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811B1 -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811B1
KR102432811B1 KR1020220057259A KR20220057259A KR102432811B1 KR 102432811 B1 KR102432811 B1 KR 102432811B1 KR 1020220057259 A KR1020220057259 A KR 1020220057259A KR 20220057259 A KR20220057259 A KR 20220057259A KR 102432811 B1 KR102432811 B1 KR 102432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ssembly
link
assembly
cylinder
hydraulic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택성
유재관
이원희
김두선
이민주
박중환
최현기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무인 수상정이 진입 또는 진출되어 탑재되는 탑재선 및 탑재선과 연결되어 무인 수상정이 탑재된 탑재선을 진수 또는 회수하는 진회수 조립체를 포함하고, 진회수 조립체는 탑재선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고정되며, 기 설정된 동작 범위 내에서 상하동요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y of unmanned surface vehicle}
본 발명은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무인 수상정을 진/회수 할 수 있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함정에서는 무인 수상정을 진/회수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현측 진/회수 체계와 함미 진/회수 체계가 있다. 함미 진/회수 체계는 경사로를 이용하여 무인 수상정을 함정으로 끌어올리거나 자중에 의해 함에서 이탈하는 방법이고, 현측 진회수 체계는 인력이 개입하여 무인 수상정을 후크에 결속한 후 와이어나 빔 형태의 구조물로 인양해서 함에 안착하거나 진수 시키는 방법이다.
함미 진/회수 체계의 경우 함미에서의 후류와 함 부위에서 작은 각도의 동요에도 무인 수상정에 큰 변위가 발생하므로 원격조종하여 무인 수상정을 함미에서 진/회수 하는 방법은 성공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현측 진/회수 체계의 경우 무인 수상정에 홋줄 등을 함정에 연결하여 함수방향으로 헤딩(Heading) 방향을 고정해야 무인 수상정의 방향이 선회하여 침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추가적인 인력 또는 장비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5846호(2019.03.2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인 수상정을 진/회수하기 위한 크레인을 이용하여 자율운항을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수상정을 다양한 해상 환경에서 인력 소요 없이 안정적으로 진/회수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무인 수상정이 진입 또는 진출되어 탑재되는 탑재선; 및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어 상기 무인 수상정이 탑재된 탑재선을 진수 또는 회수하는 진회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회수 조립체는 상기 탑재선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고정되며, 기 설정된 동작 범위 내에서 상하동요 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회수 조립체는, 함정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적어도 일단이 조립되며, 반대 측단이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크레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레인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로 구현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각각으로 상기 유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압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링크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2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반대 측면에서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반대 측면에서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가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가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함에 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유압에 의해 다단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붐은 유압의 양에 의해 확장되도록 유압이 지나가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각각 기 설정된 각도 이내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비례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공급 장치; 및 상기 유압 공급 장치 및 상기 비례 밸브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 각각에 제공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상기 비례 밸브 각각에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유압 공급 장치에 유압 압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탑재선은,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상부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조립체와 조립되어 고정되며, 상기 무인 수상정이 진입되어 위치하는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이 진입 시 유도하고, 인양 시 상기 무인 수상정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함정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적어도 일단이 조립되며, 반대 측단이 탑재선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유압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로 구현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회수 조립체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2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의 확장 또는 축소에 의해 이동하는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반대 측면에서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의 확장 또는 축소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자율운항을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수상정을 다양한 해상환경에서 인력 소요 없이 안정적으로 진/회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탑재선 상/하부 조립체에 적용된 가공 스프링(Machined Spring)을 제작 시 고강도 원자재를 사용하고 단일몸체로 제작되어 충격 및 반복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신규 함정 또는 기존 함정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진/회수를 위해 필요한 공간을 본 시스템 적용을 통해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진회수 조립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탑재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진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들 중의 어느 항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자율운항을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수상정(20)을 다양한 해상환경에서 인력 소요 없이 안정적으로 진/회수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신규 함정 또는 기존 함정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진/회수를 위해 필요한 공간을 본 시스템 적용을 통해 최소화 할 수 있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무인 수상정(20)의 운용이 필요한 건조 예정 신규 전투함/지원함 및 성능개량/개조 대상 함정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진회수 조립체(100) 및 탑재선(200)을 포함한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수상정(20)은 사람이 탑승하지 않고 해역을 감시할 수 있으며, 항만, 해상 등의 감시 및 정찰, 해상 플랫폼 보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함정에서 운용하는 무인수상정은 기본적으로 고속단정의 운용개념과 유사하다.
함정(30)은 군사적 목적에 사용되는 배로서, 직접 전투에 투입되는 전투함과 후방에서 전투에 사용될 인력이나 장비 등을 수송하거나 임무를 지원하는 지원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함정(30)의 측면에 구비되어 운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인 수상정(20)이 내부에 구비되어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어 운용될 수 있다.
함정(30)은 내부에 무인 수상정(20) 및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이 위치하는 공간이 구성될 수 있다.
진회수 조립체(100)는 탑재선(20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탑재선(200)을 진수 또는 회수 시 인양할 수 있다.
진회수 조립체(100)는 탑재선(200)과 연결되어 무인 수상정(20)이 탑재된 탑재선(200)을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다.
진회수 조립체(100)는 탑재선(20)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고정되며, 기 설정된 동작 범위 내에서 상하동요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진회수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크레인(1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함정(30)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크레인(120)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단에 적어도 일단이 조립되며, 반대 측단이 탑재선(200)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크레인(120)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크레인(120)은 실린더 조립체(1202) 및 링크(1204)를 포함한다.
크레인(120)은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1202) 각각으로 유압이 제공되어, 유압에 의해 이동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1202)에 의해 복수의 링크(1204)가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120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1202)는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제3 실린더 조립체(126) 및 연결부(128)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 조립체(12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조립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조립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조립되고 제1 실린더 조립체(122)와 연결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조립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제1 실린더 조립체(122)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서 제1 실린더 조립체(122)와 연결되어 제1 실린더 조립체(122)에 의해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반대 측면에서 연결되는 제1 링크(130)를 통해 제3 실린더 조립체(126)와 연결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제1 링크(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실린더 조립체(126)는 제2 실린더 조립체(124)와 연결되며, 제2 실린더 조립체(124)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제3 실린더 조립체(126)는 제2 실린더 조립체(124)가 제1 링크(13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연결부(128)와 연결되는 제2 링크(13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8)는 제3 실린더 조립체(126)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반대 측면에서 탑재선(200)과 연결되며, 제3 실린더 조립체(126)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연결부(128)는 제3 실린더 조립체(126)가 제2 링크(136)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연결부(128)는 유압에 의해 다단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붐(1280, 1282, 1284, 1286)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붐(1280, 1282, 1284, 1286)은 유얍의 양에 의해 확장되도록 유압이 지나가는 로드(1281)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1204)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1202)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며, 실린더 조립체(1202)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링크(1204)는 제1 링크(130) 및 제2 링크(136)를 포함한다.
제1 링크(130)는 제2 실린더 조립체(124) 및 제3 실린더 조립체(126)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링크(136)는 제3 실린더 조립체(126) 및 연결부(128)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링크(130) 및 제2 링크(136)는 각각 기 설정된 각도 이내로 회전 가능하도록 스톱퍼(140, 15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구동 제어부(160) 및 유압 공급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60)는 유압 공급 장치(170) 및 비례 밸브(172)를 제어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60)는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및 제3 실린더 조립체(126) 각각에 제공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비례 밸브(172) 각각에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유압 공급 장치(170)에 유압 압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 공급 장치(170)는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및 제3 실린더 조립체(126)와 비례 밸브(172)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유압을 제공할 수 있다.
탑재선(200)은 무인 수상정(20)이 진입 또는 진출되어 탑재될 수 있다.
탑재선(200)은 상부 조립체(210) 및 하부 조립체(220)를 포함한다.
상부 조립체(210)는 진회수 조립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조립체(220)는 상부 조립체(210)와 조립되어 고정되며, 무인 수상정(20)이 진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부 조립체(220)는 무인 수상정(20)이 진입 시 유도하고, 인양 시 무인 수상정(20)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하는 가이드 블록(2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진회수 조립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진회수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크레인(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회수 조립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측면에 복수의 크레인(12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크레인(120)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대응되도록 구비된 2개의 크레인(120)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함정(30)에 복수의 고정부(11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부(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서 일정 간격을 형성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사각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목적을 유지하는 조건으로 형상과 크기 등 세부 사양은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고정 클램프 조립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클램프 조립체는 하단에 함정(30)과 체결되는 체결부분을 포함하고, 상단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체결되는 체결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조립되어 나사로 고정시켜주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고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함정(3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2)는 8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크레인(120)의 경우 실린더 조립체(1202) 및 링크(1204)를 통해 구동하며 요구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확보하기 위해 다관절 링크로 설계될 수 있으며, 최소 공간을 사용하여 진/회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크레인(120)은 실린더 조립체(1202) 및 링크(1204)를 포함하고,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1202)는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제3 실린더 조립체(126) 및 연결부(128)를 포함하며, 링크(1204)는 제1 링크(130) 및 제2 링크(136)를 포함한다. 크레인(120)은 도 3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린더 조립체(122)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서 일부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린더 조립체(122)는 고정 클램프 조립체에 고정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은 탑재선(200)이 위치하는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린더 조립체(122)는 제2 실린더 조립체(124)의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서 제2 실린더 조립체(124)와 연결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측면에서 일부 고정되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고정 클램프 조립체에 고정되어,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은 탑재선(200)이 위치하는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실린더 조립체(122)와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 클램프 조립체에 고정될 수 있고, 같은 일직선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제2 하우징(1240) 및 제2 실린더 로드(1242)를 포함한다.
제2 실린더 조립체(124)는 제2 하우징(1240)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서 제1 실린더 조립체(122)와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하우징(1240)은 내측에 제2 실린더 로드(1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린더 로드(1242)는 유압이 제공되어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린더 로드(1242)는 유압에 의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제1 링크(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실린더 조립체(126)는 제3 하우징(1260) 및 제3 실린더 로드(1262)를 포함한다.
제3 실린더 조립체(126)는 제1 링크(310)가 구비되는 측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하우징(1260)은 내측에 제3 실린더 로드(1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린더 로드(1262)는 유압이 제공되어 직선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린더 로드(1262)는 유압에 의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여 제2 링크(1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128)는 제2 링크(136)가 구비되는 측면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28)는 제2 링크(136)와 대응되는 반대 측면에서 탑재선(2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130)는 제1 링크 허브(132), 제1 드라이브 링크(133), 제1 커플러 링크(134) 및 제1 스토퍼(140)를 포함한다.
제1 링크 허브(132)는 제1 링크(1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드라이브 링크(133)는 제2 실린더 조립체(124)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커플러 링크(134)는 제1 링크(130)와 제2 실린더 로드(1242)의 제2 하우징(1240)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스토퍼(140)는 제1 링크(130)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링크(136)는 제2 링크 허브(137), 제2 드라이브 링크(138), 제2 커플러 링크(139) 및 제2 스토퍼(150)를 포함한다.
제2 링크 허브(137)는 제2 링크(136)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축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드라이브 링크(138)는 제3 실린더 조립체(126)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커플러 링크(139)는 제2 링크(136)와 제3 실린더 로드(1262)의 제3 하우징(126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스토퍼(150)는 제2 링크(136)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1단 링크의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크레인(110)은 제1 실린더 조립체(122)에 의한 최대 관절 가동 범위(a)는 80°내지 100°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관절 가동 범위는 90°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2단 링크의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 및 제1 스토퍼의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크레인(110)은 제2 실린더 조립체(124)에 의한 최대 관절 가동 범위(b)는 90°내지 135°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관절 가동 범위는 113°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레인(110)은 제2 실린더 조립체(124)에 의한 최대 관절 가동 범위(b)는 제1 링크(1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연결부의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 및 제2 스토퍼의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크레인(110)은 제3 실린더 조립체(126)에 의한 최대 관절 가동 범위(c)는 90°내지 135°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관절 가동 범위는 114°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크레인(110)은 제3 실린더 조립체(126)에 의한 최대 관절 가동 범위(c)는 제2 링크(13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토퍼(140, 150)는 2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40, 150)는 2중으로 구현되어,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따른 회전 제안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1 모드는 큰 각도를 조절하고, 제2 모드는 작은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의 가변 길이 메커니즘 구현 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연결부(128)는 제2 링크 허브(137)와 연결되는 제1 붐(1280), 제2 붐(1282), 제3 붐(1284) 및 제4 붐(1286)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28)는 제1 붐(1280), 제2 붐(1282), 제3 붐(1284) 및 제4 붐(1286)을 통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붐은 실린더 로드(1281) 및 실린더 하우징(1283)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로드(1281)는 유압 공급 장치(170)를 통해 유압이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을 통한 상하동요(Heave) 보상 방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진회수 조립체(100)에 고정된 탑재선(200)이 해수면에서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면 아래 잠기게 되면 유체저항으로 인해 진회수 조립체(100)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회수 크레인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회수 조립체(100)은 유압 실린더 조립체(1202)를 이용하여 유량제어 하여 탑재선(200)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할 수 있게 상하동요(Heave) 보상 방안을 적용할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1202)는 유압에 의해 피스톤 또는 플런저를 왕복 직선 운동시켜 기계적인 일을 행하게 하는 장치로서, 무인 수상정(20)이 탑재된 탑재선(200)을 진수 또는 회수할 때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실린더 조립체(1202)는 임의의 기준선을 기분으로 상하동요(Heave)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하동요는 물체의 연직축 방향으로 병진왕복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함정(30)과 탑재선(200)의 상대적인 운동을 보상하기 위해 진/회수에 사용되는 진회수 조립체(100)에 상하동요(Heave) 보상방안을 적용하여 무인 수상정(20)이 안정적으로 진/회수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탑재선(200)은 진수 또는 회수 시 무인 수상정(20)이 탑재되어 함정으로 끌어올리거나 함정(30)에서 이탈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구동 제어부(160)는 유압 공급 장치(170)로 유압 압력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비례 밸브(172)로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유압 공급 장치(170)는 구동 제어부(160)에서 유압 압력 제어 명령을 제공받으면 유압 압력을 비례 밸브(172)로 제공할 수 있다.
비례 밸브(172)는 구동 제어부(160)에서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받으면,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및 제3 실린더 조립체(126) 각각에 제공하기 위한 유압의 양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 실린더 조립체(122), 제2 실린더 조립체(124) 및 제3 실린더 조립체(126)는 각각
Figure 112022049522448-pat00001
,
Figure 112022049522448-pat00002
,
Figure 112022049522448-pat00003
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설계 변경에 의해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제어부(160)는 탑재선(200)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160)는 탑재선(200)의 위치, 크기, 무게 등의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비례 밸브(172) 각각에 따른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할 수 있다.
탑재선(200)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탑재선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탑재선(200)은 상부 조립체(210) 및 하부 조립체(220)를 포함한다. 탑재선(200)은 도 9 내지 도 1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210)는 인양 조립체(211)를 포함한다. 인양 조립체(211)는 진회수 조립체(100)과 탑재선(200)을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상부 조립체(210)의 상단에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조립체(220)는 가이드 블록(222), 선형 액츄에이터(224) 및 방현대(226)를 포함한다.
방현대(226)는 부딪혀서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무인 수상정(20)이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하부 조립체(220)는 방현대(226)의 후단에 가이드 블록(222) 및 선형 액츄에이터(224)가 구비될 수 있다.
탑재선(200)은 가이드 블록(222)을 통해 무인 수상정(20) 진입 시 효율적으로 탑재선(200)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인양 시 무인 수상정(20)이 탑재선(200)의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조립체(210) 및 하부 조립체(220)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완화 메커니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해상환경에서 무인 수상정(20)을 진/회수 할 때 무인 수상정(20)에 작용하는 충격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탑재선(200)은 상부 조립체(210)와 하부 조립체(220)가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부 조립체(210)와 하부 조립체(220) 사이의 빈 공간에 무인 수상정(20)이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220)는 선형 액츄에이터(224)를 통해 가이드 블록(222)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회수를 위한 탑재선의 상부 조립체의 상세 구성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 조립체(210)는 무인 수상정(20)을 안전하게 인양하기 위해 탑재선(200)의 인양링크(212) 및 커플러 링크(214)를 적용하였으며, 상부 고정 보강대(218)를 통해 하부 조립체(220)에 고정되고, 상부 고정 보강대(218)의 상단에서 연결되는 종방향 보강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210)는 하부로부터 상부에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종방향 보강대(216) 사이에 탄성부(219)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219)는 가공 스프링(Machined Spring)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조립체(210)는 인양링크(212)와 커플러 링크(214)를 통해 진/회수 진회수 조립체(100)과 연결되며 링크 구조를 통해 안정적으로 인양이 가능하다.
상부 조립체(210)는 종방향 보강대(216) 사이에 탄성부(219)를 적용함으로써 무인수상정이 진입/진출 시 하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상부 조립체(210)는 진회수 조립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양 조립체(211)는 인양링크(212) 및 커플러 링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인양링크(212)는 진회수 조립체(100)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커플러 링크(214)는 상부 고정 보강대(218)에 고정되어 하부 조립체(2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회수를 위한 탑재선의 하부 조립체의 상세 구성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부 조립체(220)는 상부 조립체(210)와 조립되어 고정되며, 무인 수상정(20)이 진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탑재선(200)의 하부 조립체(220)에는 가이드 블록(222), 탄성부(219) 및 완충기(Shock Absorber)(236)를 조합하여 무인 수상정(20)이 탑재선(200)에 진입 및 진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하중들을 완화할 수 있다.
탑재선(200)의 상부 조립체(210) 및 하부 조립체(220)에 적용된 탄성부(219)는 제작 시 고강도 원자재를 사용하고 단일몸체로 제작되어 충격 및 반복하중에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220)에는 탑재선(200)에 적용된 가이드 블록(222)이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22)은 무인 수상정(20) 회수 시 무인 수상정(20)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 기능을 수행하고, 진수 시 가이드 블록(222)을 개방하여 무인 수상정(20)이 안전하게 진출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가이드 블록(222)은 선형 액츄에이터(224)를 통해 동작한다. 선형 액츄에이터(224)는 동력을 이용하여 가이드 블록(222)을 동작시킬 수 있으며, 도 11의 x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형 액츄에이터(224)는 가이드 블록(222)을 이동시켜 무인 수상정(20)이 탑재선(200)에 들어오고 나가는 가이드를 제공하고, 무인 수상정(20)이 탑재선(2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220)에는 가이드 롤러(230), 완충기(236), 탄성부(219) 및 완충패드(232)가 적용되어 무인 수상정(20)이 안전하게 진입 및 진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진/회수 시 무인 수상정(20)에 작용하는 다양한 방향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탑재선(200)은 상부 조립체(210) 및 하부 조립체(220)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완화 메커니즘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해상환경에서 무인 수상정(20)을 진/회수 할 때 무인 수상정(20)에 작용하는 충격, 진동 등의 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조립체(220)의 하단을 자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조립체(220)는 복수의 탄성부(219), 완충패드(232), 완충기(236) 및 가이드 롤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하부 조립체(220) 구성들은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롤러(230)는 무인 수상정(20)을 용이하게 진입 또는 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무인 수상정(20)이 이동하는 하부 조립체(220)의 하단 중앙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무인 수상정(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완충패드(232)는 무인 수상정(20)의 진입 또는 진출 시 하부 조립체(220)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무인 수상정(20)이 진입 또는 진출되는 경로에 구비될 수 있다.
완충기(236)는 탄성부를 통해 진동,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현되며, 탄성부의 특성에 의한 반동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진회수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함정에 무인 수상정을 저장 및 보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 진수 또는 회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의 탑재선으로부터 무인 수상정이 이탈 또는 진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진회수 조립체(100)은 함정(30) 내에 구비되어 탑재선(20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함정(30)의 외에 구비되어 운용될 수 있다.
무인 수상정(20)은 탑재선(200)에 탑재되어 함정(30)에 보관될 수 있으며, 진수 또는 회수 시에만 탑재선(200)에 보관되고, 회수된 경우 탑재선(200)과 분리되어 함정(30)에 보관될 수 있으며, 또는 함정(30) 내로 회수 시 탑재선(200)에 보관될 수 있다.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10)은 도 13의 (a), (b), (c)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경우 무인 수상정(20)의 진수 절차를 나타내며, 도 13의 (c), (b), (a)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경우 무인 수상정(20)의 회수 절차를 나타낸다.
도 13에서는 각각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1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거나 다른 과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20: 무인 수상정
100: 진회수 조립체
110: 베이스 플레이트
120: 크레인
200: 탑재선

Claims (13)

  1. 무인 수상정이 진입 또는 진출되어 탑재되는 탑재선; 및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어 상기 무인 수상정이 탑재된 탑재선을 진수 또는 회수하는 진회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진회수 조립체는 상기 탑재선의 상단에서 연결되어 고정되며, 기 설정된 동작 범위 내에서 상하동요 보상을 수행하고, 함정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2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반대 측면에서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는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링크가 이동하는 중심축을 나타내는 제1 링크 허브,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1 드라이브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1 커플러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링크가 이동하는 중심축을 나타내는 제2 링크 허브,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2 드라이브 링크,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2 커플러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 각각은 2중으로 구현되어 회전하고자 하는 회전 각도에 따른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반대 측단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적어도 일단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각각으로 상기 유압이 제공되어, 상기 유압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상기 복수의 링크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길이 방향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반대 측면에서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통해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가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가 상기 링크를 따라 이동함에 함에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유압을 제공받아 길이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유압에 의해 다단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복수의 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붐은 유압의 양에 의해 확장되도록 유압이 지나가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비례 밸브를 통해 각각 연결되어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 공급 장치; 및
    상기 유압 공급 장치 및 상기 비례 밸브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 각각에 제공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상기 비례 밸브 각각에 유량 제어 명령을 제공하고, 상기 유압 공급 장치에 유압 압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선은,
    상기 크레인과 연결되는 상부 조립체; 및
    상기 상부 조립체와 조립되어 고정되며, 상기 무인 수상정이 진입되어 위치하는 하부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조립체는 상기 무인 수상정이 진입 시 유도하고, 인양 시 상기 무인 수상정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조립체는
    상기 하부 조립체에 고정되는 상부 고정 보강대;
    상기 상부 고정 보강대의 상단에서 연결되는 종방향 보강대;
    상기 상부 고정 보강대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진회수 조립체와 상기 탑재선을 연결하는 인양 조립체; 및
    상기 하부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부 조립체에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을 완화하도록 상기 종방향 보강대 사이에 적용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12. 함정에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에 적어도 일단이 조립되며, 반대 측단이 탑재선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유압에 의해 왕복 직선운동을 수행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들 간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움직이는 구조로 구현되는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1 축을 기준으로 유압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1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고 길이 방향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회전 이동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제2 실린더 조립체;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와 일측에서 연결되고 반대 측면에서 상기 탑재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실린더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링크는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1 링크; 및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 및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는 상기 제1 링크가 이동하는 중심축을 나타내는 제1 링크 허브,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1 드라이브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1 커플러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2 링크가 이동하는 중심축을 나타내는 제2 링크 허브,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가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제2 드라이브 링크,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제3 실린더 조립체를 연결하는 제2 커플러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가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2 스토퍼 각각은 2중으로 구현되어 회전하고자 하는 회전 각도에 따른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선택하여 각도를 제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회수 조립체.
  13. 삭제
KR1020220057259A 2022-05-10 2022-05-10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KR102432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59A KR102432811B1 (ko) 2022-05-10 2022-05-10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259A KR102432811B1 (ko) 2022-05-10 2022-05-10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811B1 true KR102432811B1 (ko) 2022-08-12

Family

ID=8280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259A KR102432811B1 (ko) 2022-05-10 2022-05-10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03B1 (ko) *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높이 조절용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279A (ja) * 1998-06-25 2000-01-1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貯油袋ハンドリング装置
US6178914B1 (en) * 1996-02-07 2001-01-30 Sune Georg Axelsso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launching and taking aboard a raft
JP2012045988A (ja) * 2010-08-24 201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観測用クレーン
KR101908914B1 (ko) * 2017-04-25 2018-10-17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8914B1 (en) * 1996-02-07 2001-01-30 Sune Georg Axelsso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launching and taking aboard a raft
JP2000007279A (ja) * 1998-06-25 2000-01-1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貯油袋ハンドリング装置
JP2012045988A (ja) * 2010-08-24 2012-03-08 Mitsubishi Heavy Ind Ltd 観測用クレーン
KR101908914B1 (ko) * 2017-04-25 2018-10-17 주식회사 테크플라워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KR101965846B1 (ko) 2018-10-01 2019-04-0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무인 잠수정 회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8203B1 (ko) * 2022-12-23 2023-03-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높이 조절용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9709B2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US6082947A (en) Coordinated motion marine lifting device
US5154561A (en) Automated all-weather cargo transfer system
EP2571751B1 (en) Control of multi-hulled water craft
KR102432811B1 (ko) 무인 수상정 진회수 시스템
US6932325B1 (en) Active-over-passive coordinated motion winch
US202000709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Motions of a Floating Vessel
US7793374B1 (en) Adjustable height bridging ramp system
US20190292023A1 (en) Transportable inline heave compensator
US20130074759A1 (en) Telescopic submarine
US9340262B1 (en) Inflatable launch and recovery system
EP3601141B1 (en) A lifting device
KR101245573B1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US1025954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objects in aquatic environments; platforms for aquatic launch and recovery
US3499629A (en) Constant tension chain jack assembly
US5163379A (en) Deployment of mines and other objects at sea
CN102083685B (zh) 潜艇救援系统
US93819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objects in aquatic environments; platforms for aquatic launch and retrieval
US6279501B1 (en) Umbilical constraint mechanism
Adamson Efficient heave motion compensation for cable-suspended systems
US3665884A (en) Submersible vehicle buoyancy control
WO2017141177A1 (en) Barge system
NO342595B1 (en) Rotary inline heave compensator
Rauch et al. Ship of opportunity launch and recovery system for REMUS 600 AUV's
US1102780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objects in aquatic environments; platforms for aquatic launch and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