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654B1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654B1
KR102434654B1 KR1020217012130A KR20217012130A KR102434654B1 KR 102434654 B1 KR102434654 B1 KR 102434654B1 KR 1020217012130 A KR1020217012130 A KR 1020217012130A KR 20217012130 A KR20217012130 A KR 20217012130A KR 102434654 B1 KR102434654 B1 KR 10243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compression
protocol
ethernet fram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149A (ko
Inventor
치엔시 루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당 방법에는, 제1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시스템에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PDU) 세션의 유형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유형이다.
새로운 무선(New Radio,NR) 시스템에서, IP 패킷 유형을 지원할 뿐 아니라, 또한 이더넷(Ethernet) 프레임 유형을 도입한다.
어떻게 이더넷 프레임의 전송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되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통신 방법, 통신 장치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이더넷 프레임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제1 장치가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제2 장치가 제1 장치에서 온 이더넷 프레임을 취득하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에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제4 방면으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2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이 포함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3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능 모듈이 포함된다.
제7 방면으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8 방면으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2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9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제3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10 방면으로, 칩을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3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칩에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해당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3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제11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3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3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3 방면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내지 제3 방면 중의 어느 한 방면 또는 그 각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여, 이더넷 프레임의 전송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전송할 때,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여, 전송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일 프레임 포맷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일 프레임 포맷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다른 일 프레임 포맷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피드백 프레임의 예시적 도면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칩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단말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110)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12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예를 들면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 유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예를 들면 DVB-H 네트워크 등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 다른 단말 장치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단말”,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이라 불린다. 이동 단말의 예시에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기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통합시킨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기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달력 및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일반적인 태블릿 및 핸드핼드 중의 적어도 하나인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전기 통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고, 접속 네트워크 장치(120)는 단말 장치(110)(또는 통신 단말, 단말이라 칭함)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12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속 네트워크 장치(12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한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한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교환국,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130)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130)는 5G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어, 예를 들면, 접속과 이동성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MF)은, 접속과 이동성 관리를 책임지고, 사용자에 대하여 인증, 전환, 위치 업데이트 등을 진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 예를 들면,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SMF)은, 세션 관리를 책임지고, 패킷 데이터 유닛(packet data unit,PDU) 세션의 구성, 수정, 해제 등을 포함한다. 또 예를 들면,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UPF)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을 책임진다. 여기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LTE 시스템 또는 기타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통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이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공공 지상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공 지상 네트워크는 PLMN를 기반으로 한 공공 지상 네트워크일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는 또한 로컬 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사유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고, 해당 로컬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사무 상황, 가정 상황, 공장에 배치되어, 더 유효하고 안전한 관리를 구현할 수 있어, 통상적으로 로컬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로컬 네트워크를 배치한다. 통상적으로, 허가된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는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권한을 가진다.
로컬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네트워크가 관리 또는 관할할 수 있지만, 또한 공공 지상 네트워크가 관리 또는 관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로컬 네트워크는 비허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통신을 진행할 수 있거나, 또는 공공 지상 네트워크와 허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로컬 네트워크는 3GPP 범위에 속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여기에서, 해당 로컬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는 NR 또는 LTE의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및 로컬 네트워크는 NR 접속 네트워크, LTE 접속 네트워크 또는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Wifi)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공공 지상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가 코어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지만, 접속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것이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지만, 코어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것이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가 모두 공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다수 개 또는 여러가지 로컬 네트워크가 코어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지만, 접속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것이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지만, 코어 네트워크는 독립적인 것이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 및 코어 네트워크를 공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접속 네트워크와 코어 네트워크가 모두 공용되지 않는다.
아래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사용가능한 이더넷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중의 프레임 포맷에서, 헤드 부분에는 목적 주소, 소스 주소 및 유형이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에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5G 네트워크 중에 전송되지 않는 프리앰블과 프레임 체크 시퀀스(frame check sequence,FCS) 두 부분이 존재한다. 해당 도 1에 도시된 이더넷 프레임은 Ethernet II 프레임 유형일 수 있다.
도 2 중의 프레임 포맷에서, 헤드 부분에는 목적 주소, 소스 주소 및 길이가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에는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5G 네트워크 중에 전송되지 않는 프리앰블과 FCS 두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이더넷 프레임은 IEEE 802.3 SNAP 프레임 유형일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에서, 또한 VLAN 도메인을 추가할 수 있는 바,해당 VLAN도메인은, VLAN에 관한 정보를 지시하며,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은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를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여라가지 구현 방식은 또한 이더넷 프레임을 제외한 기타 유형의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무선 통신 방법(2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20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 중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해당 방법(200)은 다운링크 전송에 적용될 수도 있고, 또한 업링크 전송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운링크 전송에 적용될 때, 제1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제2 장치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업링크 전송에 적용될 때,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일 수 있고, 제2 장치는 네트워크 측 장치(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210에서, 제1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또한 220에서, 해당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해당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제1 장치가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에는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장치는 서브 프로토콜(profile) 아이디(Identifier,ID)를 기반으로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언급한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압축 대상은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될 수 있는 것, 및 헤드 부부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해드 부분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압축 정책은 어떻게 압축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는 패키징 안전 로드 프로토콜(Encapsulating SecurityPayloads,ESP), I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UDP)과 실시 전송 프로토콜(Real-time Transport Protocol,RTP)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압축 정책에는 RFC 5225, RFC 6846, RFC 3095, RFC 481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더넷 프레임의 유형에는 전기와 전자 엔지니어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IEEE) IEEE 802.3 서비스 방문 포인트(Service Accessing point,SAP)와 Ethernet II의 프레임 유형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기타의 프레임 유형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이더넷 프레임의 구분을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로토콜 ID의 압축 대상에 대응되는 프로토콜에는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포함될 수 있고, 대응되는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의 유형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일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서브 프로토콜 ID의 압축은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것에 대응될 수도 있고, 또한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것에 대응될 수도 있어,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포함되지 않는지에 모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은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같은 제1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해당 데이터 부분과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제1 서브 프로토콜 ID의 압축 대상은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고, 또한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어, 여기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의 데이터 부분의 프로토콜에는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포함될 수 있고, 제1 서브 프로토콜 ID에 대응되는 헤드 부분의 이더넷 프레임 유형에는 하나 또는 다수 개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제1 서브 프로토콜 ID에 대응되는 헤드 부분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될 수도 있고, 또한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도 1 중의 서브 프로토콜 ID 0x0007, 0x0008, 0x0009, 0x000A, 0x000B, 0x010A, 0x010B, 0x010C, 0x010D, 0x000B, 0x000C, 0x000D, 0x000E, 0x000F, 0x0105, 0x0106, 0x0107 및 0x0108일 수 있어, 여기에서, 도 1에서, 서브 프로토콜 ID에 대응되는 데이터 부분의 프로토콜은 RTP、UDP、ESP와 IP 등이고, 만일 대응된 것은 다수 개이라면, 다수 개의 프로토콜의 데이터 부분(헤드 부분도 서브 프로토콜 ID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함)은 대응되는 압축 정책에 따라 압축을 진행하는 것으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VLAN/Ethernet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이더넷 프레임을 표시하고, Ethernet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이더넷 프레임을 표시한다.
Figure 112021047489436-pct00001
위에서는 같은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또한 서로 다른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각각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VLAN가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면, 위에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프로토콜 ID0x0001, 0x0002, 0x0003, 0x0004, 0x0006, 0x0101, 0x0102, 0x0103, 0x0104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3 서브 프로토콜 ID라고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압축 대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또한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중의 각 프로토콜의 이더넷 프레임은 모두 대응되는 압축 정책에 따라 압축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아래 표2에 도시된 바와 같이, 0x0105, 0x0106, 0x0007, 0x0008, 0x0009와 0x000A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제2 프로필 ID라고 이해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VLAN/Ethernet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이더넷 프레임을 표시하고, Ethernet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이더넷 프레임을 표시한다.
Figure 112021047489436-pct00002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르며; 및 서로 다른 포맷의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면, 포맷1에 있어서,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는 ID1일 수 있고, 포맷2에 있어서,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는 ID2일 수 있고, ID1은 ID2와 서로 다를 수 있다. 포맷1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는 ID3일 수 있고, 포맷2에 있어서,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는 ID4일 수 있고, ID3은 ID4와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에서, ID1은 ID3와 같을 수 있고, 또한 ID3와 같지 않을 수도 있거나, 또는 ID2는 ID4와 같을 수 있고, 또한 ID4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술 표1 및 표2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 압축 대상 중에 VLAN/Ethernet 또는 Ethernet가 포함되는 내용을 필연코를 진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Ethernet 프레임 포맷에 있어서, 각각 전용 서브 프로토콜 ID, 및 대응되는 헤드 압축 정책을 정의한다.
예를 들면, 표2에 대하여 필연코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서브 프로토콜 ID에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이 포함될 수 있고 압축 대상은 프레임 포맷을 지시할 수 있어, 만일 압축 대상이 지시한 것은 포레임 포맷이라면, 해당 프레임 포맷의 프레임의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3에서, 각 서브 프로토콜 ID의 압축 대상은 서로 다른 이더넷 프레임의 포레임 포맷과 압축 정책을 지시한다. 여기에서,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모두 압축을 진행하며, 압축이 이용하는 정책은 해당 서브 프로토콜 ID에 대응되는 압축 정책이다.
Figure 112021047489436-pct00003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이고,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및,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과 같을 수 있다. 또는,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과 서로 다른다.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선택적으로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PDU) 계층 및 제5 세대 통신 시스템(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된 서브 계층이다.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은 선택적으로 PDCP 계층, PDU 계층 또는 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일 때, 해당 제1 장치는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제1 신호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1 신호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오고, 해당 제1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신호이고, 또는 제1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일 때, 해당 제1 장치는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제2 신호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2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리포팅하는 바, 해당 압축 능력에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해당 압축 능력은 각각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지시한다.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에는 선택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포함되며; 또는, 가상 근거리 통신망(Virtual Local Area Network,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위에서는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인 상황을 설명하였고, 아래는 각각 제1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인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이다.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지만, 해당 데이터 부분을 압축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UPF) 실체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다.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할 수 있지만, 해당 헤드 부분을 압축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여기에서, 만일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 부분의 압축을 진행하지 않으면,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헤드 부분의 압축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만일 제1 장치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면, 또한 단말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고,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할 수 있다. 해당 서브 프로토콜 ID는 단말 장치가 업링크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고, 또한 다운링크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접속 네트워크 계층이 압축한 것은 데이터 부분이라면, 해당 신호가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한다. 여기에서,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가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만일 접속 네트워크 계층이 압축한 것은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이라면, 해당 신호는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한다.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헤드 부분을 압축할 수 있지만, 데이터 부분을 압축하지 않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장치가 해당 이더넷 프레임을 수신한 후,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압축 풀기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다(예를 들면, PDCP Control PDU for interspersed ROHC feedback를 피드백함). 해당 압축 풀기 결과는 선택적으로 압축 풀기가 성공하는지 여부를 피드백할 수 있다. 해당 압축 풀기 결과는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SN)의 패킷 압축 풀기 상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제2 장치가 압축 풀기를 한 것은 데이터 부분이라면,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풀기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으며; 만일 제2 장치가 압축 풀기를 한 것은 헤드 부분이라면,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풀기 결과를 피드백할 수 있으며; 만일 제2 장치가 압축 풀기를 한 것은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이라면, 이더넷 프레임의 전체에 대하여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만일 단지 헤드 부분의 압축 풀기만 성공하지 않으면,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풀기가 성공하지 않다고 피드백할 수 있고, 또는 제2 장치가 각 부분에 대하여 단독적인 피드백을 진행할 수 있어, 예를 들면, 헤드 부분의 압축 풀기가 성공하지 않으면, 헤드 부분의 압축 풀기가 성공하지 않다고 피드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피드백 결과가 피드백 프레임에 베어링될 수 있는 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대응한 것은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부분의 적어도 일부의 피드백이다.
예를 들면, 해당 적어도 일부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가변적 부분(예를 들면, VLAN 도메인, 길이와 유형 도메인 등), 및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정적 부분(예를 들면, 소스 주소와 목적 부분 등) 중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면, 해당 적어도 일부에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하는 상황 하에서, 만일 피드백 프레임은 적어도 일부가 압축 풀기에 성공하지 않다고 지시하면, 제1 장치는 해당 적어도 일부를 재전송하고, 또는 해당 적어도 일부가 속한 헤드 부분을 재전송하고, 또는 해당 적어도 일부가 속한 데이터 부분을 재전송하고, 또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하는 상황 하에서, 만일 피드백 프레임은 적어도 일부가 압축 풀기에 성공하지 않다고 지시하면, 제1 장치는 압축 상태 기계 이전을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만일 이전이 필요하면, 더 신뢰성이 있는 압축 상태 기계를 이용하여 헤드 압축을 진행한다. 상응한 압축 풀기단은 대응되는 압축 풀기 상태 기계에 따라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장치가 피드백 프레임을 생성할 때,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헤드 부분 아니면 데이터 부분인지 구분할 수 있는 피드백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장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한 후,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할 수 있으면, 상응하게 재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피드백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 및 해당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토콜 I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제1 장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 포맷 한 가지는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헤드 부분인을 지시할 수 있고, 프레임 포맷 다른 한 가지는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데이터 부분인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드백 프레임에서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될 수 있어, 해당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제1 장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대하는 것은 데이터 부분인지 또는 헤드 부분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사전 예약한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 중의 PDU 유형 도메인 중의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해당 제1 장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여기에서, 사전 예약한 비트를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원래 사전 예약한 비트(R)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헤드 부분인지 또한 데이터 부분인지를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한 값을 포함하는 것은 헤드 부분이고, 일정한 값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 부분일 수 있으며, 또는 일정한 값을 포함하는 것은 데이터 부분이고, 일정한 값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헤드 부분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은 헤드 부분이고, 다른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은 데이터 부분이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PDU 유형 도메인에서 또한 일부 비트가 존재할 수 있고,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로 한다. 예를 들면, 해당 일부 비트가 일정한 값을 포함하는 것은 헤드 부분일 수 있고, 일정한 값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데이터 부분이며, 또는 일정한 값을 포함하는 것은 데이터 부분이고, 일정한 값을 포함하지 않는 것은 헤드 부분이다. 또는,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은 헤드 부분이고, 다른 하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은 데이터 부분이다.
여기에서, 피드백 프레임은 유포한 ROHC 피드백 프레임(interspersed ROHC(Robust Header Compression, 강인성 패킷 헤드 압축) feedback)이라고 칭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압축의 과정에서, SN(예를 들면, 16비트)를 생산할 수 있는 바, SN의 초기 값은 0일 수 있고, 하나의 패킷을 취득할 때마다, SN 값에 1를 더하고, 또는 해당 SN이 값을 가질 때, 데이터 도메인의 SN와 같은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헤드 부분에 대한 피드백 프레임 프레임 중에, 헤드 부분 중의 SN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에 대한 피드백 프레임 중에, 데이터 부분의 S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무선 통신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해당 방법(30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 중의 적어도 일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310에서, 제2 장치는 제1 장치에서 온 이더넷 프레임을 취득한다.
320에서, 해당 제2 장치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장치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같은 제1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해당 데이터 부분과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며;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르며; 및 서로 다른 포맷의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 가 서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이고, 해당 단말 장치는 제1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아혀 압축 풀기를 진행하며; 및,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여기에서,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압축단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또한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 부분은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압축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은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압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은 모두 코어 네트워크 장치가 압축할 수 있고, 또한 모두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압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과 같다. 또는,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과 서로 다른다.
해당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선택적으로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계층 또는 제5세대 통신 시스템(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2 프로토콜 계층은 PDCP 계층, PDU 계층 또는 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장치가 단말 장치이고, 단말 장치가 제1 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제1 신호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1 신호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장치가 단말 장치이고, 단말 장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며, 해당 제2 신호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2 신호는 선택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이다.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지만, 해당 데이터 부분을 압축 풀기를 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여기에서, 해당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선택적으로 사용자 평면 기능(UPF) 실체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1 장치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지만, 해당 헤드 부분을 압축 풀기를 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접속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피드백 프레임을 송신하는 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은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다.
여기에서, 해당 적어도 일부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가변적 부분, 및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정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제2 장치는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하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을 생성한다.
일 구현 방식에서, 해당 피드백 프레임은 해당 피드백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 및 해당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토콜 I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해당 피드백 프레임은 선택적으로 해당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사전 예약한 비트를 통하거나, 또는 해당 피드백 프레임 중의 PDU 유형 도메인 중의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를 통하여, 해당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선택적으로, 하나의 장치에 있어서,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데 이용하는 ID는, 이가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압축을 진행하면, 이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압축 풀기를 진행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의 압축을 진행하면, 이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의 압축 풀기를 진행할 수 있다. 만일 하나의 장치가 하나의 프레임의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의 압축을 진행하면, 이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의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의 압축 풀기를 진행할 수 있다.
방법(300)은 압축 풀기단에 적용되고, 방법(200)은 압축단에 적용되는 바, 해당 압축 풀기단에 관한 설명은 방법(200) 중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무선 통신 방법(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해당 방법(400)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 중의 적어도 부분 내용이 포함된다.
410에서,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해당 구성 정보에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정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구성 정보에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 및, 기타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압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기타의 상기 압축 또는 압축 풀기의 압축 구성 파라미터에는
압축 중에서 사용하는 제일 큰 컨텍스트(context) ID를 지시하며;
압축 중에서 사용하는 컨텍스트 ID의 범위(range)를 확정하며;
단지 업링크에 대하여 압축을 진해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구성 정보에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바,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과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데 이용된다.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선택적으로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해당 데이터 부분과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구성 정보에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것, 및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여기에서,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 중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해당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수신할 수 있는 바, 해당 압축 능력에 해당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되며; 해당 압축 능력을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압축 능력은 각각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에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에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포함되며;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아래는 도 9 내지 도 11을 결합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를 설명할 것이며, 방법 실시예가 설명한 기술 특징은 다음과 같은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9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장치(900)에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처리 유닛(910);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통신 유닛(9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같은 제1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헤드 부분과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해당 데이터 부분과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헤드 부분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VLAN가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해당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르며; 및 서로 다른 포맷의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제1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및 제2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제2 프로토콜 계층과 같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제2 프로토콜 계층과 서로 다른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계층 또는 제5세대 통신 시스템(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프로토콜 계층은 PDCP 계층, PDU 계층 또는 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900)는 단말 장치이고, 통신 유닛(920)은 또한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제1 신호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신호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900)가 단말 장치이고, 통신 유닛(920)은 또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바, 제2 신호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900)가 단말 장치이고, 통신 유닛(920)은 또한,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리포팅하는 바, 압축 능력에는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압축 능력은 각각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에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에는,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포함되며;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900)가 코어 네트워크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지만, 해당 데이터 부분을 압축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 실체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900)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지만, 해당 헤드 부분을 압축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920)은 또한, 단말 장치로 제3 신호를 송신하는 바, 제3 신호는 해당 헤드 부분 및 해당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920)은 또한, 이더넷 프레임의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하는 바, 피드백 프레임은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적어도 일부는 이더넷 프레임의 가변적 부분, 및 이더넷 프레임의 정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또한,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피드백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 및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토콜 ID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910)은 구체적으로,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사전 예약한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피드백 프레임 중의 PDU 유형 도메인 중의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해당 단말 장치(900)는 방법(200) 중의 제1 장치에 적용될 수 있어, 해당 방법(200) 중의 제1 장치의 상응한 조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한 통신 장치(10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장치(1000)에는
제1 장치에서 온 이더넷 프레임을 취득하는 처리 유닛(1010)이 포함된다.
처리 유닛(1010)은 또한,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같은 제1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해당 데이터 부분과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며; 해당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해당 헤드 부분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해당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해당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포맷의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르며; 및 서로 다른 포맷의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0)는 단말 장치이고,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제1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며; 및 제2 프로토콜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제2 프로토콜 계층과 같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제2 프로토콜 계층과 서로 다른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계층 또는 제5 세대 통신 시스템(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프로토콜 계층은 PDCP 계층, PDU 계층 또는 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1000)는 단말 장치이고, 통신 장치(100)에는 또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바, 제1 신호는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유닛(10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신호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오고, 제1 신호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이며; 또는, 제1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1000)가 단말 장치이고, 통신 장치(1000)에는 또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바, 제2 신호는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통신 유닛(10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온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1000)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지만,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장치는 사용자 평면 기능(UPF) 실체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통신 장치(1000)가 접속 네트워크 장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구체적으로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지만, 해당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지 않으며; 또는, 해당 헤드 부분과 해당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0)에는 또한, 이더넷 프레임의 피드백 프레임을 송신하는 바, 피드백 프레임은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피드백인 통신 유닛(10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는 이더넷 프레임의 가변적 부분, 및 이더넷 프레임의 정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1010)은 또한,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하는 피드백 프레임을 생성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피드백 프레임은 피드백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 및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토콜 ID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피드백 프레임은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사전 예약한 비트를 통하거나, 또는 피드백 프레임 중의 PDU 유형 도메인 중의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를 통하여,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인지 아니면 헤드 부분인지 구분한다.
해당 통신 장치(1000)는 방법(300) 중의 제2 장치에 대응될 수 있어, 해당 방법(300) 중의 제2 장치의 상응한 조작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1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0)에는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구성 정보에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유닛(111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에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 및, 기타의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압축 구성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에는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바,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과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여기에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데이터 부분과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헤드 부분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구성 정보에는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것, 및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헤드 부분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통신 유닛(1110)은 또한,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수신하는 바, 압축 능력에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되며;
통신 유닛(1110)은 구체적으로, 압축 능력을 기반으로,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압축 능력은 각각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과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에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포함되며;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된다.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0)는 방법(400)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대응될 수 있어, 해당 방법(400)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상응한 조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장치(12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통신 장치(1200)에는 프로세서(12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12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200)에는 또한 기억장치(12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210)는 기억장치(12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1220)는 프로세서(1210)에 대하여 독립된 한 단독의 소자일 수도 있고, 또한 프로세서(12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200)에는 또한 송수신기(1230)가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1210)는 해당 송수신기(1230)가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송수신기(1230)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기(1230)에는 또한 나아가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1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2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통신 장치(12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칩(1300)에는 프로세서(13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13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1300)에는 또한 기억장치(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310)는 기억장치(13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억장치(1320)는 프로세서(1310)에 대하여 독립된 한 단독의 소자일 수도 있고, 또한 프로세서(13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13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133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3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133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13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134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세서(13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1340)가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1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1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2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2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어,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럭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성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인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14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1400)에는 통신 장치(11410)과 통신 장치(21420)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해당 통신 장치(11410)는 상기 방법 중의 제1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해당 통신 장치(21420)는 상기 방법 중의 제2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1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1500)에는 단말(1510)과 네트워크 장치(1520)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해당 네트워크 장치(1520)는 상기 방법(4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제1 단말 장치 또는 제2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의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하거나 토론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하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한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된다.
상술한 것은, 단지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일 뿐,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에 개시된 보호 범위안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어, 이는 본 출원의 보호범위안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145)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장치는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상기 제1 장치는 제2 장치로 압축한 후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세션 관리 기능(SMF)이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SMF로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리포팅하는 바, 상기 압축 능력에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SMF로부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에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가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같은 제1 서브 프로토콜 아이디(ID)를 기반으로 상기 헤드 부분과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상기 데이터 부분과 상기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상기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고, 및 상기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상기 헤드 부분에 가상 근거리 통신망(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헤드 부분에 있어서, 제2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상기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로토콜 ID와 서로 다른 제3 서브 프로토콜 ID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상기 헤드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상기 헤드 부분이 이용하는 이더넷 프레임 유형 및 상기 헤드 부분에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며; 및
    상기 제3 서브 프로토콜 ID는 압축 대상과 압축 정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에는 상기 데이터 부분이 포함되고, 상기 제3 서브 프로토콜 ID가 지시하는 압축 대상은 상기 데이터 부분이 이용하는 프로토콜에 대응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포맷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르며; 및
    서로 다른 포맷의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의 기반으로 되는 서브 프로토콜 ID가 서로 다른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되는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프로토콜 계층에서,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며;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프로토콜 계층에서,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계층과 상기 제2 프로토콜 계층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계층과 상기 제2 프로토콜 계층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제1 프로토콜 계층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 계층 또는 제5세대 통신 시스템(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제2 프로토콜 계층은 PDCP 계층, PDU 계층 또는 5G 네트워크 중의 새로 추가되는 서브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며;
    상기 제1 신호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에서 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방법에는 또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하여 압축을 진행하는 서브 프로토콜 ID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신호는 코어 네트워크 제어 실체 또는 접속 네트워크 장치에서 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능력은 각각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과 상기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지시하며;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 능력에는,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가 포함되며; 또는, VLAN 도메인이 포함되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및 VLAN 도메인이 포함되지 않는 헤드 부분에 대한 압축을 지원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하는 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압축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며;
    상기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가변적 부분, 및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정적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또는 헤드 부분인 것을 구분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또는 헤드 부분인 것을 구분하는 것에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의 프레임 포맷 및 상기 피드백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토콜 ID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또는 헤드 부분인 것을 구분하는 것이 포함되며;
    또는,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또는 헤드 부분인 것을 구분하는 것에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의 헤드 부분의 사전 예약한 비트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 중의 PDU 유형 도메인 중의 피드백 부분 지시 비트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장치는 상기 피드백 프레임이 상대로 하는 것이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데이터 부분 또는 헤드 부분인 것을 구분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2 장치는 제1 장치에서 온 이더넷 프레임을 취득하며;
    상기 제2 장치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장치는 단말 장치이고, 상기 제2 장치는 세션 관리 기능(SMF)이며,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SMF는 상기 단말 장치가 리포팅한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한 압축 능력을 수신하는 바, 상기 압축 능력에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의 헤드 부분 및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압축 능력이 포함되며;
    상기 SMF는 상기 단말 장치로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구성 정보에는 상기 이더넷 프레임에 대하여 압축 또는 압축 풀기를 진행하는 것을 구현하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장치이고,
    처리 유닛과 통신 유닛이 포함되며,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제2 장치이고,
    처리 유닛이 포함되며;
    제19항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삭제
  88. 삭제
  89. 삭제
  90. 삭제
  91. 삭제
  92. 삭제
  93. 삭제
  94. 삭제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삭제
  104. 삭제
  105. 삭제
  106. 삭제
  107. 삭제
  108. 삭제
  109. 삭제
  110. 삭제
  111. 삭제
  112. 삭제
  113. 삭제
  114. 삭제
  115. 삭제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삭제
  122. 삭제
  123. 삭제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삭제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137. 삭제
  138. 삭제
  139. 삭제
  140. 삭제
  141. 삭제
  142. 삭제
  143. 삭제
  144. 삭제
  145. 삭제
KR1020217012130A 2018-09-28 2018-09-28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2434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108473 WO2020062091A1 (zh) 2018-09-28 2018-09-28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149A KR20210065149A (ko) 2021-06-03
KR102434654B1 true KR102434654B1 (ko) 2022-08-22

Family

ID=6994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130A KR102434654B1 (ko) 2018-09-28 2018-09-28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94996A1 (ko)
EP (1) EP3852486B1 (ko)
KR (1) KR102434654B1 (ko)
CN (2) CN114363420B (ko)
AU (1) AU2018443582B2 (ko)
TW (1) TW202021329A (ko)
WO (1) WO2020062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7039A1 (zh) * 2019-01-16 2020-07-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以太网帧头压缩处理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2998A1 (en) * 2008-07-30 2010-02-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Header compression scheme
US20130136003A1 (en) * 2007-07-30 2013-05-30 Rockstar Consortium U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thernet Data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4662A (ko) * 2004-11-15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헤더 압축 장치 및 방법
WO2010121410A1 (zh) * 2009-04-20 2010-10-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采用arq机制的头压缩通信方法和装置
MX343027B (es) * 2012-09-07 2016-10-21 Huawei Tech Co Ltd Metodo de transmision de interfaz de aire y dispositivo y sistema relacionados.
CN103905122A (zh) * 2012-12-28 2014-07-02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一种双模基站Ir接口间数据传输的方法及系统
WO2014110754A1 (zh) * 2013-01-17 2014-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http报文的方法、编码装置和解码装置
WO2015035618A1 (zh) * 2013-09-13 2015-03-1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200802B1 (ko) * 2014-10-16 2021-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mtc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205660B2 (en) * 2015-06-03 2019-02-12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acket header compression
CN107347046A (zh) * 2016-05-04 2017-11-14 北京化工大学 一种跨网段的数据报头压缩实现方法
WO2018230917A1 (en) * 2017-06-12 2018-1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hybrid mode positioning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006316B2 (en) * 2017-10-16 2021-05-11 Ofinno, Llc Header compression for ethernet frame
CA3021658A1 (en) * 2017-10-20 2019-04-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Non-access stratum capability information
CN112511320B (zh) * 2018-04-28 2022-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设备
DK3847844T3 (da) * 2018-09-03 2022-10-17 Ericsson Telefon Ab L M Transport af datastrømme over cellulære netværk
CN110891287B (zh) * 2018-09-07 2021-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以太网包头压缩、解压缩的方法和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958647A (zh) * 2018-09-27 2020-04-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0971363B (zh) * 2018-09-28 2022-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以太网数据的通信方法的方法和装置
WO2020220328A1 (zh) * 2019-04-30 2020-1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12333769B (zh) * 2019-08-05 2022-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36003A1 (en) * 2007-07-30 2013-05-30 Rockstar Consortium U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Ethernet Data Compression
WO2010012998A1 (en) * 2008-07-30 2010-02-04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Header compression schem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8148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3420B (zh) 2024-02-09
CN114363420A (zh) 2022-04-15
EP3852486B1 (en) 2022-11-02
EP3852486A4 (en) 2021-09-08
AU2018443582A1 (en) 2021-05-13
AU2018443582B2 (en) 2022-10-27
TW202021329A (zh) 2020-06-01
KR20210065149A (ko) 2021-06-03
US20210194996A1 (en) 2021-06-24
EP3852486A1 (en) 2021-07-21
WO2020062091A1 (zh) 2020-04-02
CN112385305A (zh) 2021-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39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authentication
US11963038B2 (en) Header compre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s equipment
US1187732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434654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13207133B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12740730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WO2020097809A1 (zh) 压缩、解压缩以太帧的方法和通信设备
US1157577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2868249B (zh)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接入网设备
US2023010221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