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594B1 -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594B1
KR102434594B1 KR1020200150088A KR20200150088A KR102434594B1 KR 102434594 B1 KR102434594 B1 KR 102434594B1 KR 1020200150088 A KR1020200150088 A KR 1020200150088A KR 20200150088 A KR20200150088 A KR 20200150088A KR 102434594 B1 KR102434594 B1 KR 10243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pile
sinker
needle bed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9630A (en
Inventor
교카 후쿠시마
사토루 미야시타
마사미쓰 이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5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0Needle beds
    • D04B15/12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6Sliding-tongu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통 모양 편성포를 파일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32)이 걸리는 파일용 폴(11a)을 갖는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도1의 (c)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 후, 도1의 (d)와 같이 파일용 폴(11a)에 의하여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고 결합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다음 코스에서 급사를 받기 직전의 도1의 (a)에서 싱커루프(38e)를 해제한 후에 새로운 싱커루프를 형성한다. 결합을 계속하여 유지함으로써, 끝스티치의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형성 시와 비슷한 길이로 유지되어,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Pro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a knitt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of the end stitch from shrinking when a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pile knitting.
(Solution)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7 that become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the needle bed and forms the end stitch, and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It has the pole 11a for piles on which the pile thread 32 is caught.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is, after forming a new stitch in FIG. It continues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without releasing it. A new sinker loop is formed after releasing the sinker loop 38e in FIG. 1(a) just before receiving sudden death in the next course. By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coupling, the sinker loop 38e of the pile yarn 32 of the end stitch is maintained at a length similar to that at the time of formation, thereby preventing shrinkage.

Figure R1020200150088
Figure R1020200150088

Description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Flat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for pile knitting

본 발명은,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for knitting a pile knitted fabric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knitting method therefor.

종래,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는,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파일편성포는, 바탕실과 파일실(pile yarn)의 2종류의 편사(編絲)를 사용하여 편성되고, 바탕실에 의한 편성포의 면(面)에, 파일실에 의한 링(ring)이 융기된 조직을 갖는다. 바탕실은, 파일실의 링을 조이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체결사라고도 불린다. 파일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편침(編針)은, 훅(hook)을 래치(latch)에 의하여 개폐하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이고, 래치의 내측 가장자리에 편사결합용 갈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파일편성은, 이 편침과 함께,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가동(可動)의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파일편성용 싱커는,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 및 바탕실의 싱커루프(sinker loop)가 걸리는 파일용 폴(pile用 pawl) 및 바탕실용 폴을 각각 갖고 있다. 횡편기에 의한 파일편성은, 스티치 형성 시의 파일실의 싱커루프를 바탕실의 싱커루프보다 크게 함으로써 링을 형성한다.Conventionally,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can knit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The pile knitted fabric is knitted using two types of knitting yarns, a blank yarn and a pile yarn, and a ring made of a pile threa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knitted fabric made of the blank yarn. It has a raised tissue. Since the blank thread functions to tighten the ring of the pile thread, it is also called a fastening thread. A knitting needle for knitting a pile knitted fabric is a latch needle that opens and closes a hook by a latch, and a hook for knitting yarn coupling is formed at an inner edge of the latch. The pile knitting is performed using this knitting needle and a movable sinker for pile knitting that advances and retreats to the needle bed gap. The pile knitting sinker has a pile pawl and a blank yarn pawl through which a sinker loop of a pile yarn and a blank yarn is applied during stitch formation, respectively. In pile knitting by a flat knitting machine, a ring is formed by making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larger than the sinker loop of the blank yarn at the time of stitch formation.

횡편기에 의하여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편사에 의하여 연결되는 편성포의 종단부(終端部) 부근의 스티치(stitch)인 끝스티치(end stitch)가 수축되어 작아지게 되어, 니들베드갭을 지나는 경계부에서 스티치의 사이가 넓어져서 외관의 미려함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를 참조). 이 문제의 대책으로서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녹오버(knock over)된 구스티치(舊stitch)에 확경부재(擴徑部材)를 침입시켜서, 스티치의 크기를 회복시키도록 하고 있다.When knitting a knitted fabric in a cylindrical shape by a flat knitting machine, an end stitch, which is a stitch near the longitudinal end of the knitted fabric connected by the knitting yarn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is contracted. becomes smaller, and the stitches are widened at the boundary portion passing through the needle bed gap,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impairing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As a countermeasure for this problem,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the diameter expansion member is penetrated into the knock-over old stitch, and the stitch is formed. to restore its size.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0―59333호 공보: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60-59333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156085호 공보: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156085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에서는, 경계부의 스티치 크기의 변화뿐만 아니라, 파일실에 의한 링의 크기가 경계부에서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외관의 미려함이 손상되기 쉽다. 특허문헌2와 같이 수축된 구스티치를 확경하여도, 싱커루프에는 직접적인 작용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싱커루프의 확경에는 아직 불충분하다.In the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not only the change in the stitch size at the boundary portion but also the size of the ring due to the pile yarn becomes smaller at the boundary portion,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is easily impaired. Even when expanding the contracted old stitch like in Patent Document 2, since the direct action does not reach the sinker loop, it is still insufficient for expanding the sinker loop.

본 발명의 목적은, 통 모양 편성포를 파일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때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및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a knitting method for preventing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of the end stitch from shrinking when a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pile knitting.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and as a knitting yarn, a blank yarn and a pile yarn, one needle b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needle b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uniform as a whole. While dying in a hurry to go round in the direction, each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that knits a tubular pile knitted fabric by connecting knitted fabrics knitted on a needle bed at both ends of a knitting width,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와,In each needle bed,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forming the end stitch a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pile pole to which the pile thread is applied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is placed at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 sinker for the end stitch having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와,In each needle bed, it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that are the ends of the knitting width and form the end stitches and the knitting needle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and the knitting needles that are the starting ends of the knitting width, and when forming the stitches A sinker for pile knitting having a pole for pile on which the pile thread is caught and a pole for blank thread on which the blank thread is applied at the tip of the needle bed gap advancing and retreating;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을In accordance with the stitch formation in each knitting needle, the tip portions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enter the needle bed gap, and the tip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fter stitch formation exits the needle bed gap,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is a pile A sinker loop is formed on the pole for use by pile thread, and after the sinker loop is formed, the tip is stopped at the needle bed gap to maintain the state of joining the sinker loop until just before the knitting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s received in the next course. sinker control means to control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이다.It is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는, 상기 파일용 폴만 갖고, 상기 끝스티치 형성 시에 상기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has only the pole for the file, and does not have a portion where the blank thread is caught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의 상기 파일용 폴에 의하여 상기 싱커루프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시키는 경우에, 진입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보다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가 커지게 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for forming the sinker loop by the pile pole of the end stitch sinker, when entering the tip portion obliquely downward of the needle bed gap,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entry direction Having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inclination to the vertical downward becomes larger than the inclination.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또 본 발명은,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돌출량이 다른 버트를 각각 갖고,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each have butts with different protrusions,

상기 싱커 제어수단은, 끝스티치용 싱커 및 파일편성용 싱커를 버트의 돌출량에 의하여 구별하여 구동시켜서, 상기 제어를 하는 캠을 갖는 것을The sinker control means has a cam for controlling the end stitch by driving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by discriminating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butt.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에 있어서,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a blank yarn and a pile yarn as knitting yarns, one needle b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needle b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used as knitting yarns. In the pile knitting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pile knitted fabric by connecting the knitted fabrics knitted on each needle bed at both ends of a knitting width while rapidly spinning so as to go around in a certain direction as a whole, the pile knitting method comprising: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를 배치하고,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that become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forms the end stitch, a sinker for end stitch having a pole for pile on which the pile thread is caught when forming the end stitch is disposed,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를 배치하여 두고,In each needle b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and the knitting needles serving as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serving a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forming the end stitches, piles during stitch formation A sinker for pile knitting having a pole for pile on which a thread is applied and a pole for a blank thread on which the blank thread is applied at the tip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 the needle bed gap is arranged,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것을In accordance with the stitch formation in each knitting needle, the tip portions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enter the needle bed gap, and the tip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fter stitch formation exits the needle bed gap,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is a pile A sinker loop is formed on the pole for use by pile thread, and after the sinker loop is formed, the tip is stopped at the needle bed gap to maintain the state of joining the sinker loop until just before the knitting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s received in the next course. to do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이다.It is a method of organizing the file organization characterized by it.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의 파일용 폴에 형성되는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싱커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하여,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파일용 폴에 의하여 결합된다. 결합에 의하여,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형성 시와 비슷한 길이로 유지되어,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formed on the pile pole of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receives the feeding yarn of the knitting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n the next course under the control of the sinker control means. Until just before, it is joined by a pole for a file. By combining,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of the end stitch is maintained at a length similar to that at the time of formation, thereby preventing shrinkag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용 싱커는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기 때문에, 끝스티치 형성 시에 형성되는 바탕실의 싱커루프는 짧아지게 된다. 대향하는 니들베드에서 편성개시되는 편성포에 끝스티치로부터 바탕실이 인입되기 어렵게 되고, 바탕실에 동반되어 파일실도 인입되기 어렵게 되어, 파일실의 싱커루프에 의한 링도 축소되기 어렵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does not have a portion to which the base thread hangs when forming the end stitch, the sinker loop of the base thread formed at the time of forming the end stitch becomes shorter.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base yarn to be drawn from the end stitch to the knitted fabric that is started knitting on the opposite needle beds, and the pile yarn is also difficult to be drawn in along with the base yarn, and the ring by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is also difficult to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용 폴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경사의 연직 하방에 대한 각도는, 끝스티치용 싱커가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하는 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각도보다 커지게 된다. 파일실의 싱커루프는, 가장자리부에서 형성된 후에 파일용 폴로부터 이탈하기 어렵게 되어, 결합상태를 안정하게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of the inclination formed on the edge of the pile pole is larger than the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stitch sinker enters obliquely downward of the needle bed gap. . The sinker loop of the pile seal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pile pawl after it is formed at the edge, so that the joint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용 싱커와 파일편성용 싱커는, 공통의 캠에 의하여 구동되고, 버트의 돌출량의 차이에 의하여 제어를 구별하여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re driven by a common cam, and the control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difference i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but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끝스티치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의 파일용 폴에 형성되는 파일실의 싱커루프를,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파일용 폴에 의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끝스티치의 파일실의 싱커루프가 축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er loop of the pile yarn formed on the pile pole of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at the time of forming the end stitch is applied to the pile pole until just before receiving the feeding yarn for the knitting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n the next course. Since they are joined together by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nker loop of the pile thread of the end stitch from being reduced.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동작을 간략화하여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니들베드(3F, 3B)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형상을, 종래의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5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캐리지 순행 시의 캠 배치와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캐리지 역행 시의 캠 배치와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의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적인 평면도이다.
Fig. 1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mplified operation of main parts of a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Fig. 3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needle beds 3F and 3B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4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end stitch sinker 11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inker 12 for pile knittin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locus of the cam arrangement and the portion subjected to the driving of the cams when the carriage travels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Fig. 6 is a view showing the locus of the cam arrangement and the portion receiving the drive of the cam when the carriage moves backwar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Fig. 7 is a partial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knitted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이하, 도1부터 도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1)의 구성과 사용상태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서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 설명의 편의상, 설명대상인 도면에는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된 참조부호를 붙여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Hereinafter, FIGS. 1 to 7 relate to the configuration and use state of a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parts in each drawing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explan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parts not described in the drawings to be described may be referred to with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실시예)(Example)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주요부분의 동작 및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파일편성용 횡편기(1)는,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2)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3F, 3B)를 구비한다. 단, 도2에서는 일방(一方)의 니들베드(3F)만을 나타낸다.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 니들베드(3B)는, 니들베드갭(2)의 가상중심면(假想中心面)(2a)에 대하여 니들베드(3F)와 거의 대칭인 위치에 배치된다. 니들베드(3F, 3B)는, 도1 및 도2의 지면(紙面)과 수직방향인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基板)(4)에,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5)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5)의 사이는 니들홈(needle groove)(6)이 되고, 편침(編針)(7)이 수용된다. 편침(7)은, 니들베드갭(2)측의 선단(先端)에 훅(hook)(7a)을 갖고, 훅(7a)을 개폐하기 위한 래치(latch)(7b)도 갖고, 니들홈(6)을 따라 선단이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하도록 슬라이딩(sliding)한다. 밴드(band)(8)는, 편침(7)이 니들홈(6)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막는다. 편성폭방향의 양단(兩端)에 설치되는 싱커베드 부착판(sinker bed 附着板)(9)은 싱커베드(10)를 지탱한다. 싱커베드(10)는, 끝스티치용 싱커(end stitch用 sinker)(11) 및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12)를 각각의 선단부가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할 수 있도록 수용한다.1 and 2 respectively show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includes a pair of needle beds 3F and 3B facing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2 interposed therebetween. However, in Fig. 2, only one needle bed 3F is shown. The needle bed 3B, not shown, is disposed at a position substantially symmetrical to the needle bed 3F with respect to the virtual center plane 2a of the needle bed gap 2 . Needle beds (3F, 3B) is a substrate (基板) extending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紙面) of Figs. 1 and 2, needle plate (needle plate) 5 is parallel is formed A needle groove (6)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plates (5), and a knitting needle (7) is accommodated. The knitting needle 7 has a hook 7a at the tip end of the needle bed gap 2 side, and also has a latch 7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ok 7a, and a needle groove ( 6) slides so that the tip advances and retreats to the needle bed gap (2). A band 8 prevents the knitting needle 7 from falling off from the needle groove 6 . Sinker bed attachment plates 9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support the sinker bed 10 . The sinker bed 10 is such that the tip ends of the sinker for end stitch 11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12 can advance and retreat into the needle bed gap 2 . Accept.

도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니들베드(3F, 3B)에서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30)를 편성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1 및 도2는, 도2의 (d2)를 제외하고, 도3의 절단선(I―I)으로부터 본 측단면 구성에 대응한다. 도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에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가 나타나 있다. 이 선단부에는 파일용 폴(pile用 pawl)(11a)이 형성되어 있다.3 shows a state in which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30 is knitted on the needle beds 3F and 3B as will be described later. 1 and 2 correspond to the latera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seen from the cut line I-I in Fig. 3, except for Fig. 2 (d2). 4 shows the shapes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as will be described later. 1, the front end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shown. A pile pawl 11a is formed at this tip end.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지(carriage)(20)는, 편침(7)과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를 구동하는 편성캠(knitting cam)(21)과 싱커캠(sinker cam)(22)을 각각 탑재한다. 편침(7)을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구동은, 편침(7)의 꼬리 끝측에 연결되는 잭(jack)(7c)으로부터 캐리지(20)측으로 돌출되는 버트(butt)(7d)를 안내하는 편성캠(21)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파일편성을 하기 위한 바탕실(31) 및 파일실(pile yarn)(32)은, 얀피더(yarn feeder)(33, 34)로부터 각각 공급된다. 캐리지(20)는, 편성폭방향으로 왕복주행할 수 있고, 얀피더(33, 34)를 선택적으로 연동(連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arriage 20 includes a knitting cam 21 and a sinker cam for driving the knitting needle 7, the end stitch sinker 11, and the pile knitting sinker 12. (sinker cam) 22 are mounted respectively. The driving for sliding the knitting needle 7 is a knitting cam 21 that guides a butt 7d protruding from a jack 7c connected to the tail end of the knitting needle 7 toward the carriage 20 side. ) is done by A blank yarn 31 and a pile yarn 32 for pile knitting are supplied from yarn feeders 33 and 34, respectively. The carriage 20 can reciprocat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nd the yarn feeders 33 and 34 can be selectively interlocked.

도1의 (a), (b), (c), (d)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동작을 나타낸다. (a)는, 선단부가 편사(編絲)에 작용하지 않고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끝스티치의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급사(給絲)를 얀피더(33, 34)로부터 받기 직전까지, 끝스티치의 형성 시부터 도7에 나타내는 싱커루프(sinker loop)(38e)를 파일용 폴(11a)에 결합하여 지지하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한다. 얀피더(33, 34)는, 지면의 표면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주행한다. 얀피더(33, 34)가 접근하면,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는,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어, 싱커루프(38e)를 해제한 후에 새로운 싱커루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훅(7a)에 지지되어 있던 스티치의 니들루프(needle loop)는, 래치(7b)를 열어서 편침(7)의 침간(針幹)으로 이동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한다.1 (a), (b), (c), (d) shows the operation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tip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2 without acting on the knitting yarn.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is from the time of forming the end stitch until just before receiving from the yarn feeders 33 and 34 the feeder for forming a new stitch in the next course after the formation of the end stitch. The sinker loop (38e) shown in is coupled to the pole (11a) for the pile (11a) is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supported state. The yarn feeders 33 and 34 travel inward from the surface side of the ground. When the yarn feeders 33 and 34 approach, the tip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2 so that a new sinker loop can be formed after releasing the sinker loop 38e. . The needle loop of the stitch supported by the hook 7a opens the latch 7b and moves to the needle interval of the knitting needle 7, but illustration is omitted.

도1의 (b)는, 새로운 끝스티치의 형성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얀피더(33)로부터 바탕실(31)을 공급하여, 래치(7b)의 내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편사결합용 갈고리에 걸친 상태에서 편침(7)을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도록 인입하면서,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킨다. 편사결합용 갈고리는, 특허문헌1에 설명되어 있다. 바탕실(31)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의 바닥부 하측을 통과하도록 눌린다.Fig. 1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ormation of a new end stitch is started. By supplying the blank yarn 31 from the yarn feeder 33, while the knitting needle 7 is pulled out from the needle bed gap 2 in a state over the knitting hook formed on the inner edge of the latch 7b, the knitting needle 7 is drawn in. , the tip of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enters the needle bed gap (2). The hook for knitting yarn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base thread 31 is pres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of the tip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도1의 (c)는, 편침(7)의 인입에 의하여 새로운 끝스티치를 형성하고, 구스티치(舊stitch)가 되는 끝스티치의 녹오버(knock over)에 의하여 래치(7b)로 훅(7a)을 닫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파일실(32)은, 얀피더(34)로부터 훅(7a)에 공급되고,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훅(7a)에 의한 바탕실(31) 및 파일실(32)의 니들루프(35e, 36e)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파일용 폴(11a)에 의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가 형성된다.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e)는, 도2(a)에 나타내는 니들 플레이트(5)의 니들베드갭(2)을 향하는 선단 가장자리(5a)에 걸쳐서 형성된다. 파일편성용 싱커(12)에는, 파일용 폴(12a)과 함께 바탕실용 폴(12c)도 형성되기 때문에,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는 바탕실용 폴(12c)에 걸쳐서 형성된다. 바탕실용 폴(12c)은, 니들 플레이트(5)의 선단 가장자리(5a)보다 니들베드갭(2)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편성용 싱커(12)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는,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사용하는 경우의 싱커루프(37e)보다 길어지게 된다.1(c) shows, a new end stitch is formed by drawing in the knitting needle 7, and the hook 7a is hooked with the latch 7b by knock over of the end stitch that becomes the old stitch. ) indicates the closed state. The pile yarn 32 is supplied from the yarn feeder 34 to the hook 7a, and as shown in Fig. 7, the blank yarn 31 by the hook 7a and the needle loop 35e of the pile yarn 32; 36e) and the sinker loop 38e of the pile thread 32 by the pile pole 11a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formed. The sinker loop 37e of the base room 31 is formed over the tip edge 5a of the needle plate 5 shown in Fig. 2(a) facing the needle bed gap 2 . In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since the base yarn pole 12c is also formed together with the pile pole 12a, the sinker loop 37 of the base yarn 31 is formed over the base yarn pole 12c. . Since the base yarn pole 12c protrudes toward the needle bed gap 2 side from the tip edge 5a of the needle plate 5, the sinker of the base yarn 31 formed by the pile knitting sinker 12. The loop 37 becomes longer than the sinker loop 37e in the case of using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도1의 (d)는,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스티치 크기 결정 후에도 끝스티치의 파일실(32)에 의한 싱커루프(38e)를 결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싱커캠(22)은, 진입 가장자리(22a)와 퇴출 가장자리(22b)를 갖는다. 진입 가장자리(22a), 퇴출 가장자리(22b)는, 도4(a)에 나타내는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b)에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측(11d, 12d) 및 버트측(11e, 12e)에 각각 작용한다. 도1의 (a), (b), (c)에서는,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동일한 구동을 받는다. 도1의 (d)는 도2의 (d1)에 대응하고, 끝스티치용 싱커(11)는 도2의 (d2)에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다른 구동을 받는다. 도2의 (d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치 형성에서의 스티치 크기 결정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12)는, 싱커캠(22)의 퇴출 가장자리(22b)에 의한 구동에 의하여 선단부가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고, 형성된 싱커루프(38)를 해제한다. 싱커캠(22)은,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를 기본적으로 공통으로 구동하지만, 퇴출 가장자리(22b)측에 단차부(段差部)(22c)를 갖는다. 단차부(22c)의 외주가 되는 퇴출 가장자리(22b)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버트(12b)에는 작용하여,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고, 파일용 폴(12a) 및 바탕실용 폴(12c)로부터 파일실(32) 및 바탕실(31)의 싱커루프(38, 37)를 해제한다. 단차부(22c)의 퇴출 가장자리(22b)는, 돌출량이 작은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버트(11b)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버트(11b)는, 단차부(22c)의 내주가 되는 지지 가장자리(22d)로 안내되어, 파일용 폴(11a)로부터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는다.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결합되는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다음 편성코스의 (a)에서 해제한다.Fig. 1(d)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nker loop 38e by the pile thread 32 of the final stitch is coupled by the sinker 11 for the final stitch even after the stitch size is determined. The sinker cam 22 has an entry edge 22a and an exit edge 22b. The entry edge 22a and exit edge 22b are the tip sides 11d and 12d and the butt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shown in Fig. 4(a)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shown in (b). They act on the sides 11e and 12e, respectively. 1(a), (b), and (c),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receive the same drive. Fig. 1 (d) corresponds to Fig. 2 (d1), and the end stitch sinker 11 is driven differently from the pile knitting sinker 12 shown in Fig. 2 (d2). As shown in Fig. 2 (d2), after determining the stitch size in the stitch formation, the pile knitting sinker 12 is driven by the exit edge 22b of the sinker cam 22 so that the tip ends with a needle bed gap ( 2), and the formed sinker loop 38 is released. The sinker cam 22 basically drives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in common, but has a step portion 22c on the exit edge 22b side. The exit edge 22b serving a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p portion 22c acts on the butt 12b of the pile knitting sinker 12 to withdraw the tip portion from the needle bed gap 2, and the pile pawl 12a and the sinker loops 38 and 37 of the pile room 32 and the base room 31 are released from the base room pole 12c. The exit edge 22b of the step portion 22c does not act on the butt 11b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es with a small protrusion amount. The butt 11b is guided to the supporting edge 22d serving as the inner periphery of the step portion 22c, so that the sinker loop 38e is not released from the pile pawl 11a. The sinker loop 38e of the pile yarn 32 coupled by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released in (a) of the next knitting course.

도3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니들베드(3F, 3B)에서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를 편성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편사로서 바탕실(31) 및 파일실(32)은, 일방(一方)의 니들베드(3F),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일방향(一方向)으로 주행하는 캐리지(20)가 연동하는 얀피더(33, 34)로부터 급사된다. 타방(他方)의 니들베드(3B)로서의 뒤쪽 니들베드에서는, 캐리지(20)의 주행방향을 반전시켜서, 역방향인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급사된다. 이와 같이 전체로서 시계방향의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한다. 각 니들베드(3F, 3B)에서 편성되는 1코스의 편성포는, 기본적으로 동등하고,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되어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가 된다. 편침(7)은 총칭(總稱)으로서, 소속되는 니들베드(3F, 3B)에 따라 부호 F, B를 부호 7에 부가하고, 또한 위치에 대응하는 부호를 부가하는 경우가 있다. 편침(7)의 사이에는, 기본적으로 파일편성용 싱커(12)가 배치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는, 각 니들베드(3F, 3B)에서 편성폭의 종단(終端)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32)이 걸리는 파일용 폴(11a)을 갖는다.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다른 편침(7)의 사이, 즉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7F, 7B)과 편성폭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침(7Fs, 7Bs)과의 사이의 편침(7F, 7Fs, 7B, 7Bs)의 사이에 배치된다.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7Fe, 7Be)의 하류측에 인접하는 싱커(13)는, 끝스티치용 싱커(11)나 파일편성용 싱커(12)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싱커, 또는 없게 할 수 있다. 시단이 되는 편침(7Fs, 7Bs)의 상류측의 싱커(14)는 없어도 좋다.Fig. 3 shows a configuration for knitting a tubular pile knitted fabric 30 on the needle beds 3F and 3B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 As a knitting yarn, the base yarn 31 and the pile yarn 32 have one needle bed 3F, for example, a carriage 20 running in one direction from right to left on the front needle bed. The yarn feeders 33 and 34 are fed from the interlocking yarn feeders. In the rear needle bed as the other needle bed 3B,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carriage 20 is reversed, and yarn is fed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is way, the yarn as a whole is fed rapidly so that it rotates in a constant clockwise direction. The one-course knitted fabrics knitted in each of the needle beds 3F and 3B are basically the same, and are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knitting width to form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30 . The knitting needle 7 is a generic name, and in some cases, symbols F and B are added to the reference numeral 7 depending on the needle beds 3F and 3B to which they belong, and a c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s added in some cases. A pile knitting sinker 12 is basically arrang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7 .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7Fe and 7Be that become the ends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of the needle beds 3F and 3B and form the end stitch, , has a pole 11a for a pile on which the pile thread 32 is caught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The pile knitting sinker 12 has a knitting width with the knitting needles 7F and 7B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7Fe and 7Be forming the end stitch between the other knitting needles 7, that is, the knitting width. It is arrange|positioned between knitting needles 7F, 7Fs, 7B, 7Bs between knitting needles 7Fs, 7Bs used as the starting end of . The sinker 13 adjacent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knitting needles 7Fe and 7Be forming the end stitch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or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or may be absent. . The sinker 14 on the upstream side of the knitting needles 7Fs and 7Bs serving as the starting ends may not be provided.

도4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의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형상을 (a)에서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비교하여 나타내고, 종래의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형상을 (b)에서 정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로서 비교하여 나타낸다. (c)는 파일용 폴(11a, 12a)과 버트(11b, 12b)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정면도 및 평면도에서, 도면의 우측에 나타내는 선단부는 스티치 형성 시에 작용한다. 이 작용은, 선단측(11d, 12d), 버트측(11e, 12e) 및 종단측(11f, 12f)에 대한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의 버트(11b)는, 돌출량이 파일편성용 싱커(12)의 버트(12b)의 돌출량보다 작다. 끝스티치용 싱커(11)와 파일편성용 싱커(12)는, 공통의 싱커캠(22)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 돌출량의 차이에 의하여, 도2의 (d1), (d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를 구별하여 할 수 있다.4 is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end stitch sinker 11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 are compared and shown in (b) as a front view, a top view, and a left view. (c) compares and shows the poles 11a and 12a for piles and the butts 11b and 12b. In the front view and the plan view, the tip portion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acts upon formation of the stitch. This action is controlled by driving to the tip sides 11d and 12d, the butt sides 11e and 12e and the tip sides 11f and 12f.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butt 11b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smaller than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butt 12b of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The end stitch sinker 11 and the pile knitting sinker 12 are driven by a common sinker cam 22, an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rotrusion, Controls can be distinguished together.

끝스티치용 싱커(11)는, 선단부에 파일용 폴(11a)만 갖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31)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파일편성용 싱커(12)는, 파일용 폴(12a)과 함께, 끝스티치 형성 시에 바탕실(31)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12c)을 선단부에 갖는다. 또한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스티치용 싱커(11)의 파일용 폴(11a)은, 파일편성용 싱커(12)의 파일용 폴(12a)에 대하여, 싱커루프(38e)를 형성하기 위한 가장자리부(11g)가 경사각도(θ)로 경사져 있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하도록 사용된다.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침(7)의 진퇴방향은, 가상중심면(2a)으로 나타내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진퇴방향은, 편침(7)의 진퇴방향과 직교한다. 따라서 도4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진입방향은, 니들베드갭(2)에서는 연직 하방에 대하여 45도 경사진 비스듬한 하방이 된다. 경사각도(θ)가 45도가 되면, 가장자리부(11g)가 수평이 되어 싱커루프(38e)는 결합하기 쉽게 되지만, 해제할 때의 저항이 커지게 되어 빠지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가장자리부(11g)가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키는 비스듬한 하방의 방향보다, 45도 미만의 경사각도(θ) 예를 들면 30도 정도 커지게 되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형성한 후에 이탈하기 어렵게 되어, 결합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요 시에 해제할 수 있다.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has only a pile pole 11a at the tip end, and does not have a portion where the base thread 31 hangs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has, together with the pile pawls 12a,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base yarn pawl 12c to which the base yarn 31 is caught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Further, as shown in (c), the pile pawl 11a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for forming a sinker loop 38e with respect to the pile pawl 12a of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The edge portion 11g is inclined at the inclination angle [theta].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and the sinker 12 for knitting the pile are used to enter the needle bed gap 2 in the direction from the left to the right of the drawing. As shown in Fig. 2,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7 is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indicated by the virtual center plane 2a.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directions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are orthogonal to the advancing and retreat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needle 7 . Therefore, the entry direction from the left to the right in FIG. 4 is an oblique downward direction inclined b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n the needle bed gap 2 . When the inclination angle [theta] becomes 45 degrees, the edge portion 11g becomes horizontal, and the sinker loop 38e becomes easy to engage, but the resistance at the time of disengagement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detach. Since the edge portion 11g has an inclination angle that is less than 45 degrees (θ), for example, about 30 degrees larger than the obliquely downward direction in which the tip part enters the needle bed gap 2, the pile seal 32 ), after forming the sinker loop 38e, it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and the coupling state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can be released when necessary.

도5는,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니들베드(3F)에 대하여 캐리지(20)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좌측방향으로 주행하는 순행(順行) 시의 캠 배치를 나타내고,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궤적도 2점쇄선 및 파선에 대응하도록 나타낸다.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에서 공통되는 궤적은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편침(7)의 기본적인 구동은, 버트에 작용하는 니들 레이징캠(needle raising cam)(21a), 센터캠(center cam)(21b) 및 스티치캠(stitch cam)(21c)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성캠(21)에 대한 편침(7)의 궤적은 버트와 훅(7a)으로 대표된다. 싱커캠(22)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키는 진입 가장자리(22a)와,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는 퇴출 가장자리(22b)를 갖는다. 퇴출 가장자리(22b)측의 일부에는, 전술한 단차부(22c)가 형성된다. 단차부(22c)의 작용에 의하여,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끝스티치용 싱커(11)의 궤적과 파선으로 나타내는 파일편성용 싱커(12)의 궤적은 다르게 된다. 싱커캠(22)에 부속되어 가동캠(可動cam)(23, 24)도 설치된다. 가동캠(23, 24)은, 순행 시에만 작동되고,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의 종단측(11f, 12f) 및 버트측(11e, 12e)에 작용한다.Fig. 5 shows the cam arrangement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in Fig. 1 when the carriage 20 travels in the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3F as indicated by the arrow , the trajectory in which the portion receiving the drive of the cam moves in the relatively right direction is also shown to correspond to the dashed-dotted line and the broken line. The common trajectory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is indicated by a two-dot chain line. Since the basic driving of the knitting needle 7 is made by a needle raising cam 21a, a center cam 21b and a stitch cam 21c acting on the butt, The trajectory of the knitting needle 7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cam 21 is represented by a butt and a hook 7a. The sinker cam 22 has an entry edge 22a for entering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into the needle bed gap 2, and an exit edge for exiting the needle bed gap 2 (22b). The above-described step portion 22c is formed on a part of the exit edge 22b side. Due to the action of the step portion 22c, the trajectory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ndicated by the two-dot chain line and the trajectory of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indicated by the broken line are different. Attached to the sinker cam 22, movable cams 23 and 24 are also provided. The movable cams 23 and 24 are operated only when traveling, and act on the terminal sides 11f and 12f and the butt sides 11e and 12e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도5는, 도1의 (a), (b), (c) 및 (d)에 대응하는 위상을 a, b, c 및 d로 각각 나타낸다. a에 선행(先行)하여, 가동캠(23)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일단 진출시키고, 바닥부에서 스티치를 누르기 위하여 설치된다. 가동캠(24)은, 끝스티치용 싱커(11) 및 파일편성용 싱커(12)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시키고, 특히 끝스티치 형성 시에 끝스티치용 싱커(11)에 결합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급사를 받기 직전에 해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a는, 버트(7d)가 센터캠(21b)에 의한 안내에 의하여 편침(7)이 니들베드갭(2)으로 가장 많이 진입하고, 훅(7a)에 걸쳐 있었던 니들루프가 래치(7b)를 열어서 침간측으로 이행되어 클리어(clear)된 후의 위상이 된다. 싱커캠(22)의 퇴출 가장자리(22b)에는 단차부(22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d에서, 파일편성용 싱커(12)에서는 싱커루프를 해제하더라도, 끝스티치용 싱커(11)에 의하여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를 해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Fig. 5 shows phases corresponding to (a), (b), (c) and (d) of Fig. 1 by a, b, c and d, respectively. Prior to a, the movable cam 23 once advances the tip ends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into the needle bed gap 2, and presses the stitch at the bottom. installed for The movable cam 24 withdraws the tip ends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from the needle bed gap 2, and is particularly coupled to the sinker 11 for end stitches when forming the end stitch. It is installed to release the sinker loop 38e of the pile yarn 32 just before receiving the feed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n the next course. In a, the butt 7d is guided by the center cam 21b so that the knitting needle 7 enters the needle bed gap 2 the most, and the needle loop that spans the hook 7a latches the latch 7b. It is opened and shifted to the needle shaft side, and it becomes the phase after being cleared. Since a step portion 22c is formed on the exit edge 22b of the sinker cam 22, in d, even if the sinker loop is released in the sinker 12 for pile knitting, the file is piled by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The sinker loop 38e of the seal 32 may not be released.

도6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서, 니들베드(3F)에 대하여 캐리지(20)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우측방향으로 주행하는 캐리지 역행(逆行) 시의 캠 배치를 나타내고, 캠의 구동을 받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궤적도 대응하도록 나타낸다. 역행 시에는, 니들베드(3B)에서 편성포가 편성되고, 니들베드(3F)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편성캠(21)은 작용하지 않게 되어, 싱커캠(22)에 의한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작용은 싱커루프(38e)를 해제하는 것은 아니다. 즉, 끝스티치용 싱커(11)는, 순행 시의 위상 a에서만 가동캠(24)의 작용을 받아서 니들베드갭(2)으로부터 퇴출되고, 이전 코스의 위상 c에서 형성된 후에 결합되어 있는 싱커루프(38e)를 해제한다.Fig. 6 shows the cam arrangement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when the carriage 20 travel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3F as indicated by the arrow when the carriage is retrograde. , the trajectory in which the part that is driven by the cam relatively moves in the left direction is also shown to correspond. At the time of retrograde, the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the needle bed 3B, and the knitting cam 21 basically does not act with respect to the needle bed 3F, so that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by the sinker cam 22 is The action does not release the sinker loop 38e. That is,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withdrawn from the needle bed gap 2 under the action of the movable cam 24 only in the phase a at the time of travel, and the sinker loop ( 38e) is released.

도7은, 도1의 파일편성용 횡편기(1)에 의하여 편성되는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3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파일편성에 의한 스티치는, 바탕실(31) 및 파일실(32)에 의한 니들루프(35, 36) 및 싱커루프(37, 38)로부터 각각 형성된다. 끝스티치에 있어서 파일실(32)의 싱커루프(38e)는, 다음 코스에서 편침(7Fe)에 급사를 받아서 끝스티치가 형성되기 직전까지 지지된다.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사용하면, 끝스티치에 있어서 바탕실(31)의 싱커루프(37e)는, 다른 싱커루프(37)보다 짧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통 지름으로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가 편성된다. 통 지름을 바꾸는 경우에는, 니들베드(3F, 3B) 중 적어도 일방에서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설치하는 위치를 바꾸면 좋다.Fig. 7 schematically shows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30 knitted by the flat knitting machine 1 for pile knitting of Fig. 1 . The stitch by pile knitting is formed from the needle loops 35 and 36 and the sinker loops 37 and 38 by the base yarn 31 and the pile yarn 32, respectively. In the final stitch, the sinker loop 38e of the pile yarn 32 is fed by the knitting needle 7Fe in the next course, and is supported until just before the final stitch is formed. When the sinker 11 for the end stitch is used, the sinker loop 37e of the base yarn 31 becomes shorter than the other sinker loops 37 in the end stitch. In this embodiment, a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is knitted with a constant cylindrical diameter. In the case of changing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the position at which the end stitch sinker 11 is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needle beds 3F and 3B may be changed.

본 실시예는,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싱커캠(22)에 의하여 끝스티치용 싱커(11)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2)으로 진퇴시키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용 폴(11a)을 니들베드갭(2)으로 진입시켜서, 끝스티치의 파일실(32)에 의한 싱커루프(38e)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38e)의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38e)를 결합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파일용 폴(11a)을 니들베드갭(2)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싱커 제어수단으로서는, 끝스티치용 싱커(11)를 직접 구동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설치하여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tip of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is advanced and retreated to the needle bed gap 2 by the sinker cam 22 shown in Figs. enters the needle bed gap 2 to form a sinker loop 38e by the pile thread 32 of the end stitch, and after the formation of the sinker loop 38e, the rapid yarn of the knitting yarn for forming the end stitch in the next course It functions as a sink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pile pawl 11a to stop at the needle bed gap 2 so as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sinker loop 38e is engaged until just before receiving. As the sinker control means, an actuator for directly driving the sinker 11 for end stitching may be provided.

1 : 파일편성용 횡편기
2 : 니들베드갭
3F, 3B : 니들베드
7, 7F, 7B, 7Fe, 7Be, 7Fs, 7Bs : 편침
7a : 훅
7b : 래치
7d, 11b, 12b : 버트
10 : 싱커베드
11 : 끝스티치용 싱커
11a, 12a : 파일용 폴
11g : 가장자리부
12 : 파일편성용 싱커
12c : 바탕실용 폴
20 : 캐리지
21 : 편성캠
22 : 싱커캠
22a : 진입 가장자리
22b : 퇴출 가장자리
22c : 단차부
23, 24 : 가동캠
30 :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
31 : 바탕실
32 : 파일실
38, 38e : 싱커루프
1: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2: Needle bed gap
3F, 3B : Needle bed
7, 7F, 7B, 7Fe, 7Be, 7Fs, 7Bs: single needle
7a: hook
7b: latch
7d, 11b, 12b: butt
10: sinker bed
11: Sinker for end stitch
11a, 12a : Poles for files
11g: edge
12: Sinker for file organization
12c: pole for desktop room
20 : carriage
21 : formation cam
22: sinker cam
22a: entry edge
22b: exit edge
22c: step part
23, 24: movable cam
30: tubular pile knitted fabric
31: base room
32: file room
38, 38e: sinker loop

Claims (5)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1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편사(編絲)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pile yarn)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一方向)으로,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給絲)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폭의 양단(兩端)에서 연결하여 통(筒) 모양의 파일편성포(pile編成布)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pile編成用 橫編機)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終端)이 되어 끝스티치(end stitch)를 형성하는 편침(編針)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pile用 pawl)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先端部)에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end stitch用 sinker)와,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始端)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pile編成用 sinker)와,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제어를 하는 싱커 제어수단(sinker 制御手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is provided, and a base yarn and a pile yarn are used as knitting yarns, and one side ( Knitted fabrics knitted on each needle bed while feeding (給絲) around the needle bed of one direction in one direction, the needle bed of the othe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in a constant direction as a whole (周回). In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which connects 編成布 at both ends of a knitting width to knit a tubular pile knitted fabric (pile編成布),
For piles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that become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form an end stitch, and the pile thread is applied when forming the end stitch A sinker for end stitches having a pawl at the tip that advances and retreats to the needle bed gap;
It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 between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forming the end stitch and the knitting needle serving as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A sinker for pile knitting having a pole for pile on which the pile thread is applied during stitch formation and a pole for blank thread on which the blank thread is applied at a tip portion that advances and retreats to the needle bed gap;
In accordance with the stitch formation in each knitting needle, the tip portions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enter the needle bed gap, and after the stitch formation,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withdraws the tip from the needle bed gap,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is a pile A sinker loop is formed on the pole for use by pile threads, and after sinker loop formation, the tip is stopped at the needle bed gap to maintain the state of joining the sinker loop until just before receiving the rapid yarn for the end stitch formation in the next course. a sinker control means to control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는, 상기 파일용 폴만 갖고, 상기 끝스티치 형성 시에 상기 바탕실이 걸리는 부분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has only the pole for the file, and does not have a portion where the base thread is caught when the end stitch is formed.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characterized by its featur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의 상기 파일용 폴에 의하여 상기 싱커루프를 형성하는 가장자리부는, 상기 선단부를 상기 니들베드갭의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진입시키는 경우에, 진입방향의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보다 연직 하방에 대한 경사가 커지게 되는 경사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dge portion for forming the sinker loop by the pile pole of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is vertically lower than the inclination to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n the entry direction when the tip portion enters the needle bed gap obliquely downward.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the inclination to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characterized by its feature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끝스티치용 싱커 및 상기 파일편성용 싱커는, 돌출량이 다른 버트(butt)를 각각 갖고,
상기 싱커 제어수단은, 끝스티치용 싱커 및 파일편성용 싱커를 버트의 돌출량에 의하여 구별하여 구동시켜서, 상기 제어를 하는 캠(cam)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용 횡편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inker for the end stitch and the sinker for knitting the pile each have butts with different protrusions,
The sinker control means has a cam for controlling the end stitch by driving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and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by discriminating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butt.
A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characterized by its features.
니들베드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1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 의하여, 편사로서 바탕실 및 파일실을, 일방의 니들베드에는 일방향으로, 타방의 니들베드에는 역방향으로, 전체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편성포를 편성폭의 양단에서 연결하여 통 모양의 파일편성포를 편성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끝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을 갖는 끝스티치용 싱커를 배치하고,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어 끝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침에 대하여 급사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침과 편성폭의 시단이 되는 편침과의 사이의 편침 사이에, 스티치 형성 시에 파일실이 걸리는 파일용 폴 및 바탕실이 걸리는 바탕실용 폴을 니들베드갭으로 진퇴하는 선단부에 갖는 파일편성용 싱커를 배치하여 두고,
각 편침에서의 스티치 형성에 맞추어서 파일편성용 싱커 및 끝스티치용 싱커의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 진입시키고, 스티치 형성 후에 파일편성용 싱커는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으로부터 퇴출시키고, 끝스티치용 싱커는 파일용 폴에 파일실에 의한 싱커루프를 형성시키고, 싱커루프 형성 후, 다음 코스에서 끝스티치 형성을 위한 편사의 급사를 받기 직전까지, 싱커루프를 결합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선단부를 니들베드갭에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편성의 편성방법.
By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facing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a base yarn and a pile yarn as knitting yarns, one needle bed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needle b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re uniform as a whole. A pile knitting knitting method in which a tubular pile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connecting the knitted fabrics knitted on each needle bed at both ends of a knitting width while rapidly spinning so as to go round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that become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forms the end stitch, a sinker for end stitch having a pile pole to which the pile thread is caught when forming the end stitch is disposed,
In each needle b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disposed adjacent to the upstream side in the feed yarn direction and the knitting needles serving as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s serving a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nd forming the end stitches, piles during stitch formation A sinker for pile knitting having a pole for pile on which a thread is applied and a pole for a blank thread on which the blank thread is applied at the tip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 the needle bed gap i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titch formation in each knitting needle, the tip portions of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enter the needle bed gap, and after the stitch formation, the sinker for pile knitting withdraws the tip from the needle bed gap, and the sinker for end stitching is a pile A sinker loop is formed on the pole for use by pile threads, and after sinker loop formation, the tip is stopped at the needle bed gap to maintain the state of joining the sinker loop until just before receiving the rapid yarn for the end stitch formation in the next course. to do
A method of organizing a file organization characterized by it.
KR1020200150088A 2019-11-15 2020-11-11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KR1024345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07514 2019-11-15
JP2019207514A JP7271398B2 (en) 2019-11-15 2019-11-15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knit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630A KR20210059630A (en) 2021-05-25
KR102434594B1 true KR102434594B1 (en) 2022-08-19

Family

ID=7585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88A KR102434594B1 (en) 2019-11-15 2020-11-11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71398B2 (en)
KR (1) KR102434594B1 (en)
CN (1) CN11281357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16596A (en) * 2021-07-21 2023-02-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Pile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using flat-knitting machine
CN115045033B (en) * 2022-07-04 2024-01-23 汕头市连兴实业有限公司 Thread end hooking treatment method for collar knitting machine and collar knitt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9878B2 (en) 2005-09-28 2013-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B2 (en) * 1979-09-13 1985-12-24 株式会社島アイデア・センタ− Pile knitting method
JPS5663051A (en) * 1979-10-19 1981-05-29 Shima Idea Center Knitting of pile sock
JPS6059333A (en)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ing method of film image
DE4033735C2 (en) * 1990-10-24 1999-01-21 Sipra Patent Beteiligung Knitting machine for making plush goods
DE19707053B4 (en) * 1997-02-21 2008-03-27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High / low plush knitwea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TE274084T1 (en) * 1998-07-01 2004-09-15 Malden Mills Ind Inc DOUBLE-SIDED POLE LOOP KNIT FABRIC WITH COLOR DIFFERENTIATION BETWEEN THE FRONT AND BACK
JP4180541B2 (en) * 2004-03-31 2008-11-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Pile knitting method with flat knitting machine
JP3116200U (en) * 2005-08-29 2005-12-02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Sinker cam for knitting pile knitted fabric and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387959B1 (en) * 2008-12-27 2014-04-2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Weft knitting machine and stitch transfer method for same
JP5079682B2 (en) 2008-12-29 2012-11-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CN203440584U (en) * 2013-07-25 2014-02-19 韦增机械(佛山高明)有限公司 Sinker of circular knitting machine
JP6341038B2 (en) 2014-09-29 2018-06-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Storage device for discharged paper fro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1509B2 (en) * 2018-05-31 2022-08-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pile knitted fabric, sinker, and flat knit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9878B2 (en) 2005-09-28 2013-04-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yarn g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13572A (en) 2021-05-18
CN112813572B (en) 2022-05-10
KR20210059630A (en) 2021-05-25
JP2021080592A (en) 2021-05-27
JP7271398B2 (en)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2706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inserting warp and knitting method by that weft knitting machine
KR102434594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KR101223919B1 (en)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KR101061821B1 (en) Pile knitting method by flat knitting machine
KR20130098897A (en) Knitting method of fringed fabric
KR101347648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1516154B1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5010588B2 (en) Knitting method and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pattern knitted fabric
JP6807451B2 (en) Plating knitting method with a flat knitting machine
JP5079682B2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0554200B1 (en) A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EP4317560A1 (en) Movable sinker for weft knitting machines
CN113265752B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7438011B2 (en) How to knit pile fabric using flat knitting machine
JPH07324259A (en) Weaving of intarsia knit fabric and cam-lock therefor
CN115074897B (en) Method for knitting pile knit fabric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EP4306698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JP2023064006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sinker, and pile knitting method in flat knitting machine
JPH093753A (en) Yarn feeder in weft knitting machine
JPH10325055A (en) Multi-colored single knitted fabric and its kn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