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95B1 -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 Google Patents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95B1
KR102440295B1 KR1020200125177A KR20200125177A KR102440295B1 KR 102440295 B1 KR102440295 B1 KR 102440295B1 KR 1020200125177 A KR1020200125177 A KR 1020200125177A KR 20200125177 A KR20200125177 A KR 20200125177A KR 102440295 B1 KR102440295 B1 KR 10244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storage unit
tube
m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644A (ko
Inventor
장관영
김병수
강서희
한송이
서유선
나혜림
이다슬
하지희
이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큐어비앤피
Priority to KR102020012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9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8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by squeezing, e.g. using a flexible bottle or a bul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7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5Bulb typ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는, 제1 약물을 수용하는 파지부, 튜브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내부에는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삽입부, 및 파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삽입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DRUG DELIVERY DEVICE FOR NASAL CAVITY}
본 발명은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2가지 약물을 혼합하여 비강으로 투여할 수 있는 1회용 약물 투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비강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이중에서도, 약물이 저장된 통에 부착된 노즐을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하고, 삽입된 노즐을 통해 약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 형태의 투약 장치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는 여러 성분이 혼합된 약물을 미리 제조하고, 제조된 약물을 통 속에 보관하여 유통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기간이 길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약물 제조와 동시에 약물 성분의 변질이 시작되기 때문에, 제조일로부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목적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들은 복수 회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 직전에 여러 약물을 혼합할 수 있도록 하여 약효를 극대화하면서도 보관 기간을 늘릴 수 있고, 1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4-0003582호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투여 용기 내에 약물을 분리 보관함으로써 약물 성분의 변질을 방지하면서도, 사용 시에는 간편하게 약물을 혼합하여 비강 내로 투여할 수 있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휴대가 간편하고 재사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1회용의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는, 제1 약물을 수용하는 파지부; 튜브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내부에는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삽입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1 저장부와 연통하면서 상기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는 박막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파지부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약물과 상기 제2 약물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튜브; 및 상기 튜브 내에서 상기 제1 약물과 상기 제2 약물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 혼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암나사산 형상으로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수나사산 형상으로 상기 튜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약물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 회 꺽인 직선 형상으로 상기 튜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 내부에 꺽인 직선 형상의 약물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재; 및 상기 판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저장부 반대 방향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부를 커버하는 충돌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저장부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박막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마개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약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약물의 일부는 상기 제2 저장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유동관으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관을 통과한 제1 약물은 상기 제2 저장부를 통과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과 혼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제1 약물이 충전되며 상기 박막에 접하는 약물 포켓; 및 공기가 충전된 에어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약물은 액상 또는 젤리상의 부형제이며, 상기 제2약물은 펩타이드나 단백질의 액상, 고체 분말(powder) 또는 동결 건조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약물 성분의 변질 없이 보다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에는 약물들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최상의 약물 투여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회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소형화 함으로써 휴대성, 보관성, 오염 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의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의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는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100),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파지부(100)에서 일 방향으로 튜브(tube) 형상으로 연장하는 삽입부(200), 및 삽입부(200)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약물 유출을 방지하는 마개(300)를 포함한다.
한편, 파지부(100)는 약물 투입 시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용이한 약물 투입을 위하여 판(plate) 형상, 막대(stick) 형상, 구(sphere) 형상 등일 수 있다. 도 1에는 파지부(100)가 타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파지부(100)는 사각형 판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삽입부(200)는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깊이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단면은 콧구멍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져야 하며, 내부를 통해 약물이 콧구멍 속으로 투여되도록 튜브(tube)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00)는 제1 약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120), 및 제1 저장부(120)를 감싸는 바디(110)를 포함한다.
바디(110)는 제1 저장부(120)의 둘레를 감싸며 제1 저장부(12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110)는 판(plate) 형상일 수 있다. 바디(110)가 판 형상인 경우, 바디(110) 표면에 제조사, 제품명, 제조일, 사용기한, 사용시 주의 사항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바디(110)는 막대(stick) 형상이거나 또는 구(sphere) 형상일 수도 있다.
제1 저장부(120)는 제1 약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투여될 약물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 1회 사용을 전제로 하는 만큼, 제1 저장부(120)는 소형화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20)는 삽입부(200)와 연결되며, 제1 저장부(120)와 삽입부(200)의 내부 공간은 서로 연통할 수 있다. 다만, 보관 시(사용 전)에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1 약물이 삽입부(20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저장부(120)와 삽입부(200) 내부는 후술할 제1 박막(221)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 사용 이전 단계에서는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1 약물이 삽입부(200)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환자가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삽입부(200)를 콧구멍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1 저장부(120)에 힘을 가하면 된다. 즉,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제1 저장부(120)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 제1 박막(221)이 파손되면서 제1 저장부(120)의 제1 약물이 삽입부(2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어린이, 여성, 노인과 같이 손가락 힘이 세지 않은 환자라도 제1 저장부(120)를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제1 저장부(12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저장부(120)는 공기가 충전된 에어 포켓(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눌렀을 때 제1 약물은 제2 저장부(220)의 제2 약물과 혼합된 이후 삽입부(200)를 지나 환자의 콧구멍 내부까지 투여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약물이 충분한 추진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추진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저장부(120) 내부 일부에 공기 또는 기체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또는 기체가 제1 약물을 가압하여 충분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장부(120)는 제1 약물이 충전된 약물 포켓(121), 공기 또는 기체가 충전된 에어 포켓(123), 및 약물 포켓(121)과 에어 포켓(123)을 구분하는 박막(125)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누르면 박막(125)이 파손되고, 에어 포켓(123)의 공기가 제1 약물을 삽입부(2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약물과 공기가 별도의 박막(125) 없이 제1 저장부(120) 내부에 함께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제1 저장부(120)에 제1 약물이 가득 채워지지 않는 경우이며, 이 경우 제1 저장부(120)에 제1 약물과 공기가 함께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가 제1 약물의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도 2와 같이 약물 포켓(121)을 중심으로 에어 포켓(123)이 삽입부(20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에어 포켓(123)에 충전된 공기가 제1 약물을 삽입부(20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약물이 더 큰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은 액상 또는 젤리상의 부형제일 수 있다.
삽입부(200)는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제1 저장부(120)에 연결되어 약물의 이동 통로로서 기능하는 튜브(210), 튜브(210) 내부의 상류에 구비되어 제2 약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부(220), 제2 저장부(220) 하류에 위치하여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부(230), 및 마개(300)에 결합되는 절취부(240)를 포함한다. 이 때, '상류'라 함은 상대적으로 제1 저장부(120)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고, '하류'라 함은 상대적으로 제1 저장부(120)에서 먼 부분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류'는 환자의 비강에서 상대적으로 먼 부분이 되고, '하류'는 환자의 비강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이 된다.
튜브(210)는 약물을 환자의 코 내부로 이동시키는 통로이며, 내부에는 제2 저장부(220)와 혼합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20)의 약물은 튜브(2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2 저장부(220)의 약물과 혼합되며, 혼합부(230)에서 보다 균일하게 혼합되어 환자의 비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절취부(240)는 튜브(210)의 하류 말단에 연결되며, 마개(300)와 삽입부(200)를 연결하는 부위일 수 있다. 즉,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가 사용 전 상태일 때, 절취부(240)는 삽입부(200)의 개방된 일면에 마개(300)를 결합시켜 약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약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 사용을 위해서, 환자는 마개(300) 부분에 힘을 가하여 마개(300)를 비틀거나 당김으로써 절취부(240)를 찢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00)의 개방된 일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비강으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절취부(240)는 튜브(210)보다 상대적으로 물리적 강도가 약한 소재로 제작되거나, 또는 튜브(210)보다 더 얇은 두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저장부(220)는 제2 약물이 저장되는 공간으로, 투여될 약물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제1 저장부(120)에 힘을 가하면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1 약물이 튜브(2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약물은 제2 저장부(220)를 통과하게 되며,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혼합되어 목적하는 치료용 약물이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 이전에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서로 분리하여 보관하고, 사용 단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혼합하게 된다. 따라서,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의 보관 기간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 이전 상태, 즉 보관 상태인 경우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220)는 제1 박막(221)에 의해 구분될 수 있고, 제2 저장부(220)와 혼합부(230)는 제2 박막(22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박막들(221, 223)은 작은 충격으로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약물은 일반적인 화합물, 펩타이드나 단백질의 액상, 고체 분말(powder)또는 동결 건조 분말일 수 있다.
한편, 제1 약물과 제2 약물은 삽입부(200) 내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혼합되는데, 삽입부(200)의 길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삽입부(200) 내부에 혼합부(230)를 구비하여 약물들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예를 들면, 난류를 발생시키거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거나, 가압하여 충돌시키거나, 또는 복수 개의 이동 통로를 반드는 방식으로 약물들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실시예들이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1)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실시예는 난류를 발생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는 실시예이다.
튜브(210) 상류에는 제2 저장부(220)가 구비되는데, 제2 저장부(220)의 양측은 제1 박막(221)과 제2 박막(223)으로 다른 영역들과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박막(221)은 제1 저장부(120)의 제1 약물과 제2 저장부(220)의 제2 약물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박막(223)은 제2 저장부(220)의 제2 약물이 삽입부(200) 내부에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압력에 의해 제1 박막(221)과 제2 박막(223)이 파손되며, 제1 약물은 제2 저장부(220)로 이동하여 제2 약물과 혼합되고, 절취부(240)를 향해 하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1)는 제2 박막(223) 없이 제1 박막(221)만을 가질 수도 있다. 즉, 제2 약물이 구분된 영역에 보관되지 않고 삽입부(200) 내부를 채우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200)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절취부(240)에 가까운 하류 부분에서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삽입부(200)의 길이 및 크기, 제2 약물의 용량, 약물의 혼합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제2 박막(223)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저장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포켓(123)을 가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약물과 제2 약물은 사용 시에 비로소 혼합되기 때문에, 비교적 길이가 짧은 삽입부(200)를 이동하는 동안 충분히 혼합되지 못할 수도 있다. 혼합부(230)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제1 실시예에서는 튜브(210) 내면에서 돌출되는 형태의 혼합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은 튜브(210) 내면에서 돌출된 혼합부(230)와 충돌하면서 난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혼합부(230)는 튜브(210) 내면에서 돌출된 형태이면 충분하며,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비정형 이어도 무방하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산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조 공정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2)를 나타낸다. 상기 제2 실시예는 혼합물의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실시예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2)는 혼합부(23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경우, 혼합부(230)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이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230)가 수나사산 형상을 가지는 경우, 혼합부(230)와 튜브(210) 내면 사이에 혼합물의 이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혼합부(230)가 수나사산 형상인 경우 상기 이동 통로는 혼합부(23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혼합물은 상기 나선형의 이동 통로를 따라 회전하면서 절취부(2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력에 의해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 제1 실시예(11)에 비하여 이동 통로의 면적이 더 좁기 때문에 혼합물에 가해지는 압력은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혼합물의 전체 이동 거리도 제1 실시예(11)보다 더 길이질 수 있다. 따라서, 혼합물의 혼합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4의 혼합부(230)는 나선형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것인데, 이와 달리 이동 통로가 꺽인 직선 형상일 수도 있다. 이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3)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230)는 꺽인 직선 형상의 혼합물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압력 증가 및 이동 거리 증가 효과는 동일하며, 혼합물이 꺽인 부분에 충돌함으로 인한 난류 형성 효과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3)가 제2 박막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혼합부(230)가 미로 형태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2 저장부(220)의 제2 약물이 절취부(240) 방향으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2 저장부(220)와 혼합부(230) 사이에 제2 박막이 추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4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제4 실시예는 혼합물을 가압하여 충돌시키는 실시예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230)는 혼합물 이동 통로(236)가 구비된 판재(235), 및 상기 이동 통로(236)의 상부를 덮는 충돌부재(237)를 포함한다.
판재(235)는 튜브(210)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어 제2 저장부(220)의 일측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즉, 제2 저장부(220)의 일측은 판재(235)에 의해 가로막히고, 타측은 제1 박막(221)에 의해 가로막힐 수 있다.
판재(235)에는 복수개의 이동 통로들(236)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은 상기 이동 통로들(236)을 통과하여 절취부(24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동 통로(236)의 단면적은 튜브(210)의 단면적보다 더 작기 때문에 혼합물의 압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동 통로(236)의 하류에는 충돌부재(237)가 형성되는데, 충돌부재(237)는 튜브(210) 내면을 완전히 막지 않으면서도 이동 통로(236)를 덮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부재(237)는 반원 형태의 판재 한 쌍(238a, 238b)으로 구성되고, 상기 판재들(238a, 238b)은 이동 통로(236)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좁은 이동 통로(236)를 지나면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은 그 압력이 증가될 수 있고, 이동 통로(236)를 벗어나면서 절취부(240) 방향으로 강하게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된 혼합물은 충돌부재(237)와 충돌하게 되고, 충돌력에 의해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5)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는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눌렀을 때 제1 박막(221)이 확실하게 제거되도록 담보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00) 내부에는 제1 박막(221)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충돌부(250), 및 충돌부(25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돌부(250)는 제1 저장부(120)와 제2 저장부(220) 사이에 구비되며,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누르면 제2 저장부(2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돌부(250)의 제1 저장부(120)를 향하는 일측은 튜브(210)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제2 저장부(220)를 향하는 타측은 첨예한 선단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저장부(120) 방향의 압력면(251)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므로, 제1 저장부(120)의 압력을 그대로 전달받을 수 있다. 반면, 제2 저장부(220) 방향의 선단(253)은 뾰족한 형상을 가지며, 제2 박막(221)에 충돌하여 제1 박막(221)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충돌부(250)에는 제1 약물 이동을 위한 복수개의 통로들(25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상기 압력이 충돌부(250)를 제2 저장부(220)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충돌부(250)는 제1 박막(221)과 충돌하여 제1 박막(221)을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장부(120)의 제1 약물이 제2 저장부(220)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20)에서 제2 약물과 혼합된 제1 약물은 혼합부(230)를 지나면서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스토퍼(260)는 충돌부(2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스토퍼(261)는 제1 저장부(120)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고, 제2 스토퍼(263)는 제2 저장부(220)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혼합부(230)가 도 6에서 설명한 충돌 방식과 도 3에서 설명한 난류 형성 방식을 동시에 채용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판재(235)를 통과하면서 가압된 혼합물이 충돌부재(237)와 충돌하고, 이후 돌출부재(239)를 만나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각 부재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6)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는 복수 개의 혼합물 이동 통로를 가지는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부(230)는 제2 저장부(220)를 감싸는 튜브(tube) 형상의 유동관(2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관(239)은 제2 저장부(220) 외측에 형성되며, 일측은 제1 박막(221)을 매개로 제1 저장부(120)와 접하고 타측은 마개(3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환자가 제1 저장부(120)를 누르면 제1 박막(221)이 파손되고,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1 약물의 일부는 제2 저장부(220)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유동관(239)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 약물 중 일부는 제2 약물과 혼합된 이후 하류 방향으로 이동(F1 방향)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약물과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튜브(210) 내부에서 하류 방향으로 이동(F2 방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나누어진 제1 약물들은 제2 저장부(220) 이후의 튜브(210) 내에서 다시 혼합될 수 있다.
그런데, 제2 저장부(220)에서는 제2 약물의 존재가 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1 약물의 이동 속도가 다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관(239)으로 유입된 제1 약물과 제2 저장부(220)로 유입된 제1 약물의 이동 속도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경로로 이동한 제1 약물들이 서로 혼합될 때, 그 속도 차이로 인하여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율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저장부(220) 하류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혼합부(23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10, 11, 12, 13, 14, 15, 16)는 제1 약물과 제2 약물을 분리하여 보관함으로써, 약물 성분의 변질 없이 보다 오랜 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시에 즉시 약물들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비강 내로 투여함으로써 최상의 약물 투여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회용 사용이 가능하도록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를 소형화 함으로써 휴대성, 보관성, 오염 방지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1, 12, 13, 14, 15, 16: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100: 파지부 110: 바디
120: 제1 저장부 200: 삽입부
210: 튜브 220: 제2 저장부
230: 혼합부 240: 절취부
250: 충돌부 260: 스토퍼
300: 마개

Claims (10)

  1.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하는 파지부;
    튜브(tube)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내부에는
    ⅰ) 상기 제1 저장부와 연통하면서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저장부,
    ⅱ) 상기 제1 약물과 상기 제2 약물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 혼합부, 및
    ⅲ)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를 구분하는 박막
    을 포함하는 삽입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로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재; 및
    상기 판재를 중심으로 상기 제2 저장부 반대 방향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부를 커버하는 충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2.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하는 파지부;
    튜브(tube)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내부에는
    i) 상기 제1 저장부와 연통하면서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저장부,
    ii) 상기 제1 약물과 상기 제2 약물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 혼합부, 및
    iii)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를 구분하는 박막
    을 포함하는 삽입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로서, 상기 혼합부는,
    상기 튜브의 내측면과 상기 제2 저장부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박막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마개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1 약물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유동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약물의 일부는 상기 제2 저장부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유동관으로 유입되며, 상기 유동관을 통과한 제1 약물은 상기 제2 저장부를 통과한 제1 약물과 제2 약물의 혼합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3. 제1 약물을 수용하는 제1 저장부를 포함하는 파지부;
    튜브(tube) 형상을 가지며, 환자의 콧구멍 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며, 내부에는
    i) 상기 제1 저장부와 연통하면서 제2 약물을 수용하는 제2 저장부,
    ii) 상기 제1 약물과 상기 제2 약물의 혼합율을 증가시키는 혼합부, 및
    iii)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를 구분하는 박막
    을 포함하는 삽입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지 않은 상기 삽입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로서,
    상기 제1 저장부와 상기 제2 저장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박막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충돌부 및 충돌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암나사산 형상으로 상기 튜브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수나사산 형상으로 상기 튜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의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약물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복수 회 꺽인 직선 형상으로 상기 튜브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튜브 내부에 꺽인 직선 형상의 약물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상기 제1 약물이 충전되며 상기 박막에 접하는 약물 포켓;
    공기가 충전되며 상기 삽입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에어 포켓; 및
    상기 약물 포켓과 상기 에어 포켓을 구분하는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약물은 액상 또는 젤리상의 부형제이며,
    상기 제2약물은 펩타이드나 단백질의 액상, 고체 분말(powder) 또는 동결 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KR1020200125177A 2020-09-25 2020-09-25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KR102440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77A KR102440295B1 (ko) 2020-09-25 2020-09-25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177A KR102440295B1 (ko) 2020-09-25 2020-09-25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44A KR20220041644A (ko) 2022-04-01
KR102440295B1 true KR102440295B1 (ko) 2022-09-06

Family

ID=8118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177A KR102440295B1 (ko) 2020-09-25 2020-09-25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2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077A (ja) * 2001-01-12 2004-08-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薬剤吸入送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4535845A (ja) * 2001-01-12 2004-12-0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薬物の呼吸器用送出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9761T3 (es) 2011-01-31 2018-03-19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Ltd. Dispositivos de administración intranas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077A (ja) * 2001-01-12 2004-08-1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薬剤吸入送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4535845A (ja) * 2001-01-12 2004-12-02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薬物の呼吸器用送出装置、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44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2350B1 (ko) 추력 피스톤 펌프를 사용하는 유동성 매체 방출장치
KR100234611B1 (ko) 비강용 약제 투여 장치
JP4764601B2 (ja) 噴射装置および方法
US5797390A (en) Nasal inhaler having a directed spray pattern
ES2229113T3 (es) Dispositivo de aministracion respiratoria de medicamentos.
US5715811A (en) Inhaling type medicine administering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for
EP2629820B1 (en) Miniature fluid atomizer
JP2010515541A (ja) 経鼻カートリッジデバイス
KR100383147B1 (ko) 분말상약제투여디바이스
CN113350634A (zh) 喷雾给药装置和包括该装置的喷雾给药系统
WO2017088064A1 (en) Triggered quantal drug delivery device, method and system ("tqd3")
JPS636024B2 (ko)
KR100702653B1 (ko) 바늘없는 주사장치와 이로부터 입자를 배출하는 방법
TW200831147A (en) An ampou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obtaining a beautiful aperture plane by cleavage and a movable gasket
KR102440295B1 (ko) 비강용 약물 투여 장치
CN216169251U (zh) 喷雾给药装置和包括该装置的喷雾给药系统
WO1999058180A1 (en) Drug delivery device
ES2307612T3 (es) Sistema de administracion de medicamentos que incluye un portador y un recipiente de medicamento.
US11571532B2 (en) Intranasal device with dip tube
JP7393362B2 (ja) 二室式容器兼用注射器
CN219022752U (zh) 向鼻内喷射药液的喷雾头及其装置
CN214679608U (zh) 用于药粉吸入器的推钮及药粉吸入器
JP7258854B2 (ja) 複数回投与薬剤送達装置
CN220676177U (zh) 吸入器和用于显示吸入器的呼吸动作的呼吸指示器
US20230310767A1 (en) Drug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and dru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