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320B1 -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320B1
KR102438320B1 KR1020200123803A KR20200123803A KR102438320B1 KR 102438320 B1 KR102438320 B1 KR 102438320B1 KR 1020200123803 A KR1020200123803 A KR 1020200123803A KR 20200123803 A KR20200123803 A KR 20200123803A KR 102438320 B1 KR102438320 B1 KR 10243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recycling
color
sorting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744A (ko
Inventor
유진호
유정민
유수민
Original Assignee
유 진 호
유 정 민
유 수 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진 호, 유 정 민, 유 수 민 filed Critical 유 진 호
Priority to KR1020200123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3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7/00Sorting by hand only e.g. of mail
    • B07C7/04Apparatus or accessories for hand 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65D25/36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formed by applying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질별 재활용 표식을 인식이 용이하게 표시하여 분리배출자가 용이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을 확인하여 분리배출할 수 있고, 재활용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선별작업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은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의 70~100%의 범위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플라스틱 재질에 따라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와; 사용자가 재활용 플라스틱에 색채로 표시된 재활용 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단계와; 수거자가 분리배출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선별작업장으로 운반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선별작업장에서 선별작업자가 운반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색채로 표시된 재질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채별로 선별하는 플라스틱 선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METHOD FOR COLLECTING RECYCLING PLASTIC}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질별 재활용 표식을 인식이 용이하게 표시하여 분리배출자가 용이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을 확인하여 분리배출할 수 있고, 재활용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선별작업자는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선별할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강하고, 가공하기 편리한 재료로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되고 버려지는 플라스틱은 환경오염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은 수거하여 재활용되고 있다.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수거된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선별한 다음, 세척, 분쇄 및 압출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사출용 펠릿으로 생산하게 된다. 생산된 사출용 펠릿은 각종 제품의 생산에 재활용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수거된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공정은 특정의 재질, 특히 경질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을 분리하여 골라내는 과정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질별 플라스틱을 선별하게 된다. 이러한 선별과정이 없이 서로 상이한 재질의 플라스틱을 혼합한 상태로 재활용하게 되면, 원하는 성질의 플라스틱을 얻지 못하게 된다.
플라스틱의 선별은 센서나 광학 장치등의 기계적 장치에 의한 자동 선별 또는 사람의 육안으로 확인하여 선별하는 수동 방식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 선별은 장치의 구입, 제조 비용이 높기 때문에 주로 수동 방식에 의해 플라스틱을 선별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동 방식의 플라스틱 선별은 작업자가 플라스틱에 표시된 재활용 및 재질표시 및 색깔을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여 종류별로 선별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쉽게 인식하기 곤란한 부분에 작은 기호와 색깔로 표시되거나, 플라스틱의 표면에 투명하고 볼록하게 각인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더구나, 컨베이어에서 빠르게 이동되는 플라스틱에서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플라스틱이 찌그러지거나, 이물질이 묻은 경우에는 재활용 및 재질표시의 식별이 곤란한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플라스틱이 이종으로 잘못 선별된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에서 인수를 거부하거나, 재차 선별작업에 따른 경영수지를 악화하는 이차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인식이 곤란한 위치에 표시된 재활용 및 재질표시로 인해 사용자도 재활용 유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 어려워 재활용 플라스틱이 제대로 분리수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81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319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 분리수거 및 선별이 용이하도록 하고 재활용되는 플라스틱량을 늘릴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은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의 70~100%의 범위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플라스틱 재질에 따라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와; 사용자가 재활용 플라스틱에 색채로 표시된 재활용 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단계와; 수거자가 분리배출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선별작업장으로 운반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선별작업장에서 선별작업자가 운반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색채로 표시된 재질표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채별로 선별하는 플라스틱 선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는 투명한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에는 플라스틱의 재질에 따라 다른 색채를 표시하고, 유색의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에는 플라스틱의 재질에 따른 색채와 대비되는 색채로 1차 바탕색으로 표시한 다음, 상기 바탕색 위에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색채를 2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색채로 표시함과 아울러, 제품의 외면 둘레의 70%이상에 해당되는 부분에 표시하여 식별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쉽게 재활용임을 식별하여 분리배출할 수 있고, 선별작업자는 찌그러지거나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도 선별컨베이어에서 용이하게 식별하여 재질별로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재활용 및 재질의 식별이 용이하므로 사용자의 분리배출 의향을 고취시킬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거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의 재질의 식별이 용이하므로 선별작업이 쉽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선별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거방법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에 색채로 표시되는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재활용 플라스틱인 페트병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색채로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페트병이 아닌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색채로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색채로 표시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의 수거방법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에 색채로 표시되는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재활용 플라스틱인 페트병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색채로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페트병이 아닌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색채로 표시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에서 재활용 플라스틱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색채로 표시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은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된 외면 둘레의 적어도 70%이상의 범위에 플라스틱 재질에 따라 재활용 및 재질을 다른 색채로 표시하는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100)와, 사용자가 표시된 색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일반쓰레기와 분리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을 배출하는 분리배출단계(200)와, 수거자가 분리배출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선별작업장으로 운반하는 분리수거단계(300)와, 선별작업장에서 선별작업자가 수거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표시된 색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채별로 선별하는 플라스틱 선별단계(400)로 이루어져 있다.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100)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된 외면에 재활용 표시(110) 및 재질표시(120)를 색채로 쉽게 인식될 수 있도록 표시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표시(110)는 세 개의 화살표가 삼각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된 외면에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부분에 작게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 선별작업자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재질표시도 재활용 표시의 하단에 알파벳 약자로 작게 표시되어 있어 쉽게 인식하기 곤란하였다.
게다가,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표시된 부분이 찌그러지거나 이물질이 묻으면 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된 외면 둘레에 적어도 70%이상의 범위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가 색채로 표시된다.
즉, 재활용 플라스틱이 원통형의 페트(PET)병(130)이 경우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가 원주의 70%이상 색채로 표시된다. 그리고, 각형의 플라스틱(140)일 경우, 외부에 노출되는 둘레의 70%이상 색채로 표시된다.
한편, 플라스틱 제품의 상표 및 홍보표시(150)는 플라스틱 제품의 높이기준 60%를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라스틱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필요하다.
색채로 표시되는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는 전체 색채로 표시될 수도 있고, 재활용 마크, 재질표시의 알파벳 약자 또는 한글과 함께 색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재활용 마크와 재질표시는 동일한 색채로 표시된다.
색채는 플라스틱의 재질별, 즉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PP(폴리프로필렌), PS(폴리스티렌), PVC(폴리염화비닐)별로 각각 다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PET를 빨강으로 규정하여 표시하면, 페트병의 상단에 원주의 대략 70%에 해당되는 외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빨강색의 띠로 표시되고, 이어서 빨강색으로 삼각형 형상의 재활용 표시가 표시된다.
한편, 재활용 플라스틱이 유색인 경우에는 외면에 표시되어야 할 재활용 및 재질표시에 따른 색채와 대비되는 색채로 1차 바탕색(160)이 표시된 다음, 바탕색(160) 위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에 따른 색채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재활용 플라스틱의 색상이 재활용 및 재질표시에 따른 색채와 대비되는 색채일 경우에는 바탕색을 생략하고 재활용 및 재질표시에 따른 색채가 표시될 수 있다.
PET인 재활용 플라스틱이 갈색일 경우에는 PET의 재질표시색인 빨강에 대비되는 색상으로 보색관계인 청록색으로 1차 바탕색이 표시되고, 청록색의 바탕색 위에 빨강색으로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표시된다.
또한, PET인 재활용 플라스틱이 청록색일 경우에는 바탕색을 생략하고, 외면에 빨강색으로 재활용 및 재질표시가 표시된다.
분리배출단계(200)는 사용자가 재활용 플라스틱을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재활용 플라스틱의 외면 둘레에 색상으로 표시된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를 쉽게 확인하여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을 모아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함에 배출하게 된다.
특히,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가 색상으로 쉽게 확인 가능한 부분에 표시되어 있어, 연령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재활용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재활용 플라스틱의 재활용 여부가 쉽게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분리배출 의향이 고취되어 재활용품 수거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분리수거단계(300)는 사용자가 분리배출한 재활용 플라스틱을 수거자가 수거하여 플라스틱 재질별로 선별하여 플라스틱 재활용 업체에 공급하는 선별작업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이다.
플라스틱 선별단계(400)는 수거된 여러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선별작업장에서 수거된 재활용 플라스틱을 선별작업자가 색상인 재질표시(12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채별로 선별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선별작업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적정 속도를 갖는 선별컨베이어로 이동시키는 중에 다수의 선별작업자가 재활용 플라스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재질별로 선별하게 된다. 이때, 선별작업자는 재질표시(120)가 색상으로 표시되어 있어 용이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식별하여 선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 플라스틱이 찌그러지거나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도 재질표시(120)인 색상이 외면의 70%이상 표시되어 있어 쉽게 식별가능하므로 선별작업이 용이하며, 이종으로 잘못 선별될 염려가 없고, 선별작업자의 피로도도 감소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은 재활용 플라스틱에 식별이 용이한 색상으로 재활용 및 재질표시(110,120)를 하고, 표시범위도 노출된 외면 둘레의 70%이상으로 하여 육안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재활용 플라스틱의 분리수거율이 향상되고, 속도를 갖는 선별컨베이어에서의 선별작업이 용이하여 선별작업속도가 향상되며, 선별작업자의 피로도도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 110 : 재활용 표시
120 : 재질표시 130 : 페트병
140 : 각형의 플라스틱 150 : 상표 및 홍보표시
160 : 바탕색 200 : 분리배출단계
300 : 분리수거단계 400 : 플라스틱 선별단계

Claims (2)

  1. 다양한 위치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의 70~100%의 범위에 재활용 및 재질표시를 플라스틱 재질에 따라 다른 색채로 표시되는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와;
    사용자가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에 색채로 표시된 재활용 표시의 일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단계와;
    수거자가 일반 쓰레기와 분리하여 배출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을 수거하여 선별작업장으로 운반하는 분리수거단계와;
    선별작업장에서 선별작업자가 운반된 다양한 재질의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을 색채로 표시된 재질표시의 일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색채별로 선별하는 플라스틱 선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및 재질 표시단계는
    투명한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에는 플라스틱의 재질에 따라 다른 색채를 표시하고,
    유색의 재활용 플라스틱의 노출되는 외면 둘레에는 플라스틱의 재질에 따른 색채와 대비되는 색채로 1차 바탕색으로 표시한 다음, 상기 바탕색 위에 플라스틱 재질에 따른 색채를 2차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KR1020200123803A 2020-09-24 2020-09-24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KR10243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03A KR102438320B1 (ko) 2020-09-24 2020-09-24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803A KR102438320B1 (ko) 2020-09-24 2020-09-24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44A KR20220040744A (ko) 2022-03-31
KR102438320B1 true KR102438320B1 (ko) 2022-08-31

Family

ID=8093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803A KR102438320B1 (ko) 2020-09-24 2020-09-24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41B1 (ko) 2022-06-02 2022-11-01 원윤준 친환경 단계별 친환경 업사이클 데이터 공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94B1 (ko) 2005-07-27 2006-07-20 곽희덕 수지 제품의 선별 및 재활용 장치
FI123620B (fi) * 2009-04-03 2013-08-15 Maricap Oy Menetelmä ja väline jätteenkäsittelyssä
KR101568175B1 (ko) 2014-11-13 2015-11-12 (주)에스엠테크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의 수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744A (ko)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572183A (en) Recycling method and taggant for a recyclable product
KR102438320B1 (ko) 재활용 플라스틱 수거방법
DE3520486C2 (ko)
WO2000044508A2 (en) Method of sorting and verifying type of plastic containers
AU2020364429A1 (en) Management of recyclable goods and their source materials
KR101965425B1 (ko) 비파쇄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장치
DE58909653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Altglas
WO2021074919A1 (en) Management of recyclable goods and their source materials
Kosior et al. Plastics recycling
Schlögl et al. Quantifying the delabelling performance using sensor-based material flow monitoring
JP5384231B2 (ja) キャップ分別装置
KR100248284B1 (ko) 색상이 채색된 분리수거용 쓰레기봉투
EP41770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orting mixed plastic packaging waste comprising pe, pet, pp, ps, mpo and films
KR20190097537A (ko) 쓰레기 종류별 조명안내 장치를 구비한 재활용품 수거대
US93952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glass processing
Gottesman Separation of poly (vinyl chloride) from poly (ethylene terephthalate) and other plastics using automatic sortation devices
TWI735259B (zh) 自動塑膠分類裝置
Arola et al. Evaluation of mechanical recycling op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CN207167740U (zh) 一种指导现场烟叶分级的示意装置
Zając et al.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in the Logistics Supply Chain–Overview
CA3228320A1 (en) A recyclable article for packaging
CN101898193B (zh) 一种处理垃圾的方法
Kosior et al. Intelligent labels as a basis For auto-sorting Of plastic packaging
Ogunrombi Advanced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Recycling of Black Plastics
Andersen et al. Plastic sorting at recycling centres: Guid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