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622B1 - 캡슐형 침대 - Google Patents

캡슐형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622B1
KR102438622B1 KR1020210134547A KR20210134547A KR102438622B1 KR 102438622 B1 KR102438622 B1 KR 102438622B1 KR 1020210134547 A KR1020210134547 A KR 1020210134547A KR 20210134547 A KR20210134547 A KR 20210134547A KR 102438622 B1 KR102438622 B1 KR 102438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it
living space
stopp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식
Original Assignee
윤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식 filed Critical 윤성식
Priority to KR102021013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9/00Nets for protection against insects in connection with chairs or beds; Bed canopies
    • A47C29/003Bed canop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 E05B63/125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means carried by the bolt for interlocking with the keeper with a sliding bolt rotating about its axis, i.e. of bayon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침대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거주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후면측 하단이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덮개의 전면측 하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지시키는 록킹유닛과, 거주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거주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거주공간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발산하는 온도조절유닛 및, 록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지 상태를 제어하고, 인체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록킹유닛을 잠금 모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형 침대{capsule type bed}
본 발명은 캡슐형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중인 사용자를 외부의 위험 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캡슐형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목재, 금속 등을 이용한 프레임 위에 사용자가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매트리스가 놓여지며, 매트리스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구조와 소재로 제작된다.
종래의 침대 중에는 사용자가 내부의 거주공간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통로에 출입문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슐형 침대가 사용되고 있으며, 캡슐형 침대의 거주공간은 외부와 단절되므로 외부의 소음이 차단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의 침대는 단순히 휴식이나 수면을 취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뿐, 수면 중 외부의 침입자나 자연 재해(지진, 건물 붕괴, 물건 낙하 등)로 인한 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고, 캡슐형 침대의 경우 거주공간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아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9-0052837호(2019년 05월 1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절첩식 도어가 구비된 캡슐형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위험 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캡슐형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는 상부에 거주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후면측 하단이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와,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상기 덮개의 전면측 하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지시키는 록킹유닛과, 상기 거주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와, 상기 거주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거주공간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발산하는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지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모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을 냉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범위 이하인 경우 온도조절유닛을 열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거주공간의 전면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걸림홀과, 상기 덮개의 전면측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덮개를 폐쇄시 하단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상기 걸림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단과 상기 스토퍼의 전면 사이에 파지 간격이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의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에 걸림돌기가 돌출되는 레버 및,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레버를 상기 걸림 위치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체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 걸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상기 레버를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톱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제1톱니부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측면을 따라 다수의 제2톱니부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공간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고, 열기 또는 냉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의 하부로 열기 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중 하나 이상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면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위험 요소(침입자, 자연 재해 등)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거주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므로 외부 온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외부의 소음이 차단되므로 소음으로 인한 수면 장애,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가 잠금 해지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록킹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계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에 조명유닛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에 조명유닛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에 연결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에 연결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가 잠금 해지 위치로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록킹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구성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계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에 조명유닛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에 조명유닛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에 연결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의 스토퍼에 연결바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는 본체(100)와, 덮개(200)와, 록킹유닛(300)과, 인체 감지부(400)와, 온도 감지부(500)와, 온도조절유닛(600) 및, 제어유닛(7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하단이 설치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본체(100)의 상부에는 일정 넓이의 거주공간(110)이 형성되고, 거주공간(110)의 바닥면에는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매트리스(140)가 일정 넓이로 설치된다. 매트리스(140)는 거주공간(110)의 바닥면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본체(1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강화 플라스틱(reinforced plastic), 탄소섬유(carbon fibers), 비철금속(nonferrous metal)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거주공간(110)은 사용자가 누울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본체(100)의 가장자리측 상단을 따라 단턱부가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전면측 상단에는 후술 될 록킹유닛(300)의 손잡이(330)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절개부(130)가 전후로 관통될 수 있다. 제1절개부(130)는 상부로 개방될 수 있고, 본체(10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절개부(130)는 거주공간(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턱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덮개(200)는 후면측 하단이 본체(100)의 전면측 상단과 힌지부(210)를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힌지부(210)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회전축에 본체(100)의 후면측 상단과 덮개(200)의 전면측 하단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210)는 덮개(20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에는 외부에서 거주공간(110)으로 공기(A)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220) 및, 거주공간(110)의 공기(A)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배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주공간(110)과 외부의 공기(A)가 소통되므로 거주공간(110)으로 공기가 소통될 수 있다.
또한, 덮개(200)의 내주면에는 유입구(220)를 내부에서 커버하고,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A)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4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필터(240)는 유입구(220)의 공기(A) 유출 방향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고, 공기(A)에 포함된 오염물질(이물질, 먼지 등)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오염된 공기(A)를 필터링할 수 있어 거주공간(A)으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200)의 하부에는 휴대 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등의 물품(30)을 부착 및 수납하기 위한 거치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2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공간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슬라이드 인출 가능한 트레이(25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251)는 도 4에서처럼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공간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트레이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즉 거치부(250)의 하면에 휴대 단말기 등의 물품(30)을 부착시키거나 트레이(251)에 수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록킹유닛(300)은 본체(100)의 전면측 상단과 덮개(200)의 전면측 하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거주공간(110)의 내부에서 덮개(200)를 폐쇄시키는 경우 록킹유닛(300)은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전환되고, 거주공간(110)에 위치된 사용자가 후술 될 제어유닛(700)을 조작하거나 록킹유닛(300)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덮개(200)를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유닛(300)은 거주공간(110)의 전면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걸림홀(310)과, 덮개(200)의 전면측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덮개(200)를 폐쇄시 하단이 걸림홀(310)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321)이 걸림홀(31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320)와, 스토퍼(320)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단과 스토퍼(320)의 전면 사이에 파지 간격이 형성되는 손잡이(330)와, 스토퍼(320)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의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에 걸림돌기(341)가 돌출되는 레버(340) 및, 후술 될 제어유닛(7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레버(340)를 상기 걸림 위치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홀(310)은 록킹유닛(300)의 스토퍼(320)가 삽입 및 탈거되는 공간으로, 거주공간(1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고, 걸림홀(310)에 의해 본체(100)의 설치공간과 거주공간의 상부가 연동될 수 있다. 걸림홀(310)은 제1절개부(130)의 후방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될 수 있고, 매트리스(140)를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거주공간(11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20)는 걸림홀(310)과 대응되도록 덮개(20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구비는 것으로, 스토퍼(320)는 상단이 덮개(200)의 전면측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토퍼(320)의 상단은 좌우 방향으로 수평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에 의해 하단이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걸림단(321)은 스토퍼(320)의 하단을 걸림홀(310)의 하단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32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스토퍼(320)의 상단은 수평한 걸림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걸림단(321)의 하단은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30)는 사용자가 덮개(200)를 개방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하단을 파지할 수 있도록 후술 될 제2절개부(26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사용자는 손잡이(330)의 하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의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330)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덮개(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레버(340)는 본체(100)의 설치공간 내에서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돌기(341)의 위치를 변경시켜 스토퍼(32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지시킨다. 여기서 레버(3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레버(3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342)가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342)는 레버(340)의 폭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정전 등으로 인해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사용자는 파지부(342)를 파지한 상태에서 레버(340)를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시킨 후 스토퍼(320)를 잠금 해지 위치로 회동시킬 수 있다. 즉 정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파지부(342)를 이용해 덮개(20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탈출이 가능하다.
걸림돌기(341)는 스토퍼(320)를 전방에서 걸림 또는 걸림 해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걸림돌기(341)는 스토퍼(320)와 대응되도록 레버(34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예를 들어 레버(340)를 걸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걸림돌기(341)가 스토퍼(320)의 전면에 위치되고, 레버(340)를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걸림돌기(341)가 스토퍼(320)의 전면으로부터 회피된다.
구동부(350)는 레버(34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 될 제어유닛(700)의 조작부(71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되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350)의 구동축은 레버(340)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침대는 도 8에서처럼 레버(340)의 후단에 형성되고, 레버(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톱니부(343) 및, 구동부(350)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제1톱니부(343)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측면을 따라 다수의 제2톱니부(352)가 형성된 구동기어(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기어(351)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도 8에서처럼 레버(340)가 잠금 방향으로 이동되고, 걸림돌기(341)가 스토퍼(32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므로 스토퍼(320)가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으며, 스토퍼(320)가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스토퍼(320)의 하단이 걸림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360)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스토퍼(320)에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나 탄성부재(36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60)를 비틀림 스프링 형태로 적용하는 경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스토퍼(320)에 결합될 수 있고, 반대되는 타단이 덮개(2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200)의 전면측 하단에는 록킹유닛(300)의 손잡이(330)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절개부(260)가 전후로 관통될 수 있다. 제2절개부(260)는 전술한 제1절개부(130)와 대응되는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고, 하부로 개방될 수 있고, 본체(10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토퍼(320)는 제2절개부(260)의 내부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사용자가 손잡이(330)의 하단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제2절개부(260)가 제2절개부(26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스토퍼(3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의 축방향 양측이 제2절개부(26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거주공간(110)의 내부에서 덮개(200)를 폐쇄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 스토퍼(320)의 하단이 걸림홀(310)의 상방을 통해 수직하게 삽입되고, 스토퍼(320)의 하단이 걸림홀(310)의 후단과 접하면서 전방으로 회동되며, 스토퍼(320)의 하단이 걸림홀(3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탄성부재(360)의 복귀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된다. 이때 걸림단(321)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홀(310)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고, 덮개(200)가 거주공간(110)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이후, 구동기어(351)가 잠금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351)의 회전에 의해 레버(340)가 잠금 방향으로 이동되며, 걸림돌기(341)가 스토퍼(320)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므로 스토퍼(320)가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인(침입자 등)이 본체(100)의 외부에서 덮개(200)를 개방시킬 수 없고, 거주공간(110)에 위치된 사용자를 외부의 침입자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거주공간(110)의 내부에서 덮개(200)를 개방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후술 될 조작부(710)를 이용해 구동부(350)를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시키고, 스토퍼(320)의 후면을 전방으로 밀어 잠금 해지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덮개(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320)는 도 12와 13에서처럼 좌우 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스토퍼(320)의 마주하는 일측은 연결바(370)에 의해 함께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바(370)는 스토퍼(320)들의 간격만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37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전방으로 밀 수 있도록 거주공간(110)의 일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연결바(370)는 사용자가 거주공간(110)의 내부에서 스토퍼(320)을 잠금 해지 상태로 전환시킬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연결바(370)를 전방으로 미는 경우 스토퍼(320)들의 하단이 전방의 잠금 해지 위치로 함께 회동될 수 있고, 연결바(370)를 들어올려 덮개(20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거주공간(110)에 위치된 사용자가 후술 될 조작부(710)를 이용해 구동부(350)를 잠금 해지 모드로 구동시킨 후 연결바(370)를 전방으로 밀어 덮개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스토퍼(320)를 동시에 회동시킬 수 있어 덮개(200)를 쉽게 개방시킬 수 있다.
인체 감지부(400)는 거주공간(100)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 될 제어유닛(700)으로 인체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인체 감지부(400)는 덮개(200)의 내주면 또는 본체(100)의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센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체 감지부(400)는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후술 될 제어유닛(700)으로 전달하고, 제어유닛은 덮개(200)가 폐쇄위치로 회동되는 경우 구동부(350)를 구동시켜 레버(340)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켜 덮개(200)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시킨다.
온도 감지부(500)는 거주공간(1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 될 제어유닛(700)으로 온도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온도 감지부(500)는 개(200)의 내주면 또는 본체(100)의 상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감지부(500)는 구동시 거주공간(11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제어유닛(700)은 온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범위 이상인 경우 후술 될 온도조절유닛(600)을 냉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며, 온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범위 이하인 경우 온도조절유닛(600)을 열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600)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거주공간(110)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발산한다. 이를 위해 거주공간(110)의 바닥면에는 열기 또는 냉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통로(120)가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고, 온도조절유닛(600)은 본체(100)의 내부에서 통로(120)의 하부로 열기 또는 냉기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조절유닛(600)은 통로(120)의 하부에 동일 선상으로 설치될 수 있고, 통로(120)와 온도조절유닛(600)은 매트리스(140)의 외곽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조절유닛(600)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 열전소자(thermoelectric element)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조절유닛(600)은 두 개의 금속판(P형, N형)이 2개의 접점을 가지면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양단에 전류를 인가하는 경우 한 개의 금속판이 흡열하는 반면 다른 한 개의 금속판이 발열하며, 전류의 극성(+/-)을 역전시켜 흡열과 발열되는 방향을 반전시키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조절유닛(600)의 금속판들은 통로(120)의 하부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고, 후술 될 제어유닛(700)은 전류의 극성(+/-)을 역전시키면서 상부에 위치된 금속판을 흡열 또는 발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된 냉기 또는 열기는 통로(120)를 통해 거주공간(1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700)은 온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범위 이상인 경우 후술 될 온도조절유닛(600)을 냉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며, 온도 감지부(50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범위 이하인 경우 온도조절유닛(600)을 열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쾌적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거주공간(11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700)은 록킹유닛(300)과 온도조절유닛(6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유닛(700)에는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유닛(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7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유닛(700)은 본체(100) 또는 덮개(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조작부(710)는 사용자가 거주공간(110)의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거주공간(110)의 내부 또는 덮개(20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10)에는 록킹유닛(300)을 잠금 해지 상태로 조작하거나 거주공간(110)의 내부 온도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작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710)는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 적용될 수 있고, 정전식 터치 방식 등과 같은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작부(71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각종 정보가 표시되거나 선택할 수 있는 입력 메뉴,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침대는 도 10과 11에서처럼 덮개(20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거주공간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유닛(800)은 거주공간(110)은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조작부(710)의 조작을 통해 전원 온(ON)/오프(OFF) 상태, 조도 등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유닛(800)은 덮개(200)에 설치되고 제어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부(미도시) 및, 회로부에 실장되는 하나 이상의 램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램프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수면 중인 사용자의 신체를 외부의 위험 요소(침입자, 자연 재해 등)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거주공간(1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므로 외부 온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쾌적한 수면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외부의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소음으로 인한 수면 장애, 스트레스 등을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침대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사용자 20: 전원 공급유닛
100: 본체 110: 거주공간
120: 통로 130: 제1절개부
140: 매트리스 200: 덮개
210: 힌지부 220: 유입구
230: 배출구 240: 필터
250: 거치부 251: 트레이
260: 제2절개부 300: 록킹유닛
310: 걸림홀 320: 스토퍼
321: 걸림단 330: 손잡이
340: 레버 341: 걸림돌기
342: 파지부 343: 제1톱니부
350: 구동부 351: 구동기어
352: 제2톱니부 360: 탄성부재
370: 연결바 400: 인체 감지부
500: 온도 감지부 600: 온도조절유닛
700: 제어유닛 710: 조작부
800: 조명유닛 A: 공기

Claims (6)

  1. 상부에 거주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후면측 하단이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단과 상기 덮개의 전면측 하단을 잠금 또는 잠금 해지시키는 록킹유닛;
    상기 거주공간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부;
    상기 거주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상기 거주공간으로 열기 또는 냉기를 발산하는 온도조절유닛; 및
    상기 록킹유닛의 잠금 또는 잠금해지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인체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록킹유닛을 잠금 모드로 유지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닛을 냉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고, 온도 감지부로부터 전달되는 감지온도가 기준온도범위 이하인 경우 온도조절유닛을 열기발생 모드로 구동시키되,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거주공간의 전면측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걸림홀과,
    상기 덮개의 전면측 하단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덮개를 폐쇄시 하단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됨과 동시에 후방으로 돌출된 걸림단이 상기 걸림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전면에 구비되고, 하단과 상기 스토퍼의 전면 사이에 파지 간격이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의 잠금 또는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에 걸림돌기가 돌출되는 레버 및,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고, 상기 레버를 상기 걸림 위치 또는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인체 감지부로부터 인체 감지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스토퍼의 전방에 걸림 위치시키며,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레버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후 상기 레버를 잠금 해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주공간의 바닥면에는 매트리스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측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절개부가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제1절개부는 상부로 개방되며,
    상기 덮개의 전면측 하단에는 상기 손잡이가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2절개부가 전후로 관통되고, 상기 제2절개부는 하부로 개방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2절개부의 내부에서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의 하단을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절개부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스토퍼의 하단이 걸림 위치로 복귀되도록 복귀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침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후단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톱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제1톱니부와 맞물림 결합되도록 측면을 따라 다수의 제2톱니부가 형성된 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공간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관통되고, 열기 또는 냉기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통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통로의 하부로 열기 또는 냉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중 하나 이상에는 외부의 공기를 유입 및 배출시키기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에 구비되어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침대.
KR1020210134547A 2021-10-11 2021-10-11 캡슐형 침대 KR102438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47A KR102438622B1 (ko) 2021-10-11 2021-10-11 캡슐형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547A KR102438622B1 (ko) 2021-10-11 2021-10-11 캡슐형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622B1 true KR102438622B1 (ko) 2022-09-01

Family

ID=8328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547A KR102438622B1 (ko) 2021-10-11 2021-10-11 캡슐형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6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346A (ja) * 1999-12-28 2001-07-06 Daikin Ind Ltd 睡眠カプセル
KR100691211B1 (ko) * 2005-07-13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핸들 모듈
KR20180113746A (ko) * 2017-04-07 2018-10-17 권순호 방범용 개폐식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2346A (ja) * 1999-12-28 2001-07-06 Daikin Ind Ltd 睡眠カプセル
KR100691211B1 (ko) * 2005-07-13 200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사이드 핸들 모듈
KR20180113746A (ko) * 2017-04-07 2018-10-17 권순호 방범용 개폐식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7520B2 (ja) オン/オフ・スイッチ用のロックを備えたシュレッダ
KR100983343B1 (ko) 전기 밥솥
KR200488801Y1 (ko) 모듈 장착형 반려동물 이동가방
US20020165641A1 (en) Medical cart with electronically lockable pharmaceutical and narcotic drawers
US20220126750A1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DE60005243D1 (de) Heizung mit Türmechanismus für Warmhaltegerät für Kinder
JP5778817B1 (ja) 住宅用玄関ドアの自動開閉システム
KR102438622B1 (ko) 캡슐형 침대
JP2004250946A (ja) 引違い窓開閉装置
US20150260387A1 (en) Night lighting system, method and component kit
KR20120028101A (ko) 전기 밥솥
JP2007117561A (ja) 収納庫
KR101145971B1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
JP6660673B2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KR200462624Y1 (ko) 연동식 자동 미닫이 도어
JP2014239899A (ja) キャスター付スツール
KR20080092064A (ko) 전자식 내화 도어락
JP2005304522A (ja) 炊飯器
KR102255474B1 (ko) 도어 개폐장치
KR20110083850A (ko) 전기 밥솥
KR200488680Y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JP7116416B2 (ja) ドア構造及び枠部材
EP4056074A1 (en) Reclining furniture with hiding mechanism
JP2021168890A (ja) 便器上部ユニット
JP2004346565A (ja) 戸当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