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745B1 -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745B1
KR102439745B1 KR1020220061071A KR20220061071A KR102439745B1 KR 102439745 B1 KR102439745 B1 KR 102439745B1 KR 1020220061071 A KR1020220061071 A KR 1020220061071A KR 20220061071 A KR20220061071 A KR 20220061071A KR 102439745 B1 KR102439745 B1 KR 10243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housing
closed chamber
seal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임병상
Original Assignee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져라이팅(주) filed Critical 레이져라이팅(주)
Priority to KR102022006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한 지면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은,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하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관체로 상기 밀폐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밀폐실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통해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상기 밀폐블록으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APPARATUS FOR ILLUMINATION HAVING SEALED CHAMBER MANAGEABLE AT NEGATIVE PRESSUR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EALED CHAMBER AT NEGATIVE PRESS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면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한 지면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들이 교통신호를 보다 확실히 인지하도록 하는 조치들이 강구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화면에 집중하고 있거나, 통화중이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주의가 산만해진 상태에서 보행자가 통상적인 지주형 보행 신호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으며, 보행신호가 정지신호로 바뀌는 과정에서 서두르다가 신호를 확실히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를 위해 횡단보도 시작 지점과 끝지점의 바닥면에 보행신호등을 설치하는, 이른바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설치하는 예가 늘어나고 있다.
이런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지면에 설치되어 빛을 상방으로 조사하는 지면 조명 장치의 일종으로서, 한 번 설치하고 나면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장시간 고장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지면 조명 장치는 지면 또는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수분이 침투하기 쉬우며, 수밀 처리를 하더라도 온도나 습도의 영향으로 내부의 LED 등과 같은 전기 소자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특히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 합선, 누전, 스파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면 조명 장치의 일종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보행신호등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하우징(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금속제의 상자 형상 부재이다. 하우징(10)의 일면에는 광투과성 소재로 된 투광판(20)이 설치된다. 하우징(10)과 투광판(20) 사이는 고무와 같은 탄성 소재로 된 실링(30)이 배치되어 외부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은 그 바닥면과 측벽이 지중에 매립되고 상면의 투광판(20) 부분만이 지면에 드러나게 된다.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은 필요에 따라 몇 개의 구획으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도 1의 예에서는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P)이 배치된 제1 공간(S1)과 배선이 지나가는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제2 공간(S2)로 구획되어 있다. LED로부터 나오는 빛은 투광판(20)을 투과하여 상측으로 조사되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LED로의 전원 공급이나 발광 기판(P)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인 부품들이 제1 공간(S1) 내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 사이에 격판(12)이 나사(40)에 의해 하우징(10)에 결합되고, 격판(12)과 하우징(10) 사이에도 실링(30)이 배치되어 제1 공간(S1)은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게 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서로 다른 부재 사이를 나사(40)로 결합하고 그 사이에 실링(30)을 삽입함으로써 제1 공간(S1)을 밀폐하여 밀폐실로 만들고 있으나, 접합이나 용접에 의해 밀폐실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공간(S2)의 바닥면은 바닥판(11)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과 바닥판(11) 사이에는 실링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실링을 추가하거나, 또는 양자를 접합, 용접할 수도 있다. 도시한 예와 달리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아예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면 조명 장치에 형성되는 밀폐실, 즉 제1 공간(S1)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폐되므로 수분이 밀폐실로 침투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밀폐실 내부의 공기에 이미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결로가 생성될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하면 결로가 증발하였다가 온도가 하강하면 다시 결로가 생기는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밀폐실 내부로 접근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전기 소자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함으로서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블록은 상기 개방구의 중심을 향해 압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는 상기 밀폐블록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강성 소재로 된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폐블록은 한 쌍이 상기 개방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은 서로 맞닿은 면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은 서로 밀착되도록 압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는,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을 적어도 부분적을 둘러싸는 강성 소재로 된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은,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하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에 있어서, 중공의 관체로 상기 밀폐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밀폐실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통해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상기 밀폐블록으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또는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와 동시에 건조 공기, 질소 및 불활성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밀폐실로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의 관체를 이용하여 밀폐블록을 관통함으로써 외부에서 밀폐실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밀폐실 내의 공기를 추출하거나 다른 기체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체를 밀폐블록으로부터 빼내는 것만으로 밀폐블록이 밀폐실을 자동적으로 밀폐하게 되므로, 밀폐를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 밀폐블록을 통한 밀폐실의 접근은 수 차례 반복할 수도 있으므로 밀폐실 내부의 부품에 대한 간단한 조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밀폐실 내의 공기를 추출하여 밀폐실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다른 기체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결로 현상을 억제하는 등, 밀폐실 내부에 배치된 전기 소자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면 조명 장치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은 생략하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하우징(10)은 도 1에 예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하우징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제1 공간(S1)은 하우징(10), 투광판(20), 격판(12) 및 실링(30)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폐된 밀폐실을 형성한다. 다만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A)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2의 예에서 개방구(A)는 하우징(10)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투광판(20)이나 격판(12)을 관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방구(A)에는 밀폐블록(100)이 밀착되어 설치되는데, 밀폐블록(100)에 의해 밀폐실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밀폐블록(100)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0)의 측벽을 향해 부착됨으로써 개방구(A)를 폐쇄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적절한 크기의 밀폐블록(100)이 개방구(A)에 삽입되어 밀폐실을 폐쇄하도록 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밀폐블록(100)은 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외부에서 예컨대 바늘과 같은 가늘고 긴 형상의 물체로 밀폐블록(100)을 관통시키더라도, 밀폐블록(100)이 그 관통시킨 물체의 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관통시킨 물체를 제거하면 그 탄성력에 의해 원래 자리로 복귀하여 관통되었던 구멍이 다시 폐색되므로, 추가적인 조치를 하지 않더라도 제1 공간(S1)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밀 유지 효과는 예컨대 주사용 약제의 보관용기로 사용되는 바이알(vial)을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다.
밀폐블록(100)의 탄성 변형 특성에 따라 밀폐블록(100)이 관통된 전후의 제1 공간(S1), 즉 밀폐실의 기밀 유지 효과가 영향을 받으므로, 밀폐블록(100)을 형성하는 소재는 신중히 선택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진 밀폐블록(100)에 대해서도, 압축된 상태라면 관통 전후의 기밀 유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로서, 밀폐블록(100)을 압축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밀폐블록(100)은 하단의 고정 프레임(111)과 상단의 슬라이드 프레임(112) 사이에서 개방구(A)를 폐쇄하고 있다. 고정 프레임(111)은 하우징(10)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드 프레임(112)은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너트 프레임(114) 역시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나사(113)를 너트 프레임(114)에 나사결합하여 조이면, 슬라이드 프레임(112)이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밀폐블록(100)을 압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3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의 제2 실시예에 더하여 고정 프레임(111)이 밀폐블록(100)의 하단 뿐만이 아니라 측면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밀폐블록(100)을 덮고 있는 케이싱을 형성하고 있다. 별도의 가늘고 긴 물체가 개방구(A)로 접근할 수 있도록 이 케이싱, 즉 고정 프레임(111)에도 상응하는 관통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 형태의 고정 프레임(111)은 세로방향(도면방향 기준 상하방향)으로의 압축에 대해 밀폐블록(100)이 가로방향(도면방향 기준 좌우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상쇄함으로써 밀폐블록(100)이 하우징(1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케이싱으로서의 고정 프레임(111)은 변형률이 적은 소재, 즉 강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밀폐블록(100)을 압축한 채로 개방구(A)에 삽입함으로써 밀폐블록(100)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제4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밀폐블록(100)은 상하로 분할된 한 쌍의 부재들(100a, 100b)로 이루어진다. 이들 한 쌍의 부재들(100a, 100b)은 개방구(A)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두 부재들(100a, 100b)이 맞닿는 면(G)에서는 별도의 가늘고 긴 물체를 관통시키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관통 용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두 부재들(100a, 100b)의 맞닿는 면을,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통시킨 물체를 제거하였을 때 두 부재들(100a, 100b)이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두 부재들(100a, 100b)을 서로 밀착되도록 압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강성 소재로 된 케이싱이 두 부재들(100a, 100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외부로부터 끝이 뾰족한 중공의 관체, 예컨대 주사바늘과 같은 형상의 물체로 밀폐블록(100)을 관통시켜 밀폐실 내로 삽입하면, 제1 공간(S1)을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그러면 진공 펌프 등을 이용하여 제1 공간(S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추출할 수 있고, 밀폐실 내부가 음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중공의 관체를 빼내면, 밀폐블록(100)이 자동적으로 밀폐실을 다시 밀폐하게 된다.
밀폐실이 음압으로 유지되면, 내부에 함유된 수분의 양이 적으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결로 현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밀폐실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과 다르게 유지하는 것은 밀폐블록(100)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므로 밀폐블록(100)이 기밀성을 유지하는 데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밀폐실은 음압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지만, 건조된 공기를 다시 주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 밀폐실로부터 공기를 추출한 이후에, 또는 공기 추출과 동시에 질소, 기타 불활성 기체를 주입함으로써 결로 방지 뿐만 아니라 산화 억제의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밀폐블록(100)의 기밀 유지 효과는 반복 사용 과정에서도 유지될 수 있어서, 하나의 밀폐블록(100)에 대해 수차례 관체를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며, 개방구(A)의 크기가 충분하다면 2개 이상의 관체를 한번에 관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개방구(A)의 크기가 작거나, 기타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 개방구(A) 및 밀폐블록(100)을 2개소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중공 관체가 아니라 중실의 뾰족한 막대로 밀폐블록(100)을 관통시키는 경우, 막대를 삽입하고 빼는 과정 전체에 걸쳐 밀폐실을 기밀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밀폐실 내에 배치된 기구나 장치에 대한 간단한 조작, 예컨대 딥스위치 온오프나 반사판의 각도 조절과 같은 조치를 밀폐실의 기밀을 유지한 채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진공 펌프 등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지면 조명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 밀폐실 내부에 대한 물리적인 조치가 필요할 때 특히 유용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블록은 한 쌍이 상기 개방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은 서로 맞닿은 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의 일측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2. 지면으로부터 매립되어 적어도 일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노출된 일면을 향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복수의 LED가 설치된 발광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기판을 수용하는 공간이 외부로부터 밀폐될 수 있는 밀폐실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실의 일측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개방구를 밀착하여 덮도록 설치되고 탄성 소재로 된 밀폐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블록은 한 쌍이 상기 개방구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은 서로 맞닿은 면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의 일측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밀폐블록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고정 프레임을 향해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공의 관체로 상기 밀폐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해 상기 밀폐실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통해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공의 관체를 상기 밀폐블록으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 이후에, 또는 상기 밀폐실의 공기를 추출하는 단계와 동시에 건조 공기, 질소 및 불활성 기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밀폐실로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의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20061071A 2022-05-18 2022-05-18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KR10243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071A KR102439745B1 (ko) 2022-05-18 2022-05-18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071A KR102439745B1 (ko) 2022-05-18 2022-05-18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745B1 true KR102439745B1 (ko) 2022-09-02

Family

ID=8328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071A KR102439745B1 (ko) 2022-05-18 2022-05-18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7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4103A (ja) * 2003-09-02 2005-03-24 Jms Co Ltd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ゴム栓
JP2007207641A (ja) * 2006-02-03 2007-08-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00034490A (ko) * 2008-09-24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10049098A (ko) * 2009-11-04 2011-05-12 피케이산전 주식회사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KR101940810B1 (ko) * 2017-11-29 2019-04-10 에이치엘비엘이디 주식회사 Led 진공 조명등 및 진공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4103A (ja) * 2003-09-02 2005-03-24 Jms Co Ltd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ゴム栓
JP2007207641A (ja) * 2006-02-03 2007-08-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00034490A (ko) * 2008-09-24 2010-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10049098A (ko) * 2009-11-04 2011-05-12 피케이산전 주식회사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KR101940810B1 (ko) * 2017-11-29 2019-04-10 에이치엘비엘이디 주식회사 Led 진공 조명등 및 진공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19940A1 (en) Intelligent energy-saving led flood light
KR20120102334A (ko) 발광소자 모듈
US7699489B2 (en) In-grade light fixture
TW200519316A (en) Linear fluorescent high-bay
CN205155814U (zh) 一种led照明装置
JP2013125674A (ja) 照明装置
KR102439745B1 (ko) 음압으로 유지될 수 있는 밀폐실을 구비한 지면 조명 장치 및 그 밀폐실을 음압으로 유지하는 방법
EP2527721A2 (en) Luminaire
KR20150046548A (ko) 전원 인가 기능 및 진공유지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CN103062720B (zh) 一种全方位信号灯
JP2005150003A (ja) 防爆照明器具および防爆照明システム
CN103363475A (zh) 光源结构及含有该光源结构的手电筒
KR101064405B1 (ko) 전등의 기밀 유지장치
RU87780U1 (ru) Взрывозащищенный светильник на светодиодах
JP2010104613A (ja) 展示ケース
KR101048871B1 (ko) 조명장치
CN102798058A (zh) 矿用隔爆型led巷道灯
KR20120097602A (ko) 진공 방수 투광기
JP2010009959A (ja) 照明器具
KR101905657B1 (ko) 클린룸용 조명장치
KR102036883B1 (ko) Led 진공 조명등
CN102466203B (zh) 一种灯具镇流器锁紧装置
KR101637235B1 (ko) 방수 및 투습성을 갖는 엘이디등기구
CN203571562U (zh) 防爆吸顶灯
CN216521253U (zh) 可调谐的集成光学led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