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89B1 -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 Google Patents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89B1
KR102432889B1 KR1020200181017A KR20200181017A KR102432889B1 KR 102432889 B1 KR102432889 B1 KR 102432889B1 KR 1020200181017 A KR1020200181017 A KR 1020200181017A KR 20200181017 A KR20200181017 A KR 20200181017A KR 102432889 B1 KR102432889 B1 KR 102432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opy
upper wing
paraglider
wing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0128A (ko
Inventor
김주하
신정한
이승철
이재화
송진석
박정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Priority to KR102020018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89B1/ko
Priority to PCT/KR2021/018581 priority patent/WO2022139264A1/ko
Publication of KR20220090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025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for glidin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14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with skirt or air-deflecting panels
    • B64D17/16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with skirt or air-deflecting panels secured to hem of main canop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02Canopy arrangement or construction
    • B64D17/18Vent arrangement o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패러글라이더 캐노피를 구비한 패러글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러글라이더 캐노피는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 및 상기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을 포함하는 상부익, 일단이 상기 상부익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익과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에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하부익 및 상기 상부익과 상기 하부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셀(air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Paraglider canopy and paraglider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캐노피의 공력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바람을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공중을 활공할 수 있는 활공수단의 하나이며, 답답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다수의 사람들의 여가 활동을 위한 레저 스포츠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패러글라이더는 행글라이더의 활공 특성과 낙하산의 강하 특성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님에 따라, 높은 활공 능력을 보유함과 동시에 높은 안전성 또한 겸비하여 그 보급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패러글라이더는 일반적으로,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되어 활공 가능한 양력을 발생시키는 캐노피를 구비하는데, 이 경우, 비행 시 캐노피에 발생하는 박리기포와 유동박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 및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을 포함하는 상부익을 갖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돌기(tubercle) 형태로 구성되는 리딩 엣지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익 상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단부와 하단부의 압력차에 따라 상부익으로부터 분리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노피의 익단(wingtip)에 형성된 슬롯 윙렛(slot winglet) 또는 스피로이드 윙렛(spiroid winglet)을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 및 상기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을 포함하는, 상부익 및 일단이 상기 상부익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익과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에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하부익 및 상기 상부익과 상기 하부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셀(air cell)을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익은, 상기 제1 상부익과 상기 제2 상부익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익의 곡률은 상기 제1 상부익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패러글라이너 캐노피의 양 익단(wingtip)에 상기 제1 상부익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리딩 엣지(leading edge)는 전방 돌출 부분과 후방 함몰 부분이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상부익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익으로부터 자유로운(free)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타단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상부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익단(wingtip)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틱 형태의 슬롯 윙렛(slot wingl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익단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스피로이드 윙렛(spiroid wingl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패러글라이더 캐노피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으로 인해 고모멘텀(higher momentum)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유동이 상부익의 표면에 붙어 흐르기 쉬워져서 유동박리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패러글라이더 비행 시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제1 상부익에 형성된 공기셀과 제2 상부익에 형성된 공기셀이 서로 다르게 팽창함으로써, 익단 와류로 인한 비행 방해 요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딩 엣지에 형성된 돌기 형태를 통해 캐노피의 양력계수를 향상시키고 실속 받음각이 증가하여, 양항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커버 부재를 통해 유동박리를 지연시킴으로써, 캐노피에 작용하는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캐노피의 익단에 슬롯 윙렛 또는 스피로이드 윙렛을 추가함으로써, 캐노피의 익단에서의 익단 와류를 감소시켜 높은 공력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a는 종래의 캐노피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캐노피의 평면도이며, 도 1c는 종래의 캐노피의 정면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평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정면도이며,
도 3a 및 3b는 종래의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종래의 캐노피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종래의 캐노피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측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리딩 엣지와 트레일링 엣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종래의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a는 종래의 캐노피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종래의 캐노피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캐노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의 익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의 익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여, 종래의 캐노피(100)를 설명한다.
종래의 캐노피(100)는 상부익(110), 상부익(1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110)과 연결되는 하부익(120), 상부익(110)과 하부익(1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140, 142, 144) 및 상부익(110)과 하부익(120)의 리딩 엣지(1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140, 142, 144)로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140a, 142a, 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100)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비행 시, 공기유입구(140a, 142a, 144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각각의 공기셀이 팽창할 수 있으며, 상부익(110) 및/또는 하부익(120)에는 공기셀에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다.
종래의 캐노피(100)의 경우, 캐노피(100)의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박리가 발생하여 후류 영역이 생성된다. 후류 영역과 유동박리가 생성되는 경우 캐노피의 양항비 감소를 유발하게 된다.
반면, 도 2a 내지 2c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200)는 상부익(210), 상부익(2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210)과 연결되는 하부익(220), 상부익(210)과 하부익(2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240, 242, 244) 및 상부익(210)과 하부익(220)의 리딩 엣지(2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240, 242, 244)로 각각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240a, 242a, 244a)를 포함할 수 있다.
캐노피(200)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비행 시, 공기유입구(240a, 242a, 244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각각의 공기셀이 팽창할 수 있으며, 상부익(210) 및/또는 하부익(220)에는 공기셀에 유입된 외부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다.
상부익(210)은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211)과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2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캐노피(200)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비행 시, 공기유입구(240a, 242a, 244a)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은 서로 다르게 팽창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상부익(212)에서 발생하는 와류(vortex)로 인하여, 고모멘텀(higher momentum)이 생성되고, 이로 인해 유동이 상부익(210)의 표면에 붙어 흐르기 쉬워지고, 결과적으로 유동박리가 지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200)는 큰 곡률을 가지며 굽어져 형성된 제2 상부익(212)으로 인해, 캐노피(200)의 양력을 증가시키며, 캐노피(200)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의 전체적인 공력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캐노피(200) 후단의 유동박리를 지연시켜 후류영역을 축소시킬 수 있고, 캐노피(200)의 공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1 상부익(211)이 2개 병렬 배치되고, 그 측단에 제2 상부익(212)이 병렬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의 배치 구조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의 하부익(220)으로부터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 상부익(211)과 제2 상부익(212)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으나, 동일할 수도 있다.
다음,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종래의 캐노피(300)를 설명한다.
종래의 캐노피(300)는 상부익(310), 상부익(3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310)과 연결되는 하부익(320), 상부익(310)과 하부익(3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330) 및 상부익(310)과 하부익(320)의 리딩 엣지(3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3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캐노피(300)의 경우, 캐노피(300)의 리딩 엣지(313)의 형태가 둥근(blunt body) 형태를 갖기 때문에, 해당 부분에 박리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박리기포에 의해 종래의 캐노피(300)는 공력성능이 감소한다.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는 상부익(410), 상부익(4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410)과 연결되는 하부익(420), 상부익(410)과 하부익(4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430) 및 상부익(410)과 하부익(420)의 리딩 엣지(4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430) 각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익(410)의 구조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411)과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412)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의 리딩 엣지(413)는 돌기(tubercl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형태는 결절, 웨이브, 융기, 톱니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갖는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의 리딩 엣지(413)는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돌기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는 종래의 캐노피(300)에 비해 동일 받음각에서 더 높은 양력계수를 가짐으로써 실속 받음각이 증가하고, 양항비 또한 증가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는 캐노피(400)의 리딩 엣지(413)의 돌기 형태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박리기포가 지연되고 이를 통해 양력의 상승과 항력의 감소를 달성함으로써, 캐노피(400)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의 전체적인 공력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의 리딩 엣지(413)과 트레일링 엣지(414)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의 리딩 엣지(413)는 돌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돌기 형태에서, 서로 이웃한 돌기부 사이의 거리를 s, 평균선(l)으로부터 돌출부 또는 함몰부까지의 거리를 A, 캐노피(400)의 평균 코드길이(캐노피의 면적/스팬(span)를
Figure 112020139713943-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캐노피(300)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의 평균 코드길이에 의한 캐노피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400)는 종래의 캐노피(300)보다 더 높은 양항비와 활공비를 가질 수 있다.
다음,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6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종래의 캐노피(500)를 설명한다.
종래의 캐노피(500)는 상부익(510), 상부익(5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510)과 연결되는 하부익(520), 상부익(510)과 하부익(5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530) 및 상부익(510)과 하부익(520)의 리딩 엣지(5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5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캐노피(500)의 상부익(510)은 공기셀(530)로의 외부 공기 유입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익(510) 상단 중간부위에 유동박리가 형성될 수 있다(도 5b 참조).
종래의 캐노피(500)의 경우, 패러글라이더의 속도 증가에 따라 공기유입구(540)를 통해 외부 공기가 더 유입되고, 캐노피(500)가 팽창하여, 이로 인해 캐노피(500)의 트레일링 엣지(514)로의 경사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 때, 팽창된 상부익(510)의 트레일링 엣지(514)로의 경사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동박리가 커지게 되고, 유동박리에 의한 항력 증가가 발생하게 된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600)는 상부익(610), 상부익(610)의 하방에서 그 일단이 상부익(610)과 연결되는 하부익(620), 상부익(610)과 하부익(62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공기셀(630) 및 상부익(610)과 하부익(620)의 리딩 엣지(613)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다수의 공기셀(630) 각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640)를 포함하고, 상부익(610) 상에 일단이 결합된 커버 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익(610)의 구조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611)과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612)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부재(650)의 선단이 상부익(610)에 고정 결합되고 커버 부재(650)의 후단은 상부익(610)으로부터 자유로운(free)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650)의 타단은, 커버 부재(650)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압력차에 따라 상부익(6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캐노피(600)에서의 유동박리가 트레일링 엣지(614) 쪽으로 지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600)는 커버 부재(650)를 통해 유동박리를 지연시킴으로써, 캐노피(600)에 작용하는 항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800, 9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캐노피(700)를 설명한다.
종래의 캐노피(700)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캐노피(700)의 양 측단에 형성된 익단(wingtip)(760, 770)을 또한 포함한다. 이 때, 익단(760, 770)을 기준으로 익단(760, 770)의 상부와 하부의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익단 와류는 캐노피(700)의 양력 감소 및 항력 증가를 유발하고, 이로 인해 비행안정성 저하 및 익단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800)의 상부익(810)은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811)과 제1 곡률보다 큰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812)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캐노피(800)의 익단(860, 87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틱 형태의 슬롯 윙렛(slot winglet)(861, 8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틱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익단(860, 870)의 중앙을 향할수록 더 길어지고 익단(860, 870)의 끝단을 향할수록 더 짧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900)의는 익단(960, 970)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스피로이드 윙렛(spiroid winglet)(961, 9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가 슬롯 윙렛(861, 871) 또는 스피로이드 윙렛(961, 971)을 가짐에 따라, 종래의 캐노피(700)에 비해 높은 실속각을 가질 수 있고, 동일 받음각에 대해 높은 양력계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캐노피(700)는 실속각 이후에 항력이 증가하지만, 제4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노피(800, 900))의 경우 슬롯 윙렛(861, 871) 또는 스피로이드 윙렛(961, 971)을 통해 항력의 증가 정도가 완화되고, 받음각에 따른 양항비 또한 전체적으로 높을 수 있다.
즉, 익단에 윙렛을 포함함으로써, 익단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윙렛을 통해 익단이 상방으로 들려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력(또는 반작용)에 의한 공기의 움직임이 날개의 끝쪽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날개의 위쪽으로 돌아들어오려는 공기의 흐름과 상쇄되어 와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익단 와류가 감소됨에 따라 높은 공력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캐노피에 별도로 구성되거나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캐노피
110: 상부익
113: 리딩 엣지
114: 트레일링 엣지
120: 하부익
140, 142, 144: 공기셀
140a, 142a, 144a: 공기유입구
200: 캐노피
210: 상부익
211: 제1 상부익
212: 제2 상부익
213: 리딩 엣지
214: 트레일링 엣지
220: 하부익
240, 242, 244: 공기셀
240a, 242a, 244a: 공기유입구
300: 캐노피
310: 상부익
313: 리딩 엣지
314: 트레일링 엣지
320: 하부익
330: 공기셀
340: 공기규입구
400: 캐노피
410: 상부익
411: 제1 상부익
412: 제2 상부익
413: 리딩 엣지
414: 트레일링 엣지
420: 하부익
430: 공기셀
440: 공기유입구
500: 캐노피
510: 상부익
513: 리딩 엣지
514: 트레일링 엣지
520: 하부익
530: 공기셀
540: 공기유입구
600: 캐노피
610: 상부익
613: 리딩 엣지
614: 트레일링 엣지
620: 하부익
630: 공기셀
640: 공기유입구
650: 커버 부재
700: 캐노피
760, 770: 익단
800: 캐노피
810: 상부익
811: 제1 상부익
812: 제2 상부익
860, 870: 익단
861, 871: 슬롯 윙렛
900: 캐노피
910: 상부익
911: 제1 상부익
912: 제2 상부익
960, 970: 익단
961, 971: 스피로이드 윙렛

Claims (8)

  1. 제1 곡률을 갖는 제1 상부익 및 상기 제1 곡률과 상이한 제2 곡률을 갖는 제2 상부익을 포함하는, 상부익;
    일단이 상기 상부익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익과 이격되어, 이격된 부분에 공기 유입구를 형성하는 하부익; 및
    상기 상부익과 상기 하부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기 셀(air cell);을 포함하고,
    일단이 상기 상부익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익으로부터 자유로운(free)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타단은 상기 커버 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상부익으로부터 분리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익은,
    상기 제1 상부익과 상기 제2 상부익이 교번하여 병렬 배치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익의 곡률은 상기 제1 상부익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양 익단(wingtip)에 상기 제1 상부익이 각각 배치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리딩 엣지(leading edge)는 전방 돌출 부분과 후방 함몰 부분이 교번 배치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익단(wingtip)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틱 형태의 슬롯 윙렛(slot winglet);을 더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러글라이더 캐노피의 익단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스피로이드 윙렛(spiroid winglet);을 더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8. 제1항 내지 제4항,제6항,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패러글라이더 캐노피를 포함하는,
    패러글라이더.
KR1020200181017A 2020-12-22 2020-12-22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KR102432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17A KR102432889B1 (ko) 2020-12-22 2020-12-22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PCT/KR2021/018581 WO2022139264A1 (ko) 2020-12-22 2021-12-09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017A KR102432889B1 (ko) 2020-12-22 2020-12-22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28A KR20220090128A (ko) 2022-06-29
KR102432889B1 true KR102432889B1 (ko) 2022-08-18

Family

ID=8215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017A KR102432889B1 (ko) 2020-12-22 2020-12-22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2889B1 (ko)
WO (1) WO202213926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5495U1 (de) * 1999-03-03 1999-09-23 Eser Urban Gleitschirm
US20050077431A1 (en) * 2003-06-23 2005-04-14 Atair Aerospace, Inc. Reinforcing material for parachute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parachutes
KR200389403Y1 (ko) 2005-04-12 2005-07-14 남기열 공기튜브의 구조
RU2637149C1 (ru) * 2016-11-02 2017-11-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аэр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профессора Н.Е. Жуковского" (ФГУП "ЦАГИ") Спироидный винглет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238A (en) * 1986-07-08 1987-11-10 Gargano William L B Ram air parachute with multiple pressure centers
KR20130015406A (ko) *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진글라이더 인렛 커튼을 구비한 패러글라이더.
KR20150096039A (ko) * 2014-02-13 2015-08-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
US9573691B1 (en) * 2015-07-16 2017-02-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to improve aerodynamic glide of a ram air canopy
KR102359176B1 (ko) * 2020-04-14 2022-02-08 울산과학기술원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905495U1 (de) * 1999-03-03 1999-09-23 Eser Urban Gleitschirm
US20050077431A1 (en) * 2003-06-23 2005-04-14 Atair Aerospace, Inc. Reinforcing material for parachutes and methods for reinforcing parachutes
KR200389403Y1 (ko) 2005-04-12 2005-07-14 남기열 공기튜브의 구조
RU2637149C1 (ru) * 2016-11-02 2017-11-3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Центральный аэро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ени профессора Н.Е. Жуковского" (ФГУП "ЦАГИ") Спироидный вингле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128A (ko) 2022-06-29
WO2022139264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4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engine-powered lift in an aircraft
EP1960262B1 (en) Rudder of a commercial aircraft
US9120552B2 (en) Fuselage and method for reducing drag
US4030688A (en) Aircraft structures
US20170073062A1 (en) Variable Geometry Wingtip
RU250358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выступа для изменения структуры скачка уплотнения
JP5290976B2 (ja) 主翼両持型飛行機
US8789798B2 (en) Slat configuration for fixed-wing aircraft
KR102432889B1 (ko)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KR102359176B1 (ko)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및 이를 구비하는 패러글라이더
US8382040B2 (en) Hamilton H.N2 laminar flow diskette wing
RU2687437C1 (ru) Двойной сверхзвуковой конвергентный воздухозаборник (дскв)
EP3647183A1 (en) Aerodynamic structure for aircraft wing
EP0052360B1 (en) Air aspiration device of aircraft-mounted gas-turbine engine
KR101117046B1 (ko) 패러글라이더 산줄
KR20180000005A (ko) 패러글라이더
RU2548200C2 (ru) Сверхзвуковой самолет
JP3192450U (ja) 模型飛行機
CN113911372A (zh) 一种上翼面有后部切口的翼伞
CN107284641B (zh) 一种适于超音速飞行的小型飞机气动外形
RU2002102457A (ru) Законцовка хвоста фюзеляжа самолёта Крещишина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вихревой пелены
KR102486974B1 (ko) 자가적응 변형돌기를 구비한 패러글라이더 캐노피
CN113581459B (zh) 用于复合翼飞机的增升组件及复合翼飞机
CN216186002U (zh) 多旋翼无人机、摄像机构及云台
RU2671595C1 (ru) Многорежимная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ая поверхност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