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28B1 -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28B1
KR102433128B1 KR1020220009918A KR20220009918A KR102433128B1 KR 102433128 B1 KR102433128 B1 KR 102433128B1 KR 1020220009918 A KR1020220009918 A KR 1020220009918A KR 20220009918 A KR20220009918 A KR 20220009918A KR 102433128 B1 KR102433128 B1 KR 10243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in
cable
cas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라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치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치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치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220009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틱충전단자가 내장되고, 방수방진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마그네틱으로 케이블이 탈부착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Waterproof dustproof case with built-in magnetic charging terminal}
본 발명은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틱충전단자가 내장되고, 방수방진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마그네틱으로 케이블이 탈부착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및 PDA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는 이동성이 좋고 휴대가 간편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충전기 부분에서 종전에는 각 제조사 별로 상이한 규격으로 제작되었으나,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일정한 규격의 충전기가 각 스마트폰에 유효하게 적용되도록 제공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휴대폰은 어댑터 유형의 전원 공급기를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휴대폰과 전원 공급기 간 적정 전원공급을 위하여 대체로는 휴대폰 측 암 커넥터와 어댑터 측 수 커넥터가 서로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USB 방식의 핀 포트와 단자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암·수 커넥터 연결 방식은 그 연결 방법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며 또한, 그 연결 과정에서 커넥터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마그네틱 방식의 휴대폰 거치 및 충전 구조가 다수 제안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70295호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89806호
본 발명은 방수방진케이스에 충전단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마그네틱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충전단자가 내장되고, 방수방진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마그네틱으로 케이블이 탈부착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방수방진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방진케이스는, 스마트폰이 내장될 수 있도록 사각의 틀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프레임과,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방진 기능을 갖도록 케이스프레임 전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스마트폰의 후면을 보호하며, 방진기능을 갖도록 케이스프레임 후면으로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스마트폰 측으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케이스프레임과 전면패널 사이, 케이스프레임과 후면패널 사이와, 스마트폰의 카메라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후면패널 일측면에 형성되는 방수패드와, 케이스프레임 내부로 내장되는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충전단자가 케이스프레임 상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케이스프레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개폐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충전단자와, 스마트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단자 일측으로 자성에 의해 케이블이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와, 충전단자 측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형성되는 충전케이블과, 마그네틱부재와 자성에 의해 충전케이블이 탈부착 되도록 충전케이블 일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방진케이스는,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연결시 상호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보조수단은,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부재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삽입홈과, 핀삽입홈으로 삽입되는 결합핀을 자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마그네틱부재 내부에서 핀삽입홈 둘레로 형성되는 핀고정마그네틱과, 결합핀이 내장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블마그네틱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홈과, 핀홈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며,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접촉시 핀고정마그네틱에 의해 결합핀이 핀삽입홈 측으로 이동되도록 핀홈 내부로 형성되는 결합핀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결합핀이 핀홈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핀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돌출방지단과,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미접촉시 핀홈 내부에서 결합핀이 돌출되지 않도록 자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마그네틱 내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마그네틱과,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접촉 결합시 흔들림에도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케이블마그네틱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흔들림방지관과, 결속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흔들림방지관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결속힌지와, 결속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마그네틱부재를 고정시키도록 결속힌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결속바와, 결속바가 회전되어 마그네틱부재에 접촉시 마그네틱부재에 형성되는 결속부착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결속바 일측면에 자성을 갖도록 매립 형성되는 결속마그네틱과, 결속마그네틱의 접촉시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부재 상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속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방진케이스에 충전단자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마그네틱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충전단자와 케이블간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하며,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대한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실제 제품사진이다.
도 4는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결합보조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스완충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방수방진케이스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냉각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대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대한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대한 실제 제품사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수방진케이스(100)는 마그네틱충전단자가 내장되고, 방수방진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마그네틱으로 케이블이 탈부착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방진케이스(100)는 케이스프레임(110), 전면패널(111), 후면패널(112), 방수패드(113), 개폐부재(114), 충전단자(115), 마그네틱부재(116), 충전케이블(117), 케이블마그네틱(11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은 스마트폰이 내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프레임(110)은 사각의 틀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패널(111)은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방진 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패널(111)은 케이스프레임(110) 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패널(112)은 스마트폰의 후면을 보호하며, 방진기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후면패널(112)은 케이스프레임(110) 후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패드(113)는 스마트폰 측으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케이스프레임(110)과 전면패널(111) 사이, 케이스프레임(110)과 후면패널(112) 사이와, 스마트폰의 카메라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수패드(113)는 후면패널(112)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114)는 케이스프레임(110) 내부로 내장되는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충전단자(115)가 케이스프레임(110) 상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부재(114)는 케이스프레임(110)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단자(115)는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충전단자(115)는 개폐부재(1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부재(116)는 스마트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네틱부재(116)는 충전단자(115) 일측으로 자성에 의해 케이블이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전케이블(117)은 충전단자(115) 측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마그네틱(118)은 마그네틱부재(116)와 자성에 의해 충전케이블(117)이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마그네틱(118)은 충전케이블(1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결합보조수단(200)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같이, 상기 결합보조수단(200)은 상기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결합보조수단(200)은 마그네틱부재(116)와 케이블마그네틱(118) 간의 연결시 상호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보조수단(200)은 핀삽입홈(210), 핀고정마그네틱(211), 핀홈(212), 결합핀(213), 돌출방지단(214), 핀마그네틱(215), 흔들림방지관(216), 결속힌지(217), 결속바(218), 결속마그네틱(219), 결속부착부재(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삽입홈(210)은 결합핀(2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삽입홈(210)은 마그네틱부재(116)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고정마그네틱(211)은 핀삽입홈(210)으로 삽입되는 결합핀(213)을 자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고정마그네틱(211)은 마그네틱부재(116) 내부에서 핀삽입홈(210)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홈(212)은 결합핀(213)이 내장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홈(212)은 케이블마그네틱(118)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핀(213)은 핀홈(212)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며, 마그네틱부재(116)와 케이블마그네틱(118) 간의 접촉시 핀고정마그네틱(211)에 의해 결합핀(213)이 핀삽입홈(210)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핀(213)은 핀홈(212)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방지단(214)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결합핀(213)이 핀홈(212)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돌출방지단(214)은 결합핀(213)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마그네틱(215)은 마그네틱부재(116)와 케이블마그네틱(118) 간의 미 접촉시 핀홈(212) 내부에서 결합핀(213)이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핀마그네틱(215)은 자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마그네틱(118) 내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흔들림방지관(216)은 마그네틱부재(116)와 케이블마그네틱(118) 간의 접촉 결합시 흔들림에도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흔들림방지관(216)은 케이블마그네틱(118)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힌지(217)는 결속바(218)가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바(218)는 흔들림방지관(216)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결속바(218)는 결속힌지(217)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마그네틱부재(116)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마그네틱(219)은 결속힌지(217) 일측으로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마그네틱(219)은 결속바(218)가 회전되어 마그네틱부재(116)에 접촉시 마그네틱부재(116)에 형성되는 결속부착부재(2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결속바 일측면에 자성을 갖도록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착부재(220)는 결속마그네틱(219)의 접촉시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속부착부재(220)는 마그네틱부재(116) 상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케이스완충수단(300)을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완충수단(300)은 상기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더 포함되는 구성으로, 상기 케이스완충수단(300)은 케이스프레임(110) 내부로 내장되는 스마트폰의 후면과 모서리 측에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완충수단(300)은 후면완충부(310)와 모서리완충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완충부(310)는 스마트폰의 후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프레임(110)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완충부(310)는 밀착센서(311), 밀착안내램프(312), 판삽입홈(313), 프레임삽입판(314), 스프링고정부재(315), 완충스프링(316), 완충판(317), 미끄럼방지패드(318)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센서(311)는 케이스프레임(110) 내부로 내장되는 스마트폰의 전면 측을 감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센서(311)는 케이스프레임(110) 내부 전면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안내램프(312)는 밀착센서(311)에 스마트폰이 밀착됨을 감지시 밀착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밀착안내램프(312)는 케이스프레임(1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삽입홈(313)은 프레임삽입판(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판삽입홈(313)은 케이스프레임(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삽입판(314)은 스마트폰의 완충을 지지하며, 일부가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삽입판(314)은 판삽입홈(313)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재(315)는 완충스프링(316)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부재(315)는 완충판(317) 하면과 프레임삽입판(314)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스프링(316)은 스마트폰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스마트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스프링(316)은 완충판(317) 측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부재(315)와 프레임삽입판(314) 측으로 형성되는 스프링고정부재(3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판(317)은 스마트폰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판(317)은 완충스프링(316)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18)는 스마트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18)는 완충판(317)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완충부(320)는 스마트폰의 모서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프레임(110) 내부 모서리 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완충부(320)는 패드프레임(321), 이탈방지단(322), 모서리완충스프링(323), 모서리완충부재(324), 스프링고정돌기(325), 완충충진액(326), 실리콘패드(327)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프레임(321)은 케이스프레임(110) 둘레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322)은 모서리완충스프링(323)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322)은 패드프레임(321) 외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완충스프링(323)은 모서리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완충스프링(323)은 이탈방지단(3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서리완충부재(324)는 모서리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서리완충부재(324)는 모서리완충스프링(323)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고정돌기(325)는 모서리완충스프링(323)의 일측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돌기(325)는 모서리완충부재(324)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충진액(326)은 케이스프레임(110)의 상하측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완충충진액(326)은 패드프레임(321)과 실리콘패드(327)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패드(327)는 패드프레임(32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완충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냉각수단(400)을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도 8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수단(400)은 상기 방수방진케이스(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냉각수단(400)은 장시간 사용되는 스마트폰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케이스프레임(110)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수단(400)은 냉각모듈케이스(410), 통풍구(411), 냉각판(412), 방열판(413), 열전소자(414), 방열팬(415), 히트파이프(416), 온도센서(417), 모듈고정홈(418), 모듈고정돌기(419), 고정마그네틱(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모듈케이스(410)는 케이스프레임(110)에서 탈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풍구(411)는 냉각판(412)과 방열판(413)을 통해 전달받은 열을 냉각모듈케이스(41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통풍구(411)는 냉각모듈케이스(410)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판(412)은 후면패널(112)을 통해 스마트폰의 열을 흡열하여 방열판(413)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각판(412)은 냉각모듈케이스(410) 상면으로 후면패널(112)과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판(413)은 냉각판(412)으로부터 제공받은 열을 냉각모듈케이스(410) 내부로 방열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열판(413)은 냉각판(412) 일측면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전소자(414)는 히트파이프(416)로부터 제공받은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열전소자(414)는 방열팬(415)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팬(415)은 열전소자(414)를 냉각시켜 히트파이프(416)로부터 제공받을 열을 냉각시키며, 냉각모듈케이스(410) 내부의 열을 통풍구(411)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방열팬(415)은 열전소자(4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416)는 열전소자(414)의 냉기를 방열판(413)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히트파이프(416)는 일측이 열전소자(414)에 연결되고, 타측이 방열판(41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417)는 냉각모듈케이스(4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정보를 방열팬(415)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온도센서(417)는 냉각모듈케이스(4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고정홈(418)은 냉각모듈케이스(410)를 케이스프레임(110)에서 탈부착 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모듈고정돌기(41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듈고정홈(418)은 케이스프레임(1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고정돌기(419)는 모듈고정홈(418)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듈고정돌기(419)는 냉각모듈케이스(410)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마그네틱(420)은 모듈고정홈(418)에 삽입되는 모듈고정돌기(419)를 자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마그네틱(420)은 모듈고정홈(418)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방수방진케이스
110 : 케이스프레임 111 : 전면패널
112 : 후면패널 113 : 방수패드
114 : 개폐부재 115 : 충전단자
116 : 마그네틱부재 117 : 충전케이블
118 : 케이블마그네틱
200 : 결합보조수단 210 : 핀삽입홈
211 : 핀고정마그네틱 212 : 핀홈
213 : 결합핀 214 : 돌출방지단
215 : 핀마그네틱 216 : 흔들림방지관
217 : 결속힌지 218 : 결속바
219 : 결속마그네틱 220 : 결속부착부재
300 : 케이스완충수단 310 : 후면완충부
311 : 밀착센서 312 : 밀착안내램프
313 : 판삽입홈 314 : 프레임삽입판
315 : 스프링고정부재 316 : 완충스프링
317 : 완충판 318 : 미끄럼방지패드
320 : 모서리완충부 321 : 패드프레임
322 : 이탈방지단 323 : 모서리완충스프링
324 : 모서리완충부재 325 : 스프링고정돌기
326 : 완충충진액 327 : 실리콘패드
400 : 냉각수단 410 : 냉각모듈케이스
411 : 통풍구 412 : 냉각판
413 : 방열판 414 : 열전소자
415 : 방열팬 416 : 히트파이프
417 : 온도센서 418 : 모듈고정홈
419 : 모듈고정돌기 420 : 고정마그네틱

Claims (3)

  1. 마그네틱충전단자가 내장되고, 방수방진기능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마그네틱으로 케이블이 탈부착되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방수방진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방수방진케이스는,
    스마트폰이 내장될 수 있도록 사각의 틀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프레임과,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며, 방진 기능을 갖도록 케이스프레임 전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패널과,
    스마트폰의 후면을 보호하며, 방진기능을 갖도록 케이스프레임 후면으로 형성되는 후면패널과,
    스마트폰 측으로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케이스프레임과 전면패널 사이, 케이스프레임과 후면패널 사이와, 스마트폰의 카메라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후면패널 일측면에 형성되는 방수패드와,
    케이스프레임 내부로 내장되는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충전단자가 케이스프레임 상에서 개폐될 수 있도록 케이스프레임 일측면으로 형성되는 개폐부재와,
    스마트폰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개폐부재 일측으로 형성되는 충전단자와,
    스마트폰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전단자 일측으로 자성에 의해 케이블이 탈부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마그네틱부재와,
    충전단자 측으로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형성되는 충전케이블과,
    마그네틱부재와 자성에 의해 충전케이블이 탈부착 되도록 충전케이블 일측으로 형성되는 케이블마그네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방진케이스는,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연결시 상호 분리됨을 방지하기 위한 결합보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보조수단은,
    결합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부재 하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삽입홈과,
    핀삽입홈으로 삽입되는 결합핀을 자성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마그네틱부재 내부에서 핀삽입홈 둘레로 형성되는 핀고정마그네틱과,
    결합핀이 내장되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블마그네틱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홈과,
    핀홈 내부에서 슬라이드되며,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접촉시 핀고정마그네틱에 의해 결합핀이 핀삽입홈 측으로 이동되도록 핀홈 내부로 형성되는 결합핀과,
    슬라이드 이동되는 결합핀이 핀홈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핀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돌출방지단과,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미접촉시 핀홈 내부에서 결합핀이 돌출되지 않도록 자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블마그네틱 내부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핀마그네틱과,
    마그네틱부재와 케이블마그네틱 간의 접촉 결합시 흔들림에도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케이블마그네틱 일측 둘레로 형성되는 흔들림방지관과,
    결속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흔들림방지관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결속힌지와,
    결속힌지에 연결되어 회전됨으로 마그네틱부재를 고정시키도록 결속힌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결속바와,
    결속바가 회전되어 마그네틱부재에 접촉시 마그네틱부재에 형성되는 결속부착부재에 부착될 수 있도록 결속바 일측면에 자성을 갖도록 매립 형성되는 결속마그네틱과,
    결속마그네틱의 접촉시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부재 상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속부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2. 삭제
  3. 삭제
KR1020220009918A 2022-01-24 2022-01-24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KR10243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18A KR102433128B1 (ko) 2022-01-24 2022-01-24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18A KR102433128B1 (ko) 2022-01-24 2022-01-24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128B1 true KR102433128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918A KR102433128B1 (ko) 2022-01-24 2022-01-24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95Y1 (ko) 2013-07-05 2013-12-09 (주)에스피에스 슬라이딩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170044527A (ko) * 2015-10-15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489806Y1 (ko) 2018-08-23 2019-08-12 정웅모 블루투스 이어폰 및 스피커가 구비된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95Y1 (ko) 2013-07-05 2013-12-09 (주)에스피에스 슬라이딩 커넥터를 갖는 휴대용기기의 보호케이스
KR20170044527A (ko) * 2015-10-15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0489806Y1 (ko) 2018-08-23 2019-08-12 정웅모 블루투스 이어폰 및 스피커가 구비된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1329A1 (en) Eyewear having selectively exposable feature
EP3193456B1 (en) Accessories for use with hou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150212544A1 (en) Mounting Apparatus For Auxiliary Device
US9482883B1 (en) Eyewear having linkage assembly between a temple and a frame
US9929778B2 (en) Systems for enabling chassis-coupled modula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8567599B2 (en) Multifunctional electronic device case
US20150200554A1 (en) Chargeable, portable storage case for optical and other wearable computing devices
KR200479825Y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EP3010154A1 (en) A system for installing removable external component in electronic devices
US20200144837A1 (en) Battery case for wireless charging of mobile devices
KR101422194B1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CN105372813B (zh) 带有摄像头的可穿戴式智能设备
KR102433128B1 (ko) 마그네틱 충전단자가 내장된 방수방진케이스
KR101501883B1 (ko) 충전 및/또는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의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및 그 유에스비 케이블
US9991924B2 (en) Case design for a personal electronics device with a plug-in accessory
CN104665174A (zh) 电子装置保护套
WO2019045325A1 (ko) 카드용 소켓을 구비한 전자 장치
CN210430954U (zh) 一种耳机盒
US20200285134A1 (en)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US11095144B2 (en) Wireless charging cradle
US985783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CN108702168B (zh) 用于便携式移动终端设备的、具有温控充电电路的保护套装置
CN212749425U (zh) 具有充电结构的眼镜腿和眼镜
CN111637973B (zh) 一种用于户外的手持式红外热像仪
CN214707804U (zh) 一种能够提供全面保护的手机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