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290B1 -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290B1
KR102435290B1 KR1020200071972A KR20200071972A KR102435290B1 KR 102435290 B1 KR102435290 B1 KR 102435290B1 KR 1020200071972 A KR1020200071972 A KR 1020200071972A KR 20200071972 A KR20200071972 A KR 20200071972A KR 102435290 B1 KR102435290 B1 KR 102435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fc
information
moun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3186A (ko
Inventor
전금옥
Original Assignee
전금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220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01701A/ko
Application filed by 전금옥 filed Critical 전금옥
Priority to KR1020200071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2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재난재해시 정보안내, 시설물관리, 인명구조, 안전조치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으로서,
스마트단말기(n4)는,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 을 통하여 NFC마커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NFC인식부를 갖추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은 단일 주파수의 반송 주파수를 이용하며,
NFC마커는, 보안등번호찰, 전주번호찰, 가로등번호찰 및 국가지점번호판에 제공되는 표지판(n2)에 설치되고, 하우징(100)과 본체(200)와 NFC(300)를 포함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을 통하여 스마트단말기(n4)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관련정보는 표지판 정보, 지도와 지명, 특정 거점과 지점의 위치정보, 이동방향, 피난정보, 응급처치방법, 신고전화번호 및 인터넷주소를 포함하고,
하우징(100)은, 충격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부재로 제공되며, 낙수에 대한 방수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하나의 몸체로 제공되며,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이며 내부가 빈 얇은 박스 형태를 취하고, 하우징전면(110)과 하우징배면(120)과 상면과 측면(130)이 함께 내부를 폐쇄하도록 막혀있고, 하면은 개구되고,
하우징전면(110)에는 QR코드 또는 AR마커로 제공되는 보조정보안내표지(111)가 부착되고, 하우징배면(120)은 표지판(n2)의 앞면 지정된 위치에 부착되고,
본체(200)는, 탄성접촉력이 큰 우레탄 또는 고무 부재로 제공되며, 하부에 뭉치형태를 취하는 거치판고정부(210) 와 상부에 거치판고정부(21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판상의 NFC거치판(220)을 포함하고,
거치판고정부(210)의 외면 형태는 하우징(100)의 하우징하부내면(140)의 형태에 대응되어서 긴밀히 끼워져 고정되고,
NFC거치판(220)은 하우징(100)에 삽입될 때 하우징(100) 내면과 이격상태가 유지되어서, 하우징(100)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이 내부의 NFC(300)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구성되고,
NFC(300)는 본체(200)에 부착되어 관련정보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SMART-PHONE AND NFC MARKER SAFTY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재난재해시 정보안내, 시설물관리, 인명구조, 안전조치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나, 시스템 및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즉, NFC를 이용하여 전주번호찰, 가로등번호찰, 보안등번호찰, 국가지점번호판 등과 같은 표지판에 대한 관련정보를 스마트단말기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내, 제공받는 것과 관련한다.
NFC는 복잡한 설정 없이 간단하게 짧은 시간에 기기 간의 통신을 연결을 하며, 한 번의 터치만으로 데이터 정보를 통신할 수 있고, 근접거리에서 통신이 이루어져서 물리적 보안이 뛰어나다. 그리고 수동적인 RFID에 비하여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에 관한 등록특허 제1389744호(2014.04.22)가 공지되어 있다.
시설물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본체와 커버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과; 상기 본체 전면에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에 결합 설치되는 NFC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을 보호하는 보호커버와; 상기 커버 표면에 표기되는 AR 마커와; 상기 조명등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커버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본체 이면에 형성되는 호형 밀착부 및 호형 밀착면과; 상기 본체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밴드 결합공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전파(電波)가 잘 투과되는 비금속재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는, 커버 표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로 얻어진 기전력을 조명등으로 공급하고 배터리에 충전하는 충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커버 전면 일측에 형성되는 요입형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LED 조명등과; 상기 수납부 전면에 수밀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을 보호하면서 조명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국가지점번호판은, 도로명주소가 부여되지 않은 지역에서의 응급상황 발생시 이용자가 위치정보를 쉽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정보의 우선순위에 따라 중앙에는 지점번호, 상단에 명칭, 하단에는 기관별 자율적 정보를 표현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스마트단말기(n4)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다양한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QR 코드를 부착하여 지점번호판 내에 포함된 내용 외에도 인터넷주소, 지도정보, 응급처치 방법 등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특정 거점이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 위치정보를 포함한 각종 정보(피난정보, 이동방향정보, 신고전화번호, 지명, 인터넷 주소, QR 코드 등)가 표시되며, 금속판, 반사시트, 각종 표시부가 표시된 표시시트, UV차단시트 등의 다층(多層)으로 구성된 소정크기의 판넬과, 판넬 표면 상단에 위치하는 명판 표시부와, 그 하단에 위치하는 그리드 표시부, 설치 좌표 표시부 및 영문 표시부와, 그 하부의 지명 표시부와, 그 하부의 긴급/문의전화 표시부 및 전화번호 표시부 및 QR 코드 표시부로 구성되며,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 지하에 매립되는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지주 상단에 브라켓과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기(n4)와 NFC마커를 이용하여 시설물관리는 물론, 재난재해시 인명구조 및 안전조치의 정보안내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각종 지주 시설물 예컨대 통신주, 송전주, 가로등주 또는 보안등주 등에 부착되는 표지판에 NFC마커를 구성하여서, 위치와 좌표정보를 포함하여 관리에 필요한 관련정보는 물론, 조난이나 산불 등 긴급사항 발생시 대피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하고,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웹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QR코드 등이 훼손되거나, 시설물에 표기된 문자나 숫자 등이 훼손되더라도 스마트단말기(n4)를 이용하여 NFC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외부환경에 대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확실하게 수분의 침투를 막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으로서,
스마트단말기(n4)는,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 을 통하여 NFC마커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NFC인식부를 갖추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은 단일 주파수의 반송 주파수를 이용하며,
NFC마커는,
보안등번호찰, 전주번호찰, 가로등번호찰 및 국가지점번호판에 제공되는 표지판(n2)에 설치되고, 하우징(100)과 본체(200)와 NFC(300)를 포함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을 통하여 스마트단말기(n4)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관련정보는 표지판 정보, 지도와 지명, 특정 거점과 지점의 위치정보, 이동방향, 피난정보, 응급처치방법, 신고전화번호 및 인터넷주소를 포함하고,
하우징(100)은,
충격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부재로 제공되며, 낙수에 대한 방수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하나의 몸체로 제공되며,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이며 내부가 빈 얇은 박스 형태를 취하고, 하우징전면(110)과 하우징배면(120)과 상면과 측면(130)이 함께 내부를 폐쇄하도록 막혀있고, 하면은 개구되고,
하우징전면(110)에는 QR코드 또는 AR마커로 제공되는 보조정보안내표지(111)가 부착되고, 하우징배면(120)은 표지판(n2)의 앞면 지정된 위치에 부착되고,
본체(200)는,
탄성접촉력이 큰 우레탄 또는 고무 부재로 제공되며, 하부에 뭉치형태를 취하는 거치판고정부(210) 와 상부에 거치판고정부(21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판상의 NFC거치판(220)을 포함하고,
거치판고정부(210)의 외면 형태는 하우징(100)의 하우징하부내면(140)의 형태에 대응되어서 긴밀히 끼워져 고정되고,
NFC거치판(220)의 좌우폭 및 전후폭은 거치판고정부(210)의 좌우폭 및 전후폭보다 작게 취해져서, NFC거치판(220)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때 하우징(100) 내면과 이격상태가 유지되어서, 하우징(100)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이 내부의 NFC(300)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구성되고,
하우징(100) 내에 본체(200)를 고정하는 자체 잠금장치(150)가, 하우징전면(110) 및 거치판고정부(210)의 각 저부에 구비되되,
하우징(100)에는, 하우징전면(110)의 저부에 일 측을 남겨두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개부(cut1, cut2)가 형성된 잠금판(151)과, 잠금판(151)의 일 측에 하우징전면(110)이 얇게 패여서 힌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힌지(152)와, 하우징하부내면(140)에서 잠금판(151)의 내측면으로부터 하우징배면(120)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잠금핀(153)이 구성되고,
본체(200)에는, 거치판고정부(210)의 저부 전면에 잠금핀(153)에 대응하는 잠금공(250)이 천공되어 잠금핀(153)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잠금판(151)을 밖으로 열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본체(200)를 삽입한 후, 잠금판(151)을 밀어 닫으면, 잠금핀(153)이 잠금공(250)에 토션 작용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이때, 잠금핀(153)이 잠금공(250)에 원할히 끼워지도록 잠금핀(153) 측에 테이퍼가 부여되고,
NFC(300)는 본체(200)에 부착되어 관련정보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단말기(n4)와 NFC마커를 이용하여 시설물관리는 물론, 재난재해시 인명구조 및 안전조치의 정보안내를 구현하면서,
각종 지주 시설물 예컨대 통신주, 송전주, 가로등주 또는 보안등주 등에 부착되는 표지판에 NFC마커를 구성하여서, 위치와 좌표정보를 포함하여 관리에 필요한 관련정보는 물론, 조난이나 산불 등 긴급사항 발생시 대피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하고, 이동통신망이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웹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고, QR코드 등이 훼손되거나, 시설물에 표기된 문자나 숫자 등이 훼손되더라도 스마트단말기(n4)를 이용하여 NFC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고,
외부환경에 대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지며,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특히, 확실하게 수분의 침투를 막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NFC마커를 표지판에 부착하는 실시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분해된 상태 또는 조립 전의 상태 예시도.
도 5는 분해된 상태 또는 조립 전의 상태 예시도.
도 6은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사시도, 정면도, 저면도.
도 8은 분해된 상태 또는 조립 전의 상태 예시도.
도 9 A는 잠금장치를 닫기 전을 사시도 및 평단면도로 보인 상태도, 도 9 B는 상기 잠금장치를 닫은 것을 보인 상태도.
도 10은 스마트단말기(n4)로 NFC마커와 정보를 교환하는 실시를 보인 예시도.
이하, 도 3 내지 도 10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에 관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기(n4) 및 NFC(Nearr Field Communication)를 활용하여 국가지점번호판, 전주번호찰, 가로등번호찰, 보안등번호찰 등과 같은 표지판에 대한 관련정보를 스마트단말기(n4)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안내받는 장치, 시스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NFC(300)를 활용한 시스템은 국가지점번호 체계와 연계되어, 재난재해, 인명구조, 안전조치, 신고 등을 위한 정보안내를 구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재난재해 안전시스템은 크게 하우징(100); 본체(200); NFC(3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상기 NFC(300)는 근접 데이터 전송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단일 주파수의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이용하여 스마트단말기(n4)와 근접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며, 상기 반송 주파수는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근접 통신은 수 10cm 이내에서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이지만 접촉하여 행하는 통신도 포함된다. 상기 NFC(300)의 몸체는 송수신되는 RF 신호가 전파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하고 질긴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며, 비금속재질의 하우징(100)을 통하여 10cm 이내의 거리에서 태그에 포함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근접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이 가능하다.
사용에 있어서는, 전주(n3) 등의 표지판(n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재난재해 안전시스템에 스마트단말기(n4)를 근접시키면, 정보안내장치의 NFC(300)와 스마트단말기(n4)의 NFC인식부가 서로 통신하면서 상세히 관련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NFC(300)는 스마트단말기(n4)의 NFC인식부를 통하여 인식할 수 있게 구성되는 바, 이와 관련하여서는 통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을 인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한다.
구성에 있어서 NFC마커는 크게 하우징(100); 본체(200); NFC(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정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취하는 앞뒤로 얇은 박스 형태로서 그 내부가 비어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전후면, 상면, 측면(130)이 내부를 폐쇄하도록 막혀있고 단지, 하면만이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빗물과 같이 중력에 의한 낙수에 효과적으로 방수를 보장한다. 즉, 중력에 의해 수분은 하방으로 낙하하므로 수분 침투의 가능성이 매우 적다. 또한, 조립에 의한 구성이 아닌 하나의 몸체로 제조되므로 외부충격에 대해서도 버팀성이 좋아서 내부 구조물을 잘 보호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이 유리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상기 하우징(100)은 충격에 강하고, 외풍 등에 대한 내식성이 뛰어나며, NFC(300)의 전파가 잘 투과되는 플라스틱, 비닐,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등 비금속재로 구성하여 스마트단말기(n4)와 NFC(300) 간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00)의 앞면 즉, 하우징전면(110)에는 QR코드 또는 AR마커(Augmented Reality Mark)와 같은 보조정보안내표지(111)를 부착하거나 인쇄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뒷면 즉, 하우징배면(120)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강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표지판(n2)의 앞면 지정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 또는 고정나사 등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재난재해 안전시스템(n1)은 상기 표지판(n2)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본체(200)는 그 하부에 뭉치형태를 취하는 거치판고정부(210)와 그 상부의 판상의 형태를 취하는 NFC거치판(22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판고정부(210)의 외면 측면은 상기 하우징(100) 하부의 내면 즉, 하우징하부내면(140)의 형태에 긴밀히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거치판고정부(21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내부에 긴밀히 접촉하면서 끼워지는 방법으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외부의 수분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진행하거나 스며드는는 것을 막도록 긴밀하게 수밀(水密)을 유지하여 수분침투로 인한 회로고장이나 수명단축을 방지한다. 이때, 더욱 수밀 상태를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하부내면(140)과 상기 본체(200)의 하부외면 사이에 오링 또는 패킹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을 확고히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도면에는 예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와 상기 거치판고정부(210)에 각각 고정공을 형성하고 고정나사로 일시에 꿰어 조이거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할 수 있다.
상기 NFC거치판(220)은 판(board) 형태를 취하고 상기 거치판고정부(210)로부터 위로 연장되도록 판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NFC거치판(220)의 좌우폭, 전후폭(t2)은 상기 거치판고정부(210)의 좌우폭, 전후폭(t1)보다 작게 취해서(t2 < t1) 상기 NFC거치판(220)이 상기 하우징(100)에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내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한다.
상기 하우징(100) 상부의 내면과 상기 NFC거치판(220) 외부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발생한다. 상기 이격 공간은 일종의 완충구간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더라도 그 내부의 본체(200) 특히, NFC(300)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NFC(300)의 크기, 형태가 제작업체에 따라 다소 다르거나 크더라도 이를 수용할 공간을 확보하여 준다. 도 6을 참조한다.
상기 NFC거치판(220)의 전면에는 상기 NFC(300)의 둘레에 대응하는 형태, 크기로 함몰된 요홈 형태의 NFC거치요홈(2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NFC(300)를 상기 NFC거치요홈(230)에 끼워 고정시켜 상기 NFC(300)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 또한, 상기 NFC(300)의 크기, 형태가 제작업체에 따라 다소 다르거나 크더라도 이를 수용할 공간을 추가하여 확보하여 준다. 도 4를 참조한다.
도시가 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200)의 거치판고정부(210) 저면에는 밑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를 형성하여서,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본체(200)가 조립된 이후에 유지보수 등 필요에 따라 상기 손잡이를 잡고 분리해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부재로는 플라스틱, 비닐과 같은 합성수지, 금속재, 고무, 우레탄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FC(300)를 잘 끼움고정하기 위하여 마찰력이나 탄성접촉력이 큰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살펴본다.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전면(110)의 저부(112) 및 상기 본체(200)의 거치판고정부(210)의 저부에는 상기 본체(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에 확고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밖으로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고정하는 자체 잠금장치(15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150)를 사용하면 한 몸체로 모든 구성이 하나의 금형에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고정나사를 준비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을 낮추고, 내구성 확보는 물론,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사용이 손쉽다.
상기 하우징(100)에 있어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컷팅시켜 절개된 두 개의 절개부(cut1, cut2)의 의해, 상기 하우징전면(110)의 저면에서, 일 측을 남겨두고 나머지 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잠금판(151); 상기 잠금판(151)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전면(110)의 소정구간 너비를 두께를 얇게 파는 방법(cut3)으로 굽힘이 가능하게 형성하여 힌지의 역할을 하는 잠금힌지(152); 상기 하우징(100)의 하우징하부내면(140)에서, 상기 잠금판(151)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하우징배면(120)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잠금핀(153);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에 있어서는, 도 10의 예시에서, 상기 거치판고정부(210)의 저부 전면에 상기 잠금핀(153)을 끼워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핀(153)에 대응하는 구멍 즉, 잠금공(250)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cut1, cut2) 및 상기 잠금공(250)은 금형의 슬라이더를 수단을 이용하여 일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잠금판(151)을 밖으로 잡아당겨 오픈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본체(200)를 삽입한 후, 상기 잠금판(151)을 밀어 닫게 되면 상기 잠금핀(153)이 상기 잠금공(250)에 끼워져서 매우 용이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힌지(152)를 이루는 상기 하우징(100)의 부재 특성에 의해, 상기 잠금힌지(152)의 자체 토션으로 닫힘 작용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게 도움이 될 수 있고, 닫힘 상태도 유지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한다.
더하여, 상기 잠금핀(153)이 상기 잠금공(250)에 끼워져 체결됨을 원활히 이루도록 양 측에 혹은 한 측에 테이퍼를 주거나 모깍기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시에는, 상기 잠금힌지(152)는 별도의 경첩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잠금핀(153)은 별도의 핀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NFC(300); NFC거치판(220); 본체(200); 거치판고정부(210); 스마트단말기(n4); 하우징(100); 하우징전면(110); 하우징배면(120); 잠금장치(150);

Claims (1)

  1.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단말기(n4)는,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 을 통하여 NFC마커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는 NFC인식부를 갖추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은 단일 주파수의 반송 주파수를 이용하며,
    NFC마커는,
    보안등번호찰, 전주번호찰, 가로등번호찰 및 국가지점번호판에 제공되는 표지판(n2)에 설치되고, 하우징(100)과 본체(200)와 NFC(300)를 포함하고, 무선 데이터 전송기술을 통하여 스마트단말기(n4)와 관련정보를 통신할 수 있도록 제공되며, 관련정보는 표지판 정보, 지도와 지명, 특정 거점과 지점의 위치정보, 이동방향, 피난정보, 응급처치방법, 신고전화번호 및 인터넷주소를 포함하고,
    하우징(100)은,
    충격에 강하고 내식성이 뛰어난 합성수지 부재로 제공되며, 낙수에 대한 방수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조물을 보호하도록 하나의 몸체로 제공되며, 정면에서 보아 사각형상이며 내부가 빈 얇은 박스 형태를 취하고, 하우징전면(110)과 하우징배면(120)과 상면과 측면(130)이 함께 내부를 폐쇄하도록 막혀있고, 하면은 개구되고,
    하우징전면(110)에는 QR코드 또는 AR마커로 제공되는 보조정보안내표지(111)가 부착되고, 하우징배면(120)은 표지판(n2)의 앞면 지정된 위치에 부착되고,
    본체(200)는,
    탄성접촉력이 큰 우레탄 또는 고무 부재로 제공되며, 하부에 뭉치형태를 취하는 거치판고정부(210) 와 상부에 거치판고정부(21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판상의 NFC거치판(220)을 포함하고,
    거치판고정부(210)의 외면 형태는 하우징(100)의 하우징하부내면(140)의 형태에 대응되어서 긴밀히 끼워져 고정되고,
    NFC거치판(220)의 좌우폭 및 전후폭은 거치판고정부(210)의 좌우폭 및 전후폭보다 작게 취해져서, NFC거치판(220)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때 하우징(100) 내면과 이격상태가 유지되어서, 하우징(100)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이 내부의 NFC(300)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구성되고,
    하우징(100) 내에 본체(200)를 고정하는 자체 잠금장치(150)가, 하우징전면(110) 및 거치판고정부(210)의 각 저부에 구비되되,
    하우징(100)에는, 하우징전면(110)의 저부에 일 측을 남겨두고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절개부(cut1, cut2)가 형성된 잠금판(151)과, 잠금판(151)의 일 측에 하우징전면(110)이 얇게 패여서 힌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잠금힌지(152)와, 하우징하부내면(140)에서 잠금판(151)의 내측면으로부터 하우징배면(120) 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잠금핀(153)이 구성되고,
    본체(200)에는, 거치판고정부(210)의 저부 전면에 잠금핀(153)에 대응하는 잠금공(250)이 천공되어 잠금핀(153)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잠금판(151)을 밖으로 열고, 하우징(100)의 내부에 본체(200)를 삽입한 후, 잠금판(151)을 밀어 닫으면, 잠금핀(153)이 잠금공(250)에 토션 작용으로 끼워져 고정되고 이때, 잠금핀(153)이 잠금공(250)에 원할히 끼워지도록 잠금핀(153) 측에 테이퍼가 부여되고,
    NFC(300)는 본체(200)에 부착되어 관련정보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20200071972A 2018-02-23 2020-06-15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10243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972A KR102435290B1 (ko) 2018-02-23 2020-06-15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021A KR20190101701A (ko) 2018-02-23 2018-02-23 재난구조를 위한 nfc 시스템 마커
KR1020200071972A KR102435290B1 (ko) 2018-02-23 2020-06-15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021A Division KR20190101701A (ko) 2018-02-23 2018-02-23 재난구조를 위한 nfc 시스템 마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86A KR20200073186A (ko) 2020-06-23
KR102435290B1 true KR102435290B1 (ko) 2022-08-23

Family

ID=8309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972A KR102435290B1 (ko) 2018-02-23 2020-06-15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2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44B1 (ko) 2013-09-24 2014-04-28 주식회사 윤성지엠텍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744B1 (ko) 2013-09-24 2014-04-28 주식회사 윤성지엠텍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86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744B1 (ko) Nfc와 ar 마커를 이용한 정보안내장치
US9411370B2 (en) Human-machine dialog system
US20060006221A1 (en) Media converter RFID security tag
KR20170015902A (ko) 웨어러블 전자 디바이스를 위한 배터리 컴파트먼트들
US7956743B2 (en) Dual communication fob assembly comprising an insert within a base
US20160169713A1 (en) Wireless temperature and/or humidity sensor assembly
RU2698841C2 (ru) Электронный ценник и аккумуляторный блок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ценника
KR101963453B1 (ko) Nfc를 이용한 국가지점번호 마커
KR20170095090A (ko) 어망 감시용 전자 부이
KR101897812B1 (ko) Nfc를 이용한 재난재해안전마커 시스템
KR102435290B1 (ko) 스마트단말기와 nfc마커를 활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KR20140130530A (ko) 차량용 휴대기
CN205283994U (zh) 防水壳体及应用其的宠物跟踪器
KR102217664B1 (ko) 스마트폰과 nfc마커를 이용하여 시설물관리, 및 재난재해시 인명구조 및 안전조치의 정보안내를 구현하는 시스템
KR102163801B1 (ko) 스마트폰 재난재해 안전시스템
KR20190101701A (ko) 재난구조를 위한 nfc 시스템 마커
CN210881457U (zh) 一种电力设备现场操作用的书写板
AU2018274415A1 (en) Identification mark fixing structure of bicycle
KR102341938B1 (ko) 스마트 인명 구조 시스템
KR200478493Y1 (ko) 스마트 안내표지판
KR20210133113A (ko) 놀이시설용 태그 리더기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기구
KR100813670B1 (ko) Rfid 태그가 부착된 건물번호판
CN210295699U (zh) 一种智能工牌
US10171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management and antenna elevation in a pit mounted automatic meter reading unit
KR200427262Y1 (ko) 알에프아이디가 부착된 건물번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