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777B1 -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777B1
KR102439777B1 KR1020180062307A KR20180062307A KR102439777B1 KR 102439777 B1 KR102439777 B1 KR 102439777B1 KR 1020180062307 A KR1020180062307 A KR 1020180062307A KR 20180062307 A KR20180062307 A KR 20180062307A KR 102439777 B1 KR102439777 B1 KR 10243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chat room
information
read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6499A (ko
Inventor
윤희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7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for tracking mess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 H04L43/106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using time related information in packets, e.g. by adding timest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rdiolog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화방 내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대화방에 접속된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SSAGING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 기술과 관련된다.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가 복수의 단말을 이용하여 메시징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단말 각각의 사용자를 서로 다른 사용자로 간주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가 아닌 단말 별로 메시지를 읽은 상태를 동기화하기 때문에 특정 단말에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대화에 참여한 단말의 수만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읽음 상태를 대화에 참여한 사용자 별로 관리를 하고, 메시지 읽음 상태에 대한 정보를 메시징 서비스가 수행되는 대화방에 접속중인 사용자에게만 전송하여 메시징 송신 부하를 최소로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73343호 (2014.03.11.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화방 내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대화방에 접속된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대화방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는,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고, 상기 대화방 내에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화방 내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대화방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 중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 내에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갱신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대화방에 접속중인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만 전송함으로써 메시징 송신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에서 읽지 않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100)은 메시징 서버(110), 푸시(push) 서버(130) 및 사용자 디바이스(150)를 포함한다.
메시징 서버(110)는 다양한 형태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때, 메시징 서비스는 사용자 디바이스(150)에 설치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간의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이때,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호간에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메시징 서버(110)는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150)의 사용자로 전송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푸시 서버(130)에게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전송할 메시지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푸시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서버는(110)는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푸시 메시지 전송 이후, 사용자 디바이스(15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전송 요청을 받으면,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푸시 서버(130)는 메시징 서버(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이다. 예를 들어, 푸시 서버(130)는 메시징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해달라는 요청을 받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50)로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50)는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톱 PC, 랩톱 PC, 태블릿 PC, 패블릿(Phablet), PDA, 스마트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50)는 푸시 서버(130)로부터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시징 서버(110)로 푸시 메시지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요청을 하여 메시징 서버(110)로부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메시징 서버(110)에 포함된 일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210),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 및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를 포함한다.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210)는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읽은 메시지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대화방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는 사용자의 디바이스로부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측정된 시간일 수 있다.
한편, 대화방은 메시지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호간에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이때, 대화방에는 복수의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와 각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210)는 대화방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정보는 대화방에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언제 어떠한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정보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전송한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식별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메시지의 내용 및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가 대화방에 접속하여 대화방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메시지 확인 정보는 제1 사용자가 대화방에 전송된 메시지를 확인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 정보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확인 정보에 포함된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대화방에서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를 갱신하기 위해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대화방에서 제1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복수의 메시지 중 대화방에 가장 마지막으로 전송된 메시지를 판단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고,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메시징 서버(110)에서 설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된 시간을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기록할 수 있다.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대화방에 접속한 디바이스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에서 메시징 서버(110)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301).
제1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징 서버(110)는 제1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를 제외하고, 대화방에 참여중인 모든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A, 사용자 B 사용자 C)의 디바이스(152, 153, 154, 155)로 전송한다(302, 303, 304, 305).
사용자 B의 제1 디바이스(153)에서 제1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306),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10)로 전송한다(307).
메시징 서버(110)는 수신한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B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를 갱신하고, 사용자 B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대화방에 접속중인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로 전송한다(308).
한편,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푸시 메시지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및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대화방에서 읽지 않은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읽지 않은 메시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대화방에 전송된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푸시 메시지에 기초하여 읽지 않은 메시지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방에 전송된 메시지를 읽은 사용자의 수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대화방에 전송된 메시지를 읽은 사용자의 수를 산출하고, 대화방에 메시지를 읽지 않은 사용자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에서 메시징 서버(110)로 제1 메시지를 전송한다(401).
제1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징 서버(110)는 제1 메시지에 대한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를 제외하고, 대화방에 참여중인 모든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 A, 사용자 B 사용자 C)의 디바이스(152, 153, 154, 155)로 전송한다(402, 403, 404, 405).
사용자 B의 제1 디바이스(153)에서 제1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406),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메시징 서버(110)로 전송한다(407).
메시징 서버(110)는 수신한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B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를 갱신하고, 사용자 B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대화방에 접속중인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151)로 전송한다(408).
또한, 메시징 서버(110)가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 이후에 대화방에 접속 중이지 않던 사용자 B의 제2 디바이스(154) 및 사용자 C의 디바이스(155)가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409, 410), 메시징 서버(110)는 대화방에 접속한 시점에 사용자 B의 제2 디바이스(154) 및 사용자 C의 디바이스(155)로 사용자 B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411, 412).
한편,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제2 디바이스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고, 대화방 내에서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와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와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읽지 않은 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대화방에서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읽음 상태 갱신부(230)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대하여 대화방에서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읽은 것으로 갱신할 수 있다.
반면,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와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에 대한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가 동일한 경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는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대화방에 전송된 모든 메시지를 읽은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만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51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대화방에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520),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한다(5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 정보는 대화방의 식별 정보,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대화방에 접속한 디바이스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540).
이때,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1 사용자의 제2 디바이스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푸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제2 디바이스로 제1 사용자에 대한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610).
이후,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할 수 있다(620).
이후,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할 수 있다(63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에서 읽지 않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절차를 나타내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제2 디바이스가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710), 제2 디바이스로부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할 수 있다(720).
이후,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는 대화방 내에서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730).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210),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230) 및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250)와 같이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2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110: 메시징 서버
130: 푸시 서버
150: 사용자 디바이스
151: 사용자 A의 제1 디바이스
152: 사용자 A의 제2 디바이스
153: 사용자 B의 제1 디바이스
154: 사용자 B의 제2 디바이스
155: 사용자 C의 디바이스
200: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210: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
230: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
250: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

Claims (14)

  1.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저장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화방 내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대화방에 접속된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를 더 보유하고 있고,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는 전송이 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는 전송이 되지 않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대화방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는,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전송부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고, 상기 대화방 내에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8. 메시징 서비스의 대화방에 참여한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제1 사용자의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대화방 내 제1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는 제2 디바이스를 더 보유하고 있고,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갱신부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갱신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는 전송이 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에는 전송이 되지 않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대화방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 및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는, 상기 대화방의 식별 정보, 상기 제1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제1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제1 사용자가 읽은 마지막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를 상기 제1 메시지의 메시지 식별 정보로 갱신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메시지 읽음 상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상기 제1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디바이스 중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상기 대화방에 접속되지 않은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확인 정보를 수신한 이후 상기 대화방에 접속한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상기 갱신된 읽음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대화방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읽은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방 내에서 상기 마지막 메시지에 대한 타임 스탬프 이후에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62307A 2018-05-31 2018-05-31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3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07A KR102439777B1 (ko) 2018-05-31 2018-05-31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2307A KR102439777B1 (ko) 2018-05-31 2018-05-31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99A KR20190136499A (ko) 2019-12-10
KR102439777B1 true KR102439777B1 (ko) 2022-09-05

Family

ID=6900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307A KR102439777B1 (ko) 2018-05-31 2018-05-31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8112A1 (en) * 2021-02-04 2022-08-11 Sarath Kakumanu Information on status of sent or received message as copy and confidential copy with communication link in digital communication platfor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71B1 (ko) * 2016-04-07 2017-06-07 주식회사 파트너 메시지의 읽음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사용자 장치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43B1 (ko) 2007-01-30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 방법
KR101245177B1 (ko) * 2012-08-17 2013-03-19 주식회사 오픈비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문자메시지 수신여부 확인방법
KR20150051640A (ko) * 2013-11-05 2015-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메시지의 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71B1 (ko) * 2016-04-07 2017-06-07 주식회사 파트너 메시지의 읽음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 사용자 장치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6499A (ko)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659B2 (en) Shared and per-user bot group messaging method
US11140101B2 (en) Bot group messaging method
CN102567299A (zh) 使用文本消息与电子表格交互
KR102407334B1 (ko) 게이트웨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2311841B (zh)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2529715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への更新の統合
US114746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120259918A1 (en)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 with improve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US20220245005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inter-mini program platform discovery
KR102439777B1 (ko) 메시징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391658B (zh) 一种账号数据同步方法及其设备、存储介质、终端
US20210304150A1 (en) Rich communication services security recruiting system
KR101128623B1 (ko) 협업 문서 작성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07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knowledge service
CN108111374A (zh) 同步设备列表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1196657B1 (ko)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에 호환매개기능을 가지는 메시지 전달 시스템
US20220103511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aging data integration between an external email resource and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N117014422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17777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online conference
KR102461836B1 (ko) 챗봇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2341022B1 (ko) 컨퍼런스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컨퍼런스 접속 처리 방법
US8490202B2 (en) Method for masking data
CN110647767A (zh) 数据查看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34093B1 (ko) 데이터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110275387A1 (en) Communication 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