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998B1 -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998B1
KR101931998B1 KR1020180044055A KR20180044055A KR101931998B1 KR 101931998 B1 KR101931998 B1 KR 101931998B1 KR 1020180044055 A KR1020180044055 A KR 1020180044055A KR 20180044055 A KR20180044055 A KR 20180044055A KR 101931998 B1 KR101931998 B1 KR 10193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red barley
fish
seed
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186A (ko
Inventor
백혜자
김형배
윤낙진
이치훈
강민주
이영돈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44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01K61/95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specially adapted for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강 양식 어류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과의 길이비를 얻는 단계; 상기 건강 어류와 동일 종인 대상 양식 어류에서 상기 길이비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두 길이비를 비교하여 소정 수준 미만의 차이가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육안에 의존하던 종래의 방식을 대체할 수 있고,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선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선별된 양식어류의 건강종자를 방류함으로써 건강한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Discrimination method of healthy seed using phenotype of farmed fish}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식업은 1970년대부터 산업적인 규모로 발달하였으며, 이후 양식기술 개발과 생산량 증가가 이루어졌다. 세계 양식업은 20세기 들어 수산식량 공급의 중요 원천으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양식 기술의 개발로 양식 어류의 폐사율을 저하시켰으며, 양식의 자동화로 인건비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개발에도 불구하고 양식어류의 우수한 종자를 선별에는 여전히 육안 선별에 의존하고 있어 시스템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정확하고 빠르게 양식어류의 이형을 판별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110742호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수 종자를 선별할 수 있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강한 생태계 복원을 위해 양식어류의 건강종자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외형을 모니터링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건강종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1. 건강 양식 어류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과의 길이비를 얻는 단계; 상기 건강 어류와 동일 종인 대상 양식 어류에서 상기 길이비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두 길이비를 비교하여 소정 수준 미만의 차이가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 종자 판별 방법.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양식 어류는 참돔, 감성돔, 뱅에돔, 구갈돔, 능성어, 숭어, 농어, 조피볼락, 전갱이, 쥐치, 쥐노래미, 독가시치, 민어, 넙치, 방어, 자주복, 검자주복, 황복, 뱀장어, 연어, 미꾸라지, 틸라피아, 송어, 동자개, 드렁허리, 잉어, 가물치, 붕어, 부세, 메기, 돌가자미, 강당돔, 돌돔, 초어, 벤자리, 쥐돔, 다금바리, 터봇, 자바리, 문치가자미, 점농어, 황점볼락, 붉은쏨뱅이, 볼락, 강도다리, 전어, 동갈돗돔, 흑점줄전갱이, 말쥐치, 쏨뱅이, 부시리, 붉돔, 붉바리, 벤자리, 홍민어, 차넬메기, 산천어, 은어, 쏘가리, 종어, 철갑상어, 이스라엘잉어 및 대농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 대상 양식 어류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4. 위 3에 있어서,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양식 어류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5. 위 4에 있어서,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0 및 6; 3 및 7; 4 및 6; 및 4 및 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6. 위 4에 있어서, 상기 턱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7. 위 4에 있어서,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8. 위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어류 및 대상 양식 어류는 치어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9. 위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10. 위 1에 있어서, 상기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양식 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11. 대상 양식 어류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미만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 종자로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 종자 판별 장치.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양식 어류는 참돔, 감성돔, 뱅에돔, 구갈돔, 능성어, 숭어, 농어, 조피볼락, 전갱이, 쥐치, 쥐노래미, 독가시치, 민어, 넙치, 방어, 자주복, 검자주복, 황복, 뱀장어, 연어, 미꾸라지, 틸라피아, 송어, 동자개, 드렁허리, 잉어, 가물치, 붕어, 부세, 메기, 돌가자미, 강당돔, 돌돔, 초어, 벤자리, 쥐돔, 다금바리, 터봇, 자바리, 문치가자미, 점농어, 황점볼락, 붉은쏨뱅이, 볼락, 강도다리, 전어, 동갈돗돔, 흑점줄전갱이, 말쥐치, 쏨뱅이, 부시리, 붉돔, 붉바리, 벤자리, 홍민어, 차넬메기, 산천어, 은어, 쏘가리, 종어, 철갑상어, 이스라엘잉어 및 대농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3. 위 11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 대상 양식 어류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양식 어류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0 및 6; 3 및 7; 4 및 6; 및 4 및 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6. 위 14에 있어서, 상기 턱 이형은 상기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7. 위 14에 있어서,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8. 위 1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어류 및 대상 양식 어류는 치어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19. 위 1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20. 위 11에 있어서, 상기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양식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21. 대상 양식 어류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 종자 판별방법.
22. 위 21에 있어서, 상기 양식 어류는 참돔, 감성돔, 뱅에돔, 구갈돔, 능성어, 숭어, 농어, 조피볼락, 전갱이, 쥐치, 쥐노래미, 독가시치, 민어, 넙치, 방어, 자주복, 검자주복, 황복, 뱀장어, 연어, 미꾸라지, 틸라피아, 송어, 동자개, 드렁허리, 잉어, 가물치, 붕어, 부세, 메기, 돌가자미, 강당돔, 돌돔, 초어, 벤자리, 쥐돔, 다금바리, 터봇, 자바리, 문치가자미, 점농어, 황점볼락, 붉은쏨뱅이, 볼락, 강도다리, 전어, 동갈돗돔, 흑점줄전갱이, 말쥐치, 쏨뱅이, 부시리, 붉돔, 붉바리, 벤자리, 홍민어, 차넬메기, 산천어, 은어, 쏘가리, 종어, 철갑상어, 이스라엘잉어 및 대농갱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3. 위 21에 있어서, 상기 판별 방법은 대상 양식 어류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4. 위 23에 있어서,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양식 어류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5. 위 24에 있어서,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0 및 6; 3 및 7; 4 및 6; 및 4 및 7;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6. 위 24에 있어서, 상기 턱 이형은 상기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7. 위 24에 있어서,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8. 위 2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29. 위 21에 있어서, 상기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양식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육안에 의존하던 종래 건강종자 선별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대량의 양식 어류의 건강종자 여부 판별이 빠른 시간 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선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선별된 양식어류의 건강종자를 방류함으로써 건강한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다.
도 1은 어류 건강종자 판별에 사용한 8개의 기준점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자치어의 성장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부화일수에 따른 붉바리 자치어의 골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붉바리 자치어의 시기에 따라 관찰된 이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부화 후 120일경 건강 개체 및 두부 이형 개체의 외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부화 후 120일경 건강 개체 및 턱 이형 개체의 외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부화 후 120일경 건강 개체 및 아가미덮개 이형 개체의 외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부화 후 160일경 건강 개체 및 두부 이형의 외부, 내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부화 후 160일경 건강 개체 및 턱 이형의 외부, 내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부화 후 160일경 건강 개체 및 아가미덮개 이형의 외부, 내부형태 및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부화 후 120일 및 160일경 개체의 이형 유형별 유의한 다변량분석 지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강 양식 어류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과의 길이비를 얻는 단계; 상기 건강 어류와 동일 종인 대상 양식 어류에서 상기 길이비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두 길이비를 비교하여 소정 수준 미만의 차이가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육안에 의존하던 종래의 방식을 대체할 수 있고,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선별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선별된 양식어류의 건강종자를 방류함으로써 건강한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양태로 건강 양식 어류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과의 길이비를 얻는 단계; 상기 건강 어류와 동일 종인 대상 양식 어류에서 상기 길이비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두 길이비를 비교하여 소정 수준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형 종자는 양식 어류의 외형이 정상 어류의 생김새 및 골격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 크게 두부 부분이 움푹 파인 두부 이형, 아가미 덮개가 내부의 아가미를 덮지 못하는 아가미 덮개 이형, 위턱과 아래턱이 맞물리지 않는 턱 이형 등의 3종류의 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건강 양식 어류는 이형 양식 어류가 아닌, 어류도감에 등록되어 있는 어류의 외형의 윤곽선 및 아가미 덮개를 가진 것을 의미하며, 상기 3종류의 이형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식 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방법은 대상 양식 어류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형을 판별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판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대상 양식 어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모든 양식 어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넙치류, 송어류, 참돔, 가자미류, 농어류, 자바리류 (다금바리, 농어, 붉바리 등), 조피볼락, 돌돔, 감성돔, 쥐치류, 방어류, 고등어, 전어, 능성어, 송어류, 민어, 참조기, 복어류, 참조기, 전갱이류, 기타볼락류, 기타돔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참돔, 감성돔, 뱅에돔, 구갈돔, 능성어, 숭어, 농어, 조피볼락, 전갱이, 쥐치, 쥐노래미, 독가시치, 민어, 넙치, 방어, 자주복, 검자주복, 황복, 뱀장어, 연어, 미꾸라지, 틸라피아, 송어, 동자개, 드렁허리, 잉어, 가물치, 붕어, 부세, 메기, 돌가자미, 강당돔, 돌돔, 초어, 벤자리, 쥐돔, 다금바리, 터봇, 자바리, 문치가자미, 점농어, 황점볼락, 붉은쏨뱅이, 볼락, 강도다리, 전어, 동갈돗돔, 흑점줄전갱이, 말쥐치, 쏨뱅이, 부시리, 붉돔, 붉바리, 벤자리, 홍민어, 차넬메기, 산천어, 은어, 쏘가리, 종어, 철갑상어, 이스라엘잉어, 대농갱이 등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붉바리일 수 있다.
건강 양식 어류와 대상 양식 어류는 동일 성장단계에 있을 수 있다. 성장단계로는 예컨대, 전기 자어기, 후기 자어기, 치어기, 미성어기, 성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치어기, 미성어기 및 성어기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치어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은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건강 양식 어류 및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은 상기 일로부터 ±±20일, 구체적으로는 ±±10일 사이의 범위 내이면, 대상 양식 어류의 건강 또는 이형 여부 판단이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 양식 어류 및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은 120±±60일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20±±40일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경우 대상 양식 어류의 건강 또는 이형 판단의 정확도가 증가한다. 예컨대,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160일이상인 경우, 부화 후 경과일이 60일 내지 160일 사이의 대상 양식 어류에 대하여 건강 또는 이형 여부 판단이 가능하며, 건강 양식 어류의 부화 후 경과일이 120일 이상 160일 미만인 경우, 부화 후 경과일이 60일 내지 120일 사이의 대상 양식 어류에 대하여 건강 또는 이형 여부 판단이 가능하다.
건강 양식 어류에서 두 점 사이의 길이를 상기 건강 양식 어류의 전장의 길이로 나눈 길이비를 지표로, 대상 양식 어류에서 상기 두 점과 동일한 두 점 사이의 길이를 상기 대상 양식 어류의 전장의 길이로 나누어 비교함으로써 대상 양식 어류의 건강종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상기 두 점은 건강 양식 어류의 어느 위치든 가능하며, 예컨대 두 점은 도 1에 나타낸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일 수 있다. 여기서 0은 상기 양식 어류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 (posterior edge of operculum)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부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및 0 및 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3 및 7, 4 및 6, 및 4 및 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턱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및 5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6 및 8이 더 포함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양태로 대상 양식 어류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이미지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 종자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
양식 어류는 전술한 양식 어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단계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대상 양식 어류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은 수조 외부 또는 내부에서 촬영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투명한 수조의 바깥에서 촬영하거나 수조 내부의 수면 아래에서 촬영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는 필요에 따라 대상 양식 어류를 유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비는 상기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를 상기 물고기 이미지에서 주둥이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끝까지의 길이인 전장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상기 소정의 두 점은 전술한 두 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부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및 0 및 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3 및 7; 4 및 6; 및 4 및 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턱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및 5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6 및 8이 더 포함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본 발명의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건강종자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양태로 대상 양식 어류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이미지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양식어류의 건강종자 판별 장치를 제공한다.
양식 어류는 전술한 양식 어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판별 장치는 크게 촬영부, 산출부, 연산부 및 판단부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저장부, 제어부, 유인부, 중앙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영상촬영을 위한 촬영카메라와 촬영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유선, 무선 등의 통신으로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카메라는 수조 벽에 고정된 수직지지대에 결합된 수평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우 상하 이동이 가능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영카메라는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판별 장치는 대상 양식 어류를 촬영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인부는 유인등 및 유인등의 동작시간을 설정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인등으로 LED (light Emitting Diode), 수은등, 흑광 (Black light), 할로겐등 (halogen lam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산출부에서는 촬영부에서 획득한 이미지에서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한다.
상기 길이비는 상기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를 상기 물고기 이미지에서 주둥이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끝까지의 길이인 전장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상기 소정의 두 점은 상기 이미지 상의 어느 위치든 가능하며, 예컨대 두 점은 도 1에 나타낸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일 수 있다. 여기서 0은 상기 양식 어류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상기 양식 어류의 측면에서 보아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 (posterior edge of operculum)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부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6 및 8; 1 및 3; 0 및 3; 및 0 및 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3 및 7; 4 및 6; 및 4 및 7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턱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상기 0 및 4; 0 및 6; 0 및 8; 1 및 8; 및 5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군에 6 및 8이 더 포함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 1 및 8; 2 및 8; 3 및 8; 4 및 8; 5 및 8; 및 6 및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산부에서는, 상기 측정된 길이비와 기 측정된 건강 양식 어류의 상기 길이비를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한다.
건강건강판단부에서는 상기 연산된 길이비의 차이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차이 나는 경우, 대상 양식 어류를 이형 종자로 판별한다. 예컨대, 대상 양식 어류의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상기 대상 양식 어류를 건강종자로 판별할 수 있다.
[수학식 1]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대상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건강 양식 어류의 소정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이미지 저장부는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건강 또는 이형으로 분류된 대상 양식 어류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이미지 저장부는 이미지 분석부로부터 분류된 각각의 이미지에 대해 서로 구별된 저장 공간 상에 각각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이미지 저장부는 건강 양식 어류 저장 공간과 이형 양식 어류 저장 공간으로 각각 구분된다. 상기 이형 어류 저장 공간은 필요에 따라, 두부, 척추, 턱 또는 아가미 덮개 이형 어류 저장 공간으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부와 이미지 분석부 및 이미지 저장부 간의 데이터 송수신과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제어이다. 제어부는 이미지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수신 받아 이미지 분석부로 제공하고, 이미지 분석부에서 분석이 완료된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에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별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저장부 외 데이터처리장치 (예컨대, 컴퓨터)를 구성으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 저장부에 구분되어 저장된 분류별 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판별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이미지 분석부에서 분류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촬영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LCD, LED, OL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정 디스플레이 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촬영한 영상을 외부로 보여주기 위한 어떠한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대상 양식 어류의 건강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0 내지 8;로 표시된 부분을 기준점을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기준점 사이의 거리와 전장의 비를 다변량분석 지표 (landmark, LM)로 사용하였다.
상기 0 내지 8의 기준점간의 길이를 전장으로 나눈 LM은 아래와 같다. 하기 표 1에서'길이 (a-b)'에서 a, b는 0 내지 8의 기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TL'은 Total length의 약어로 어류의 주둥이 끝에서 꼬리지느러미 끝까지의 길이인 전장을 의미한다. 하기에서 개체는 양식 어류를 의미한다.
두 점과 전장 사이의 길이비(%) 명명 두 점과 전장 사이의 길이비(%) 명명
길이(0-1)/TL x 100 LMⅠ 길이(2-6)/TL x 100 LMⅩⅨ
길이(0-2)/TL x 100 LMⅡ 길이(2-7)/TL x 100 LMⅩⅩ
길이(0-3)/TL x 100 LMⅢ 길이(2-8)/TL x 100 LMⅩⅩⅠ
길이(0-4)/TL x 100 LMⅣ 길이(3-4)/TL x 100 LMⅩⅩⅡ
길이(0-5)/TL x 100 LMⅤ 길이(3-5)/TL x 100 LMⅩⅩⅢ
길이(0-6)/TL x 100 LMⅥ 길이(3-6)/TL x 100 LMⅩⅩⅣ
길이(0-7)/TL x 100 LMⅦ 길이(3-7)/TL x 100 LMⅩⅩⅤ
길이(0-8)/TL x 100 LMⅧ 길이(3-8)/TL x 100 LMⅩⅩⅥ
길이(1-2)/TL x 100 LMⅨ 길이(4-5)/TL x 100 LMⅩⅩⅦ
길이(1-3)/TL x 100 LMⅩ 길이(4-6)/TL x 100 LMⅩⅩⅧ
길이(1-4)/TL x 100 LMⅩⅠ 길이(4-7)/TL x 100 LMⅩⅩⅨ
길이(1-5)/TL x 100 LMⅩⅡ 길이(4-8)/TL x 100 LMⅩⅩⅩ
길이(1-6)/TL x 100 LMⅩⅢ 길이(5-6)/TL x 100 LMⅩⅩⅩⅠ
길이(1-7)/TL x 100 LMⅩⅣ 길이(5-7)/TL x 100 LMⅩⅩⅩⅡ
길이(1-8)/TL x 100 LMⅩⅤ 길이(5-8)/TL x 100 LMⅩⅩⅩⅢ
길이(2-3)/TL x 100 LMⅩⅥ 길이(6-7)/TL x 100 LMⅩⅩⅩⅣ
길이(2-4)/TL x 100 LMⅩⅦ 길이(6-8)/TL x 100 LMⅩⅩⅩⅤ
길이(2-5)/TL x 100 LMⅩⅧ 길이(7-8)/TL x 100 LMⅩⅩⅩⅥ
도 2는 2016년 1월 22일에 제주(㈜씨알)에서 생산한 수정란에서 부화된 자치어의 성장을 나타낸 것으로 부화 직후부터 부화 후 160일경 개체를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부화 직후 60일경 경골화가 완료되었으며, 이후 30 내지 40일 간격으로 160일경까지 약 50 내지 130 마리를 무작위로 샘플링하였다. 부화 후, 10 내지 16일과 90 내지 120일 사이에 길이 성장이 일시적으로 지연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부화 일수에 따른 붉바리 자치어의 골화 과정
붉바리 수정란으로부터 부화 직후, 골격이중염색(Alcian blue-Alizarin red)으로 골형성 과정을 분석하였다(도 3).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부화 후 14 내지 16일경부터 염색된 골격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상기 시기에 등과 배 지느러미 극조의 경골화가 시작되었다. 두 개의 극조 다음으로 치아와 턱 부분의 경골화가 관찰되었고, 아가미덮개의 경골화는 약 20 내지 28일경에 시작되었다. 부화 후 약 56일경에 척추 및 두부 등 대부분 골격의 경골화가 완료되었다. 또한, 붉바리 자치어의 경골화 과정에서 부화 후 약 35일경 개체에서부터 이형 현상이 관찰되었다(도 4). 이 시기의 체장은 약 0.8 cm 이었으며, 위턱이 아래턱보다 짧은 개체였다. 또한 38일경에는 체장이 0.9 cm 인 개체에서 위턱이 짧고 척추가 꺾인 병합적인 형태의 이형 현상이 발견되었다. 41일경 붉바리 개체에게서도 척추 이형이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DAH 90와 DAH 120 개체의 외부형태(phenotype) 비교 및 다변량분석 지표(landmark) 적용
양식어류 건강종자 판별을 위하여 경골(뼈)형성이 완료되는 시기로 생각되는 부화 후 60일경 이후 (골격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시기) 부화 후 90, 120, 160일경의 (종자라고 불릴 수 있는 시기) 붉바리 자치어를 대상으로 외부형태(phenotype)를 관찰하였다. 외부형태 이형 여부는 도 1의 기준점을 적용하여 총 36개(LMⅠ내지 LMⅩⅩⅩⅥ)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로 분석하였다.
건강과 이형 개체 간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의 유의차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모수검정인 경우에는 One-way ANOVA-test를 실시한 후 Tukeys test의 사후검정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비모수검정인 경우에는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한 후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의 사후검정을 이용하였으며,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도 5 내지 11의 빨간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큰 경우이며, 파란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작은 경우이다.
부화 후 120일경 두부 이형 개체는 두정부와 몸통과 관련된 파란선 지표 (LMⅩ, LMⅩⅩⅤ, LMⅩⅩⅦ, LMⅩⅩⅨ)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5).
부화 후 120일경 턱 이형 개체는 빨간선 지표(LMⅩⅩⅩⅤ)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6).
부화 후 120일경 아가미덮개 이형 개체는 빨간선 지표(LMⅧ)와 파란선 지표 (LMⅩⅩⅠ, LMⅩⅩⅥ, LMⅩⅩⅩ, LMⅩⅩⅩⅢ, LMⅩⅩⅩⅤ)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7).
DAH 160 개체의 외, 내부형태 비교 및 다변량분석 지표(landmark) 적용
방류크기와 중간육성 초기단계의 크기라고 생각되는 6 내지 7cm 이후, 160일경 붉바리 개체를 대상으로 외부 및 내부형태 관찰이 이루어졌다. 내부 형태는 soft X-ray (SOFT M-1005, Japan)를 이용한 X선 촬영법으로 분석하였다. 외부형태 이형 여부는 도 1에서 설명한 기준점을 적용하여 총 36개(LMⅠ 내지 LMⅩⅩⅩⅥ)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 의한 유의성 검증은 앞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다.
도 8 내지 10은 건강 및 이형 개체의 외, 내부형태 비교 및 다변량분석 지표(landmark)를 나타낸 것이다. 빨간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큰 경우이며, 파란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작은 경우이다.
부화 후 160일경 두부 이형 개체는 빨간선 지표 (LMⅢ, LMⅥ, LMⅧ)와 파란선 지표 (LMⅩ, LMⅩⅤ, LMⅩⅩⅠ, LMⅩⅩⅥ, LMⅩⅩⅩ, LMⅩⅩⅩⅢ, LMⅩⅩⅩⅤ)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8).
부화 후 160일경 턱 이형 개체는 빨간선 지표 (LMⅣ, LMⅥ, LMⅧ, LMⅩⅤ)와 파란선 지표 (LMⅩⅩⅩⅢ)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9).
부화 후 160일경 아가미덮개 이형 개체는 빨간선 지표 (LMⅧ, LMⅩⅤ)와 파란선 지표 (LMⅩⅩⅠ, LMⅩⅩⅥ, LMⅩⅩⅩ, LMⅩⅩⅩⅢ, LMⅩⅩⅩⅤ)에서 건강 개체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도 13). 아가미덮개 이형의 경우, DAH 120 개체와 비교했을 때 동일한 LM 지표를 나타내었다(도 10).
이형 유형별 다변량분석 지표(landmark) 요약
앞에서 설명한 DAH 90, 120, 그리고 160 개체의 이형 유형별 다변량 지표(landmark, LM)를 도표화하여 도 14와 도 15와 같이 표시하였다.
빨간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큰 경우이며, 파란선은 건강 개체의 다변량 지표(landmark, LM)가 이형 개체보다 작은 경우이다.
도 11의 각 유형별 지표에서 회색배경으로 표시 되어있는 LM 즉, DAH 120과 DAH 160 개체 모두에서 두부와 아가미덮개의 경우, 동일한 이형 유형 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다변량 지표(landmark, LM)를 나타낸 것이다.
부화 후 120일경과 160일경 개체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다변량 지표는 두부 이형의 경우 LMⅩ이었으며, 아가미덮개 이형의 경우에는 LMⅧ, LMⅩⅩⅠ, LMⅩⅩⅥ, LMⅩⅩⅩ, LMⅩⅩⅩⅢ 및 LMⅩⅩⅩⅤ의 다변량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육안으로도 쉽게 판별이 가능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공통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떠한 다변량 지표를 사용해도 건강 및 이형 개체 판별이 가능하다.
결론
전술한 실험 결과로부터 상기 지표로 양식 붉바리 자치어의 두부, 턱 또는 아가미 덮개의 이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식 어류는 부화일수에 따라서 성장 패턴이 유사하기 때문에 다른 양식 어류라도 성장 패턴의 예측이 가능하며, 상기 지표가 길이비(ratio)로 되어있어, 양식 붉바리 자치어의 이형 판단에 사용한 지표를 다른 양식 어류에도 적용이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에서 전장이 아닌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과의 길이비를 얻는 단계;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에서 상기 길이비를 얻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를 이형이 아닌 종자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붉바리 종자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이고,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1 및 8이고,
    상기 턱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0 및 4, 0 및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이고,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 및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는 부화 후 경과일이 120일 내지 160일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방법:
    [수학식 1]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방법.
  3.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이미지에 전장이 아닌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를 이형이 아닌 종자로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붉바리 종자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이고,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1 및 8이고,
    상기 턱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0 및 4, 0 및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이고,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 및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는 부화 후 경과일이 120일 내지 160일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장치:
    [수학식 1]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장치.
  5.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측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서 전장이 아닌 소정의 두 점 사이의 길이와 전장의 길이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길이비를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길이비와 비교하여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길이비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경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를 이형이 아닌 종자로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점은 하기 0 내지 8 중 어느 두 점으로,
    0은 상기 붉바리 종자를 측면에서 보아 위턱의 주둥이에서 앞으로 가장 많이 나온 점 (anterior-most point of the snout tip on the upper jaw);
    1은 등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2는 등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dorsal fin);
    3은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등쪽 착점 (Sup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4는 꼬리 지느러미와 몸통이 맞닿는 부분 중 배 쪽 착점 (Inferior insertion of the caudal fin);
    5는 뒷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Pos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6은 뒷 지느러미의 꼬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anal fin);
    7은 배 지느러미의 머리 쪽 착점 (Anterior insertion of the pelvic fin);
    8은 아가미 덮개의 가장자리 중 뒤로 가장 많이 튀어나온 점(posterior edge of operculum)이고,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두부, 턱 및 아가미 덮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이형을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두부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1 및 8이고,
    상기 턱 이형 판별 시 상기 소정의 두 점은 0 및 4, 0 및 6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아가미 덮개 이형 판별 시 소정의 두 점은 0 및 8이고,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 및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는 부화 후 경과일이 120일 내지 160일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방법:
    [수학식 1]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1% <
    (상기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전장) x 100 + 2%.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건강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이 대상 양식 붉바리 종자의 부화 후 경과일 이상인 붉바리 종자의 이형 판별 방법.
KR1020180044055A 2018-04-16 2018-04-16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KR10193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55A KR101931998B1 (ko) 2018-04-16 2018-04-16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55A KR101931998B1 (ko) 2018-04-16 2018-04-16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550 Division 2016-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86A KR20180078186A (ko) 2018-07-09
KR101931998B1 true KR101931998B1 (ko) 2018-12-24

Family

ID=6291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55A KR101931998B1 (ko) 2018-04-16 2018-04-16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057B1 (ko) * 2021-12-15 2022-08-19 한국수산자원공단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5689B2 (en) 2020-01-06 2022-10-18 X Development Llc Fish biomass, shape, size, or health determination
US11688154B2 (en) 2020-05-28 2023-06-27 X Development Llc Analysis and sorting in aquaculture
CN112314504B (zh) * 2020-10-30 2023-05-05 江苏会见科技有限公司 一种鳝鱼分拣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967B1 (ko) * 2009-12-29 2012-01-20 대한민국 어류 계측 형질 측정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278630B1 (ko) * 2013-04-26 2013-06-25 대한민국 어류의 형태학적 영상처리를 통한 백신 자동 접종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양수, 인공종묘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에 발생하는 형태기형의 발현증상, 학위논문, 여수대학교대학원, 2005.2.(발표)*
안수홍, 이윤승, 한국산 망둑어과(Gobiidae)어류 2종의 형태에 관한 비교연구, 제38회 전국과학 전람회, 1992.(전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057B1 (ko) * 2021-12-15 2022-08-19 한국수산자원공단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86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998B1 (ko) 양식어류의 외부형태를 이용한 건강종자 판별방법
JP6503414B2 (ja) 画像から甲殻類を判断する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34137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health and development in living fish
Job et al. Visual acuity and feeding in larval Premnas biaculeatus
Navarro et al. IMAFISH_ML: A fully-automated image analysis software for assessing fish morphometric traits on gilthead seabream (Sparus aurata L.), meagre (Argyrosomus regius) and red porgy (Pagrus pagrus)
US2022033572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agnosing disease, physiological changes, or other internal conditions in crustaceans through non-invasive means
Sambraus et al. Vertebra deformities in wild A tlantic salmon caught in the F iggjo R iver, southwest N orway
Thean et al. Inner ear development in cetaceans
Montoya-López et al. Body shape variation between farms of tilapia (Oreochromis sp.) in Colombian Andes using landmark-based geometric morphometrics
ES273962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eñalar una vaca lechera probablemente coja a seleccionar de una cabaña
Bueno et al. First records of ‘pughead’and ‘short-tail’skeletal deformities in the Atlantic goliath grouper, Epinephelus itajara (Perciformes: Epinephelidae)
CN111406662B (zh) 基于机器视觉的保育猪饲喂器料量自动检测系统及方法
Mina et al. Morphological diversity and age dependent transformations in progeny of the large barbs (Barbus intermedius complex sensu Banister) of several morphotypes from Lake Tana (Ethiopia). Results of a long-time experiment
Sadeghi et al. Factors affecting external and internal mammary morphology traits and assessment of their interrelationships with milk yield in Lori Bakhtiari breed ewes
Sahu et al. Evaluation of the carcass and commercial characteristics of carps
Yang et al. Identification of skeletal deformities in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under indoor aquaculture condition
CN109360237B (zh) 一种鱼类产量的预测方法
Horwitz et al. Fauna from the submerged Pottery Neolithic site of Newe Yam, northern Israel
Mina et al. Phenetic diversity of the large barbs (Barbus intermedius complex sensu Banister) from the coastal zone of the Bahar Dar Gulf (Lake Tana, Ethiopia)
KR102434057B1 (ko) 넙치 종자의 기형 판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Hibino et al. Redescription of the shortfin pomfret, Brama pauciradiata, based on Japanese specimens (Actinopterygii: Perciformes: Bramidae)
Piñeiro et al. Hake age estimation: state of the art and progress towards a solution
Dufrasne et al. Genetic parameters for individual birth weight, weaning weight and final weight of crossbred pigs from Piétrain boars
JP2006304783A (ja) 飼育種苗の骨格異常形成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飼育種苗の生産管理方法
Karkaj et al. Image process tool an alternative metho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mammary gland structure in mohabadi go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