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678B1 -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 Google Patents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678B1
KR102433678B1 KR1020200127510A KR20200127510A KR102433678B1 KR 102433678 B1 KR102433678 B1 KR 102433678B1 KR 1020200127510 A KR1020200127510 A KR 1020200127510A KR 20200127510 A KR20200127510 A KR 20200127510A KR 102433678 B1 KR102433678 B1 KR 10243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ircuit
sub
packet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0812A (ko
Inventor
이-청 천
콴-충 황
치아 춘 훙
허우 웨이 린
Original Assignee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9125882A external-priority patent/TWI736378B/zh
Application filed by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40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5Transmission of mode-switching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7Relays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하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를 제공한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하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지 않되,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된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한다.

Description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DYNAMICALLY SWITCHING OPERATION MODE, AND RELATED 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복수의 서로 페어링되어 사용되는 블루투스 회로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장치, 가령, 짝을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셋, 그룹을 이루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의 블루투스 장치를 지칭한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다른 블루투스 장치(이하 원격 블루투스 장치라고 함)와 연결이 수행될 때, 원격 블루투스 장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한다. 종래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동작하는 경우, 그 중 하나의 멤버 회로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 양방향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로 설정하며, 다른 멤버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로 설정된다.
그러나,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은 시간에 따라 바뀌거나, 사용자의 자세, 사용 습관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이 당시의 블루투스 통신 환경의 상황으로 인해 동적으로 조정될 수 없으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사용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쉽다.
이 점을 감안하여,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의 변화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전반적인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경감시킬 것인가는 실질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명세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실시예를 제공하며,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1 패킷 파싱 회로; 및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 -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와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에 커플링됨 -; 및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2 패킷 파싱 회로; 및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 -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스니핑 모드 또는 릴레이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패킷 파싱 회로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패킷 파싱 회로에 커플링됨 - 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하며,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로부터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스니핑한다.
본 명세서는 또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스니핑 모드 또는 릴레이 모드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파싱 회로;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와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에 커플링된 제1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수신하지만,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한다.
본 명세서는 또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중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파싱 회로;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와 상기 제2 패킷 파싱 회로에 커플링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스니핑 모드와 릴레이 모드 중의 동작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하며,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고; 또한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스니핑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점 중 하나는 당시의 블루투스 통신 환경의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에 따라,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조정한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효율을 향상 및/또는 사용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하기의 설명 및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셈블리 또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복수의 멤버 회로(member circuit)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멤버 회로만을 도시하였는데, 각각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제2 블루투스 회로(120) 및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모든 멤버 회로는 모두 유사한 주요 회로 구조를 가지나, 상이한 멤버 회로에는 상이한 추가적인 회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고, 모든 멤버 회로의 회로 구조가 모두 완전히 동일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패킷 파싱 회로(113), 제1 클록 동기화 회로(115) 및 제1 제어 회로(117)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패킷 파싱 회로(123), 제2 클록 동기화 회로(125) 및 제2 제어 회로(127)를 포함한다.
제3 블루투스 회로(130) 내부의 주요 회로 어셈블리도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 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유사하나, 간결성을 위해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내부 회로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패킷 파싱 회로(113)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수신된 블루투스 패킷을 파싱(parsing)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1 클록 동기화 회로(115)는 제1 패킷 파싱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사용되는 클록 신호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 사용되는 피코넷 클록(piconet clock)을 동기화한다.
제1 제어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패킷 파싱 회로(113) 및 제1 클록 동기화 회로(115)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회로의 동작 방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통신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7)는 또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제1 패킷 파싱 회로(113)를 이용하여 파싱함으로써, 관련된 데이터 또는 명령을 획득한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패킷 파싱 회로(123)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된 블루투스 패킷을 파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클록 동기화 회로(125)는 제2 패킷 파싱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사용되는 클록 신호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 사용되는 피코넷 클록을 동기화한다.
제2 제어 회로(127)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패킷 파싱 회로(123) 및 제2 클록 동기화 회로(125)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회로의 동작 방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동작하는 경우, 제2 제어 회로(127)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127)는 또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서 수신한 패킷을 제2 패킷 파싱 회로(123)를 이용하여 파싱함으로써, 관련된 데이터 또는 명령을 획득한다.
실제적으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모두 다양한 버전의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적합한 무선 통신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113)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3)는 모두 다양한 패킷 복조 회로, 디지털 연산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록 동기화 회로(115)와 제2 클록 동기화 회로(125)는 모두 클록 주파수 및/또는 클록 위상을 비교 및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적절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회로(117)와 제2 제어 회로(127)는 모두 적절한 연산 능력을 구비하는 다양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또한 제1 클록 동기화 회로(115) 또는 제2 클록 동기화 회로(125)를 제1 제어 회로(117) 또는 제2 제어 회로(127)에 통합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113)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3)를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각각 통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1 패킷 파싱 회로(113)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3)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응용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중 상이한 기능의 블록을 단일 회로 칩에 통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모든 기능 블록은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Bluetooth controller IC)에 통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중의 모든 기능 블록도 다른 하나의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에 통합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상이한 멤버 회로는 각자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데이터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하고, 동시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멤버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주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main Bluetooth circuit)의 역할을 담당할 하나의 멤버 회로를 선택하고, 다른 멤버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auxiliary Bluetooth circuit)의 역할을 담당한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이미 알려진 다양한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과정 중에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적절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능동적으로 스니핑하도록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한 후에 포워딩되어 온 패킷만을 수동적으로 수신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능동적으로 스니핑하지 않는 릴레이 모드(relay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두 가지 시나리오에서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개별적인 동작 방식은 후속의 단락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지칭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라는 두 용어는, 단지 상이한 멤버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것을 쉽게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결코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다른 동작 양상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제어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이 동적으로 교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자신의 연산 부하, 잔여 전력, 온도 및/또는 동작 환경 등의 동작 파라미터를 간헐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상기 동작 파라미터가 일부 미리 결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핸드오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자신의 상기 동작 파라미터와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파라미터 간의 차이를 간헐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파라미터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파라미터 간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정도를 초과하는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핸드오버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자신의 블루투스 패킷 손실률을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블루투스 패킷 손실률과 간헐적으로 비교할 수도 있으며,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블루투스 패킷 손실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핸드오버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또한 전술한 다양한 평가 조건을 모두 함께 종합적인 고려 사항에 포함시켜,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또한 다양한 방법을 채용하여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디스에이블 또는 실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디스에이블 또는 실종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이전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지위를 대체하여,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이어받아 수행한다.
알려져 있듯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자세, 사용 습관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할 수 있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이 교환되지 않는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이 당시의 블루투스 통신 환경의 상황으로 인해 동적으로 조정될 수 없다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효율이 저하되기 쉽고, 또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대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는, 또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발열량과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발열량 또는 온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동작 방식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의 흐름도에서, 특정 장치에 속하는 문단에 위치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표기된 부분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담당하는 멤버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표기된 부분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담당하는 멤버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며, 전술한 논리는 후속의 다른 흐름도에도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먼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202를 수행한다. 실제적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먼저 임의의 하나의 멤버 회로를 이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연결을 수행하고 관련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획득한 다음, 획득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상기 멤버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멤버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단계 202에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블루투스 연결을 구축하도록 제어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 등 다른 멤버 회로에 전송하여, 이어서 다른 멤버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예컨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202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블루투스 연결을 구축하도록 제어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에 전송하여, 이어서 다른 멤버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2 제어 회로(127)는 또한 단계 202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장치 식별 데이터 및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후속의 단계에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양방향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일방향으로만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도록 변경되어, 더이상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패킷을 전송하지 않으므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발생하는 패킷 충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주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현재 선택된 멤버 회로이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가정한다.
단계 204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다른 멤버 회로(예를 들어,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통지하고, 다른 멤버 회로에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되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주요 작업을 처리할 책임이 있게 되고, 다른 멤버 회로는 오로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만을 스니핑할 수 있을 뿐,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명령, 데이터 또는 다른 관련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206을 수행한다.
단계 20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하지 않는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되는 다양한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다양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단계 202에서 획득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 202의 동작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패킷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자신에 의해 획득된 것일 수 있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할 때마다, 매번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대응되는 확인 정보(acknowledge message)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특정 패킷에 대응되는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않으면, 상기 특정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다시 전송한다. 실제적으로, 패킷이 수신 누락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는 다양한 적절한 패킷 핸드셰이크(handshake) 메커니즘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다른 멤버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도록 스니핑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하는 단계 208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계 208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202에서 획득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에 따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블루투스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려는 블루투스 패킷만을 스니핑하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외의 장치에 전송하려는 블루투스 패킷은 스니핑하지 않는다. 상기 단계 202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할 때 사용하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자신이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한 후마다 매번 단계 21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210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스니핑된 패킷과 대응하는 통지 정보(notification message)를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지만, 어떠한 확인 정보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할 때마다, 매번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210을 수행할 수 있고, 대응되는 통지 정보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전송하지만, 제2 제어 회로(127)는 어떠한 확인 정보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지 않는다.
실제적으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또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특정 패킷을 스니핑했는지 여부를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질의할 때만, 전술한 단계 210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초래하는 오판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모두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지만, 오로지 메인 블루투스 회로만이 패킷을 수신할 때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고,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모두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지 않는다.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도 대응되는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에 대해 어떠한 패킷 핸드셰이크 절차도 수행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통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는 목적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패킷 핸드셰이크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제1 블루투스 회로(110)로 하여금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어떠한 패킷을 수신 누락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 밖에,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통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는 목적도,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상기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기 전에,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상기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체크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는 타이밍은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상기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와 무관하다.
실제적으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는 상기 통지 정보는 다양한 적절한 데이터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특정 블루투스 패킷을 수신할 경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특정 블루투스 패킷으로부터 대응되는 패킷 시퀀스 번호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패킷 시퀀스 번호를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 코드 또는 장치 식별 데이터와 함께, 상기 특정 블루투스 패킷에 대응하는 통지 정보로 조합 또는 인코딩한다. 또한, 예컨대,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특정 블루투스 패킷으로부터 적절한 패킷 식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패킷 식별 데이터를 제2 블루투스 회로(120)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 코드 또는 장치 식별 데이터와 함께, 상기 특정 블루투스 패킷에 대응되는 통지 정보로 조합 또는 인코딩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복수의 블루투스 패킷을 연속적으로 송신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조건 하에 각각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전술한 단계 208과 단계 2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복수의 통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208과 단계 21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복수의 블루투스 패킷에 대응되는 복수의 통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한다.
실제 동작 시, 각각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때로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일부 패킷을 수신 누락할 수 있고, 상이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 및 패킷의 개수도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개별적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통지 정보에 따라, 개별적인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 누락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212를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계 212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통지 정보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일부 패킷을 수신 누락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패킷 파싱 회로(113)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복수의 통지 정보에서 복수의 패킷 시퀀스 번호 또는 복수의 패킷 식별 데이터를 파싱할 수 있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일부 패킷을 수신 누락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1 제어 회로(117)는 이러한 패킷 시퀀스 번호 또는 패킷 식별 데이터가 연속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패킷 시퀀스 번호 또는 패킷 식별 데이터가 불연속인 경우,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부족한 패킷 시퀀스 번호 또는 패킷 식별 데이터에 대응되는 패킷을 수신 누락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부족한 패킷 시퀀스 번호 또는 패킷 식별 데이터에 따라, 제1 제어 회로(117)는 나아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어떠한 패킷을 수신 누락하였는지를 한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는 패킷 핸드셰이크 메커니즘이 채용되므로, 정상적인 조건 하에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7)는 어느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일부 패킷을 수신 누락했는지 확인한 경우, 단계 214를 수행하여,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한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특정 패킷을 수신 누락한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1 제어 회로(117)는 단계 214를 수행할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216을 수행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되어 온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수신한다. 다시 말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제어 회로(12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하지만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을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협조 하에 수신 누락된 패킷을 모두 보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보충하도록 협조할 수 있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명령, 데이터 또는 관련된 패킷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명령, 데이터 또는 관련된 패킷을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통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포워딩해야 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명령, 데이터 또는 관련된 패킷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발생하는 패킷 충돌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명령, 데이터 또는 관련된 패킷은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되어야 하고,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포워딩된다.
다시 말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모든 멤버 회로는 모두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지만, 메인 블루투스 회로만이 명령, 데이터 또는 다른 관련된 패킷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는 것이 허용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패킷을 수신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는 패킷 핸드셰이크 메커니즘이 채용되고,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가 확인 정보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송신하는 타이밍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통지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다.
따라서,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할 때 대응되는 통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는 동작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의 패킷 핸드 셰이크 절차를 간섭하거나 지연시키지 않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상기 패킷 핸드셰이크 절차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별도의 연산 부하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한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예컨대,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모두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므로, 각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정상적인 조건 하에 모두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대부분의 패킷을 수신한다. 따라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로서의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개별적인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대응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각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도 2의 방법을 채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상호 작용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본 실시예에서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임)의 패킷 포워딩 부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전력 소비량을 절약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효과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다른 멤버 회로 사이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 요구 사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다른 멤버 회로의 하드웨어 설계를 단순화 및/또는 회로 복잡성과 회로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작하는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사이에 또한 다양한 적절한 종래의 데이터 동기화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상이한 멤버 회로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재생할 수 있음을 확보하고, 이로써 상이한 멤버 회로의 재생 타이밍의 불일치가 나타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은 변하지 않았지만,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은 오히려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바뀔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자세와 사용 습관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할 수 있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이 현재의 블루투스 통신 환경의 상황으로 인해 동적으로 조정될 수 없는 경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효율을 저하시키기 쉽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또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자신이 스니핑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throughput)을 계산하기 위해, 단계 302가 또한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302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스니핑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의 데이터양을 계산하여, 대응되는 데이터 스루풋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304를 수행하여,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고,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계속해서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고, 전술한 단계 208 내지 단계 304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매우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심지어 휴면 모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306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06에서, 제2 제어 회로(127)는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생성하고,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한다.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허가하는 것을 요청하는 데에 사용되며, 실제적으로 다양한 적절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구현할 수 있다.
단계 308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단계 310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되는 후속의 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7)가 판단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단계 312가 수행된다. 반대로, 제1 제어 회로(117)가 판단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한다고 결정하면, 단계 316이 수행된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이 허가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고,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할 필요가 있다. 이로써,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비, 발열량 및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사이의 데이터 대역폭 요구 사항이 증가한다.
따라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현재 연산 부하, 잔여 전력, 온도 및/또는 가용 데이터 대역폭 등의 요소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 결과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에만,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7)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현재 연산 부하가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낮음, 잔여 전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음,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낮음 및/또는 가용 데이터 대역폭이 미리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단계 312에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허가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거부 정보를 생성하고, 거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314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거부 정보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이 경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거부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계속해서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전술한 단계 208 내지 단계 304의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31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모드 스위칭 지시를 생성하고, 제1 모드 스위칭 지시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318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제1 모드 스위칭 지시를 수신하고,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지시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한다.
다음으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320을 수행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322를 수행한다.
단계 320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한다.
단계 322에서, 제2 제어 회로(12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그러나,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제어 회로(12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간접적으로 획득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제어 회로(117)가 먼저 단계 310의 판단 절차를 수행한 다음,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미리 결정된 조건에 부합한다고 판단한 후에 비로소 단계 316의 동작 방식을 수행하는 것은 단지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제 실시형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제적으로, 또한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 전술한 단계 310의 판단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단계 316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자신이 스니핑한 데이터 스루풋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을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자신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한(즉,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여전히 충분히 이상적인 경우),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 요구 사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이상적이지 않게 변하거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또는 휴면 모드 상태에 속하는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중지하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도 연장시킬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은 심지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절전 모드, 휴면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2와 도 3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설명된 동작 단계는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동작 단계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마찬가지로 자신이 스니핑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하기 위해 단계 302가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단계 302를 수행한 후에, 전술한 단계 304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스니핑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을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는 도 4의 단계 404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단계 302에서 상기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한 후, 단계 404가 수행된다. 이 때, 제2 제어 회로(127)는 데이터 스루풋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한다.
단계 40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 회로(117)는 단계 408을 수행하여,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고,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동작 모드를 조정하지 않고, 전술한 단계 406과 단계 408의 동작을 반복한다.
반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매우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심지어 휴면 모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도 3의 단계 316 내지 단계 322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이상적이지 않게 변경되거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또는 휴면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중지하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도 연장시킬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은 심지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절전 모드, 휴면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2와 도 4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에서 설명한 동작 단계는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동작 단계들과 결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스니핑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하기 위해, 단계 502를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예컨대, 단계 502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수신 누락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전송하는 빈도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제1 제어 회로(117)가 수신 누락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전송하는 빈도가 낮을수록,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는 동작이 더 원활하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도 더 높아진다. 반대로, 제1 제어 회로(117)가 수신 누락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전송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는 동작이 더욱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되는 데이터 스루풋도 더 낮아진다. 따라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수신 누락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전송하는 빈도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을 간접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408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고,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동작 모드를 조정하지 않고, 전술한 단계 502와 단계 408의 동작을 반복한다.
반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매우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심지어 휴면 모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도 3의 단계 316 내지 단계 322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이상적이지 않게 변경되거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또는 휴면 모드 상태에 속하는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중지하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또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은 심지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절전 모드, 휴면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2와 도 5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부분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설명한 동작 단계는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동작 단계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스니핑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단계 502를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단계 502를 수행한 후, 전술한 단계 408을 수행하지 않고, 계산된 패킷의 데이터 스루풋을 추가적인 판단을 하도록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는 도 6의 단계 604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단계 502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을 계산한 후, 단계 604가 수행된다. 이 때, 제1 제어 회로(117)는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606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스루풋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2 제어 회로(12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을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전술한 단계 304를 수행한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으면,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정상 범위에 속하고,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전술한 단계 208과 단계 210의 동작을 반복한다.
반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매우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내거나, 또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0)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심지어 휴면 모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모드 스위칭 요청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도록 전술한 단계 306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도 3의 단계 308 내지 단계 322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이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이상적이지 않게 변경되거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매우 적거나 또는 휴면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는 것을 중지하므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또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수명을 연장 및/또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방식은 심지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절전 모드, 휴면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전력 소모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2와 도 6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전술한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서브 블루투스 회로 또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의해 계산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악화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거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니핑 모드에서 릴레이 모드로 스위칭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제 실시 형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제적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또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현재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스위칭할지 여부를 동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먼저 전술한 단계 202를 수행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데에 필요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전술한 도 2의 단계 202의 동작 방식과 실시예 변화에 대한 설명은 도 7의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마찬가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수신하는 주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현재 선택된 멤버 회로이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와 제3 블루투스 회로(130))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가정한다.
단계 704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고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다른 멤버 회로(예를 들어, 상기 제2 블루투스 회로(120) 및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통지할 수 있고, 다른 멤버 회로에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되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즉, 이어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주요 작업을 처리할 책임이 있게 되고, 다른 멤버 회로는 오로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수신해야 하지만,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멤버 회로가 명령, 데이터 또는 다른 관련된 패킷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706을 수행한다.
단계 70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제1 제어 회로(117)는 또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른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포워딩한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할 수 있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단계 202에서 획득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 패킷 전송을 수행하여,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되는 다양한 패킷을 수신하거나, 또는 다양한 패킷을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전송한다. 전술한 단계 202의 동작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패킷 전송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 자신이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을 수신 누락하는 경우의 발생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 사이에는 다양한 적절한 패킷 핸드셰이크 메커니즘이 채용될 수 있다.
단계 708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여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수신한다. 예컨대, 제2 제어 회로(12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제어 회로(12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는다.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회로(110)를 통해 간접적으로 획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자신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의 신호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signal reception quality indicator)를 계산하기 위해, 단계 710을 또한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710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현재 블루투스 신호 수신 상태를 평가하여, 대응하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는 패킷 에러율(packet error rate; PER), 비트 에러율(bit error rate; BER), 신호 수신 강도 값(signal reception strength),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또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현재 블루투스 신호 수신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다른 지수 값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와 미리 결정된 지수 값을 비교하는 단계 712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127)에 의해 계산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에 비해 나쁘면,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그다지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릴레이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전술한 단계 708 내지 단계 712의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제어 회로(127)에 의해 계산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하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714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14에서, 제2 제어 회로(127)는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생성하고,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한다.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허가하는 것을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요청하는 데에 사용되며, 실제적으로 다양한 적절한 데이터 포맷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구현할 수 있다.
단계 71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단계 718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 회로(117)가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후속의 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7)가 판단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도 8의 단계 802가 수행된다. 반대로, 제1 제어 회로(117)가 판단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한다고 결정하면, 도 8의 단계 806이 수행된다.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이 허가된 후,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할 수 있고, 이어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스스로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하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 또는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지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사이의 데이터 대역폭 요구 사항을 경감시킬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 또는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요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현재 연산 부하가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낮음, 잔여 전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높음, 및/또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7)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현재 연산 부하가 미리 결정된 레벨보다 높음, 잔여 전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낮음, 및/또는 온도가 미리 결정된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만,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도록 허가할 수 있다.
단계 802에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제1 블루투스 회로(110)가 허가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거부 정보를 생성하고, 거부 정보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804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되는 거부 정보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이 경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거부 정보의 지시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지속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전술한 단계 708 내지 단계 712의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806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생성하고,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808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되는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수신하고,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지시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한다.
다음으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810을 수행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812를 수행한다.
단계 810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되는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지 않는다.
단계 812에서,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202에서 획득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에 따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블루투스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패킷만을 스니핑하되,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이외의 장치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패킷은 스니핑하지 않는다. 전술한 단계 202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가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스니핑할 때 사용되는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자신이 획득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멤버 회로(예컨대,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도 2의 단계 210 내지 단계 216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의해야할 것은,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먼저 단계 718의 판단 절차를 수행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다고 판정한 후에 비로소 단계 806의 동작 방식을 수행하는 것은 단지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제 실시형태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제적으로, 제1 제어 회로(117)는 또한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한 후에, 전술한 단계 718의 판단 절차를 생략하고 바로 단계 806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와 미리 결정된 지수 값의 비교를 간헐적으로 수행하여,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현재 블루투스 신호 수신 조건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나쁘면,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그다지 이상적이지 않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비효율적인 패킷 스니핑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연산 리소스와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다.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이게 된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오로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 요구 사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7과 도 8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10을 참조하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와 도 10의 실시예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자신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의 신호 수신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단계 710을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단계 710을 수행한 후, 전술한 단계 712를 수행하지 않고, 자신이 계산한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 전송하는 도 9의 단계 912를 수행한다.
예컨대,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710에서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한 후, 단계 912를 수행한다. 이 때, 제2 제어 회로(127)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한다.
단계 914에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한다.
다음으로, 제1 제어 회로(117)는 단계 916을 수행하여,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계산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미리 결정된 지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한다.
제2 제어 회로(127)에 의해 계산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나쁘면, 현재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그다지 이상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도 10의 단계 802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제어 회로(127)에 의해 계산된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하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임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도 10의 단계 806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806에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생성하고,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한다.
단계 808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제2 모드 스위칭 지시를 수신하고,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제2 모드 스위칭 지시에 따라,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한다.
다음으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단계 810을 수행하고, 제2 블루투스 회로(120)는 단계 812를 수행한다.
단계 810에서,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제1 제어 회로(117)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지 않는다.
단계 812에서, 제2 제어 회로(127)는 단계 202에서 획득된 블루투스 연결 파라미터에 따라,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되는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도 2의 단계 210 내지 단계 216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의 많은 단계들은 모두 전술한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따라서, 전술한 도 8의 대응하는 단계의 동작 방식과 실시예의 변경에 대한 설명은 도 10의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의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대응하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와 미리 결정된 지수 값의 비교를 간헐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현재 블루투스 신호 수신 조건이 뚜렷하게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나쁘면,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현재 수행하는 블루투스 통신의 무선 신호 환경이 그다지 이상적이지 않으면,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비효율적인 패킷 스니핑 동작을 수행하는 데에 연산 리소스와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지 않는다.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의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에만, 즉, 제2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무선 신호 환경이 충분히 이상적이게 된 경우에만,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한다. 이 경우, 제1 블루투스 회로(110)는 오로지 제2 블루투스 회로(120)가 수신 누락한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기만 하면 되고,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모든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달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연산 부하, 전력 소모량 및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제1 블루투스 회로(110)의 작업 시간과 대기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제1 블루투스 회로(110)와 제2 블루투스 회로(1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대역폭 요구 사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방식에 기초하여, 제3 블루투스 회로(130)에 의해 스니핑된 데이터 스루풋에 따라, 제3 블루투스 회로(130)의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9와 도 10의 동작 방식을 채용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동작 모드를 릴레이 모드에서 스니핑 모드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으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사이의 페어링 동작을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복수의 블루투스 회로들 사이의 부하 균형, 전력 소비 균형 또는 발열 균형 등의 관리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기에,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거나, 블루투스 회로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시킬 수 있다.
주의해야할 것은, 전술한 각각의 실시예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멤버 회로의 개수는 적어도 2 개로 감소될 수도 있고, 실제 회로에 적용되는 요구 사항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특정 어셈블리를 지칭하기 위해 일부 단어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이한 명사로 동일한 어셈블리를 지칭하는 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출원 특허 범위는 명칭의 차이로 어셈블리를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어셈블리의 기능 상의 차이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명세서 및 출원 특허 범위에 언급된 "포함”은 개방식 용어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 밖에, "커플링”이라는 단어는 여기서 임의의 직접적 및 간접적인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문에서 제1 어셈블리가 제2 어셈블리에 커플링된다고 설명되면, 제1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 또는 무선 전송, 광학 전송 등 신호 연결 방식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2 어셈블리에 연결되거나, 다른 어셈블리 또는 연결 수단을 통해 제2 어셈블리에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의 설명 방식은, 나열된 항목 중의 하나의 항목 또는 복수의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밖에, 명세서에 따로 특정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단수의 표현은 모두 동시에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따른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0...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multi-member Bluetooth device)
102...원격 블루투스 장치(remote Bluetooth device)
110...제1 블루투스 회로(first Bluetooth circuit)
111...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13...제1 패킷 파싱 회로(first packet parsing circuit)
115...제1 클록 동기화 회로(first clock synchronizing circuit)
117...제1 제어 회로(first control circuit)
120...제2 블루투스 회로(second Bluetooth circuit)
121...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23...제2 패킷 파싱 회로(second packet parsing circuit)
125...제2 클록 동기화 회로(second clock synchronizing circuit)
127...제2 제어 회로(second control circuit)
130...제3 블루투스 회로(third Bluetooth circuit)

Claims (10)

  1.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 또는 릴레이 모드(relay mode)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파싱 회로(113);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113)에 커플링된 제1 제어 회로(117)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수신하지만,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하고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미리 결정된 지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하며,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생성된 모드 스위칭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모드 스위칭 요청은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허가하는 것을 요청하는 데에 사용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하지만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2.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 또는 릴레이 모드(relay mode)에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1 패킷 파싱 회로(113); 및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상기 제1 패킷 파싱 회로(113)에 커플링된 제1 제어 회로(117)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수신하지만,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하고,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미리 결정된 지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또한,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모드 스위칭 지시를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수신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스니핑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하지만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을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3.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파싱 회로(123);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상기 제2 패킷 파싱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와 릴레이 모드(relay mode) 중의 동작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127)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며,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계산하고,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미리 결정된 지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하고: 또한,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허가하는 것을 요청하기 위해,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모드 스위칭 요청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하지만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을 획득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4.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된 패킷을 파싱하도록 구성된 제2 패킷 파싱 회로(123);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상기 제2 패킷 파싱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와 릴레이 모드(relay mode) 중의 동작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127)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을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포워딩하며,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포워딩되어 온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하지만,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지 않으며;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미리 결정된 지수 값과 비교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제공하기 위해, 신호 수신 품질 지수를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신호 수신 품질 지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지수 값보다 양호한 경우,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모드 스위칭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모드 스위칭 지시에 따라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상기 스니핑 모드로 스위칭하되;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스니핑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스니핑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7)는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상기 원격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하지만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 누락된 패킷을 획득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27510A 2019-10-03 2020-09-29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102433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09783P 2019-10-03 2019-10-03
US62/909,783 2019-10-03
TW109125882 2020-07-30
TW109125882A TWI736378B (zh) 2019-10-03 2020-07-30 可動態切換操作模式的多成員藍牙裝置、以及相關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812A KR20210040812A (ko) 2021-04-14
KR102433678B1 true KR102433678B1 (ko) 2022-08-18

Family

ID=75274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510A KR102433678B1 (ko) 2019-10-03 2020-09-29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05692A1 (ko)
JP (1) JP7001783B2 (ko)
KR (1) KR1024336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671B1 (ko) 2002-12-21 2006-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동적 비대칭 운용 방법
US20170093613A1 (en) * 2015-09-25 2017-03-30 Orion Labs Wearable group communication device bypass connectivity
US20180077493A1 (en) * 2010-09-02 2018-03-15 Apple Inc. Un-tethered Wireless Audio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006A (ja) 2005-11-30 2007-06-14 Fujitsu Ltd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1467782B1 (ko) * 2008-02-25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공존 지원 방법
US9166677B2 (en) 2010-01-19 2015-10-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498514B1 (en) 2011-03-08 2014-01-01 Nxp B.V. A hear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device
US9998969B2 (en) * 2013-03-15 2018-06-12 Facebook, Inc. Portable platform for networked computing
EP3713254A3 (en) 2013-11-07 2020-11-18 Oticon A/s A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comprising two wireless interfaces
EP3205119B1 (en) 2014-09-15 2020-05-13 Sonova AG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06535081A (zh) 2016-12-20 2017-03-22 建荣半导体(深圳)有限公司 蓝牙模式切换方法、装置、通信系统及立体声音频传输方法
CN109347581B (zh) 2018-09-30 2020-11-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蓝牙耳机连接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671B1 (ko) 2002-12-21 2006-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블루투스 실시간 전송 시스템의 동적 비대칭 운용 방법
US20180077493A1 (en) * 2010-09-02 2018-03-15 Apple Inc. Un-tethered Wireless Audio System
US20170093613A1 (en) * 2015-09-25 2017-03-30 Orion Labs Wearable group communication device bypass connectiv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812A (ko) 2021-04-14
JP7001783B2 (ja) 2022-02-10
US20210105692A1 (en) 2021-04-08
JP2021061584A (ja)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761B1 (ko)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202988B1 (ko)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에 사용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
KR102362406B1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102326925B1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102433678B1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102337260B1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102337259B1 (ko) 수신된 패킷의 데이터 유형 변화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및 관련된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
KR102362405B1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KR102337136B1 (ko) 동작 모드를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
CN112616137B (zh) 可动态切换操作模式的多成员蓝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