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546B1 -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 Google Patents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546B1
KR102438546B1 KR1020187036413A KR20187036413A KR102438546B1 KR 102438546 B1 KR102438546 B1 KR 102438546B1 KR 1020187036413 A KR1020187036413 A KR 1020187036413A KR 20187036413 A KR20187036413 A KR 20187036413A KR 102438546 B1 KR102438546 B1 KR 10243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carafe
emulsifying
coffee machin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658A (ko
Inventor
지우세페 드롱기
안토니오 판시에라
안드레아 조 틀레
Original Assignee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드롱기 어플라이언스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90028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57Water-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6Means to produce beverage with a layer on top, e.g. of cream, foam or fr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84Electromagnetic waves
    • G01F23/292Light, e.g. infrared or ultraviol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Abstract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는 커피 분배기(3) 및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한 장치(4)를 갖는 몸체(2)를 포함하고, 장치는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카라페(carafe)(6) 및 카라페(6)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7), 및 상기 뚜껑 내부에서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해 뚜껑(7) 내에 존재하는 벤츄리 튜브(Venturi tube)(9)로 커피 기계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8)을 갖고, 장치(4)에는 상기 카라페(6)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우유의 분배를 중단하기 위해 카라페(6) 내의 우유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12)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본 발명은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통적인 커피 분배기 이외에,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한 장치가 또한 구비된 많은 유형의 커피 기계가 현재 시중에 나와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카라페(carafe) 및 이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 및 상기 뚜껑 내부에서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해 뚜껑 내에 존재하는 벤츄리 튜브(Venturi tube)로 커피 기계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카라페는 통상, 그것이 가득 찼을 때, 그의 무게가 뚜껑과 카라페 사이에 제공된 폐쇄 시스템 상에 완전히 놓이지 않도록 기계의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
더욱이,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은 그가 더 많은 카푸치노 또는 더 뜨겁거나 거품형성된 우유 음료를 제조하는 데 적합한 양의 우유를 수용할 수 있도록 큰 카라페를 갖는다.
전술된 내용은, 기계가 통상 시간이 설정되고 그에 따라서 사용되는 물 및 우유의 유형 및 온도로부터 유도되는 많은 물리적 변수에 의존하는 각각의 분배 사이클의 종료 시에 우유의 분배를 중단하도록 제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전술된 내용에 더하여,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를 분배하기 위한 공지된 시스템은 분배의 종료 시에 잔류 스팀의 위험한 제트 또는 분출(puff)이 아니더라도 성가시고 해로운 방출의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단점은 시간 설정된 사이클의 종료 시에 보일러 및 커피 기계 펌프 둘 모두가 카라페 내에서 유화되거나 가열될 우유가 존재하는지 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시에 스위치 오프된다는 사실에 주로 기인한다.
추가로, 공지된 커피 기계의 지지 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커피 기계의 카라페의 위치설정 및 크기는 항상 컵 부근에 있고, 따라서 쉽게 더러워지게 되고, 따라서 임의의 온도 또는 카라페 존재 센서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공지된 커피 기계의 지지 표면 상의 카라페의 존재는 공간을 완전히 없애고, 동일한 기계의 모서리에 배치된 장치에 의해 2개의 상이한 컵에 일 측에서 우유와 함께 또는 우유 없이 커피를 그리고 타 측에서 유화되거나 단순히 가열된 우유를 분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져서, 기계 외부에 배치되고 기계 내부의 우유를 수송하기 위한 튜브에 의해 그에 연결된 용기로부터 커피 기계의 우유 흡입이 일어나는 커피 기계의 큰 단점이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 기술의 전술된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라페 내에 삽입된 우유의 양과 관계없이 우유의 완전한 분배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유의 양 및/또는 카라페로부터의 우유의 분배 시간을 더 이상 설정할 필요 없는 사용자에 의한 사용을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유 분배의 종료 시에 위험할 수 있는 원하지 않는 스팀의 제트 및 분출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생적으로 깨끗한 영역에서 카라페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지부 및 카라페 표면을 더럽힐 수 있는 커피 및 우유의 얼룩 및 잔류물이 종종 발견될 수 있는 컵의 지지 표면에 대한 카라페의 제약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피 분배기 아래에 배치된 제1 컵의 존재와 수반하여 제2 컵 내의 우유 음료만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는 카라페 아래에서 우유가 또한 분배되는 컵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먼지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완벽한 사용을 항상 보장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유와 카라페 둘 모두의 존재를 동일한 센서에 의해 판독하는 능력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를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뿐만 아니라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이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커피 기계는 커피 분배기 및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고, 장치는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카라페 및 카라페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 커피 기계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 및 뚜껑 내부에서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해 뚜껑 내에 존재하는 벤츄리 튜브를 갖고, 장치에는 상기 카라페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우유의 분배를 중단하기 위해 카라페 내의 우유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이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는 단독으로,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에 적합하다.
단일 분량은 사용자가 카라페 내에 도입하는, 또한 이따금 가변되는, 우유의 전체량의 단일 용액 내의 완전한 분배를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카라페가 상기 커피 및/또는 상기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제1 컵을 위한 지지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유지되도록 상기 몸체에 대해 돌출된 위치로 상기 기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기계의 추가의 특징은 제1항에 종속된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특히, 검출 수단은 상기 저부에 근접하게, 상기 지지 표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기계 상에 배치되어 상기 카라페 내의 우유의 잔류량을 검출하고 상기 스팀의 발생을 사전에 중단하고 상기 카라페 내에 존재하는 우유의 전체량을 단독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배되는 스팀의 양을 실질적으로 사용한다.
검출 수단은 상기 카라페 내의 상기 우유의 상기 잔류량의 광학적 검출을 위한 적어도 제1 방출기 센서 및 제2 수신기 센서를 포함한다.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센서에 의해 양의 제1 부피 레벨 및 카라페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상기 카라페 내의 상기 우유의 상기 잔류량의 제2 부피 레벨을 검출하도록 적어도 제3 센서를 포함한다.
뚜껑은 상기 제1 컵의 상기 지지 표면에 직교하는 축을 실질적으로 갖는 위치로부터 상기 커피 분배기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커피의 유동과 교차하는 경사축을 갖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상기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의 분배기 튜브를 갖고, 분배기 튜브가 경사축을 갖는 경우, 상기 제1 컵 내에 상기 우유를 상기 커피와 함께 분배하고, 상기 분배기 튜브가 실질적으로 직교인 축을 갖는 경우 제2 컵 내에만 상기 우유를 분배한다.
카라페는 그의 위치의 가능한 이동을 제거하는 연결 장치에 의해 상기 뚜껑에 제거가능하게 구속되고, 상기 스팀이 분배되고 있을 때, 상기 커피 기계의 물 펌프 및 보일러가 활성화되고, 상기 우유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가 상기 카라페 내의 상기 우유의 상기 잔류량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펌프를 활성화된 상태로 남겨둔 채 상기 보일러를 비활성화시킬 때까지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되고 상기 분배기 튜브에 의해 분배된다.
상기 펌프의 활성화 및 상기 보일러의 비활성화 동안, 상기 커피 기계는 상기 카라페로부터 상기 우유를 분배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에 잔류 스팀을 방출하는 것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1, 제2 및 제3 센서는 적외선 센서이고, 장치는 상기 커피 기계의 상기 몸체의 완전히 외부에 있고, 상기 카라페는 한 번의 카푸치노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우유의 표준 분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부피를 갖는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서 비제한적인 예로서 예시된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바람직하지만 비배타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치가 기계의 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2개의 센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3개의 센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제1 및 제2 컵 내에 커피 및 우유를 동시에 분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가능성을 각각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의 스팀 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는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 도시되어 있다.
커피 기계는 커피 분배기(3) 및 우유(5)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한 장치(4)를 동일 면 상에 갖는 몸체(2)를 포함한다.
장치(4)는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카라페(6) 및 그의 폐쇄 뚜껑(7)을 갖는다.
후술되는 이유로 인해, 카라페(6)는 투명 재료로 되어 있다.
뚜껑 내부에는, 물 펌프 및 하나 이상의 보일러를 통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커피 기계 내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8)이 있다.
발생된 스팀은 상기 뚜껑 내부에서 상기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해 뚜껑 내에 존재하는 벤츄리 튜브(9)로 전송된다.
유리하게는, 장치(4)는 카라페(6)가 컵 또는 다른 용기가 정상적으로 배치되는 기계의 지지 표면(10)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되도록 상기 몸체(2)에 대해 돌출된 위치로 기계(1)와 제거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하기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표면(10) 상에서는, 적어도 상기 커피 및/또는 상기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를 수집하기 위한 제1 컵(11) 및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컵(2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1)는 또한 카라페(6)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기계(1)로부터 벤츄리 튜브(9)로의 스팀의 분배를 중단하는 주요 기능을 갖는, 카라페(6) 내의 우유(14)의 존재의 검출 수단을 갖는데, 이는 대체적으로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다.
특히, 검출 수단(12)은 카라페의 저부(13)에 근접하게 실질적으로 배치되도록 지지 표면(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기계(1)의 몸체(2) 상에 또한 배치된다.
장치(4) 및 그에 따른 카라페(6)의 하부 제약이 없는 이러한 특정 돌출된 위치설정은, 지지부 및 카라페 표면(6) 둘 모두의 표면을 더럽힐 수 있는 커피 및/또는 우유의 얼룩 및/또는 잔류물이 종종 발견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컵 지지 표면(10)에 대한 제약을 갖는 지지부와 달리 위생적으로 깨끗한 영역에서의 그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내용은 또한 검출 수단(12)의 위치설정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추가로, 카라페(6)의 유동적인(floating) 위치설정은 장치(4) 아래에 제1 컵(11) 및 제2 컵(20)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이들이 동시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커피 및 우유로 충전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뚜껑(7)은, 지지 표면(10)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갖는 위치로부터 커피 분배기(3)로부터 방출되는 커피의 유동과 교차하는 경사축을 갖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의 분배기 튜브(18)를 갖는다.
분배기 튜브가 경사축을 가질 때 카라페의 현수(suspension) 및 분배기 튜브(18)의 회전 가능성으로 인해, 분배기(3)에 의해 분배되는 커피와 함께 제1 컵(11) 내에 우유를 분배하고, 분배기 튜브가 실질적으로 직교인 축으로 배치될 때, 이는 제2 컵(20) 내에 우유만을 분배한다.
특히, 검출 수단(12)은 카라페 내에 남아 있는 우유(14)의 잔류량을 정확하게 검출하여 잔류 우유의 양의 부피에 비례하는 만큼 사전에 스팀의 생성을 중단하도록 카라페의 저부(13)에 근접하게 상기 기계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검출 수단(12)은 카라페 내에 존재하는 우유의 전체량을 단독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배되는 스팀의 양을 단지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검출 수단(12)은 카라페 내의 우유의 잔류량(14)의 광학적 검출을 위한 적어도 제1 방출기 센서(15) 및 제2 수신기 센서(16)를 포함하고, 또한 기계의 몸체(2)에 연결된 카라페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검출 수단은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센서(15, 16)에 의해 양의 제1 부피 레벨 및 카라페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카라페(6) 내의 우유의 잔류량의 제2 부피 레벨을 검출하도록 적어도 제3 센서(1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는 적외선 센서이고, 따라서 카라페가 우유로 가득 찬 경우, 우유가 그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그가 우유의 존재 또는 부재 및 카라페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검출하기 위해 원하는 대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는 사실로 인해 상기 내용이 가능하다.
스팀이 분배되고 있을 때, 커피 기계(1)의 물 펌프 및 보일러(도시되지 않음)가 활성화되고, 우유는 제1, 제2 및 제3 센서(15, 16, 17)가 카라페(6) 내의 우유의 잔류량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기계의 펌프를 활성화된 상태로 남겨두지만 기계의 보일러를 비활성화시킬 때까지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되고 분배기 튜브(18)에 의해 분배된다.
펌프의 활성화 및 보일러의 비활성화 동안, 상기 커피 기계는 카라페로부터의 우유의 분배를 완료하기 전에 잔류 스팀을 분배하는 것을 제공한다.
장치(4)는 커피 기계(1)의 몸체(2)의 완전히 외부에 있고 카라페(6)는 한 번의 카푸치노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우유의 표준 분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부피를 갖는다는 것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장치(4)가 돌출되고 그에 따라서 카라페의 중량이 뚜껑 상에 완전히 놓이기 때문에, 카라페는 센서가 항상 카라페 내의 잔류 우유의 양의 정확한 판독치를 갖는 것을 보장하도록 그의 위치의 가능한 이동을 제거하는 연결 장치에 의해 뚜껑에 제거가능하게 구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는, 카라페 내에 도입되는 우유의 양과 관계없이, 그것이 비워질 때까지 음료의 분배가 항상 정확하게 완료될 것이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센서의 사용은 우유의 존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카라페 내의 우유가 완료되었지만 컵 내의 음료의 외양을 손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에 대해 위험할 수 있는 동일한 분배기 튜브로부터의 성가신 스팀 제트를 제거하기 전에 컵 내의 우유의 분배를 중단하기 위해 커피 기계의 스팀의 벤츄리 튜브로의 분배를 가능하게 하거나 중단한다.
작동의 반복성의 보장은 센서 및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카라페에서의 우유의 잔류량의 검출에 의해 주어지고 카라페 내의 잔류량에 따라 스팀의 생성을 사전에 중단하는 것을 보장하여 기계의 내부 및 우유의 분배기 튜브 둘 모두로부터 시스템 내의 스팀 분출을 피하게 한다.
도 8이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은 기계 내의 스팀 방출 및 그에 따른 장치(4)로부터의 우유의 분배의 종료 시의 잔류물/분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팀 사이클의 기능을 도시한다.
단계(t1)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펌프 및 보일러에 의한 우유 음료의 분배 단계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스팀 압력이 y-축으로 표현된다.
단계(t2)는 센서에 의한 우유의 최소 레벨의 검출에 수반하고, 이는 보일러의 냉각 단계를 표현한다. 이러한 단계에서, 보일러는 꺼져있지만 펌프는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단계(t3)는 잔류 스팀의 방출 단계 및 분배의 종료이다.
단계(t4)는 분배 기능의 중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착안된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는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용이하고,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 있으며; 더욱이, 모든 세부 사항은 기술적으로 등가인 요소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재료 및 크기는 당업계의 요구 및 상태에 따라 임의의 것일 수 있다.

Claims (14)

  1.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로서, 커피 분배기(3) 및 상기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한 장치(4)를 갖는 몸체(2)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4)는
    상기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카라페(carafe)(6) 및 상기 카라페(6)를 폐쇄하기 위한 뚜껑(7), 및 상기 뚜껑(7) 내부에서 상기 우유를 유화시키고/시키거나 가열하기 위해 상기 뚜껑(7) 내에 존재하는 벤츄리 튜브(Venturi tube)(9)로 상기 커피 기계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을 운반하기 위한 수단(8)을 갖고,

    상기 몸체(2)에는
    상기 카라페(6)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우유의 분배를 중단하기 위해 상기 카라페(6) 내의 상기 우유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12)이 배치되며,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카라페(6) 내에 남아 있는 상기 우유의 잔류량의 광학적 검출을 위한 적어도 제1 방출기 센서(15) 및 제2 수신기 센서(16)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제1 및 제2 센서(15, 16)에 의해 측정된 제1 부피 레벨 및 상기 카라페(6)가 완전히 비어 있을 때 상기 카라페(6) 내에 남아 있는 상기 우유의 잔류량의 제2 부피 레벨을 검출하도록 적어도 제3 센서(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4)는
    상기 카라페(6)가 커피 및/또는 상기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를 수집하기 위한 적어도 제1 컵(11)을 위한 지지 표면(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 유지되도록 상기 몸체(2)에 대해 돌출된 위치로 상기 기계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카라페(6) 내에 존재하는 우유의 전체량을 단독으로 그리고 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배되는 스팀의 양을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카라페(6)의 저부에 실질적으로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지지 표면(10)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상기 기계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카라페(6) 내에 남아 있는 우유의 잔류량을 검출하고 사전에 상기 잔류량의 부피에 비례하는 시간만큼 사전에 상기 스팀의 생성을 중단하도록 저부에 근접하게 상기 기계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7)은
    상기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된 우유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 튜브(18)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 튜브(18)는 제1 컵(11)에 대한 상기 지지 표면(1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을 갖는 위치로부터 상기 커피 분배기(3)로부터 유출되는 커피의 유동과 교차하는 경사진 축을 갖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튜브(18)는 기울기를 가지며,
    상기 커피와 함께 상기 제1 컵(11) 내에 상기 우유를 분배하고, 축이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기 분배기 튜브(18)는 상기 우유만을 제2 컵(20) 내에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라페(6)는
    그의 위치의 가능한 이동을 제거하는 연결 장치에 의해 상기 뚜껑(7)에 제거가능하게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이 분배되고 있을 때, 상기 커피 기계 내 물을 이송시키는 펌프 및 보일러가 활성화되고, 상기 우유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15, 16, 17)가 상기 카라페(6) 내에 남아 있는 상기 우유의 잔류량을 검출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펌프를 활성화된 상태로 남겨둔 채 상기 보일러를 비활성화시킬 때까지 유화되고/되거나 가열되고 상기 분배기 튜브(18)에 의해 분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활성화된 모드에 있고 상기 보일러가 비활성화된 모드에 있는 경우, 상기 커피 기계는
    상기 카라페(6)로부터 상기 우유를 분배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에 잔류 스팀을 방출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센서(15, 16, 17)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4)는
    상기 커피 기계의 몸체의 완전히 외부에 있고, 상기 카라페(6)는 한 번의 카푸치노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우유의 표준 분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기 우유를 수용하기 위한 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를 유화시키고 가열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는 커피 기계(1).
KR1020187036413A 2016-05-17 2017-05-17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KR102438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50750 2016-05-17
ITUA2016A003528A ITUA20163528A1 (it) 2016-05-17 2016-05-17 Macchina da caffè con sistema di erogazione monodose di latte emulsionato e riscaldato
PCT/EP2017/061795 WO2017198688A1 (en) 2016-05-17 2017-05-17 Coffee machine with a system for a single dose dispensing of emulsionated and heated mil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658A KR20190028658A (ko) 2019-03-19
KR102438546B1 true KR102438546B1 (ko) 2022-08-31

Family

ID=56940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413A KR102438546B1 (ko) 2016-05-17 2017-05-17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045038B2 (ko)
EP (1) EP3442382B1 (ko)
JP (1) JP6976969B2 (ko)
KR (1) KR102438546B1 (ko)
CN (1) CN109152495B (ko)
AU (1) AU2017267260B2 (ko)
CA (1) CA3024340A1 (ko)
ES (1) ES2790099T3 (ko)
IT (1) ITUA20163528A1 (ko)
PL (1) PL3442382T3 (ko)
PT (1) PT3442382T (ko)
WO (1) WO2017198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6608A1 (de) 2018-07-10 2020-01-16 Miele & Cie.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Getränkeautomaten und Getränkeautomat
DE102018119166A1 (de) * 2018-08-07 2020-02-13 Miele & Cie. Kg Getränkeautomat mit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s Füllstandes in einem Vorratsbehälter
IT201900016031A1 (it) * 2019-09-10 2021-03-10 De Longhi Appliances Srl Macchina da caffè munita di caraffa latte
DE102019134260A1 (de) * 2019-12-13 2021-06-17 Miele & Cie.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Getränkeautomaten und Getränkeautom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305A1 (en) * 2004-04-21 2007-10-18 Marconi Gian C Device for Producing a Milk-Based Drink
US20120137894A1 (en) * 2009-08-04 2012-06-07 Wmf Wue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Device for storing milk
US20150027324A1 (en) * 2006-12-27 2015-01-29 Jura Elektroapparate Ag Method for dispensing milk portions in drink preparation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08813U1 (de) * 2007-06-21 2007-11-29 Mahlich, Gotthard Getränkezubereitungsgerät
ITFI20090177A1 (it) * 2009-08-03 2011-02-04 Saeco Strategic Services Ltd "un dispositivo di collegamento fra un vano refrigerato ed un erogatore di liqui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EP2386229A1 (de) * 2010-05-10 2011-11-16 Jura Elektroapparate AG Milchkühl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Kombination aus einem Milchkühler und einer Getränkebereit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Beziehen eines Milchvolumes
EP2594172B1 (de) * 2011-11-18 2013-08-21 Miele & Cie. KG Andockung Milchbehälter
EP2965671B1 (en) * 2014-07-07 2018-02-28 De'Longhi Appliances S.r.l. Milk container that can be associated with a coffee machine and coffee machine having such a milk container
CN204500352U (zh) * 2015-02-06 2015-07-29 江汉大学 一种饮水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305A1 (en) * 2004-04-21 2007-10-18 Marconi Gian C Device for Producing a Milk-Based Drink
US20150027324A1 (en) * 2006-12-27 2015-01-29 Jura Elektroapparate Ag Method for dispensing milk portions in drink preparation machines
US20120137894A1 (en) * 2009-08-04 2012-06-07 Wmf Wue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Device for storing mi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2382A1 (en) 2019-02-20
AU2017267260B2 (en) 2022-10-27
CA3024340A1 (en) 2017-11-23
US11045038B2 (en) 2021-06-29
CN109152495A (zh) 2019-01-04
PT3442382T (pt) 2020-05-19
WO2017198688A1 (en) 2017-11-23
AU2017267260A1 (en) 2018-12-06
CN109152495B (zh) 2021-05-07
EP3442382B1 (en) 2020-02-12
ES2790099T3 (es) 2020-10-27
US20190183283A1 (en) 2019-06-20
JP2019516498A (ja) 2019-06-20
JP6976969B2 (ja) 2021-12-08
PL3442382T3 (pl) 2021-02-08
ITUA20163528A1 (it) 2017-11-17
KR20190028658A (ko)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546B1 (ko) 유화되고 가열된 우유의 단일 분량 분배를 위한 시스템을 구비한 커피 기계
TWI694802B (zh) 改良的咖啡磨豆機
KR102546939B1 (ko) 커피 기계 및 관련 커피 추출 방법
US979657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able of determining a beverage volume of receptacles and corresponding method
RU2463245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уровня наполнения чашки, используемое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EP2865302B1 (en)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 filter holder of an espresso coffee machine
US20100229973A1 (en) Optical level detector for a beverage machine
US20160309951A1 (en) Consumable recognition system and beverage dispenser
KR102429717B1 (ko) 자동 세척식 커피 머신
CN103813740A (zh) 饮料制备机器
AU2010322737B2 (en) Milk emulsifying container for a coffee machine and machine comprising said container
US20140251151A1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CN114554914A (zh) 具有过滤器支架检测系统的咖啡研磨机
IT201900012396A1 (it) Contenitore, sistema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fluidi
US202303378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beverage brewing system
CN111356387B (zh) 配备有咖啡粉转移装置的咖啡机
WO2017061963A1 (en) A coffee machine comprising a residue container
IT201900012381A1 (it) Sistema, macchina e contenitore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alimentari fluidi
TW201347709A (zh) 用於不同尺寸容器之具有固持系統的施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