제어부(600)로 전달하여 물받이부(500)의 배출구(510)를 개방하여 지면으로 연결된 호스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700)는 제어부(600)가 스프링클러(10)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전달하며, 설정시간 내 소화수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600)에서 스프링클러 미작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800)는 드론부(100)의 실시간 이동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단말기(1)와 무선 연결되는 수단이다. 이러한 통신부(800)는 제어부(600)에서 점검대상에 대한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하게 되면, 관리자단말기(1)로 점검결과에 대한 알람 메세지와 점검대상의 이미지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는 아래와 같은 장점이 있다.
관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 소방설비가 설치되더라도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수단없이 소방설비가 설치된 위치로 공중 이동하여 해당 소방설비의 점검이 수행됨에 따라 유지관리 비용이 절감되며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점검장치로 스프링클러(10)와 화재감지기(20)를 점검할 수 있어 구매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가 건물 내 상주하지 않더라도 관리자단말기(1)로 점검대상을 선택하여 점검주기에 따라 소방설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점검대상에 따라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소화수가 차단부의 내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다른 비점검대상의 작동오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00)의 확산날개(310)에 의해 점검부(200)의 연기가 점검대상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감지기(20)의 반응속도를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400)의 형상구조에 의해 스프링클러(10)의 소화수가 내벽면을 따라 물받이부(500)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10)의 점검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400)의 단위날개(411)가 시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하단이 물받이부(500)의 상단에 힌지부재(40)로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점검대상의 종류에 따라 관리자가 차단날개부(410)의 개방구 크기를 조절하여 점검대상을 차단부(400)의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깃(420)의 나선형상 구조에 의해 스프링클러(10)로부터 다방향으로 분사되는 소화수를 물받이부(500)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힌지부재(40)의 고정부재(41) 및 회전부재(42) 결합구조에 의해 관리자가 차단날개부(41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동하면서 외부에 부딪히더라도 차단부(40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차단부(400)의 상단에 탄성체(440)가 갖추어져 천정에 최대한 밀착되면서 틈새를 차단할 수 있으며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관리자단말기(1)를 이용해 스프링클러(10)나 화재감지기(20)의 점검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선택된 점검대상에 따라 드론부(100)와 점검부(200) 및 회전부(30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검사작업이 편리하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실행모드에 따라 센서부(700)로부터 소화수 감지신호를 전달받거나 화재감지기(2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정상작동을 판단하여 관리자단말기(1)로 점검결과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관리자단말기
10 : 스프링클러
20 : 화재감지기
40 : 힌지부재
41 : 고정부재
41a : 각도조절홈
42 : 회전부재
42a : 각도고정돌기
100 : 드론부
110 : 비행날개
200 : 점검부
210 : 연기발생기
220 : 열발생기
230 : 카메라
300 : 회전부
310 : 확산날개
400 : 차단부
410 : 차단날개부
411 : 단위날개
412 : 개방구
420 : 가이드깃
430 : 고정홈
440 : 탄성체
500 : 물받이부
510 : 배출구
600 : 제어부
700 : 센서부
800 : 통신부

Claims (6)

  1. 중앙에 장착공간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비행날개가 갖추어져, 건물 내 천정에 스프링클러 또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된 점검대상의 위치로 공중이동되는 드론부;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설정농도의 연기 또는 설정온도의 열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점검부;
    상기 점검부의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단에서 상단으로 원호를 이루는 단위날개가 시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점검대상을 감싸는 구형태로 형성되는 차단날개부 및 상기 단위날개의 내측단에 나선방향으로 설치되고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깃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클러의 소화수가 상기 차단날개부 및 가이드깃의 내벽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게 하는 차단부;
    상기 차단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드론부의 장착공간에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하부에 배출구가 개폐되도록 갖추어져, 상기 차단부를 통해 소화수가 저장되는 물받이부; 및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상기 드론부와 점검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점검대상에 따라 점검 수행시 발생되는 연기나 소화수가 상기 차단부의 내부에서 벗어나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차단날개부는 상단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날개의 하단은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 힌지부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물받이부의 상단에 고정되며, 외주면을 따라 설정각도로 복수 개의 오목한 각도조절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차단날개부의 하단에 고정되고, 내주면에 상기 각도조절홈과 대응되도록 각도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단위날개의 상단에 외주면을 따라 설정폭으로 음각된 고정홈;과,
    하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부로 설정높이 돌출되게 구비되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가 천정에 밀착되면서 상기 차단부의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점검부의 연기가 비점검대상인 화재감지기로 확산되어 점검오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에 의해 상기 스프링클러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드론부를 상기 스프링클러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점검부에서 열이 발생되게 하고,
    관리자에 의해 상기 화재감지기의 점검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드론부를 상기 화재감지기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점검부에서 연기가 발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수를 감지하여 소화수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와,
    상기 드론부에 GPS수신기가 장착되어 실시간 이동위치를 파악하고, 관리자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소화수 감지신호를 전달받거나 상기 화재감지기로부터 연기 감지시 발생되는 화재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정상작동으로 판단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점검결과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KR1020210102034A 2021-08-03 2021-08-03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KR102441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34A KR102441269B1 (ko) 2021-08-03 2021-08-03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2034A KR102441269B1 (ko) 2021-08-03 2021-08-03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269B1 true KR102441269B1 (ko) 2022-09-07

Family

ID=8327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034A KR102441269B1 (ko) 2021-08-03 2021-08-03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2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256Y1 (ko) 2004-10-12 2004-12-30 탁성인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기
KR101097409B1 (ko) 2011-06-10 2011-12-23 서울특별시도봉구시설관리공단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101698689B1 (ko) * 2015-11-06 2017-01-20 최정혁 스프링클러 작동확인 장치
US20190233106A1 (en) * 2016-10-12 2019-08-01 Tyco Fire & Security Gmbh Robotic Detector Test System
KR101972957B1 (ko) * 2018-11-21 2019-08-2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256Y1 (ko) 2004-10-12 2004-12-30 탁성인 휴대용 화재감지기 시험기
KR101097409B1 (ko) 2011-06-10 2011-12-23 서울특별시도봉구시설관리공단 소방설비의 적정 작동여부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KR101698689B1 (ko) * 2015-11-06 2017-01-20 최정혁 스프링클러 작동확인 장치
US20190233106A1 (en) * 2016-10-12 2019-08-01 Tyco Fire & Security Gmbh Robotic Detector Test System
KR101972957B1 (ko) * 2018-11-21 2019-08-2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기존 건축물 소방시설의 화재위험도평가 및 점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CN212586744U (zh) 用于控制消防设备的防火机器人,相应的防火系统
JP2003126286A (ja) 消火システム
KR101845009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0028B1 (ko)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장치
US20150021054A1 (en) Automatic fire targeting and extinguishing system and method
US20160051850A1 (en) Fire Protection System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CN109731268B (zh) 一种基于火源定位的室内消防系统及方法
KR101828994B1 (ko) 지능형 통합 방재 시스템 및 방법
JP3924297B2 (ja) 消火方法、消火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
JP2018068471A (ja) 無人浮遊機用の保持装置、無人浮遊機、消火器の交換・装填装置及び自動消火システム
BR102016016485A2 (pt) aeronave com um sistema de controle de supressão de incêndio, e, método para controlar um sistema de supressão de incêndio em uma aeronave
CN107088274A (zh) 一种高层建筑消防与救援飞行器及其工作方式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KR102441269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설비 점검장치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KR102141942B1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WO2023000087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firefighting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