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011B1 -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011B1
KR102438011B1 KR1020197000581A KR20197000581A KR102438011B1 KR 102438011 B1 KR102438011 B1 KR 102438011B1 KR 1020197000581 A KR1020197000581 A KR 1020197000581A KR 20197000581 A KR20197000581 A KR 20197000581A KR 102438011 B1 KR102438011 B1 KR 102438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vent
emergency inform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575A (ko
Inventor
야스아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29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시청자에의 제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구성을 실현한다. 방송 콘텐츠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가 배신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통지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제거를 실행시키고, 시그널링 긴급 정보 배신의 경우에는, 신속한 긴급 정보의 취득,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본 개시는,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방송파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 데이터를 표시부 등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 및 통신 데이터 대응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각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형태에 관계없이 배신 가능하게 한 데이터 배신 방식으로서 OTT(Over The Top)가 있다. OTT에 의한 배신 콘텐츠는 OTT 콘텐츠라 불리고, 또한, OTT를 이용한 화상(비디오) 데이터의 배신 서비스는 OTT 비디오나 OTT-V(Over The Top Video)라 불린다.
OTT-V에 따른 데이터 스트리밍 배신 규격으로서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HTTP) 규격이 있다. DASH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베이스로 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사용한 어댑티브(적응형) 스트리밍 배신에 관한 규격이다.
어댑티브(적응형) 스트리밍에서는, 방송국 등의 콘텐츠 배신 서버는, 데이터 배신처가 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비트 레이트의 동화상 콘텐츠의 세분화 파일과 이들의 속성 정보나 URL을 기술한 매니페스트 파일을 작성하여, 클라이언트에 제공한다.
클라이언트는, 매니페스트 파일을 서버로부터 취득하여, 자장치의 표시부의 사이즈나 이용 가능한 통신 대역에 따른 최적의 비트 레이트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네트워크 대역의 변동에 따라서 비트 레이트의 동적인 변경도 가능하고, 클라이언트측에서는, 상황에 따른 최적의 콘텐츠를 수시로 전환하여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져, 영상 끊김의 발생을 저감한 동화상 콘텐츠 재생이 실현된다. 또한, 어댑티브(적응형) 스트리밍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11-87103호 공보)에 기재가 있다.
방송국이나 그 밖의 콘텐츠 서버 등의 송신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PC, 휴대 단말기 등의 수신 장치에 대하여, 방송파 등에 의한 일방향 통신, 혹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쌍방향 통신, 일방향 통신을 사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나 규격화가, 현재, 한창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한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7227호 공보)가 있다.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관한 규격으로서, 현재,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3.0의 규격화가 진행 중이다.
ATSC3.0에서는, ATSC3.0 준거 물리층(ATSC-PHY)을 실장한 방송 배신용 디바이스(튜너 실장 디바이스) 상에, ATSC3.0 방송의 수신 처리 등을 실행하는 미들웨어(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를 실장시킴으로써, ATSC 방송용의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여,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제어에 의해, 인터넷 등에서 이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소위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그대로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출력 처리나, 방송파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나 핫스폿에 설치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서버(전용 서버 외에, PC, TV,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ATSC3.0 준거 물리층(ATSC-PHY), 및, 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를 실장한다.
이들 서버가, 일단 ATSC3.0 방송 서비스를 수신한 후, 네트워크(홈 네트워크나 핫스폿 등의 LAN/WiFi 등)를 통해, 유저 장치(PC, TV,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방송 수신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를 통해 전송된 방송 수신 데이터를 입력한 유저 장치는, 유저 장치의 재생 제어부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상에서 가동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TSC3.0 DASH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의 재생이나, 방송에 의해 배신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형태에서는, ATSC3.0 방송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해석 등을 실행하는 미들웨어(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가, 시그널링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즉시 해석 처리가 가능한 종단 디바이스가 된다.
미들웨어(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20)로부터 긴급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지진 발생이나 테러 발생 등의 긴급 정보이다.
미들웨어는, 이와 같은 긴급 정보의 수신을 검지한 타이밍에 가능한 한 빨리, 방송 서비스의 출력(표시) 제어를 실행하고 있는 재생 제어부(클라이언트)에 통지하여, 긴급 정보를 표시 데이터로서 출력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미들웨어가, 예를 들어 홈 서버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미들웨어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리모트의 클라이언트(PC, TV, 태블릿, 스마트폰 등)가 접속될 가능성이 있다.
이들 리모트의 클라이언트에서는, 각 클라이언트의 재생 제어부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다양한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다.
미들웨어는, 이와 같은 리모트 클라이언트의 재생 제어부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에 대해서도, 가능한 한 빨리 긴급 정보가 수신된 것을 통지하여, 긴급 정보를 표시 데이터로서 출력시키는 것이 필요로 된다.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화상 상에 긴급 메시지가 중첩된 방송 콘텐츠를, 미들웨어로부터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하고 있어도, 그 화면 상에 스마트폰이 실행하는 어떠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제시물이 표시되면, 긴급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에 의해 가려져 버려, 스마트폰의 유저(시청자)가 긴급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에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을 삭제시키는 처리를 요구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EAS(Emergency Alert System)라 불리는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이 정비되어 있고, 이 EAS를 이용하여, 다양한 긴급 정보, 예를 들어 기상 재해 정보나, 테러 정보, 그 밖의 긴급 피난 정보 등을 재빨리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EAS를 이용하여 통지되는 긴급 정보에는, 예를 들어 대통령으로부터의 메시지 등, 국가 레벨의 통지 사항이나, 주, 혹은 지방 정부 레벨의 로컬의 통지 사항 등, 다양한 상이한 레벨의 긴급 정보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8710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57227호 공보
본 개시는, 예를 들어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수신 데이터의 해석 등을 실행하는 미들웨어가 긴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 미들웨어를 통해 수신 데이터의 재생을 실행하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에 통지하여, 클라이언트에 의한 긴급 정보의 확실한 제시를 실현하는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는,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는,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5 측면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6 측면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가,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나 첨부하는 도면에 기초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시청자에의 제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구성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가 배신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통지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제거를 실행시키고, 시그널링 긴급 정보 배신의 경우에는, 신속한 긴급 정보의 취득,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구성에 의해,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시청자에의 제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부가적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송신 장치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ROUTE/FLUTE 프로토콜 스택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긴급 정보의 송수신과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긴급 정보의 송수신과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긴급 정보의 송수신과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긴급 정보의 송수신과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긴급 정보의 송수신과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긴급 정보 송신 통지 데이터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긴급 정보 송신 통지 데이터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MP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MP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이벤트 통지 MPD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MPD의 이용 시퀀스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이벤트 정보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는 세그먼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이벤트 정보를 저장한 세그먼트 내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이벤트 정보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세그먼트 내에 설정한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긴급 정보,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세그먼트 내에 설정한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이벤트 처리 서버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를 갖는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이벤트 처리 서버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긴급 정보,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0은 이벤트 처리 서버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의 생성, 송신, 이용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1은 통신 장치인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2는 통신 장치인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항목에 따라서 행한다.
1.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2.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FLUTE 및 ROUTE에 대하여
3.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실행하는 통신 처리예에 대하여
4. 긴급 정보의 송신과 출력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5. 수신 장치의 구성예와 처리예에 대하여
6. 시그널링 데이터를 적용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에 대하여
7. 이벤트 통지 구성에 대하여
7-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 대하여
7-2.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대하여
8.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를 위한 이벤트 통지 구성에 대하여
8-1.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8-1-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8-1-2.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8-1-3.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8-2.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8-2-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8-2-2.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8-2-3.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9. 이벤트 정보의 전송 전용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갖는 구성예에 대하여
9-1.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9-2.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10.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11. 본 개시의 구성의 정리
[1.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에 대하여]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은,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인 송신 장치(20)와, 송신 장치(20)가 송신하는 콘텐츠를 방송파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 장치인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송신 장치(20)가 송신하는 콘텐츠를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를 갖는다.
송신 장치(20)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방송국(21)이나 콘텐츠 서버(22) 등,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는,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구비한 수신 장치이다. 예를 들어 일반 유저의 클라이언트 장치나 홈 서버, 공공 시설에 설치된 중계 서버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중계 서버(홈 서버 등을 포함함)(31), 텔레비전(32), PC(33), 휴대 단말기(34) 등이다.
또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는 방송파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수신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PC(41), 휴대 단말기(42) 등이다.
송신 장치(20)와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쌍방향 통신, 일방향 통신, 혹은, 방송파 등에 의한 일방향 통신 중 적어도 어느 것, 혹은 양자를 이용한 통신으로서 행해진다.
송신 장치(2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에 대한 콘텐츠 송신은, 예를 들어 어댑티브(적응형) 스트리밍 기술의 규격인 DASH(MPEG-DASH) 규격에 따라서 실행한다.
또한,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HTTP) 규격은, 전술한 바와 같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베이스로 한 스트리밍 프로토콜을 사용한 어댑티브(적응형) 스트리밍 배신에 관한 규격이다.
MPEG-DASH 규격에는, 이하의 2개의 규격이 포함된다.
(a) 동화상이나 음성 파일의 관리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매니페스트 파일(MPD :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에 관한 규격,
(b) 동화상 콘텐츠 전송용의 파일 포맷(세그먼트 포맷)에 관한 규격,
송신 장치(2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에 대한 콘텐츠 배신은, 상기의 MPEG-DASH 규격에 따라서 실행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가 수신한 콘텐츠는, 네트워크(가정 내이면 홈 네트워크(LAN/WiFi 등), 핫스폿이면 WiFi 등)를 통해,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에 전송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는, 송신 장치(20)가 송신한 콘텐츠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송신 장치(20)는, 콘텐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데이터 및 부호화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부호화 처리는, 예를 들어 MPEG에 있어서 규정되는 MP4 파일 포맷에 따라서 행해진다. 또한, 송신 장치(20)가 MP4 형식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의 부호화 데이터의 파일은 「mdat」, 메타데이터는 「moov」나 「moof」 등이라 불린다.
송신 장치(20)가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에 제공하는 콘텐츠는, 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나,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문서, 회화 및 도표 등의 영상 데이터나, 게임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데이터이다.
송신 장치(20)의 송신 데이터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MPEG-DASH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송신 장치(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나누어 이하의 복수 종류의 데이터의 송신을 행한다.
(a) 시그널링 데이터(50)
(b) AV 세그먼트(60)
(c) 그 밖의 데이터(ESG, NRT 콘텐츠 등)(70)
AV 세그먼트(60)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재생하는 화상(Video)이나, 음성(Audio) 데이터, 즉 예를 들어 방송국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콘텐츠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MP4 부호화 데이터(mdat)나, 메타데이터(moov, moof)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AV 세그먼트는, DASH 세그먼트라고도 불린다.
한편, 시그널링 데이터(50)는, 프로그램표 등의 프로그램 예정 정보나, 프로그램 취득에 필요로 되는 어드레스 정보(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 또한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코덱 정보(부호화 방식 등) 등의 제어 정보, 안내 정보, 통지 정보, 어플리케이션 제어 정보, 또한, 지진 정보, 테러 정보 등의 긴급 정보 등, 다양한 정보에 의해 구성된다.
이 시그널링 데이터(50)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데이터로서 송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된다.
시그널링 데이터는, 수시로, 반복하여 송신된다. 예를 들어 100msec마다 등, 빈번하게 반복하여 송신된다.
이것은, 수신 장치(클라이언트)가, 언제라도, 바로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클라이언트(수신 장치)는, 수시로, 수신 가능한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필요한 프로그램 콘텐츠의 액세스용 어드레스의 취득이나, 코덱 설정 처리 등, 프로그램 콘텐츠의 수신 및 재생에 필요한 처리를 지체없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진 정보, 테러 정보 등의 긴급 정보에 대해서도, 큰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많은 수신 장치에 평생동안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데이터(70)는, 예를 들어 ESG(Electronic Service Guide), NRT 콘텐츠 등이 포함된다.
ESG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이며, 예를 들어 프로그램표 등의 안내 정보이다.
NRT 콘텐츠는 논리얼타임형의 콘텐츠이다.
NRT 콘텐츠에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인 수신 장치(30)의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파일, 동화상, 정지 화상 등의 데이터 파일 등이 포함된다.
도 2에 도시한 이하의 데이터, 즉,
(a) 시그널링 데이터(50)
(b) AV 세그먼트(60)
(c) 그 밖의 데이터(ESG, NRT 콘텐츠 등)(70)
이들 데이터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에 따라서 송신된다.
[2.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FLUTE 및 ROUTE에 대하여]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는 멀티캐스트에 의해 전송하는 콘텐츠의 세션 관리를 행하는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송신 장치인 서버측에서 생성되는 파일(URL과 버전에 의해 식별됨)은, FL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수신 장치인 클라이언트에 송신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는, 예를 들어 기억부(클라이언트 캐시)에, 수신 파일의 URL 및 버전과 파일을 대응지어 축적한다.
동일한 URL이며 버전이 상이한 것은 파일의 내용이 갱신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FLUTE 프로토콜은 일방향 파일 전송 제어만을 행하는 것이며, 클라이언트에 있어서의 파일의 선택적인 필터링 기능은 없지만, FLUTE에 의해 전송 제어하는 파일을 그 파일에 관련지어지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측에서 취사 선택함으로써, 선택적인 필터링을 실현하고, 유저의 기호를 반영한 로컬 캐시를 구성ㆍ갱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메타데이터는, FLUTE 프로토콜에 확장되어 내장될 수도 있고, 별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프로토콜에 의해 기술할 수도 있다.
또한, FLUTE는, 당초 멀티캐스트에 있어서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서 사양화되었다. FLUTE는, FDT와, ALC라 불리는 스케일러블한 파일 오브젝트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 구체적으로는 그 빌딩 블록인 LCT나 FEC 컴포넌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종래의 FLUTE는, 주로 비동기형의 파일 전송에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현재,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관한 규격화 단체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에 있어서, 브로드캐스트 라이브 스트리밍에도 적용하기 쉽게 하기 위한 확장을 행하고 있다. 이 FLUTE의 확장 사양이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라 불린다.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관한 규격의 하나로서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는 규격으로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3.0이 있다. 이 ATSC3.0은, ROUTE를 종래의 FLUTE 프로토콜로 치환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나, ESG, 혹은 비동기 파일, 동기형 스트림 등의 송신에 채용한 스택 구성을 규정하고 있다.
[3.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실행하는 통신 처리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가 실행하는 통신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프로토콜 스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예는, 이하의 2개의 통신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2개의 프로토콜 스택을 갖는다.
(a)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도 포함함) 통신(예를 들어 방송형 데이터 배신)
(b) 유니캐스트(브로드밴드) 통신(예를 들어 HTTP형의 P2P 통신)
도 3의 좌측이 (a) 브로드캐스트 통신(예를 들어 방송형 데이터 배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의 우측이, (b) 유니캐스트(브로드밴드) 통신(예를 들어 HTTP형의 P2P 통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의 좌측에 도시한 (a) 브로드캐스트 통신(예를 들어 방송형 데이터 배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은, 하위 레이어로부터 순서대로, 이하의 레이어를 갖는다.
(1) 브로드캐스트 물리 레이어(Broadcast PHY)
(2) IP 멀티캐스트 레이어(IP Multicast)
(3) UDP 레이어
(4) ROUTE(=확장형 FLUTE) 레이어
(5) ESG, NRTcontent, DASH(ISO BMFF) 및 Video/Audio/CC, 시그널링(SLS : Service Level Signaling)
(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s(HTML5))
또한, (2) IP 멀티캐스트 레이어(IP Multicast), UDP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로서도 시그널링 데이터의 레이어가 설정된다.
시그널링 레이어는,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50)의 송수신에 적용되는 레이어이다.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프로그램표 등의 프로그램 예정 정보나, 프로그램 취득에 필요로 되는 어드레스 정보(URL 등), 또한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코덱 정보(부호화 방식 등) 등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 제어 정보, 또한, 지진 정보, 테러 정보 등의 긴급 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2개의 상이한 타입의 시그널링 데이터가 있다.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는, 각 서비스 단위, 예를 들어 각 프로그램 단위의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이다.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는, SLS보다 상위의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SLS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시그널링 데이터는, 수신 장치(클라이언트)가 수신, 재생하는 AV 세그먼트의 액세스 정보나, 복호 처리 등의 수신 후의 처리에 필요로 되는 안내 정보나 제어 정보도 포함하고, 송신 장치로부터 수시로 반복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이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제공 정보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서비스 단위의 시그널링 데이터인 USD(유저 서비스 디스크립션(User Service Description))가 있다.
USD에는, 다양한 종류의 제어 정보가 포함된다. 대표적인 제어 정보로서, 콘텐츠(AV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안내 정보, 제어 정보를 저장한 매니페스트 파일을 갖는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미디어 프리젠테이션 디스크립션(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가 있다.
각종 시그널링 데이터는, 각각 수신 장치(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AV 세그먼트나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수신, 재생 처리, 제어 처리에 필요로 되는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카테고리별로 개별의 파일(메타파일)로서 설정되어,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1) 브로드캐스트 물리 레이어(Broadcast PHY)의 상위 레이어로서 장래의 새로운 프로토콜의 이용 허용 레이어(Future Extensibility)가 설정되어 있다.
(1) 브로드캐스트 물리 레이어(Broadcast PHY)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예를 들어 방송계의 통신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에 의해 구성되는 물리 레이어이다.
(2) IP 멀티캐스트 레이어(IP Multicast)는, IP 멀티캐스트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레이어이다.
(3) UDP 레이어는, UDP 패킷의 생성, 해석 처리 레이어이다.
(4) ROUTE 레이어는, 확장형 FLUTE 프로토콜인 RO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 데이터의 저장이나 취출을 행하는 레이어이다.
ROUTE는, FLUTE와 마찬가지로, ALC라 불리는 스케일러블한 파일 오브젝트의 멀티캐스트 프로토콜이며, 구체적으로는 그 빌딩 블록인 LCT나 FEC 컴포넌트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에, ROUTE 및 FLUTE에 관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다.
(5) ESG, NRTcontent, DASH(ISO BMFF) 및 Video/Audio/CC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DASH 규격에 따른 동보형 배신 서비스는,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라 불린다. 이 MBMS를 LTE에서 효율적으로 실현시키는 방식으로서 eMBMS(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가 있다.
MBMS나 eMBMS는, 동보형 배신 서비스이며, 특정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는 수신 장치인 복수의 유저 단말기(UE)에 대하여 공통의 베어러로 일제히 동일 데이터, 예를 들어 영화 콘텐츠 등을 배신하는 서비스이다. MBMS나 eMBMS에 따른 동보 배신에 의해, 배신 서비스 제공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다수의 스마트폰이나 PC, 혹은 텔레비전 등의 수신 장치에, 동일한 콘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MBMS 및 eMBMS는, 3GPP 파일 포맷(ISO-BMFF 파일, MP4 파일)에 따른 파일을, 전송 프로토콜 ROUTE, 또는 FLUTE에 따라서 다운로드하는 처리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하의 데이터, 즉,
(a) 시그널링 데이터(50)
(b) AV 세그먼트(60)
(c) 그 밖의 데이터(ESG, NRT 콘텐츠 등)(70)
이들 데이터의 대부분은 ROUTE 프로토콜, 또는 FL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송신된다.
(5) ESG, NRTcontent, DASH(ISO BMFF) 및 Video/Audio/CC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이다.
ESG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이며, 예를 들어 프로그램표 등의 안내 정보이다.
NRTcontent는 논리얼타임형의 콘텐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NRT 콘텐츠에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인 수신 장치의 브라우저상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파일, 동화상, 정지 화상 등의 데이터 파일 등이 포함된다.
Video/Audio/CC는, DASH 규격에 따라서 배신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등, 재생 대상으로 되는 실제 데이터이다.
(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s(HTML5))는, ROUTE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생성, 혹은 해석,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의 출력 제어 등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이며, 예를 들어 HTML5를 적용한 데이터 생성, 해석, 출력 처리 등을 행한다.
한편, 도 3의 우측에 도시한, (b) 유니캐스트(브로드밴드) 통신(예를 들어 HTTP형의 P2P 통신)에 대응하는 프로토콜 스택은, 하위 레이어로부터 순서대로, 이하의 레이어를 갖는다.
(1) 브로드밴드 물리 레이어(Broaband PHY)
(2) IP 유니캐스트 레이어(IP Unicast)
(3) TCP 레이어
(4) HTTP 레이어
(5) ESG, Signaling, NRTcontent, DASH(ISO BMFF) 및 Video/Audio/CC
(6) 어플리케이션 레이어(Applications(HTML5))
(1) 브로드밴드 물리 레이어(Broaband PHY)는, 브로드밴드 통신을 실행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 등의 통신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의 통신 제어부에 의해 구성되는 물리 레이어이다.
(2) IP 유니캐스트 레이어(IP Unicast)는, IP 유니캐스트 송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레이어이다.
(3) HTTP 레이어는, HTTP 패킷의 생성, 해석 처리 레이어이다.
이 상위 레이어는, 도 3의 좌측의 (a) 브로드캐스트 통신(예를 들어 방송형 데이터 배신)의 스택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송신 장치(서버)(20),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는, 도 3의 2개의 처리계, 즉,
(a) 브로드캐스트 통신(예를 들어 방송형 데이터 배신)
(b) 유니캐스트(브로드밴드) 통신(예를 들어 HTTP형의 P2P 통신)
이들 2개의 통신 프로토콜 스택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40)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와의 통신 처리로서, 도 3의 우측의 처리계, 즉,
(b) 유니캐스트(브로드밴드) 통신(예를 들어 HTTP형의 P2P 통신)
이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따른 통신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에 도시한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 ROUTE(FLUTE)에 따라서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파일군의 속성(파일의 식별자인 URL을 포함함)은, ROUTE(FLUTE)의 제어 파일 내에 기술할 수 있으면, 파일 전송 세션을 기술하는 시그널링(Signaling) 데이터 내에 기술할 수도 있다. 또한, 파일 전송 세션의 한층 더한 상세 속성을 (엔드 유저에의 제시 용도로도 적용 가능한) ESG에 의해 기술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관한 규격의 하나로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3.0의 규격화가 진행되고 있다.
ATSC3.0에 있어서의 IP 베이스의 트랜스포트 스택의 표준화에 있어서, MPEG-DASH의 파일 포맷(ISO-BMFF 파일, MP4 파일)에 기초하는 파일을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표준 후보 방식으로서 설정되었다.
ROUTE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DASH 규격의 프래그먼트화된 MP4(fragmented MP4) 파일 시퀀스와, DASH 규격의 제어 정보(시그널링 데이터) 저장 메타파일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및, 방송 배신을 위한 시그널링 데이터인 USBD/USD, S-TSID(Service based Transport Session Description) 등을 전송할 수 있다.
[4. 긴급 정보의 송신과 출력 처리의 개요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 장치(20)로부터 긴급 정보가 송신되고,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가 수신한 경우, 이 긴급 정보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표시부에, 재빨리 출력하여, 지체없이 유저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EAS(Emergency Alert System)라 불리는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이 정비되어 있고, 이 EAS를 이용하여, 다양한 긴급 정보, 예를 들어 기상 재해 정보나, 테러 정보, 그 밖의 긴급 피난 정보 등을 재빨리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EAS를 이용하여 통지되는 긴급 정보에는, 예를 들어 대통령으로부터의 메시지 등, 국가 레벨의 통지 사항이나, 주, 혹은 지방 정부 레벨의 로컬의 통지 사항 등, 다양한 상이한 레벨의 긴급 정보가 있다.
미국에 있어서의 방송파 및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배신 시스템에 관한 규격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3.0에서는, 차세대의 긴급 정보 통지 시스템인 통합 공중 경보 시스템(IPAWS : Integrated Public Alert and Warning System)의 사용을 전제로 하고 있다.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는, 통합 공중 경보 시스템(IPAWS)에 따라서, 긴급 정보 전송을 위한 규격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AEAT(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에 따라서, 긴급 정보를 구성하는 메시지나 피난 경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AEAT나 CAP 메시지에는 긴급 정보의 다양한 속성 정보, 예를 들어 긴급 정보의 카테고리, 긴급 정보의 긴급도나 발신원 정보, 긴급 정보의 통지가 필요한 지역 정보 등, 다양한 긴급 정보명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이 AEAT나 CAP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 장치는, 수신 메시지를 해석하여, 예를 들어 긴급 정보의 카테고리나 긴급도, 혹은, 수신 장치의 현재 위치 등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표시)한다.
도 1에 도시한 통신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는, 수신 데이터의 해석을 행하는 미들웨어를 갖고, 미들웨어가, 지진 발생이나 테러 발생 등의 긴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 긴급 정보의 수신을 검지한 타이밍에 가능한 한 빨리, 미들웨어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고 있는 클라이언트(유저 장치)에 통지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는, ATSC3.0 방송 서비스의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해석 등을 실행하는 미들웨어(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를 갖지만,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는 이와 같은 미들웨어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는, 미들웨어가 검출한 지진 발생이나 테러 발생 등의 긴급 정보를 가능한 한 빨리, 미들웨어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재생하고 있는 다양한 클라이언트(유저 장치)에 통지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미들웨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접속된 리모트의 클라이언트(PC, TV,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재생 제어부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상에서 가동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TSC3.0 DASH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긴급 메시지가 수신된 것을 통지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클라이언트에 표시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화상 상에 긴급 메시지가 중첩 표시(오버레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실행 중인 다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나, 클라이언트 자신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프로그램 화상 상에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이 중첩(오버레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을 배제하지 않으면, 유저는, 긴급 메시지를 볼 수 없어, 유저를 위험한 상황으로 유도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송신 장치(20)로부터 수신 장치(30)에 대한 긴급 정보의 송신 처리와 수신 장치(30)에 있어서의 긴급 정보의 표시 처리예에 대하여,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가 배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화상 상에 긴급 정보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를 배신하는 구성이다.
(a) 통상 프로그램 표시로서 예를 들어 야구 중계의 프로그램 콘텐츠가 배신되고 있을 때에, 긴급 정보가 발생하면, 방송국측에서 긴급 정보를 야구 중계 화상 상에 중첩한 프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여 수신 장치에 배신한다.
이와 같이, 재생 콘텐츠에 긴급 정보를 직접 중첩하여 배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은,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이라 불린다.
도 6은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의 송신 처리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배신로를 통한 복수의 채널(CH1.1, CH1.2) 대응의 프로그램 콘텐츠의 배신과, 시그널링 전송로를 통한 시그널링 데이터의 배신을 행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프로그램은, 채널(CH1.1)의 프로그램이며, 시간 t0 내지 t1에서는 뉴스를 방영하고, 시간 t1부터 야구 중계가 개시된다.
그 후, 방송국인 송신 장치(20)는, 시간 t2에 있어서 긴급 정보를 야구 중계 화상 상에 중첩한 프로그램 콘텐츠를 생성하여 수신 장치(30)에 배신한다.
수신 장치(30)측에서 야구 중계를 보고 있는 유저(시청자)는, 야구 중계 화면에 중첩된 긴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30)에 있어서 실행 중인 다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나, 클라이언트 자신이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프로그램 화상 상에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이 중첩(오버레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시물의 표시를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으면, 유저는, 긴급 메시지를 볼 수 없다.
구체예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의 (2b)에 도시한 예는, 유저(시청자)가 야구 중계를 보고 있는 동안에, 일기 예보 표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일기 예보 정보의 표시를 실행하고 있는 예이다.
이 일기 예보 표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방송국이 야구 중계 방송 콘텐츠에 아울러, 별도로, 배신한 어플리케이션, 혹은, 클라이언트(텔레비전)측이 사전에 NRT 콘텐츠로서 취득한 어플리케이션 등이다.
이 도 7의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3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프로그램 콘텐츠의 표시 화면 상에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가 표시되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프로그램 콘텐츠는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도 7의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콘텐츠 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긴급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에 의해 가려져 버려, 유저(시청자)를 확인할 수 없다는 사태가 발생한다.
또한, 긴급 정보의 배신 방식에는, 이와 같은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 이외에, 시그널링 데이터를 이용한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이 있다.
도 8은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국 등의 송신 장치(20)는, 통상의 프로그램 배신 경로와는 상이한 통신 경로인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 전용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긴급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AEAT(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에 따른 긴급 정보는, 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에 따라서 송신된다.
프로그램은, 채널(CH1.1)의 프로그램이며, 시간 t0 내지 t1에서는 뉴스를 방영하고, 시간 t1부터 야구 중계가 개시된다.
그 후, 방송국인 송신 장치(20)는, 시간 t2에 있어서 긴급 정보를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생성하여 수신 장치(30)에 배신한다.
수신 장치(30)는, 이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하고, 야구 중계의 표시 화면 상에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긴급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AEAT나 CAP에는, 수신 장치의 위치 정보에 대응한 데이터, 예를 들어 피난 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이들을 이용함으로써, 각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른 피난 경로의 지도를 표시하는 처리 등이 가능해진다.
도 9에 지도 정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9의 (3c)에 도시한 지도 데이터도,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송신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AEAT나, CAP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긴급 정보의 다양한 속성 정보, 예를 들어 긴급 정보의 카테고리, 긴급 정보의 긴급도나 발신원 정보, 긴급 정보의 통지가 필요한 지역 정보 등, 다양한 긴급 정보명에 관한 상세한 정보가 기록 가능하고, 수신 장치는, 수신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해석하여, 예를 들어 긴급 정보의 카테고리나 긴급도, 혹은, 수신 장치의 현재 위치 등에 따라서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표시)할 수 있다.
이들 정보를 적용하여, 도 9의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의 위치에 따른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긴급 정보 배신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
그러나,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 배신 방식의 경우, 예를 들어 수신 장치측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으면, 유저(시청자)는 긴급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 방식의 경우, 수신 장치(30)는, 이 시그널링 데이터의 송신 장치(20)에 의한 송신 처리 후, 바로 수신하여 표시 처리를 행하지 않으면, 유저(시청자)에 의한 긴급 정보의 확인 처리가 지연되어, 유저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이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방지하고, 긴급 정보를 확실하게 또한 바로(타임리) 유저(시청자)에게 확인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5. 수신 장치의 구성예와 처리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0 이하를 참조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의 구성예와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 서버(21)는, 방송파나, 네트워크를 통한 브로드캐스트 송신에 의해, 방송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AV 세그먼트,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방송 서버(21) 이외의 송신 장치인 데이터 배신 서버(22)도 네트워크를 통한 브로드캐스트 송신에 의해, 방송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AV 세그먼트,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는 미들웨어(110), HTTP 프록시 서버(120),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출력 제어부(13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40)를 갖는다.
미들웨어(110)는, 방송 서버(21)의 제공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석한다.
미들웨어(110)는 이하의 구성 요소를 갖는다.
통신부(PHY/MAC)(111),
LLS 시그널링 취득부(112),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
SLS 시그널링 취득부(114),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
세그먼트 취득부(117),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
통신부(PHY/MAC)(111)는, 방송파를 통한 방송 서버(21)의 제공 데이터를 수신한다.
LLS 시그널링 취득부(112)와,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하는 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를 수신하고, 해석한다.
SLS 시그널링 취득부(114)와,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는, 통신부(111)를 통해 수신하는 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데이터(SLS : Service Level Signaling)를 수신하고, 해석한다.
세그먼트 취득부(117)는, 영상, 음성 등의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NRT 콘텐츠,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 세그먼트를 취득한다.
또한,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는, MPD 이벤트 삽입부로서도 기능한다.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송신 데이터의 변경이나 상세 등의 통지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또한 긴급 정보 관련의 정보 등, 수신 장치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처리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내에 삽입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MPD 이벤트 삽입부로서 기능한다.
인 밴드(In-band) 이벤트 삽입부(118)는, 긴급 정보 등의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표의 변경이나, 방송 콘텐츠의 데이터 양태의 변경,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에 실행해야 할 처리 등, 수신 장치에 대하여 통지해야 할 정보, 어떠한 처리의 실행을 요구하기 위한 정보 등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이벤트 정보로서, 새롭게 긴급 정보나, 긴급 정보 관련 정보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설정하고, 이 이벤트 정보를 적용한 이벤트 통지를 행하여,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표시를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이 제시 콘텐츠의 배제 처리 요구를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송신하여 이벤트 통지를 행한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송신되는 긴급 메시지의 발행 상황이나 액세스 정보를 통지하는 긴급 정보 관련 정보를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신속한 긴급 정보의 취득,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들의 구체적인 처리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들웨어(110)가 수신한 데이터는,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저장된다. 프록시 서버(120)는, 또한 네트워크 경유로 데이터 배신 서버(22)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캐시부(프록시 캐시)(122)에 저장한다.
프록시 서버(120)는,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 등으로부터의 데이터 요구를 어드레스 해결부(123)에 입력하고, 요구된 데이터를 캐시부(프록시 캐시)(121, 122), 또는 외부로부터 취득하여 제공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는, DASH(MPEG-DASH) 규격에 따라서 송신된 콘텐츠의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PEG-DASH 규격에는, 이하의 2개의 규격이 포함된다.
(a) 동화상이나 음성 파일의 관리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기술하기 위한 매니페스트 파일(MPD :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에 관한 규격,
(b) 동화상 콘텐츠 전송용의 파일 포맷(세그먼트 포맷)에 관한 규격,
송신 장치(2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에 대한 콘텐츠 배신은, 상기의 MPEG-DASH 규격에 따라서 실행된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MPEG에 있어서 규정되는 MP4 파일 포맷에 따라서 소정 단위의 분할 데이터인 세그먼트로서 송신되고,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는, 매니페스트 파일(MPD)을 참조하여, 재생 대상 콘텐츠를 저장한 세그먼트를 취득하는 처리 등을 실행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는, 또한, 이벤트 추출부를 갖고, 예를 들어 MPD나 세그먼트에 저장된 이벤트를 추출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나, 긴급 정보 제어부(140)에 통지한다.
통지하는 이벤트 정보에는, 예를 들어 송신 장치로부터의 긴급 정보의 송신에 수반하여, 수신 장치측에 있어서 실행해야 할 처리의 요구나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가 포함된다.
이들 이벤트 정보를 적용한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출력 제어부(132)는, 재생 제어부가 취득한 세그먼트로부터 부호화 콘텐츠를 취출하여 복호하고, 표시부 등의 출력부에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는, 예를 들어 전술한 일기 예보 등의 어플리케이션 외에, 뉴스, 야구 중계 시의 선수 정보, 여행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지도 정보, 호텔 정보, 퀴즈, 앙케이트 처리 등을 실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취득이나, 어플리케이션의 개시, 종료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는, 재생 제어부(131)의 이벤트 추출부가 추출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 처리나 제거 처리 등을 실행한다.
긴급 정보 제어부(140)도, 재생 제어부(131)의 이벤트 추출부가 추출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의 취득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들, 이벤트 정보를 적용한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는, 예를 들어 이더넷(등록 상표)이나 Wi-Fi 등의 네트워크에 의해,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와 접속되어,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가, 방송 서버(21)나, 데이터 배신 서버(22)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를 통해 수신하여, 콘텐츠 재생을 실행한다.
도 10에 도시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51),
출력 제어부(15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3),
긴급 정보 제어부(160),
이들 구성을 갖는다.
이들 구성, 기능은,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에 있어서 설명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출력 제어부(13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긴급 정보 제어부(140)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가 갖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출력 제어부(132)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긴급 정보 제어부(140),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가 갖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51),
출력 제어부(15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3),
긴급 정보 제어부(160),
이들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는, MPD 취득부(201), MPD 해석부(202), 세그먼트 취득부(203), 세그먼트(MP4) 해석부(204), 또한 이벤트 추출부(205)를 갖는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DASH(MPEG-DASH) 규격에 따라서 송신된 콘텐츠의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MPD 취득부(201)는, 동화상이나 음성 파일의 관리 정보 기술 파일인 매니페스트 파일(MPD : 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을 취득한다.
MPD는,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로부터 제공되어, 프록시 서버(120)에 저장된 후, 재생 제어부(131)가 취득한다.
MPD 해석부(202)는, MPD 취득부(201)가 취득한 MPD의 기술 내용을 해석하고, 재생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취득에 필요로 되는 정보 등을 세그먼트 취득부에 제공한다.
또한, MPD 해석부(202)는, MPD에 이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MPD를 이벤트 추출부(205)에 출력한다.
이벤트 추출부(205)는, MPD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 이벤트 정보가,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
상기 (a), (b) 중 어느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인지를 판정한다.
이벤트 추출부(205)는, 이벤트 정보가,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라고 판정한 경우, 이 이벤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에 출력한다.
한편, 이벤트 추출부(205)는, 이벤트 정보가,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라고 판정한 경우, 이 이벤트 정보를 긴급 정보 제어부(140),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에 출력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는, 이벤트 추출부(205)로부터,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가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를 확인하고,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가 프로그램 콘텐츠 상에 제시되어 있는 경우, 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를 제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경우, 긴급 정보를 확실하게 유저에게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긴급 정보 제어부(140)는, 이벤트 추출부(205)로부터,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이벤트 정보에 저장된 긴급 정보, 혹은 긴급 정보의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AEAT, CAP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확실하게 취득하고, 표시부에 대한 출력 제어를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경우, 긴급 정보를 바로 취득하여, 확실하게 유저에게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가 긴급 정보 제어부(140)로서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이벤트 추출부(205)는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에 출력한다.
세그먼트 취득부(203)는, MPD 해석부(202)의 MPD 해석 결과에 따라서, 재생 대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세그먼트의 취득을 행한다.
세그먼트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콘텐츠 전송용의 파일 포맷(세그먼트 포맷)에 따라서 설정되는 소정의 단위 데이터이다.
세그먼트 해석부(204)는, 세그먼트 취득부(203)가 취득한 세그먼트로부터, 부호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 등을 취득하여, 출력 제어부(132)의 복호부(디코더)(211)에 출력한다.
또한, 세그먼트 해석부(204)는, 세그먼트에 이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세그먼트를 이벤트 추출부(205)에 출력한다.
이벤트 추출부(205)는 세그먼트에 저장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 이벤트 정보가,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
상기 (a), (b) 중 어느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인지를 판정한다.
이벤트 추출부(205)는, 이벤트 정보가,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라고 판정한 경우, 이 이벤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에 출력한다.
한편, 이벤트 추출부(205)는, 이벤트 정보가,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정보라고 판정한 경우, 이 이벤트 정보를 긴급 정보 제어부(140)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에 출력한다.
이들 이벤트 정보를 수령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와, 긴급 정보 제어부(140)의 처리는, 전술한 MPD 저장 이벤트 정보를 수령한 경우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의 출력 제어부(132)는, 복호부(디코더)(211)와, 출력부(렌더러)(212)를 갖는다.
복호부(디코더)(211)는, 세그먼트 해석부(204)로부터 제공된 부호화 화상 데이터, 부호화 음성 데이터의 복호 처리(디코드)를 실행한다.
출력부(212)는, 복호된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출력부(디스플레이, 스피커)에 출력한다.
또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51)도, MPD 취득부(251), MPD 해석부(252), 세그먼트 취득부(253), 세그먼트(MP4) 해석부(254), 또한 이벤트 추출부(255)를 갖는다.
또한, 출력 제어부(152)는, 복호부(디코더)(261)와, 출력부(렌더러)(262)를 갖는다.
이들 구성 및 실행하는 처리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의 구성,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51)에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의 프록시 서버(120), 네트워크를 통해 MPD, 세그먼트가 입력된다.
또한,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53)에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의 프록시 서버(120), 네트워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파일이 입력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A)(30), 및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클라이언트 B)(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0 DASH 클라이언트)의 실행부이다.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ATSC3.0 방송 수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에 실장된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된다. 혹은,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뿐만 아니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되는 경우도 있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실행하는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ATSC3.0 DASH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3.0 DASH 클라이언트)이나, ATSC3.0 스트림 부수 어플리케이션(3.0 Application) 등을 포함한다.
또한,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장되는 것으로서, 이들 Web 어플리케이션의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매니저("3.0 Application Manager"), AEAT 메시지 렌더러 어플리케이션("CAP Message Renderer") 등이 포함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의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 및 출력 제어부(132, 152)는, 미들웨어(Client Local ATSC Middleware)(110)가 수신한 데이터, 프록시 서버(Client Local HTTP Proxy Server)(120)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처리를 실행한다.
미들웨어(110), 또는 프록시 서버(120)가 취득한, DASH-MPD 파일이나 DASH 세그먼트(segment) 파일, 그 밖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시그널링 데이터를 저장한 SLS(Service level Signaling) 파일을 입력하여, 스트림의 렌더링이나,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행한다.
이 모델은,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실행하는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60)가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보면, 반드시 프록시 서버(120)를 통해 외부의 세계에 액세스하기 때문에, 그것들 파일군을 방송 경유로 취득하고 있는지, 네트워크 경유로 취득하고 있는지의 구별을 의식하는 일이 없기(네트워크 투과성이 제공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가반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방송용만으로 특화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장할 필요가 없고, 방송이나 인터넷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에 상관없는 실장으로 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실행하는 ATSC3.0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DASH-MPD 파일이나 DASH 세그먼트(segment) 파일, 그 밖의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파일, 및, 시그널링 데이터 파일의 취득을 요구(HTTP 리퀘스트)하면, 그것을 받은 프록시 서버(120)가 어드레스 해결부(Broadcast/Broadband Address Resolover)(123)에 있어서 방송 수신 스택을 통해 취득할지, 네트워크 경유로 취득할지의 판단을 행한다.
판단 재료가 되는 정보는, SLS 시그널링 해석부(SLS Signaling Parser)(115)로부터 제공된다. SLS 시그널링 해석부(SLS Signaling Parser)(115)는, SLS 시그널링 취득부(SLS Signaling Retriever)(114)에, ATSC3.0의 시그널링 메타인 USBD/USD나 S-TSID 등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SLS 시그널링 취득부(SLS Signaling Retriever)(114)는, 통신부(ATSC 튜너 : ATSC3.0 PHY/MAC)(111)를 통해 방송 수신하는 SLS LCT 패킷에 의해 운반되는 시그널링 메타를 추출한다.
SLS 시그널링 해석부(SLS Signaling Parser)(114)는, 또한, 세그먼트나 어플리케이션 파츠의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url로부터, 시그널링 메타를 추출하여, 대상이 되는 파일을 취득하기 위한 방송 배신 어드레스 정보를 해결한다. 방송 배신되는(된) 것을 알 수 있으면, 그 방송 배신 어드레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원하는 파일이 저장된 LCT 패킷을 방송 스트림으로부터 취득하여, 캐시(Proxy Cache)부(121, 122) 내에 전개한다. 프록시 서버(120)는, 당해 파일을 재생 제어부(131)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40)에 (HTTP의 리스폰스로서) 회신한다. 어플리케이션 파츠의 취득 요구에 포함되는 url이 시그널링 메타에 없으면, 프록시 서버(120)는, 통상의 네트워크 스택을 통해 당해 파일을 취득한다.
본 개시의 구성에서는, SLS 시그널링 해석부(SLS Signaling Parser)(114)는, MPD 이벤트 삽입부(MPD Event Inserter)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MPD 이벤트란, DASH 이벤트 중 하나이다.
DASH 이벤트는, DASH의 MPD, 혹은, DASH 세그먼트에 의해, 스트리밍의 프로토콜 중에서, 미리 스케줄된, 혹은, 스케줄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이 미정인) 이벤트를 전송ㆍ제어하는 기구이다.
또한, DASH 이벤트의 전송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
(b)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이들 2종류가 있다.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이,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 내의 MPD 이벤트 삽입부이며,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것이, 인 밴드(In-band) 이벤트 삽입부(118)이다.
예를 들어, 방송 서버(21)가 송신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를 이용하여 이하의 통지 정보가 수신 장치에 송신된다.
(a)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온 스크린 메시지 통지 : 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CAP 등)가 배신된 것의 통지 : (AEAT Message Notification),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로서, AEAT를 대표예로 하여 설명한다.
단, 본 개시의 처리는, AEAT에 한하지 않고, AEAT 이외의 데이터 포맷을 갖는 다양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AEAT의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는 후단에서 설명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취득부(112),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는,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로부터, 이들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통지 데이터를,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 내의 MPD 이벤트 삽입부에 입력한다.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 내의 MPD 이벤트 삽입부는, 이들 통지 데이터를, MPD에 삽입하고,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는 이들 통지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한다.
이들 이벤트 정보가 삽입된 MPD나 세그먼트는, 캐시부(121)를 통해, 예를 들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입력된다.
[6. 시그널링 데이터를 적용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를 이용하여 이하의 통지 정보를 수신 장치에 송신한다.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이하, 이 시그널링(LLS)을 이용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이하의 2개의 상이한 레이어를 이용한 상이한 타입의 시그널링 데이터가 있다.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는, 각 서비스 단위, 예를 들어 각 프로그램 단위의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이다.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는, SLS보다 상위의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메타데이터 등을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SLS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나,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취득,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도 10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이다.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취득부(112)와,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가,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의 취득,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SLS 시그널링 취득부(114)와,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가, SLS(서비스 레벨 시그널링)의 취득, 해석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취득부(112),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 SLS 시그널링 취득부(114), 및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는, 송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상시, 감시하고, 미처리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검출한 경우에는, 바로 취득, 해석을 실행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20)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반복하여, 송신하고 있고, 미들웨어(110)는 신규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큰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취득하고,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20)가 송신하는 시그널링 데이터인 LLS(로우어 레이어 시그널링)에는, 이하의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AEAT Message Notification),
이하, 이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이용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a), (b)의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의 상세 구성예에 대하여,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의 상세 구성예이다.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는 XML 데이터로서 기술된다.
도 12에 도시한 데이터는 XML 데이터를 계층 구성으로서 나타낸 XML 데이터의 계층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 적용 방송 스트림 식별자
(2) 긴급 정보 적용 대상 서비스 식별자
(3) 화면 클리어 실행 대상 서비스 식별자 범위
(4) 화면 클리어 실행 기간
(5) 화면 클리어 처리 필요 여부 플래그
화면 클리어 처리란,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 등의 화면 상의 오버레이 콘텐츠의 표시를 중지하여, 방송 콘텐츠를 시청 가능한 설정으로 하는 처리이다.
한편, 도 13은,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AEAT Message Notification)」의 상세 구성예이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도 XML 데이터로서 기술된다.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는 XML 데이터를 계층 구성으로서 나타낸 XML 데이터의 계층 구성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의 식별자, 발행자, 우선도 정보 등
(2) 긴급 정보의 유효 기간, 타입, 적용 지역 정보 등
(3) 긴급 정보 메시지 등
(4) 미디어(Media) 정보 : 각 언어 대응 긴급 정보 메시지, 지도 등의 데이터, 또는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 등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는, 도 12, 도 13에 도시한 긴급 정보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취득, 해석함으로써, 이하의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지연없이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그러나,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가 송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제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이다.
따라서, 이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가, 상기 (a), (b)의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파악하지 않는 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삭제 처리나, 긴급 정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처리에서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통지되는, 이하의 통지 정보, 즉,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이들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미들웨어로부터,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재빨리 전송하여, 이들 통지에 대응한 처리를 지연없이 실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한 처리를 실행한다.
통상,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구성 데이터인 화상이나 음성 등의 재생 데이터를 저장한 DASH 세그먼트의 HTTP에 의한 취득을 연속하여 실행한다.
따라서, 일단, 스트리밍 재생이 개시되면, DASH 클라이언트는 HTTP 취득/재생 처리를 계속해서 행한다.
즉,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DASH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DASH 서버로서의 기능을 실행하는 미들웨어(110)나 프록시 서버(120)와 상시 접속한 Pull형 커뮤니케이션 세션을 실행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재생 처리,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의 출력을 행한다.
이 세그먼트 취득 세션 중에서, 어떤 시그널링의 갱신 이벤트 통지, 혹은 시그널링 그 자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과제가 된다.
본 개시의 처리에서는, DASH에서 규정되어 있는 이벤트(Event)의 기구를 이용하여, 상술한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즉,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이들 통지 정보를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지연없이 제공하는 구성을 실현한다.
본 개시의 처리에 의해, ATSC3.0 방송 수신 미들웨어를 실장하는 디바이스와 네트워크(가정 내이면 홈 네트워크(LAN/WiFi 등), 핫스폿이면 WiFi 등)를 통해 접속되는 다른 디바이스 상에서 가동되는 DASH 플레이어나, AEAT 파서 & 뷰어 등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스트림에 동기시키면서, 동화상 화면 상에 표시되는 긴급 메시지 상에, 중첩되어 버린 어플리케이션 제시 데이터의 배제 처리나, 예를 들어 AEAT 등, 동화상 스트림과는 별도로 송부되는 긴급 정보나 지도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지연없이 제공하여 출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7. 이벤트 통지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DASH 규격에 있어서 규정되어 있는 이벤트 통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DASH 규격에서는, DASH 이벤트(DASH Event)라 불리는 이벤트 통지 기구가 정의되어 있다.
이벤트 통지 기구는,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나 송신 데이터의 변경이나 상세 등의 통지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수신 장치에 통지해야 할 정보, 수신 장치에 있어서 필요로 되는 처리의 정보 등, 다양한 이벤트 정보의 통지를 행하기 위한 기구이다.
DASH 규격에 있어서는 이벤트 통지 기구로서, 이하의 2종류의 이벤트 통지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a)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
(b)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
이들 2종류의 이벤트 통지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이하, 이들 2개의 이벤트 통지 방식의 상세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7-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 대하여]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은, DASH 규격에 규정된 시그널링 데이터의 하나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를 이용하여 이벤트를 통지하는 방식이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은, MPD에 규정 가능한 피리어드(Period) 단위로, 이벤트 요소, 구체적으로는, 이벤트 종류나, 이벤트 내용을 나타내는 이벤트 스트림(Event Stream) 등의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서는, MPD를 이용하여, 피리어드(Period) 단위로 이벤트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서는,
(a) 다양한 이벤트의 액티베이트(개시/실행/활성화) 타이밍 등의 이벤트 스케줄,
(b) 각 타이밍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수신 장치)가 처리해야 할 이벤트 처리, 또한,
(c) 이벤트 실행 시에 클라이언트 상에서 가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해야 할 데이터 등,
이들을 MPD에 기술할 수 있다.
도 14는 MPD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MPD는, 화상이나, 음성 각각의 스트림마다, 이하의 규정 범위 단위로 속성 등의 정보나 제어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1) 시간축 상의 구간을 규정한 피리어드(Period)
(2) 화상, 음성 등의 데이터 종류 등을 규정한 어댑테이션(Adaptation)
(3) 화상의 종류, 음성의 종류 등을 규정한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4) 화상, 음성의 세그먼트(AV 세그먼트) 단위의 정보 기록 영역이 되는 세그먼트인포(SegmentInfo)
도 15는 MPD에 기록되는 AV 세그먼트 대응의 정보(제어 정보나 관리 정보, 속성 정보 등)를 시계열로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시간이 경과하는 것으로 한다. 이 시간축은, 예를 들어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AV 콘텐츠의 재생 시간에 대응한다.
AV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가 MPD에 기록된다. 또한, MPD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일부이며, 예를 들어 AV 세그먼트에 선행하여 송신된다.
MPD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의 각 데이터 단위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1) 시간축 상의 구간을 규정한 피리어드(Period)
(2) 화상, 음성 등의 데이터 종류 등을 규정한 어댑테이션(Adaptation)
(3) 화상의 종류, 음성의 종류 등을 규정한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
(4) 화상, 음성의 세그먼트(AV 세그먼트) 단위의 정보 기록 영역이 되는 세그먼트인포(SegmentInfo)
도 15는 이들 데이터 영역을 시간축 및 데이터 종류별로 전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는, 이하의 2개의 어댑테이션(Adaptation)을 도시하고 있다.
(V) 화상 대응 정보 기록 영역인 어댑테이션 V(Adaptation(V))
(A) 음성 대응 정보 기록 영역인 어댑테이션 A(Adaptation(A))
(V) 화상 대응 정보 기록 영역인 어댑테이션 V(Adaptation(V))은, 상이한 속성을 갖는 스트림 단위의 정보 기록 영역으로서, 이하의 2개의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을 갖는다.
(V1) 저비트 레이트 화상 대응의 정보 기록 영역인 리프리젠테이션(V1)(Representation(V1))
(V2) 고비트 레이트 화상 대응의 정보 기록 영역인 리프리젠테이션(V2)(Representation(V2))
마찬가지로, (A) 음성 대응 정보 기록 영역인 어댑테이션A(Adaptation(A))는, 상이한 속성을 갖는 스트림 단위의 정보 기록 영역으로서의 이하의 2개의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을 갖는다.
(A1) 일본어 음성 대응의 정보 기록 영역인 리프리젠테이션(A1)(Representation(A1))
(A2) 영어 음성 대응의 정보 기록 영역인 리프리젠테이션(A2)(Representation(A2))
또한, 각 리프리젠테이션(Representation)은, 재생 시간축 대응의 피리어드, 또한, 세그먼트 단위로 정보가 기록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고비트 레이트 화상과 일본어 음성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수신 장치(클라이언트)는, 피리어드1의 세그먼트(11)의 재생 시에, 재생 대상으로 하는 고비트 레이트 화상과 일본어 음성에 관한 정보를 MPD로부터 선택하여 취득하게 된다.
이 선택 대상으로 하는 MPD의 기록 정보가, 도면에 도시한 세그먼트 영역(301, 302)의 정보가 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는,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MPD로부터, 자장치에서 재생 대상으로 하는 데이터(세그먼트)에 대응하는 정보만을 선택하여 참조한다.
이와 같이, MPD에는, 데이터 종별, 시간 단위의 세그먼트 대응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클라이언트)에 있어서의 다양한 처리 요구를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통지도, 이 MPD에 기록할 수 있다.
도 16은 MPD를 사용한 이벤트 통지, 즉,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을 적용한 경우의 MPD의 기술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MPD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Period startTime='0'>
···
<EventStream schemeIdUri='urn:xxx' timescale='1000'>
<Event presentationTime='0' duration='1000'>이벤트 데이터1</Event>
<Event presentationTime='1000' duration='4000'>이벤트 데이터2</Event>
….
</EventStream>
···
<AdaptationSet>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AdaptationSet>
···
</Period>
</MPD>
상기의 MPD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 MPD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최초의 피리어드의 개시 시각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시각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UTC 시각이 사용된다.
<Period startTim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피리어드 개시 시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PD에 있어서 규정되는 스타트 시간(MPD/@availabilityStartTime)으로부터의 오프셋 시간이 기록된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xxx'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스트림 지정 정보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xxx'」와, 옵셔널한 「EventStream/@value」에 의해 이벤트의 종류 등이 정의된다.
또한,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Event presentationTime='0' duration='1000'>이벤트 데이터1</Event>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이 기록된다.
이 예는, 이벤트 데이터1에 의해 특정되는 이벤트를, 액티베이트(활성화/실행) 시각=0에서 1000단위 시간 계속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Event presentationTime='1000' duration='4000'>이벤트 데이터1</Event>
이 데이터 기록 영역도,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이 기록된다.
이 예는, 이벤트 데이터2에 의해 특정되는 이벤트를, 액티베이트(활성화/실행) 시각=1000에서 4000단위 시간 계속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이하의,
<AdaptationSet>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이들은, 각 데이터 종류별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다.
이와 같이, MPD를 사용한 이벤트 통지, 즉,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서는,
EventStream/@schemeIdUri(와 옵셔널한 EventStream/@value) 속성에 의해 이벤트의 종류를 정의하고,
EventStream/Event 요소의 콘텐츠 파트에 이벤트 데이터, 즉,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MPD/Period/EventStream/Event 이하의 데이터 요소로서 저장되는 「이벤트 데이터」의 포맷(무엇을 저장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EventStream/@schemeIdUri」 속성의 값(도 16의 예에서는 (urn:xxx))에 의해 특정(정의)된다.
또한, 이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은, MPD의 송출 전에, MPD 내에 기술되는 피리어드의 내용을 확정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도 17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MPD의 해석 처리(파스)의 수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에는, 이하의 각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1) MPD
(2) 피리어드 단위 정보
(3) 리프리젠테이션 단위 정보
(4) 세그먼트 단위 정보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AV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클라이언트)는, AV 세그먼트 수신 전에 미리 수신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포함되는 MPD를 취득하고, 자장치에 있어서 재생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MPD로부터 취득한다.
먼저, 도 17에 도시한 (1) MPD로부터, AV 세그먼트 재생 시간에 상당하는 특정한 피리어드의 (정보를 기록한) (2) 피리어드 단위 정보를 선택한다.
또한, 자장치(클라이언트)에 있어서 재생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한 리프리젠테이션 단위 정보를 선택하고, 또한, 재생 대상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4) 세그먼트 단위 정보를 선택한다.
이 (4) 세그먼트 단위 정보에 기록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생 대상이 되는 AV 세그먼트의 취득이나, AV 세그먼트 재생에 필요로 되는 다양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수신 장치(클라이언트)는, 수신한 MPD의 세그먼트 단위 정보에 이벤트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 그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지정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의 이벤트 활성화 처리) 등을 행하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MPD의 생성(또는 취득)과 출력을 실행하는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와, 이벤트 기록 MPD를 수령하여 MPD 기록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구성과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는, 좌측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MPD의 생성(또는 취득)과 출력을 실행하는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의 우측에는,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MPD를 입력하여 MPD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이벤트 액티베이트)를 실행하는 이벤트 실행 장치(320)를 도시하고 있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송신하는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 혹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131)에 출력하는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이다.
또한, 도 18의 우측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입력하여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131, 151))이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는,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 이벤트 처리부(이벤트 서버)(312)를 갖는다.
또한, 이들 서버 기능은,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송신하는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 또한,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가 갖는 기능이다.
이하,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처리 스텝마다 설명한다.
(스텝 S11)
먼저,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11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 및 재생 콘텐츠를 구성하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생성, 또는 취득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MPD, 세그먼트를 생성, 또는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MPD, 세그먼트를 수신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2)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이벤트 처리부(이벤트 서버)(312)는, 스텝 S12에 있어서,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취득한다.
이벤트 정보란, 예를 들어 프로그램표의 변경이나, 방송 콘텐츠의 데이터 양태의 변경,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에 실행해야 할 처리 등, 수신 장치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의 실행을 통지 혹은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3)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13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에 대하여 이벤트 정보의 삽입을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벤트 정보 기록 MPD가 생성된다.
도 16에 도시한 이벤트 정보 기록 MPD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벤트의 종류, 내용이나,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 계속 시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이 MPD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이벤트를 지정시간에 액티베이트(예를 들어 실행)하여, 지정 계속 시간, 계속시키는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14)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14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이벤트 정보 기록 MPD를 송신(출력)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 기록 MPD를, 방송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 기록 MPD를, 프록시 서버, 혹은 재생 제어부에 출력한다.
(스텝 S15 내지 S16)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15 내지 S16에 있어서, AV 콘텐츠 등을 저장한 세그먼트를 송신(출력)한다.
세그먼트 송신은, 스텝 S16 이후, 계속적으로 실행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세그먼트를, 방송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세그먼트를, 프록시 서버, 혹은 재생 제어부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18의 우측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벤트 실행 장치(32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입력하여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131, 151))이다.
도 18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가 실행하는 처리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131, 151)에 있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는, 재생 제어부를, 실행하는 처리의 종류에 따른 처리 종류 단위로 분리한 구성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벤트 대응 처리 실행부로서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와, MPD나 AV 세그먼트를 적용한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 이들 2개의 처리부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21)
먼저,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21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에 대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스텝 S22)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22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로부터 취득한 MPD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여기에서 취득한 MPD는, 이벤트 정보 기록 MPD, 즉, 도 16에 도시한 이벤트 정보 MPD인 것으로 한다.
이벤트 정보 기록 MPD에는, 이벤트의 종류, 내용이나,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예를 들어 실행, 정지 등의 활성화) 시각, 계속 시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이 MPD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이벤트를 지정시간에 액티베이트(예를 들어 실행)하여, 지정 계속 시간, 계속시키는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23)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는, 스텝 S23에 있어서, MPD로부터 취득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이벤트 적용의 스케줄링 처리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정보 기록 MPD에는, 이벤트의 종류, 내용이나,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 계속 시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고,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는, 이들 정보를 참조하여, 이벤트 실행의 스케줄링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4)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24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에 대하여 세그먼트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스텝 S25)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25에 있어서, 스텝 S24에서 취득한 세그먼트로부터 AV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26)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는, 스텝 S26에 있어서, MPD로부터 취득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스케줄링된 이벤트의 적용 처리, 즉 이벤트 액티베이트(이벤트 실행, 개시 등)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7 내지 S29)
스텝 S27 내지 S29의 처리는, 스텝 S24 내지 S26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이 일련의 처리는, 계속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클라이언트)는,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처리에 아울러, MPD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다양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2.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대하여]
다음으로, DASH 규격에 있어서 규정된 또 하나의 이벤트 통지 방식인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은, AV 콘텐츠 등을 저장한 세그먼트(DASH 세그먼트) 내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여 수신 장치에 제공하는 방식이다.
도 1에 도시한 송신 장치(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 데이터 및 부호화 데이터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여 송신한다. 부호화 처리는, 예를 들어 MPEG에 있어서 규정되는 MP4 파일 포맷에 따라서 행해진다. 또한, 송신 장치(20)가 MP4 형식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의 부호화 데이터의 파일은 「mdat」, 메타데이터는 「moov」나 「moof」 등이라 불린다.
송신 장치(20)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예를 들어 음악 데이터나,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사진, 문서, 회화 및 도표 등의 영상 데이터나, 게임 및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데이터이다.
도 19를 참조하여, DASH 규격에 따라서 콘텐츠 스트림 배신을 행하는 경우에 이용 가능한 DASH 세그먼트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DASH 세그먼트는,
(a)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
(b)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AV 세그먼트),
이들 2종류로 나누어진다.
(a) 초기화 세그먼트(Initialization Segment)는, 수신 장치(30)에 있어서의 디코더의 설정 등, 콘텐츠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설정 정보 등의 초기화 데이터를 저장한 세그먼트이다.
(b) 미디어 세그먼트(Media Segment)(=AV 세그먼트)는, 재생 대상이 되는 부호화 콘텐츠(AV 콘텐츠)를 저장한 세그먼트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초기화 세그먼트는 이하의 각 정보를 포함한다.
(a1) 세그먼트의 파일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하는 헤더 정보(dash),
(a2) 미디어 세그먼트에 의해 송신하는 부호화 콘텐츠인 미디어 데이터(mdat)의 코덱(부호화 양태) 정보 등의 초기화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moov),
한편, (b) 미디어 세그먼트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의 각 정보를 포함한다.
(b1) 세그먼트의 파일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하는 헤더 정보(msdh),
(b2) 미디어 세그먼트에 저장된 복수의 서브 세그먼트(Sub-Segment)의 경계 정보나, 미디어 세그먼트에 저장된 부호화 콘텐츠인 미디어 데이터(mdat)의 랜덤 액세스 포인트 등을 나타내는 액세스 정보(sidx),
(b3) 복수의 서브 세그먼트(Sub-Segment),
또한, 복수의 서브 세그먼트(Sub-Segment)는 1개 또는 복수의 프래그먼트(Fragment)로 구성된다.
프래그먼트(Fragment)는 이하의 각 데이터를 포함한다.
재생 대상이 되는 부호화 콘텐츠인 미디어 데이터(mdat),
미디어 데이터(mdat)에 대응하는 메타데이터(moof),
미디어 데이터(mdat)에 대응하는 각종 정보(제어 정보, 관리 정보, 속성 정보 등).
또한, 미디어 데이터(mdat), 메타데이터(moof), 그 밖의 각종 정보(제어 정보, 관리 정보, 속성 정보 등)는, MP4 포맷에 있어서 정의되는 박스에 개별로 저장된다.
mdat 박스에는 AV 데이터가 저장된다.
moof 박스에는 메타데이터가 저장된다.
그 밖의 각종 정보도, 각각의 정보에 따라서 정의되는 박스에 저장된다.
이벤트 정보는, 각종 정보의 일부로서 이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박스로서 MP4 포맷에 의해 정의된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 박스]에 저장된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있어서 이용되는 MP4 포맷 데이터 내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구성예에 대하여,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에는, 이벤트 식별자1, 2의 2개의 이벤트 정보를 개별로 저장한 2개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box_type='emsg'
scheme_id_uri="urn:xxx"
value=0
timescale=1000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 =0xFFFF
id=1
message_data []=이벤트 데이터-1
상기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box_type='emsg'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박스 타입 기록 영역이다. 이 박스(MP4에 있어서 규정되는 데이터 저장 박스)가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인 것을 기술하고 있다.
scheme_id_uri="urn:xxx"
valu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지정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scheme_id_uri="urn:xxx"」와, 옵셔널한 「Value」에 의해 이벤트의 종류 등을 정의한다.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0xFFFF
이들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지정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실행) 시각=0에서, 시각=0xFFFF까지 계속되는 것을 지정하고 있다. 또한, 0xFFFF는 종료 시간을 정의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이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의 설정된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AV 콘텐츠의 재생 종료까지, 이벤트를 계속해도 계속하지 않아도 된다는 지정인 것을 의미한다.
id=1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식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essage_data []=이벤트 데이터-1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세그먼트 스트림 중(in-stream)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scheme_id_uri」 필드와, 옵셔널한 「Value」 필드에 이벤트의 종류를 정의 가능하다.
또한, 「message_data」 필드에 이벤트 데이터, 즉,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의 생성(또는 취득)과 출력을 실행하는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와, 이벤트 기록 정보 세그먼트를 수령하여 세그먼트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구성과 처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에는, 좌측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의 생성(또는 취득)과 출력을 실행하는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1의 우측에는,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를 입력하여 세그먼트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이벤트 액티베이트)를 실행하는 이벤트 실행 장치(320)를 도시하고 있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송신하는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 혹은, 수신 장치에 있어서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수신하고,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131)에 출력하는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이다.
또한, 도 21의 우측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입력하여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131, 151))이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는,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 이벤트 처리부(이벤트 서버)(312)를 갖는다.
또한, 이들 서버 기능은,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송신하는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 또한,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가 갖는 기능이다.
이하,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처리 스텝마다 설명한다.
(스텝 S31)
먼저,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31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 및 재생 콘텐츠를 구성하는 AV 데이터를 포함하는 세그먼트를 생성, 또는 취득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MPD, 세그먼트를 생성 또는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MPD, 세그먼트를 수신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2)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이벤트 처리부(이벤트 서버)(312)는, 스텝 S32에 있어서,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취득한다.
이벤트 정보란, 예를 들어 프로그램표의 변경이나, 방송 콘텐츠의 데이터 양태의 변경, 수신 장치에 있어서의 방송 콘텐츠의 재생 시에 실행해야 할 처리 등, 수신 장치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의 실행을 통지 혹은 요구하기 위한 정보이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이벤트 정보를 수신 데이터로부터 취득하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3)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33에 있어서, 세그먼트에 대하여 이벤트 정보의 삽입을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MP4 포맷에 있어서 규정되는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인 emsg 박스를 포함하는 세그먼트가 생성된다.
도 20에 도시한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emsg) i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벤트의 종류, 내용이나,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 계속 시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이 세그먼트 내의 emsg 박스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이벤트를 지정 시간에 액티베이트(예를 들어 실행)하여, 지정 계속 시간, 계속시키는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34)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34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를 송신(출력)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MPD를, 방송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MPD를 프록시 서버, 혹은 재생 제어부에 출력한다.
(스텝 S35 내지 S36)
다음으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의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311)는, 스텝 S35 내지 S36에 있어서, AV 콘텐츠 등을 저장한 세그먼트를 송신(출력)한다.
송신하는 세그먼트는, MP4 포맷에 있어서 규정되는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emsg)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이다.
세그먼트 송신은, 스텝 S36 이후, 계속적으로 실행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인 경우에는, 세그먼트를, 방송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가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110)(도 10, 도 11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인 경우에는, 세그먼트를, 프록시 서버, 혹은 재생 제어부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21의 우측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벤트 실행 장치(320)는, 구체적으로는, MPD 등의 시그널링 데이터나, AV 세그먼트를 입력하여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131, 151))이다.
도 21에 도시한 이벤트 실행 장치(320)가 실행하는 처리는, 수신 장치의 재생 제어부(131, 151)에 있어서 실행하는 처리이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는, 재생 제어부를, 실행하는 처리의 종류에 따라서 분리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이벤트 대응 처리 실행부로서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와, MPD나 AV 세그먼트를 적용한 콘텐츠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의 2개의 처리부로 구분하여 나타내고 있다.
(스텝 S41)
먼저,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41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에 대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스텝 S42)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44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에 대하여 세그먼트의 취득 요구를 행한다.
(스텝 S43)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42에 있어서,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310)로부터 취득한 세그먼트로부터 이벤트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여기에서 취득한 세그먼트는,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emsg)를 갖는다. 즉, 도 20에 도시한 이벤트 정보를 기록한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emsg)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이벤트 정보 기록 세그먼트)인 것으로 한다.
이벤트 정보 기록 세그먼트에는, 이벤트의 종류, 내용이나,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 계속 시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다.
수신 장치는, 이 세그먼트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지정된 이벤트를 지정 시간에 액티베이트(예를 들어 실행)하여, 지정 계속 시간, 계속시키는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44)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321)는, 스텝 S44에 있어서, 세그먼트로부터 취득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스케줄링된 이벤트의 적용 처리, 즉 이벤트 액티베이트(이벤트 실행, 개시 등)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5)
다음으로, 이벤트 실행 장치(32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322)는, 스텝 S45에 있어서, 스텝 S42에서 취득한 세그먼트로부터 AV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6 내지 S49)
스텝 S46 내지 S49의 처리는, 스텝 S42 내지 S45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이 일련의 처리는, 세그먼트 단위의 처리로서 계속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신 장치(클라이언트)는,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처리에 아울러, 세그먼트 내의 이벤트 정보 기록 박스(emsg)에 기록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다양한 이벤트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8.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를 위한 이벤트 통지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상술한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하여 긴급 정보 자체, 또는 긴급 정보가 배신된 것을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는, 도 12, 도 13에 도시한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취득, 해석하여, 이하의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지연없이 취득할 수 있다.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그러나,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가 송신하는 프로그램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제시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것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이다.
따라서, 이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가, 상기 (a), (b)의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파악하지 않는 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삭제 처리나, 긴급 정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처리에서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통지되는, 이하의 통지 정보, 즉,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이들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미들웨어로부터,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재빨리 전송하여, 이들 통지에 대응한 처리를 지연없이 실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처리로서,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한다.
본 개시의 처리에서는,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하여 이벤트 통지를 행하는 이벤트로서, 이하의 새로운 2개의 이벤트를 정의한다.
(a)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또한, 이벤트 통지 처리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대하여 실행되고, 또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를 통해,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나,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대하여 실행된다.
(a)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가 배신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다.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가 배신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다.
상기 2개의 이벤트를 새롭게 정의한다.
이들 2개의 이벤트의 이벤트 식별자(schemeIdUri=urn:uniform resource name)는 이하의 식별자로 한다.
(a)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의 식별자는, 이하의 식별자로 한다.
schemeIdUri="urn:atsc:onScreenMessage"
이 식별자가 설정된 이벤트 정보는, 긴급 정보 메시지가 비디오 스트림 상에 (비디오로서) 중첩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이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여, 긴급 정보 메시지 상의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배제를 실행시킨다.
한편,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의 식별자는, 이하의 식별자로 한다.
schemeIdUri="urn:atsc:AEATDelivered"
이 식별자가 설정된 이벤트 정보는, AEAT나 CAP 등의 긴급 정보 메시지가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배신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다.
재생 제어부(131, 151), 혹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긴급 정보 제어부(140), 260 등에, 이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고, 배신된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록된 액세스 정보를 사용하여 긴급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긴급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는, 이벤트 정보의 기록 데이터로서,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배신된 긴급 정보(AEAT) 메시지 그 자체를 저장, 또는
긴급 정보(AEAT) 메시지 파일의 액세스 정보(url)를 기록,
이들 중 어느 것의 구성으로 한다.
어느 경우도, 이벤트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AEAT) 메시지가 취득 가능하다.
또한, 긴급 정보(AEAT) 메시지 파일에는, 앞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지도 정보 등도 포함된다.
[8-1.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먼저,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DASH 이벤트의 전송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
(b)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이들 2종류가 있다.
이하,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상기 2종류의 이벤트 전송 방식을 적용한 각 처리 방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a), (b) 중 어느 경우도,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전송되게 된다.
[8-1-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먼저,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사용하여,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한 것을 알리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의 생성 처리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있어서 실행된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는, 긴급 정보 메시지가 프로그램 콘텐츠 등의 비디오 스트림 상에 (비디오로서) 중첩된 것을 통지하고, 이 긴급 정보 메시지 상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요구하는 이벤트 정보이다.
그러나, 긴급 정보 메시지를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하는 처리는,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가 긴급 사태 발생 시에 실행하는 것이며, 그 실행 타이밍은 예측 불가능하다.
즉, 이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을 기술할 수는 없다.
앞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서는, MPD를 이용하여, 피리어드(Period) 단위로 이벤트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에서는,
(a) 다양한 이벤트의 액티베이트(개시/실행/활성화) 타이밍 등의 이벤트 스케줄,
(b) 각 타이밍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수신 장치)가 처리해야 할 이벤트 처리, 또한,
(c) 이벤트 실행 시에 클라이언트 상에서 가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해야 할 데이터 등,
이들을 MPD에 기술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긴급 정보 메시지의 비디오 스트림 상에의 중첩 처리는,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가 긴급 사태 발생 시에 실행하는 것이며, 그 실행 타이밍은, 예측 불가능하여, 피리어드(Period) 단위의 액티베이트(개시/실행/활성화) 타이밍 등의 이벤트 스케줄을 규정할 수 없다.
따라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의 이벤트 정보를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지체없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등에 취득시키기 위해서는,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의 취득이 필요한 것을,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등에, 사전에 알리는 것이 필요로 된다.
그를 위해, 이하의 처리 수순 (S01) 내지 (S03)을 실행한다.
(S01)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가, 시그널링 데이터(LLS)로부터,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통지,
(S02)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생성하고,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기록한 MPD를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저장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이용 중인 MPD가 변경 또는 갱신된 것을, 기존의 DASH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하여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통지한다.
(S03)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 갱신 이벤트 통지를 수령하고, 이 이벤트 통지에 기록된 메시지 데이터를 적용하여, MPD의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의 스텝 (S02)에서,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가 생성하고,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저장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기록한 MPD를,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갱신 MPD로서 취득시킨다.
이 스텝 (S01) 내지 (S03)의 MPD 갱신 처리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기록한 MPD를 취득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갱신된 MPD를 참조함으로써, 긴급 정보 메시지가 프로그램 콘텐츠 등의 비디오 스트림 상에 (비디오로서) 중첩된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텝 (S02)에서 설명한 MPD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이벤트 통지 처리에 대해서는, DASH 스펙에 있어서 규정된 기존의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DASH 스펙에서는 이하의 2종류의 이벤트가 DASH 기정의 이벤트로서 정의되어 있다.
하나는,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이며,
또 하나는, MPD 패치(MPD Patch) 통지 이벤트이다.
이들 이벤트(DASH 이벤트)는, 모두 MPD의 갱신 통지에 이용하는 이벤트이다. 어느 쪽도 그 이벤트의 타입(식별자)은,
schemeIdUri="urn:mpeg:dash:event: 2012"이다.
단, 이들 2개의 이벤트에는 상이한 속성(value 속성)이 설정되고, 이 속성에 따라서 2개 이벤트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의 타입(식별자)과 속성(value 속성)은 이하와 같다.
schemeIdUri="urn:mpeg:dash:event:2012"
value="1"
한편, MPD 패치(MPD Patch) 통지 이벤트의 타입(식별자)과 속성(value 속성)은 이하와 같다.
schemeIdUri="urn: mpeg: dash: event: 2012"
value="2"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가 이용 중인 MPD가 변경,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이벤트이다.
통상 MPD 갱신 시간은 MPD의 속성인 MPD@minimumUpdatePeriod에 의해 MPD 내에 기재되어 통지된다.
클라이언트로서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는, 이 minimumUpdatePeriod에 기재된 시각까지는 취득한 MPD가 유효하다고 판단한다.
단, 어떤 사정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에 제공 완료된 MPD를 갱신해야만 한 경우에는, 이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를,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은, 세그먼트의 스트림 중에 이벤트 통지 정보를 저장하여 통지하는 방식이다.
즉, 세그먼트 중에 MPD의 갱신이 필요로 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통지를 삽입하여,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는, 입력 세그먼트에 대해서는, 모두 확인하고 있고, 이 세그먼트 확인 과정에서, MPD 갱신이 필요로 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 내에 기록하는 이벤트 데이터에는, 갱신이 필요로 되는 시각 정보를 메시지 데이터로서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in-band Event의 emsg box의,
message_data []
로 갱신이 필요로 되는 시각 정보를 저장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는, 세그먼트로부터, 이 이벤트를 검출하면, 현재 이용 중인 MPD 파일의 액세스 정보(url)와 마찬가지의 액세스 정보를 적용하여, 메시지 데이터로서 기록된 시각에 MPD의 재취득을 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갱신된 MPD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긴급한 MPD 갱신이 필요로 되는 경우에는, "갱신이 필요로 되는 시각"을 "지금 바로"로 설정한다.
또 하나의, MPD 패치(MPD Patch) 통지 이벤트는,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와 같이, MPD 갱신이 필요로 되는 시각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MPD 그 자체를 갱신하는(개변하는) 커맨드(패치 스크립트)를 보내는 형태를 취한다.
MPD 그 자체를 갱신하는 커맨드를 메시지 데이터로서,
in-band Event의 emsg box의
message_data []
에 저장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는, 세그먼트로부터, 이 이벤트를 검출하면, 취득 완료된 MPD에, 이 커맨드를 적용하여 내용 그 자체를 갱신한다.
상기 스텝 (S02)에서 설명한 MPD의 갱신 통지를 행하는 이벤트 통지 처리는, 이들의 기존의 DASH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스텝 (S01) 내지 (S03)의 처리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기록한 갱신된 MPD를 취득할 수 있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의 데이터예를 도 22에 도시한다.
MPD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Period startTime='0'>
···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onScreenMessage' timescale='1000'>
<Event presentationTime='(이벤트가 개시(액티베이트)되는 대상 기간(Period)의 피리어드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차분(경과 시간))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Event>
···.
</EventStream>
···
<AdaptationSet>
···
</Period>
</MPD>
상기의 MPD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 MPD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최초의 피리어드의 개시 시각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시각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UTC 시각이 사용된다.
<Period startTim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피리어드 개시 시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PD에 있어서 규정되는 스타트 시간(MPD/@availabilityStartTime)으로부터의 오프셋 시간이 기록된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onScreenMessage'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스트림 지정 정보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onScreenMessage'」에 의해, 이 이벤트가,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Event presentationTime='(이벤트가 개시(액티베이트)되는 대상 기간(Period)의 피리어드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차분(경과 시간))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경우, 방송 콘텐츠의 화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개시 시간, 중첩 표시의 계속 시간이 기록 가능하다.
이벤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된다.
이하의,
<AdaptationSet>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이들은, 각 데이터 종류별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며,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경우,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 정보 등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를 참조하면서, 세그먼트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방송 스트림의 출력 제어를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이 처리 기간에, 전술한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에 의해, 세그먼트의 스트림 중에서, 이벤트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이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저장한 갱신 MPD, 즉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갖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기록한 MPD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갱신 MPD에 기록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참조하여, 긴급 정보가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타이밍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의 이벤트 추출부(205, 255)는, 또한, 이 MPD에 기록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는,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기 예보 정보 제시 콘텐츠 등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8-1-2.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사용하여,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한 것을 알리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의 생성 처리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에 있어서 실행된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는, 긴급 정보 메시지가 프로그램 콘텐츠 등의 비디오 스트림 상에 (비디오로서) 중첩된 것을 통지하고, 이 긴급 정보 메시지 상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도록 하게 하기 위한 처리를 요구하는 이벤트 정보이다.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는, 세그먼트 내에, 이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있어서 이용되는 MP4 포맷 데이터 내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일반적인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는, 앞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세그먼트 내에 설정한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 23에 도시한다.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box_type='emsg'
scheme_id_uri="urn: atsc:onScreenMessage"
value=0
timescale=1000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 =0xFFFF
id=1
message_data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상기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box_type='emsg'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박스 타입 기록 영역이다. 이 박스(MP4에 있어서 규정되는 데이터 저장 박스)가,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인 것을 기술하고 있다.
scheme_id_uri="urn:atsc:onScreenMessage"
valu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지정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scheme_id_uri="urn:atsc:onScreenMessage"」에 의해, 이 이벤트가,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옵셔널한 「Value」에 의해 이벤트의 종류 등을 정의 가능해진다.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0xFFFF
이들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경우, 방송 콘텐츠의 화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개시 시간, 중첩 표시의 계속 시간이 기록된다.
이벤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 가능하다.
id=1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식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essage_data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세그먼트 스트림 중(in-stream)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scheme_id_uri」 필드와, 옵셔널한 「Value」 필드에 이벤트의 종류를 정의 가능하다.
또한, 「message_data」 필드에 이벤트 데이터, 즉,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를 참조하면서, 세그먼트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방송 스트림의 출력 제어를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이 처리 기간에,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의해, 세그먼트의 스트림 중에서, 이벤트 통지 정보로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세그먼트 중에 기록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참조하여, 긴급 정보가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타이밍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의 이벤트 추출부(205, 255)는, 또한, 이 세그먼트 내의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는,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기 예보 정보 제시 콘텐츠 등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8-1-3.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정의한 이벤트인,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가 배신된 것을, 미들웨어로부터,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이벤트 통지에는, 이하의 2종류의 타입의 이벤트 통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a)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
(b)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
이하, 이들 2종류의 이벤트 통지 방식을 이용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의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4를 참조하여, 이하의 3개의 장치간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1)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의 생성과 출력을 실행하는 송신 장치(410),
(2)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긴급 정보의 통지 상황 등을 기록한 이벤트 정보를 MPD, 또는 세그먼트 내에 기록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
(3)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로부터, AV 세그먼트나,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 등을 수령하여 AV 세그먼트의 재생 처리나,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또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에 상당한다.
또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출력 제어부(132, 15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상당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송신 장치(410)에는,
재생 콘텐츠의 스트림 등의 생성을 행하는 스트림 서버(411),
MPD나 세그먼트의 생성을 행하는 DASH 서버(412),
긴급 정보의 생성을 행하는 긴급 정보 서버(413),
MPD, 세그먼트, 긴급 정보의 송신을 실행하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
이들 4개의 구성이 분할되어 있다.
이들은, 송신 장치가 실행하는 다양한 처리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처리 단위로 구별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가 갖는 기능이며, 하나의 송신 장치(송신 서버)에 있어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먼저, 송신 장치(4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01)
먼저,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긴급 정보를 생성하여, 스트림 서버(411)가 생성하는 화상에 중첩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하여 배신하는 긴급 정보, 즉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를 생성하여, 스트림 서버(411)가 생성하는 화상에 중첩한다.
(스텝 S202)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를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 장치에 출력한다.
이것은,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의 배신이 이루어지는 것(온 스크린 메시지 통지 : OnScreen Message Notificatio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의 송신 처리이다.
이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은, 방송 스트림 등의 통신 세션과는 상이한 세션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스텝 S203)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스트림 서버(411)는, 스텝 S203에 있어서, 긴급 정보 서버(413)가 생성한 긴급 정보를 화상 상에 중첩한 스트림을 생성하여 DASH 서버에 출력한다.
(스텝 S204 내지 S205)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DASH 서버(412)는, 스텝 S204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나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스텝 S205에 있어서,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송신한다.
세그먼트에는 방송 콘텐츠 구성 데이터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이 포함된다.
MPD에는, 방송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등이 포함된다.
앞서 도 14 및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PD는, 화상이나, 음성 각각의 스트림마다, 소정의 데이터 범위 단위의 속성 정보나 제어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송신 장치(410)가 방송국 등인 경우에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에 있어서, MPD나 세그먼트를 방송파에 실어 송신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송신 장치(41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데이터 배신 서버인 경우에는, MPD나 세그먼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가 송신하는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긴급 정보의 통지 상황 등을 기록한 이벤트 정보를 MPD, 또는 세그먼트 내에 기록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또한, 생성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실행하는 각 스텝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211)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로부터,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가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하면, 스텝 S211에 있어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즉,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의 스텝 S202의 처리에 있어서 송신 장치(410)로부터 송신된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를 수신한다.
시그널링 데이터(LLS)에는,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의 배신이 이루어지는 것(온 스크린 메시지 통지 : 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이 기록되어 있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이 통지에 따라서, MPD, 또는 세그먼트에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본 예에 있어서, 송신 장치(410)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는, 방송 콘텐츠의 구성 화상에 직접 중첩된 온 스크린형의 긴급 정보이며,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가 배신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다.
(스텝 S212)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스텝 S212에 있어서, MPD, 또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스텝 S211에서 생성한 이벤트 정보, 즉,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ASH 이벤트의 전송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
(b)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이들 2종류가 있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MPD에 삽입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가 생성된다.
또한, 이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SLS 시그널링 생성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있어서 실행된다.
한편,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세그먼트에 삽입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가 생성된다.
또한, 이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에 있어서 실행된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 MPD, 혹은 세그먼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2) 방송 콘텐츠의 화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개시 시간, 중첩 표시의 계속 시간,
이들 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텝 S213)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스텝 S213에 있어서, MPD나 세그먼트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또한, 이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프록시 서버(121)를 통해 실행된다.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 즉,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액세스하여 MPD나 세그먼트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취득하는 MPD나 세그먼트에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스텝 S212에서 생성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 MPD, 또는 세그먼트가 포함된다.
또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 MPD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즉,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지연없이 취득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MPD 갱신 통지를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먼저,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기존의 MPD 갱신 이벤트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MPD 갱신이 이루어진 것을 통지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이 통지에 따라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 MPD를 지연없이 취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의 우측에 도시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에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 재생 제어부(43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구성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재생 제어부(131, 151)의 각 구성에 대응한다.
(스텝 S221)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를 통해 수신한 MPD, 또는 세그먼트로부터,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추출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에 전송한다.
즉,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앞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 또는,
앞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로부터,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추출한다.
온 스크린 메시지 이벤트(OnScreenMessage Event)를 삽입한 MPD, 혹은 세그먼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2) 방송 콘텐츠의 화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개시 시간, 중첩 표시의 계속 시간,
이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스텝 S222)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는, 스텝 S222에 있어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는,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기 예보 정보 제시 콘텐츠 등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223)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를 통해 수신한 세그먼트로부터 AV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처리에 아울러,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생성한 이벤트 정보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정보 세그먼트를 취득하여, 방송 콘텐츠의 화상에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것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이벤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에 전송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제어부가 실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를 정지시켜,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가,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에 의해 가려진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킬 수 있다.
[8-2.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이벤트 정보로서 통지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는, 예를 들어 앞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통상의 프로그램 배신 경로와는 상이한 통신 경로,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긴급 정보로서의 메시지나 피난 경로 정보를 송신하는 긴급 정보 통지 방식이다.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AEAT(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에 따른 긴급 정보의 송신 처리는, 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의 긴급 정보 배신 방식에 따라서 실행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DASH 이벤트의 전송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
(b)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이들 2종류가 있다.
이하,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상기 2종류의 이벤트 전송 방식을 적용한 각 처리 방식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a), (b) 중 어느 경우도,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로부터,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전송되게 된다.
[8-2-1.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먼저,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사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한 것을 알리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의 생성 처리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있어서 실행된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는, 긴급 정보로서의 메시지나 피난 경로 정보 등을, 통상의 프로그램 배신 경로와는 상이한 통신 경로,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에 있어서도, 앞서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처리 구성과 마찬가지로, 긴급 정보의 송신은, 방송 서버(21) 등의 송신 장치(20)가 긴급 사태 발생 시에 실행하는 것이며, 그 실행 타이밍은 예측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이벤트의 액티베이트(활성화) 시각을 기술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먼저 온 스크린 메시지형의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하의 처리 수순 (S01) 내지 (S03)을 실행한다.
(S01)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가, 시그널링 데이터(LLS)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통지,
(S02)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생성하고,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기록한 MPD를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저장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이용 중인 MPD가 변경, 또는 갱신된 것을, 기존의 DASH 이벤트 통지 기구를 이용하여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통지한다.
(S03)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 갱신 이벤트 통지를 수령하고, 이 이벤트 통지에 기록된 메시지 데이터를 적용하여, MPD의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즉, 상기의 스텝 (S02)에서,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115)가 생성하고,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기록한 MPD를,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갱신 MPD로서 취득시킨다.
이 스텝 (S01) 내지 (S03)의 MPD 갱신 처리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기록한 MPD를 취득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갱신된 MPD를 참조함으로써, 긴급 정보 메시지가 시그널링 데이터(예를 들어 LLS)로서 배신된, 또는 배신되는 것을 아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텝 (S02)에서 설명한 MPD가 갱신된 것을 통지하는 이벤트 통지 처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ASH 스펙에 있어서 규정된 이하의 기존의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하나는, MPD 유효 기한 경과(MPD Validity Expiration) 통지 이벤트이며,
또 하나는, MPD 패치(MPD Patch) 통지 이벤트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스텝 (S01) 내지 (S03)의 처리에 의해,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기록한 갱신된 MPD를 취득할 수 있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의 데이터예를 도 25에 도시한다.
MPD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Period startTime='0'>
···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AEATDelivered' timescale='1000'>
<Event presentationTime='(이벤트가 개시(액티베이트)되는 대상 기간(Period)의 피리어드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차분(경과 시간))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Event>
···.
</EventStream>
···
<AdaptationSet>
···
</Period>
</MPD>
상기의 MPD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MPD availabilityStartTime="2011-12-25T12:3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 MPD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최초의 피리어드의 개시 시각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시각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UTC 시각이 사용된다.
<Period startTim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피리어드 개시 시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PD에 있어서 규정되는 스타트 시간(MPD/@availabilityStartTime)으로부터의 오프셋 시간이 기록된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AEATDelivered'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스트림 지정 정보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EventStream schemeIdUri='urn:atsc:AEATDelivered'」에 의해, 이 이벤트가,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Event presentationTime='(이벤트가 개시(액티베이트)되는 대상 기간(Period)의 피리어드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차분(경과 시간))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의 경우, 긴급 정보(AEAT)가 배신되는 개시 시간, 계속 시간이 기록 가능하다.
이벤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된다.
이하의,
<AdaptationSet>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이들은, 각 데이터 종류별의 정보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이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의 경우, 긴급 정보가 중첩 표시되는 방송 스트림의 식별 정보 등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를 참조하면서, 세그먼트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방송 스트림의 출력 제어를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이 처리 기간에, 전술한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에 의해, 세그먼트의 스트림 중에서, 이벤트 통지 정보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이 이벤트 정보에 따라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저장한 갱신 MPD, 즉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갖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기록한 MPD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갱신 MPD에 기록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로부터, 직접, 긴급 정보(AEAT) 구성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또는, 갱신 MPD에 기록된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에 따라서, 긴급 정보(AEAT)를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미들웨어(110)는, 송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긴급 정보(AEAT)를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수신한 경우, 수신한 긴급 정보(AEAT)를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에 저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의 이벤트 추출부(205, 255)는, 또한, 이 MPD에 기록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전송한다.
이벤트에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갱신 MPD에 기록된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에 따라서, 긴급 정보(AEAT)를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로부터 취득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를 통해 취득한 긴급 정보(AEAT)를 해석하고, 긴급 정보(AEAT) 중에 저장된 긴급 메시지나 피난 경로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긴급 정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8-2-2.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다음으로,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통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사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한 것을 알리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의 생성 처리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에 있어서 실행된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는, 긴급 정보로서의 메시지나 피난 경로 정보 등을, 통상의 프로그램 배신 경로와는 상이한 통신 경로,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의 통신 경로를 이용하여 수신 장치에 송신하는 방식이다.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는, 세그먼트 내에, 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있어서 이용되는 MP4 포맷 데이터 내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일반적인 데이터 구성예에 대해서는, 앞서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세그먼트 내에 설정한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 26에 도시한다.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는, 예를 들어 이하의 기술을 갖는다.
box_type='emsg'
scheme_id_uri="urn:atsc:AEATDelivered"
value=0
timescale=1000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 =0xFFFF
id=1
message_data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상기의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의 데이터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box_type='emsg'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박스 타입 기록 영역이다. 이 박스(MP4에 있어서 규정되는 데이터 저장 박스)가, 이벤트 정보 저장 박스(emsg)인 것을 기술하고 있다.
scheme_id_uri="urn:atsc:AEATDelivered"
value=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종류 등을 나타내는 이벤트 지정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scheme_id_uri="urn:atsc:AEATDelivered"」에 의해, 이 이벤트가,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옵셔널한 「Value」에 의해 이벤트의 종류 등을 정의 가능해진다.
timescale=1000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타임 스케일 정보의 기록 영역이다.
「timescale='1000'」은, 이하에 기록되는 프리젠테이션 타임(presentationTime)의 단위 시간은 1/1000초인 것을 나타낸다.
presentation_time_delta=0
event_duration=0xFFFF
이들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의 액티베이트(실행 개시 등) 시간이나 계속 시간 등의 이벤트 스케줄링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의 경우, 긴급 정보(AEAT)가 배신되는 개시 시간, 계속 시간이 기록 가능하다.
이벤트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 가능하다.
id=1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식별 정보 기록 영역이다.
message_data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 데이터 액세스용 URL)
이 데이터 기록 영역은, 이벤트 데이터의 기록 영역이다.
이벤트 데이터는,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긴급 정보 메시지의 실체 데이터, 또는 그 액세스 정보 등이 기록된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세그먼트 스트림 중(in-stream)에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서는, 「scheme_id_uri」 필드와, 옵셔널한 「Value」 필드에 이벤트의 종류를 정의 가능하다.
또한, 「message_data」 필드에 이벤트 데이터, 즉, 이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실체 데이터, 메타데이터, 커맨드 등의 데이터나, 그 액세스 정보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MPD를 참조하면서, 세그먼트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여, 방송 스트림의 출력 제어를 계속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이 처리 기간에,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에 의해, 세그먼트의 스트림 중에서, 이벤트 통지 정보로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세그먼트 중에 기록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로부터, 직접, 긴급 정보(AEAT) 구성 데이터를 취득하거나, 또는, 갱신 MPD에 기록된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에 따라서, 긴급 정보(AEAT)를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로부터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의 이벤트 추출부(205, 255)는, 또한, 이 세그먼트 내의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전송한다.
이벤트에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세그먼트에 기록된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에 따라서, 긴급 정보(AEAT)를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로부터 취득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를 통해 취득한 긴급 정보(AEAT)를 해석하고, 긴급 정보(AEAT) 중에 저장된 긴급 메시지나 피난 경로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8,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긴급 정보의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8-2-3.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정의한 이벤트인,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메시지 통지 : AEAT Message Notification)」가 배신된 것을, 미들웨어로부터,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이벤트 통지에는, 이하의 2종류의 타입의 이벤트 통지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a)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MPD Event),
(b) 세그먼트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In-band Event Signaling)
이하, 이들 2종류의 이벤트 통지 방식을 이용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의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7을 참조하여, 이하의 3개의 장치간의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1)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의 생성과 출력을 실행하는 송신 장치(410),
(2)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긴급 정보의 통지 상황 등을 기록한 이벤트 정보를 MPD, 또는 세그먼트 내에 기록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
(3)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로부터, AV 세그먼트나,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 등을 수령하여 AV 세그먼트의 재생 처리나,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또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에 상당한다.
또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출력 제어부(132, 152),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상당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송신 장치(410)에는,
재생 콘텐츠의 스트림 등의 생성을 행하는 스트림 서버(411),
MPD나 세그먼트의 생성을 행하는 DASH 서버(412),
긴급 정보의 생성을 행하는 긴급 정보 서버(413),
MPD, 세그먼트, 긴급 정보의 송신을 실행하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
이들 4개의 구성이 분할되어 있다.
이들은, 송신 장치가 실행하는 다양한 처리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처리 단위로 구별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방송 서버(21), 데이터 배신 서버(22)가 갖는 기능이며, 하나의 송신 장치(송신 서버)에 있어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먼저, 송신 장치(4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401)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스트림 서버(411)는, 스텝 S401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 구성 데이터로서의 화상이나 음성 등을 포함하는 스트림을 생성하여 DASH 서버에 출력한다.
(스텝 S402 내지 S403)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DASH 서버(412)는, 스텝 S402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의 MPD나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스텝 S403에 있어서,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송신한다.
세그먼트에는 방송 콘텐츠 구성 데이터로서의 화상이나, 음성이 포함된다.
MPD에는, 방송 콘텐츠의 재생 처리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정보, 안내 정보 등이 포함된다.
앞서 도 14와 그 밖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MPD는, 화상이나, 음성 각각의 스트림마다, 소정의 데이터 범위 단위의 속성 정보나 제어 정보를 기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송신 장치(410)가, 방송국 등인 경우에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에 있어서, MPD나 세그먼트를 방송파에 실어 송신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송신 장치(410)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실행하는 데이터 배신 서버인 경우에는, MPD나 세그먼트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스텝 S404 내지 S405)
먼저,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스텝 S404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긴급 정보(AEAT)를 생성하고, 스텝 S405에 있어서,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송신한다.
긴급 정보 서버(413)가 생성하는 긴급 정보는, 예를 들어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AEAT : 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이다.
AEAT에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로서의 긴급 정보 메시지나, 피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 정보 등의 표시용 데이터, 혹은 표시용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은, 방송 스트림 등의 통신 세션과는 상이한 세션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가 송신하는 AV 세그먼트나, 긴급 정보, MPD, 시그널링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긴급 정보(AEAT) 자체, 혹은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를 저장한 이벤트 정보를 MPD, 또는 세그먼트 내에 기록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또한, 생성한 이벤트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실행하는 각 스텝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411)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를 수신하면, 스텝 S411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
즉,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의 스텝 S405의 처리에 있어서 송신 장치(410)로부터 송신된 긴급 정보(AEAT)를 저장한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를 수신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이 시그널링 데이터(LLS)의 수신에 따라서, MPD, 또는 세그먼트에 저장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한다.
본 예에 있어서, 송신 장치(410)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이며,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의해,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가 배신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이벤트 정보이며, 긴급 정보(AEAT) 구성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스텝 S412)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스텝 S412에 있어서, MPD, 또는 세그먼트 중 적어도 어느 것에, 스텝 S411에서 생성한 이벤트 정보, 즉,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DASH 이벤트의 전송 방식에는, 이하의 2개의 종류가 있다.
(a) 이벤트 정보를 시그널링 데이터인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
(b) 이벤트 정보를 세그먼트 내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
이들 2종류가 있다.
MPD 적용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MPD에 삽입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가 생성된다.
또한, 이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SLS 시그널링 생성부(MPD 이벤트 삽입부)(115)에 있어서 실행된다.
한편,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세그먼트에 삽입한다.
이 처리에 의해, 앞서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가 생성된다.
또한, 이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에 있어서 실행된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 MPD, 혹은 세그먼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2) 긴급 정보의 배신 개시 시간, 배신 계속 시간,
이들 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텝 S413)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스텝 S413에 있어서, MPD나 세그먼트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또한, 이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프록시 서버(121)를 통해 실행된다.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 즉,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프록시 캐시)(121)에 액세스하여 MPD나 세그먼트를 취득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취득하는 MPD나 세그먼트에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가, 스텝 S412에서 생성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 MPD, 또는 세그먼트가 포함된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 MPD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즉, 도 10,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취득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MPD 갱신 통지를 행할 필요가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먼저, 세그먼트 적용(in-band) 이벤트 통지 방식을 적용한 기존의 MPD 갱신 이벤트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즉,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에 MPD 갱신이 이루어진 것을 통지한다.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는, 이 통지에 따라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 MPD를 지연없이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414)
스텝 S414의 처리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스텝 S413에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 MPD나 세그먼트에,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가 기록되고,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새로운 출력(표시)용 데이터가 필요로 될 때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이 경우,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로부터의 긴급 정보(AEAT) 취득 요구에 따라서, 출력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AEAT)를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27의 우측에 도시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에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긴급 정보 제어부(433), 재생 제어부(432)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구성은, 도 10, 도 11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와, 재생 제어부(131, 151)의 각 구성에 대응한다.
또한, 이 도 27에 도시한 예에서는, 긴급 정보 제어부(433)가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등의 데이터 렌더링을 실행하는 설정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가,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등의 데이터 렌더링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7에 도시한 긴급 정보 제어부(433)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421)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를 통해 수신한 MPD, 또는 세그먼트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추출하여, 긴급 정보 제어부(433)에 전송한다.
즉,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앞서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MPD, 또는,
앞서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 정보를 기록한 세그먼트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추출한다.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AEAT) 배신 이벤트(AEATDelivered Event)를 삽입한 MPD, 혹은 세그먼트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2) 긴급 정보(AEAT)의 배신 개시 시간, 계속 시간,
이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스텝 S422 내지 S423)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긴급 정보 제어부(433)는, 스텝 S422에 있어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고, 스텝 S423에 있어서, 긴급 정보(AEAT)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출력(표시)용의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령한 이벤트 정보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여, 스텝 S423에 있어서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한편,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가 기록되고, 출력(표시)용의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 스텝 S423에 있어서, 취득한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취득한 긴급 정보(AEAT)는, 도 10에 도시한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에 저장되어 있고, 긴급 정보 제어부(433)는 프록시 서버(120)의 캐시부(121)에 저장된 긴급 정보(AEAT)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취득 처리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가 실행하고,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로부터 긴급 정보 제어부(433)에 제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텝 S424)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를 통해 수신한 세그먼트로부터 AV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재생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432)는, AV 세그먼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처리에 아울러,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가 생성한 이벤트 정보 삽입 MPD, 또는 이벤트 정보 세그먼트를 취득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긴급 정보(AEAT)가 송신된 것을 검지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로서 AEAT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AEAT 이외의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이며, 시그널링 데이터를 적용하여 송신되는 긴급 정보에 대해서는, 어떤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라도, 본 개시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9. 이벤트 정보의 전송 전용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갖는 구성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구성을 변경하고, 긴급 정보 관련 이벤트 정보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긴급 정보 관련 이벤트 정보 전용의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에 긴급 정보 관련 이벤트의 전송 처리를 실행하는 이벤트 처리 서버(501)를 설치하고,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와 병렬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를 설치한다.
도 28에 도시한 구성과, 앞서 설명한 도 10, 도 11에 도시한 구성의 차이는 이하와 같다.
(a)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
(a1) 긴급 정보 관련 이벤트의 전송 처리를 실행하는 이벤트 처리 서버(501)를 추가,
(a2) 도 10에 도시한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118)의 삭제,
(a3) 도 10에 도시한 SLS 시그널링 해석부(115)의 MPD 이벤트 삽입 기능의 삭제
(b)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b1)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와 병렬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를 추가,
(b2) 도 11에 도시한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131, 151) 내의 이벤트 추출부(205, 255)의 삭제,
도 28에 도시한 구성의 그 밖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10, 도 11과 동일하다.
도 28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가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수신하면, 그 시그널링 데이터를, 이벤트 처리 서버(501)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12,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한 데이터는,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이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데이터는,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AEAT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이다.
도 28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가, 상기 (a), (b) 중 어느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수신하면, 그 시그널링 데이터를, 이벤트 처리 서버(501)에 전송한다.
이벤트 처리 서버(501)는,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로부터 수령한, 상기 (a), (b) 중 어느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에 전송한다.
또한, 이벤트 처리 서버(501)가 생성하는 이벤트 정보는,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AEAT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이들 (a), (b) 중 어느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이다.
또한, 이벤트 처리 서버(501)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 사이에서는, 미리, 긴급 정보 전송 전용의 시큐어 세션인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확립하여, 상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이벤트 처리 서버(501)는, 이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통해,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는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에 전송한다.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는, 이벤트 처리 서버(501)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따라서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신한 이벤트 정보가,
(a)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
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이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여,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있어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제시가 이루어져 있는 경우, 그 제시 콘텐츠의 제시 처리를 중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한편, 수신한 이벤트 정보가,
(b)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
를 포함하는 이벤트 정보인 경우에는,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 혹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이 이벤트 정보를 통지하여,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 혹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있어서, 긴급 정보(AEAT)의 취득과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메시지 등의 표시 처리를 실행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9-1.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28에 도시한 이벤트 처리 서버(501)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를 갖는 구성을 사용한 구체적인 처리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9에 도시한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에는, 이하의 3개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1) 송신 장치(410),
(2)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
(3)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또한, 앞서 도 24,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서는, AV 세그먼트나, MPD 등의 생성과 출력을 실행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29에 도시한 시퀀스도에서는, AV 세그먼트나 MPD의 생성, 송신 처리 구성은 생략하고, 긴급 정보에 관한 처리만 도시하고 있다.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긴급 정보에 대한 처리에 병행하여, AV 세그먼트, MPD의 생성, 송신, 이용(재생) 처리가 실행된다.
먼저, 송신 장치(4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1)
먼저,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화상에 중첩하여 표시하기 위한 긴급 정보를 생성하고, 스트림 서버(411)가 생성하는 화상에 중첩한다.
예를 들어, 앞서 도 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하여 배신하는 긴급 정보, 즉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를 생성하여, 스트림 서버(411)가 생성하는 화상에 중첩한다.
(스텝 S502)
다음으로,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를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 장치에 출력한다.
이것은, 온 스크린 메시지(OnScreenMessage)형의 긴급 정보의 배신이 이루어지는 것(온 스크린 메시지 통지 : 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 데이터(LLS : Lower Layer Signaling)의 송신 처리이다.
이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은, 방송 스트림 등의 통신 세션과는 상이한 세션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이벤트 처리 서버(421)를 갖는다.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도 28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 내의 이벤트 처리 서버(501)에 상당한다.
(스텝 S511)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스텝 S511에 있어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도 28에 도시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와의 사이에서, 긴급 정보 전송 전용의 시큐어 세션인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확립한다.
이 세션은, 상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스텝 S512)
다음으로,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송신 장치(410)가 송신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입력한다.
이 시그널링 데이터(LLS)는, 도 28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를 통해 입력한다.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로부터 수령한, 상기의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도 28에 도시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29의 우측에 도시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에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구성은, 도 28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의 각 구성에 대응한다.
(스텝 S521)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와의 사이에서, 긴급 정보 전송 전용의 시큐어 세션인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확립한다.
이 세션은, 상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스텝 S522)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로부터,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입력한다.
이 이벤트 정보에는, 앞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 데이터(On Screen Message Notification)」의 기록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로부터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도 28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에 전송한다.
(스텝 S523)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는, 스텝 S523에 있어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31)는,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경우, 그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를 정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앞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기 예보 정보 제시 콘텐츠 등의 표시를 정지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방송 콘텐츠의 화상 상에 중첩되어 배신되는 긴급 정보를 유저(시청자)에게 확실하게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9-2.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다음으로, 도 30에 도시한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에 기초하는 이벤트 생성, 전송 및 이벤트에 기초하는 처리의 실행 시퀀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에는, 이하의 3개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1) 송신 장치(410),
(2)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
(3)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
또한, 도 30도, 도 29와 마찬가지로, AV 세그먼트나 MPD의 생성, 송신 처리 구성은 생략하고, 긴급 정보에 관한 처리만 도시하고 있다.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긴급 정보에 대한 처리에 병행하여, AV 세그먼트, MPD의 생성, 송신, 이용(재생) 처리가 실행된다.
먼저, 송신 장치(41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601 내지 S602)
먼저, 송신 장치(410)의 긴급 정보 서버(413)는, 스텝 S601에 있어서,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긴급 정보(AEAT)를 생성하고, 스텝 S602에 있어서,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414)를 통해 송신한다.
긴급 정보 서버(413)가 생성하는 긴급 정보는, 예를 들어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AEAT : 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이다.
AEAT에는, 예를 들어 긴급 정보로서의 긴급 정보 메시지나, 피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 정보 등의 표시용 데이터, 혹은 표시용 데이터의 액세스 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시그널링 데이터 송신은, 방송 스트림 등의 통신 세션과는 상이한 세션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다음으로,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는, 이벤트 처리 서버(421)를 갖는다.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도 28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미들웨어(110) 내의 이벤트 처리 서버(501)에 상당한다.
(스텝 S611)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스텝 S611에 있어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도 28에 도시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와의 사이에서, 긴급 정보 전송 전용의 시큐어 세션인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확립한다.
이 세션은, 상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스텝 S612)
다음으로,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송신 장치(410)가 송신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를 입력한다.
이 시그널링 데이터(LLS)는, 도 28에 도시한 미들웨어(110)의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를 통해 입력한다.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LLS 시그널링 해석부(113)로부터 수령한, 상기의 긴급 정보에 관한 통지를 포함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는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도 28에 도시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에 전송한다.
(스텝 S613)
스텝 S613의 처리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가, 스텝 S612에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에 전송한, 이벤트 정보에, 긴급 정보로서 출력하는 메시지나 지도 등의 출력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이다.
이 경우,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는,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로부터의 긴급 정보(AEAT) 취득 요구에 따라서, 출력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AEAT)를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30의 우측에 도시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에는,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긴급 정보 제어부(433),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구성은, 도 28에 도시한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511, 521)의 각 구성에 대응한다.
또한, 이 도 30에 도시한 예에서는, 긴급 정보 제어부(433)가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등의 데이터 렌더링을 실행하는 설정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3, 153)가,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등의 데이터 렌더링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0에 도시한 긴급 정보 제어부(433)를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621)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와의 사이에서, 긴급 정보 전송 전용의 시큐어 세션인 이벤트 정보 중계 세션을 확립한다.
이 세션은, 상시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스텝 S622)
먼저,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를 구성 요소로 하는 시그널링 데이터(LLS)에 기초하여 생성된 이벤트 정보를 입력한다.
이 이벤트 정보에는, 앞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AEAT Message Notification)」의 기록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로부터 입력된 이벤트 정보를 긴급 정보 제어부(433)(=도 28의 긴급 정보 제어부(140, 160))에 전송한다.
이 이벤트 정보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1) 긴급 정보(AEAT) 데이터, 또는 긴급 정보(AEAT) 데이터 액세스용 URL,
(2) 긴급 정보(AEAT)의 배신 개시 시간, 계속 시간,
이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스텝 S623 내지 S624)
다음으로,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긴급 정보 제어부(433)는, 스텝 S623에 있어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고, 스텝 S624에 있어서, 긴급 정보(AEAT) 데이터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출력(표시)용의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령한 이벤트 정보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고, 스텝 S423에 있어서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한편,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로부터 수령한 이벤트 정보에 긴급 정보(AEAT)의 액세스 정보가 기록되고, 출력(표시)용의 긴급 정보(AEAT)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로부터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 스텝 S624에 있어서, 취득한 긴급 정보(AEAT)에 포함되는 긴급 메시지나 지도 정보 등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430)의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435)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420)의 이벤트 처리 서버(421)가 생성한 이벤트 정보를 취득하고, 긴급 정보(AEAT)를 취득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로서 AEAT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AEAT 이외의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이며, 시그널링 데이터를 적용하여 송신되는 긴급 정보에 대해서는, 어떤 포맷을 갖는 긴급 정보여도, 본 개시의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10.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의 구성예에 대하여]
다음으로, 통신 장치인 송신 장치(서버)(20)와,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 40)의 장치 구성예에 대하여, 도 31,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에는, 송신 장치(서버)(20)와,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송신 장치(서버)(20)는, 데이터 처리부(751), 통신부(752), 기억부(753)를 갖는다.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 40)는, 통신부(771), 통신 데이터 처리부(772), 출력 데이터 처리부(773), 기억부(774), 입력부(775), 출력부(776)를 갖는다.
송신 장치(서버)(20)의 데이터 처리부(751)는, 데이터 배신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배신 서비스의 구성 데이터의 생성이나 송신 제어를 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751)는,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에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 등의 AV 스트림 데이터 외에, 어플리케이션,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다양한 데이터의 생성, 송신 처리를 행한다.
통신부(752)는, 방송 콘텐츠 등의 AV 스트림 데이터 외에, 어플리케이션,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다양한 데이터의 배신 등의 통신 처리를 행한다.
기억부(753)는 배신 대상으로 하는 방송 콘텐츠 등의 AV 스트림 데이터 외에, 어플리케이션,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다양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753)는, 데이터 처리부(751)가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고, 또한 각종 파라미터의 기억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한편, 수신 장치(클라이언트)(30, 40)는, 통신부(771), 통신 데이터 처리부(772), 출력 데이터 처리부(773), 기억부(774), 입력부(775), 출력부(776)를 갖는다.
통신부(771)는,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통신부와,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경우에서 상이한 설정이 된다.
튜너 실장 수신 장치(30)의 통신부는, 송신 장치(서버)(20)로부터 배신되는 데이터,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등의 AV 스트림 데이터 외에, 어플리케이션, 긴급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그 밖의 다양한 데이터 등을 수신한다.
또한, LAN, Wi-Fi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로서 구성된다.
한편,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40)의 통신부는, 방송파를 수신 가능한 튜너부는 갖지 않고, LAN, Wi-Fi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실행 가능한 통신부로서 구성된다.
통신 데이터 처리부(772)는, 도 10 및 다른 도면에 도시한 통신 데이터 처리부(772)의 미들웨어(110)에 상당한다.
시그널링 데이터의 취득, 해석, 이벤트 정보의 생성, 이벤트 삽입 MPD,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 등의 생성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벤트 처리 서버(501)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다.
출력 데이터 처리부(773)는,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 출력 제어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긴급 정보 제어부,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 등에 의해 구성되고,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 등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방송 콘텐츠의 출력 제어 외에, 긴급 정보의 출력 제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표시 제어 처리 등을 실행한다.
유저의 지시 커맨드, 예를 들어 채널 선택, 어플리케이션 기동, 인스톨 등의 다양한 커맨드는 입력부(775)를 통해 입력된다.
재생 데이터는 표시부나 스피커 등의 출력부(776)에 출력된다.
기억부(774)는 AV 세그먼트, MPD, 근황 정보, 시그널링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774)는, 데이터 처리부(771)가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되고, 또한 각종 파라미터의 기억 영역으로서도 이용된다.
도 32는 송신 장치(20), 수신 장치(30)로서 적용 가능한 통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801)는, ROM(Read Only Memory)(802), 또는 기억부(8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시퀀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803)에는, CPU(8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이들 CPU(801), ROM(802) 및 RAM(803)은, 버스(8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801)는 버스(804)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 접속되고,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는, 각종 스위치,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8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807)가 접속되어 있다. CPU(801)는, 입력부(806)로부터 입력되는 지령에 대응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 결과를 예를 들어 출력부(807)에 출력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 접속되어 있는 기억부(808)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하고, CPU(8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통신부(809)는, 인터넷이나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의 송수신부, 또한 방송파의 송수신부로서 기능하고, 외부의 장치와 통신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805)에 접속되어 있는 드라이브(810)는,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혹은 메모리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811)를 구동하여, 데이터의 기록 혹은 판독을 실행한다.
또한, 데이터의 부호화 혹은 복호는, 데이터 처리부로서의 CPU(801)의 처리로서 실행 가능하지만, 부호화 처리 혹은 복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로서의 코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11. 본 개시의 구성의 정리]
이상,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가 실시예의 수정이나 대용을 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즉, 예시라는 형태로 본 발명을 개시한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의 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허 청구 범위의 란을 참작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한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는,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
(2)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미들웨어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미들웨어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또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긴급 정보의 규격으로서 규정된 AEAT(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를 포함하는 통지인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로부터의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에,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지체없이 취득시키기 위한 사전 처리로서,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에 대하여 MPD 갱신 통지를 출력하는 (5)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세그먼트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로부터의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1)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상기 미들웨어는,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캐시부에 저장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캐시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1) 내지 (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9)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하는 이벤트 처리 서버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를 갖고,
상기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와의 사이에서 이벤트 전송 전용의 세션을 확립하고, 확립한 전용 세션을 통해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10)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는,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수신 장치.
(11)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미들웨어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10)에 기재된 수신 장치.
(12)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미들웨어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10) 또는 (11)에 기재된 수신 장치.
(13)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생성하는 (10)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상기 미들웨어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세그먼트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는 (10) 내지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수신 장치.
(15)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수신 장치.
(16)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출력을 정지하여,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15)에 기재된 수신 장치.
(17)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또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하는 (15) 또는 (16)에 기재된 수신 장치.
(18)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와,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가,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9)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해석 처리를 실행하는 미들웨어를 갖고,
상기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0)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가,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또한, 명세서 중에 있어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혹은 양자의 복합 구성에 의해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처리 시퀀스를 기록한 프로그램을,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인스톨하여 실행시키거나, 혹은, 각종 처리가 실행 가능한 범용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인스톨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외에,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내장한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각종 처리는, 기재에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될 뿐만 아니라,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의 처리 능력 혹은 필요에 따라서 병렬적으로 혹은 개별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의 논리적 집합 구성이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하우징 내에 있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시청자에의 제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구성이 실현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방송 콘텐츠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신 장치의 미들웨어가,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가 배신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통지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제거를 실행시키고, 시그널링 긴급 정보 배신의 경우에는, 신속한 긴급 정보의 취득,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구성에 의해, 긴급 정보의 신속, 또한 확실한 시청자에의 제시 처리를 가능하게 한 구성이 실현된다.
10 : 통신 시스템
20 : 송신 장치
21 : 방송 서버
22 : 데이터 배신 서버
30 : 튜너 실장 수신 장치
31 : 중계 서버
32 : TV
33 : PC
34 : 휴대 단말기
40 : 튜너 비실장 수신 장치
41 : PC
42 : 휴대 단말기
50 : 시그널링 데이터
60 : AV 세그먼트
70 : 그 밖의 데이터
110 : 미들웨어
111 : 통신부(PHY/MAC)
112 : LLS 시그널링 취득부
113 : LLS 시그널링 해석부
114 : SLS 시그널링 취득부
115 : SLS 시그널링 해석부(MPD 이벤트 삽입부)
117 : 세그먼트 취득부
118 : 인 밴드 이벤트 삽입부
120 : HTTP 프록시 서버
121, 122 : 캐시부
123 : 어드레스 해결부
131, 151 : 재생 제어부
132, 152 : 출력 제어부
133, 153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40, 160 : 긴급 정보 제어부
201, 251 : MPD 취득부
202, 252 : MPD 해석부
203, 253 : 세그먼트 취득부
204, 254 : 세그먼트 해석부
205, 255 : 이벤트 추출부
211, 261 : 복호부
212, 262 : 출력부
310 : 이벤트 삽입 실행 장치
311 : 데이터 출력부(DASH 서버)
312 : 이벤트 처리부(이벤트 서버)
320 : 이벤트 실행 장치
321 : 재생 제어부(이벤트 클라이언트)
322 : 재생 제어부(DASH 클라이언트)
410 : 송신 장치
411 : 스트림 서버
412 : DASH 서버
413 : 긴급 정보 서버
414 : 방송 신호 생성부(방송 서버)
420 : 튜너 실장 수신 장치 미들웨어
421 : 이벤트 처리 서버
430 : 튜너 실장/비실장 수신 장치 출력 데이터 제어부
431 :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432 : 재생 제어부
433 : 긴급 정보 제어부
435 :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
501 : 이벤트 처리 서버
511, 521 :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
751 : 데이터 처리부
752 : 통신부
753 : 기억부
771 : 통신부
772 : 통신 데이터 처리부
773 : 출력 데이터 처리부
774 : 기억부
775 : 입력부
776 : 출력부
801 : CPU
802 : ROM
803 : RAM
804 : 버스
805 : 입출력 인터페이스
806 : 입력부
807 : 출력부
808 : 기억부
809 : 통신부
810 : 드라이브
811 : 리무버블 미디어

Claims (20)

  1. 수신 장치로서,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 -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emergency information delivery notification)를 포함함 -;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출력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제어 처리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를 취득 또는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처리 회로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출력이 정지되게 하도록, 그리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처리 회로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또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긴급 정보의 규격으로서 규정된 AEAT(Advanced Emergency Alerting Table)를 포함하는 통지인 수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상기 구성 데이터가 삽입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로부터의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가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취득하게 하기 위한 사전 처리로서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에 대하여 MPD 갱신 통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세그먼트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로부터의 취득 정보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를 취득 또는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생성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캐시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캐시부에 액세스하여, 상기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 이벤트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처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와 이벤트 전송 전용의 세션을 확립하고 확립한 상기 전용 세션을 통해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상기 이벤트 처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0. 수신 장치로서,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 -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포함함 -;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수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수신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MPD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로서 상기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세그먼트에 삽입한 긴급 정보 이벤트 삽입 세그먼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5. 수신 장치로서,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갖고,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온 스크린 메시지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제시 콘텐츠의 출력이 정지되게 하고, 상기 송신 장치의 송신 화상 상에 중첩된 긴급 정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제어를 실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는,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의한 긴급 정보의 배신을 통지하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이며,
    상기 출력 데이터 제어부는:
    시그널링 데이터 적용형 긴급 정보 배신 통지가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또는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긴급 정보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취득한 긴급 정보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장치.
  18.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 -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포함함 -;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출력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제어 처리는 상기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를 취득 또는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19.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회로 -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를 포함함 -; 및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해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수신된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
  20. 수신 장치에 있어서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이며,
    상기 수신 장치는,
    송신 장치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의 출력 제어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송신 장치가 송신하는 긴급 정보 배신 통지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HTTP상의 동적 적응형 스트리밍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DASH) 이벤트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긴급 정보 이벤트 통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의 취득, 또는 표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데이터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197000581A 2016-07-20 2017-06-30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38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2280 2016-07-20
JPJP-P-2016-142280 2016-07-20
PCT/JP2017/024126 WO2018016295A1 (ja) 2016-07-20 2017-06-30 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575A KR20190029575A (ko) 2019-03-20
KR102438011B1 true KR102438011B1 (ko) 2022-08-31

Family

ID=6099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81A KR102438011B1 (ko) 2016-07-20 2017-06-30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63247B2 (ko)
EP (1) EP3490266B1 (ko)
JP (1) JPWO2018016295A1 (ko)
KR (1) KR102438011B1 (ko)
BR (1) BR112019000571A2 (ko)
CA (1) CA3029975A1 (ko)
MX (1) MX2019000491A (ko)
WO (1) WO2018016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0220B2 (en) * 2018-04-06 2020-08-18 Enensys Technologies Method for generating a STL stream, local adapter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JP7390816B2 (ja) * 2019-08-02 2023-12-04 日本放送協会 配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389594B2 (ja) * 2019-09-11 2023-11-30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54951B2 (ja) * 2020-01-27 2024-03-25 日本放送協会 コンテンツ配信装置、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258655A1 (en) * 2020-02-19 2021-08-19 Sony Corporation Personalized emergency alert
US11546406B2 (en) * 2020-04-13 2023-01-03 Tencent America LLC Media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mixed event message tracks
US20220094458A1 (en) * 2020-09-18 2022-03-24 Arris Enterprises Llc Emergency alert system management in smart media device ecosystem
US11687386B2 (en) * 2020-10-07 2023-06-27 Tencent America LLC MPD validity expiration processing model
US11617017B2 (en) * 2021-06-30 2023-03-28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presenting video overlays
WO2023153786A1 (en) * 2022-02-09 2023-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media communication in mission critical (mc) system, mc server, and receiver thereof
US20240031047A1 (en) * 2022-07-25 2024-01-25 Sony Group Corporation Delivery of extended emergency notifications through sensory feedbac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863A (ja) * 2006-12-26 2008-07-17 Sharp Corp 放送受信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災害通知システムおよび災害通知方法
JP2014017741A (ja) * 2012-07-10 2014-01-30 Sharp Corp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3051B1 (en) * 1998-08-07 2003-04-01 Scientific-Atlanta, Inc. Emergency alert system
US7260823B2 (en) * 2001-01-11 2007-08-21 Prime Research Alliance E., Inc. Profiling and identification of television viewers
US6684240B1 (en) * 1999-12-15 2004-01-27 Gateway, Inc. Method of setting parental lock levels based on example content
GB0005727D0 (en) * 2000-03-10 2000-05-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levision
US20020083468A1 (en) * 2000-11-16 2002-06-27 Dudkiewicz Gil Gavriel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etadata for segments of a video program
US8046799B2 (en) * 2000-11-27 2011-10-25 The Directv Group, Inc. Daypart based navigation paradigm
US20020124252A1 (en) * 2001-03-02 2002-09-05 Schaefer Scott R.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information alerts via an interactive video casting system
US7380262B2 (en) * 2001-06-12 2008-05-27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list of suggested scheduled television programs
US20030018970A1 (en) * 2001-07-19 2003-01-23 Digeo, Inc. Object representation of television programs with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7089578B2 (en) * 2001-09-29 2006-08-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updating a viewer profile in a digital television device
US20030216133A1 (en) * 2002-05-16 2003-11-20 Poltorak Alexander I.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broadcast information via a media playing device
US7870279B2 (en) * 2002-12-09 2011-01-11 Hrl Laborator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personalizing, and casting multimedia data stream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elevision
US7500235B2 (en) * 2003-09-05 2009-03-03 Aol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Technique for updating a resident application and associated parameters in a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50086685A1 (en) * 2003-10-20 2005-04-21 New Technology Manage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alert system messages in an internet protocol
US7643564B2 (en) * 2003-10-28 2010-01-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editing digital broadcast content
WO2006055920A2 (en) * 2004-11-19 2006-05-26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US20060234672A1 (en) * 2005-04-15 2006-10-19 Adler Robert M Geographically specific picture telephone advisory alert broadcasting system
JP2006333490A (ja) * 2005-05-27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記録再生装置
US20070047520A1 (en) * 2005-08-31 2007-03-01 Byers Charles C Method for calling multimedia IP units about an impending emergency situation
KR101165631B1 (ko) * 2005-11-09 2012-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dcc 기능을 이용한 비상 사태 경보 처리방법,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US8583758B2 (en) * 2005-11-30 2013-11-12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Network based format conversion
JP2007178927A (ja) * 2005-12-28 2007-07-12 Canon Inc 情報検索装置および方法
US20080134043A1 (en) * 2006-05-26 2008-06-0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media content access through a recommednation engine
CN101083807A (zh) * 2006-06-02 2007-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移动通讯设备
US7602277B1 (en) * 2006-10-17 2009-10-13 Cingular Wireless Ii, Llc Emergency alert information based upon subscriber location
KR20080046325A (ko) 2006-11-22 2008-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상파 방송의 비상 사태 경보와 관련된 방송 신호, 이를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KR101526475B1 (ko) * 2007-06-29 2015-06-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00060789A1 (en) * 2007-08-24 2010-03-11 Panasonic Corporation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US20090150925A1 (en) * 2007-12-06 2009-06-11 At&T Lab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Alert
US8655266B2 (en) * 2007-12-17 2014-02-1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mobile media players in a peer-to-peer network
US9628208B2 (en) * 2008-02-26 2017-04-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customizing presentation of television content to a specific viewer and location
US8380159B2 (en) * 2008-03-20 2013-02-19 At&T Mobility Ii Llc Provision of an emergency alert system alert message via a personal area network compatible accessory
US8190118B2 (en) * 2008-03-26 2012-05-29 At&T Mobility Ii Llc Integration of emergency alert information
US8526909B2 (en) * 2008-03-27 2013-09-03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ating a security system upon receipt of emergency alert messages
US8275347B2 (en) * 2008-03-31 2012-09-25 At&T Mobility Ii Llc Emergency alert initiation via a mobile device
US20090300695A1 (en) * 2008-05-29 2009-12-03 At&T Knowledge Ventures, L.P.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events scheduled at a media recorder
US9300993B2 (en) * 2008-08-29 2016-03-29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notification for a set-top box
US20100162300A1 (en) 2008-12-19 2010-06-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L.P.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 Emergency Alert Channel
US8566863B2 (en) 2009-01-15 2013-10-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emergency alert system data in digital broadcast receiver
WO2010082780A2 (en) * 2009-01-18 2010-07-22 Lg Electronics Inc. Iptv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alert system widget in iptv
US8467275B2 (en) * 2009-05-29 2013-06-18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user content through a set-top box
US8250598B2 (en) * 2009-10-13 2012-08-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emergency alert messages
JP2011087103A (ja) 2009-10-15 2011-04-28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サーバを提供
US8756646B2 (en) * 2009-11-25 2014-06-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the exchange and storage of set-top box data
US8856855B2 (en) * 2009-11-25 2014-10-0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a set-top box remotely via a social network
US20120102522A1 (en) * 2010-10-26 2012-04-26 Emmett Long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preemption of active media sessions
US8745655B2 (en) * 2010-12-16 2014-06-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mergency alerts during playback of video streams on portable devices
US20130274936A1 (en) * 2012-04-15 2013-10-17 Swan, Llc Broadcast energy demand systems and methods
US9173070B2 (en) * 2012-04-24 2015-10-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ceiving an emergency alert message via a broadcast data channel
JP6348251B2 (ja) 2012-09-13 2018-06-27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端末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55350B2 (en) * 2012-11-16 2015-06-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emergency information
US8805320B2 (en) * 2012-11-28 2014-08-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message collision avoidance
US20140244997A1 (en) * 2013-02-25 2014-08-28 Qualcomm Incorporated Emergency mode for iot devices
JP2015061195A (ja) * 2013-09-18 2015-03-30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10666961B2 (en) * 2016-01-08 2020-05-2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edia delivery event locations for media trans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6863A (ja) * 2006-12-26 2008-07-17 Sharp Corp 放送受信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災害通知システムおよび災害通知方法
JP2014017741A (ja) * 2012-07-10 2014-01-30 Sharp Corp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信装置の制御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0266B1 (en) 2022-09-21
US10863247B2 (en) 2020-12-08
US20190230419A1 (en) 2019-07-25
WO2018016295A1 (ja) 2018-01-25
EP3490266A1 (en) 2019-05-29
EP3490266A4 (en) 2019-05-29
MX2019000491A (es) 2019-06-10
JPWO2018016295A1 (ja) 2019-05-16
KR20190029575A (ko) 2019-03-20
BR112019000571A2 (pt) 2019-07-02
CA3029975A1 (en)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011B1 (ko)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506963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11617007B2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broadcast receiving device, linking device for linking to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linking device
US20200221161A1 (e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10491969B2 (en)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companion device interoperating with the broadcast reception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388485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KR102533674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11869227A (zh) 接收装置、接收方法、信号处理设备和信号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