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43B1 -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43B1
KR102432543B1 KR1020210160491A KR20210160491A KR102432543B1 KR 102432543 B1 KR102432543 B1 KR 102432543B1 KR 1020210160491 A KR1020210160491 A KR 1020210160491A KR 20210160491 A KR20210160491 A KR 20210160491A KR 102432543 B1 KR102432543 B1 KR 10243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andwich panel
injection nozzles
eco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
왕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신에스이
주식회사 삼정씨앤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신에스이, 주식회사 삼정씨앤드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신에스이
Priority to KR102021016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기술은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 샌드위치 판넬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와 판재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심재와 판재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보다 친환경적이고 저공해 처리 방식이며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Low-pollution and eco-friendly industrial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기물의 재활용 및 회수를 위한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 판넬은 건축 구조체로 많이 사용된다. 높은 강도와 경량의 구조로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하고, 저렴한 비용, 내식성, 내후성, 가공성, 냉난방 효율성 등이 뛰어나 지붕용, 내벽용(칸막이용), 외벽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통상적으로 샌드위치 판넬은 아연도금된 컬러강판 사이에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글라스울, PU/PIR(경질폴리우레탄) 등의 심재(단열재)를 부착 또는 충진시켜서 제작된다. 심재로 어떤 소재를 채워넣느냐에 따라 EPS(Expanded Poly Styren, 발포스티렌)판넬, 우레탄판넬, 글라스울판넬 등으로 나뉜다. 흔히 스티로폼이라 불리는 EPS를 심재로 쓰는 EPS판넬이 우수한 단열성 및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가장 널리 이용되고, 높은 단열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레탄판넬이, 높은 화재안전 성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유리와 같은 무기물을 심재로 한 글라스울판넬이 이용된다.
최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폐 샌드위치 판넬도 적극 재활용되어야 하는 자원 중 하나로 분류된다. 분리 및 회수된 컬러강판은 우수한 고철 자원이 되고, 발포 폴리스트렌이나 글라스울은 아스팔트, 경량 콘트리트 등의 원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없어서 그 재활용을 위해 사람이 일일이 심재와 컬러강판을 서로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7637호(발명명칭: 폐샌드위치 판넬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 및 폐기물 회수 장치 및 방법)는 샌드위치 판넬을 압축하여 상기 폐샌드위치 판넬의 내부 충전재를 파쇄하는 압축파쇄부; 상기 압축파쇄부를 지나 내부 충전재가 파쇄된 상기 폐샌드위치 판넬을 분리하는 판넬 분리부; 상기 판넬 분리부를 통해 분리된 판넬의 내부 충전재 중 고체형 충전재를 제거하는 고체형 충전재 제거부; 상기 고체형 충전재 제거부를 통해 고체형 충전재가 제거된 판넬에 남아있는 유동형 충전재를 녹이기 위한 용해부; 상기 용해부를 통해 녹은 유동형 충전재를 제거하기 위한 유동형 충전재 제거부; 및 상기 고체형 충전재 제거부 및 유동형 충전재 제거부를 통해 제거된 충전재를 회수하는 충전재 회수부;를 포함하는 회수장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폐 샌드위치 판넬을 재활용 처리함에 있어서 자동화를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압축파쇄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많은 분진에 노출된다. 특히 심재로 난연성을 위해 석면(암면)이 적용된 경우에는 작업자의 호홉기로 발암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서 작업에 조심성이 요구된다. 심재로 글라스울이 적용된 경우에도 이는 발암물질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여전히 미세한 분진은 작업간 다루기가 쉽지 않다.
분진 제거를 위해 압축파쇄하는 과정에 습식 처리를 도입할 수도 있겠지만, 압축파쇄 설비뿐만 아니라 판넬 분리부, 고체형 충전재 제거부, 용해부, 유동형 충전재 제거부 등 많은 설비를 포함하는 상기 선행문헌과 같은 기술에서는 장치를 매우 복잡하게 하여 장치의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고 유지 보수가 매우 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친환경적이고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 샌드위치 판넬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와 판재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심재와 판재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의 소정의 위치로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은 상기 수용부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분사노즐들 및 상기 제1 분사노즐들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은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은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이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이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의 노즐팁들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의 판재와 심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의 노즐팁들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의 판재와 심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사노즐들과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들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회동하여 고압수 분사 방향을 하방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부들; 및 상기 벽체부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직립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외팔보 형상의 다수의 고정핀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 쌍은 일측 벽체부에 배치되는 제1 고정핀 및 타측 벽체부에 배치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핀이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이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이 직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 각각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판재에 밀착되는 접촉부; 및 상기 벽체부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도록 틸트 구조를 제공하는 틸트 조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핀의 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핀의 접촉부는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두께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벽체부들 사이에서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벽체부들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사용 후 고압수를 배출하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고압수를 1차로 모으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분술문이 제거된 고압수를 2차로 모으고, 상기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는 심재와 판재를 갖는 산업폐기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된 산업폐기물의 심재와 판재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심재와 판재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보다 친환경적이고 저공해 처리 방식이며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가 동작할 때의 상태를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에 대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수용 공간으로 폐 판넬이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수용 공간 내에 폐 판넬이 거치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수용 공간 내에서 고압수가 작용하여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가 분리가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수용 공간 내에서 고압수가 작용하여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가 분리가 종료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고압수 순환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가 적용된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정위치 조준을 통해 박리가 시작되기 직전의 상황을 도시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가 적용된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압수 분사가 지속됨에 따라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간 분리가 완료되기 직전의 상황을 도시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가 동작할 때의 상태를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에 대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1)(이하, 간단히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또는 '처리 장치'라고도 함)는 수용부(10) 및 분사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1)는 폐 샌드위치 판넬(WSP)과 같은 산업폐기물을 소정의 공간(S)에 가둬놓고 고압수(W)를 분사하여 재활용을 위해 분리 및 회수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산업폐기물이 폐 샌드위치 판넬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심재와 판재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종류의 산업폐기물에 본 발명의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은 수용부(10)에 의해 제공되고, 고압수는 분사부(20)에 의해 제공된다.
수용부(10)는 폐 샌드위치 판넬(WSP)(이하, 간단히 '폐 판넬' 또는 '판넬'이라고도 함)을 수용한다.
폐 샌드위치 판넬(WSP)은 양 면이 컬러강판과 같은 판재(CC)로 이루어지고, 양 면 사이에 심재(BM)가 채워지는 구조를 갖는다. 심재는 발포 폴리스티렌, 글라스울, 우레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이에 수용부(10)는 대체로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크기의 산업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폐 샌드위치 판넬이 길이 1.5 m, 두께 0.1 m, 폭 1 m이라면, 수용부는 제1 방향(D1)으로의 길이가 2 m, 제2 방향(D2)으로의 길이가 0.5m, 제3 방향(D3)으로의 길이가 1.5 m인 스케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제시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단위 크기의 판넬들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 된다.
또한 수용부는 대체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폐 판넬이 처리 장치 내에서 심재와 판재로 분리됨에 있어서 견고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는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를 활용한 습식 처리 방식인 바, 내부식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수용부(10)는 벽체부들(11, 12), 다수의 고정핀 쌍(13)들, 지지부(14) 및 개구부들(15, 16)을 포함한다.
벽체부들(11, 12)은 제2 방향(D2)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폐 샌드위치 판넬의 수용 공간(S)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벽체부들(11, 12)과 이어져 닫힌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방향(D1)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벽부들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도면부호 11, 12로 참조되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수용부의 상부는 오픈되어 후술하는 분사부가 상부에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분사부가 상부에서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다면, 반드시 수용부의 상부가 오픈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고정핀 쌍(13)들은 벽체부들(11, 12) 내부에 배치되며,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WSP)의 직립을 위한 외력을 가한다. 즉, 폐 판넬을 양쪽에서 밀어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고정핀 쌍(13)은 외팔보 형상을 갖는다. 한 쪽이 벽체부에 고정된 고정단이고 다른 한 쪽이 자유단인 바 외팔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쪽은 상하 기울어짐, 즉, 틸트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엄밀하게는 사전적 의미의 외팔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고정핀 쌍들이 총 9개가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이보다 적거나 많은 수의 고정핀 쌍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고정핀 쌍들은 폐 판넬이 수용 공간에 거치되었을 때에 그 양쪽을 가압하여 직립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폐 판넬이 고압수에 의해 판재와 심재로 분리될 때에도 그 양쪽을 가압하여 직립에 관여할 수 있다. 후술한다.
지지부(14)는 벽체부들(11, 12) 사이에서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WSP)의 자중을 지지한다. 또한 고압수가 폐 판넬에 작용할 때에 판넬의 자중에 더해지는 고압수의 압력 또한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14)는 수용부(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요소로서, 폐 판넬(WSP)이 수용 공간(S) 내에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나 그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벽체부들(11, 12)과 지지부(14) 사이에는 폐 판넬의 분리 및 회수를 위해 사용을 마친 고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개구부들(15, 16)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개구부들(15, 16)이 벽체부들(11, 12)과 지지부(14) 사이에 이격 공간으로 도시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 후 고압수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 구조라면 다른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계속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분사부(20)는 수용부(10)의 상부에서 수용 공간(S)에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WSP)의 심재(BM)와 판재(CC)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그들을 서로 분리시킨다.
상세하게 분사부(20)는 바디부(21) 및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22)들을 포함한다.
바디부(21)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하며 다수의 분사노즐(22)들이 수용부(10)의 상부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바디부(21)는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디부의 수용부의 상부로의 진입 및 수용부의 상부로부터 후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관여할 수 있다. 전 방향, 즉, 제1, 제2 및 제3 방향들(D1, D2, D3)으로 움직일 수 있는 로봇암이 관여하는 것을 생각하여도 좋다.
이러한 바디부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폐 판넬이 수용부의 상부 오픈된 공간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됨을 전제로 한다. 폐 판넬이 수용 공간으로 진입할 때에는 바디부가 수용부의 상부를 벗어난, 오프셋 된 위치에 있다가 폐 판넬이 진입을 완료한 때에 비로소 바디부가 수용부의 상부로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바디부의 동작은 분사노즐들이 폐 판넬에 대한 분리 가능한 위치를 정확히 조준하여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일조한다.
분사노즐(22)은 노즐팁(221)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한다.
도면에서는 4개씩 두 줄로 구성된, 총 8개의 분사노즐들이 도시되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전체 스케일을 고려할 때 적정 개수의 분사노즐들이 배치되는 것은 보다 원활한 판재와 심재의 분리를 보장한다.
폐 판넬(WSP)의 심재(BM)와 그 양 쪽의 판재(CC)의 분리를 위해, 분사노즐들이 정위치에 위치하는 것은 중요하다.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 저면이 도시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 방향(D1)으로 나열된 4개의 분사노즐들을 제1 분사노즐(22a)들로 참조한다. 그 옆에서 제1 방향(D1)으로 나열된 4개의 분사노즐들을 제2 분사노즐(22b)들로 참조한다.
그러면, 제1 분사노즐들은 폐 판넬의 일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하고, 제2 분사노즐들은 폐 판넬의 타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사노즐(22a)들은 폐 판넬(WSP)의 일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a)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하고, 제2 분사노즐(22b)들은 폐 판넬(WSP)의 타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b)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최초에만 이와 같이 위치하고 양 쪽 판재들이 벌어짐에 따라 제1 및 제2 분사노즐들은 점점 더 멀어짐으로써 양 쪽 판재들의 박리 과정을 보다 쉽게 유도할 수도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사노즐(22a)들과 제2 분사노즐(22b)들은 제2 방향(D2)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분사노즐들과 제2 분사노즐들이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관여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술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바디부(21) 는 제1 분사노즐(22a)들이 배치되는 제1 바디부(211) 및 제2 분사노즐(22b)들이 배치되는 제2 바디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바디부(211)와 제2 바디부(212)는 그들간 서로 거리(d2, 도 3)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분사노즐들과 제2 분사노즐들은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간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관여할 수 있다.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제2 방향(D2)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리니어 모터가 적용된 것을 생각하면 된다.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범위가 도면에서 소정의 공간(213)으로 표시된다. 소정의 공간은 그러한 리니어 모터가 적용된 공간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바디부(211)와 제2 바디부(212)가 하나의 바디부(21)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본 발명이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된 요소여도 무방하다. 즉,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오프셋 된 위치에 있다가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수용부의 상부로 위치할 수 있고, 수용부의 상부로 위치한 이후 그들간 거리 조절을 통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폐 판넬의 길이에 대응하여, 분사노즐들간 제1 방향(D1)으로의 거리(d1, 도 3)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바디부(211)는 제1 분사노즐(22a)들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12)는 제2 분사노즐(22b)들이 제1 방향(D1)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 각각에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리니어 모터가 적용된 것을 생각하면 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4a는 폐 판넬(WSP)이 수용 공간(S)으로 진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 4b는 폐 판넬이 수용 공간 내에 거치가 완료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그리고 도 4c는 고압수가 작용하여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가 분리가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 4d는 그러한 분리가 종료될 때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 쌍(13)은 일측 벽체부(11)에 배치되는 제1 고정핀(13a) 및 타측 벽체부(12)에 배치되는 제2 고정핀(13b)을 포함한다.
제1 고정핀(13a)이 수용 공간(S)에 수용될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을 가압하고, 제2 고정핀(13b)이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을 가압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그들 아래에 배치되는 제3 고정핀(13c) 및 제5 고정핀(13e)이 판넬의 일측을 가압하고, 제4 고정핀(13d) 및 제6 고정핀(13f)이 판넬의 타측을 가압한다. 이로써, 수용 공간(S) 내에서 폐 샌드위치 판넬이 직립될 수 있다.
고정핀들(13a 내지 13e) 각각은 접촉부(131), 틸트 조립체부(132) 및 아암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핀(13a)은 접촉부(131a), 틸트 조립체부(132a) 및 아암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고정핀들(13b 내지 13e)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참조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고정핀들은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대표적으로 제1 고정핀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접촉부(131)는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폐 샌드위치 판넬의 판재에 밀착된다. 일례로 접촉부는 롤러일 수 있다. 롤러의 회전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이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틸트 조립체부(132)는 벽체부(11)의 내면에 부착되며, 접촉부(131)가 수용 공간(S)으로 진입하는 폐 샌드위치 판넬(WSP)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도록 틸트 구조를 제공한다.
아암부(133)는 접촉부(131)와 틸트 조립체부(132) 사이에서 연장하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암부를 별도의 구성요소로 참조하나 틸트 조립체와 하나여도 무방하다.
기본적으로 고정핀들(13a 내지 13e)은 외팔보 형상을 유지한다. 대체로 벽체부들(11, 12)에 대해 직각을 유지한다. 외력이 가해지기 전까지는 직각을 유지한다.
고정핀들은 외력이 가해져 도면상 상하로(즉, D3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기본 상태(즉, 직각 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된다.
여기에 탄성 부재(미도시)가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트 조립체부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아암부가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원복하려는 탄성에 의해 적절한 외력을 판넬에 대해 인가할 수 있다. 이는 판넬이 수용 공간 내에서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근원이 된다.
총 9개의 고정핀들이 판넬의 좌우에서 직립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것이다.
고정핀 쌍(13)의 제1 고정핀의 접촉부(131a)와 제2 고정핀의 접촉부(131b)는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 배치되며, 이러한 소정의 거리는 폐 샌드위치 판넬의 두께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절한 외력으로 제1 고정핀의 접촉부(131a)와 제2 고정핀의 접촉부(131b) 사이로 진입한 폐 판넬을 압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폐 판넬(WSP)이 수용 공간(S) 내로 진입하여 지지부(14)에 거치가 완료된다. 진입간 좌우의 고정핀들이 작용하여 판넬을 직립하도록 한다.
이어서 오프셋 위치에 있던 바디부(21)가 수용부의 상부로 위치한다. 바디부는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용부의 상부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고압수가 정위치에 작용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들(22)이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노즐(22a)들은 폐 판넬(WSP)의 일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a)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하고, 제2 분사노즐(22b)들은 폐 판넬(WSP)의 타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b)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한다.
제1 분사노즐들의 조준선(A1)이 폐 판넬의 일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위치한다. 제2 분사노즐들의 조준선(A2)이 폐 판넬의 일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위치가 정위치이다. 심재로부터 양 쪽 판재들이 잘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그들간 서로 거리(d2, 도3)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노즐과 제2 분사노즐간 거리(SP, 도 4b)도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다양한 판넬의 두께에 대해 정위치 조준을 가능하게 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압수(W)가 분사됨에 따라 폐 판넬의 심재(BM)로부터 양 쪽의 판재(CC)들이 분리된다.
이때 고압수 분사에 의해 양 쪽의 판재(CC)들이 벌어질 때에도 고정핀들(13a, 13b)이 판재(CC)들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로 더욱 기울어져 여전히 폐 판넬은 수용 공간 내에서 직립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분사노즐들의 정위치 조준과 함께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간 분리 도중에도 직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들의 역할은 중요하다.
도 4d를 참조하면,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압수(W) 분사가 지속됨에 따라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간 분리가 완료되게 된다.
그러한 분리간 상부에 고정핀 쌍(13a, 13b), 중간에 고정핀 쌍(13c, 13d), 그리고 하부에 고정핀 쌍(13e, 13f)이 상호보완적으로 판재들(CC)의 움직임에 따라 아래로 더욱 기울이짐으로써 폐 판넬의 직립은 그러한 분리가 완료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분리가 완료된 폐 판넬은 수용부로부터 빼내어 회수된다. 크레인을 조작하는 작업자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수용부와 지지부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이라면 수용부로부터 지지부가 빠져나오면서 그 위에 놓여 있던 폐 판넬이 함께 빠져나와서 회수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또는 수용부가 상부로 들어올려지면서 지지부 위에 놓여 있던 폐 판넬이 회수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고압수 순환 모델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1)는 수조(30) 및 순환탱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30)는 수용부 하부의 개구부(15, 16)를 통과한 고압수를 1차로 모은다.
이를 위해 수조는 수용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순환탱크(40)는 수조(30) 내에 구비된 필터(31)를 통해 분술문이 제거된 고압수를 2차로 모으고, 분사부(20)로 공급되도록 순환시킨다.
이를 위해 순환탱크(40)는 수조(30)와 제1 파이프(P1)를 통해 연결되고, 분사부(20)와(더욱 상세하게는 분사부의 바디부(21)와) 제2 파이프(P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폐 판넬의 심재와 판재간 분리를 위해 사용된 고압수는 이물질을 다량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잘게 부서진 심재 조각들, 심재와 판재간 접합에 사용된 접착제 조각들이 그러하다. 이러한 이물질들은 대체로 수조 내에서 부유물질로 존재하는 바 주기적으로 걷어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침전된 이물질들도 주기적으로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물질이 없는 순환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가 적용된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한다.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20)는 제1 바디부(211)와 제2 바디부(212)가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된 요소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제1 및 제2 바디부들이 하나의 바디부에 일체로 구비된 것과 대비된다. 다만 이때에도 제1 및 제2 바디부들(211, 212)이 순환수를 원활히 공급받기 위해 공통으로 연결된 바디부(21)를 가짐은 동일하다.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20)는 리드부들(23a, 23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바디부들(211, 212)은 바디부(21)로부터 리드부(23a, 23b)를 통해 연장된다.
제1 리드부(23a) 및 제2 리드부(23b)는 각각 그 내부에 고압수를 제1 분사노즐(22a)들 및 제2 분사노즐(22b)들로 공급하기 위한 배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부(23a) 및 제2 리드부(23b)는 그들간 서로 거리(d2)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사노즐과 제2 분사노즐간 거리(SP1)도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다양한 판넬의 두께에 대해 정위치 조준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간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미도시)가 관여할 수 있다.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를 제2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회전 모터가 적용된 것을 생각하면 된다. 회전 모터를 통해 마치 상부의 바디부를 중심으로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진자 운동을 하는 것과 같다.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간 거리 조절을 위해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회전 운동하는 방향이 도면에서 R1, R2로 표시된다. R1, R2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위해 회전 모터가 리드부와 바디부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노즐(22a)들과 제2 분사노즐(22b)들은 제1 및 제2 바디부들(211, 212)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회전 모터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제1 바디부(211)와 제2 바디부(212)간 제2 방향(D2)으로의 거리가 조절될 때 같이 회동하여 고압수 분사 방향이 하방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바디부들간 거리가 회전 모터를 통해 벌어질 때 제1 분사노즐들과 제2 분사노즐들은 회동을 통해 안쪽으로 모아짐으로써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가 서로 멀어진 것을 보상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바디부들간 거리가 멀어질 때에도 고압수의 하방 분사를 가능하게 한다. 제1 및 제2 바디부들간 거리가 벌어진만큼만 제1 분사노즐들과 제2 분사노즐들이 회동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바디부들을 위한 회동 동작과 제1 분사노즐들의 회동 동작 및 제2 분사노즐들의 회동 동작은 서로 연동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연동을 위해 각각의 동작 범위를 결정하는 데이터가 미리 구동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노즐(22a)들과 제2 분사노즐(22b)들도 제1 및 제2 바디부들(211, 212)에 각각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 모터가 적용된 것을 생각하면 된다.
도 7a에서는 정위치 조준을 통해 박리가 시작되기 직전의 상황이 도시된다. 상술한 도 4b에 대응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사노즐(22a)들은 폐 판넬(WSP)의 일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a)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하고, 제2 분사노즐(22b)들은 폐 판넬(WSP)의 타측의 판재(CC)와 심재(BM) 사이에 그 노즐팁(221b)들이 배치되도록 위치한다. 이로써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압수가 분사됨에 따라 폐 판넬의 심재(BM)로부터 양 쪽의 판재(CC)들이 분리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분사노즐들로부터 고압수 분사가 지속됨에 따라 폐 판넬의 판재와 심재간 분리가 완료되기 직전의 상황이 도시된다. 상술한 도 4d에 대응한다.
한편 도 7b에서는 상술한 도 4d와 달리, 정위치 조준인 제1 분사노즐과 제2 분사노즐간의 간격(SP1)보다 원거리를 조준한다. 이때 제1 분사노즐과 제2 분사노즐간의 간격이 도면에서 SP2로 참조된다.
상술한 도 4d에서처럼 정위치 조준을 통해서도 박리를 진행할 수도 있지만, 박리가 어느 정도 진행된 이후부터는 심재와 판재 사이를 조준하는 것보다 벌어진 판재의 내면을 직접 조준함으로써 박리를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즉, 최초에는 정위치 조준을 통해 양 쪽 판재들을 심재로부터 이탈부터 시킨 후 그 뒤로는 벌어진 판재의 내면을 직접 조준해서 벌어진 판재를 심재로부터 뜯어내는 방식이다. 이로써 박리를 좀 더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간 거리 조절이 가능한 상술한 도 4d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는 폐 판넬을 소정의 공간에 가둬놓고 고압수를 분사하여 폐 판넬이 분리 및 회수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매거진 형상의 수용부와 고압 분사노즐들이 소정의 배열로 배치된 분사부를 포함한다. 분사부는 수용부의 상부에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정위치를 조준할 수 있도록 분사부의 분사노즐들은 바디부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수용 공간 내 폐 판넬의 직립을 위해 다수의 고정핀 쌍들이 관여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친환경적이고 저공해 처리 방식으로서 폐 샌드위치 판넬의 분리 및 회수를 위한 작업환경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처리 방식으로서 작업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분진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0 : 수용부
11, 12 : 벽체부들
13 : 고정핀 쌍
131 : 접촉부
132 : 틸트 조립체부
133 : 아암부
14 : 지지부
15, 16 : 개구부들
20 : 분사부
21 : 바디부
211 : 제1 바디부
212 : 제2 바디부
213 : 소정의 공간
22 : 분사노즐
221 : 노즐팁
30 : 수조
40 : 순환탱크
WSP : 폐 샌드위치 판넬
BM : 심재
CC : 판재

Claims (15)

  1. 폐 샌드위치 판넬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심재와 판재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심재와 판재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부들; 및
    상기 벽체부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직립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다수의 고정핀 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의 소정의 위치로 진입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은 상기 수용부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사노즐들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제1 분사노즐들 및 상기 제1 분사노즐들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제2 분사노즐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은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하고,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은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의 판재를 심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압수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이 배치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이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의 노즐팁들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의 판재와 심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의 노즐팁들이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의 판재와 심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노즐들과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들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간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회동하여 고압수 분사 방향을 하방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분사노즐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2 분사노즐들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쌍은 외팔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 쌍은 일측 벽체부에 배치되는 제1 고정핀 및 타측 벽체부에 배치되는 제2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핀이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제2 고정핀이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타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이 직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핀 각각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판재에 밀착되는 접촉부; 및
    상기 벽체부의 내면에 부착되며, 상기 접촉부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진입하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진입 방향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도록 틸트 구조를 제공하는 틸트 조립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핀의 접촉부와 상기 제2 고정핀의 접촉부는 서로 소정의 거리 이격 배치되며, 상기 소정의 거리는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두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벽체부들 사이에서 상기 폐 샌드위치 판넬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벽체부들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사용 후 고압수를 배출하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과한 고압수를 1차로 모으는 수조; 및
    상기 수조 내에 구비된 필터를 통해 분술문이 제거된 고압수를 2차로 모으고, 상기 분사부로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15. 심재와 판재를 갖는 산업폐기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용된 산업폐기물의 심재와 판재 사이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심재와 판재를 분리시키는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폐 샌드위치 판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부들; 및
    상기 벽체부들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된 폐 샌드위치 판넬의 직립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외팔보 형상의 다수의 고정핀 쌍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210160491A 2021-11-19 2021-11-19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KR102432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91A KR102432543B1 (ko) 2021-11-19 2021-11-19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491A KR102432543B1 (ko) 2021-11-19 2021-11-19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543B1 true KR102432543B1 (ko) 2022-08-17

Family

ID=8311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491A KR102432543B1 (ko) 2021-11-19 2021-11-19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9318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JP4145114B2 (ja) * 2001-10-09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剥離方法、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表示装置パネルの製造方法
JP4613372B2 (ja) * 1999-04-02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の分離方法と分離装置
CN111299302A (zh) * 2020-03-23 2020-06-19 朱倩 一种电池处理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372B2 (ja) * 1999-04-02 2011-01-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ラスパネルの分離方法と分離装置
JP4145114B2 (ja) * 2001-10-09 2008-09-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ィルム剥離方法、フィルム剥離装置および表示装置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5129318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解体方法および解体装置
CN111299302A (zh) * 2020-03-23 2020-06-19 朱倩 一种电池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543B1 (ko) 저공해 및 친환경 산업폐기물 처리 장치
CN105852731A (zh) 基于全电动系统对玻璃窗户的清洗方法
CN110385335B (zh) 一种建筑废弃物回收利用综合处理装置
CN214423940U (zh) 一种节点工具式操作平台
CN110328183A (zh) 用于建筑预制构件生产模具清洗的清洗系统
CN206583693U (zh) 压力测试机
CN2920447Y (zh) 自动升降摆动高压冲洗装置
KR200490754Y1 (ko) 지반 다짐용 장치
CN110624679A (zh) 一种便携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216239248U (zh) 一种叠合板增强型拼缝结构
CN211938387U (zh) 一种环保的建筑领域的废弃混凝土清洗设备
CN111013699A (zh) 一种建筑工程用建筑垃圾破碎装置
CN212535096U (zh) 一种用于建筑施工的砖块润湿装置
CN213013839U (zh) 一种市政工程用道路灌缝装置
JP4885531B2 (ja) 観察治具と鋼管内の塗装方法
CN216686653U (zh) 一种用于楼房建设工程残渣输送装置
CN216847237U (zh) 一种建筑工程用楼板强度检测装置
CN112792474B (zh) 焊接设备、焊接机器及焊接方法
CN107649806A (zh) 电杆焊接辅助工具及装置
KR20060070515A (ko) 재생골재 제조용 시멘트 페이스트 박리 및 세척장치
CN218758900U (zh) 倾斜塔柱喷水养护结构
CN220461090U (zh) 一种钢结构用涂刷结构
CN217948674U (zh) 一种用于高速路补修的压路机辅助装置
CN219195583U (zh) 一种用于公路施工养护的路面修补装置
CN217141351U (zh) 一种叠合板制作用台板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