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681B1 -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 Google Patents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681B1
KR102432681B1 KR1020210028771A KR20210028771A KR102432681B1 KR 102432681 B1 KR102432681 B1 KR 102432681B1 KR 1020210028771 A KR1020210028771 A KR 1020210028771A KR 20210028771 A KR20210028771 A KR 20210028771A KR 102432681 B1 KR102432681 B1 KR 10243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obot
planar
working area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훈
지대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02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with position, velocity or acceleration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4Tracking a line or surface by means of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에서 제n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부터 제n-1차 평면아암을, 제1차 평면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와 마지막 평면조인트를 이루는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평면 피아암과 상기 제n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고, 로봇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영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workspace of robot using Jacobian matrix and determinant}
본 발명은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로봇의 제어를 위하여, 관절공간(또는 관절영역, Joint space)과 작업공간(또는 작업영역, Work space or Task space) 간의 변환이 필요하다.
작업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협동로봇을 활용할 때, 협동로봇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영역인 안전영역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로봇의 안전영역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구학을 통해 로봇의 작업영역을 특정하여 그래픽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로봇의 특이점값을 활용하여 작업영역을 공간상에서 특정하여 그래픽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기존의 방법으로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전무하기 때문에,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An improved monte carlo method based on gaussian growth to calculate the workspace of robots, A. Peidro, O. Reinoso, A. Gil, J. M. Marin, and L. Paya,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용이하게 계산하는 방법,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이러한 계산 방법 또는 제어 방법이 적용된 로봇 및/또는 로봇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자코비안(Jacobian matrix and determinant)을 활용하여,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 로봇의 제어방법, 로봇, 및/또는 로봇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에서 제n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상기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부터 제n-1차 평면아암을, 제1차 평면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와 마지막 평면조인트를 이루는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평면 피아암과 상기 제n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는,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 제2차 평면아암 및 제3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제2차 평면아암과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이 연결되는 평면조인트를 평면 피포인트로 정하는 단계; 상기 제1차 평면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와 상기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을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피아암과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1, θ1이고, 상기 제2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2, θ2이고,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3, θ3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최소길이가 Lp,min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최대길이가 Lp,max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회전각도가 θp일 때,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At)을 구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 1] 내지 [수식 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1
[수식 2]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2
[수식 3]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3
[수식 4]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4
[수식 5]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5
여기서, Ap는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 Ap,min은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 Ap,max는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 s1은 sinθ1, c1은 cosθ1, sp는 sinθp, cp는 cosθp, s12는 sin(θ1 + θ2), c12는 cos(θ1 + θ2), sp3는 sin(θp + θ3), cp3는 cos(θp + θ3)를 각각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공간아암에서 제m차 공간아암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상기 m은 3보다 큰 자연수이다.
상기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공간아암부터 제m-1차 공간아암을, 제1차 공간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공간조인트와 마지막 공간조인트를 이루는 공간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공간 피아암과 상기 제m차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는,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주제의 한 측면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 방향의 제1 회전축을 이루는 기초공간아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초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차 공간아암, 상기 제2 회전축과 평행한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차 공간아암, 상기 제3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차 공간아암, 상기 제4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5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4차 공간아암을 포함하는, 공간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상기 제5 회전축을 이루는 공간조인트를 공간 피포인트로 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교차하는 지점인 원점과 상기 공간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을 가정하는 단계; 상기 공간 피아암과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차 공간아암의 길이가 L1, 상기 제2차 공간아암 및 상기 제3차 공간아암의 조합된 길이가 L2,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의 길이가 L3,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d1,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직교하게 연결하는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4 회전축의 이격거리가 d2, 상기 기초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1, 상기 제1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2, 상기 제2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3,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5, 상기 공간 피아암의 최소길이가 Lp,min, 상기 공간 피아암의 최대길이가 Lp,max, 상기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가 θp일 때,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Vt)을 구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 6] 내지 [수식 1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식 6]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6
[수식 7]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7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1(L1c2 - L2s23 + d2c23) - d1c1
J12 = -c1(L1s2 + L2c23 + d2s23)
J13 = -c1(L2c23 + d2s23)
J21 = c1(L1c2 - L2s23 + d2c23) - d1s1
J22 = -s1(L1s2 - L2c23 + d2s23)
J23 = -s1(L2c23 + d2s23)
J31 = 0
J32 = -L1c2 + L2s23 - d2c23
J33 = L2s23 - d2c23
[수식 8]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8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p1(L3cp25 + Lp,mincp2)
J12 = -cp1(L3sp25 + Lp,minsp2)
J13 = -L3cp1sp25
J21 = cp1(L3cp25 + Lp,mincp2)
J22 = -sp1(L3sp25 + Lp,minsp2)
J23 = -L3sp1sp25
J31 = 0
J32 = Lp,mincp2 + L3cp25
J33 = L3cp25
[수식 9]
Figure 112021025678847-pat00009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p1(L3cp25 + Lp,maxcp2)
J12 = -cp1(L3sp25 + Lp,maxsp2)
J13 = -L3cp1sp25
J21 = cp1(L3cp25 + Lp,maxcp2)
J22 = -sp1(L3sp25 + Lp,maxsp2)
J23 = -L3sp1sp25
J31 = 0
J32 = Lp,maxcp2 + L3cp25
J33 = L3cp25
[수식 10]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0
여기서, Vp는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 Vp,min은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 Vp,max는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 s1은 sinθ1, c1은 cosθ1, s2는 sinθ2, c2는 cosθ2, sp1은 sinθp1, cp1은 cosθp1, sp2는 sinθp2, cp2는 cosθp2, s23는 sin(θ2 + θ3), c23는 cos(θ2 + θ3), sp25는 sin(θp2 + θ5), cp25는 cos(θp2 + θ5)를 각각 의미하고, θp1은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 θp2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원점과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여 평면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피아암과 마지막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원점과 공간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여 공간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피아암과 마지막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고, 협동로봇의 작업영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협동로봇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관절공간과 작업공간 간의 공간매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자유도 평면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3 자유도 평면 로봇을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가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자유도 평면 로봇에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6 자유도 공간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6 자유도 공간 로봇의 간소화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6 자유도 공간 로봇을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2자유도 평면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로봇 및 로봇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작업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협동로봇을 활용할 때, 협동로봇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는 영역인 안전영역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봇이 도달 가능한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로봇의 관절의 미소변위에 따른 로봇 끝단의 움직임을, 로봇 기구학 해석으로부터 얻은 자코비안을 활용하여 공간매핑으로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도록 이루어진다.
작업자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작업 능률을 높이는 협동로봇의 경우 실시간으로 작업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본 발명을 통해 로봇의 계획된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안전영역을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협동로봇이 작업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속도를 낮게 설정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치적인 작업영역 계산을 통하여 로봇의 최적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관절공간과 작업공간 간의 공간매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서와 같이, 2 자유도 로봇의 각 관절 값을 u, v로 정의하고 각 관절의 미소변위를 Δu, Δv라 하면, 관절공간(Joint space)에서 미소작업영역(S)은 ΔuㆍΔv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의 (b)에서와 같이, 작업공간은 서로 직교하는 x축과 y축의 직교좌표계에서 정의될 수 있다.
관절공간에서 작업공간(Task space)으로 공간매핑할 때 활용되는 로봇 자코비안 행렬식은 평면상에서는 넓이, 공간상에서는 부피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작업공간에서 미소작업영역(A)는, 관절공간에서 미소작업영역(S)에 로봇 자코비안의 행렬식(Det(J))을 곱한 다음의 형태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1
로봇의 작업영역은, 평면상에서는 넓이, 공간상에서는 부피로 계산될 수 있다. 공간상에서 3 자유도 로봇의 각 관절 값을 u, v, w로 정의하면 3 자유도 로봇의 작업영역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2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관절공간과 작업공간 사이에서 일대일 공간매핑이 가능해야 하며, 예컨대, 2 자유도 로봇의 경우 xy 평면으로 공간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고, 3 자유도 로봇의 경우 xyz 공간으로 공간매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3 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100)이나 4 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200)의 경우 앞의 예시와 같은 일대일 공간매핑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봇의 관절구조를 일대일 공간매핑이 가능하도록 변형하여,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 자유도 평면 로봇(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3 자유도 평면 로봇(100)을 2자유도 평면 로봇(100) 형태로 가정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자유도 평면 로봇(100)에서, 평면 로봇(100)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110)에서 제n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100)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상기 n은, 3, 4, 5 또는 그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마지막 평면조인트를 평면 피포인트(104)로 정하는 단계((a) 단계, S101), 제1차 평면아암(11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101)와 평면 피포인트(104)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140)으로 가정하는 단계((b) 단계, S102), 및 평면 피아암(140)과 제n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100)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c) 단계, S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면 피아암(140)으로 가정하는 단계((b) 단계, S102)에서, 제1차 평면아암(110)부터 제n-1차 평면아암을, 제1차 평면아암(11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101)와 마지막 평면조인트(103)를 이루는 평면 피포인트(104)를 직선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원점'은, 로봇의 평면적 변위 또는 공간적 변위의 기준이 되는 점일 수 있고, 로봇의 움직임에 따라 원점의 평면적 이동 또는 공간적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c) 단계, S103)는,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평면 피포인트(104)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평면 피포인트(104)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이 3자유도 평면 로봇(100)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평면아암(110), 제2차 평면아암(120) 및 제3차 평면아암(130)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3자유도 평면 로봇(100)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일 수 있다.
3자유도 평면 로봇(100)에서는, 도 2의 (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차 평면아암(110)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1, θ1이고, 제2차 평면아암(120)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2, θ2이고, 제3차 평면아암(130)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3, θ3인 것으로 정한다.
제1차 평면아암(110)은 제1 평면조인트(10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제2차 평면아암(120)은 제2 평면조인트(10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제3차 평면아암(130)은 제3 평면조인트(103)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제1 평면조인트(101), 제2 평면조인트(102) 및 제3 평면조인트(103)은 서로 평행한 회전축이다.
상기 (a) 단계(S101)에서는, 제2차 평면아암(120)과 제3차 평면아암(130)이 서로 연결되는 제3 평면조인트(103)를 평면 피포인트(104)로 정한다.(도 2의 (a) 참조)
상기 (b) 단계(S102)에서는, 제1차 평면아암(11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101)와 평면 피포인트(104)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140)을 가정한다.(도 2의 (b) 참조) 이에 따라, 도 2의 (a)의 3자유도 평면 로봇(100)은, 도 2의 (b)와 같이 평면 피아암(140)과 제3차 평면아암(130)이 연결된 2자유도 평면 로봇(100) 형태로 가정된다.
상기 (c) 단계(S103)에서는, 평면 피아암(140)과 제3차 평면아암(130)이 2자유도 평면 로봇(100)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구한다.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 Lp는 L1, L2, θ1, θ2 를 갖는 2자유도 평면 로봇(100)의 작업영역 내에서 정의된다. 그리고 평면 피아암(140)의 길이 Lp는 메커니즘에 따라 최소값(Lp,min) 및 최대값(Lp,max)을 갖게된다.(Lp,min≤ Lp ≤ Lp,max)
평면 피아암(140)의 최소길이가 Lp,min이고, 평면 피아암(140)의 최대길이가 Lp,max이고, 평면 피아암(140)의 회전각도가 θp일 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At)을 구하는 단계((c) 단계, S103)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수식 1] 내지 [수식 5]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3 자유도 평면 로봇(100)의 전체 작업영역(At)은 2 자유도 평면 로봇(100)으로 가정된 도 2의 (b)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이는 다음의 [수식 1]과 같이, 평면 피포인트(104)(P-point)의 작업영역(Ap), Lp의 길이가 최소일 때 작업영역(Ap,min), Lp의 길이가 최대일 때 작업영역(Ap,max)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3
그리고, 각 작업영역을 산출할 때 활용되는 자코비안과 자코비안의 행렬식을 구하여 2 자유도 평면 로봇(100)과 동일하게 작업영역을 산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L1을 갖는 제1 링크(110') 및 길이 L2를 갖는 제2 링크(120')로 이루어지는 2자유도 평면 로봇의 자코비안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4
여기서, s1은 sinθ1, c1은 cosθ1, s12는 sin(θ1 + θ2), c12는 cos(θ1 + θ2)를 각각 의미한다.
평면 피포인트(104)(P-point)의 길이 Lp는 L1, L2, θ1, θ2 를 갖는 2자유도 평면 로봇(100)의 작업영역 내에서 정의되기 때문에, 평면 피포인트(104)의 작업영역(Ap)을 구하기 위한 자코비안 행렬(J(θ12)p)은 링크 길이 L1, L2를 갖는 2 자유도 평면 로봇(100)의 자코비안 행렬과 동일하고, 이에 따라, 평면 피포인트(104)의 자코비안 행렬(J(θ12)p)은 다음의 [수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2]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5
그리고, 평면 피포인트(104)의 길이가 최소일 때 작업영역(Ap,min)을 산출하는데 활용되는 자코비안 행렬(J(θp3)min)은, Lp,min 길이의 링크와 L3 길이의 링크(제3차 평면아암(130))를 갖는 2 자유도 평면 로봇의 자코비안 행렬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음의 [수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6
또한, 평면 피포인트(104)의 길이가 최대일 때 작업영역(Ap,max)을 산출하는데 활용되는 자코비안 행렬(J(θp3)max)은, Lp,max 길이의 링크와 L3 길이의 링크(제3차 평면아암(130))를 갖는 2 자유도 평면로봇의 자코비안 행렬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다음의 [수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식 4]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7
위 수식들에서 sp3는 sin(θp + θ3), cp3는 cos(θp + θ3)를 각각 의미한다.
따라서, 3자유도 평면 로봇(100)의 작업영역은 다음의 [수식 5]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5]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8
상기 Ap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1, θ2)를 0°≤θ2≤180°, 0°≤θ1≤360°으로 하고, 상기 Ap,min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p, θ3)를 0°≤θp≤360°, 90°≤θ3≤180°으로 하고, 상기 Ap,max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p, θ3)를 0°≤θp≤360°, 0°≤θ3≤90°으로 할 때, 설계 툴인 솔리드웍스에서 도해적으로 얻은 작업영역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통해 얻은 작업영역의 값은 37.699m2으로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6 자유도 공간 로봇(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6 자유도 공간 로봇(200)의 간소화 모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6 자유도 공간 로봇(200)을 3자유도 공간 로봇(200)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제1차 공간아암(220)에서 제m차 공간아암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 로봇(200)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m은 3보다 큰 자연수이다. 상기 m은, 4, 5, 6 또는 그 이상의 자연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마지막 공간조인트인 제2 공간조인트(202)를 공간 피포인트(203)로 정하는 단계((d) 단계, S201), 제1차 공간아암(22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공간조인트인 제1 공간조인트(201)와 공간 피포인트(203)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260)으로 가정하는 단계((e) 단계, S202), 및 공간 피아암(260)과 제m차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200)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f) 단계, S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피아암(260)으로 가정하는 단계((e) 단계, S202)에서, 제1차 공간아암(220)부터 제m-1차 공간아암을, 제1차 공간아암(22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공간조인트(201)와 마지막 공간조인트인 제2 공간조인트(202)를 이루는 공간 피포인트(203)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260)으로 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f) 단계, S203)는,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공간 피포인트(203)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피포인트(203)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여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이 6자유도 공간 로봇(200)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은, 기초공간아암(210), 제1차 공간아암(220), 제2차 공간아암(230), 제3차 공간아암(240), 및 제4차 공간아암(250)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6자유도 공간 로봇(200)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6자유도 공간 로봇(200)은, 제1 방향(X1)의 제1 회전축(S1)을 이루는 기초공간아암(210), 상기 제1 방향(X1)과 직교하는 제2 방향(Y1)의 제2 회전축(S2)을 중심으로 상기 기초공간아암(2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차 공간아암(220), 상기 제2 회전축(S2)과 평행한 제3 회전축(S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차 공간아암(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차 공간아암(230), 상기 제3 회전축(S3)과 직교하는 제4 회전축(S4)을 중심으로 상기 제2차 공간아암(2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차 공간아암(240), 상기 제4 회전축(S4)과 직교하는 제5 회전축(S5)을 중심으로 상기 제3차 공간아암(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4차 공간아암(250)을 포함한다.
도면에 표시된 제3 방향(Z1)은, 제1 방향(X1) 및 제2 방향(Y1)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6자유도 공간 로봇(200)에서, 상기 제4차 공간아암(250)은 상기 제5 회전축(S5)과 직교하는 제6 회전축(S6)을 중심으로 상기 제3차 공간아암(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3차 공간아암(240)은 제2차 공간아암(230)을 상대로 동축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2차 공간아암(230)을 상대로 한 제3차 공간아암(240)의 회전은 작업영역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6 회전축(S6)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4차 공간아암(250)의 회전은 상기 제3차 공간아암(240)과 동축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제6 회전축(S6)을 중심으로 한 제4차 공간아암(250)의 회전은 작업영역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6자유도 공간 로봇(200)에서는, 기초공간아암(210)의 회전각도가 θ1이고, 제1차 공간아암(220)의 회전각도가 θ2이고, 제2차 공간아암(230)의 회전각도가 θ3이고, 제4차 공간아암(250)의 회전각도가 θ5이고, 제1차 공간아암(220)의 길이가 L1이고, 제2차 공간아암(230) 및 제3차 공간아암(240)의 조합된 길이가 L2이고, 제4차 공간아암(250)의 길이가 L3인 것으로 정한다.
상기 (d) 단계(S201)에서는, 제3차 공간아암(240)과 제4차 공간아암(250)이 서로 연결되는 제2 공간조인트(202)를 공간 피포인트(203)로 정한다.(도 5 참조)
상기 (e) 단계(S202)에서는, 제1차 공간아암(220)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공간조인트(201)와 공간 피포인트(203)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260)을 가정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도 5의 (a)의 6자유도 공간 로봇(200)은, 도 6과 같이 공간 피아암(260)과 제4차 공간아암(250)이 연결된 3자유도 공간 로봇(200) 형태로 가정된다.
상기 (f) 단계(S203)에서는, 공간 피아암(260)과 제4차 공간아암(250)이 3자유도 공간 로봇(200)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우선, 6자유도 공간 로봇(200)의 전체 작업영역(Vt)은 3 자유도 공간 로봇(200)으로 가정된 도 5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이는 다음의 [수식 6]과 같이, 공간 피포인트(203)(P-point)의 작업영역(Vp), Lp의 길이가 최소일 때 작업영역(Vp,min), Lp의 길이가 최대일 때 작업영역(Vp,max)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6]
Figure 112021025678847-pat00019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 로봇에서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최소길이를 Lp,min,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최대길이를 Lp,max, 상기 공간 피아암(260)의 회전각도를 θp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6자유도 공간 로봇에서, 제1 회전축(S1)을 중심으로 공간 피포인트(203)의 제2 방향(Y1)으로의 이격거리가 d1, 제2 회전축(S2)과 제3 회전축(S3)을 직교하게 연결하는 기준선(RL)으로부터 제4 회전축(S4)의 이격거리가 d2이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d1 및/또는 d2는 0(zero) 보다 큰 값일 수 있고, 또는 0일 수 있다.
이러한 6자유도 공간로봇의 공간 피포인트(203)(P-point)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각 공간조인트의 각도는 θ1, θ2, θ3이기 때문에 공간 피포인트(203)의 자코비안 행렬(J(θ123)p)은 다음의 [수식 7]과 같다.
[수식 7]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0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의 [수식 7-1] 내지 [수식 7-9]와 같다.
[수식 7-1] J11 = -s1(L1c2 - L2s23 + d2c23) - d1c1
[수식 7-2] J12 = -c1(L1s2 + L2c23 + d2s23)
[수식 7-3] J13 = -c1(L2c23 + d2s23)
[수식 7-4] J21 = c1(L1c2 - L2s23 + d2c23) - d1s1
[수식 7-5] J22 = -s1(L1s2 - L2c23 + d2s23)
[수식 7-6] J23 = -s1(L2c23 + d2s23)
[수식 7-7] J31 = 0
[수식 7-8] J32 = -L1c2 + L2s23 - d2c23
[수식 7-9] J33 = L2s23 - d2c23
그리고, Lp의 길이가 최소일 때 작업영역(Vp,min)을 구하기 위한 로봇의 자코비안 행렬(J(θp1p25)min)은 그림 5와 같이 Lp, L3 을 갖는 3 자유도 공간 로봇(200)을 통해 다음의 [수식 8]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8]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1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의 [수식 8-1] 내지 [수식 8-9]와 같다.
[수식 8-1] J11 = -sp1(L3cp25 + Lp,mincp2)
[수식 8-2] J12 = -cp1(L3sp25 + Lp,minsp2)
[수식 8-3] J13 = -L3cp1sp25
[수식 8-4] J21 = cp1(L3cp25 + Lp,mincp2)
[수식 8-5] J22 = -sp1(L3sp25 + Lp,minsp2)
[수식 8-6] J23 = -L3sp1sp25
[수식 8-7] J31 = 0
[수식 8-8] J32 = Lp,mincp2 + L3cp25
[수식 8-9] J33 = L3cp25
또한, Lp의 길이가 최대일 때 작업영역(Vp,max)을 구하기 위한 로봇의 자코비안 행렬(J(θp1p25)max)은 그림 5와 같이 Lp, L3 을 갖는 3 자유도 공간 로봇(200)을 통해 다음의 [수식 9]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9]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2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의 [수식 9-1] 내지 [수식 9-9]와 같다.
[수식 9-1] J11 = -sp1(L3cp25 + Lp,maxcp2)
[수식 9-2] J12 = -cp1(L3sp25 + Lp,maxsp2)
[수식 9-3] J13 = -L3cp1sp25
[수식 9-4] J21 = cp1(L3cp25 + Lp,maxcp2)
[수식 9-5] J22 = -sp1(L3sp25 + Lp,maxsp2)
[수식 9-6] J23 = -L3sp1sp25
[수식 9-7] J31 = 0
[수식 9-8] J32 = Lp,maxcp2 + L3cp25
[수식 9-9] J33 = L3cp25
위 수식들에서 s1은 sinθ1, c1은 cosθ1, s2는 sinθ2, c2는 cosθ2, sp1은 sinθp1, cp1은 cosθp1, sp2는 sinθp2, cp2는 cosθp2, s23는 sin(θ2 + θ3), c23는 cos(θ2 + θ3), sp25는 sin(θp2 + θ5), cp25는 cos(θp2 + θ5)를 각각 의미하고, θp1은 제1 회전축(S1)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260)의 회전각도, θp2는 제2 회전축(S2)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260)의 회전각도이다.
따라서, 상기 6자유도 공간 로봇(200)의 작업영역은 다음의 [수식 10]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수식 10]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3
상기 Vp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12)를 0°≤θ1≤320°, -90°≤θ2≤90°, -90°≤θ3≤90°으로 하고, 상기 Vp,min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p1p25)를 0°≤θp1≤320°, -90°≤θp2≤90°,-90°≤θ5≤0°으로 하고, 상기 Vp,max를 계산하기 위한 로봇의 관절범위(θp1, θp2, θ5)를 0°≤θp1≤320°, -90°≤θp2≤90°, 0°≤θ5≤90°으로 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한 작업영역이 0.3390m2이고, 설계 툴인 솔리드웍스에서 도해적으로 얻은 작업영역의 값이 0.3387m2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정교하게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로봇(100, 200) 및 로봇 제어 시스템(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자유도 이상의 평면 로봇(100)이나 4자유도 이상의 공간 로봇(200)에서 로봇의 작업영역을 수치적으로 용이하게 계산하는 방법은 각 로봇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봇의 제어방법은, 상술한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의 제어방법은, 계산된 로봇의 작업영역에 따라 로봇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및 로봇의 제어방법의 실행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10)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출력부(320), 통신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10)는 컴퓨터 시스템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및 로봇의 제어방법은 제어부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출력부(320)는 음향, 영상 등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영역의 계산 결과 및 로봇의 각종 정보가 출력부(320)를 통하여 표시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외부의 정보가 로봇으로 제공되거나 로봇으로부터의 정보가 외부로 송출될 수 있다.
로봇 제어 시스템(300)은 상기 제어부(310), 출력부(320), 통신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로봇 제어 시스템(300)은 로봇(100, 200)과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로봇(100, 20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평면 로봇 101: 제1 평면조인트
102: 제2 평면조인트 103: 제3 평면조인트
104: 평면 피포인트 110: 제1차 평면아암
120: 제2차 평면아암 130: 제3차 평면아암
140: 평면 피아암
200: 공간 로봇 201: 제1 공간조인트
202: 제2 공간조인트 203: 공간 피포인트
210: 기초공간아암 220: 제1차 공간아암
230: 제2차 공간아암 240: 제3차 공간아암
250: 제4차 공간아암 260: 공간 피아암
RL: 기준선

Claims (12)

  1. 제1차 평면아암에서 제n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상기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고,
    제1차 평면아암부터 제n-1차 평면아암을, 제1차 평면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와 마지막 평면조인트를 이루는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피아암과 상기 제n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는,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5. 제1차 평면아암, 제2차 평면아암 및 제3차 평면아암이 순차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평면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상기 제2차 평면아암과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이 연결되는 평면조인트를 평면 피포인트로 정하는 단계;
    상기 제1차 평면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제1 평면조인트와 상기 평면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평면 피아암을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피아암과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이 2자유도 평면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1, θ1이고, 상기 제2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2, θ2이고, 상기 제3차 평면아암의 길이 및 회전각도가 각각 L3, θ3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최소길이가 Lp,min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최대길이가 Lp,max이고, 상기 평면 피아암의 회전각도가 θp일 때,
    상기 가정된 평면 로봇의 작업영역(At)을 구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 1] 내지 [수식 5]에 의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수식 1]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4

    [수식 2]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5

    [수식 3]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6

    [수식 4]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7

    [수식 5]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8

    여기서, Ap는 상기 평면 피포인트의 작업영역, Ap,min은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 Ap,max는 상기 평면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 s1은 sinθ1, c1은 cosθ1, sp는 sinθp, cp는 cosθp, s12는 sin(θ1 + θ2), c12는 cos(θ1 + θ2), sp3는 sin(θp + θ3), cp3는 cos(θp + θ3)를 각각 의미함.
  7. 제1차 공간아암에서 제m차 공간아암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공간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이고,
    상기 m은 3보다 큰 자연수이고,
    제1차 공간아암부터 제m-1차 공간아암을, 제1차 공간아암의 회전축으로서 원점을 이루는 공간조인트와 마지막 공간조인트를 이루는 공간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으로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피아암과 상기 제m차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구하는 단계는,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은,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과,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은 각각, 자코비안 행렬을 이용하여 구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11. 제1 방향의 제1 회전축을 이루는 기초공간아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초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차 공간아암, 상기 제2 회전축과 평행한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차 공간아암, 상기 제3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4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3차 공간아암, 상기 제4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5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차 공간아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4차 공간아암을 포함하는, 공간 로봇이 도달가능한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5 회전축을 이루는 공간조인트를 공간 피포인트로 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교차하는 지점인 원점과 상기 공간 피포인트를 직선연결하는 공간 피아암을 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간 피아암과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이 3자유도 공간 로봇 형태로 연결되게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을 자코비안 행렬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공간아암의 길이가 L1, 상기 제2차 공간아암 및 상기 제3차 공간아암의 조합된 길이가 L2,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의 길이가 L3,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격거리가 d1, 상기 제2 회전축과 상기 제3 회전축을 직교하게 연결하는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4 회전축의 이격거리가 d2, 상기 기초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1, 상기 제1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2, 상기 제2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3, 상기 제4차 공간아암의 회전각도가 θ5, 상기 공간 피아암의 최소길이가 Lp,min, 상기 공간 피아암의 최대길이가 Lp,max, 상기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가 θp일 때,
    상기 가정된 공간 로봇의 작업영역(Vt)을 구하는 단계는, 다음의 [수식 6] 내지 [수식 10]에 의하는,
    로봇의 작업영역을 계산하는 방법.
    [수식 6]
    Figure 112021025678847-pat00029

    [수식 7]
    Figure 112021025678847-pat00030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1(L1c2 - L2s23 + d2c23) - d1c1
    J12 = -c1(L1s2 + L2c23 + d2s23)
    J13 = -c1(L2c23 + d2s23)
    J21 = c1(L1c2 - L2s23 + d2c23) - d1s1
    J22 = -s1(L1s2 - L2c23 + d2s23)
    J23 = -s1(L2c23 + d2s23)
    J31 = 0
    J32 = -L1c2 + L2s23 - d2c23
    J33 = L2s23 - d2c23
    [수식 8]
    Figure 112021025678847-pat00031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p1(L3cp25 + Lp,mincp2)
    J12 = -cp1(L3sp25 + Lp,minsp2)
    J13 = -L3cp1sp25
    J21 = cp1(L3cp25 + Lp,mincp2)
    J22 = -sp1(L3sp25 + Lp,minsp2)
    J23 = -L3sp1sp25
    J31 = 0
    J32 = Lp,mincp2 + L3cp25
    J33 = L3cp25
    [수식 9]
    Figure 112021025678847-pat00032
    단, 행렬에서 각 성분은 다음과 같음.
    J11 = -sp1(L3cp25 + Lp,maxcp2)
    J12 = -cp1(L3sp25 + Lp,maxsp2)
    J13 = -L3cp1sp25
    J21 = cp1(L3cp25 + Lp,maxcp2)
    J22 = -sp1(L3sp25 + Lp,maxsp2)
    J23 = -L3sp1sp25
    J31 = 0
    J32 = Lp,maxcp2 + L3cp25
    J33 = L3cp25
    [수식 10]
    Figure 112021025678847-pat00033

    여기서, Vp는 상기 공간 피포인트의 작업영역, Vp,min은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소일때의 작업영역, Vp,max는 상기 공간 피아암의 길이가 최대일때의 작업영역, s1은 sinθ1, c1은 cosθ1, s2는 sinθ2, c2는 cosθ2, sp1은 sinθp1, cp1은 cosθp1, sp2는 sinθp2, cp2는 cosθp2, s23는 sin(θ2 + θ3), c23는 cos(θ2 + θ3), sp25는 sin(θp2 + θ5), cp25는 cos(θp2 + θ5)를 각각 의미하고, θp1은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 θp2는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공간 피아암의 회전각도임.


KR1020210028771A 2021-03-04 2021-03-04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KR10243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71A KR102432681B1 (ko) 2021-03-04 2021-03-04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771A KR102432681B1 (ko) 2021-03-04 2021-03-04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681B1 true KR102432681B1 (ko) 2022-08-16

Family

ID=83063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771A KR102432681B1 (ko) 2021-03-04 2021-03-04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6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228A (ko) * 1996-12-19 1998-09-15 이종수 옵셋 구조를 갖는 산업용 로봇의 제어방법
JP2002529266A (ja) * 1998-11-12 2002-09-10 アロイス ノウル メカニズムにおける作動体の姿勢精度を改善し作業空間において対象物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170016631A (ko) * 2015-08-04 2017-02-14 한국전기연구원 여자유도 로봇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228A (ko) * 1996-12-19 1998-09-15 이종수 옵셋 구조를 갖는 산업용 로봇의 제어방법
JP2002529266A (ja) * 1998-11-12 2002-09-10 アロイス ノウル メカニズムにおける作動体の姿勢精度を改善し作業空間において対象物を測定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KR20170016631A (ko) * 2015-08-04 2017-02-14 한국전기연구원 여자유도 로봇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 improved monte carlo method based on gaussian growth to calculate the workspace of robots, A. Peidro, O. Reinoso, A. Gil, J. M. Marin, and L. Paya,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2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n et al. Kinematic analysis and dimensional synthesis of exechon parallel kinematic machine for large volume machining
Tsai et al. Kinematics and optimization of a spatial 3-UPU parallel manipulator
Liu et al. Optimum design of 3-DOF spherical parallel manipulators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ing and stiffness indices
Gao et al. Type synthesis of parallel mechanisms having the second class GF sets and two dimensional rotations
Li et al. A novel three-loop parallel robot with full mobility: kinematics, singularity, workspace, and dexterity analysis
Sun et al. Optimal design of a parallel mechanism with three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Yu et al. Mobility and singularity analysis of a class of two degrees of freedom rotational parallel mechanisms using a visual graphic approach
Goyal et al. An analytical method to find workspace of a robotic manipulator
Xu et al. Mobility, kinematic analysis, and dimensional optimization of new three-degrees-of-freedom parallel manipulator with actuation redundancy
Manocha et al. Variable position mapping based assistance in teleoperation for nuclear cleanup
Wang et al. Kinematic/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 2-URR-RRU parallel manipulator
Shao et al. Dynamic modeling of a two-DoF rotational parallel robot with changeable rotational axes
Haouas et al. A new seven degrees-of-freedom parallel robot with a foldable platform
CN109977434A (zh) 一种卡箍约束下机器人线缆建模方法
Frisoli et al. Kinematic design of a two contact points haptic interface for the thumb and index fingers of the hand
Nguyen et al. Kinematic analysis and workspace determination of a 6 DOF CKCM robot end-effector
Lu et al. Kinetostatic analysis of a novel 6-DoF 3UPS parallel manipulator with multi-fingers
Jin et al. Synthesis of 3-[P][S] parallel mechanism-inspired multimode dexterous hands with parallel finger structure
Chen et al. Evaluation of force/torque transmission quality for parallel manipulators
Tong et al. Dynamic decoupling analysis and experiment based on a class of modified Gough-Stewart parallel manipulators with line orthogonality
KR102432681B1 (ko) 자코비안을 활용한 로봇의 작업영역 계산 방법
Xi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ripod units for machine tools
Lee et al. On the kinematics of a new parallel mechanism with Schoenflies motion
Wang et al. Optimal design of a 2-UPR-RPU parallel manipulator
Lu Using CAD variation geometry for solving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parallel manipulators with 3-, 4-, 5-linearly driving li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