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76B1 -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76B1
KR102436276B1 KR1020170107121A KR20170107121A KR102436276B1 KR 102436276 B1 KR102436276 B1 KR 102436276B1 KR 1020170107121 A KR1020170107121 A KR 1020170107121A KR 20170107121 A KR20170107121 A KR 20170107121A KR 102436276 B1 KR102436276 B1 KR 10243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 line
rigid
rigid tram
fixe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1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21824A (en
Inventor
장광동
배상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7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76B1/en
Publication of KR2019002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8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8Manufacturing or repairing trolle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13Trolley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4Clamps; Splicers; Anchor t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강체전차선과 고정식 강체전차선의 접속부에서 강체전차선이 신축되어, 접속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전차선들의 연결을 유지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a rigid tram line system that maintains the connection of the catenary by compensating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id tram line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even if the connection position changes.

Description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이동식 강체전차선과 고정식 강체전차선의 접속부에서 강체전차선이 신축되어, 접속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전차선들의 연결을 유지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a rigid tram line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a rigid tram line system that maintains the connection of the catenary by compensating for a change in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rigid tram line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obil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일반적으로 전기철도는 다른 교통수단에 비하여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정적인 장점으로 인해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최근에 고속철도가 널리 이용되면서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In general, electric railroads are used by many people due to their speedy, accurate, and stable advantages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고속철도의 개통과 더불어 21세기 신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전기철도는 최근 전기철도의 고속화, 대용량화 및 운전 시간 간격의 단축으로 인해 전차선로의 성능과 신뢰도 그리고, 안전성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With the opening of high-speed rail, electric rail,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21st century,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reliability, and safety of the electric rail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peed, capacity, and shortening of operation time of electric rail.

여기서 전차선로는 선로를 운행하는 전동차의 집전장치와 접촉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차선 등의 선로와 이에 부속하는 설비를 총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Here, the catenary may be defined as a generic term for a track such as a catenar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in contact with a current collector of an electric vehicle running the track and equipment attached thereto.

전동차의 주행 시 필요한 전력은 전차선로 및 차량의 집전장치인 팬터그라프(pantograph)를 통하여 공급받게 되는데, 전동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로는 전기를 급전하는 방식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Electricity required for driving an electric train is supplied through a catenary and a pantograph, which is a power collector of the 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전차선로는 가공식(Overhead Catenary System)과 제3 궤조식(Third Rail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고, 가공식 전차선로는 다시 강체 조가 방식과 현수 조가 방식으로 구분된다. Specifically, the overhead catenary system may be divided into an overhead catenary system and a third rail system, and the overhead catenary system is further divided into a rigid system and a suspension system.

여기서 현수 조가 방식은 조가선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가선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지상 구간에 적용되고 있는데, 전차선과 조가선 및 드로퍼선을 함께 가선해야 하고, 장력 조절 장치 등 주변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요 가선고가 높고, 복잡하여 터널 구간에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Here, the suspension method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catenary using the chute, and is generally applied to the ground section. However, it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apply to the tunnel section.

즉, 현수 조가 방식 전차선로를 터널 구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널 단면적이 대폭적으로 증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또한 설치공간이 협소하므로 일상점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That is, in order to apply the suspension tank type catenary to the tunnel section, the tunnel cross-sectional area must be significantly increased, so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narrow, so daily inspection and maintenance are not easy.

상기 제3 궤조식은 급전용 레일을 노면 상 또는 측면에 설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터널과 같이 협소한 공간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급전용 레일이 지면에 배치되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커 일부 특수한 구간에만 적용되고 있다.The third rail type is a method of supplying power by installing a rail for feeding on the road surface or on the side, an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such as a tunnel. Due to the high risk, it is only applied to some special sections.

한편, 강체 전차선 방식은 전차선을 강체에 일체화시켜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해 설치하는 것으로, 조가선이 요구되지 않고, 별도의 장력 유지 장치가 필요치 않으므로 터널 등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가 어려운 구간에 적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igid catenary method integrates the catenary into a rigid body and installs it using a separate structure such as a bracket. It does not require a joist and a separate tension maintenance device is not required. is becoming

실제로 강체전차선의 높이는 강체와 전차선을 포함한 높이가 약 90 내지 120mm 정도이며, 저전압(DC 750V 또는 1500V)에서 지지물 및 전기적 이격을 고려한 전차선의 집전 접촉과 터널 상부 천장 사이의 소요 높이는 약 500mm 정도에 불과하다.In fact, the height of the rigid tram line is about 90 to 120 mm including the rigid body and the catenary, and the required height between the collecting contact of the catenary and the upper ceiling of the tunnel considering the support and electrical separation at low voltage (DC 750 V or 1500 V) is only about 500 mm. do.

따라서, 강체식 전차선로는 설치 소요공간이 작으므로 신설 터널에서 건설비용을 대폭 경감할 수 있으며, 터널 내부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에 있어서도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rigid catenary line requires a small installation space, so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a new tunnel, and has a very advantageous advantage in the maintenance work inside the tunnel.

강체전차선은 Rigid Bar 를 줄여 R-Bar 라고 표현하는데, 이중 단면의 형상이 T 자와 유사한 형태의 강체전차선은 특별히 T-Bar 라고 불리우고 있다. 상기 R-Bar가 T-Bar에 비하여 시공성, 집전 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AC 구간에는 R-Bar 를 적용하고 있다.Rigid tram line is expressed as R-Bar by shortening Rigid Bar. Rigid tram line with a shape similar to a T-shaped double cross section is specifically called T-Bar. Compared to the T-Bar, the R-Bar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superior workability and current collecting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R-Bar is applied in the AC section in Korea.

이러한 강체전차선은 일반 선로상에서는 지지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식 가선방식은 열차의 주행 이외에 차량의 검수 및 유지보수, 화물의 하역 등과 관련된 일련의 작업, 특히 철도차량 상부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 있어서는 충분한 작업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며, 전차선 가선구간에서는 감전, 추락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These rigid tram lines are installed to be supported in a fixed state by a support bracket or the like on a general track. However, this fixed wiring method does not provide sufficient work space for a series of tasks related to vehicle inspection and maintenance, cargo loading and unloading, etc., in addition to the running of the train, especially the work per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road car. There are problems with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철도차량의 유지보수나 점검작업 그리고 화물의 하역 등이 이루어지는 검수고 및 화물 야적장 등에서 전차선을 이동 가능하게 한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사용되고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 mobile rigid tram line that enables the movement of the tram line is used in inspection warehouses and cargo yards where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railway vehicles an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re performed.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형 브래킷을 이용하여 전차선을 지지하고, 이동형 브래킷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강체전차선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tram line using a movable bracket rotating around a hinge, and the movable bracket is configured to move the rigid tram line while rotating by driving of a motor.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철도차량이 일정위치에 정지하면 강체전차선을 회동하여 철도차량의 상부공간을 강체전차선의 간섭없이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movable rigid tram line serves to rotate the rigid tram line when the railroad vehicle stop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enable work in the upper space of the railway vehicle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rigid tram line.

이러한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전류를 전달하는 고정식 강체전차선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전류를 공급받거나, 전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Such a movable rigid tram line is detachably provided on a fixed rigid tram line that transmits current, so that it can selectively receive current or block the supply of current.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과 고정식 강체전차선을 서로 커넥터 결합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가 적용되어야 한다.To this end, in the prior art,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with each other must be applied.

상기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는 일반적으로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로 구성되어 서로 커넥터 결합하여 이동식 강체전차선과 고정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The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is coupled to each oth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즉, 전동차 등의 철도차량이 일상적으로 운행하는 일반선로에는 고정식 강체전차선을 설치하고, 상기 철도차량의 하역 또는 유지보수, 검수 등이 이루어지는 보조선로에는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설치하였고,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고정식 강체전차선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전차들은 보조선로에서 필요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었다.That is, fixed rigid tram lines are installed on general tracks on which railway vehicles such as electric trains are routinely operated, and movable rigid tram lines are installed on auxiliary tracks where unloading, maintenance, and inspection of the railway vehicles are performed. By being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ed rigid tank line, the tanks could receive power as needed from the auxiliary line.

그러나, 종래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는 상기 강체전차선들은 전동차가 접촉하여 통과하거나 강풍 등에 의해 상당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결합이 끊어지거나 접속장치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is broken or the connection device itself is damaged when the rigid tram lines pass through in contact with a train or when significant vibration occurs due to strong wind.

또한, 상기 강체전차선들은 전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도체의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 재질 등의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since the rigid tram lines have to serve as conductors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they are generally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 light aluminum alloy material.

상기 금속재질은 주변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할 수 있고, 강체 전차선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길이 또는 부피는 더 커질 수 있다. 예를들어, 6월 내지 8월의 강체전차선의 길이는 11월 내지 2월의 강제천차선의 길이보다 더 길어진다.The metal material may repeat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mbient temperature, and as the length of the rigid catenary increases, the length or volume of expansion or contraction may be increased.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rigid tram line in June to Augus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orced train in November to February.

따라서, 종래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는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접속상태 또는 접속동작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려웠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it was difficult to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state or the conn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id tram line.

본 발명은 이동식 강체전차선과 고정식 강체전차선의 접속부에서 강체전차선이 신축되어, 접속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전차선들의 연결을 유지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강체전차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and a rigid tram line system that maintain the connection of the catenary lines by compensating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rigid tram line a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mobil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connection position changes. do it with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체전차선이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compensating for a change in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tram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체전차선의 직경방향의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를 감쇠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attenuating vibra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igid tram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체전차선이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compensating for the distortion even when the rigid tram line is distor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분리 또는 접속이 가능한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각각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부 및,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 또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 또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신축시 한 쌍의 상기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보장하기 위한 연결 유지부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xed rigid tram line and a movable rigid tram line that can be separa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a pair of connection parts provided i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xed rigid tram line or the movable rigid tram line, the fixed rigid tram line 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holding part for ensur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connection parts whe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expanded and contracted.

이 경우,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회전형 지지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접속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연결 유지부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mounted on a rotational support bracket to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connection hold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또한, 상기 연결 유지부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고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함께 변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holding part may be displaced together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by fixedly supporting the mobile tram line.

그리고, 상기 연결 유지부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holding part may be mounted so tha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slidable.

여기서, 상기 연결 유지부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 상기 지지클램프와 이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되 상단에 상기 접속부가 구비되는 고정블록; 상기 지지클램프와 상기 고정블록을 연결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클램프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connection holding portion includes a support clamp for supporting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 fixed block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clamp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but provided with the connection par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fixed shaft connecting the support clamp and the fixed block, wherein the support clamp may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so tha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slidable.

이 경우, 상기 지지클램프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하는 습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pport clamp may further include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and a sliding part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to induce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e.

또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고정되어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block may be fixed and fasten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And, the fixed block may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to be slidably movable.

여기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2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1 고정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xed block includes a first fixed block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to slide and a second fixed block to which the other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is coupled to slide, and the fixed shaft is the It may include a first fixed shaf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ed block, and a second fixed shaf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ed block.

이 경우, 한 쌍의 상기 접속부는 수형단자인 제1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암형단자인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고정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ng terminal as a male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as a female terminal, and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on a fixed rigid tram lin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식 강체전차선,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분리 또는 접속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및,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기 위한 전술한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ed rigid tram line, a movable rigid tram line rotatably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or connected to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system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for timing.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강체전차선의 길이방향의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를 감쇠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the rigid tram lin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attenuating vibr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id tram l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강체전차선의 직경방향의 진동이 발생하여도 이를 감쇠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the rigid tram lin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attenuating vibratio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igid tram line.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주변온도 변화에 따라 강체전차선이 신축되어 상기 강체전차선이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가변하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the rigid tram lin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rigid tram line is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a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and the length of the rigid tram line va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this and maintain the connected state. A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강체전차선이 직경방향으로 틀어지게 되더라도 이를 보상하여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the rigid tram lin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connected state by compensating for the deviation of the rigid tram line in the rad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강체전차선이 신축되거나 길이가 가변할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and the rigid tram line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detecting when the rigid tram line is stretched or changed in leng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 강체전차선의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체결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연결유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연결 유지부의 일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사시도이다.
1 shows a system of a rigid tram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gid tram 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rigid tram line is fastened by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 mobile rigid tram lin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rigid tra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one-way perspective view of a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hol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holding part.
11 shows an operation proces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maintaining uni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의 시스템을 도시한다.1 shows a system of a rigid tram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차(10)는 일반적인 레일(1)을 따라 이동하나, 전동차(10)의 수리가 필요하거나, 상기 전동차(10)에 운반되는 물건 등의 하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동차(10)가 상기 보조레일(2)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train 10 moves along a general rail 1 , but when the train 10 needs repair or unloading of goods carried in the train 10 is required, the train 10 ) can be moved to the auxiliary rail (2).

상기 보조레일(2)의 상부에는 상기 전동차(10)에 전력을 공급하는 강체전차선(5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전동차(10)의 상부에는 상기 전동차(10)의 상부에는 팬터그라프(12)가 구비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으로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A rigid tram line 50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electric vehicle 1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rail 2 , and a pantograph 1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 . )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as the rigid tram line 50 .

일반적으로 강체전차선(50)은 12m 등의 미리 결정된 길이의 단위 유닛으로 연결 설치되며, 전동차(10)의 팬터그라프(12)가 닿는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In general, the rigid tram line 50 is connected and installed as a unit uni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uch as 12 m, and may be installed at a height at which the pantograph 12 of the electric vehicle 10 touches.

한편, 상기 전동차(10)가 상기 보조레일(2)에 이동되어 유지, 보수 또는 화물의 하역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이 상기 전동차(10)에서 분리및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in 10 is moved to the auxiliary rail 2 and maintenance, repair, or cargo unloading is performed, the rigid tram line 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movable from the train 10. can

상기 강체전차선(50)은 고압 전류가 흐르므로 상기 전동차(10)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화물 등의 하역 작업시 간섭이 발생되기 때문에 차량의 유지 보수를 하는 경우 또는 하중이 큰 화물의 하역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보조레일(2)의 정차 영역인 M영역에서 강체전차선이 이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Since high-voltage current flows in the rigid tram line 50,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pairing the electric vehicle 10, and interference occurs during unloading work such as cargo. In the case of cargo loading and unloading, the rigid tram line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M area, which is the stopping area of the auxiliary rail (2).

도 2는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의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rigid tram 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강체전차선(50)은 지지클램프(200, 도 4 참조)에 결합되는 돌출단(521a)을 양단에 구비하는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a)의 양단 또는 양측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부(52b)와, 상기 한쌍의 수직부에서 연장되어 전차선(54)이 장착되는 장착부(52c)와, 상기 수직부(52b)와 상기 장착부(52c)사이에 구비되는 중공부(52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igid tram line 5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52a having protruding ends 521a coupled to a support clamp 200 (refer to FIG. 4) at both ends, and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r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52a. a vertical portion 52b, a mounting portion 52c extending from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to which a catenary 54 is mounted, and a hollow portion 52d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52b and the mounting portion 52c may include.

상기 지지클램프는 전신주에 연결된 이동장치(100)등에 결합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을 상부에 고정시키는 장치의 한 종류이다.The support clamp is a type of device for fixing the rigid tram line 50 to the upper part by being coupled to the mobile device 100 connected to the telephone pole.

상기 수직부(52b)는 상기 수평부(52a)의 일면에서 'ㅠ' 자형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돌출단(521a)이 시작되는 부분 하단에서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vertical portion 52b may extend in a 'ㅠ' shape from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52a, and specifically,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portion where the protruding end 521a starts.

즉, 상기 수직부(52b)를 기준으로 수평부(52a)와 돌출단(521a)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52b)의 하단에는 상기 전차선(54)이 고정되는 장착부(52c)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portion 52a and the protruding end 521a may be divided based on the vertical portion 52b. A mounting portion 52c to which the catenary 54 is fixed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52b.

상기 강체 전차선(50)이 상기 전차선(54)보다 면적 또는 부피가 훨씬 크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전차선(54)을 외부충격에서 보호하고, 상기 전차선(5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위함이다.The rigid catenary 50 is provided with a much larger area or volume than the catenary 54 . This is to protect the catenary 54 from external impact and to stably support the catenary 54 .

또한, 상기 수직부(52b)가 서로 이격되어 내부에 중공부(52d)를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하중을 감소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전동차(10)의 상부에 고정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reason that the vertical portions 52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include the hollow portions 52d therein is to reduce the load on the rigid tram line 50 and stably fix i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ic vehicle 10 .

상기 강체전차선(50)은 하중 및 내구성, 전기전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igid tram line 50 may be made of metal such as aluminum in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load, durabilit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상기 수직부(52b) 사이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중공부(52d)의 내면 또는 내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7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that is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hollow portion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52b, and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r the inner shape of the hollow portion 52d of the rigid tram line 50 . It can be configured in a shape.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일렬로 연결되는 강체전차선(50)의 연결부위를 연결하며, 강체전차선(5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가벼운 재질의 강체전차선(50)과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70 connects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rigid tram line 50 connected in a line, and since it must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rigid tram line 50,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rigid tram line 50 made of a relatively light material can be composed of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복수의 체결홀(72)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70)의 하중을 감소시키고, 강도와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7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72 to reduce the load of the connection plate 7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durability.

또한, 상기 체결홀(72)은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과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fastening holes 72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be fastened to the rigid tram line 50 with bolts or the lik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클램프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몸체(210)와, 일측은 상기 몸체(2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이동형 브래킷(100)에 연결되는 주축(220) 및,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강체전차선(50)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clamp 200 includes a body 210 and a main shaft 220 connected to the body 210 on one side and a movable bracket 100 on the other side, and detachable from both sides of the body 210 .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include a support 23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rigid tram line 50 .

상기 몸체(210)는 소정의 너비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21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몸체(210) 중앙부에는 상기 주축(22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축(220) 일측에는 홀딩 플레이트(240)가 구비되며, 상기 홀딩 플레이트(240) 상에 결합되는 볼트(242)와 너트(244)를 통해 지지클램프(200)가 상기 이동장치(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main shaft 2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210 . And a holding plate 2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shaft 220, and the support clamp 200 is connected to the moving device 100 through a bolt 242 and a nut 244 coupled on the holding plate 240. can be fixedly coupled to

여기서 상기 지지부(230)는 몸체(21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upport part 230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like the body 210 .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각각 2 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다수의 고정볼트(212)와 와셔(214)에 의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30)는 상기 고정볼트(212)를 해체하여 상기 몸체(210)로부터 다시 분리할 수 있다.Two of the support parts 23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210 , and may be bol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fixing bolts 212 and washers 214 . The support part 23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210 again by disassembling the fixing bolt 212 .

상기 지지부(230)는 홈부(232)를 구비하는데, 상기 홈부(232) 내부에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돌출단(521a)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230)는 상기 몸체(210) 양 측부에 결합되며, 강체전차선(50)을 고정하여 지지하게 된다.The support part 230 includes a groove part 232 , and the protruding end 521a of the rigid tram line 5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groove part 232 . The support part 2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210 , and fixes and supports the rigid tram line 5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이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체결 과정을 도시한다.5 illustrates a process in which a rigid tram line is fastened by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late 7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rigid tram line 50 .

상기 연결플레이트(70)의 일단은 하나의 강체전차선(50)의 말단에 수용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70)의 타단은 상기 다른 하나의 강체전차선(50)의 일단에 수용되어 상기 복수의 강체전차선(50)은 연결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70 is accommodated at the end of one rigid tram line 50 ,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late 70 is accommodated at one end of the other rigid tram line 50 , and the plurality of rigid tram lines (50) can be connected.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전술한 것처럼, 상기 수직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일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late 70 may be provided to match the space formed by the vertical part, but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art as shown in FIG. 4 .

이 경우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70)는 수직부(52b)에 각각 부착되어야 하므로 2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on plates 70 must be respectively attached to the vertical portions 52b, two should be provided.

상기 연결플레이트(70)가 얇게 구비되어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전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plate 70 is provided thin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load of the rigid tram line 50 .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수직부(52b)는 상기 연결플레이트(70)에 구비된 체결홀(72)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56)이 구비될 수 있다.A fastening hole 56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52b of the rigid tram line 5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72 provided in the connection plate 70 .

상기 체결홀(56)에는 도시된바와 같이 볼트(74)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72)의 내주면에는 상기 볼트(74)와 대응되는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A bolt 74 may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6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70 as shown. A thread corresponding to the bolt 74 may be provid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72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강체전차선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6 shows a mobile rigid tra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rigid tra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G영역의 강체전차선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이라 할 수 있고, 상기 M영역의 강체전차선은 이동하므로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라고 할 수 있다.Since the rigid tram line of the G region is fixed, it can be called a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the rigid tram line of the M region can be called a movable rigid tram line 50a because it moves.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은 전술한 지지브래킷 등의 이동장치(100)에 결합되어 고정식 강체 전차선과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device 100 such as the aforementioned support bracket to be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rigid tram line.

상기 이동장치(100)는 모터가 연결되어 있는 회전하는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과 상기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이 회전함에 따라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수동형 지지브래킷(100b)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100 may include a rotating support bracket 100a to which a motor is connected and a passive support bracket 100b that passively rotates as the rotational support bracket 100a rotates.

상기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과 상기 수동형 지지브래킷(100b)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와 지지클램프(2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rotary support bracket 100a and the passive support bracket 100b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movable rigid body line 50a and the support clamp 200 .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은 R영역에서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M영역으로 진입한 전차의 유지 보수 또는 화물의 하역시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분리 및 이격되도록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과 상기 수동형 지지브래킷(100b)이 회전되어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분리 및 이동되어 요구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tacting each other in the R area, and during maintenance of a vehicle entering the M area or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a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rotary support bracket 100a and the passive support bracket 100b are rotated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so as to be separated and spaced apart,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s separated and moved to perform the required work.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과 분리되어 전력 공급이 차단되므로 M영역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안전영역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when the rotational support bracket 100a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s separated from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at electricity does not flow in the M area. It could be a safe area.

다시 말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클램핑하여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일단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의 일단은 서로 분리되며,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서 이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rotational support bracket 100a that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clamps and support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 One end of 50a) and one end of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그리고 작업 등이 완료된 상태에서, 강체전차선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형 지지브래킷(100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가까워지게 되고,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은 서로 접촉되어 선로로 연결될 수 있다.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and the rotational support bracket 100a rotates clockwise to connect the rigid tram line,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comes closer to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the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by a line.

한편, 상기 강체전차선(50)은 서로 도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서로 접촉만 하더라도 전류를 공급할 수 있지만, 진동, 바람 등의 영향으로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접촉 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rigid tram lines 50 are composed of conductors, current can be supplied even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needs to be maintained as

따라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이 서로 접속할 때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may be provided.

상기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를 결합하는 암수커넥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may include a male and female connector for coupling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체전차선 접속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다.8 is a one-way perspective view of a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강체전차선 접속장치(300)는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구비되는 제1 접속부(310)와,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접속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310 provided in a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included.

상기 제1 접속부(310)는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흐르는 전류가 공급되는 제1 접속단자로서의 수형단자(311)와, 상기 수형단자(311)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결합시키는 제1 브라켓(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ncludes a male terminal 311 as a first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 current flowing in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is supplied, and the male terminal 311 to couple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 first bracket 312 may be included.

상기 제1 브라켓(312)은 'L'자 단면 형상으로 구비된 절곡된 판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일면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면이 상기 제1 접속단자로서의 수형단자(311)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312 may be provided in a bent plate shape provided in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ne surface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other surface is used a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The male terminal 311 may be supported.

상기 제1 접속단자로서의 수형단자(311)와 상기 제1 브라켓(312)은 복수의 너트 또는 볼트 등의 제1 체결부재(31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male terminal 311 a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irst bracket 312 may be coupled by a first fastening member 313 such as a plurality of nuts or bolts.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상기 제1 접속단자로서의 수형단자(311)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암형단자(321)와, 상기 제2 접속단자로서의 암형단자(321)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결합시키는 제2 브라켓(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includes a female terminal 321 into which the male terminal 311 a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is detachably inserted and the female terminal 321 as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into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racket 322 coupled to.

상기 암형단자(321)는 상기 제2 브라켓(322)에 너트 등의 체결부재(323)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브라켓(322)은 보조블록(322a)에 의해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도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b)과 동일한 구조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female terminal 321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bracket 322 by a fastening member 323 such as a nut. The second bracket 322 may be coupled to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by an auxiliary block 322a.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also have the same structure and shape a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b.

상기 보조블록(322a)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단에 끼워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조블록(322a)와 상기 제2 브라켓(322)은 볼트 또는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block 322a may be provided to be fitted into a protruding end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the auxiliary block 322a and the second bracket 322 are fastened with bolts or nuts. It can be fastened by means.

이로써, 상기 제2 브라켓(322)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 브라켓(32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bracket 322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fixed rigid body wire 50b, and even when vibration occurs, the position of the second bracket 322 can be fixed.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상기 암형단자(321)를 수용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용통(3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전류가 흐르는 수형단자(311)와 암형단자(321)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tube 325 for accommodating the female terminal 321 and preventing exposure to the outsi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e terminal 311 and the female terminal 321 through which the high current flow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수형단자(311)가 상기 암형단자(312)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 해제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by a method in which the male terminal 311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female terminal 312 .

즉,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이동 브라켓(100b)에 의해 회전하여 이동되면, 상기 제1 접속부(310)는 상기 제2 접속부(320)에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ovable rigid body wire 50a is rotated and moved by the moving bracket 100b,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한편,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은 외부 온도에 따른 신축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계절변화에 따라 또는 기온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be stretched and contrac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That is, the lengths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vary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or temperature changes.

이때,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일단에 구비된 제1 접속부(310)와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의 일단에 구비된 제2 접속부(320)의 접속 위치에서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tance a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may be varied. .

따라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이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해 길이 등이 달라지거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20)가 파손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인 연결 또는 접속이 보장되어야 한다.Therefore, even i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have different lengths or vibrations due to thermal expansion or thermal contractio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connection part 320 are damaged or separated. A stable connection or connection must be ensured in the unsecured state.

이를 위해, 본 발명 강체전차선 접속장치(300)는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제2 접속부(320)의 연결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결 유지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holding part 500 for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지부의 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hold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결 유지부(500)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지지하는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이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되 상단에 상기 접속부가 결합되는 고정블록(510)과,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고정블록(500)을 연결하는 고정축(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ding part 500 includes a support clamp 200 for supporting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a fixed block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clamp 200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but to which the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It may include a 510 and a fixing shaft 520 connecting the support clamp 200 and the fixing block 500 . The support clamp 20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so that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is slidable.

다시 말해,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강체전차선의 상면 또는 돌출단(521a)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일단 또는 자유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축(520)은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고정블록(510)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고정블록(51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clamp 200 supports the upper surface or the protruding end 521a of th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block 510 is coupled to one end or the free end of the rigid tram line 50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 50a), and the fixing shaft 520 connects the support clamp 200 and the fixing block 51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clamp 200 and the fixing block 510. .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만 아니라, 상기 강체전차선(50)이 신축 또는 팽창하여 길이가 변화하거나 길이방향이 달라지더라도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이 길이방향 신축되더라도,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그 내부에 장착된 습동부 등에 의하여 강체전체선(5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support clamp 200 not only serves to support the rigid tram line 50, but also stably supports the rigid tram line 50 even if the length changes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nges as the rigid tram line 50 expands or contracts. It can also play a role. In other words, in the support clamp 200, even if the rigid tram line 50 is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clamp 200 is mounted so that the rigid electric wire 50 is slidably mounted by a sliding part mounted therein. can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230)의 상기 홈부(232) 내부에 구비된 습동부(도 4의 234 참조)에 의하여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양 돌출단(521a)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both protruding ends 521a of the rigid tram line 50 are slid by the sliding part (refer to 234 in FIG. 4 ) provided in the groove 232 of the support 230 . It can be supported so that it can be moved.

상기 습동부(234)는 상기 홈부(232) 내부가 윤활유로 도포되거나, 윤활성이 큰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찰계수가 낮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또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좋다. 구체적인 마찰계수는 0.35 이하일 수 있다.In the sliding part 234 , the inside of the groove part 232 may be coated with lubricating oil or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high lubricity. For exampl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oxymethylene (POM) or Teflon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preferably, the lower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he better. A specific friction coefficient may be 0.35 or less.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습동부(234)는 롤러와 같이 상기 돌출단(521a)을 지지하면서 상기 돌출단(521a)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liding part 234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capable of sliding the protruding end 521a while supporting the protruding end 521a like a roller.

한편, 상기 고정축(520)과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 변화와 상관없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블록(510)은 지지클램프(200)와 달리 상기 강체전차선(5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shaft 520 and the fixed block 510 may be provided by being coupl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rrespective of a change in the length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That is, the fixing block 51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igid tram line 50 , unlike the support clamp 200 .

결국,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자유단 또는 그 부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고정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접속부(310)가 상단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고정축(520)에 의해 상기 지지클램프(200)에 연결되어 상기 강제전차선(50)의 신축에 따라 상기 고정블록(510)이 자연스럽게 함께 변위되도록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fixed block 510 is coupled to or near the free end of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in a fixed manner,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and can be provided. The fixing block 51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clamp 200 by the fixing shaft 520 so that the fixing block 510 is naturally displaced along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orced tram line 50 .

따라서, 본 발명 연결 유지부(500)는 상기 강체전차선(50)이 열팽창하거나 열수축하는 경우에, 상기 고정축(520)과 상기 고정블록(510)이 상기 강체전차선(50)에 고정되어 상기 강제전차선(50)과 함께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지지클램프(200)는 홈부(232) 및 습동부(234)를 통해 강체전차선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holding part 5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igid tram line 50 thermally expands or contracts, the fixed shaft 520 and the fixed block 510 are fixed to the rigid tram line 50 and the force It may be displaced together with the catenary 50 , and the support clamp 200 may slide along the rigid tram line through the groove part 232 and the sliding part 234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유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hold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고정블록(510)에 슬라이딩 부재(511a)가 구비되어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블록(510)은 상기 고정축(520)을 매개로 습동부(234)를 구비한 지지클램프(200)와 연결되므로, 결국 연결 유지부(500)의 3가지 구성요소는 강체전차선(50)이 신축하더라도 함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a sliding member 511a is provided in the fixed block 51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so that the rigid tram line can be slidably coupled. Since the fixing block 5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lamp 200 having the sliding part 234 via the fixing shaft 520 as a medium, the three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holding part 500 are the rigid tram line 50 ), even if it expands and contracts, it can be made possible to slide together.

즉,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은 온도 변화에 따른 신축이 발생하여도 고정블록(510)과 지지클램프(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블록(510)은 상기 제1 접속부(310)의 접속상태를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신축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can be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fixed block 510 and the support clamp 200 even when expansion and contraction occur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Accordingly, the fixing block 510 can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rrespectiv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vable rigid body tram line 50a.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 블록(51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돌출단(521a)를 수용하여 상기 돌출단(521a)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부(511)와, 상기 이동부(511)의 상단에서 상기 제1 접속부(310)와 결합되는 바디부(512)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looking at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fixing block 510, a moving part 511 that accommodates the protruding end 521a and is coupl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521a is slidably movable, and the moving unit ( 511) may be divided into a body portion 512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at the upper end.

상기 바디부(512)의 상단에 상기 제1 브라켓(312)이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브라켓(312)은 볼트 등의 체결위치의 조절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체결홀(도면부호 미도시)이 장공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312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512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or a nut. The first bracket 31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not shown) in the form of a long hole to enable adjustment and change of fastening positions such as bolts.

상기 이동부(511)는 'c'자 형 수용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돌출단(521a)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단(521a)의 하면 또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부재(511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511 may further include a 'c'-shaped receiving groove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end 521a, and a sliding member ( 511a)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511a) 역시 상기 지지클램프의 습동부와 마찬가지로 마찰계수가 낮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또는 테프론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좋다. 구체적인 마찰계수는 0.35 이하일 수 있다.Also, the sliding member 511a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oxymethylene (POM) or Teflon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like the sliding part of the support clamp, and preferably, the lower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he better. A specific friction coefficient may be 0.35 or less.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511a)를 구비하지만,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위 구성이 생략되고 강체전차선과 고정블록(510)이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 체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ncludes the sliding member 511a, bu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different in that the above configuration is omitted and the rigid tram line and the fixed block 510 are fixedly and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there is

한편, 상기 고정 블록(510)은 금속 재질로 되어 수형단자 등에 공급되는 전류를 통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플렉서블 와이어 등을 통해 강체전차선에서 단자로 직접 통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xing block 5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configured to conduct current supplied to the male terminals or the like, or may be configured to conduct electricity directly from the rigid tram line to the terminal through a separate flexible wire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고정 블록(510)은 상기 이동식 장체전차선(50a)에서 이탈하는 것은 방지되어야 하므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일단 전방에는 상기 고정 블록(51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And, since the fixed block 510 should be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movable long tank line 50a, a stopper (not shown) that prevents the fixed block 510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movable rigid tank line 50a. ) may be provided.

상기 고정축(520)은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고정블록(510)을 연결하여, 상기 지지클램프(200)와 상기 고정블록(510)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강체전차선의 접속과정에서 접속부의 틀어짐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xing shaft 520 connects the support clamp 200 and the fixing block 510 so that the support clamp 200 and the fixing block 51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thereby forming a rigid tram lin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preventing distortion of the connection part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한편, 상기 고정 블록(510)은 상기 일 돌출단(521a)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1 고정 블록(510a)과, 상기 타 돌출단(521b)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제2 고정 블록(510b)으로 양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축(520)은 상기 제1 고정 블록(510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축(520a)과, 상기 제2 고정 블록(510b)을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축(520b) 2개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block 510 includes a first fixing block 510a that supports the one protruding end 521a to slide and a second fixing block 510b that supports the other projecting end 521b to slide. ), and the fixed shaft 520 includes a first fixed shaft 520a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ing block 510a, and a first fixing shaf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block 510b. 2 It may be composed of two fixed shafts (520b).

상기 고정축(520)은 상기 지지클램프(2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고정 블록(510a)과 결합되는 제1 고정축(520a)과, 상기 지지클램프(2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고정 블록(510b)과 결합되는 제2 고정축(52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shaft 520 includes a first fixing shaft 520a extending from the support clamp 200 and coupled to the first fixing block 510a, and a second fixing block extending from the support clamp 200 . A second fixed shaft 520b coupled to the 510b may be included.

이로써, 외력 또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의 마찰력이 상기 제1 고정 블록(510a)과 상기 제2 고정 블록(510b)에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제1 슬라이딩 블록(510a)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510b)에 각각 결합되는 돌출단(521a, 521b)이 균일하게 슬라이딩 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브라켓(312)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수형단자(311)가 일정하게 상기 암형단자(312)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sliding block 510a and the second sliding block are distributed such that external force or frictional force with the movable rigid body line 50a is distribu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blocks 510a and 510b. This is to induce the protruding ends 521a and 521b respectively coupled to the 510b to slide uniform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bracket 312 from being twisted so that the male terminal 311 can be constantly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female terminal 312 .

상기 고정 블록(510)은 제1 슬라이딩 블록(510a)과 상기 제2 슬라이딩 블록(510b)으로 양분되므로, 상기 고정 블록(510)이 하나의 고정 블록으로 되어 있을 때보다 고정 블록의 수평방향 비틀림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다.Since the fixed block 510 is divided into a first sliding block 510a and a second sliding block 510b, the fixed block 510 is more resistant to horizontal twisting than when the fixed block 510 is a single fixed block. Able to react flexibly.

이때, 상기 고정축(520)은 상기 강체전차선(50)과 열팽창계수가 다르거나, 금속이 아닌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520)의 양단은 결합부(530)를 매개로 각각 고정 블록(510)과 지지클램프(20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30)는 각각 체결부재(531, 53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ed shaft 520 may have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different from that of the rigid tram line 50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xing shaft 520 may be fixedly fastened to the fixing block 510 and the support clamp 200 via the coupling portion 530 , respectively. The coupling part 53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astening members 531 and 532, respectively.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결 유지부(500)가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가 달라지더라도 접속부(300)의 접속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holding part 5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s maintained even if the length of the movable rigid body tram line 50a is changed.

도 11(a)은 이동식 강체전차선(50a)과 고정식 강체전차선(50b) 열수축 또는 열팽창이 발생하지 않는 정상상태를 도시한다.Fig. 11 (a) shows a steady state in which thermal contraction or thermal expansion does not occur i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열수축하는 경우,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일단 또는 자유단이 후방으로 이동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B , when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is thermally contracted, the length of the movable rigid vehicle line 50a is shortened. When the length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50a is shortened, the same effect as that one end or the free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50a moves rearward may appear.

이때,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고정축(520)에 의해 지지클램프(200)와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수축으로 이동식 전차선(50a)이 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접속장치의 접속상태를 담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block 5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lamp 200 by the fixed shaft 520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even if the movable catenary 50a moves backward due to the contraction of the mobile rigid tramline 50a,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status can be guaranteed.

이는 상기 고정블록(510)은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fixed block 510 is not fix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but support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so tha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llow the length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50a to be reduced.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신장되는 경우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일단 또는 자유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c ), when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s elongated and the length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s increased, one end or the free end o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moves forward. can have the same effect as

이때, 상기 고정블록(510)은 상기 고정축(520)에 의해 지지클램프(200)와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되어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신장으로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전방으로 이동하더라도 접속장치의 접속상태를 담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block 51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lamp 200 by the fixed shaft 520 at regular intervals, and a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is elongated, even if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moves forward,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status can be guaranteed.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연결 유지부(500)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을 고정적으로 클램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클램핑하므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의 신축 또는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이 이동 가능하여 상기 접속부(300)의 안정적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ding part 500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does not clamp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fixedly, but slidably clamp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Even if expansion and contraction or vibration occurs, the movable rigid body wire 50a is movable, so that the stabl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00 can be maintained.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암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브라켓(312)에 결합된 수형단자(311)은 상기 제2 브라켓(322)에 결합된 암형단자(321)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have a male and female structure that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male terminal 311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312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female terminal 321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322 .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접속부(310)에 구비되는 제1 접속단자가 수형단자(311)로 구성되고, 제2 접속부(320)에 구비되는 제2 접속단자가 암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위치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2 ,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configured as a male terminal 311 ,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is configured as a female terminal. Although shown as being, the location may be changed.

한편,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암형단자(32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암형단자(321)를 수용하는 절연부(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부(324)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암형단자(321)와 상기 수용통(3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part 324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terminal 321 to accommodate the female terminal 321 . The insulating part 324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disposed between the female terminal 321 and the receiving cylinder 326 .

이로써, 상기 제1 접속부(310)와 상기 제2 접속부(320)는 커넥터 방식으로 결합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coupled in a connector manner to transmit current.

상기 제1 접속부(310)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결합되고,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구비된 제2 접속부(3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50b)에 흐르는 전류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50a)에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coupl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50a,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provided in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and the current flowing in the fixed rigid tram line 50b. can be transmitted to the movable rigid body line 50a.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속부(310)는 상기 제2 접속부(320)에 구비된 암형단자(32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전류를 전달받는 수형단자(311)와, 상기 블록(51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접속단자를 지지하는 제1 브라켓(312)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coupled to the male terminal 311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321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and receives current, and the block 510 . It may include a first bracket 312 for suppor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상기 제1 접속부(310)는 상기 제1 접속부(310)과 상기 제2 접속부(320)의 결합을 유지시키며 접속과정에서 오차 또는 어긋남을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include a buffer part 400 for maint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and for buffering errors or deviations in the connection process.

상기 완충부(400)는 상기 수형단자(311)이 길이방향으로 진동하거나 접속 방향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수형단자(311)과 상기 암형단자(321)의 결합을 유지키는 스프링 등의 완충부재(410) 및 수형단자(311)를 완충부재(410)를 매개로 제1 브라켓(312)에 장착하고, 제2 접속부(320)의 수용통(326)과 형합되는 형상을 갖는 접속 하우징(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 unit 400 is a buffer member 410 such as a spring that maintains the coupling between the male terminal 311 and the female terminal 321 even if the male terminal 311 vib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connection direction position is changed. ) and the male terminal 311 are mounted on the first bracket 312 via the buffer member 410, and the connection housing 420 having a shape to be matched with the receiving cylinder 326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is provided. may include

상기 접속 하우징(420)은 상기 암형단자(321)에서 상기 수형단자(311)가 반경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접속과정의 마무리 단계의 완결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통(326)과 형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housing 420 prevents the male terminal 311 from being displac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emale terminal 321, or is formed with the housing container 326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finishing step of the connection process. can have

한편, 상기 암형단자(321)는 수용통(326)에 의해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326)은 부도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암형단자(321)에 흐르는 고압전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terminal 321 may be blocked from the outside by the receiving tube (326). The container 326 may be provided with a non-conductor, and may prevent the high volt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emale terminal 32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described below.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m should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0 : 강체전차선
100 : 이동장치
200 : 지지클램프
300 : 접속부
400 : 완충부
500 : 연결 유지부
50: rigid tank line
100: moving device
200: support clamp
300: connection part
400: buffer part
500: connection maintaining unit

Claims (11)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분리 또는 접속이 가능한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에 있어서,
각각 접속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한 쌍의 접속부; 및,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신축에 따라 함께 변위되어 한 쌍의 상기 접속부의 접속상태를 보장하기 위한 연결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지부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장착되는 지지클램프; 상기 지지클램프와 이격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지지하되 상단에 상기 접속부가 구비되는 고정블록; 상기 지지클램프와 상기 고정블록을 연결하는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xed rigid tram line and a movable rigid tram line that can be separated or connected to the fixed rigid tram line,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each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the movable rigid tram line; and,
It is provided in the mobile rigid tram line and is displaced together according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and includes a connection holding part for ensur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pair of connection parts, and the connection holding part is such tha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slidable. Support clamps mounted on the mobile rigid tram line; a fixing block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clamp to suppor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but having the connection part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fixed shaft connecting the support clamp and the fixed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은 회전형 지지브래킷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접속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rigid tram line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rigid tram line by being mounted on a rotating support bracke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클램프는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홈부 및 상기 홈부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유도하는 습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clamp further comprises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to be slidably movable, and a sliding part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ove to induce the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igid tram line conn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고정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 is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to the movable rigid tram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 is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the movable rigid tram line slidab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 일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의 상단 타측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제2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1 고정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1 고정축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 includes a first fixed block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to slide and a second fixed block to which the other upper end of the mobile rigid tram line is coupled to slide;
The fixed shaft comprises a first fixed shaf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ixed block and a second fixed shaft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fixed block.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접속부는 수형단자인 제1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1 접속부와 암형단자인 제2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는 이동식 강체전차선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고정식 강체전차선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체전차선 접속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a first connecting terminal as a male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as a female terminal,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being coupled to a movable rigid tram line, and A rigid tram line conn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xed rigid tram line.
고정식 강체전차선;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분리 또는 접속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식 강체전차선; 및,
상기 고정식 강체전차선과 상기 이동식 강체전차선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제1항, 제2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또는 제10항의 강체전차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강체전차선 시스템.
fixed rigid tram line;
a movable rigid tram line rotatably provided to be separated or connected to the fixed rigid tram line; and,
Including; Rigid body line system.
KR1020170107121A 2017-08-24 2017-08-24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KR102436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21A KR102436276B1 (en) 2017-08-24 2017-08-24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121A KR102436276B1 (en) 2017-08-24 2017-08-24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24A KR20190021824A (en) 2019-03-06
KR102436276B1 true KR102436276B1 (en) 2022-08-24

Family

ID=6576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21A KR102436276B1 (en) 2017-08-24 2017-08-24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390B1 (en) 2021-09-17 2022-08-22 이기환 Railway Pantograph Contact Wire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29B1 (en) 2012-09-13 2013-05-2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Rigid-bar
KR101748090B1 (en) * 2016-10-28 2017-06-16 (주)재영테크 movable rigid catena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467B1 (en) * 2005-11-22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엔지니어링 Movable catenary at railway crossing
KR20140110324A (en) * 2013-03-07 2014-09-1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support clamp and rigid bar support system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229B1 (en) 2012-09-13 2013-05-27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Rigid-bar
KR101748090B1 (en) * 2016-10-28 2017-06-16 (주)재영테크 movable rigid catena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824A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0248B (en) Rail vehicle truck
CA2803489C (en) Installation with overhead cables and vehicles served thereby, without hanger
US6239362B1 (en) Device for compensating variations in the length of tensioned cables, with substantially constant traction
US8561771B2 (en) Moveable catenary system for carrying containers using an electric container freight train
EP3581456B1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KR102436276B1 (en) Connecting apparauts of rigid bar and rigid bar system having the same
US20160201280A1 (en) Snow removal device, vehicle,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KR101746285B1 (en) support clamp for conductor rail
KR100381343B1 (en) Side contact type third rail shoe gear for light rail transit
KR20130087778A (en) Expansion joint
CN201313517Y (en) Movable overhead contact system under rationing coal hopper granary of electric railway
KR101748090B1 (en) movable rigid catenary system
CN104487311A (en) Rail vehicle
KR102000701B1 (en) a latch device of a third-rail power collector
KR100307501B1 (en) Third rail current collector for light rail transit
EP3647152B1 (en) A system comprising a coupler and a traction beam
JP4424607B2 (en) Sliding characteristic improving device and sliding characteristic improving method
JP2006500281A (en) Rail vehicle transport vehicle
KR101246930B1 (en) Third rail current collector for light rail transit
US731382A (en) Device for attaching dynamos to railway-cars.
EP3431329B1 (en) Suspension system for an aerial electrical contact profile above a railway vehicle track
KR101269230B1 (en) Power rail assembly for railroad car
KR101941534B1 (en) Press Type Bending Apparatus
CN214728842U (en) Rail transfer device
US11613279B1 (en) Train rail power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