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52B1 -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52B1
KR102438652B1 KR1020200131969A KR20200131969A KR102438652B1 KR 102438652 B1 KR102438652 B1 KR 102438652B1 KR 1020200131969 A KR1020200131969 A KR 1020200131969A KR 20200131969 A KR20200131969 A KR 20200131969A KR 102438652 B1 KR102438652 B1 KR 102438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oil
housing
test objec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8736A (ko
Inventor
신건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티엠
Priority to KR1020200131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2Power-transmitting couplings or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3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relating to lubrication supply, e.g. pumps ; Press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장치는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테스트 대상물에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저장부재와, 상기 오일저장부재에 수용된 오일을 테스트 대상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튜브와, 상기 테스트 대상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부재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와 유출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자동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포함되는 단자부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접속되어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테스트 종료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테스트 수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OIL SUPPLYING APPARATUS FOR TEST OBJECT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되고, 테스트 종료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화석 에너지 고갈 문제를 해소하고 환경오염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환경적인 운송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차량과 전기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의미하며,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이용하여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된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와 전기 모터로만 주행되는 순수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는 전기 자동차의 짧은 주행거리와 높은 가격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개발된 전기 모터/배터리 및 내부 연소 엔진을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시켜 사용하고, 자동차 구동을 위한 연료로써 가솔린 연료를 사용한다.
전기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자동차 엔진을 사용하지 않으며, 배터리, 울트라 커패시터(Ultra Capacitor), 교류를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inverter)를 통해 모터(Motor)를 회전시키고, 변속기(Transmission)를 구동하여 자동차의 바퀴를 구동시킨다.
상기 인버터는 DC-DC 컨버터와 연결되어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DC 전압을 공급하고, 전자제어장치(ECU)는 조향 상태를 조절하는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PS, Electronic Power Steering) 및 액츄에이터(actuator), 브레이크(brake)와 연결되며, 자동변속기, ABS(Anti-lock brake system)의 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한다.
최근 들어, 전기 자동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전기 자동차에 이용되는 감속기 또는 모터 등의 부품에 대한 테스트 장치들이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에 이용되는 각종 부품들의 테스트 공정에서 상기 부품에 신속히 결합되어 냉각오일 등의 오일을 공급하고, 테스트 종료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 이탈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포함되는 오일유출입부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되어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냉각오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의 테스트 종료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냉각오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장치는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테스트 대상물에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저장부재와, 상기 오일저장부재에 수용된 오일을 테스트 대상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튜브와, 상기 테스트 대상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부재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와 유출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공급튜브 또는 유출튜브에 결합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체결단속구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는 상기 체결단속구를 지지하기 위한 가동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하우징은 스프링 지지되며, 상기 체결단속구의 수용을 위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동부의 전단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오일통과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의 후단부에는 가동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는 스프링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측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에서 상기 돌출부 앞에는 오링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전기자동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포함되는 오일유출입부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접속되어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부품의 테스트 종료 후에는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므로 테스트 수율을 높일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커플링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상기 장치에 포함되는 커플링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장치는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100)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테스트 대상물(10)에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저장부재(10)와, 상기 오일저장부재(10)에 수용된 오일을 테스트 대상물(100)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튜브(20)와,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부재(10)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튜브(30)와, 상기 공급튜브(20)와 유출튜브(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재(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오일 공급장치는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부품의 성능을 테스트 하는 때에, 감속기 내부로 냉각 오일을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오일저장부재(10)는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대상물(10)로 공급할 냉각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일 수 있다.
상기 오일저장부재(10)에 저장된 냉각 오일을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12)가, 상기 오일저장부재(10)와 테스트 대상물(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튜브(20)는 상기 오일저장부재(10)에 수용된 오일을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오일저장부재(10)와 테스트 대상물(10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펌프(1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오일저장부재(10)에 수용된 냉각 오일이 상기 공급튜브(20)를 통해 테스트 대상물(1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튜브(30)는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부재(10)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과 오일저장부재(1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 내부를 순환한 냉각 오일이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유출튜브(300)를 통해 상기 오일저장부재(10)로 회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튜브(20)와 유출튜브(30)의 단부에는 커플링부재(50)가 결합된다.
상기 커플링부재(50)를 통해 상기 공급튜브(20)와 유출튜브(30)를 테스트 대상물(100)의 오일유출입구(102)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하고, 테스트 종료 후에는 분리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부재(50)는 상기 공급튜브(20) 또는 유출튜브(30)에 결합되는 커넥터부(52)와, 상기 커넥터부(52)의 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부(54) 및 상기 하우징부(54)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56)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부(52)는 금속재로써 대략 "ㄱ" 형상으로 굽혀져 형성되며, 내부에는 냉각 오일이 유동될 수 있는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54)는 전방하우징부(544)와 후방하우징부(546)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하우징부(546)는 상기 커넥터부(52)에 견고히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부(546)의 전방에 상기 전방하우징부(544)가 결합되며,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와 후방하우징부(546) 간의 틈으로 냉각 오일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와 후방하우징부(546) 사이에는 오링(545)이 매개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내부에는 가동부(56)가 배치된다.
상기 가동부(56)의 내부에는 냉각 오일이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는 냉각 오일의 유출입을 위한 오일통과개구(5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56)의 전단부에는 테이퍼부(562)와 걸림턱(561)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부(562)에 의해 테스트 대상물(100)에 설치되는 오일유출입구(102)와의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56)는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56)의 후단부에는 가동플레이트(566)가 결합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566)는 상기 후방하우징부(546) 내부에서 상기 커넥터부(52)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의 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6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하우징부(546) 내부에 스프링(568)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의 돌출부(567)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568)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566) 및 가동부(56)는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내부에서 전방 부분으로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의 돌출부(567)가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의 내부턱(5442)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테스트 대상물(100)의 오일유출입구(102)에 상기 가동부(56)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568)에 의해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의 돌출부(567) 부분이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의 내부턱(5442)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상기 내부턱(5442)과 전방하우징부(544)의 내면 사이로 오일이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에서 돌출부(567)의 바로 앞부분에는 오링(569)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에는 체결단속구(57)가 배치되며,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외부에는 가동하우징(542)이 배치되어 상기 체결단속구를 지지한다.
상기 체결단속구(57)는 베이링과 같은 구(球)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하우징(542)에는 상기 체결단속구(57)의 외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54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동하우징(542)은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의 외면에 배치되는 스프링(548)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그리하여, 상기 스프링(548)의 지지에 의해, 상기 가동하우징(542)의 오목부(5422)가 상기 체결단속구(57)에 비해 전방(도 2 에서 우측)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가동부(56)의 전방부 걸림턱(561) 부분은 상기 체결단속구(57)와 접촉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커플링부재(50)가 테스트 대상물(100)의 오일유출입구(102)와 결합되기 이전에는, 상기 가동부의 걸림턱(561)이 상기 체결단속구(57)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단속구(57) 외측에 상기 가동하우징(542)의 내면(5424)이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오일유출입구(102)에 상기 커플링부재(5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가동하우징(542)을 후방(도 2 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내로 상기 오일유출입구(102)를 진입시킨다.
이때, 상기 가동하우징(542)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동하우징(542)의 오목부(5422)가 상기 체결단속구(57)를 대면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단속구(57)가 상기 오목부(5422) 내로 이동된다.
그리하여, 상기 오일유출입구(102)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하우징부(544) 내부로 진입되어, 상기 가동부(56)의 테이퍼부(562)와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동하우징(542)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상기 가동하우징(542)은 상기 스프링(54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동하우징(542)의 내면(5424)에 의해 간섭되어 이동된 상기 체결단속구(57)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오일유출입구의 경사면(104)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의 돌출부(567) 부분이 상기 전방하우징부(544)의 내부턱(5442)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566)와 전방하우징부(544)의 내면 사이로 냉각 오일이 유동되어 상기 커넥터부(52)로 진입된다.
그리고, 냉각 오일의 공급이 종료되어 상기 오일유출입구(102)로부터 커플링부재(5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가동하우징(542)을 후방부로 이동시켜 상기 체결단속구(57)가 상기 오목부(5422) 내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전방하우징부(544)가 상기 오일유출입구(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유출입구(102)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가동플레이트(566)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오일이 유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냉각오일저장부재
20: 공급튜브
30: 유출튜브
50: 커플링부재
52: 커넥터부
54: 하우징부
56: 가동부

Claims (7)

  1. 전기차에 이용되는 감속기와 같은 테스트 대상물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테스트 대상물에 공급할 오일을 저장하기 위한 오일저장부재와;
    상기 오일저장부재에 수용된 오일을 테스트 대상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튜브와;
    상기 테스트 대상물로부터 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저장부재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튜브와;
    상기 공급튜브와 유출튜브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부재는,
    상기 공급튜브 또는 유출튜브에 결합되는 커넥터부와,
    상기 커넥터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의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체결단속구가 상기 하우징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는 상기 체결단속구를 외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가동하우징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하우징은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동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단속구의 수용을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의 전단부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오일통과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의 후단부에는 가동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측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의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가동플레이트에서 상기 돌출부 앞에는 오링이 배치되며,
    상기 가동하우징이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체결단속구가 상기 가동하우징의 오목부 내로 이동되고, 상기 가동하우징에 가한 힘이 제거되면 상기 하우징부의 외면에 배치되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하우징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31969A 2020-10-13 2020-10-13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KR102438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69A KR102438652B1 (ko) 2020-10-13 2020-10-13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69A KR102438652B1 (ko) 2020-10-13 2020-10-13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36A KR20220048736A (ko) 2022-04-20
KR102438652B1 true KR102438652B1 (ko) 2022-08-31

Family

ID=8140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969A KR102438652B1 (ko) 2020-10-13 2020-10-13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75Y1 (ko) * 2003-10-22 2004-01-31 김근호 차량용 변속기의 성능시험장비용 증속기 냉각장치
KR101160318B1 (ko) 2010-03-29 2012-06-26 한국전력공사 수냉식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누수 시험 장치 및 누수 시험 방법
KR101609738B1 (ko) * 2014-12-30 2016-04-07 주식회사 오성에프에이 라디에이터의 기밀 테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2978A (ko) * 2017-11-29 2019-06-07 (주)씨티코리아 고압의 공기를 전달하는 호스 커플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0275Y1 (ko) * 2003-10-22 2004-01-31 김근호 차량용 변속기의 성능시험장비용 증속기 냉각장치
KR101160318B1 (ko) 2010-03-29 2012-06-26 한국전력공사 수냉식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누수 시험 장치 및 누수 시험 방법
KR101609738B1 (ko) * 2014-12-30 2016-04-07 주식회사 오성에프에이 라디에이터의 기밀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36A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0026B2 (en) Battery system to be deployed in a vehicle having a first battery and a second battery, battery control unit to be deployed in a battery system of a vehicle, and method related to the same
US10737578B2 (en) Semi-active partial parallel battery architecture for an automotive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033213B2 (en) Short circuit wake-up system and method for automotive battery while in key-off position
JP4577413B2 (ja) 車両
US11112463B2 (en) Integrated battery sensor for multiple battery modules
JP2010226840A (ja) 車両および充電装置
US10283824B2 (en) Thermal exchange assembly for vehicle battery
JP5103221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構造
US10543795B2 (en) Battery module connector barrel
US20160141572A1 (en) Liquid trap for a lithium ion battery system
US11424581B2 (en) Electric vehicle charge port illumination module
CN110293856A (zh) 配备有次级电池组的电气化车辆
KR102438652B1 (ko)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오일 공급장치
KR102441956B1 (ko)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냉각오일 공급 동기 순환장치
CN113428025A (zh) 用于电动化车辆的充电输入端选择器系统
US20220102821A1 (en) Solid-state relay dedicated recirculation path systems and methods
KR20210062074A (ko)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장착 클립
KR102515453B1 (ko)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단자접속장치
CN113614992A (zh) 端子盖
KR102529611B1 (ko) 전기차용 테스트 대상물 착탈결합장치
KR102441955B1 (ko) 전기차용 감속기 실차 조건 테스트장치
US11737249B2 (en) Multi-path cooling system and cooling system for eco-friendly vehicle applying the same
CN113557632A (zh) 用于电池模块的连接筒
CN101537796A (zh) 插电式电电混合式动力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