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645B1 -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645B1
KR102435645B1 KR1020210145689A KR20210145689A KR102435645B1 KR 102435645 B1 KR102435645 B1 KR 102435645B1 KR 1020210145689 A KR1020210145689 A KR 1020210145689A KR 20210145689 A KR20210145689 A KR 20210145689A KR 102435645 B1 KR102435645 B1 KR 102435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lifeline
fixing
support r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4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6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that can improve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removing a life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omprises: a ring having a hooking hole into which a lifeline is inserted; a first support bar to which the ring is coupled; a second support bar disposed so that the first support bar is movable; and a fixture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so as to be detachable.

Description

높이 조절 및 탈착 기능이 구비된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어 승선원이 바다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 및 탈착 기능이 구비된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installed on a ship to prevent a crew member from falling into the sea,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having a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해양 경찰은 해양 조난자를 구출하는 해상 구조 업무와, 자국의 허가를 받지 않은 타국의 불법 조업 어선을 단속하는 업무, 및 이러한 업무를 위한 해상 훈련 등과 같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해양 경찰이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해양 경비함(선박)이 이용되기도 한다.The maritime police perform a variety of tasks, such as maritime rescue operations to rescue marine survivors, cracking down on illegal fishing vessels of other countries that are not licensed by their own country, and maritime training for these tasks. For the maritime police to perform these tasks, maritime patrol ships (ships) are sometimes used.

선박에는 해양 경찰이 바다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프라인(200)이 설치된다. A lifeline 200 is installed on the ship to prevent the marine police from falling into the sea.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고하면,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선박에 설치되어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고리(110), 지지봉(120), 및 고정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is installed on a ship and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ifeline 200 .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ring 110 , a support bar 120 , and a fixture 130 .

고리(110)는 라이프라인(200)이 걸리는 걸림공(미도시)을 포함한다. 라이프라인(200)은 걸림공에 삽입되어 고리(110)에 지지될 수 있다.The ring 110 includes a locking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lifeline 200 is caught. The lifeline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and supported by the ring 110 .

지지봉(120)에는 고리(110)가 결합된다. 지지봉(120)은 고리(110)를 지지함으로써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할 수 있다.A ring 110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 The support rod 120 may support the lifeline 200 by supporting the ring 110 .

고정대(130)는 지지봉(120)을 선박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봉(120)은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140)를 이용하여 고정대(13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xture 130 performs a function of fixing the support rod 120 to the ship. The support rod 120 may be coupled to the fixture 130 using a fastening part 140 such as a bolt and a nut.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e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에 따르면, 지지봉(120)의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해양 경찰이 업무를 수행하려면 라이프라인(200) 철거 작업이 반드시 선행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철거 작업으로 인하여 해양 경찰이 업무 수행에 투입되는데 오랜시간 소요된다.First,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height of the support bar 120 cannot be adjusted, the lifeline 200 demolition work is required in advance in order for the marine police to perform their duties.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akes a long time for the marine police to be put into work due to the demolition work.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지지봉(120)과 고정대(130)를 분리하려면 몽키스패너와 같은 추가 공구가 반드시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에 따르면, 해양 경찰에 업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Second,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 additional tool such as a monkey spanner is necessarily required to separate the support bar 120 and the fixture 13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burden of work on the marine police.

셋째, 선박의 운행 과정에서 체결부(140)가 자주 유실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에 따르면, 고정대(130)와 지지봉(120)의 결합을 위해 다량의 체결부(140)를 미리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고정대(130)의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Third, the fastening part 140 is often lost in the course of the opera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large amount of fastening parts 140 for coupling the fixture 130 and the support bar 120 . ) must be prepared in advance.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ixing rod 130 is increased.

넷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정대(130)는 지지봉(120)이 결합되기 위해 일측과 타측이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고정대(130)가 지지봉(12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낮게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는 고정대(130)가 지지봉(120)을 충분한 강도로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바람 등에 지지봉(120)이 휘어짐에 따라 고정대(130)가 함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Fourth, as shown in FIG. 1 ,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older 13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open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 Due to this structure, the support force of the fixture 130 to support the support rod 120 is implemented to be low. Therefo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not only the fixture 130 cannot support the support bar 120 with sufficient strength, but also the support bar 130 is damaged as the support bar 120 is bent in the wind. there is a problem to b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라이프라인을 철거하는 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apable of improving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dismantling the life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는 라이프라인이 삽입되는 걸림공을 갖는 고리, 상기 고리가 결합된 제1 지지봉, 상기 제1 지지봉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지지봉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having a locking hole into which the lifeline is inserted, a first support bar to which the ring is coupled, a second support bar disposed so that the first support bar is movable, and the second It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support rod, the second support rod may include a fixing rod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또한, 상기 제1 지지봉 또는 상기 제2 지지봉 중에서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대해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rod or the second support rod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one.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돌출기구,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돌출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와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ar may include a first bod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ar, an upper protrusion mechanism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lower protrusion mechanism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support rod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and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are inserted.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rod may be movably dispos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rod may be limited in movement at the first position when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t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또한, 상기 상부돌출기구 및 상기 하부돌출기구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and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may be elastically and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with a rotation axi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extends.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rod and the second support rod.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된 고리 및 상기 제2 지지봉에 결합된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and the ring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rod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extending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또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배치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fixing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ody and into which a fix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pport rod is inserted.

또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disposed inside the fixing bod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support rod.

또한, 상기 고정홈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고정본체에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may extend to the fixing body in at least two directions.

또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지지봉이 연장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제2 고정홈을 향하는 고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extends, and a second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irst direction. A fixing surface facing the second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ixing bod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라이프라인 철거 작업으로 인하여 해양 경찰이 업무 수행에 투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ight-adjustabl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marine police to perform duties due to the lifeline demolition wor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는 몽키스패너와 같은 추가 공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지지봉을 고정대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bar even if an additional tool such as a monkey spanner is not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는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를 이용하지 않고 지지봉과 고정대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uple the support bar and the fixture without using fastening parts such as bolts and nu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는 고정대가 제2 지지봉을 강한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대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ture may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with a strong supporting force, and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fixture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걸림공은 상기 라이프라인의 삽입이 시작되는 개구부가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cking hol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ifeline is inserted may be opened upward.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회전본체,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본체에 연결된 제2 회전본체, 및 상기 제1 회전본체와 상기 제2 회전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rotatably abo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is extended as a rotation axis, the first rotating body arrang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rod, the first support rod is extended A second rotational bod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to be rotatably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onal body with the rotation axi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a coupling unit for coupling the first rotational body and the second rotational body to the first rotational body. .

또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제1 본체가 삽입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돌출기구가 삽입되되 적어도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ar includes a first bod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protrusion mechanism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he second support bar is a second body into which the first body is inserted, and the The protrusion mechanism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at least two directions into which the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and formed in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기구의 삽입이 시작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삽입홈, 상기 제1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삽입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제3 삽입홈을 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ertion groove is a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mechanism starts and the first support rod is extended, the insertion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is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s It may include a second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the direction,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extends. A first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facing the third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배치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1 고정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제3 고정홈을 향하는 고정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may include a fixing bod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ody and into which a fix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pport rod is inserted.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extends, a second fix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It may include a third fix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extends. A fixing surface facing the third fix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fixing bod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높이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지지봉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지지봉과 고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삽입홈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2 지지봉과 고정대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rotatable ring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first support rod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tu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the fixtu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chable function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 and 11 (b) are perspective views of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rst support rod and the ring in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ertion groov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and the fixing rod are coupled in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intentions or precedents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es”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disclosed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 new component is formed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높이 조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한 고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지지봉이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고정대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탈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1 지지봉과 고리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삽입홈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에 있어서 제2 지지봉과 고정대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function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are rotatabl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ing.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first support rod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tu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9 is a front view of a fixtu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chable function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first support bar and a ring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larged view of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ertion groov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bar and the fixture are combined It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선박에 설치되어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프라인(200)은 선박에 설치되어 선원이 바다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고리(2), 제1 지지봉(3), 제2 지지봉(4), 및 고정대(5)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의 구성 요소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른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2 to 10 ,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ship to support the lifeline 200 . The lifeline 200 is installed on a ship and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a sailor from falling into the sea.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2 , a first support bar 3 , a second support bar 4 , and a fixture 5 .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dded or 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omitted.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라이프라인(200)이 삽입되는 걸림공(2a)을 갖는 고리(2), 고리(2)가 결합된 제1 지지봉(3), 제1 지지봉(3)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봉(4), 및 제2 지지봉(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제2 지지봉(4)의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지지봉(4)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대(5)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2 and 3,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ng 2 having a locking hole 2a into which the lifeline 200 is inserted, and the ring 2 are coupled. The first support bar 3, the second support bar 4 that is arranged to be movable, and the second support bar 4 exten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4 to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bar 4 It is inserted and includes a fixture 5 to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4 is detachably coupled.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제1 지지봉(3)이 제2 지지봉(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제1 지지봉(3)의 상부와 제2 지지봉(4)의 하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변경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해양 경찰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라이프라인(200)을 걸림공(2a)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철거 작업으로 인하여 해양 경찰이 업무 수행에 투입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upport bar 3 is movably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bar 4,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bar 3 and the second support bar ( 4) is implemented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lower parts is changed.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so that the lifeline 200 separates the lifeline 200 from the locking hole 2a when the marine police perform their duties. This may not necessarily be required.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marine police to perform their duties due to the demolition work.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에 따르면, 제2 지지봉(4)과 고정대(5)를 몽키스패너와 같은 추가 공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2 지지봉(4)을 고정대(5)에 삽입 내지 삽입 해제시킴으로써, 제2 지지봉(4)을 고정대(5)에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해양 경찰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bar 4 and the fixture 5 are not provided with additional tools such as a monkey spanner, the second support bar 4 is attached to the fixture. By inserting or releasing the insertion in (5), the second support rod (4)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ture (5).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burden of the marine police in performing their duties compared to the prior art.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를 이용하지 않고 제2 지지봉(4) 및 고정대(5)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에 따르면, 다량의 체결부를 미리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고정대(5)의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Third,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capable of coupling the second support bar 4 and the fixture 5 without using fastening parts such as bolts and nuts. Therefore,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arge amount of fastening parts in advan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fixture 5 can be reduced.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대(5)의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가 아니고, 고정대(5)가 제2 지지봉(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봉(4)의 내면 전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고정대(5)가 제2 지지봉(4)을 강한 지지력으로 지지할 수 있고, 고정대(5)의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Fourth,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xture 5 shown in FIG. 1 are opened, but the fixture 5 is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upport bar 4 . It h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rod 4 along the direction. Therefor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 the fixture 5 can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4 with a strong support fo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fixture (5).

이하에서는 고리(2), 제1 지지봉(3), 제2 지지봉(4), 및 고정대(5)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ring (2), the first support rod (3), the second support rod (4), and the fixture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고리(2)는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리(2)는 라이프라인(200)이 삽입되는 걸림공(2a), 걸림공(2a)이 형성되고 라이프라인(200)이 걸려서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하는 고리본체(20), 및 고리본체(20)에 연결된 회전본체(21)를 포함한다. 회전본체(21)는 원형 고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본체(20)와 회전본체(2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2 to 4, the ring (2)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lifeline (200). The ring 2 is a ring body 20 for supporting the lifeline 200 by the locking hole 2a into which the lifeline 200 is inserted, the locking hole 2a being formed and the lifeline 200 being caught, and the ring and a rotating body 21 connected to the body 20 . The rotating body 2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ring. The ring body 20 and the rotating body 21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복수 개의 고리(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고리(2)는 제1 지지봉(3)과 제2 지지봉(4)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고리(2)는 복수 개가 제1 지지봉(3)과 제2 지지봉(4) 각각에 결합될 수도 있다.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ngs (2). For example, the ring 2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rod 3 and the second support rod 4 . A plurality of rings (2)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bar (3) and the second support bar (4).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고리(2)는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 지지봉(3)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리(110)가 지지봉(120)에 결합된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지지봉(120)을 고정대(130)로부터 분리시킬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0)에 따르면, 고리(110)의 결합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번거로운 작업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단순히 고리(2)를 회전시키는 작업만으로 고리(2)의 결합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방향에서나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고리(2)는 회전본체(21)가 제1 지지봉(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지지봉(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4 and 5, the ring (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3) rotatably as a rotation axi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3) is extend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ing 110 is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 the support rod 120 had to be separated from the fixture 13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cumbersome operation was required to change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ring 110 . However, sinc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ring 2 only by simply rotating the ring 2, it supports the lifeline 200 in any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that can The ring 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3 by the rotating body 21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가 복수 개의 고리(2)를 포함하는 경우, 예컨대 고리(2)가 제1 지지봉(3)과 제2 지지봉(4) 각각에 결합된 경우, 제1 지지봉(3)에 결합된 고리(2) 및 제2 지지봉(4)에 결합된 고리(2) 각각은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ngs 2 , for example, the ring 2 is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bar 3 and the second support bar 4 . , The ring 2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3 and the ring 2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4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first support bar 3 extending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have.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제1 지지봉(3)에는 고리(2)가 결합된다. 제1 지지봉(3)은 고리(2)를 지지함으로써 라이프라인(2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봉(3)과 고리(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지지봉(3)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2 to 7 , the ring 2 is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3 . The first support rod 3 may support the lifeline 200 by supporting the ring 2 . The first support rod 3 and the ring 2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제1 지지봉(3)은 제2 지지봉(4)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지봉(3)은 도 6에 도시된 제1 위치(P1)와 도 7에 도시된 제2 위치(P2) 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는 제1 지지봉(3)의 소정의 위치로서,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mov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rod 4 .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rod 3 is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P1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position P2 shown in FIG. 7 .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are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first support rod 3 and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지지봉(3)은 제2 지지봉(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지지봉(4)은 제1 지지봉(3)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각각의 실시예는 제1 지지봉(3) 또는 제2 지지봉(4) 중에서 어느 하나를 나머지 하나에 삽입시키는 쉬운 작업을 통해 높이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절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지지봉(3)이 제2 지지봉(4)에 삽입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4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rod 4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rod (3). In each embodimen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rough an easy operation of inserting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bar 3 or the second support bar 4 into the other one, so the convenience of height adjustment can be improved.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that the first support rod 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4).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1 지지봉(3)은 제1 본체(30), 상부돌출기구(31), 및 하부돌출기구(32)를 포함한다.6 and 7 , the first support rod 3 includes a first body 30 , an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 and a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

제1 본체(30)는 제2 지지봉(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 본체(30)는 제1 지지봉(3)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본체(30)는 제2 지지봉(4)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본체(30)의 외면에는 회전본체(21)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ody 30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4). The first body 30 may function as a body of the first support rod 3 . The first body 30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rod 4 . The rotating body 2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30 .

상부돌출기구(31)는 제1 본체(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돌출기구(31)는 제1 본체(3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0 .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30 to the outside.

하부돌출기구(32)는 제1 본체(30)의 하부에 결합된다. 하부돌출기구(32)는 제1 본체(3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하부돌출기구(32)와 상부돌출기구(31)는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30 .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30 to the outside.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and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may be located at different position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3 extends.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2 지지봉(4)에는 제1 지지봉(3)이 삽입된다. 즉, 제2 지지봉(4)은 제1 지지봉(3)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봉(4)은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봉(4)에는 고리(2)가 결합될 수 있다.2 to 6 , the first support rod 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4 . That is, the second support rod 4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rod 3 . The second support rod 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as a whole. A ring 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rod 4 .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지지봉(4)은 제2 본체(40), 및 삽입홈(41)을 포함할 수 있다.6 and 7 , the second support rod 4 may include a second body 40 and an insertion groove 41 .

제2 본체(40)에는 제1 지지봉(3)이 삽입된다. 제2 본체(40)는 제2 지지봉(4)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본체(40)의 외면에는 회전본체(21)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본체(40)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rod 3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40 . The second body 40 may function as a body of the second support rod 4 . The rotating body 2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40 . The second body 4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cylinder as a whole.

삽입홈(41)에는 상부돌출기구(31)와 하부돌출기구(32)가 삽입된다. 삽입홈(41)은 제2 본체(40)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and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The insertion groove 4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40 .

삽입홈(41)에 상부돌출기구(31)가 삽입되면, 제1 지지봉(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의 전체적인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When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P1 as shown in FIG. 6 . In this case, the overall height of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wered.

삽입홈(41)에 상부돌출기구(31)가 삽입되면, 제1 지지봉(3)은 제1 위치(P1)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부돌출기구(31)는 삽입홈(41)에 삽입됨에 따라 제2 본체(40)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제1 지지봉(3)을 낮은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력을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limited in movement at the first position (P1). This is because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is supported by the second body 40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fixing force capable of fixing the first support bar 3 at a low position.

상부돌출기구(31)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돌출기구(31)가 삽입홈(41)에 쉽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높이 조절 적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위치 고정 작업에 대한 용이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may be arranged to be elastically movable. Accordingly,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41 .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while also improving the ease of the position fixing operation.

삽입홈(41)에 하부돌출기구(32)가 삽입되면, 제1 지지봉(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P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의 전체적인 높이는 높아질 수 있다.When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P2 as shown in FIG. 7 . In this case, the overall height of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reased.

삽입홈(41)에 하부돌출기구(32)가 삽입되면, 제1 지지봉(3)은 제2 위치(P2)에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하부돌출기구(32)는 삽입홈(41)에 삽입됨에 따라 제2 본체(40)에 지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제1 지지봉(3)을 높은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력을 구현할 수 있다.When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the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rod 3 may be restricted at the second position P2 . This is because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is supported by the second body 40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lement a fixing force capable of fixing the first support bar 3 at a high position.

하부돌출기구(32)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돌출기구(32)가 삽입홈(41)에 쉽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높이 조절 적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위치 고정 작업에 대한 용이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may be arranged to be elastically movable. Accordingly,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can be easily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41 . Therefore,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se of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while also improving the ease of the position fixing operation.

제2 지지봉(4)은 고정부재(42, 도 9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rod 4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42 (shown in FIG. 9 ).

고정부재(42)는 제2 본체(40)에 결합된다. 고정부재(42)는 제2 본체(40)의 내부를 가로질러 제2 본체(40)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42)는 제2 본체(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42 is coupled to the second body 40 . The fixing member 42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40 across the inside of the second body 40 . The fixing member 4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40 . The fixing member 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도 2,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고정대(5)는 제2 지지봉(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제2 지지봉(4)의 내부에 삽입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고정대(130)가 지지봉(120)에 결합되기 위해 고정대(130)의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고정대(130)가 지지봉(120)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낮게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고정대(5)가 제2 지지봉(4)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지지봉(4)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제2 지지봉(4)을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and 8 to 10 , the fixing bar 5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4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ar 4 .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130 are opened in order for the holder 130 to be coupled to the support rod 120 , so that the holder 130 supports the support rod 120 . This is implemented low. However,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bar 5 can support the second support bar 4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4, the second support bar 4 is supported. support can be improved.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고정대(5)는 고정본체(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fixing base 5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body 50 .

고정본체(50)는 제2 지지봉(4)에 삽입된다. 고정본체(50)는 고정대(5)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고정본체(50)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4). The fixed body 50 may function as a main body of the fixing table 5 . The fixed body 5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변형될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지지봉(4)이 고정대(5)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o be modified, the second support rod 4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table 5 .

제2 지지봉(4)은 고정대(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제2 지지봉(4)을 고정대(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대(5)는 고정홈(51), 고정면(50a), 및 탄성체(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rod 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rod 5 .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ably couple the second support bar 4 to the fixture 5 without using fastening parts such as bolts and nuts. To this end, the fixing table 5 may include a fixing groove 51 , a fixing surface 50a , and an elastic body 52 .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고정홈(51)은 고정본체(50)에 형성된다. 고정홈(51)에는 고정부재(42)가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홈(51)은 복수 개가 고정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8 and 9 , the fixing groove 51 is formed in the fixing body 50 . A fixing member 42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1 .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5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ody 50 .

고정홈(51)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고정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고정부재(42)를 고정대(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야만 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는 제2 지지봉(4)과 고정대(5)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xing groove 5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ody 50 in at least two directions.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in at least two or more directions in order to separate the fixing member 42 from the fixing table 5 .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mprov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econd support bar 4 and the fixing bar 5 .

고정홈(51)은 제2 지지봉(4)이 연장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511),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5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홈(511)및 제2 고정홈(512)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고정홈(511)은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51 includes a first fixing groove 511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4 extends, and a second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irst direction ( 512) may be included. The first fixing groove 5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fixing groove 511 may be connected to the outside.

고정면(50a)은 제2 고정홈(5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면(50a)은 고정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2)가 제2 고정홈(512)에 위치한 경우, 제2 지지봉(4)은 고정면(50a)에 지지되어서 고정대(5)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없다. 고정부재(42)가 제1 고정홈(511)에 위치한 경우, 제2 지지봉(4)은 고정대(5)로부터 쉽게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fixing surface 50a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 The fixing surface 50a may be formed on the fixing body 50 . When the fixing member 42 is locat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 the second support rod 4 is supported on the fixing surface 50a and cannot be separated upwardly from the fixing table 5 . When the fixing member 42 is loc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the second support rod 4 can be easily separated upwardly from the fixing table 5 .

탄성체(52)는 제2 지지봉(4)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체(52)는 고정본체(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52)는 고정부재(42)에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2 지지봉(4)에 탄성력을 상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42)가 제1 고정홈(511)에 위치한 경우, 제2 지지봉(4)은 고정대(5)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탄성체(52)는 전체적으로 스프링(Spring)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52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support rod 4 . The elastic body 52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xed body 50 . The elastic body 52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upward to the second support rod 4 as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fixing member 42 . Accordingly, when the fixing member 42 is loc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the second support rod 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ing table 5 . The elastic body 52 may be implemented as a whole as a spring (Spring).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탄성체(52)를 덮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따르는 경우, 캡은 탄성체(52)와 고정본체(50)의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체(52)를 밀봉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covering the elastic body (5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ap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body 52 and the fixed body 50 to seal the elastic body 52 .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제2 지지봉(4)이 고정대(5)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 a process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4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table 5 will be described.

우선 도 10(a)은 제2 지지봉(4)이 고정대(5)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고정부재(42)는 제2 고정홈(512)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체(52)가 고정부재(42)에 탄성력을 상측으로 제공하더라도, 고정부재(42)가 고정면(50a)에 접촉되어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2 지지봉(4)이 고정대(5)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First, Figure 10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4) is coupled to the fixture (5).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42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 Even if the elastic body 52 provides the elastic force to the fixing member 42 upward, since the fixing member 42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surface 50a, the second support rod 4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5. state can be maintained.

다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봉(4)을 회전시킨다. 이 경우, 탄성체(52)의 탄성력을 극복하기 위해 제2 지지봉(4)을 하측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다. 고정부재(42)는 제1 고정홈(5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support rod 4 is rotated as shown in FIG. 10(b). In this case,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rod 4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52 . The fixing member 42 may be located under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다음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봉(4)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탄성체(52)는 고정부재(42)에 외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제2 지지봉(4)은 고정대(5)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0(c), the second support rod 4 is moved upward. In this case, since the elastic body 52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the fixing member 42 , the second support rod 4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ing member 5 .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는 고리(2), 제1 지지봉(3), 제2 지지봉(4), 및 고정대(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에 있어서, 고리(2), 제1 지지봉(3), 제2 지지봉(4), 및 고정대(5)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11 to 14 ,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ng 2 , a first support bar 3 , a second support bar 4 , and a fixture 5 . include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2, the first support bar 3, the second support bar 4, and the fixture 5 are approximately those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Since it is implemented in the same wa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도 12를 참고하면, 걸림공(2a)은 라이프라인(200)의 삽입이 시작되는 개구부가 상방으로 개방되게 고리본체(2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에 따르면, 라이프라인(200)은 고리(2)의 상방에서 걸림공(2a)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2, the locking hole (2a) may be formed in the ring body 20 such that the opening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lifeline 200 starts to open upward.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eline 20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a) from above the ring (2).

도 12를 참고하면, 고리(2)는 제1 회전본체(21a), 제2 회전본체(21b), 및 결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 the ring 2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ody 21a , a second rotating body 21b , and a coupling portion 22 .

제1 회전본체(21a)는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1 지지봉(3)에 결합된다. 제1 회전본체(21a)는 제1 지지봉(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본체(21a)는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otating body 21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rod 3 by u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rod 3 as a rotation axis. The first rotating body 21a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rod 3 . The first rotating body 21a may be formed in a semi-ring shape.

제2 회전본체(21b)는 제1 회전본체(21a)에 연결된다. 제2 회전본체(21b)는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1 지지봉(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본체(21b)는 제1 지지봉(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본체(21b)는 반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본체(21b)가 제1 회전본체(21a)에 결합되면, 제1 회전본체(21a) 및 제2 회전본체(21b)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본체(21b)는 제1 회전본체(21a)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ng body 21b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a.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rod 3 by usi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ing rod 3 as a rotation axis.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rod 3 .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may be formed in a semi-ring shape. When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is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a, the first rotating body 21a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may be formed in a circular annular shape.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21a).

결합부(22)는 제1 회전본체(21a)와 제2 회전본체(21b)를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는 제1 회전본체(21a)와 제2 회전본체(21b)의 일부를 서로 분리시켜서 고리(2)를 제1 지지봉(3)에 결합하거나 제1 지지봉(3)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고리(2)를 제1 지지봉(3)에 쉽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22)는 볼트와 너트 방식으로 제1 회전본체(21a)와 제2 회전본체(21b)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22)는 제1 회전본체(21a)의 단부와 제2 회전본체(21b)의 단부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2 performs a function of coupling the first rotating body 21a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body 21a and the second rotation body 21b from each other to separate the ring 2 from the first support rod 3 ) can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ort bar (3), so that the ring (2) can be easily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3). The coupling part 22 may couple the first rotating body 21a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by a bolt and nut method. The coupling part 22 may couple the end of the first rotating body 21a and the end of the second rotating body 21b to each other.

도 13을 참고하면, 제1 지지봉(3)은 제1 본체(30), 및 돌출기구(3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기구(33)는 앞서 서술한 상부돌출기구(31) 또는 하부돌출기구(32)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돌출기구(33)는 제1 본체(3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first support rod 3 may include a first body 30 and a protrusion mechanism 33 . The protrusion mechanism 33 may be any one of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31 and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32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mechanism 33 may protrude from the first body 30 .

도 13을 참고하면, 삽입홈(41)에는 돌출기구(33)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에 있어서, 삽입홈(41)은 적어도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본체(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는 제1 지지봉(3)을 제2 지지봉(4)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야만 하는 구조로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3 , the protrusion mechanism 33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1 .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groove 41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40 by extending in at least two directions.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in at least two or more directions in order to separate the first support bar 3 from the second support bar 4 . do.

일 예에 있어서, 삽입홈(41)은 제1 삽입홈(411), 제2 삽입홈(412), 및 제3 삽입홈(413)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ample, the insertion groove 41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411 , a second insertion groove 412 ,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413 .

제1 삽입홈(411)은 돌출기구(33)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이다. 제1 삽입홈(411)은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제1 삽입홈(4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삽입홈(411)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is a portion where th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mechanism 33 starts.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extend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3 extends. For example,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제2 삽입홈(412)은 제1 삽입홈(411)에 연통된다. 제2 삽입홈(412)은 제1 삽입홈(411)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제2 삽입홈(41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삽입홈(412)은 제1 삽입홈(411)과 제2 삽입홈(412)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extends. For exampl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

제3 삽입홈(413)은 제2 삽입홈(412)에 연통된다. 제3 삽입홈(413)은 제2 삽입홈(412)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제3 삽입홈(41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삽입홈(413)은 제1 삽입홈(4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412 extends. For example,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insertion groove 411 .

삽입홈(41)이 제1 삽입홈(411), 제2 삽입홈(412), 및 제3 삽입홈(413)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본체(40)에는 제1 지지면(40a)과 제2 지지면(40b)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groove 41 includes a first insertion groove 411 , a second insertion groove 412 ,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413 , the second body 40 has a first support surface 40a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40b may be formed.

제1 지지면(40a) 및 제2 지지면(40b)은 제3 삽입홈(413)을 향한다. 제1 지지면(40a) 및 제2 지지면(40b)은 제3 삽입홈(41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돌출기구(33)가 제3 삽입홈(413)에 위치한 경우, 돌출기구(33)는 제1 지지면(40a) 또는 제2 지지면(40b)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기구(33)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제1 지지봉(3)은 제2 지지봉(4)과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surface 40a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40b face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 The first support surface 40a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40b may face each other with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interposed therebetween. When the protrusion mechanism 33 is located in the third insertion groove 413 , the protrusion mechanism 33 may be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surface 40a and the second support surface 40b . Accordingly, since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mechanism 33 is restricted, the first support rod 3 can b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with the second support rod 4 .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에 있어서, 고정홈(51)은 적어도 2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는 제2 지지봉(4)을 고정대(5)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야만 하는 구조로 구현된다.Referring to FIG. 14 , 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groove 51 may be formed in the fixing body 50 by extending in at least two directions. Accordingly,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in at least two or more directions in order to separate the second support bar 4 from the fixture 5 .

일 예에 있어서, 고정홈(51)은 제1 고정홈(511), 제2 고정홈(512), 및 제3 고정홈(513)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fixing groove 51 may include a first fixing groove 511 , a second fixing groove 512 , and a third fixing groove 513 .

제1 고정홈(511)은 고정부재(42)의 삽입이 시작되는 부분이다. 제1 고정홈(511)은 제1 지지봉(3)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예컨대, 제1 고정홈(51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홈(511)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groove 511 is a portion where the insertion of the fixing member 42 starts. The first fixing groove 511 extend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3 extends.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groove 51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fixing groove 511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제2 고정홈(512)은 제1 고정홈(511)에 연통된다. 제2 고정홈(512)은 제1 고정홈(511)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제2 고정홈(512)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고정홈(512)은 제1 고정홈(511)과 제2 고정홈(512) 각각에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communicates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fixing groove 511 extends.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may communicate with each of the first fixing groove 511 and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

제3 고정홈(513)은 제2 고정홈(512)에 연통된다. 제3 고정홈(513)은 제2 고정홈(512)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예컨대, 제3 고정홈(51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고정홈(513)은 제1 고정홈(5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fixing groove 513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 The third fixing groove 513 exten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512 extends. For example, the third fixing groove 513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ird fixing groove 513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10)에 있어서, 고정면(50a)은 제3 고정홈(513)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면(50a)은 고정본체(5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2)가 제3 고정홈(513)에 위치한 경우, 제2 지지봉(4)은 고정면(50a)에 지지되어서 고정대(5)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없다. 고정부재(42)가 제1 고정홈(511)에 위치한 경우, 제2 지지봉(4)은 고정대(5)로부터 쉽게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I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urface 50a is disposed to face the third fixing groove 513 . The fixing surface 50a may be formed on the fixing body 50 . When the fixing member 42 is located in the third fixing groove 513 , the second support rod 4 is supported by the fixing surface 50a and cannot be separated upwardly from the fixing table 5 . When the fixing member 42 is located in the first fixing groove 511 , the second support rod 4 can be easily separated upwardly from the fixing table 5 .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an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2 : 고리
3 : 제1 지지봉 4 : 제2 지지봉
5 : 고정대 20 : 고리본체
2a : 걸림공 21 : 회전본체
30 : 제1 본체 31 : 상부돌출기구
32 : 하부돌출기구 40 : 제2 본체
41 : 삽입홈 42 : 고정부재
50 : 고정본체 50a : 고정면
51 : 고정홈 52 : 탄성체
411 : 제1 삽입홈 412 : 제2 삽입홈
413 : 제3 삽입홈 511 : 제1 고정홈
512 : 제2 고정홈 513 : 제3 고정홈
21a : 제1 회전본체 21b : 제2 회전본체
40a : 제1 지지면 40b : 제2 지지면
1: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2: hook
3: first support bar 4: second support bar
5: fixed base 20: ring body
2a: locking hole 21: rotating body
30: first body 31: upper protrusion mechanism
32: lower protrusion mechanism 40: second body
41: insertion groove 42: fixing member
50: fixed body 50a: fixed surface
51: fixing groove 52: elastic body
411: first insertion groove 412: second insertion groove
413: third insertion groove 511: first fixing groove
512: second fixing groove 513: third fixing groove
21a: first rotating body 21b: second rotating body
40a: first support surface 40b: second support surface

Claims (18)

라이프라인이 삽입되는 걸림공을 갖는 고리;
상기 고리가 결합된 제1 지지봉;
상기 제1 지지봉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지지봉; 및
상기 제2 지지봉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지지봉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본체; 및
상기 고정본체에 형성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의 내부에 배치된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 ring having a locking hole into which the lifeline is inserted;
a first support rod to which the ring is coupled;
a second support rod on which the first support rod is movable; and
a fixing rod extend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ro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the second support rod being detachably coupled;
the fixture
a fixed bod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and
and a fix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ody into which a fixing member disposed inside the second support rod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 또는 상기 제2 지지봉 중에서 어느 하나는 나머지 하나에 대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Any one of the first support rod or the second support rod is a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with respect to the other 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본체, 상기 제1 본체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돌출기구,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돌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와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rod includes a first bod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rod, an upper projecting mechanism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and a lower projecting mechanism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support bar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and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are inser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2 위치 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upport bar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y disposed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상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1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돌출기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제2 위치에서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upport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upp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movement is restric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lower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movement is restricted at the second position.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기구 및 상기 하부돌출기구는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본체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projecting mechanism and the lower projecting mechanism are elastically movable and coupled to the first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to be rotatably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bar is extended as a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과 상기 제2 지지봉 각각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ring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each of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된 고리 및 상기 제2 지지봉에 결합된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ing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ring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bar extends as a rotation axi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제2 지지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rod is disposed inside the fixing body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support rod. Lifeline support rod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상기 고정본체에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groove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fixing body in at least two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지지봉이 연장된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제2 고정홈을 향하는 고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extends, and a second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second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irst direction,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dy is formed with a fixing surface facing the second fix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공은 상기 라이프라인의 삽입이 시작되는 개구부가 상방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hole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lifeline starts is opened upw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회전본체;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봉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본체에 연결된 제2 회전본체; 및
상기 제1 회전본체와 상기 제2 회전본체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ing is
a first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rod to be rotatably rotatable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ing rod is extended as a rotation axis, and dispos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rod;
a second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ing rod and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ng body to be rotatably rotatable with the first supporting rod extending in an extended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and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omprising a;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first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ng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봉은 상기 제2 지지봉에 삽입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봉은 상기 제1 본체가 삽입되는 제2 본체, 및 상기 돌출기구가 삽입되되 적어도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본체에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bar includes a first body inserted into the second support bar, and a protruding mechanism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The second support bar is a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including a second body into which the first body is inserted, and an insertion groove extending in at least two directions into which the protrusion mechanism is inserted and formed in the second body.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기구의 삽입이 시작되고 상기 제1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삽입홈, 상기 제1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1 삽입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3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에는 상기 제3 삽입홈을 향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지지면 및 제2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insertion groove is a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mechanism is started and the first support rod extends, the insertion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sertion groove extends a second insertion groove extending, and a third inser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groove extends,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ody is formed with a first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support surface facing each other facing the third insertion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지지봉이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고정홈, 상기 제1 고정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1 고정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에 연통되고 상기 제2 고정홈이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3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본체에는 상기 제3 고정홈을 향하는 고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프라인 지지봉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groove includes a first fixing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upport rod extends, a second fix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fix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groove, and the and a third fixing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fix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fixing groove extends,
The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dy is formed with a fixing surface facing the third fixing groove.
KR1020210145689A 2021-10-28 2021-10-28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KR102435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89A KR102435645B1 (en) 2021-10-28 2021-10-28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89A KR102435645B1 (en) 2021-10-28 2021-10-28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645B1 true KR102435645B1 (en) 2022-08-24

Family

ID=8311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89A KR102435645B1 (en) 2021-10-28 2021-10-28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64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690U (en) * 2013-04-26 201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am support apparatus
KR20150120263A (en) * 2014-04-17 2015-10-27 백윤서 Automatically spread supports
KR20160009206A (en) * 2014-07-15 2016-01-2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Stanchion of ship
KR20170021144A (en) * 2015-08-17 2017-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fe line stanchion of container ship and life line stanchion with sh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5690U (en) * 2013-04-26 201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Ram support apparatus
KR20150120263A (en) * 2014-04-17 2015-10-27 백윤서 Automatically spread supports
KR20160009206A (en) * 2014-07-15 2016-01-26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Stanchion of ship
KR20170021144A (en) * 2015-08-17 2017-02-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ife line stanchion of container ship and life line stanchion with s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6377B2 (en) Combined outrigger holder and fishing rod holder
US7802506B2 (en) Upper tool device and punch therefor
US5445102A (en) Fishing boat outrigger devices
CA2326918A1 (en) Vibration-damping detachable connection arrangement for two components with a rotating bolt, a retaining spring and a vibration-damping ring
NZ738275A (en) Rotatable fishing rod holder
KR102435645B1 (en) Lifeline support bar assembly with height adjustment and detachment function
US20180212211A1 (en) Handheld gimbal and battery cover tightening mechanism therof
RU2409499C2 (en) Light load-lifting appliance for underwater equipment
CN114248232B (en) Frock is used in downthehole O type circle assembly of part
EP1004541B1 (en) Swivel post latch system for bearing block
KR101698976B1 (en) Turn-over apparatus for propeller
JP6579988B2 (en) Rod holder
JP4875995B2 (en) Locking device and lid device
CN209817650U (en) Locking device
CN210359480U (en) Connection structure and elbow subassembly
US10328998B2 (en) Dinghy support arrangement
KR20170011643A (en) Turn-over method of heavy material
CN210068733U (en) Suspension ball head structure
KR200475145Y1 (en) Hoisting Clamp for Gas turbine TopHat
US5076521A (en) Load platform for telescopic hoist
KR101985240B1 (en) Bearing structure
US7267073B1 (en) Wind direction indicator
KR101985226B1 (en) Bearing structure
JPH0212160Y2 (en)
CN212683679U (en) Multi-station automatic clamp for long beam of air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