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091B1 - 음료용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091B1
KR102433091B1 KR1020200107148A KR20200107148A KR102433091B1 KR 102433091 B1 KR102433091 B1 KR 102433091B1 KR 1020200107148 A KR1020200107148 A KR 1020200107148A KR 20200107148 A KR20200107148 A KR 20200107148A KR 102433091 B1 KR102433091 B1 KR 10243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everage container
mounting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6297A (ko
Inventor
김지혜
한남경
Original Assignee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0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0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6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6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41Glass or bottle holders for bottles; Deca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03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음료용기를 소정 각도로 기울도록 거치시킨 후 최소한의 힘을 가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음료수를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 및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프레임은 양측에 지지 프레임의 지지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회전패널,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의 밑면이 서로 연결되어 음료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널, 상기 회전패널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neck)가 받쳐 지지되는 반원형의 거치 홈이 형성되는 거치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 및 회전패널 상에 상기 거치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에 제한돌기 및 회전제한 홈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는 음료용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손의 근력이 취약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음료를 따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음료용기 거치장치{Beverage container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음료수가 채워진 음료용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음료용기를 소정 각도로 기울도록 거치시킨 후 최소한의 힘을 가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음료수를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의 근력이 약한 환자나 특히, 노약자 또는 어린이 등은 원하는 음료를 섭취하고자 할 때, 음료가 들어있는 비교적 큰 음료용기를 잡고 기울이고자 할 때, 약한 근력으로 인해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바닥에 쏟거나 흘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더욱이, 소형의 음료용기가 아닌, 대략 1.8ℓ 이상의 큰 음료용기에 들어 있는 음료수를 따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쏟거나 바닥에 흘리는 경우가 더욱더 많이 발생한다.
한편, 음료용기를 거치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16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041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고리수단이 구비되며, 고리수단의 반대 측에는 음료용기를 넣어 놓거나 거치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문헌 1은 손의 근력이 약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어린이가 거치수단으로부터 음료가 들어있는 음료용기를 꺼낸 후 따라야 하는 조건으로 인해 전술한 문제점을 그대로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27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들어 있는 음료용기를 거치 후 회전에 의해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2는 병을 거치하는 거치대가 와이어 형태로 음료용기의 거치가 안정적이지 못한 단점은 물론 다양한 형태, 즉 사각형 등과 같은 음료용기를 거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아울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263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음료가 들어있는 음료용기를 거치 후 유선형 형상의 본체부에 중량부재를 구비하여 거치된 음료용기를 기울어 따를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3에 있어, 사용자가 음료를 따르는 과정에서 음료용기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조금의 힘이 더 가해질 경우, 음료를 쏟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짐은 물론 음료를 따른 후에도 지속적으로 흔들리는 단점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164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04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22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3263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음료용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음료용기를 소정 각도로 기울도록 거치시킨 후 최소한의 힘을 가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음료수를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음료용기의 넥트 직경에 따라 밀착 지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음료용기의 높이에 따라 높이의 가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패널의 양측에 각각의 지지패널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각각의 지지패널 사이에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프레임은 양측에 지지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회전패널,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의 밑면이 서로 연결되어 음료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널, 상기 회전패널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neck)가 받쳐 지지되는 반원형의 거치 홈이 형성되는 거치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 및 회전패널 상에 상기 거치 프레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에 제한돌기 및 회전제한 홈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 홈에는 음료용기의 네크의 직경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각각의 거치 홈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넥크 받침대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패널은 양측의 회전패널 상에서 높이 조절부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높이 조절은 양측 회전패널의 상단으로부터 거치패널이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거치패널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높이 조절돌기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에는 상기 높이 조절돌기가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조절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음료용기를 소정 각도로 기울도록 거치시킨 후 최소한의 힘을 가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음료수를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손의 근력이 취약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음료를 따라 섭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음료용기의 넥트 직경에 따라 밀착 지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를 따를 때 움직임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따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 음료용기의 높이에 따라 높이의 가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료용기에 따른 호환성으로 인해 더욱더 안정적이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의 근력이 약한 환자나 특히, 노약자 또는 어린이 등은 원하는 음료를 섭취하고자 할 때, 음료가 들어있는 비교적 큰 음료용기, 대략 1.8ℓ 이상의 큰 음료용기를 잡고 기울이고자 할 때, 약한 근력으로 인해 제대로 따르지 못하고 바닥에 쏟거나 흘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음료용기를 소정 각도로 기울도록 거치시킨 후 최소한의 힘을 가함에 따라 회전에 의해 쉽고 간편하게 음료수를 따라 섭취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 거치장치(1)는 지지 프레임(10) 및 거치 프레임(20)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지지 프레임(10)은 바닥에 놓여 지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바닥에 놓이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베이스패널(12)의 양측에 각각의 지지패널(14)이 형성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에서, 각각의 지지패널 또한 베이스패널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하단은 베이스패널과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 상부로 갈수록 좁은 폭을 갖도록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은 바닥에 놓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그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거치 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거치 프레임(20)은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가 들어있는 음료용기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지지패널(14) 사이에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거치 프레임을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은 음료용기를 편리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음료를 따르고자 할 때 더욱더 신속하게 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거치 프레임을 소정 각도로 기울기를 갖도록 하는 것은, 후술하는 받침패널의 무게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부가 전방으로 하부가 후방으로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거치 프레임(2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양측에 지지패널(14)과 핀 및 홀 방식 등과 같은 힌지 결합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회전패널(22),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22)의 밑면이 서로 연결되어 음료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널(24), 상기 회전패널(22)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neck)가 받쳐 지지되는 반원형 형태의 거치 홈(26A)이 형성되는 거치패널(26)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거치 프레임은 음료가 들어있는 음료용기가 올려진 후 회전 가능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최소한의 힘으로 간단하고 손쉽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다.
즉, 상기 받침패널은 음료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함으로 인한 안정적으로 받쳐지지 하고, 상기 거치패널에 형성된 거치 홈은 음료용기의 넥크가 지지됨에 따라 거치하고자 하는 음료용기가 안정적으로 거치 된다.
이렇게, 거치 프레임에 음료용기가 거치 된 후에는 근력이 약한 사용자라도 거치 프레임의 거치패널을 약한 힘을 누르더라도 거치 프레임이 쉽게 회전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음료용기의 넥크 부분은 거치 홈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음료용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 되면서 음료만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음료가 다 따라진 후에는 사용자가 다시 거치 프레임을 상부 살짝 올림에 따라 자중에 의해 거치 프레임은 음료를 따르기 이전의 위치로 위치한다.
그에 따라 손의 근력이 약한 어떠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손쉽게 음료를 따라 섭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패널(14) 및 회전패널(22) 상에 상기 거치 프레임(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에 제한돌기(32) 및 회전제한 홈(34)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회전 제한부는 거치 프레임이 회전되는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것으로, 거치 프레임 회전시켜 최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음료용기가 거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음료가 한꺼번에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음료를 따른 후에 원위치인 최상부로 복귀할 때도 음료용기가 거치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회전 제한부는 손의 근력이 약한 사용자로 하여금 거치 프레임을 쉽게 놓칠 수 있는 관계로, 이에 대한 안전수단의 일환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복잡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구조이면서 간단한 원리에 의해 손의 근력이 약한 사용자로 하여금 음료용기 내의 음료를 불편하거나 번거로움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바닥으로 쏟거나 흘리지 않고 원하는 만큼의 양으로 따라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거치패널에 음료용기의 넥크 부분이 받쳐 지지되는 거치 홈은 음료용기의 따라 그 넥크 부분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관계로, 거치 홈이 음료용기의 네크 직경 보다 넓을 경우, 움직일 수 있는 관계로 이를 보상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거치 홈(26A)에는 음료용기의 네크의 직경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각각의 거치 홈(26B)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넥크 받침대(4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넥크 받침대(40)는 거치 홈(26A)과 대응되는 형태로, 밑면에 상기 거치 홈(26A) 상에서 끼워지는 결합홈(42)이 형성되어 거치 홈에 끼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거치 프레임에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 직경에 따라 적정한 넥크 받침대를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거치 프레임으로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 부분이 움직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거치되는 음료용기는 서로 다른 다양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므로 이러한 높이가 다른 음료용기의 거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도 제공한다.
거치패널(26)은 양측의 회전패널(22) 상에서 높이 조절부(50)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높이 조절은 양측 회전패널(22)의 상단으로부터 거치패널(26)이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거치패널(26)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높이 조절돌기(52A)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대(52)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22)에는 상기 높이 조절돌기(52A)가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조절공(54)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거치하고자 하는 음료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거치패널을 회전패널로부터 높이를 조절한 후 거치할 수 있어, 거치하고자 하는 음료용기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거치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음료를 따르고자 할 때 더욱더 안정적이면서 안전하게 따를 수 있는 조건을 가짐은 물론 음료용기의 크기에 상관없이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도 우수한 조건도 가진다.
1 : 음료용기 거치장치
10 : 지지 프레임 12 : 베이스패널
14 : 지지패널 20 : 거치 프레임
22 : 회전패널 24 : 받침패널
26 : 거치패널 26A : 거치 홈
30 : 회전 제한부 32 : 제한돌기
34 : 회전제한 홈 40 : 네크 받침대
42 : 결합 홈 50 : 높이 조절부
52 : 높이 조절대 52A : 높이 조절돌기
54 : 조절공

Claims (3)

  1.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패널(12)의 양측에 각각의 지지패널(14)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10); 및
    상기 각각의 지지패널(14) 사이에 소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거치 프레임(20);을 포함하되,
    상기 거치 프레임(20)은
    양측에 지지패널(14)과 힌지 결합방식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각의 회전패널(22);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22)의 밑면이 서로 연결되어 음료용기의 측면과 바닥면을 지지하는 받침패널(24);
    상기 회전패널(22)의 상단이 서로 연결되어 거치되는 음료용기의 넥크(neck)가 받쳐 지지되는 반원형의 거치 홈(26A)이 형성되는 거치패널(26); 및
    상기 지지패널(14) 및 회전패널(22) 상에 상기 거치 프레임(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면에 제한돌기(32) 및 회전제한 홈(34)이 형성되는 회전 제한부(30)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홈(26A)에는 음료용기의 네크의 직경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각각의 거치 홈(26B)이 형성되며, 거치 홈(26A)과 대응되는 형태로 밑면에 거치 홈(26A)에 끼워지는 결합홈(42)이 형성되어 거치 홈(26A)에 끼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넥크 받침대(40)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패널(26)은 양측의 회전패널(22) 상에서 높이 조절부(50)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높이 조절부(50)는 양측 회전패널(22)의 상단으로부터 거치패널(26)이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거치패널(26)의 양측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높이 조절돌기(52A)가 형성되는 높이 조절대(52)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회전패널(22)에는 상기 높이 조절돌기(52A)가 탈착 가능한 복수 개의 조절공(54)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용기 거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07148A 2020-08-25 2020-08-25 음료용기 거치장치 KR10243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48A KR102433091B1 (ko) 2020-08-25 2020-08-25 음료용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7148A KR102433091B1 (ko) 2020-08-25 2020-08-25 음료용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97A KR20220026297A (ko) 2022-03-04
KR102433091B1 true KR102433091B1 (ko) 2022-08-18

Family

ID=8081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7148A KR102433091B1 (ko) 2020-08-25 2020-08-25 음료용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0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82Y1 (ko) * 2003-05-01 2003-08-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포켓용 병 홀더
CN101756612A (zh) * 2008-12-05 2010-06-30 南通芯迎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液体倾倒装置
CN205513899U (zh) * 2015-11-23 2016-08-31 镇江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防止水杯倾斜的自平衡杯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37Y1 (ko) * 1994-10-21 1997-01-10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컵홀더의 높이 조절장치
KR200201642Y1 (ko) 2000-06-19 2000-11-01 박대식 음료수병고정대
KR200442273Y1 (ko) 2007-02-09 2008-10-23 태웅식품주식회사 병 거치대
KR101409041B1 (ko) 2012-11-23 2014-06-18 김병창 거치가능한 음식물 용기
KR101653263B1 (ko) 2016-01-15 2016-09-06 한재승 병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782Y1 (ko) * 2003-05-01 2003-08-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 도어포켓용 병 홀더
CN101756612A (zh) * 2008-12-05 2010-06-30 南通芯迎设计服务有限公司 一种液体倾倒装置
CN205513899U (zh) * 2015-11-23 2016-08-31 镇江高等职业技术学校 一种防止水杯倾斜的自平衡杯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6297A (ko)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83B2 (en) Liquid-dispensing container with single gimbal mechanism
CA1298242C (en) Self-righting vessel
EP2395881B1 (en) An insert for a drinking cup
US7537185B2 (en) Swiveling beverage holder
US20090078714A1 (en) Stabalising & locking drinking device
US20070012707A1 (en) Swivel handle vessel
CA2035130C (en) Jug for storing hot beverage, in particular coffee or tea
US4848622A (en) Drinking device for the disabled
US6092680A (en) Baby bottle assembly
KR102433091B1 (ko) 음료용기 거치장치
US20190014894A1 (en) Apparatus for drinking two beverages simultaneously
US20200283203A1 (en) Cup lid with roll and spill limiting rim
US2554875A (en) Easy-pour gallon supporter
WO2006075322A2 (en) Tiltable beverage bottle holder
CN201127477Y (zh) 婴幼儿水杯
CA3029723C (en) Can puncturing device and method
US3155284A (en) Dual swingably mounted pot
JP3675908B2 (ja) 飲料供給装置
US5511751A (en) Structure of a stand for liquid vessels
JP3225548U (ja) 小型飲料容器支持装置
US5439142A (en) Tilting serving device
JP2018203378A (ja) 缶体反転倒立台座
CN213282449U (zh) 一种水杯
CN213995950U (zh) 一种电热水浴加热锅
GB2398728A (en) Stand for a drink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