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204B1 -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204B1
KR102440204B1 KR1020200135340A KR20200135340A KR102440204B1 KR 102440204 B1 KR102440204 B1 KR 102440204B1 KR 1020200135340 A KR1020200135340 A KR 1020200135340A KR 20200135340 A KR20200135340 A KR 20200135340A KR 102440204 B1 KR102440204 B1 KR 102440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gar
glucose
activity
amount
hyd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665A (ko
Inventor
김정은
추선
박성희
변성배
주재영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204B1/ko
Priority to PCT/KR2021/005035 priority patent/WO2022085882A1/ko
Priority to EP21882957.0A priority patent/EP4151745A4/en
Priority to CN202180046937.0A priority patent/CN115867666A/zh
Priority to JP2022579789A priority patent/JP7480367B2/ja
Priority to US18/012,916 priority patent/US20230257796A1/en
Publication of KR2022005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4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transfe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48Glycosyltransferases (2.4)
    • C12N9/1051Hexosyltransferases (2.4.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4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glucose or galacto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4/00Glycosyltransferases (2.4)
    • C12Y204/01Hexosyltransferases (2.4.1)
    • C12Y204/01005Dextransucrase (2.4.1.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효소, 특히, 덱스트란수크라제(dextransucrase) 중에서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 및 그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Novel enzyme activity measurement method}
본 출원은 효소, 특히, 덱스트란수크라제(dextransucrase) 중에서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 및 그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덱스트란수크라제(dextransucrase)는 설탕으로부터 포도당을 유리시키는 동시에 포도당의 고분자 중합반응을 촉매함으로써 고분자 물질인 덱스트란 또는 올리고당과 같은 다당류를 생산할 수 있다. 또는, 기질에 스테비아(스테비올 배당체), 폴리페놀 등과 같은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이의 넓은 기질 특이성으로 인해 설탕으로부터 포도당을 유리시킨 후 상기 스테비아, 폴리페놀 등에 포도당을 전달하는 당전이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당전이된 스테비아, 폴리페놀 등은 용해도가 개선되거나 맛이 향상되는 등 산업적 가치가 향상된다.
전술한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은 주로 유리된 과당을 측정함으로써 설탕이 과당 및 포도당으로 얼마나 가수분해되었는지를 분석하는 환원당 정량법(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DNS)으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덱스트란수크라제의 설탕의 가수분해 정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 당전이 활성은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DNS를 사용하여 개량된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할 경우, 당전이 활성이 우수한 덱스트란수크라제가 아닌, 설탕 가수분해 또는 덱스트란 중합 활성이 우수한 덱스트란수크라제만이 선별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상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DNS 이외의 방법은 없었던 바, 신규한 덱스트란수크라제 활성 측정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왔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덱스트란수크라제에 의한 설탕 가수분해 반응 이후의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 이후의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별 또는 개량하기 위한 고속 선별법을 개발하여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은 (i) 설탕에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ii) 설탕 및 당수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i) 설탕에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ii) 설탕 및 당수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환원당 정량법(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DNS)은 덱스트란수크라제가 설탕을 가수분해하는 정도를 확인하는 데에는 효율적이나, 당전이 활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당수용체에 당전이 되었는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데에도 역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은 유리포도당량 비교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한 데에 특징이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덱스트란수크라제(dextransucrase)"는 미생물로부터 분비되는 효소의 일종으로, 설탕으로부터 포도당을 유리시키는 동시에 포도당의 고분자 중합반응을 촉매함으로써 고분자 물질인 덱스트란 또는 올리고당과 같은 다당류를 생산하거나, 또는 기질에 스테비아(스테비올 배당체), 폴리페놀 등과 같은 당수용체가 존재하는 경우, 설탕으로부터 포도당을 유리시킨 후 상기 스테비아, 폴리페놀 등에 포도당을 전달하는 당전이 활성을 나타내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전술한 덱스트란수크라제 중, 기질에 스테비아, 폴리페놀 등과 같은 당수용체가 존재하는 경우, 설탕으로부터 포도당을 유리시킨 후 상기 스테비아, 폴리페놀 등에 포도당을 전달하는 당전이 활성을 나타내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의미한다. 즉, 본 출원에 있어서,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설탕 가수분해 활성 및 당수용체로의 당전이 활성을 포함하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일 수 있다.
상기 "당수용체"는 당전이되는 대상 물질을 의미하며, 본 출원에서는 포도당을 제외한 천연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스테비아 또는 폴리페놀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비아일 수 있으나, 당이 전이될 수 있는 천연물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스테비아(stevia)"는 국화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산 동명의 식물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의 잎에서 발견된 달콤한 맛을 내는 화합물이다. 스테비아는 인체에서는 대사되지 않아 혈당 반응을 유도하지 않으므로 당 대체제로써 감미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스테비아는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스테비올 글리코시드(steviol glycosides)로도 명명된다.
본 출원의 방법에 있어서, (i) 단계는 설탕에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는 농도별로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i) 단계는 기질로서 설탕과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되어 유리된 포도당량을 정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OD(Glucose oxidase)-POD(Peroxidase) 분석법, 환원당 정량법(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DNS), RID(Refractive Index Detector)를 이용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Liquid Chromatography, LC)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방법은 GOD-POD 분석법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방법에 있어서, (ii) 단계는 기질로서 설탕 및 당수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는 (i) 단계와 동일한 농도별로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ii) 단계는 설탕 및 당수용체의 혼합물과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을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되어 유리된 포도당량을 정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i) 및 (ii) 단계는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방법에 있어서, (iii) 단계는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는 (i)의 유리포도당량 수치에서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 수치를 제하여 비교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선별은 덱스트란수크라제 중에서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방법 중 (iii) 단계에서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한 결과, (i)의 유리포도당량에 비해 (ii)의 유리포도당량이 감소한 경우,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가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방법 중 (iii) 단계에서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한 결과, (i)의 유리포도당량이 (ii)의 유리포도당량과 유사한 경우,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가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이 없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선별은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의 활성 측정 또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방법 중 (iii) 단계에서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한 결과, (i)의 유리포도당량에 비해 (ii)의 유리포도당량이 감소한 경우,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가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방법 중 (iii) 단계에서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한 결과, (i)의 유리포도당량에 비해 (ii)의 유리포도당량이 감소하고,, 상기 감소된 수치가 덱스트란수크라제 농도별로 높아지거나 또는 다른 덱스트란수크라제에 비해 높은 경우, 수치의 감소 정도를 통해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의 당전이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i)의 유리포도당량에 비해 (ii)의 유리포도당량이 감소하는 정도가 클수록 덱스트란수크라제의 당전이 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서로 다른 덱스트란수크라제 간의 당전이 활성을 비교 및/또는 측정할 수 있다.
상기 (i) 단계의 가수분해 반응 및 (ii) 단계의 가수분해 반응 및 당전이 반응은 1시간 이내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효소에 따라 가수분해 반응 및 당전이 반응이 1시간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 상기 반응은 특별한 시간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설탕 가수분해 활성이 높고 당전이 활성이 낮으나 다당류 중합 활성이 높은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설탕을 가수분해한 후 포도당을 유리시켜 유리 포도당량이 증가하나 a), 당수용체(스테비아, 폴리페놀) 첨가시 b), 당전이 반응에 사용되는 포도당이 미량으로, 반응기 내 a)와 유사한 포도당이 남아있기 때문에, a)-b)의 값이 0에 수렴하게 된다(도 3 좌). 그러나, 설탕 가수분해 활성이 높고 당전이 활성이 높으나 다당류 중합 활성이 낮은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설탕을 가수분해한 후 포도당을 유리시켜 유리 포도당량이 증가하고 a), 당수용체(스테비아, 폴리페놀) 첨가시 b), 유리된 포도당이 당수용체에 전이 되기 때문에, a)-b)의 값은 당전이된 포도당량이라 할 수 있다. 이때, 당수용체(스테비아, 폴리페놀)에 대한 당전이 활성이 증가할수록 a)-b)의 값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우).
이에,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을 갖는 효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덱스트란수크라제의 a) 설탕 가수분해 및 b) 다당류 중합 또는 당전이 반응이 완료된 후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구별 및 선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방법은 덱스트란수크라제에 의한 설탕 가수분해 반응 이후의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 이후의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를 측정하여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 활성이 우수한 효소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선별 또는 개량할 수 있다.
도 1은 대조군 효소에 대한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이들의 차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실험군 효소에 대한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이들의 차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대조군 및 실험군 효소 농도별 당전이 경향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를 이용한 당전이 효소 활성 평가
200mM의 설탕 용액에 덱스트란수크라제(dextransucrase)의 활성별 효소액(0.5, 1.0, 2.0,3.0U/ml, 환원당 정량법(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DNS) 기준)을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킨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일차로 정량하고, 200mM의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동일 농도의 설탕 용액(200mM)에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별 효소액을 첨가하여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시킨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이차로 정량하였다. 두 정량값의 차이를 순수 당전이 포도당량이라 가정하여 효소의 당전이 활성을 평가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탕 단독 기질과 각각의 대조군 또는 실험군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0.5-3.0U/ml)을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되는 유리 포도당량을 GOD(Glucose oxidase)-POD(Peroxidase) 분석법을 이용하여 1차로 정량하였다(1). 또한, 설탕 및 스테비아 혼합 기질과 각각의 대조군 또는 실험군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0.5-3U/ml)을 혼합하여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GOD-POD 분석법을 이용하여 2차로 정량하였다(2). 이후, 상기 (1)의 정량값에서 (2)의 정량값을 제하여 효소 농도별로 당전이되는 포도당량이 경향성을 갖는지 확인하였다. 이때, 설탕 가수분해 활성은 보유하나 당전이 활성이 낮고 다당류 중합 활성이 높은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ATCC 13146 유래의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음성대조군으로, 설탕 가수분해 활성은 보유하나 당전이 활성이 높고 다당류 중합 활성이 낮은 락토바실러스 말리(Lactobacillus mali) DSM20444 균주 유래의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실험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대조군 효소에 대한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ATCC 13146 유래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하여, 설탕 가수분해 반응 후 방출되는 유리 포도당량을 GOD(glucose oxidase)-POD(Peroxidase) 분석법을 이용하여 1차로 정량하였으며(1), 설탕, 스테비아 혼합 기질을 이용하여, 가수분해/ 당전이반응 후 반응액내 유리 포도당량을 2차로 정량하였다(2). (1)-(2)의 값을 당전이 반응에 사용한 포도당량으로 예상하였고, (1)과 (2)의 값은 유사한 수준으로, (1)-(2)의 값이 0에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설탕 가수분해 활성은 보유하나 당전이 활성이 낮고 다당류 중합 활성이 높은 대조군 덱스트란수크라제는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표 1)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활성별, 반응시간별 경향성이 없으며(표 2 및 도 1), 설탕 가수분해 후 방출된 포도당이 바로 다당류 중합 반응의 기질로 사용되어, 반응액 내 유리포도당량이 낮게 검출되었다.
기질 구분 효소 활성(U/ml) 효소 반응시간 (hr)
0 0.5 1 2 4 6
설탕 가수분해 반응 후 유리포도당량 (1) 0.5 0.000 0.042 0.058 0.091 0.123 0.119
1 0.000 0.064 0.091 0.110 0.105 0.105
2 0.000 0.091 0.102 0.103 0.102 0.099
3 0.000 0.096 0.092 0.087 0.090 0.099
설탕 가수분해/스테비아 당전이 반응 후
유리포도당량 (2)
0.5 0.000 0.023 0.036 0.065 0.095 0.120
1 0.000 0.044 0.077 0.112 0.139 0.145
2 0.000 0.081 0.121 0.149 0.149 0.142
3 0.000 0.115 0.130 0.146 0.132 0.125
효소 활성(U/ml) 반응시간 (hr)
0 0.5 1 2 4 6
0.5 0 0.019 0.022 0.026 0.028 -0.001
1.0 0 0.02 0.014 -0.002 -0.034 -0.04
2.0 0 0.01 -0.019 -0.046 -0.047 -0.043
3.0 0 -0.019 -0.038 -0.059 -0.042 -0.026
실시예 3: 실험군 효소에 대한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
락토바실러스 말리 DSM20444 유래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하여, 설탕 가수분해 반응 후 방출되는 유리 포도당량을 GOD(glucose oxidase)-POD(Peroxidase) 분석법을 이용하여 1차로 정량하였으며 (1), 설탕, 스테비아 혼합 기질을 이용하여, 가수분해/당전이반응 후 반응액내 유리 포도당량을 2차로 정량하였다(2). (1)-(2)의 값을 당전이 반응에 사용한 포도당량으로 예상하였고, 당전이 활성이 높을수록 (1)-(2)의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3).
구체적으로, 설탕 가수분해 활성이 높고 당전이 활성이 높으나 다당류 중합 활성이 낮은 덱스트란수크라제는 반응 1시간에서 효소 활성별 경향성이 뚜렷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표 4 및 도 2).
기질 구분 효소 활성(U/ml) 효소 반응시간 (hr)
0 0.5 1 2 4 6 8
설탕 가수분해 반응 후 유리포도당량 (1) 0.5 0 0.058 0.112 0.224 0.369 0.467 0.508
1 0 0.129 0.217 0.358 0.536 0.557 0.56
2 0 0.232 0.369 0.511 0.592 0.573 0.575
3 0 0.289 0.472 0.62 0.548 0.57 0.533
설탕 가수분해/스테비아 당전이 반응 후
유리포도당량 (2)
0.5 0 0.02 0.046 0.096 0.189 0.231 0.244
1 0 0.05 0.097 0.168 0.258 0.263 0.256
2 0 0.099 0.177 0.226 0.26 0.269 0.261
3 0 0.153 0.23 0.295 0.273 0.273 0.252
효소 활성(U/ml) 반응시간 (hr)
0 0.5 1 2 4 6 8
0.5 0 0.038 0.066 0.128 0.18 0.236 0.264
1 0 0.079 0.12 0.19 0.278 0.294 0.304
2 0 0.133 0.192 0.285 0.332 0.304 0.314
3 0 0.136 0.242 0.325 0.275 0.297 0.281
실시예 4: 설탕 가수분해 후 유리 포도당량과 설탕 가수분해 및 당전이 후 유리 포도당량의 차이를 이용한 당전이 효소 활성 재현성 평가
실시예 1의 재현성 평가를 위해, 스테비아 농도, 효소농도를 변화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00mM의 설탕 용액에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별 효소액(0.5, 1.0, 3.0, 5.0U/ml, 환원당 정량법(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DNS) 기준)을 첨가하여 가수분해 반응시킨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일차로 정량하고, 100mM의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동일 농도의 설탕 용액(200mM)에 상기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활성별 효소액을 첨가하여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시킨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이차로 정량하였다. 두 정량값의 차이를 순수 당전이 포도당량이라 가정하여 효소의 당전이 활성을 평가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설탕 단독 기질과 각각의 대조군 또는 실험군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0.5~5.0U/ml)을 혼합하여 반응시킨 후,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되는 유리 포도당량을 GOD(Glucose oxidase)-POD(Peroxidase) 분석법을 이용하여 1차로 정량하였다(1). 또한, 설탕 및 스테비아 혼합 기질과 각각의 대조군 또는 실험군 덱스트란수크라제 효소액(0.5-3U/ml)을 혼합하여 반응 시간별로 가수분해 및 당전이 반응 후 유리되는 포도당량을 GOD-POD 분석법을 이용하여 2차로 정량하였다(2). 이후, 상기 (1)의 정량값에서 (2)의 정량값을 제하여 효소 농도별로 당전이되는 포도당량이 경향성을 갖는지 확인하였다 (표 5 및 6).
구분 효소활성(U/ml) 효소반응시간(hr)
0 0.5 1
대조군 0.5 0 0.042 0.042
1 0 0.018 -0.025
3 0 -0.012 -0.031
5 0 -0.032 -0.034
구분 효소활성(U/ml) 효소반응시간(hr)
0 0.5 1
실험군 0.5 0 0.105 0.172
1 0 0.17 0.244
3 0 0.365 0.317
5 0 0.467 0.456
그 결과, 반응 초기 단계인 반응시작 후 1시간 이내에서 효소 농도별 당전이 경향성이 나타난 바,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의 선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도 3).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i) 설탕에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ii) 설탕 및 당수용체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덱스트란수크라제를 반응시켜 유리포도당량을 정량하는 단계; 및
    (iii) 상기 (i)의 유리포도당량과 상기 (ii)의 유리포도당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 단계는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 (i)의 유리포도당량에 비해 (ii)의 유리포도당량이 감소한 경우,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은 덱스트란수크라제 중에서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은 당수용체에 당전이 활성을 갖는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선별 또는 그의 활성 측정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당수용체는 스테비아인 것인, 방법.
KR1020200135340A 2020-10-19 2020-10-19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KR102440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40A KR102440204B1 (ko) 2020-10-19 2020-10-19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PCT/KR2021/005035 WO2022085882A1 (ko) 2020-10-19 2021-04-21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EP21882957.0A EP4151745A4 (en) 2020-10-19 2021-04-21 NEW METHOD FOR MEASURING ENZYM ACTIVITY
CN202180046937.0A CN115867666A (zh) 2020-10-19 2021-04-21 测量酶活性的新方法
JP2022579789A JP7480367B2 (ja) 2020-10-19 2021-04-21 新規な酵素活性測定方法
US18/012,916 US20230257796A1 (en) 2020-10-19 2021-04-21 Novel method of measuring enzyme a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340A KR102440204B1 (ko) 2020-10-19 2020-10-19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65A KR20220051665A (ko) 2022-04-26
KR102440204B1 true KR102440204B1 (ko) 2022-09-05

Family

ID=8129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340A KR102440204B1 (ko) 2020-10-19 2020-10-19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57796A1 (ko)
EP (1) EP4151745A4 (ko)
JP (1) JP7480367B2 (ko)
KR (1) KR102440204B1 (ko)
CN (1) CN115867666A (ko)
WO (1) WO202208588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161B1 (ko) * 2003-11-04 2006-03-1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활성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생성하는 저온성 류코노스톡시트륨
KR101375627B1 (ko) * 2007-01-12 2014-03-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당전이 특성이 변형된 덱스트란수크라아제, 그덱스트란수크라아제의 유전자, 그 유전자를 포함하는재조합벡터, 및 이러한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
SG189463A1 (en) 2010-11-03 2013-05-31 Nestec Sa Intrinsic sugar reduction of juices and ready to drink products
US11785967B2 (en) 2015-04-29 2023-10-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Sugar reduction of food products
WO2018112189A1 (en) * 2016-12-14 2018-06-21 The Coca-Cola Company Preparing novel steviol glycosides by bioconvers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ou. D. Z. 등, Sugar Tech., 20, 페이지 60-68, 20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65A (ko) 2022-04-26
WO2022085882A1 (ko) 2022-04-28
EP4151745A4 (en) 2024-02-14
JP7480367B2 (ja) 2024-05-09
EP4151745A1 (en) 2023-03-22
JP2023531527A (ja) 2023-07-24
US20230257796A1 (en) 2023-08-17
CN115867666A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ganuma et al. A study of the mechanism of action of Taka-amylase A on linear oligosaccharides by product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
Lin et al. Small intestine mucosal α-glucosidase: A missing feature of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Ahluwalia et al.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tarch and β‐glucan in barley and malt
Hernández-López et al. Quantification of reducing sugars based on the qualitative technique of Benedict
Li et al. Profiling of carbohydrates in commercial beers and their influence on beer quality
Ishikawa et al. Substrate-dependent shift of optimum pH in porcine pancreatic. alpha.-amylase-catalyzed reactions
EP3387020B1 (fr) Hydrolysat d'amidon de basse viscosite presentant un comportement a la retrogradation ameliore
KR102440204B1 (ko) 신규한 효소 활성 측정방법
Houben et al. Determination of the pentosan content of wheat products by hydrolysis, glucose oxidase treatment and analysis by HPAEC/PAD
Yu et al. Malt protein inhibition of β-amylase alters starch molecular structure during barley mashing
Fan et al. Effects of maltogenic α-amylas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edible quality of rice cake
Dona et al. Starch granule characterization by kinetic analysis of their stages during enzymic hydrolysis: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studies
JP6236670B2 (ja) ビール様アルコール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hummanee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functional xylose glucoside and its application to prebiotic
Kitahara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recently bred sweetpotatoes in Japan
Craig et al. Polydextrose as soluble fiber and complex carbohydrate
Henry et al. Evaluation of a general method for measurement of (1→ 3),(1→ 4)‐β‐Glucans
Kawabata et al. Preparation of highly branched starch by glycogen branching enzyme from Neurospora crassa N2-44 and its characterization
US4814267A (en) Method for preparing high conversion syrups and other sweeteners
Bender A photometric assay for the initial rate of the cyclization reaction catalyzed by the cyclodextrin glycosyltransferase
Wang et al. Partial hydrolysis of waxy rice starch by maltogenic α‐amylase to regulate its structures, rheological properties and digestibility
Bonnin et al. Kinetic parameters of hydrolysis and transglycosylation catalyzed by an exo-β-(1, 4)-galactanase
Shibuya et al. Transglycosylation of glycosyl residues to cyclic tetrasaccharide by Bacillus stearothermophilus cyclomaltodextrin glucanotransferase using cyclomaltodextrin as the glycosyl donor
Ayoub et al. Enzymatic degradation of hydroxypropyltrimethylammonium wheat starches
Roy et al. Effect of composition on the structure and digestibility of starch in Idli ba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