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156B1 -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 Google Patents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156B1
KR102434156B1 KR1020207032618A KR20207032618A KR102434156B1 KR 102434156 B1 KR102434156 B1 KR 102434156B1 KR 1020207032618 A KR1020207032618 A KR 1020207032618A KR 20207032618 A KR20207032618 A KR 20207032618A KR 102434156 B1 KR102434156 B1 KR 10243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bitmap
situations
subfram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722A (ko
Inventor
조르마 요하네스 카이코넨
자르코 투오모 코스켈라
사미-주카 하콜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0014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페이징 상황과 같은 다운링크에서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비롯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관련 시스템, 방법 및 제조품도 설명된다.

Description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5월 11일에 출원된 "Paging Occasion Start Determination"이라는 제목의 미국 가특허 출원 제62/670,354호의 이점을 주장하며, 그 내용의 전체가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는 무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에 관한 것이다.
5세대(5G)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룰러 시스템은 대역폭, 레이턴시 및 신뢰성 요구사항과 관련하여 광범위한 사용 사례 및 다양한 요구를 가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점점 더 많아지는 장치 및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술을 사용하여 처리량/데이터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머신 대 머신 통신뿐만 아니라 매우 안정적인 로우 레이턴시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징 상황(paging occasions)과 같은 다운링크에서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비롯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예에서, 후술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가능한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프레임,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uplink-downlink concatenated pattern)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의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장비로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변형예에서, 후술하는 특징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은 임의의 가능한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서의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내의,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은 추가로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양상 및 특징은 원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장치, 방법 및/또는 물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하나 이상의 변형예에 대한 세부사항은 첨부 도면 및 아래의 설명에 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의 특징 및 이점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 그리고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트맵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내에서 페이징 상황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내의 페이징 상황을 명시 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하고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블록 후보 위치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상의 예시적인 검색 공간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을 지칭하기 위해 유사한 표기가 사용된다.
5세대(5G) 셀룰러 시스템을 포함하는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기술(MIMO)과 같은 5G의 많은 기능으로 인해 이전 셀룰러 시스템에 비해 페이징이 더 복잡해질 것이다. 따라서, 페이지를 모니터링할 페이징 상황이 있는 시기를 결정하는 사용자 장비(UE) 작업은 더 복잡하다.
페이징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라미터는 프레임에서의 시간 오프셋, 지속시간, 주기성 등과 같은 페이징 상황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구성은 UE에게 페이징 상황에서의 모니터링 상황을 포함하는 검색 공간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페이징을 위해, 코어 리소스 세트(CORESET) 구성은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표시된 대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RMSI) CORESET에 대해 동일한 구성을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UE는 동기화 신호(SS) 블록, 페이징 다운링크 제어 정보/인디케이터(DCI) 및 페이징 메시지 사이에 QCL(quasi-colocation)을 가정할 수 있다. 더욱이, UE는 하나의 페이징 상황 내에서 다수의 페이징 DCI를 소프트 결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더욱이, UE 및 기지국에 의한 무선 인터페이스 지원은 또한 페이징 DCI의 일부로서 systemInfoModification, cmas-Indication 및/또는 etws-Indication과 같은 소위 "짧은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MIMO 기술이 지원될 수 있고, 따라서 다중 빔 동작은 페이징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페이징 상황의 시간 길이(예를 들어, 지속시간)는 빔 스위핑의 한 주기로 설정될 수 있으며, 스위핑 패턴의 모든 빔에서 동일한 페이징 메시지가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일 페이징 상황이 전체 빔 스위프를 커버할 수 있고, 따라서 UE의 모니터링 패턴도 이를 고려할 수 있다.
UE는 SIB 타입 1과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SIB)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IB 1은 UE에게 업링크(UL) 및 다운링크(DL) 슬롯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DL 슬롯 구성은 PDCCH에 의해 운반되는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형성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반복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연결된 슬롯 패턴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각 패턴에 대한 구성은 DL 심볼 만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슬롯("D"),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심볼 모두를 허용하는 양방향(예컨대, 가요성, 'X') 슬롯, 또는 UL 심볼만 포함하는 업링크 전용 슬롯("U")으로 정의된 서브프레임의 슬롯을 나타낸다. 슬롯은 하나 이상의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내의 슬롯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반송파 간격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구성된 시간 주기를 가질 수 있다. 각 패턴에 대한 구성은 (시간 주기의 시작으로부터의) DL 전용 슬롯의 수량(예컨대, 개수), 가요성 슬롯의 시작으로부터 DL 심볼의 수량, (시간 주기의 종료로부터의) UL 전용 슬롯의 수량 및 가요성 슬롯의 끝에서부터의 UL 심볼의 수량을 제공할 수 있다. DL 전용 슬롯 또는 UL 전용 슬롯으로 표시되지 않은 슬롯은 가요성 슬롯이다.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UE는 다운링크에서, DL 심볼("D") 부분 또는 가요성 심볼("X") 부분에서만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유사하게, UE는 UL 심볼("U") 부분 또는 가요성 심볼("X") 부분에서만 전송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가요성 슬롯(DL 전용("D") 슬롯 및 UL 전용("U") 슬롯 가운데 나머지 슬롯일 수 있음)에 대해, 가요성 슬롯에서의 심볼 파티션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슬롯 시작으로부터의) DL 전용 심볼 및 (슬롯의 끝에서부터의) UL 전용 심볼의 수를 결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남아있는 심볼은 가요성 심볼로 간주될 수 있다.
3GPP 38.213은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상황 매핑에 대해, UE가 제1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컨대, tdd-UL-DL-ConfigurationCommon)를 제공받거나 제2 상위 계층 파라미터(예컨대, tdd-UL-DL-ConfigurationCommon2)를 제공받는 경우, 유효한 PRACH(Physical RACH) 상황은 마지막 다운링크 심볼 또는 마지막 SS/PBCH 블록 전송 심볼 이후에 적어도 Ngap 심볼에서 시작하는 업링크 심볼 또는 가요성 심볼을 포함하는 상황이며, 여기서 Ngap은 표로 제공되며, 예컨대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리앰블 부반송파 간격 값의 함수로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프리앰블 포맷 B4의 경우, Ngap=0이다.
Figure 112020120764398-pct0000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대한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RA)은 DCI의 4비트 리소스 할당 필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리소스 할당 필드의 기본 해석은 3GPP TS 38.214와 같은 표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지만,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은 새로운 무선(NR) 노드 B(gNB)를 포함하는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로부터의 브로드캐스트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제공되고 그 UE에서 구성될 수 있다. 지원되는 PDSCH 할당 크기는 타입 A 1차 동기화 채널(PSCH) 매핑(3,…, 14) 및 PDSCH 타입 B(서브 슬롯 기반 스케줄링) 매핑(2, 4 또는 7)에 맞게 구성될 수 있다. 이 PDSCH 매핑 타입은 3GPP TS 38.214와 같은 표준에 따를 수 있는 PDSCH 시간 도메인 리소스 할당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페이징 프레임(PF) 계산이란 무선 프레임 내의 어디에서 UE가 페이징을 주목해야 하는 지를 나타낸다. 페이징 상황 계산은 UE가 페이징 DCI(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리소스를 할당하는 인디케이터/정보임)를 주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브프레임 정확도를 가질 수 있다.
5G 새로운 무선(NR) 시스템에서, 페이징 상황 계산은 프레임 구조와 관련하여 고정 시분할 듀플렉스(TDD) 패턴 및 고정 수비학이 구현된 이전 세대의 무선 시스템에서만큼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 5G NR의 수비학에서는, 데이터에 대한 부반송파 간격이 15kHz, 30kHz, 60kHz, 120kHz로 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슬롯 할당에도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5G NR의 가요성 TDD 패턴(서브프레임의 임의의 슬롯이 다운링크 슬롯, 업링크 슬롯 또는 가요성 슬롯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이전 셀룰러 시스템과 비교할 때 페이징 상황 결정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페이징 상황의 결정은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 불일치가 발생하고 전력과 자원이 낭비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 NR gNB 기지국 등과 같은 네트워크는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의 어느 슬롯이 페이징 상황 계산에 이용되는지를 명시적으로 정의하거나 나타내는 정보를 UE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가능한 페이징 상황에 대한 지식을 얻은 후, 동일한 페이징 프레임(PF)의 다른 PO에 다른 UE를 분배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의한) 계산이 수행된다. 이는 모든 UE가 동일한 페이징 상황을 주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행된다(예를 들어, 그렇지 않으면 페이징 메시지에 너무 많은 UE ID가 존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페이징 메시지 크기가 너무 커져 전송될 수 없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 gNB 등과 같은 네트워크는 어느 슬롯이 PO 계산에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비트맵을 UE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 정적(semi-static) UL/DL 구성에 대해 120kHz 부반송파 간격과 20ms의 총 주기성을 가정하면, 비트맵은 그 길이가 160 비트로서 전체 UL/DL TDD 슬롯 패턴의 반복 (예컨대, 20ms 기간 내에 120kHz 부반송파 간격을 갖는 160개의 슬롯)을 커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비트맵은 사용 된 부반송파 간격에 의존할 수 있다(예를 들어, 15kHz 부반송파 간격의 경우, 비트맵은 단지 20 비트임). 예를 들어, 다른 부반송파 간격(SCS)은 전체 기간을 커버하는 다른 크기의 비트맵을 요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120kHz SCS 비트맵은 그 길이가 160 비트일 수 있는 한편, 15kHz 부반송파 간격(1ms의 슬롯 길이를 가짐)은 그 길이가 전체 기간을 포함하는 20 비트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UE에 의해 사용되는 SCS에 기초하여 상이한 비트맵이 UE에 제공될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네트워크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완전한 TDD 구성을 얻기 위하여 설정된 TDD (configured TDD) (TDD-UL-DL-ConfigCommon - 1 & 2 연결됨)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TDD UL/DL 구성을 커버하는 비트맵 만을 획득할 수도있다. 예를 들어, TDD 구성 반복은 전체 스위프 기간을 커버하기 위해 0.5ms 슬롯을 갖는 최대 20ms(10ms + 10ms)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비트맵은 40 비트 비트맵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비트맵 길이는 부반송파 간격 및 TDD 구성의 길이에 기초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1ms 슬롯 및 10ms TDD 구성이면 10 비트 비트맵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기 위해, 네트워크는 SCS 및 알려진 TDD 패턴 길이에 기초한 비트맵을 UE에 제공할 것이다(예를 들어, 15kHz에서, 1ms 슬롯 및 10ms 주기의 TDD 패턴이면, 10 비트 비트맵이 UE에 제공되는 한편, 120kHz, 0.125ms, 10ms 주기의 TDD 패턴의 경우, 80 비트 비트맵이 UE에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는 구성된 TDD 구성(전체 TDD 구성을 얻도록 연결된 TDD-UL-DL-ConfigCommon - 1 & 2)을 사용하여 페이징 프레임의 지속기간(예를 들어, 10ms)이 UL-DL 구성 길이(또는 기간)에 대응하는 블록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 페이징 상황의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그에 따라 UL/DL 패턴의 시작과 정렬된다). 예를 들어, (페이징 프레임 내) 가능한 페이징 상황 시작 위치의 수량(또는 개수)은 다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20120764398-pct00002
여기서,
Figure 112020120764398-pct00003
는 페이징 프레임의 길이(예컨대, 10ms)이고
Figure 112020120764398-pct00004
는 단일 UL-DL 슬롯 패턴의 길이(예컨대, 0.5ms) 또는 대안으로 빔 스위프의 전체 기간에 걸쳐 반복될 수 있는 연결된 패턴의 길이이다.
Figure 112020120764398-pct00005
는 필요한 비트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페이징 프레임이 10ms이고 최소 UL-DL 슬롯 구성 길이가 0.5ms라고 가정하면, 결과적인 비트맵은 20 비트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는 UL/DL 구성 기간 내에서 다수의 페이징 상황 시작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 비트맵을 결정할 수 있으며, 비트맵 내의 각각의 '1'은 페이징 프레임 내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네트워크는 페이징 프레임에서 페이징 상황에 사용되는 N번째 가능한 슬롯(들)을 UE에 시그널링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는 페이징에 사용되는 제1 및 제3 가능한 슬롯을 UE에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TDD UL/DL 패턴을 알고 해당 페이징 프레임에서 제3 슬롯(DL 또는 다방향 또는 양방향 슬롯, X일 수 있음)을 페이징 슬롯으로 취급하고, 그런 다음 후속하는 제10 슬롯 등을 페이징 상황으로 취급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 예에서는 TDD 패턴이 10ms로 나눠질 수 있고 서로 다른 페이징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슬롯이 DL/UL이라고 가정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페이징 상황의 지속기간은 UL-DL 슬롯 패턴 기간 또는 연결된 UL-DL 슬롯 패턴 기간 중 하나 또는 다수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간의 수를 결정하는 인자는 사양(specification)을 통해 결정될 수 있고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페이징 프레임의 길이, 및/또는 UL-DL 슬롯 패턴의 기간 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에 의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페이징 프레임의 지속기간은 UL-DL 슬롯 패턴 기간 또는 연결된 UL-DL 슬롯 패턴 기간 중 하나 또는 다수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기간의 수를 결정하는 인자는 사양(specification)을 통해 결정될 수 있고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된 부반송파 간격, 페이징 프레임에서의 페이징 상황의 수 등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에 의존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비트맵 구현들 중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비트맵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상황 비트맵(105)의 예를 도시한다. 비트맵(105)은 "1"로 표시된 페이징 상황 시작 위치를 묘사한다. 이 예에서, 페이징 상황의 시작 위치는 연결된 UL-DL 패턴(110)의 시작일 수 있다. 이 예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의 시작 길이는 10 밀리초(ms)이고, 연결된 UL-DL 패턴(110)은 그 길이가 2.5ms 길이이므로, 페이징 상황은 페이징 프레임에서 두 번 발생할 수 있는데, 즉 연결된 UL-DL 패턴(110)의 시작에서 그리고 제3 연결된 UL-DL 패턴(110)의 시작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비트맵은 사용자 장비가 페이징 상황을 계산할 수 있게 해준다.
도 2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상황 비트맵(205)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비트맵(205)은 "1"로 표시된 페이징 상황 시작 위치를 묘사한다. 이 예에서, 페이징 상황의 시작 위치는 연결된 UL-DL 패턴(210)의 시작일 수 있다. 이 예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은 그 길이가 10 밀리초(ms)이다. 연결된 UL-DL 패턴(210)은 그 길이가 2.5ms이다. 도 1과는 달리, 슬롯은 0.125ms이므로 UL-DL 패턴(1)은 1.25ms의 주기를 가지며, UL-DL 패턴(2)은 1.25ms의 주기를 갖는다. 그러나, 도 1과는 달리, 도 2의 비트맵(205)은 페이징 프레임에서의 연결된 UL-DL 패턴(210)의 시작에서 그리고 페이징 프레임 내에의 제3 연결된 UL-DL 패턴(210)의 시작에서 페이징 상황을 정의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징 상황 비트맵(305)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비트맵(305)은 "1"로 표시된 페이징 상황 시작 위치(들)를 묘사한다. 이 예에서, "1"은 연결된 패턴의 각 패턴에 대한 시작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트맵의 값 "1"은 UL-DL 패턴(2)의 시작이 페이징 상황임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페이징 프레임(PF)은 그 길이가 10 밀리초(ms)이고, 연결된 UL-DL 패턴(210)은 그 길이가 10ms이며, 슬롯은 0.5ms이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410) 및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450)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400)의 일부의 예를 도시한다.
UE(410)는 5G gNB 기지국으로 지칭될 수 있는 기지국(450)과 같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서빙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450)은 프레임에서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보(460)를 UE(4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460)는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에서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UE(410)에게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의 도 1 내지 도 3은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UE(410)에 시그널링하는 비트맵(105-305)의 예를 설명한다. UE(410)가 정보(460)를 수신하면, UE(410)는 기지국(450)으로부터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기로 선택할 수 있는 시기를 알 수 있다.
기지국(450)은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AMF), 방문 세션 관리 기능(V-SMF), 방문 정책 제어 기능(v-PCF), 방문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v-NSSF), 방문 사용자 평면 기능(V-UPF) 및/또는 기타 노드를 포함할 수 있는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무선 프레임 내에서 페이징 상황의 시작에 관한 명시적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프로세스(500)의 예를 도시한다.
510에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450)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 내에서 명시적인 페이징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그 정보를 비트맵(105-305)과 같은 비트맵으로 결정할 수 있다. 비트맵은 프레임에서 UE(410)가 페이징 상황에 대해 주목/모니터링을 시작해야 하는 위치를 표시한다.
515에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450)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는 프레임 내에서 명시적인 페이징 상황을 나타내는 비트맵과 같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SIB2와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을 통해, 비트맵(105-305)와 같은 비트맵을 UE(410)에 제공할 수 있다.
520에서, 사용자 장비(410)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내에서 명시적인 페이징 상황을 나타내는 비트맵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SIB2와 같은 시스템 정보 블록을 통해 비트맵과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540에서,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UE(410)는 520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UE는 520에서 수신된 비트맵(205)에 기초하여,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 연결된 UL-DL 패턴(210)의 시작에서 그리고 페이징 프레임 내에서 연결된 UL-DL 패턴(210)의 제3 발생의 시작에서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는 적어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적어도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프레임,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 5G gNB 등)는 적어도,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트맵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프레임,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의 각 슬롯을 나타낼 수 있다.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은 추가로 장치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1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10)는 사용자 장비(410)와 같은 사용자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장치(10) 또는 그 내부의 일부는 기지국(예를 들어, 장치(450))을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0)는 송신기(14) 및 수신기(16)와 통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신 및 수신 안테나는 분리될 수 있다. 장치(10)는 송신기에 신호를 제공하고 수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2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송신기 및 수신기로의 전기 리드(lead)를 통해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함으로써 송신기 및 수신기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20)는 프로세서(20)를 디스플레이 또는 메모리와 같은 장치(10)의 다른 요소에 연결하는 전기 리드를 통해 제어 시그널링을 수행함으로써 그 다른 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예를 들어, 회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코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를 수반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가 수반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하나 이상의 코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제어기, 처리 회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집적 회로(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를 포함한 다양한 기타 처리 요소,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는 단일 프로세서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 통신 프로토콜, 변조 타입, 액세스 타입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는 적용가능한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 및/또는 Wi-Fi, 무선 로컬 액세스 네트워크(WLAN) 기술, 예컨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802.16, 802.3, ADSL, DOCSIS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수의 상이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킹 기술에 따른 시그널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신호는 음성 데이터, 사용자 생성 데이터, 사용자 요청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 및/또는 내부의 셀룰러 모뎀은 다양한 1세대(1G) 통신 프로토콜, 2세대(2G 또는 2.5G) 통신 프로토콜, 3세대(3G) 통신 프로토콜, 4세대(4G) 통신 프로토콜, 5세대(5G) 통신 프로토콜, IMS(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통신 프로토콜(예컨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장치(10)는 2G 무선 통신 프로토콜(IS-136),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모바일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IS-95,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장치(10)는 2.5G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등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치(10)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3G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장치(10)는 추가적으로 LTE(Long Term Evolution),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등과 같은 3.9G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장치(10)는 LTE-A, 5G 등과 같은 4G 무선 통신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추후 개발될 수 있는 유사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장치(10)의 오디오/비디오 및 로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 장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의 제어 및 신호 처리 기능은 이들 장치 사이에서 이들의 각각의 능력에 따라 할당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내부 음성 코더(VC)(20a), 내부 데이터 모뎀(DM)(20b)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0)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20) 및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는 장치(10)가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연결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연결 프로그램은 장치(10)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하이퍼 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등과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위치 기반 컨텐츠와 같은 웹 컨텐츠를 송수신하게 해줄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예를 들어, 프로세서(20)에 동작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이어폰 또는 스피커(24), 벨소리 장치(22), 마이크로폰(26), 디스플레이(28),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28)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터치 및/또는 제스처를 통해 선택을 행하고, 값을 입력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또한 스피커(24), 벨소리 장치(22), 마이크로폰(26), 디스플레이(28)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 및/또는 이 프로세서(20)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회로는 프로세서(20)에 액세스 가능한 메모리, 예컨대 휘발성 메모리(40), 비 휘발성 메모리(42) 등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예컨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하나 이상의 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0)는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각종 회로, 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출력으로서 기계적 진동을 제공하는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장치(20)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장치, 예컨대, 키패드(30)(디스플레이(28)에 제시된 가상 키보드 또는 외부적으로 결합된 키보드일 수 있음) 및/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는 또한 데이터를 공유 및/또는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는 단거리 무선 주파수(RF) 트랜시버 및/또는 질문기(64)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데이터는 RF 기술에 따라 전자 장치와 공유되고 및/또는 그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장치(10)는 적외선(IR) 트랜시버(66), BluetoothTM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작동하는 BluetoothTM(BT) 트랜시버(68), 무선 범용 직렬 버스(USB) 트랜시버(70), BluetoothTM 저에너지 트랜시버, 지그비(ZigBee) 트랜시버, ANT 트랜시버, 셀룰러 장치 대 장치 트랜시버, 무선 근거리 링크 트랜시버 및/또는 기타 단거리 무선 기술과 같은 다른 단거리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 및 특히 단거리 트랜시버는 예를 들어 10 미터 이내와 같이 장치의 근접 거리 내에 있는 전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Wi-Fi 또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킹 모뎀을 포함하는 장치(10)는 또한 6LoWpan, Wi-Fi, Wi-Fi 저전력, WLAN 기술, 예컨대 IEEE 802.11 기술, IEEE 802.15 기술, IEEE 802.16 기술 등을 포함한 다양한 무선 네트워킹 기술에 따라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장치(10)는 모바일 가입자에 관련된 정보 요소를 저장할 수 있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38), 제거 가능한 사용자 식별 모듈(R-UIM), eUICC, UICC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SIM에 더하여, 장치(10)는 다른 제거 가능 및/또는 고정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는 휘발성 메모리(40)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40)는 동적 및/또는 정적 RAM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온칩 또는 오프 칩 캐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내장형이거나 및/또는 제거가능할 수 있는 비 휘발성 메모리(42)는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및/또는 미디어,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40)와 같이, 비 휘발성 메모리(42)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을 위한 캐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및/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20)에 내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장치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프로세스(500)의 하나 이상의 측면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 정보 조각,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장치는 UE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WLAN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작을 야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는 장치(1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국제 모바일 장비 식별(IMEI) 코드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장치(10)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국제 모바일 장비 식별(IMEI) 코드와 같은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는 메모리(40 및/또는 42)에 저장된 컴퓨터 코드를 사용하여 기지국 및 UE에 대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작(예를 들어, 프로세스(500) 및/또는 다른 동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중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애플리케이션 로직, 또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로직 및/또는 하드웨어는 예를 들어 메모리(40), 제어 장치(20) 또는 전자 컴포넌트에 상주할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 로직,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어 세트는 다양한 종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중 임의의 하나에 유지된다.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컴퓨터 혹은 데이터 프로세서 회로와 같은 장치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할 명령어를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비 일시적 매체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 의해 또는 이와 관련하여 사용할 명령어를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일 수 있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5G New Radio에서 빔 스위핑에 관련된 추가 설명을 제공한다. UE는 SS/PBCH 블록(SSB)을 검출하여 셀에 대한 시간 및 주파수 동기화를 획득(그리고 Cell-ID 획득)할 수 있다. SSB는 PBCH(Primary Broadcast Channel)에 관련된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와 함께 1차 동기화 신호(PSS), 2차 동기화 신호(SSS) 및 1차 방송 채널(PBCH)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TS 38.213, 섹션 4.1 참조). PSS 및 SSS는 시퀀스 초기화를 통해 Cell-ID를 전달할 수 있고, PBCH는 DMRS, SSB 인덱스 등을 포함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를 전달할 수 있다. 빔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SSB는 시간 다중 방식으로 다른 공간 방향으로 보내질 수 있다. 하프-프레임(5ms)에서의 후보 위치가 도 7에서 30kHz에서의 특정 사용 사례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예컨대, TS 38.213의 사례 B 참조).
하프-프레임 패턴으로 전송되는 SSB의 패턴은 일정주기(예를 들어, 5, 10, 20, 40, 80 또는 160ms)로 반복된다. 이에 대응하여, 시스템 정보 블록 1(SIB1)의 경우, UE는 Type0-PDCCH에 대한 모니터링 패턴을 사용하여 MIB('pdcch-ConfigSIB1')를 통해 구성되어 SIB1을 스케줄링한다. 이 구성은 심볼(예컨대, {1,2, 또는 3}) 측면에서의 제어 리소스 세트(CORESET)의 길이, 연속적인 리소스 블록의 수(예컨대, 24, 48, 또는 96), (SSB 위치에 관한) CORESET의 주파수 위치, 및 모니터링 패턴에 대해 사용된 패턴 및 파라미터화를 UE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상황이 20ms마다 발생하는 SS/PBCH 및 CORESET 모니터링 패턴 1의 경우, UE는 (상황이 발생한) 무선 프레임의 시작으로부터의 오프셋(O)과, 각각의 SSB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상황을 시간에 맞추는 시프트(M)와, 슬롯 당 가능한 모니터링 상황의 수를 제공받는다. 검출된 SSB 인덱스, 즉 MIB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UE는 각각의 SSB 인덱스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상황(검색 공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검색 공간 위치(예를 들어, 페이징 상황)의 하나의 실현을 예시한다.
아래에 나타나는 청구항의 범위, 해석 또는 적용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기술적 효과는 페이지의 모니터링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주제는 원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장치, 방법 및/또는 물품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또는 그 안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는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임베디드 프로세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구현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수신하고 그로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전송하도록 결합된 특수 또는 범용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에서 실행가능한 및/또는 해석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프로그램 코드 또는 코드라고도 함)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머신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위 레벨 절차 및/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및/또는 어셈블리/기계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명령어를 수신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비롯하여, 머신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에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장치 및/또는 디바이스(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메모리,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시스템이 설명되는데, 이 시스템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결합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몇 가지 변형예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다른 변형예 또는 추가가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들에 추가하여, 추가의 특징 및/또는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된 구현들은 개시된 특징의 다양한 조합 및 하위조합 및/또는 위에서 개시된 몇몇 추가 특징의 조합 및 하위조합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음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원한다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상이한 기능들은 상이한 순서로 및/또는 서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원한다면, 전술한 기능 중 하나 이상은 선택사항이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이 독립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의 다른 측면은 설명된 실시예 및/또는 종속 청구항의 특징과 독랍 청구항의 특징의 상이한 조합을 포함하고, 또한 청구항에 명시적으로 설명된 것 이외의 것도 포함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보여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일부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행해질 수 있는 여러 변형 및 수정이 있다. 다른 실시예는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용어 "기초하여"는 "적어도 기초하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라는 문구의 사용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예컨대 ~와 같은"을 의미한다.

Claims (42)

  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paging occasion)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하고,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게 하도록 구성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내의, 프레임 내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내의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은 하나 이상의 PDCCH 모니터링 상황을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용자 장비에 포함되는
    장치.
  10.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내의, 프레임 내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내의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이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8. 실행되면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과,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21.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전송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하고,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게 하는
    장치.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내의, 프레임 내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내의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이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은 또한 상기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게 하는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포함되는
    장치.
  31.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페이징 프레임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서브프레임 내의, 프레임 내의, 업링크-다운링크 패턴 내의 및/또는 업링크-다운링크 연결 패턴 내의 각 슬롯을 나타내는
    방법.
  38. 제31항에 있어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이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상기 정보를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0. 실행되면 동작들을 야기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동작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1. 장치로서,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정보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을 나타내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비트 길이는 사용되는 부반송파 간격에 기초함 - 과,
    상기 비트맵을 포함하는 상기 전송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을 트리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은 상기 하나 이상의 페이징 상황의 시작 슬롯을 나타내는
    장치.
KR1020207032618A 2018-05-11 2019-05-10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KR102434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0354P 2018-05-11 2018-05-11
US62/670,354 2018-05-11
PCT/EP2019/062046 WO2019215329A1 (en) 2018-05-11 2019-05-10 Paging occasion start deter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722A KR20200143722A (ko) 2020-12-24
KR102434156B1 true KR102434156B1 (ko) 2022-08-18

Family

ID=6655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618A KR102434156B1 (ko) 2018-05-11 2019-05-10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97596B2 (ko)
EP (1) EP3791646A1 (ko)
JP (2) JP2021523633A (ko)
KR (1) KR102434156B1 (ko)
CN (1) CN112106414A (ko)
WO (1) WO2019215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9365B2 (ja) 2017-09-29 2022-04-25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ショート物理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spdcch)のための、ショート制御チャネルエレメント(scce)とショートリソースエレメントグループ(sreg)とのマッピング
WO2019214708A1 (en) * 2018-05-11 2019-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indication information of time domain resource allocation
KR102208130B1 (ko) * 2019-01-11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면허 대역에서 동기 신호 블록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246160B2 (en) * 2019-02-28 2022-0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alid RACH occasion determination in NR unlicensed
EP3772228A1 (en) * 2019-08-02 2021-02-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US11849481B2 (en) * 2019-08-08 2023-12-1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nfiguring multiple-SCS and multi-beam direction communica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8440A1 (en) * 2016-03-16 2017-09-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on search space (css) for paging of nb-iot devices
WO2018023364A1 (en) * 2016-08-02 2018-02-08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umerology multiplex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521B1 (ko) 2010-03-12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페이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857869A (zh) * 2011-06-30 2013-01-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寻呼方法和装置、寻呼消息接收方法及用户设备
MX2017009590A (es) * 2015-01-23 2018-06-20 Huawei Tech Co Ltd Metodo de radiolocalizacion, dispositivo y sistema de radiolocalizacion.
US10420102B2 (en) * 2017-02-15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Narrowband time-division duplex frame structure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CN109803376B (zh) * 2017-11-17 2024-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寻呼消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JP7166352B2 (ja) * 2018-04-05 2022-11-0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新無線におけるページングオケージョンの設計
CN112514475B (zh) * 2018-05-10 2024-03-26 株式会社Ntt都科摩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8440A1 (en) * 2016-03-16 2017-09-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on search space (css) for paging of nb-iot devices
WO2018023364A1 (en) * 2016-08-02 2018-02-08 Ne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umerology multiple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23633A (ja) 2021-09-02
US11297596B2 (en) 2022-04-05
WO2019215329A1 (en) 2019-11-14
CN112106414A (zh) 2020-12-18
EP3791646A1 (en) 2021-03-17
JP2022191387A (ja) 2022-12-27
KR20200143722A (ko) 2020-12-24
US20190349885A1 (en) 2019-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156B1 (ko) 페이징 상황 시작 결정 기법
KR102604338B1 (ko) Multefire 커버리지 강화를 위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 피드백
JP2020145715A (ja) 無線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達構成
US20230156642A1 (en) Enabling Multiple Numerologies in a Network
US20180198594A1 (en) User device signal processing based on triggered reference signals for wireless networks
EP4131822A1 (en) Latency reduction in shared or unlicensed spectrum
TW202015445A (zh) 組共用控制資訊
KR101997901B1 (ko)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 전송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사용자 장비
CN110692278B (zh) 用于联合的上行链路数据和信道状态信息反馈的信令设计
AU2017355743B2 (en) User equipment and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EP3744037B1 (en) Timing for reference signals in multiple numerology wireless communications
CN113169851A (zh) 无线通信系统中的对物理下行控制信道(pdcch)进行盲解码的方法和装置
US11689950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multiplexing with synchronization signal blocks
CN111246587B (zh) 传输方法和装置
WO2021034638A1 (en) Reference signals for narrowband communications
WO2020037110A1 (en) Network-assisted sidelink scheduling techniques
EP4278543A1 (en) Multipl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triggered by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203302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titive transmiss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s
US20210195587A1 (en) Broadcast operation with bi-directional subframe slots in multibeam deployment
EP310054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a dynamic range for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US20240137874A1 (en) Reference signal available slot indication by group comm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30038113A1 (en) Assignment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o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WO2022155415A1 (en) Multiple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triggered by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O2013063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support
CN117796079A (zh) 用于侧链路通信的资源预留优先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