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127B1 -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127B1
KR102433127B1 KR1020160000533A KR20160000533A KR102433127B1 KR 102433127 B1 KR102433127 B1 KR 102433127B1 KR 1020160000533 A KR1020160000533 A KR 1020160000533A KR 20160000533 A KR20160000533 A KR 20160000533A KR 102433127 B1 KR102433127 B1 KR 10243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ieee
heterogeneous network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459A (ko
Inventor
정진두
박완기
이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0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127B1/ko
Priority to US15/396,947 priority patent/US10230546B2/en
Publication of KR20170081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되,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 없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Network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interconn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 원격 검침 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등의 기술분야에서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는 에너지 관리를 위한 기반이 된다.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에너지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지그비(ZigBee),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mart Utility Network: SUN)와 같은 IEEE 802.15.4 네트워크 기술들이 사용된다.
에너지 정보의 미터링과 같은 응용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은 필요하지 않지만 네트워크 관리의 용이성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저전력 통신이 요구되기 때문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저속의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이에 비해,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IEEE 802.11 표준 기반 Wi-Fi 네트워크 기술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에는 IEEE 802.15.4 표준 준용 네트워크 칩이나 기술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EEE 802.15.4 표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에 대한 정보 모니터링, 관리, 제어를 위해서는 IEEE 802.15.4 네트워크 전용 장치 및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IEEE 802.15.4 전용 단말기로는 네트워크 운용 프로그램 작성 및 관리의 용이성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운용 프로그램 측면에서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를 통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서는 Wi-Fi 네트워크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게이트웨이가 필요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게이트웨이 없이도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되,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 없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저속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2 통신 모드에서 반이중 방식을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제2 통신 모드에서 패킷 패턴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패킷 패턴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양방향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원 신호에 중·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함께 패킷 패턴에 저속 데이터를 맵핑하여 실어 보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는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 검출을 위한 바커 코드와 오류 판단을 위한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IEEE 802.15.4 디바이스이고, 이종 네트워크 장치는 Wi-Fi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IEEE 802.15.4 디바이스의 Wi-Fi 디바이스와의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은, IEEE 802.15.4 디바이스가 수신신호가 IEEE 802.15.4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IEEE 802.15.4 신호이면 게이트웨이를 통해 Wi-Fi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와, 수신신호가 IEEE 802.15.4 신호가 아니면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Wi-Fi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IEEE 802.15.4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단계는, IEEE 802.15.4 디바이스는 수신신호가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복조를 통해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가 접속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접속 요청 메시지이면 접속 응답 메시지를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로 변조하여 변조된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Wi-Fi 디바이스로부터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와,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Wi-Fi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IEEE 802.15.4 디바이스는 Wi-Fi 디바이스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고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에서, IEEE 802.15.4 디바이스는 Wi-Fi 디바이스가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고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는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 검출을 위한 바커 코드와 오류 판단을 위한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에 대해 게이트웨이를 통한 통신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기 설정, 정밀 검사, 고장진단 등의 응용에서는 게이트웨이 기반 중·고속 통신을 하면서도, 단순 제어, 모니터링 등의 응용에서는 게이트웨이가 필요없는 저속 통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초기설정, 정밀검사, 고장진단 등의 낮은 통신 오류율을 요구하는 응용에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하고, 미터링 값 모니터링, 단순 제어와 같은 저용량 저속 데이터 응용의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없이 이종 네트워크 간 직접 통신함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시 동반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를 통해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 편리하게 미터링 값을 모니터링하거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이종 네트워크 간 양방향 통신 시에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직접 통신 시 이종 네트워크 간 발생하는 간섭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기반 이종 네트워크 연동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Packet Pattern On-Off Modulation: PPOOM, 이하 PPOOM이라 칭함) 방식에 의한 신호 전송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 기반 PPOOM 양방향 통신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듀얼 모드 기반 이종 네트워크 연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POOM 기반 이종 네트워크 통신용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모드 기반 이종 네트워크 연동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일 주파수 대역의 이종 네트워크 간에 연동이 가능하다. 이때, 게이트웨이(3)를 통한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 및 게이트웨이(3) 없는 직접통신이 모두 가능하다. 동일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2.4GHz ISM(Industry-Science-Medical) 비허가 대역이다. 이종 네트워크는 서로 상이한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이종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5.4 네트워크(1)와 IEEE 802.11 네트워크이다.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의 예를 들면, 중·고속(middle·high rate)의 고품질 통신 시에는 게이트웨이(3)를 통해 서로 연동하고, 저속(low rate) 통신 시에는 게이트웨이(3) 없이 직접 통신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웨이(3)를 이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 간 중·고속 고품질 통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 기반 중·고속 통신 모드와, 게이트웨이(3) 없이 이종 네트워크 장치 간 직접 통신하는 저속 통신 모드, 이렇게 듀얼 모드(dual mode)의 통신방식이 제공된다. 저속 통신은 에너지 정보 미터링 및 단순 제어 등의 응용에 사용되고, 중·고속 통신은 네트워크 초기 설정/세팅, 정밀 검사, 고장 진단 등의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IEEE 802.15.4 네트워크(1)는 저속의 무선개인통신 네트워크(wireless private area network: WPAN)로서,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 스마트 유틸리티 네트워크(Smart Utility Network: SUN, 이하 SUN이라고 칭함) 등과 같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 또는 무선 미터링 네트워크(wireless metering network)이다. IEEE 802.11 네트워크는 무선근거리통신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로서,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이하 Wi-Fi라 칭함)를 이용한다.
이하, 이종 네트워크가 각각 무선 센서/미터링 네트워크와 Wi-Fi 네트워크인 경우,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에 대해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서로 상이한 이종 네트워크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IEEE 802.15.4 네트워크(1)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IEEE 802.15.4 디바이스라 명하고, IEEE 802.11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를 Wi-Fi 디바이스(2)라 명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와 Wi-Fi 디바이스(2)는 동일 주파수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2.4GHz ISM 비허가 대역을 동일 주파수로 사용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는 무선 센서/미터링 네트워크에서 센서(sensor)나 미터기(mete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5.4 디바이스는 AMR(Automatic meter reading),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등의 미터링 기능을 가진 에너지 정보 수집장치일 수 있다. Wi-Fi 디바이스(2)는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거나 컴퓨터일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네트워크 초기설정, 정밀검사, 고장진단 등의 낮은 통신 오류율을 요구하는 응용에는 게이트웨이에 기반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미터링 값 모니터링, 단순 제어와 같은 저용량 저속 데이터 응용의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없이 이종 네트워크 간 직접 통신함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 시 동반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단말이나 컴퓨터를 통해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 편리하게 미터링 값을 모니터링하거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장치(10)는 통신부(100), 프로세서(110) 및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도 1의 IEEE 802.15.4 디바이스 또는 Wi-Fi 디바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10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 없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직접 양방향 통신한다. 이때, 통신부(100)는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저속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연동방법에 대해서는 도 5a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의 네트워크 연동방법에 대해서는 도 5b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00)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제2 통신 모드에서 패킷 패턴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패킷 패턴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한다. 이때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Packet Pattern On-Off Modulation: PPOOM, 이하 PPOOM이라 칭함) 신호를 사용한다. PPOOM 신호는 송신 패킷의 전송 유(On)/무(Off) 패턴에 실려 보내지는 신호를 의미한다. PPOOM 신호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00)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제2 통신 모드에서 반이중 방식(Half Duplex)을 사용한다. 반이중 방식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PPOOM 신호이면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결정한다. PPOOM 신호는 PPOOM 신호 검출을 위한 바커(Barker) 코드와 오류 판단을 위한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PPOOM 신호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110)는 일반 프로세서로써 구현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중 일부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도시되어 있으나, 프로세서(11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여기서 설명된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치(10)가 IEEE 802.15.4 디바이스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통신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IEEE 802.15.4 신호이면 고속 통신을 위한 게이트웨이 기반 제1 통신 모드로 통신부(100)를 동작시키고, 수신신호가 PPOOM 신호이면 저속의 직접통신을 위한 제2 통신 모드로 통신부(100)를 동작시킨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와 연결되고,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120)에는 통신부(100)를 통해 획득하거나 통신부(100)를 통해 전송할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20)가 네트워크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으나, 메모리(120)는 네트워크 장치(10)와는 분리되어 별도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POOM 방식에 의한 신호 전송 개념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3a는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shift keying: FSK) 시스템(예를 들어 SUN)에서의 PPOOM 신호의 파형도이고, 도 3b는 직교주파수분할(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스템(예를 들어 Wi-Fi, SUN)에서의 PPOOM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이종 네트워크 장치들은 정보 송수신 패킷을 패턴화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단방향이 아니라 양방향 통신 방식을 적용하여 저속 데이터 기반 직접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Wi-Fi 디바이스에서 IEEE 802.15.4 디바이스로의 단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그 역방향, 즉 IEEE 802.15.4 디바이스에서 Wi-Fi 디바이스로의 역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PPOOM 방식은 수신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검출하므로 IEEE 802.15.4 디바이스에서 Wi-Fi 디바이스로의 PPOOM 기반 통신도 충분히 가능하다. 이는 패킷 패턴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에서 Wi-Fi 디바이스로의 PPOOM 기반 통신이 가능하므로, Wi-Fi 디바이스는 IEEE 802.15.4 디바이스로부터 직접통신을 통해 IEEE 802.15.4 디바이스의 센서 값과 단순 제어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종 네트워크 장치 간 직접통신을 위해, 패킷의 신호 패턴에 정보를 실어 보낸다. 즉, 송신 패킷의 전송 여부를 송신 데이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송신 데이터는 송신 패킷의 전송 유(On)/무(Off) 패턴에 실려 보내지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러한 전송 방식을 PPOOM이라 칭한다.
PPOOM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PPOOM 방식은 패킷 또는 프레임 신호의 전송 유무에 디지털 신호를 실어 보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이 전송되는 구간에는 디지털 신호 '1'을 실어 보내고,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는 디지털 신호 '0'을 실어 보낸다. 물론, 역 관계, 즉 전송되는 구간에 '0'을, 전송되지 않는 구간에 '1'을 맵핑할 수도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온오프(On-Off Key: OOK) 변조 방식과 많이 유사하다. 그러나 OOK 변조 방식과는 다른 면이 있다. OOK 변조 방식에서는 아무 정보가 없는 반송파(Carrier)에 정보를 실어 보내는 반면, PPOOM 방식에서는 신호가 전송되는 곳에 원래 변조 신호, Wi-Fi 또는 IEEE 802.15.4 신호가 전송된다. 다시 말해, PPOOM 방식은 원래대로 Wi-Fi 또는 IEEE 802.15.4 신호에 중·고속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면서도 패킷을 전송하는 패턴에도 저속 데이터를 맵핑해서 실어 보내는 것이다. 이것은 같은 전송 신호에 대해 초기 설정, 정밀 검사, 고장진단 등의 응용에서는 게이트웨이 기반 중·고속 통신을 하면서도, 단순 제어, 모니터링 등의 응용에서는 게이트웨이가 필요없는 저속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기반 중·고속 통신과 게이트웨이 없이 저속 통신을 동시에 연동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이중(Half Duplex) 방식 기반 PPOOM 양방향 통신 개념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Wi-Fi 디바이스와 IEEE 802.15.4 디바이스 간 양방향 통신 시에, Wi-Fi 신호와 IEEE 802.15.4 신호가 서로 간섭(interference)을 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수신 단에서 수신신호 세기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는 패킷 패턴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종 네트워크들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SUN 같은 경우 1GHz 아래의 주파수 대역도 지원하지만, Wi-Fi 관련 IEEE 802.11 네트워크와 ZigBee, SUN 관련 IEEE 820.15.4 네트워크는 2.4GHz ISM 비허가 대역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인 무선통신의 경우,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전송된 같은 주파수 대역의 서로 다른 통신 신호들은 서로 간에 간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패킷 패턴 통신 방식처럼 신호의 세기를 활용하는 방식들인 경우 간섭 정도가 더욱 심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PPOOM 방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이루기 위해 반이중 방식(Half Duplex)을 이용한다. 반이중 방식은 한 쪽이 송신하는 동안 다른 쪽에서 수신하는 통신 방식이다. 즉,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양쪽이 동시에 통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금지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EEE 802.15.4 디바이스와 Wi-Fi 디바이스가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 Wi-Fi 디바이스가 IEEE 802.15.4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Wi-Fi 신호와 IEEE 802.15.4 디바이스가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IEEE 802.15.4 신호가 시간적으로 서로 겹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서로 간에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듀얼 모드 기반 이종 네트워크 연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5a는 게이트웨이 기반 고속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방법을, 도 5b는 게이트웨이 없이 저속 통신 모드에서의 직접통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PPOOM 방식은 패킷 패턴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므로 통신 속도에 한계가 있으며, 수신신호 세기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때문에 통신 성능에도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PPOOM 방식은 고품질, 중·고속의 통신을 필요로 하는 초기 설정/세팅, 정밀 검사, 고장 진단 등에 활용하기 어렵다. PPOOM 방식은 평소에 간편히 수행하는 센서 값 모니터링 또는 단순 제어에 적합하다. 따라서, 응용 방식에 따라 일반 게이트웨이 기반 연동과 PPOOM 기반 게이트웨이 불필요 직접 연동이 구분되어 듀얼 모드로 지원되어야 한다. 이는 듀얼 모드 연동 방식을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Wi-Fi 디바이스(2)는 정밀검사, 고장진단 등의 응용에 대해서는 게이트웨이(3)를 통해 미터링 값들을 모니터링하거나 센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Wi-Fi 디바이스(2)는 게이트웨이 기반 접속 요청 메시지(500)를 IEEE 802.11 신호로 게이트웨이(3)에 전송한다. 게이트웨이(3)는 Wi-Fi 디바이스(2)로부터 수신한 IEEE 802.11 접속 요청 메시지(500)를, IEEE 802.15.4 네트워크에 적합하도록 IEEE 802.15.4 신호 형태의 게이트웨이 기반 접속 요청 메시지(501)로 변환하여 IEEE 802.15.4 디바이스(4)에 전송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신호에 대해 IEEE 802.15.4 복조를 수행하여 IEEE 802.15.4 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502). 수신신호가 IEEE 802.15.4 신호로 판별되면, 게이트웨이 기반 IEEE 802.15.4 통신 모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다면 PPOOM 기반 직접통신 모드를 위한 PPOOM 신호 검출 단계(511)로 넘어간다. 이어서,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수신된 IEEE 802.15.4 신호에서 게이트웨이 기반 접속 요청 메시지를 확인(503)하고, 게이트웨이 기반 접속 요청 메시지가 확인되면 IEEE 802.15.4 접속 응답 메시지(504)를 게이트웨이(3)에 전송하고, 확인되지 않으면 IEEE 802.15.4 신호 검출 상태(502)로 초기화한다.
게이트웨이(3)는 수신된 IEEE 802.15.4 접속 응답 메시지(504)를 Wi-Fi 디바이스(2)에 적합한 IEEE 802.11 접속 응답 메시지(505)로 변환하여 Wi-Fi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이후, Wi-Fi 디바이스(2)는 IEEE 802.11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506)를 게이트웨이(3)에 전송하고, 게이트웨이(3)는 이를 IEEE 802.15.4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507)로 변환하여 IEEE 802.15.4 디바이스(4)에 전송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Wi-Fi 디바이스(2)에서 요청한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508)를 게이트웨이(3)에 전송하고, 게이트웨이(3)는 이를 IEEE 802.11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509)로 변환하여 Wi-Fi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한편, IEEE 802.15.4 네트워크에 관한 미터링 값 모니터링 또는 단순 제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PPOOM 기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IEEE 802.15.4 복조를 통해 검출한 신호가 IEEE 802.15.4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PPOOM 기반 직접통신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PPOOM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511)에서 대기한다.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PPOOM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IEEE 802.15.4 신호 검출 단계(502)로 초기화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PPOOM 통신 모드에 빠져 게이트웨이 기반 네트워크 통신 신호를 놓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PPOOM 신호 검출 단계(511)에서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Wi-Fi 디바이스(2)에서 게이트웨이(3)를 거치지 않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PPOOM 복조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가 PPOOM 접속 요청 메시지(510)인지 여부를 확인한다(512). 이때, Wi-Fi 디바이스(2)는 반이중 방식에 기반한 양방향 통신을 위해 PPOOM 접속 요청 메시지(510)를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IEEE 802.15.4 디바이스(4)로부터의 PPOOM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513).
수신 데이터가 PPOOM 접속 요청 메시지(510)이면,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접속 응답 메시지를 PPOOM 신호로 변조하여 PPOOM 접속 응답 메시지(514)를 Wi-Fi 디바이스(2)에 전송한다. Wi-Fi 디바이스(2)는 PPOOM 접속 응답 메시지(514) 수신을 확인(515)하고, 수신하였다고 판단되면 PPOOM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516)를 IEEE 802.15.4 디바이스(4)에 전송한다. 이에 비해, IEEE 802.15.4 디바이스(4)로부터 PPOOM 접속 응답 메시지(514)를 수신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면, 다시 PPOOM 접속 요청 메시지(510)를 IEEE 802.15.4 디바이스(4)에 전송한다.
Wi-Fi 디바이스(2)는 PPOOM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515)를 전송한 후에도 반이중 기반 양방향 통신을 위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IEEE 802.15.4 디바이스(4)로부터의 PPOOM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대기한다(517). 이후, Wi-Fi 디바이스(2)는 PPOOM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518)의 수신 여부를 판단(519)하여, PPOOM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519)의 재전송 여부를 결정한다.
PPOOM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518)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Wi-Fi 디바이스(2)는 IEEE 802.15.4 디바이스(4)에 PPOOM 접속 해지 메시지(520)를 전송하고,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PPOOM 접속 해지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한다(521). PPOOM 접속 해지 메시지(520)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PPOOM 접속 응답 메시지(514)를 Wi-Fi 디바이스(2)에 전송하고 Wi-Fi 디바이스(2)로부터의 PPOOM 신호 수신을 기다린다. 그렇지 않고 Wi-Fi 디바이스(2)로부터 PPOOM 접속해지 메시지(520)를 수신하였다면 IEEE 802.15.4 디바이스(4)는 IEEE 802.15.4 신호 검출 단계(502)로 초기화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POOM 기반 이종 네트워크 통신용 메시지의 구조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PPOOM 신호 검출(511)과 메시지 수신 확인(515, 519, 521)을 위해서는 특정한 신호 패턴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수신신호 세기 검출에 기반한 PPOOM 방식에 적합한 특정 신호 패턴을 한 실시 예로서 제안한다.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송신하자 하는 메시지 앞에는 자기상관(Auto-correlation) 특성이 좋은 바커(Barker) 코드(600)가 놓인다. 바커 코드는 PPOOM 신호 검출(511) 시에 사용되므로 자기상관 특성이 좋아야 한다. 반면 저속의 PPOOM 방식에서 타이밍 오프셋(Timing Offset)에 의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코드 길이는 가능한 한 짧아야 한다. 이런 관계를 반영하면 바커 코드(600)는 코드 길이가 7비트 또는 11비트가 적합하다.
메시지(610)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판단(515, 519, 521)하기 위해 PPOOM 메시지 뒤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620)가 부가될 수 있다. CRC(620)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서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속의 PPOOM 방식에서 타이밍 오프셋에 의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CRC(620)는 짧은 길이의 CRC-5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1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되,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2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상기 게이트웨이 없이 상기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제1 통신 모드 또는 제2 통신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1 통신 모드에서는 고속 통신을 수행하고, 제2 통신 모드에서는 저속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2 통신 모드에서 반이중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제2 통신 모드에서 패킷 패턴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패킷 패턴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원 신호에 중·고속 데이터를 전송하면서 함께 패킷 패턴에 저속 데이터를 맵핑하여 실어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상기 이종 네트워크 장치와의 통신 모드를 제2 통신 모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는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 검출을 위한 바커 코드와 오류 판단을 위한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IEEE 802.15.4 디바이스이고, 상기 이종 네트워크 장치는 Wi-Fi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IEEE 802.15.4 디바이스의 Wi-Fi 디바이스와의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에 있어서, IEEE 802.15.4 디바이스가:
    수신신호가 IEEE 802.15.4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IEEE 802.15.4 신호이면 게이트웨이를 통해 Wi-Fi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 및
    수신신호가 IEEE 802.15.4 신호가 아니면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Wi-Fi 디바이스와 게이트웨이 없이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를 검출하지 못하면 IEEE 802.15.4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직접 양방향 통신하는 단계는
    수신신호가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이면 복조를 통해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가 접속 요청 메시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접속 요청 메시지이면 접속 응답 메시지를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로 변조하여 변조된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접속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Wi-Fi 디바이스로부터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및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수신한 Wi-Fi 디바이스로부터 접속 해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접속을 해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Wi-Fi 디바이스가 접속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고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접속 응답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Wi-Fi 디바이스가 미터링 요청 또는 제어 정보 메시지를 전송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을 가지고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 미터링 값 또는 제어 결과 메시지를 Wi-Fi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는 패킷 패턴 온오프 변조신호 검출을 위한 바커 코드와 오류 판단을 위한 오류 검출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네트워크 연동방법.
KR1020160000533A 2016-01-04 2016-01-04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KR10243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33A KR102433127B1 (ko) 2016-01-04 2016-01-04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US15/396,947 US10230546B2 (en) 2016-01-04 2017-01-03 Network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heterogeneous networks and interconnec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33A KR102433127B1 (ko) 2016-01-04 2016-01-04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59A KR20170081459A (ko) 2017-07-12
KR102433127B1 true KR102433127B1 (ko) 2022-08-18

Family

ID=5923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33A KR102433127B1 (ko) 2016-01-04 2016-01-04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30546B2 (ko)
KR (1) KR1024331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1616A1 (en) * 1995-08-25 2001-05-24 Rakib Selim Shlomo Apparatus and method for SCDMA digital data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codes and a head end modem with no tracking loops
US20130040693A1 (en) * 2011-08-10 2013-02-14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over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50B1 (ko) 2007-03-20 2008-04-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의 네트워크를 연동하는 게이트웨이 장치, 그 방법 및기록 매체
KR101540797B1 (ko) 2009-03-12 2015-07-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기기의 연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 통신 기기
US9008581B2 (en) * 2009-11-08 2015-04-14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adio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radio devices
KR20120019291A (ko) 2010-08-25 2012-03-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홈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74968B1 (ko) 2010-11-01 2015-12-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용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인식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CN104254144B (zh) * 2013-06-27 2019-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模式切换方法及装置
KR101435626B1 (ko) 2013-08-19 2014-08-28 주식회사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에너지 사용 기기 및 에너지 정보 수집 장치
KR101521970B1 (ko) 2014-06-02 2015-05-21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이기종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기반의 배차 및 출하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1616A1 (en) * 1995-08-25 2001-05-24 Rakib Selim Shlomo Apparatus and method for SCDMA digital data transmission using orthogonal codes and a head end modem with no tracking loops
US20130040693A1 (en) * 2011-08-10 2013-02-14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over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59A (ko) 2017-07-12
US20170195137A1 (en) 2017-07-06
US10230546B2 (en)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llogg et al. Passive {Wi-Fi}: Bringing Low Power to {Wi-Fi} Transmissions
JP5389922B2 (ja) ベースチャネルと60GHzチャネルとの間で切り替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2958190B (zh) 无线通信装置
US7515606B2 (en) UWB-based wireless bridge
CN111200858B (zh) 基于宽带载波和窄带无线的双模混合网络的组网方法
TW201838450A (zh) 無線通訊方法以及無線通訊裝置
US20110243006A1 (en) Wireless communicat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rgram
CN110536469A (zh) 基于多接入点ap协作的空间复用的方法和装置
US8831520B2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i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gnitiv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2238781B1 (en) Operating a cognitive radio in a crowded collaborative system
WO2012037751A1 (zh) 控制通信范围的快速接入近距无线通信系统和方法
US9191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15001624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220068069A (ko) 상향링크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게이트웨이 및 후방산란하는 iot 장치 및 방법
CN104754514B (zh) 一种文件推送方法及装置、文件接收方法及装置
KR102433127B1 (ko) 이종 네트워크 간 연동 가능한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연동방법
US11375578B2 (en) Bluetooth connectionless slave broadcast burst mode
RU273321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грузкой на шлюз концентрации данных для сети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JP5065850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396851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592598B1 (ko) 초광대역 방식의 무선 브리지 장치
CN105518999A (zh) 通信设备、通信系统及通信方法
Sjöberg et al. Measuring and using the RSSI of IEEE 802.11 p
CN111328127B (zh) 通信方法、通信装置及存储介质
WO2023179585A1 (zh) 时钟同步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