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70B1 -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70B1
KR102433570B1 KR1020210040109A KR20210040109A KR102433570B1 KR 102433570 B1 KR102433570 B1 KR 102433570B1 KR 1020210040109 A KR1020210040109 A KR 1020210040109A KR 20210040109 A KR20210040109 A KR 20210040109A KR 102433570 B1 KR102433570 B1 KR 1024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uce
fluorescence
chlorophyll fluorescence
lss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구
신유경
조정수
송재우
시바람반다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08Fluorescence; Phosphorescence with measurement of decay time, time resolved flu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97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lant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43Fluorimetric tit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66Investigation of vegetal material, e.g. leaves, plants, fr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otan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icrobi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수의 상추 유묘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룹 단위로 함수율을 달리하여 동일 재배 환경하에 동일 기간 동안 재배하는 단계;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한 엽록소 형광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함수율별로 분류 분석하여,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가 정의된 건조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the salt resistance evaluation index of lettuce genetic resources}
본 발명은 상추 유전자원의 함수율과 건조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기준의 육묘관리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작물의 육묘 과정 중 재배 및 관리자 선택 사항의 다양성으로 인해 농가에서는 육묘, 재배 관리 등에 관한 관리 기술이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육묘 재배 기술에는 많은 관리사항이 있으나, 이중 작물의 적정 수분을 공급하여 원활한 생장을 도와주는 관수 관리는 재배자의 육악, 개인적 견해 및 재배 환경(기온, 습도 등) 등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표준화가 어려운 기술 중 하나이다.
육교기간 내에 적정 수준의 관수관리가 충분하게 이행되지 않을 경우, 유묘가 출하되고 이후 작물의 생육, 착과, 과실 성숙 및 생산량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관리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재배관리자의 육안, 개인적 견해에 의한 관수 관리를 표준화하여 이를 수치화, 객관화할 수 있는 기초자료 구축과 더불어 수분 스트레스를 탐지하는 측정 기술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엽록소 형광 특성 기반으로 상추 유묘의 함수율과 건조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비파괴적 방법으로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수의 상추 유묘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룹 단위로 함수율을 달리하여 동일 재배 환경하에 동일 기간 동안 재배하는 단계;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한 엽록소 형광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함수율별로 분류 분석하여,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가 정의된 건조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함수율은 73.0±0.6%, 69.1±1.3%, 61.5±2.2%, 38.8±3.5%, 25.0±4.1%, 18.0±2.4%, 12.9±2.1%, 10.7±1.2%, 8.1±1.0%로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엽록소 형광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엽록소 형광 측정기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명반응 환경을 제공하여 엽록소 형광 유도하는 단계; 상기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암반응 환경을 제공하여 엽록소 형광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 및 암적응 상태의 상추 유묘를 이용하여 엽록소 형광값을 측정한 후, 측정된 엽록소 형광값에 기반하여 엽록소 형광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엽록소 형광값은 F0, FM, FP, Ft_Ln, FM_Dn, F0_Dn, Ft_Lss, FM_Lss, F0_Lss, Ft_Dn, FM_Dn, F0_Dn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엽록소 형광 지수는 qP, QY_Lss, NPQ, 및 Rf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qP는 qP_Dn, qP_Ln, qP_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며, 상기 NPQ는 NPQ_Dn, NPQ_Ln, NPQ_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며, 상기 Rfd는 Rfd_Ln 및 Rfd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는 단계는 함수율 각각에 대응되는 상추 유묘 영상을 추가 획득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추 유묘의 함수율과 건조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획득 및 제공함으로써, 관수 관리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 구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특성에 기반하여 상추 유묘의 함수율과 건조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비파괴적 방법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자료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 노력, 비용 등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엽록소 형광 영상 획득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에 적용되는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aCl 농도에 따른 상추 유묘의 시각적 외관 변화와 엽록소 형광 파라메타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유전자원 평가를 위한 상추 유묘 준비 단계(S10), 엽록스 형광 영상 촬영 단계(S20), 및 건조 스트레스 지수 산출 단계(S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추 유묘 준비 단계(S10)에서는 다수의 상추 유묘를 다수의 그룹으로 균등 분류한 후, 그룹 단위로 함수율만을 달리 설정한다. 그리고 다수의 상추 유묘 모두를 동일 재배 환경(광량, 습도, 온도)하에서 동일 기간(약 12일) 동안 재배함으로써, 상추 재배 조건에 따른 결과 편차 발생을 사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추 유묘의 함수율은 다음과 같이 총 9 단계로 세분화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 함수율 0단계: 73.0±0.6%
㉡ 함수율 1단계: 69.1±1.3%
㉢ 함수율 2단계: 61.5±2.2%
㉣ 함수율 3단계: 38.8±3.5%
㉤ 함수율 4단계: 25.0±4.1%
㉥ 함수율 5단계: 18.0±2.4%
㉦ 함수율 6단계: 12.9±2.1%
㉧ 함수율 7단계: 10.7±1.2%
㉨ 함수율 8단계: 8.1±1.0%
엽록스 형광 영상 촬영 단계(S20)에서는 다수의 상추 유묘를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획득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획득한다.
건조 스트레스 지수 산출 단계(S30)에서는 다수개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함수율에 따라 분류하여 통계 분석함으로써,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건조 스트레스 지수로써 사용자 안내하도록 한다.
도 2는 상추 유묘의 함수율에 따라 변화되는 상추 유묘의 성장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수율이 0 단계에서 3단계인 경우, 상추 유묘는 정상 생육하게 되며, 특히 함수율에 비례하여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함수율이 4단계 이상이 되면, 함수율에 비례하여 상추 유묘의 성장이 저해되기 시작하며, 함수율이 6단계 이상이 되면 심각한 수준의 수분 스트레스가 발생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추 유묘의 함수율에 따라 변화되는 상추 유묘의 성장 결과를 육안으로 단순 확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서로 상이한 함수율로 재배된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한 엽록소 형광 특성을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상추 유전자원의 함수율과 건조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획득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엽록소 형광 측정기(100)는 암막 환경이 형성된 내부 공간이 마련된 챔버(110), 챔버(110)의 하측 중앙에 설치된 상추 유묘 지지대(120), 상추 유묘 지지대(1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챔버(110)의 상측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130), 챔버(110)의 상측 중앙에 분산 설치되어 상추 유묘 지지대(120)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 패널(140), 및 기 설정된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상추 유묘 지지대(120)에 놓여진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영상을 획득 및 분석하여 엽록소 형광 지수를 산출하고, 엽록소 형광 지수를 함수율별로 분류 분석하여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 후, 이를 건조 스트레스 지수로써 최종 획득 및 출력하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프로세서(150)는 상추 유묘의 상부에 위치한 LED 패널(140)을 통해 감도(sensitivity), 셔터 시간(shutter), 활성 광(Active light) 강도 및 포화광(Satulation light) 강도 등을 기 설정값으로 조절하여 적정 엽록소형광 수준을 설정한 후, 상추 유묘의 엽록소형광을 유도하기 위해 암적응 시간 20분 적응시킨 후, 상추 유묘의 상부에 위치한 카메라를 통해 F0 형광값, FM 형광값, FM_Lss 형광값, FM' 형광값, Ft 형광값과 Ft_Lss 형광값, 및 F0' 형광값 획득을 위한 다수의 엽록소형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의 엽록소형광 영상으로부터 F0 형광값, FM 형광값, FM_Lss 형광값, FM' 형광값, Ft 형광값과 Ft_Lss 형광값, 및 F0' 형광값을 추출한 후, qP, QY_Lss, NPQ, 및 Rf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엽록소 형광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추 유묘 길이를 센싱하는 레이저 거리 센서(미도시)와 카메라(130)와 상추 유묘 지지대(120)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는 높이 조정 장치(미도시)를 추가 구비하여, 상추 유묘의 길이에 따라 카메라(130)와 상추 유묘 지지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를 자동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추 유묘의 길이와 상관없이 카메라(130)와 상추 유묘간 거리가 항상 일정값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추 유묘 높이 변화에 의해 영상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 차단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엽록스 형광 영상 촬영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엽록스 형광 영상 촬영 단계(S20)는 상추 유모 선택 단계(S21), 명반응 유도 단계(S22), 암적응 단계(S23), 엽록소 영상 촬영 단계(S24), 및 엽록소 형광 지수 산출 단계(S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추 유모 선택 단계(S21)에서는 다수의 상추 유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엽록소 형광 측정기에 위치시킨 후, 선택된 상추 유묘의 함수율을 확인하도록 한다.
명반응 유도 단계(S22)에서는 상추 유묘의 상측에 위치된 LED 패널을 통해 20%와 1 Shutter의 감소와 셔터 값을 가지며, 활성 광은 최대 광(예를 들어, 2,000 μmol. m-2. s-1)의 15%(예를 들어, 300 μmol. m-2. s-1)로 강도 설정하고, 포화 광은 최대 광(4,000 μmol. m-2. s-1)의 20%(예를 들어, 800 μmol. m-2. s-1)로 강도 설정하여, 1500 수준의 적정 엽록소 형광을 유도하도록 한다.
암적응 단계(S23)에서는 상추 유묘를 기 설정 시간(예를 들어, 약 20분) 동안 암적응시켜,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발생을 유도하도록 한다.
엽록소 영상 촬영 단계(S24)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암적응된 상추 유묘에 측정광을 순간 비추면서 카메라를 통해 F0 형광 영상, FM 형광 영상, FP 형광 영상을 순차적으로 촬영한다.
그리고 활성 광을 킨 명상태에서 연속되는 포화광을 비추면서 카메라를 통해 Ft_Ln 형광 영상, FM_Dn 형광 영상, F0_Dn 형광 영상을 촬영한 후, 포화광과 far-red flashes을 함께 비추면서 Ft_Lss 형광 영상, FM_Lss형광 영상, F0_Lss 형광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활성 광은 다시 끈 상태에서 포화광과 추가 광(far-red flashes)을 반복하여 함께 비추면서 Ft_Dn 형광 영상, FM_Dn 형광 영상, F0_Dn 형광 영상을 촬영하도록 한다.
이때, F0 및 FM은 암상태에서의 최소 형광 및 최대 형광을, Ft_Ln, FM_Dn, F0_Dn는 암 릴렉스 상태에서의 순간 형광, 최대 형광, 최소 형광을, Ft_Lss, FM_Lss, F0_Lss는 광 정상 상태 형광, 정상 상태 최대 형광, 정상 상태 최소 형광을, Ft_Dn, FM_Dn, F0_Dn는 암 릴렉스 상태에서 순간 형광, 순간 최대 형광, 최소 형광을 각각 의미한다(표 1 참고).
Figure 112021036320876-pat00001
엽록소 형광 지수 산출 단계(S25)에서는 엽록스 형광값 측정 단계(S24)를 통해 획득된 형광 영상들로부터 F0, FM, FP, Ft_Ln, FM_Dn, F0_Dn, Ft_Lss, FM_Lss, F0_Lss, Ft_Dn, FM_Dn, F0_Dn의 형광값 각각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들 형광값에 기반하여 qP, QY_Lss, NPQ, 및 Rf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엽록소 형광 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
qP는 광화학적 형광 소멸 곡선으로, 수학식 1에 따라 산출 가능하다.
[수학식 1]
qP_Dn = (FM_Dn - Ft_Dn)/(FM_Dn - F0_Dn)
qP_Ln = (FM_Ln - Ft_Ln)/(FM_Dn - F0_Ln)
qP_Lss = (FM_Lss - Ft_Lss)/(FM_Lss - F0_Lss)
QY_Lss는 정적 상태에서 측정된 광계Ⅱ(PSⅡ)의 양자 수율로, 수학식 2에 따라 산출 가능하다.
[수학식 2]
QY_Lss = (FM_Lss - Ft_Lss) / FM_Lss
NPQ는 최대 형광의 비광화학적 형광 소멸 곡선으로, 수학식 3에 따라 산출 가능하다.
[수학식 3]
NPQ_Dn = (FM - FM_Dn)/FM_Dn
NPQ_Ln = (FM - FM_Ln)/FM_Ln
NPQ_Lss = (FM - FM_Lss)/FM_Lss
Rfd는 형광 감소 비율로, 수학식 4에 따라 산출 가능하다.
[수학식 4]
Rfd_Ln = (FP - Ft_Ln)/Ft_Ln
RfdLss = (FP - Ft_Lss)/FtLss
엽록소 형광 지수 산출 단계(S25)가 완료되면, 새로운 상추 유묘를 선택하여 엽록소 형광 측정기에 위치시킨 후 명반응 유도 단계(S22)로 재진입하되(S26), 새로운 상추 유묘가 없으면 동작 종료하도록 한다(S26).
즉, 엽록소 형광 영상 획득 단계(S20)는 다수의 상추 유묘 모두에 대한 엽록스 형광 지수 산출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 수행함으로써,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엽록스 형광 지수가 획득 및 저장하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산출 단계(S30)에서는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엽록스 형광 지수를 함수율에 따라 분류 분석하고, 분류 분석 결과로부터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그리고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를 건조 스트레스 지수로써 사용자 제공하도록 한다.
이때, 건조 스트레스 지수는 테이블, 그래프, 표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엽록스 형광 영상 촬영 단계(S20)는 상추 유모 선택 단계(S21) 이후 또는 명반응 유도 단계(S22) 이전에 상추 유묘를 가시광 환경에서 영상 촬영하여 상추 유묘 영상을 추가 획득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촬영된 상추 유묘 영상들로부터 함수율 변화에 따른 외관 변화를 안내하기 위한 대표 영상을 선별한 후, 이를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와 함께 사용자 안내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추 유묘의 함수율에 따른 엽록스 형광 지수 변화 패턴 뿐 아니라 상추 유묘 외관 변화 패턴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생성 및 제공할 수도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추 유묘의 품종을 달리하면서 건조 스트레스 지수 산출 동작을 반복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추 품종에 따른 건조 스트레스 지수 변화 패턴에 대한 자료로 추가적으로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상추 유묘를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한 후, 그룹 단위로 함수율을 달리하여 동일 재배 환경하에 동일 기간 동안 재배하는 단계;
    암막 환경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의 하측 중앙에 설치된 상추 유묘 지지대, 상기 챔버의 상측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 상기 챔버의 상측 중앙에 분산 설치되어 상추 유묘 지지대쪽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 패널, 및 기 설정된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영상을 획득 및 분석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되는 엽록소 형광 측정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 각각에 대한 엽록소 형광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의 엽록소 형광 지수를 함수율별로 분류 분석하여, 상추 유묘 함수율과 엽록소 형광 지수간의 상관관계가 정의된 건조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엽록소 형광 지수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상추 유묘 중 하나를 순차적으로 선택한 후, 엽록소 형광 측정기의 상추 유묘 지지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엽록소 형광 측정기의 상기 다수의 LED 패널을 통해 명반응 환경을 제공하여 엽록소 형광 유도하는 단계;
    상기 엽록소 형광 측정기의 상기 다수의 LED 패널을 통해 암반응 환경을 제공하여 엽록소 형광 발생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엽록소 형광 측정기의 카메라를 통해 암적응 상태의 상추 유묘로부터 Ft_Ln 형광 영상, FM_Dn 형광 영상, F0_Dn 형광, Ft_Lss 형광 영상, FM_Lss형광 영상, F0_Lss 형광 영상, Ft_Dn 형광 영상, FM_Dn 형광 영상, F0_Dn 형광 영상을 촬영 및 분석하여 F0, FM, FP, Ft_Ln, FM_Dn, F0_Dn, Ft_Lss, FM_Lss, F0_Lss, Ft_Dn, FM_Dn, F0_Dn의 엽록소 형광값을 측정한 후, 측정된 엽록소 형광값에 기반하여 qP, QY_Lss, NPQ, 및 Rfd를 포함하는 엽록소 형광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율은
    73.0±0.6%, 69.1±1.3%, 61.5±2.2%, 38.8±3.5%, 25.0±4.1%, 18.0±2.4%, 12.9±2.1%, 10.7±1.2%, 8.1±1.0%로 세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엽록소 형광 지수는
    qP, QY_Lss, NPQ, 및 Rfd를 포함하며, 상기 qP는 qP_Dn, qP_Ln, qP_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며, 상기 NPQ는 NPQ_Dn, NPQ_Ln, NPQ_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며, 상기 Rfd는 Rfd_Ln 및 RfdLss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 및 제공하는 단계는
    함수율 각각에 대응되는 상추 유묘 영상을 추가 획득 및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KR1020210040109A 2021-03-29 2021-03-29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KR102433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09A KR102433570B1 (ko) 2021-03-29 2021-03-29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109A KR102433570B1 (ko) 2021-03-29 2021-03-29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570B1 true KR102433570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109A KR102433570B1 (ko) 2021-03-29 2021-03-29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597B1 (ko) * 2023-06-29 2024-02-02 주식회사 리플로그 엽록소 형광값을 이용한 딸기의 스트레스 지수 산출방법 및 재배관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43A (ja) * 1982-07-23 1984-02-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光学式水分計
US20010030742A1 (en) * 1999-08-19 2001-10-18 Kramer David M. Non-focusing optics spectrophotometer, and methods of use
KR20150016638A (ko) * 2007-03-23 2015-02-12 헬리오스펙트라 악티볼라그 (피유비엘) 식물 성장 또는 특성을 조절하는 시스템
KR20160056361A (ko) * 2014-11-10 2016-05-2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엽록소형광 매개변수를 이용한 옥수수 건조스트레스 지표
WO2018150691A1 (ja) * 2017-02-15 2018-08-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生成方法、情報生成装置、プログラム
WO2019023712A1 (en) * 2017-07-28 2019-01-31 Cornell University IN SITU DETECTION OF WATER POTENTIAL
KR20190081535A (ko) * 2017-12-29 2019-07-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형광값을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 함량 증진을 위한 식물체의 스트레스 결정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43A (ja) * 1982-07-23 1984-02-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光学式水分計
US20010030742A1 (en) * 1999-08-19 2001-10-18 Kramer David M. Non-focusing optics spectrophotometer, and methods of use
KR20150016638A (ko) * 2007-03-23 2015-02-12 헬리오스펙트라 악티볼라그 (피유비엘) 식물 성장 또는 특성을 조절하는 시스템
KR20160056361A (ko) * 2014-11-10 2016-05-2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엽록소형광 매개변수를 이용한 옥수수 건조스트레스 지표
WO2018150691A1 (ja) * 2017-02-15 2018-08-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生成方法、情報生成装置、プログラム
WO2019023712A1 (en) * 2017-07-28 2019-01-31 Cornell University IN SITU DETECTION OF WATER POTENTIAL
KR20190081535A (ko) * 2017-12-29 2019-07-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 형광값을 이용하여 기능성 물질 함량 증진을 위한 식물체의 스트레스 결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597B1 (ko) * 2023-06-29 2024-02-02 주식회사 리플로그 엽록소 형광값을 이용한 딸기의 스트레스 지수 산출방법 및 재배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hret et al. Automated monitoring of greenhouse crops
Rud et al. Crop water stress index derived from multi-year ground and aerial thermal images as an indicator of potato water status
Mahlein et al. Hyperspectral imaging for small-scale analysis of symptoms caused by different sugar beet diseases
Leinonen et al. Combining thermal and visible imagery for estimating canopy temperature and identifying plant stress
EP2638797B1 (en) Plant health diagnostic method and plant health diagnostic device
Jonckheere et al. Allometry and evaluation of in situ optical LAI determination in Scots pine: a case study in Belgium
Berger et al. High-throughput phenotyping of plant shoots
Majasalmi et al. An assessment of ground reference methods for estimating LAI of boreal forests
US20190174684A1 (en) Environmental microclimate growth chamber and method
KR102433570B1 (ko) 상추 유전자원의 건조 스트레스 지수 제공 방법
Graeff et al. Evaluation of Image Analysis to Determine the N-Fertilizer Demand of Broccoli Plants (Brassica oleracea convar. botrytis var. italica).
US20110002536A1 (en) Multispectral natural fiber quality sensor for real-time in-situ measurement
US20110270531A1 (en) System for selecting plants from among a population of plants
Pérez‐Torres et al. Assessing potato tuber diel growth by means of X‐ray computed tomography
Comeau et al. Evalu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understory light and aspen basal area in the British Columbia central interior
Ling et al. Monitoring of plant development in controlled environment with machine vision
Cortini et al. Evaluation of competitive effects of green alder, willow and other tall shrubs on white spruce and lodgepole pine in Northern Alberta
EP4182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plant genotype and phenotype expressions under varying growing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Knerl et al. Optimization of leaf area estimation in a high-density apple orchard using hemispherical photography
JP5938768B2 (ja) 植物の生育状態を診断する方法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置
KR102399776B1 (ko) 상추 유전자원의 내염성 평가 지표 산출 방법
Kokko et al. Quantification by image analysis of subcrown internode discoloration in wheat caused by common root rot
KR20190031880A (ko) 벼의 수분 이용효율성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CA3189676A1 (en) Platform for real-time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of spatial production anomalies in agriculture
JP5888639B2 (ja) 色彩画像撮像・解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