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023B1 -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023B1
KR102434023B1 KR1020190038494A KR20190038494A KR102434023B1 KR 102434023 B1 KR102434023 B1 KR 102434023B1 KR 1020190038494 A KR1020190038494 A KR 1020190038494A KR 20190038494 A KR20190038494 A KR 20190038494A KR 102434023 B1 KR102434023 B1 KR 102434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bearer
modification
base station
radio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049A (ko
Inventor
변대욱
쑤지안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9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5Maintenance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는 단계; 수락된 무선 베어러(accepted 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RADIO BEARER IN CU-DU SPLIT SCENARIO}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의 중앙 유닛(Central Unit)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이 분할된 시나리오에서, 기지국의 분산 유닛이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한편, 단말과 기지국의 DU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특정 상황으로 인해, 예를 들어, DU의 현재 무선 자원 상황으로 인해, 확립된 무선 베어러가 수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DU는 확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 수정 절차를 트리거할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는 단계; 수락된 무선 베어러(accepted 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가 제공된다. 상기 DU는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수락된 무선 베어러(accepted 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가 수정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제어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4는 5G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는 사용자 평면에 대한 5G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6은 분리형 기지국 배치(Centralized Deployment)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7은 분리형 기지국 배치 시나리오에서,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 사이의 기능 분할(split)을 나타낸다.
도 8은 RRC 메시지가 CU 및 단말 사이에서 DU를 통해 전송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베어러를 수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DRB를 수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SRB를 해제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DU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5G 통신 시스템은 LTE-A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통신 네트워크는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한 인터넷 전화(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넓게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단말(UE; 10),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통신 장치이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셀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eNB(2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끝 지점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eNB(20)는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eNB(20)는 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eNB(20)의 커버리지 내에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및 20 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링크(DL; downlink) 또는 상향링크(UL; uplink)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DL은 eNB(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UL은 단말(10)에서 eNB(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DL에서 송신기는 eNB(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UL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eNB(20)의 일부일 수 있다.
EPC는 제어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사용자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S-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MME/S-GW(30)은 네트워크의 끝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며, 이러한 정보는 주로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S-GW(30)은 세션의 종단점과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단말(10)에 제공한다. EPC는 PDN(packet data network)-GW(gatew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DN-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는 eNB(20)로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inter CN(core network) 노드 시그널링, 아이들 모드 단말 도달 가능성(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 포함),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아이들 모드 및 활성화 모드인 단말을 위해), P-GW 및 S-GW 선택, MME 변경과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이러 설정을 포함한 베어러 관리 기능, PWS(public warning system: 지진/쓰나미 경보 시스템(ETWS) 및 상용 모바일 경보 시스템(CMAS) 포함) 메시지 전송 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S-GW 호스트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예를 들면, 심층 패킷 검사를 통해), 합법적 차단, 단말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 DL에서 전송 레벨 패킹 마킹, UL/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등급 강제, APN-AMBR에 기반한 DL 등급 강제의 갖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명확성을 위해 MME/S-GW(30)은 "게이트웨이"로 단순히 표현하며, 이는 MME 및 S-GW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전송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10) 및 eNB(20)은 Uu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한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한 망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NB(20)들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S1-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으며, S1-U 인터페이스에 의해 S-GW와 연결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eNB(20)와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eNB(20)은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선택, RRC(radio resource control) 활성(activation) 동안 게이트웨이(30)로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BCH(broadcast channel)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UL 및 DL에서 단말(10)들로의 자원의 동적 할당, eNB 측정의 설정(configuration) 및 제공(provisioning), 무선 베어러 제어, RAC(radio admission control) 및 LTE 활성 상태에서 연결 이동성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급처럼 게이트웨이(30)는 EPC에서 페이징 개시, LTE 아이들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의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및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와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제어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및 L3(제3 계층)으로 구분된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고, 수직적으로는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인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인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단말과 E-UTRAN에서 쌍(pair)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Uu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은 L1에 속한다.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에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 물리 채널은 전송 채널에 맵핑 된다.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기의 물리 계층과 수신기의 물리 계층 간에 데이터는 물리 채널을 통해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물리 계층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물리 계층은 몇몇의 물리 제어 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을 사용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DL-SCH와 관련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에 대하여 단말에 보고한다. PDC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에 관하여 단말에 보고하기 위해 상향링크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은 PDCCH를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주며, 모든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은 UL-SCH 전송에 대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HARQ ACK/NAC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UL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를 나른다.
물리 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과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복수의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를 위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벌들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이 PDCCH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DCCH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s)와 같이 동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나를 수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하나의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전송채널은 채널이 공유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공통 전송 채널 및 전용 전송 채널로 분류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L 전송 채널(DL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DL-SCH 등을 포함한다. DL-SCH는 HARQ, 변조, 코딩 및 전송 전력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 및 동적/반정적 자원 할당을 지원한다. 또한, DL-SCH는 셀 전체에 브로드캐스트 및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들을 나른다. 모든 시스템 정보 블록들은 같은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의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는 MCH(multi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UL 전송 채널은 초기 제어 메시지(initial control message)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UL-SCH 등을 포함한다. UL-SCH는 HARQ 및 전송 전력 및 잠재적인 변조 및 코딩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UL-SCH는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RACH는 일반적으로 셀로의 초기 접속에 사용된다.
L2에 속하는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복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단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에 의한 논리 채널 다중화 기능을 제공한다. MAC 부 계층은 논리 채널상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제어 채널과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 즉, 논리 채널 타입의 집합은 MA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다. 논리채널은 전송 채널의 상위에 위치하고 전송채널에 맵핑 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채널은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및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BCCH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채널이다. PCCH는 페이징 정보의 전송 및 셀 단위의 위치가 네트워크에 알려지지 않은 단말을 페이징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CCCH는 네트워크와 RRC 연결을 갖지 않을 때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MC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MBMS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DCCH는 RRC 연결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전용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일대일 양방향 채널이다.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트래픽 채널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및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DTCH는 일대일 채널로 하나의 단말의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MT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상향링크 연결은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및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CCCH를 포함한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하향링크 연결은 BCH 또는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BCCH, PCH에 맵핑 될 수 있는 P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CCH 및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TCH를 포함한다.
RLC 계층은 L2에 속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하위 계층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무선 섹션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할/연접에 의한 데이터의 크기 조정을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 모드(TM; transparent mode), 비 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 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재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RLC 계층의 기능은 MAC 계층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L2에 속한다. PDCP 계층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IPv4 또는 IPv6와 같은 IP 패킷을 도입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이는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한다. 헤더 압축은 데이터의 헤더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섹션에서 전송 효율을 높인다. 게다가, PDCP 계층은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기능은 제3자의 검사를 방지하는 암호화 및 제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를 포함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L3에 속한다. L3의 가장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RRC 계층은 오직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는 RRC 계층을 통해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RRC 계층은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L1 및 L2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이다. 즉, RB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L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RB는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스케줄링, ARQ 및 HARQ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R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방송, 페이징, RRC 연결 관리, RB 제어, 이동성 기능 및 단말 측정 보고/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AS 제어 프로토콜(네트워크 측에서 게이트웨이의 MME에서 종료)은 SAE 베어러 관리, 인증, LTE_IDLE 이동성 핸들링, LTE_IDLE에서 페이징 개시 및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보안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제어 평면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헤더 압축,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와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5G 네트워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5G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기존 EPS(Evolved Packet System)의 코어 네트워크 구조인 EPC(Evolved Packet Core)의 경우,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 엔티티(entity) 별로 기능, 참조점(reference point),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어 있다.
반면, 5G 코어 네트워크(또는, NextGen 코어 네트워크)의 경우, 네트워크 기능(NF; Network Function) 별로 기능, 참조점,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어 있다. 즉, 5G 코어 네트워크는 엔티티 별로 기능, 참조점, 프로토콜 등이 정의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5G 시스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단말(UE; 10), NG-RAN(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 및 NGC(Next Generation Core)를 포함한다.
NG-RAN은 하나 이상의 gNB(4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셀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gNB(4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끝 지점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gNB(40)는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gNB(40)는 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gNB(40)의 커버리지 내에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NGC는 제어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및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AMF는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담당할 수 있고, SMF는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NGC는 사용자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전송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10) 및 gNB(40)은 NG3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gNB(40)들은 Xn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한 gNB(40)들은 Xn 인터페이스에 의한 망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gNB(40)들은 NG 인터페이스에 의해 NGC와 연결될 수 있다. gNB(40)들은 NG-C 인터페이스에 의해 AMF와 연결될 수 있으며, NG-U 인터페이스에 의해 UPF와 연결될 수 있다. NG 인터페이스는 gNB(40)와 MME/UPF(5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gNB 호스트는 무선 자원 관리에 대한 기능 (Functions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IP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암호화 (IP header compression and encryption of user data stream), AMF로의 라우팅이 단말에 의해 제공된 정보로부터 결정될 수 없을 때 단말 부착에서 AMF의 선택 (Selection of an AMF at UE attachment when no routing to an AMF can be determined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UE), 하나 이상의 UPF를 향한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 (Routing of User Plane data towards UPF(s)), (AMF로부터 유래된) 페이징 메시지의 전송 및 스케줄링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paging messages (originated from the AMF)), (AMF 또는 O&M으로부터 유래된) 시스템 방송 정보의 전송 및 스케줄링 (Scheduling and transmission of system broadcast information (originated from the AMF or O&M)), 또는 스케줄링 및 이동성에 대한 측정 보고 설정 및 측정 (Measurement and measurement reporting configuration for mobility and scheduling)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호스트는 NAS 시그널링 종료 (NAS signalling termination), NAS 시그널링 보안 (NAS signalling security), AS 보안 제어 (AS Security control),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인터 CN 노드 시그널링 (Inter CN node signalling for mobility between 3GPP access networks), (페이징 재전송의 실행 및 제어를 포함하는) IDLE 모드 단말 도달 가능성 (Idle mode UE Reachability (including control and execution of paging retransmission)), ACTIVE 모드 및 IDLE 모드에 있는 단말에 대한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 (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for UE in idle and active mode)), AMF 변경을 수반하는 핸드오버에 대한 AMF 선택 (AMF selection for handovers with AMF change), 액세스 인증 (Access Authentication), 또는 로밍 권한의 확인을 포함하는 액세스 승인 (Access Authorization including check of roaming rights)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PF(User Plane Function) 호스트는 (적용 가능한 경우) 인트라/인터-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 (Anchor point for Intra-/Inter-RAT mobility (when applicable)), 데이터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의 외부 PDU 세션 포인트 (External PDU session point of interconnect to Data Network),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 (Packet routing & forwarding), 패킷 검사 및 정책 규칙 적용의 사용자 평면 파트 (Packet inspection and User plane part of Policy rule enforcement), 트래픽 사용 보고 (Traffic usage reporting), 데이터 네트워크로 트래픽 흐름을 라우팅하는 것을 지원하는 업 링크 분류자 (Uplink classifier to support routing traffic flows to a data network), 멀티 홈 PDU 세션을 지원하는 브랜칭 포인트(Branching point to support multi-homed PDU session), 사용자 평면에 대한 QoS 핸들링, 예를 들어, 패킷 필터링, 게이팅, UL/DL 요금 집행 (QoS handling for user plane, e.g. packet filtering, gating, UL/DL rate enforcement), 상향링크 트래픽 확인 (SDF에서 QoS 흐름 매핑으로) (Uplink Traffic verification (SDF to QoS flow mapping)),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에서의 전송 레벨 패킷 마킹 (Transport level packet marking in the uplink and downlink), 또는 하향링크 패킷 버퍼링 및 하향링크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 (Downlink packet buffering and downlink data notification triggering)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 호스트는 세션 관리 (Session Management), UE IP 주소 할당 및 관리 (UE IP address allocation and management), UP 기능의 선택 및 제어 (Selection and control of UP function), 트래픽을 적절한 대상으로 라우트하기 위해 UPF에서 트래픽 조정을 구성 (Configures traffic steering at UPF to route traffic to proper destination), QoS 및 정책 집행의 일부를 제어 (Control part of policy enforcement and QoS),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통지 (Downlink Data Notification)와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평면에 대한 5G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평면에 대한 5G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LTE 시스템과 비교하여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라는 새로운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SDAP 계층의 주요 서비스 및 기능은 QoS 플로우(Quality of Service flow)와 DRB(data radio bearer) 사이의 맵핑, DL 및 UL 패킷 모두에서 QFI(QoS flow ID) 마킹이다. SDAP의 싱글 프로토콜 엔티티는 두 개의 엔티티가 설정(configure)될 수 있는 DC(dual connectivity)를 제외하고, 각각의 개별 PDU 세션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하, 5G RAN 배치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한다.
5G RAN은 기지국 기능을 중앙 유닛(Central Unit)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에 배치시키는 형태 및 4G 기지국과의 공존 여부 등에 따라 일체형 기지국 배치(Non-centralised deployment) 시나리오, 동일 국사 배치(Co-Sited Deployment with E-UTRA) 시나리오 및 분리형 기지국 배치(Centralized Deployment) 시나리오로 나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5G RAN, gNB, Next Generation NodeB, New RAN 및 NR BS(New Radio Base Station)은 5G를 위해 새롭게 정의된 기지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분리형 기지국 배치(Centralized Deployment)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gNB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gNB는 계층적으로 분리되어 운용될 수 있다. 중앙 유닛은 기지국의 상위 계층(upper layer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분산 유닛은 기지국의 하위 계층(lower layers)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분리형 기지국 배치 시나리오에서, 중앙 유닛과 분산 유닛 사이의 기능 분할(split)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옵션 1의 경우, RRC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PDCP 계층, RLC 계층, MAC 계층,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2의 경우, RRC 계층 및 PDCP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RLC 계층, MAC 계층,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3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및 RLC 상위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RLC 하위 계층, MAC 계층,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4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및 RLC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MAC 계층,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5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RLC 계층 및 MAC 상위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MAC 하위 계층,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6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RLC 계층 및 MAC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7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RLC 계층, MAC 계층 및 상위 물리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하위 물리 계층 및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옵션 8의 경우, RRC 계층, PDCP 계층, RLC 계층, MAC 계층 및 물리 계층은 중앙 유닛에 있고, RF는 분산 유닛에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중앙 유닛은 CU라고 칭하고, 분산 유닛은 DU라고 칭할 수 있다. CU는 gNB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logical node)일 수 있고, DU는 gNB의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a access control) 및 PHY(physical)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CU는 en-gNB의 RRC 및 PDCP 계층을 호스팅하는 로지컬 노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CU 및 DU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gNB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CU 및 DU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F1으로 나타낼 수 있고, DU 및 단말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로 나타낼 수 있다.
도 8은 RRC 메시지가 CU 및 단말 사이에서 DU를 통해 전송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CU 및 DU를 지원하는 경우, RRC 관련 기능은 CU에 위치한다. 도 8를 참조하면, 기지국의 CU에 위치한 RRC 계층에 의해 생성된 RRC 메시지는 DU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RRC 메시지는 F1 인터페이스를 통해 DU에게 전송되어야 하며, CU로부터 단말에게 직접 전송될 수 없다. 단말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는 DU를 통해 단말 또는 CU에게 각각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F1 인터페이스 및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나를(carry)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편, 단말과 기지국의 DU 사이에서 무선 베어러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 특정 상황으로 인해, 예를 들어, DU의 현재 무선 자원 상황으로 인해, 확립된 무선 베어러가 수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DU는 확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기 위해, 무선 베어러 수정 절차를 트리거해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DU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베어러를 수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00에서,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gNB일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단말과 상기 DU 사이에 확립된 무선 베어러(established radio bearer)를 수정(modify)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의 수정은 상기 DU의 현재 무선 자원 상황(current radio resource situation)을 기반으로 상기 DU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확립된 무선 베어러는 SRB 1, SRB 2 또는 DR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의 수정(modification)은 무선 베어러의 부가(adding the radio bearer), 무선 베어러의 수정(modifying the radio bearer) 또는 무선 베어러의 해제(releasing the radio bear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기지국의 DU는 베어러 수정 지시 메시지(Bearer Modification Indication message),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 또는 새로운 메시지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각각의 요청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DU 설정(configuration) 및 DRB ID 또는 S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요청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DU 설정은 베어러 레벨 QoS 파라미터(bearer level QoS parameters), RLC 설정(configuration), 논리 채널 설정(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물리 계층 관련 설정(physical layer related configur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기지국의 DU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CU는 각각의 요청된 무선 베어러를 수락(accept)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의 CU는 수락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에 대하여 SDAP 계층 또는 PDCP 계층과 관련된 설정 또는 파라미터를 수정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기지국의 CU는 베어러 수정 확인 메시지(Bearer Modification Confirm message), 하향링크 RRC 전달 메시지(Downlink RRC Transport message),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Confirm message), 또는 새로운 메시지(new message)를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피기백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수락된(accepted) SRB 또는 DRB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실패된(failed) SRB 또는 DRB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락된 SRB 또는 DRB의 리스트는 수락된 SRB ID 또는 DRB ID, 및 기지국의 CU에 의해 수정된 DU 설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U 설정은 단계 S920에서 설명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패된 SRB 또는 DRB의 리스트는 실패된 SRB ID 또는 DRB ID, 및 원인(cause)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950에서, 기지국의 CU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DU는 기지국의 DU와 단말 사이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는 SRB 1, SRB 2 또는 DR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는 수락된 SRB 또는 DRB의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는 기지국의 DU가 기지국의 CU에게 제공한 DU 설정을 기반으로 수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는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한 DU 설정을 기반으로 수정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의 DU는 기지국의 DU와 단말 사이의 실패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실패된 무선 베어러는 SRB 1, SRB 2 또는 DR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패된 무선 베어러는 실패된 SRB 또는 DRB의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96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970에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message)를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980에서,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DU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 완료 메시지를 피기백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RRC 전달 메시지(Uplink RRC Transport message) 또는 새로운 메시지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의 DU와 단말 사이의 무선 베어러를 부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하기 위해, 기지국의 DU는 자신의 현재 무선 자원 상태를 기반으로 수정하기 원하는 베어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의 CU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베어러의 부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가 기지국의 DU에 의해 개시(initiated)될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의 CU는 수락된 무선 베어러 및/또는 실패된 무선 베어러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의 DU 및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DU와 단말 사이의 무선 베어러가 부가(add), 수정(modify) 또는 해제(release)될 수 있고, RRC 메시지가 변경된 무선 베어러를 기반으로 기지국의 DU와 단말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DRB를 수정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S101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단말과 상기 DU 사이에 확립된 UE 컨텍스트를 수정(modify)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U는 단말에 대한 DRB를 수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U는 단말에 대한 DRB를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DRB는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 자원(radio bearer resources)일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기지국의 DU가 DRB를 수정하도록 결정하면, 기지국의 DU는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UE 컨텍스트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DRB Required to Be Modified List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RB Required to Be Modified List는 D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기지국의 DU가 DRB를 해제하도록 결정하면, 기지국의 DU는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D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는 D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U가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는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 /Group Name Presence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gNB-CU UE F1AP ID M YES reject
gNB-DU UE F1AP ID M YES reject
Resource Coordination Transfer Container O YES ignore
DU To CU RRC Information O YES reject
DRB Required to Be Modified List EACH reject
>DRB Required to Be Modified Item IEs EACH reject
>>DRB ID M -
>>DL Tunnels to be setup List
>>>DL Tunnels to Be Setup Item IEs
>>>>DL GTP Tunnel Endpoint M - -
S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 EACH reject
>S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 Item IEs EACH reject
>>SRB ID M -
D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 EACH reject
>D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 Item IEs EACH reject
>>DRB ID M -
Cause M YES ignore
부가적으로,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DRB에 대한 DU 설정(configur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RB에 대한 DU 설정은 베어러 레벨 QoS 파라미터(bearer level QoS parameters), RLC 설정(configuration), 논리 채널 설정(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물리 계층 관련 설정(physical layer related configur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기지국의 DU로부터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CU는 DRB의 수정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기지국의 CU는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Confirm message)를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는 기지국의 CU가 수정 가능 여부를 기지국의 DU에게 알리기 위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는 기지국의 CU가 성공적인 수정(successful modification)을 기지국의 DU에게 알리기 위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는 DRB Modified List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RB Modified List는 D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의 CU는 성공적으로 수정된 DRB의 리스트를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는 DRB Failed to be Modified List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RB Failed to be Modified List는 D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의 CU는 수정에 실패한 DRB의 리스트(list of DRBs which are failed to be modified)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DRB Failed to be Modified List는 실패 원인(failure caus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CU가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하는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는 표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IE /Group Name Presence Semantics description Criticality Assigned Criticality
Message Type M YES reject
gNB-CU UE F1AP ID M YES reject
gNB-DU UE F1AP ID M YES reject
Resource Coordination Transfer Container O Includes the MeNB Resource Coordination Information IE YES ignore
DRB Modified List The List of DRBs which are successfully modified. YES ignore
>DRB Modified Item IEs EACH ignore
>>DRB ID M -
>>UL Tunnels to be setup List
>>>UL Tunnels to Be Setup Item IEs
>>>>UL GTP Tunnel Endpoint M gNB-DU endpoint of the F1 transport bearer. For delivery of UL PDUs.
DRB Failed to be Modified List The list of DRBs which are failed to be modified. YES ignore
>DRB Failed to be Modified Item IEs EACH ignore
>>DRB ID M -
>>Cause O - -
Criticality Diagnostics O YES ignore
단계 S1050에서, 기지국의 CU로부터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기지국의 DU는 DRB Modified List에 포함된 DRB를 수정할 수 있다. 반면, 기지국의 DU는 DRB Failed to be Modified List에 포함된 DRB를 수정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의 DU는 D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에 포함된 DRB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U 사이의 SRB를 해제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계 S111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단말과 상기 DU 사이에 확립된 UE 컨텍스트를 수정(modify)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U는 단말에 대한 SRB를 해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20에서, 기지국의 DU가 SRB를 해제하도록 결정하면, 기지국의 DU는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UE 컨텍스트의 수정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S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S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는 SRB 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의 DU가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는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는 상기 표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단계 S1130에서, 상기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한 이후, 기지국의 DU는 SRB Required to be Released List에 포함된 SRB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DU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 S121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는 DRB(data radio bearer) 또는 SRB(signaling radio bearer)일 수 있다. 상기 DU의 현재 무선 자원 상황(current radio resource situation)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수정이 필요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which is required to be modified)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이 필요한 무선 베어러의 리스트는 수정이 필요한 무선 베어러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의 DU로부터 상기 CU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기지국의 DU는 수락된 무선 베어러(accepted 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수락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which is accepted)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성공적으로 수정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which is successfully modified)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의 리스트는 수락된 무선 베어러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Confirm message)에 포함되어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상기 DU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는 상기 무선 베어러 중에서 상기 기지국의 CU에 의해 수락된 무선 베어러일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기지국의 DU는 상기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의 DU는 실패된 무선 베어러(failed radio bearer)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실패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원인(caus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패된 무선 베어러에 대한 정보는 수정할 수 없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which is failed to be modified)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할 수 없는 무선 베어러의 리스트는 수정할 수 없는 무선 베어러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지국의 DU는 베어러 레벨 QoS 파라미터(bearer level QoS parameters), RLC 설정(configuration), 논리 채널 설정(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물리 계층 관련 설정(physical layer related configur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DU 설정(configuration)을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단말(1300)은 프로세서(processor, 1301), 메모리(memory, 1302) 및 송수신기(transceiver, 1303)를 포함한다. 메모리(1302)는 프로세서(13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3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303)는 프로세서(13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3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의 동작은 프로세서(13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의 DU(1310)는 프로세서(1311), 메모리(1312) 및 송수신기(1313)를 포함한다. 메모리(1312)는 프로세서(13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3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313)는 프로세서(13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31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DU의 동작은 프로세서(13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의 CU(1320)는 프로세서(1321), 메모리(1322) 및 송수신기(1323)를 포함한다. 메모리(1322)는 프로세서(132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32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323)는 프로세서(1321)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32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CU의 동작은 프로세서(13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들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기법들이 도면과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법들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다수의 단계나 블록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단계나 블록의 구체적 순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나 블록은 다른 순서로 구현되거나, 또 다른 단계나 블록들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간 단계나 블록이 한정적으로 기술된 것이나 아니며,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일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발명의 모든 가능한 일례의 조합이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알 것이고,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조합이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양한 일례를 조합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정(modification)이 요청될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radio bearers)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의 수정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의 CU(central unit)에게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수정이 요청될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radio bearer identifiers)을 포함함;
    상기 CU에 의한 성공적인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 중에서, 상기 CU에 의한 무선 베어러 수정을 위해 수락된,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CU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대한 실패 원인(failure cause)에 관한 정보를 상기 CU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수정을 실패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의 리스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을 실패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의 리스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정을 실패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베어러의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은 DRB(data radio bearer) 또는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는, UE 컨텍스트 수정 요구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Required message)이고, 상기 기지국의 DU로부터 상기 CU에게 전송되고,
    상기 제 2 메시지는, UE 컨텍스트 수정 확인 메시지(UE Context Modification Confirm message)이고, 상기 기지국의 CU로부터 상기 DU에게 전송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DU 설정(configuration)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기지국의 CU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한 DU 설정은 베어러 레벨 QoS 파라미터(bearer level QoS parameters), RLC 설정(configuration), 논리 채널 설정(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또는 물리 계층 관련 설정(physical layer related configur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수정(modification)이 요청될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radio bearers)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DU의 현재 무선 자원 상황(current radio resource situation)을 기반하여 수행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시지는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message)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U로부터 수신된 상기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에 있어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메모리와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수정(modification)이 요청될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radio bearers)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의 수정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기지국의 CU(central unit)에게 전송하고, -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수정이 요청될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radio bearer identifiers)을 포함함,
    상기 CU에 의한 성공적인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 중에서, 상기 CU에 의한 무선 베어러 수정을 위해 수락된,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상기 CU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2 메시지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고,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대한 실패 원인(failure cause)에 관한 정보를 상기 CU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DU.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CU(central unit)가 단말에 대한 무선 베어러를 수정(modify)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의 수정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의 DU(distribution unit)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 1 메시지는 상기 수정이 요청된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radio bearer identifiers)을 포함함;
    상기 CU에 의한 성공적인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 중에서, 상기 CU에 의한 무선 베어러 수정을 위해 수락된,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베어러들 중에서, 상기 CU에 의한 무선 베어러 수정을 위해 수락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락된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무선 베어러 식별자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기지국의 DU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기반하여:
    상기 CU에 의해 실패한 무선 베어러 수정에 대한 실패 원인(failure cause)에 관한 정보를 상기 DU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38494A 2017-07-23 2019-04-02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34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35944P 2017-07-23 2017-07-23
US62/535,944 2017-07-23
KR1020180073553A KR101966871B1 (ko) 2017-07-23 2018-06-26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553A Division KR101966871B1 (ko) 2017-07-23 2018-06-26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049A KR20190039049A (ko) 2019-04-10
KR102434023B1 true KR102434023B1 (ko) 2022-08-19

Family

ID=650384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553A KR101966871B1 (ko) 2017-07-23 2018-06-26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90038494A KR102434023B1 (ko) 2017-07-23 2019-04-02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553A KR101966871B1 (ko) 2017-07-23 2018-06-26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69353B2 (ko)
EP (1) EP3512296B1 (ko)
JP (1) JP6700474B2 (ko)
KR (2) KR101966871B1 (ko)
CN (1) CN110419261B (ko)
WO (1) WO2019022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0068A2 (en) 2017-06-16 2019-08-28 Ofinno, LLC Distributed unit configuration update
CN109392023B (zh) * 2017-08-10 2023-11-1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数据流的操作控制的方法及设备
US10771131B2 (en) * 2017-08-10 2020-09-08 Apple Inc. Split precoding and split prefiltering between a central unit and a distributed unit of a generation node-B (GNB)
US11197258B2 (en) 2017-08-10 2021-12-07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Timing advance group configuration
US20190268820A1 (en) * 2017-09-26 2019-08-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Ltd. Network Handover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EP3836729B1 (en) * 2017-09-28 2023-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devices for network access
US11265946B2 (en) 2017-09-28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GB2575033A (en) * 2018-06-22 2020-01-0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13784457B (zh) * 2018-08-10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知方法、装置及基站
US11297669B2 (en) * 2018-11-02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ing in relay network,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200099450A (ko) * 2019-02-14 2020-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컨텍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53749B2 (en) * 2019-02-14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E contex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91125A (en) * 2020-01-17 2021-07-2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3498025B (zh) * 2020-04-03 2023-03-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承载变更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CN115486203A (zh) * 2020-04-30 2022-12-16 苹果公司 较细粒度用户平面安全性策略配置
CN113852999A (zh) * 2020-06-28 202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资源管理方法及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8752A (ko) 2007-10-16 2009-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위한 무선연결 설정방법
US8972553B2 (en) 2009-08-10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policy and charging control rule or quality of service rule modification failures
US20120250601A1 (en) * 2011-03-28 2012-10-04 Hyung-Nam Choi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exchanging dat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KR101568310B1 (ko) 2013-02-01 2015-11-12 주식회사 케이티 스몰 셀 환경에서의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039039B2 (en) * 2013-07-02 2018-07-3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284081A (zh) 2013-07-29 2016-01-27 富士通株式会社 传输机制的转换方法、用户设备以及基站
EP2835925B1 (en) * 2013-08-09 2018-08-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Efficient Status Reporting for UEs in dual connectivity during mobility
KR101685319B1 (ko) 2013-10-28 2016-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종 네트워크에서 이중 연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064051B2 (en) 2014-01-17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connectivity mode of operation of a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922363B1 (en) * 2014-03-21 2020-01-15 Alcatel Lucent Dual Connectivity Network
EP2928261B1 (en) 2014-03-31 2020-03-18 Nokia Technologies Oy Bearer release
GB2528913B (en) 2014-08-04 201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ling in dual connectivit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ES2913928T3 (es) 2015-09-15 2022-06-06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procesamiento de servicios, dispositivo de red de acceso de procesamiento de servicios, medio de almacenamiento legible por ordenador y sistema de comunicaciones para procesamiento de servicios de VoLTE
EP3530068A2 (en) * 2017-06-16 2019-08-28 Ofinno, LLC Distributed unit configuration update
US10499376B2 (en) * 2017-06-16 2019-12-03 Kt Corporation Methods for managing resource based on open interface and apparatuses thereof
US20180376380A1 (en) * 2017-06-23 2018-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Exposure of capabilities of central units and distributed units in base station entities for admission control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3-172217
3GPP R3-172352
3GPP TS 38.401 V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7631A1 (en) 2019-01-31
EP3512296B1 (en) 2021-02-24
JP2019525599A (ja) 2019-09-05
US10869353B2 (en) 2020-12-15
JP6700474B2 (ja) 2020-05-27
CN110419261A (zh) 2019-11-05
KR20190010857A (ko) 2019-01-31
EP3512296A1 (en) 2019-07-17
KR20190039049A (ko) 2019-04-10
WO2019022397A1 (ko) 2019-01-31
KR101966871B1 (ko) 2019-04-08
CN110419261B (zh) 2023-06-09
EP3512296A4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023B1 (ko) Cu-du 분할 시나리오에서 무선 베어러를 수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239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in CU-DU split scenario
US116383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uming RRC connection in CU-DU division scenario
US1102612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signaling category for access control mechanis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151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bearer
US11089571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RAN based paging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19034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rb
CN110463089B (zh) 执行每个切片的干扰协调的方法和设备
US202000535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v2x communication
US2020005985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ran-based notification area
US105952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tering tracking area on basis of mobility of terminal
US11374702B2 (en) Method for semi-persistent scheduling transmission using HARQ process identifi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