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57B1 -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 Google Patents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057B1
KR102434057B1 KR1020210179483A KR20210179483A KR102434057B1 KR 102434057 B1 KR102434057 B1 KR 102434057B1 KR 1020210179483 A KR1020210179483 A KR 1020210179483A KR 20210179483 A KR20210179483 A KR 20210179483A KR 102434057 B1 KR102434057 B1 KR 10243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ibut
seeds
space
inspection mirror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현
양성진
김상규
이경훈
오우석
Original Assignee
한국수산자원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산자원공단 filed Critical 한국수산자원공단
Priority to KR1020210179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3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solid biological material, e.g. tissue samples, cell cul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된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며, 넙치 종자가 안착되는 검사경(200); 및 상기 넙치 종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넙치 종자의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Determining Apparatus of Olive flounde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넙치 종자의 외형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기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넙치 종자의 크기, 무게 및 기형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형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 수준에 증가함에 따라 국내 1인당 수산물의 연간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7년 기준 수산물 소비량은 전통적인 주요 수산물 소비국인 일본을 초과한 72.2kg으로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어로어업 생산량은 1990년 147만톤을 정점으로 생산량이 감소세에 있는 반면 양식어업 생산량은 '20년대 어업 생산량을 초과하여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어류, 패류, 갑각류 등의 국내 수산물 양식산업을 위한 인공종자 생산(수산종자 생산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어(廣魚)로 널리 알려진 넙치는 가자미목 넙치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서, 연안의 조수가 고여 있는 곳으로부터 수심 1,000m의 심해에까지 서식한다.
몸길이는 5cm 정도인 소형종에서부터 80cm에 달하는 종류까지 있으며, 몸은 납작하고 대개 원 모양에서 긴 타원형까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에서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고, 몸 색깔은 눈이 있는 쪽은 갈색 또는 어두운 색이고, 반대쪽은 흰색이다.
넙치의 경우는 양식되는 해산어류 중 생산량이 가장 많은 품종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어종이지만 인공종자 생산 시, 사육 환경이나 기술에 따라 체형 이상(기형), 예를 들어 척추골의 융합이나 단축 등의 골격 이상, 체장 단축, 눈의 위치가 반대인 개체, 새개골의 형태 이상, 배지느러미의 일부 결실, 아래턱의 길이 짧음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양성 시 성장도와 생존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체형 이상에 해당되는 개체의 선별을 통해 건강한 종자만이 양성장으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형 여부를 결정하는 판별은 대부분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로 인해 판별의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또 판별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2784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00087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판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판별 시간을 단축하여 판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는, 소정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된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며, 넙치 종자가 안착되는 검사경(200); 및 상기 넙치 종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본체부(100)는, 육면체 외형을 가지며 전면부 중앙에는 넙치 종자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111)가 마련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20)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상부 커버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 저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다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개방구(111)와 연통되며 검사경(200) 상부의 제1 공간부(S1), 상기 검사경(200)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S2), 상기 제1 공간부(S1)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공간부(S3), 및 상기 제3 공간부(S3) 상부에 위치하는 제4 공간부(S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촬영부(400)는 상기 검사경(200) 하부의 제2 공간부(S2)에 위치하고, 상기 촬영부(400)와 검사경(200) 사이에는 조명부(3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검사경(200)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판(120) 내측면에는 넙치 종자의 결과를 보여주는 모니터(50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상부 커버판(120)을 닫을 시, 상기 모니터(500)는 상기 제4 공간부(S4)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촬영부(400)는 비젼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몸체부(110) 전면에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부(300)와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에서, 상기 제3 공간부(S3)에는 상기 촬영부(400)를 제어하고, 촬영부(400)에서 전송된 결과로부터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제어부(600)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 장치를 이용한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방법은, 본체부 내부의 검사경 상면에 판별이 요구되는 넙치 종자를 안착시키는 단계; 검사경 상면의 넙치 종자를 촬영하고,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촬영된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형 판별 방법에 의하면, 판별 대상인 넙치 종자를 비젼카메라로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넙치 종자의 크기, 부피 또는 기형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판별의 정확성을 높이고 나아가 판별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에서 하부 측면판을 벗긴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에서 조명부와 촬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의 시제품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의 시제품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에서 하부 측면판을 벗긴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에서 조명부와 촬영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본체부(100), 검사경(200), 조명부(300), 촬영부(400), 모니터(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부(100)에 관해 설명하면,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갖는 몸체부(110), 몸체부(120)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상부 커버판(120), 및 몸체부(110) 저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다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110)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된 공간부가 구비되는 한편, 개방구(111), 조작부(112) 및 손잡이(113)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판별 대상에 해당되는 넙치 종자가 수납될 수 있도록 중앙에 제1 공간부(S1)가 마련되며, 이 제1 공간부(S1)를 기준으로 아래에는 제2 공간부(S2), 위에는 제3 공간부(S3)가 구비되어 있는 한편, 제3 공간부(S3) 위에는 제4 공간부(S)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공간부(S1)에 넙치 종자를 넣거나 빼기 위하여 전면부 중앙에 개방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구(111) 상부에는 장치의 운전을 위한 제어, 예를 들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부(300)와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판별 장치를 이동시킬 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양 측면에는 한 쌍의 손잡이(1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검사경(2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검사경(200)은 판별 대상에 해당되는 넙치 종자가 안착되는 곳으로,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며 이러한 검사경(200)에 의해 전술한 제1 공간부(S1)와 제2 공간부(S2)가 서로 구획된다.
여기서, 검사경(200)은 투명한 재질의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넙치 종자 판별 작업시 발생 할 수 있는 충격이나 스크레치에 강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조명부(300)는 검사경(200) 아래, 즉 제2 공간부(S2)에 장착되며, 촬영부(400)를 사용하여 검사경(200)에 놓인 넙치 종자를 촬영할 시,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조명부(300)는 반사경(310)과 복수개의 램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반사경(310)은 검사경(200) 하면을 기준으로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대략 반구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의 램프(320)는 반사경(310)의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면서 하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반사경(310)과 램프(320)가 구비됨으로써 촬영부(400)에서 촬영할시 역광을 방지하고 나아가 넙치 종자를 향해 빛을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어 넙치 종자를 선명하게 촬용할 수 있다.
물론, 램프(320)에서 조사된 빛이 반사될 수 있도록 반사경(310) 내면에는 반사필름이 부착되거나 거울일 수 있다.
한편, 넙치 종자의 등 부분은 어둡고 배 부분은 상대적으로 밝은 색을 띄고 있다. 따라서 한층 선명한 화면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검사경(200)에 안착된 넙치 종자의 방향을 고려하여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램프 콘트롤이 조작부(112)에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어두운 등 부분이 촬영부(400)를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빛의 밝기를 높이고, 반대로 밝은 색을 띄는 부분이 촬영부(400)를 향하고 있을 시에는 상대적으로 빛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한다.
제2 공간부(S2),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부(300) 아래에 장착된 촬영부(400)는 검사경(200)에 놓인 넙치 종자를 촬영하며, 바람직하게는 비젼 카메라이다.
즉, 검사경(200)에 놓인 넙치 종자를 향해 조명부(300)에서 빛을 조사하면 비젼 카메라를 통해 넙치 종자의 외형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넙치 종자를 신속하게 판별하고 나아가 넙치 종자가 제대로 촬영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50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모니터(500)는 몸체부(120)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상부 커버판(120) 내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할 시에만 모니터(500)가 외부로 노출되고, 판별 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시에는 상부 커버판(120)에 의해 모니터(500)가 보호된다.
특히, 몸체부(110) 상부에는 상부 커버판(120)을 닫을 시 모니터(500)를 수납할 수 있을 정도의 빈 공간인 제4 공간부(S)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를 이동시키거나 보관시 부피 증가 없이 모니터(500)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모니터(500)에는 촬영부(400)에서 전송된 넙치 종자의 정보, 예를 들어 외형뿐만 아니라, 제어부(600)에서의 넙치 종자 결과들을 함께 보여 줄 수 있다.
다음은 제어부(600)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600)는 제3 공간부(S3) 즉 제1 공간부(S1)와 제4 공간부(S4)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어부(600)에는 넙치 종자와 관련한 다수의 정보, 예를 들어 길이에 따른 체적, 체적에 따른 중량, 기형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와 비젼카메라에서 전송된 결과를 비교하여 판별 대상인 넙치 종자의 체적이나 중량을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있다.
이 외에도 조명부와 비젼카메라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전술한 모니터(500)에 전송됨으로써 작업자는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를 사용하여 넙치 종자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의 시제품 사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넙치 종자 기형 판별장치의 시제품을 사용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넙치 종자를 판별하는 방법은, 본체부 내부의 검사경 상면에 판별이 요구되는 넙치 종자를 안착시키는 단계; 검사경 상면의 넙치 종자를 촬영하고,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촬영된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검사경 상면의 넙치 종자를 촬영할 시에는, 판별 대상인 넙치 종자의 외형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반구형 모양의 면에 LED 램프가 장착된 조명부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넙치 종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 촬영된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한 결과는 검사자가 육안으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고, 촬영된 넙치의 외형은 기형여부 등을 판단하기 전이라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본체부
110 : 몸체부
111 : 조작부 112 : 손잡이
120 : 상부 커버판
130 : 다리
200 : 검사경
300 : 조명부
310 : 반사경 320 : 램프
400 : 비젼카메라
500 : 모니터
600 : 제어부
S1 : 제1 공간부 S2 : 제2 공간부
S3 : 제3 공간부 S4 : 제4 공간부

Claims (10)

  1. 소정 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된 공간부가 마련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장착되며, 넙치 종자가 안착되는 검사경(200);
    상기 넙치 종자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400); 및
    상기 촬영부(400)와 검사경(200) 사이에 위치하는 조명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0)는, 육면체 외형을 가지며 전면부 중앙에는 넙치 종자의 출입을 위한 개방구(111)가 마련된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20) 상면 가장자리 일측에서 회동가능하게 개폐되는 상부 커버판(120), 및 상기 몸체부(110) 저부에 장착된 복수개의 다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는, 상기 개방구(111)와 연통되며 검사경(200) 상부의 제1 공간부(S1), 상기 검사경(200) 하부에 위치하는 제2 공간부(S2), 상기 제1 공간부(S1) 상부에 위치하는 제3 공간부(S3), 및 상기 제3 공간부(S3) 상부에 위치하는 제4 공간부(S4)로 구성되고,
    상기 촬영부(400)는 상기 검사경(200) 하부의 제2 공간부(S2)에 위치하고,
    상기 검사경(200)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커버판(120) 내측면에는 넙치 종자의 결과를 보여주는 모니터(500)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 커버판(120)을 닫을 시, 상기 모니터(500)는 상기 제4 공간부(S4)에 수납되고,
    상기 조명부(300)는 반사경(310)과 복수개의 램프(320)를 포함하되, 상기 반사경(310)은 검사경(200) 하면을 기준으로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반구형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개의 램프(320)는 반사경(310) 가장 자리를 따라 배치되면서 하방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400)는 비젼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 전면에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부(300)와 촬영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간부(S3)에는 상기 촬영부(400)를 제어하고, 촬영부(400)에서 전송된 결과로부터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내장된 제어부(600)가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
  10. 청구항 제1항,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넙치 종자의 판별 장치를 사용한 넙치 종자의 판별 방법으로서,
    본체부 내부의 검사경 상면에 판별이 요구되는 넙치 종자를 안착시키는 단계;
    검사경 상면의 넙치 종자를 촬영하고,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촬영된 넙치 종자의 크기, 체적, 중량 및 기형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넙치 종자의 판별 방법.
KR1020210179483A 2021-12-15 2021-12-15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10243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83A KR102434057B1 (ko) 2021-12-15 2021-12-15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483A KR102434057B1 (ko) 2021-12-15 2021-12-15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057B1 true KR102434057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483A KR102434057B1 (ko) 2021-12-15 2021-12-15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05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612B1 (ko) * 2000-08-29 2002-03-18 우상엽 이동형 반도체 실장테스트장치
KR20120027843A (ko) 2010-09-13 2012-03-22 임봉수 넙치 암수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넙치의 암수 판별방법
CN206330899U (zh) * 2016-12-28 2017-07-14 东莞市明威视觉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usb数据线全自动检测仪
CN207610772U (zh) * 2017-12-08 2018-07-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鱼类体长体重测量装置
KR101931998B1 (ko) * 2018-04-16 2018-1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KR102000878B1 (ko) 2018-07-31 2019-07-18 주식회사 불루젠코리아 넙치 암수판별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hrm-pcr 분석방법
EP3531126B1 (en) * 2018-02-27 2021-04-07 Nordfish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packaged fish product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612B1 (ko) * 2000-08-29 2002-03-18 우상엽 이동형 반도체 실장테스트장치
KR20120027843A (ko) 2010-09-13 2012-03-22 임봉수 넙치 암수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넙치의 암수 판별방법
CN206330899U (zh) * 2016-12-28 2017-07-14 东莞市明威视觉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usb数据线全自动检测仪
CN207610772U (zh) * 2017-12-08 2018-07-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鱼类体长体重测量装置
EP3531126B1 (en) * 2018-02-27 2021-04-07 Nordfish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pection of packaged fish products
KR101931998B1 (ko) * 2018-04-16 2018-12-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KR102000878B1 (ko) 2018-07-31 2019-07-18 주식회사 불루젠코리아 넙치 암수판별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hrm-pcr 분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81307B1 (en)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DK181217B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AU2009301638B2 (en) Modified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ment, evaluation and grading of gemstones
DK181498B1 (en)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CN102132157B (zh) 透照检卵方法和相应的设备
Young et al. Eyes and extraocular photoreceptors in midwater cephalopods and fishes: their roles in detecting downwelling light for counterillumination
DK181306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XTERNAL FISH PARASITE MONITORING IN AQUACULTURE
KR101931998B1 (ko)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US10935783B1 (en) Optical system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in an aquaculture environment in situ
Wold et al. Rapid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edible meat content in crabs (Cancer pagurus) by near-infrared imaging spectroscopy
CA3070278A1 (en) Iot based apparatus for assessing quality of food produce
NO20220222A1 (ko)
NO310751B1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for viljebestemt orientering av fisk
KR102434057B1 (ko)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ES2552405B1 (es) Sistema y método de detección de parásitos Anisakis en filetes de pescado
Gagnon et al. Visual acuity in pelagic fishes and mollusks
Santon et al. Redirection of ambient light improves predator detection in a diurnal fish
Zakroff et al. Dose-dependence and small-scale variability in responses to ocean acidification during squid, Doryteuthis pealeii, development
JP2005233636A (ja) 食肉の脂肪交雑検査方法及び装置
Hanke et al. Visual fields and eye movements in a harbor seal (Phoca vitulina)
Hirsch et al. Individual identification of Eurasian perch Perca fluviatilis by means of their stripe patterns
CN207351021U (zh) 一种智能冰箱
ES2552397A1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estimación de atunes capturados por especie a bordo de embarcaciones pesqueras
JP5123758B2 (ja) 魚判別装置
WO199400379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kind and distribution of tissue in living organis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