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208B1 -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208B1
KR102432208B1 KR1020210015951A KR20210015951A KR102432208B1 KR 102432208 B1 KR102432208 B1 KR 102432208B1 KR 1020210015951 A KR1020210015951 A KR 1020210015951A KR 20210015951 A KR20210015951 A KR 20210015951A KR 102432208 B1 KR102432208 B1 KR 102432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odeling
railing structure
computing device
veran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546A (ko
Inventor
장중식
남원석
정우진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0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은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이 형성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MODELING A VERANDA HANDDRAIL STRUCTURE}
이하의 설명은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과학의 고도화된 발전과 인구의 증가에 따라 석탄, 석유, 천연가스, 메탄 등 화석 연료의 소비가 증가되어 세계적으로 많은 양의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있다. 이렇게 배출된 온실가스는 지구온난화, 이상기후, 환경 오염 등을 유발한다. 이러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하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들은 포함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채택되었다. 우리나라 또한 참여하여 목표연도 2030년까지 37%의 감축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중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에너지는 태양 에너지이다. 태양에너지를 전기로 생산하는 태양전지 분야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을 받고 있으며, 각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매년 고성장을 하고 있다. 태양전지의 분야 중 하나인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박막 태양전지는 플렉시블(Flexible)하고 박막에 색상을 구현할 수 있고, 투명도가 조정이 가능하며 다양한 컬러로 구현이 가능한 장점에 따라 그 잠재력이 무궁무진할 수 있다. 하지만 강렬한 태양광의 조사에 따라 패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의 배출 즉, 통풍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태양의 각도에 따라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의 필요성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강한 바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태양전지의 낙상사고 역시 중요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낙상사고의 문제는 강한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태양 전지의 개폐를 통해 바람을 통과시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8378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은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을 통해 형성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점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의 모서리와 상기 제1 지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지점을 제2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지점을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킨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지점의 좌표 및, 상기 제1 지점 중 상기 제2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 대응되는 제4 지점을 연결함으로써,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폭에 기초하여 측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개수의 기둥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는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이 형성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지점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고, 상기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의 보다 세분화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단계(111) 내지 단계(123)이 수행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단계(114) 내지 단계(132)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141) 내지 단계(142)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에 따라 생성된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10)에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난간 프레임은 베란다 난간의 전면부에 해당하며, 하기에서 설명되는 3차원 모델링 방식이 적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난간 프레임에는 3차원 모델링에 따라 생성되는 파사드 패턴 영역에는 CIGS 태양광 패널이 부착될 수 있고, 태양광 패널의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3차원 모델링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120)에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폭에 기초하여 측면 프레임을 생성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개수의 기둥 프레임을 생성함으로써,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30)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난간 프레임이 형성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제1 난간 프레임의 모서리와 제1 난간 프레임에 포함된 제1 지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지점을 제2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140)에서 컴퓨팅 장치는 단계(130)에서 결정된 제2 지점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2 지점을 소정의 거리만큼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킨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고, 제3 지점 및, 제1 지점 중 제2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 대응되는 제4 지점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생성되는 패턴에 기초하여 제1 난간 프레임에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프레임 구조물이 설치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역에서 남중할 때에 태양의 평균 위치에 따라서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2 지점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남중할 때에 태양의 평균 위치는 태양 벡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태양 벡터는 분석 장소의 시간대에 대응되는 GMT 정보, 분석 년도 정보, 분석 월 정보, 분석 일 정보, 분석 시간 정보, 분석 장소의 위도 정보, 분석 장소의 경도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분석 대상 위치에서 평균 태양 위치의 고도 정보, 방위각 정보, 진태양시 정보, 태양의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2 지점을 이동시켜 제3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베란다 난간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역의 위치와 남중할 때에 태양의 평균 위치를 연결하는 제1 벡터 및, 제3 지점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파사드 패턴에 수직한 법선이 이루는 각도를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제2 지점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지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삼각형 형태의 파사드 패턴은 제3 지점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제2 지점의 좌표를 이동시키는 거리에 따라서, 제1 벡터와 이루는 각도가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각각의 파사드 패턴에 대응되는 법선 벡터와 제1 벡터 사이의 각도가 최소화되도록 제3 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지점의 이동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태양광 패널에 대응되는 파사드 패턴 가해지는 최대 일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일사량에 따라 태양광 패널이 파손되지 않도록 제3 지점을 결정(제2 지점을 이동시키는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설치 지역의 연 평균 풍향, 풍속을 산출하고, 풍향/풍속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제3 지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제3 지점을 통해 결정되는 파사드 패턴 각각의 법선 벡터를 합산하여 결정되는 최종 법선 벡터와 풍향이 이루는 각도를 최소화되도록 각각의 제2 지점에 대응되는 제3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150)에서 단계(140)의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가 수행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의 보다 세분화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111)에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가로 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난간 프레임 형성을 위한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모델링 공간 내에서 제1 난간 프레임이 위치하는 기준 점의 좌표, 라인의 생성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수신하여, 제1 난간 프레임 생성을 위한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가로 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 전면 가로폭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12)에서, 컴퓨팅 장치는 단계(111)에서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높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 라인을 라인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및 복사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높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 전면 높이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13)에서,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라인의 끝점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단계(112)에서 생성된 최종 라인(라인의 수직한 방향의 최상단)의 양 끝점을 생성하고, 생성한 양 끝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121)에서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측면 난간의 세로 길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라인을 생성할 수 있으며, 라인은 단계(113)을 통해 생성된 양 끝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라인 생성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수신할 수 있으며, 추기로 수신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라인을 생성함으로써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형태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수신한 세로 길이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의 세로 폭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2)에서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라인에 대해 일정한 거리 비율로 배열되는 참조점을 생성할 수 있고, 참조점의 개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생성된 참조점은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배치되는 기둥이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참조점 개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난간 프레임에 배치되는 기둥의 개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3)에서 컴퓨팅 장치는 생성된 라인을 기준으로 제1 난간 프레임 및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앞선 단계에서 생성된 라인을 기준으로 파이프 형태의 Brep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한 파이프 굵기에 대응되는 Brep을 생성할 수 있으며, 파이프 굵기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14)에서 컴퓨팅 장치는 단계(111)를 통해 생성되는 라인의 끝점 및 단계(113)을 통해 생성되는 끝점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제1 난간 프레임을 통해 형성되는 패널 표면을 생성할 수 있다. 패널 표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는 앞서 설명된 제1 난간 프레임의 가로 폭 및 높이에 기초하여 그 넓이가 변경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단계(131)에서 컴퓨팅 장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되는 지점들 중 파사드 패턴을 적용하기 위한 제1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파사드 패턴은 삼각형 형태로 결정되는 임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1 지점의 개수에 기초하여 파사드 패턴(제1 프레임에 적용될 삼각형 패턴)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131)에서 120개의 지점이 결정되는 경우, 파사드 패턴의 개수는 40개로 결정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는 파사드 패턴의 개수에 대한 파라미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32)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1 지점을,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기 위한 제2 지점과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지 않는 제4 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모서리와 제1 지점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가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제1 지점을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기 위한 제2 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파사드 패턴의 면적에 대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41)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2 지점을 제1 난간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 지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2 지점을 이동시키는 구체적인 방식은 도 1을 통해 설명된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3 지점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제2 지점을 이동시키는 거리의 평균에 기초하여 제1 난간 프레임의 돌출도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142)에서 컴퓨팅 장치는 제3 지점과 제4 지점을 사이의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파사드 패턴을 생성할 수 있고, 단계(151)에서 단계(142)를 통해 생성된 파사드 패턴에 대해 표면을 생성함으로써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지점 및 제4 지점은 상호 인접한 지점들이 삼각형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파사드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단계(111) 내지 단계(123)이 수행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라인(311)의 폭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음은 앞선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앞선 단계(1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인(311)에 수직한 방향(312)로 라인(311)를 이동 및 복사함으로써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1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인의 끝점(313)을 생성할 수 있고, 라인(314)를 생성함으로써 단계(121)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단계(12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참조점(315)을 생성할 수 있고, 각각의 참조점(315)에는 기둥이 배치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파이프 굵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 및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완성할 수 있다.
도 4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앞서 설명된 단계(114) 내지 단계(132)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제1 난간 프레임(411, 412,413)을 통해 형성되는 패널 표면(414)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표면(414)로부터 제1 지점(녹색 마킹 및 붉은색 마킹)을 선택하고, 앞서 설명된 방식에 기초하여 제1 지점을 제2 지점(녹색 마킹) 및 제4 지점(붉은색 마킹)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141) 내지 단계(142)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컴퓨팅 장치는 앞선 도 4를 통해 설명된 제2 지점을 Y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3 지점(511)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제3 지점 및 제4 지점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파사드 패턴(512)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에 따라 생성된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를 통해 생성된 파사드 패턴(512)에 대응하는 표면(512)을 생성함으로써,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가 생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3 지점이 포함된 파사드 패턴(512)에 대해서만 소정의 표면(512)이 생성됨으로써 모델링 결과가 생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제4 지점만으로 구성된 파사드 패턴(513)에도 표면이 생성됨으로써 모델링 결과가 산출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700)는 통신부(720) 및 프로세서(7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720)는 외부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720)는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엔티티와 통신을 수행하고,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외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제1 난간 프레임을 통해 형성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고, 제2 지점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링을 적용하고, 적용 결과에 기초하여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프로세서(710)는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수행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6)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에 있어서,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을 통해 형성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점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3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 중 상기 제2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 대응되는 제4 지점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3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파사드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파사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파사드 패턴 각각에 대한 제1 법선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제1 법선 벡터를 합산함으로써 제2 법선 벡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법선 벡터와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역의 연 평균 풍향이 이루는 각도를 최소화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3 지점의 좌표로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의 모서리와 상기 제1 지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지점을 제2 지점으로 결정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폭에 기초하여 측면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개수의 기둥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5.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6.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되는 제1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측면에 대응되는 제2 난간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이 형성하는 패널 표면에 포함된 제1 지점 중 3차원 모델링 적용 대상이 되는 제2 지점을 결정하고,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의 전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난간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점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 제3 지점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지점 및, 상기 제1 지점 중 상기 제2 지점을 제외한 지점에 대응되는 제4 지점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2 지점 각각에 대응되는 파사드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파사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생성하고,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파사드 패턴 각각에 대한 제1 법선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법선 벡터를 합산함으써 제2 법선 벡터를 산출하고,
    상기 제2 법선 벡터와 상기 베란다 난간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역의 연 평균 풍향이 이루는 각도를 최소화되는 지점의 좌표를 상기 제3 지점의 좌표로 획득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210015951A 2020-02-06 2021-02-04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32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14049 2020-02-06
KR1020200014049 2020-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546A KR20210100546A (ko) 2021-08-17
KR102432208B1 true KR102432208B1 (ko) 2022-08-12

Family

ID=7746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51A KR102432208B1 (ko) 2020-02-06 2021-02-04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0062A (zh) * 2021-12-29 2022-04-12 安徽省交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grasshopper的移动钢护栏参数化快速建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64A (ja) * 1999-08-25 2001-03-06 Birutekku Kk 手摺用パネル構造体
JP2002038685A (ja) * 2000-07-21 2002-02-06 Sumitomo Forestry Co Ltd 手摺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8150858A (ja) * 2006-12-18 2008-07-03 Misawa Homes Co Ltd 手摺壁及び建物
JP2013037523A (ja) * 2011-08-08 2013-02-21 Tokyo Gas Co Ltd 日影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378B1 (ko) 2014-11-28 2016-07-11 주식회사 어반베이스 2차원 도면에 기반한 3차원 자동 입체모델링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264A (ja) * 1999-08-25 2001-03-06 Birutekku Kk 手摺用パネル構造体
JP2002038685A (ja) * 2000-07-21 2002-02-06 Sumitomo Forestry Co Ltd 手摺設計支援システム
JP2008150858A (ja) * 2006-12-18 2008-07-03 Misawa Homes Co Ltd 手摺壁及び建物
JP2013037523A (ja) * 2011-08-08 2013-02-21 Tokyo Gas Co Ltd 日影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546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28229B2 (en) Automa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estimation
Nguyen et al. Incorporating shading losses in solar photovoltaic potential assessment at the municipal scale
US20220215622A1 (en) Automated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estimation
US106357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configuration of a solar power system
US113877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configuration of a solar power system
US20150234945A1 (en) Real-time spatial daylighting analysis for a 3d geometric structure
CN114758252B (zh) 基于图像的分布式光伏屋顶资源分割与提取方法及系统
KR102432208B1 (ko) 베란다 난간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Youssef et al. Design of optimal building envelopes with integrated photovoltaics
Kear et al. Computational aerodynamic optimisation of vertical axis wind turbine blades
Bayoumi et al. Extending the feasibility of high-rise façade augmented wind turbines
KR102432195B1 (ko) 기후변화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한 베란다 구조물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03218852A (zh) 一种面向蒙皮动画的基于网格收缩的三维网格模型骨架提取系统及骨架提取方法
Elmalky et al. A new trigonometric model for solar radiation and shading factor: Varying profiles of building façades and urban eccentricities
Niiuchi et al. Topology optimization of 3D structure using improved ESO method
Steinø et al. Developing a parametric urban design tool. Some structural challenges and possible ways to overcome them
Nejat et al. Windcatcher as a Persian sustainable solution for passive cooling
Kensek et al. Solar access zon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KR102537488B1 (ko) 유입 풍속과 도시 형태 매개 변수를 이용한 도시 풍속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Lovati A BiPV design optimization method
Soares et al. Predicting the solar potential of rooftops using image segmentation and structured data
KR102389195B1 (ko) 삼각 패턴화에 기초한 이미지 디자인 방법 및 장치
CN104036098A (zh) 一种并行同步扰动随机近似的气动优化设计方法
Battle et al. Wind towers and wind driven ventilation
Bognár et al. Pyrano–A Python package for LiDAR-based solar irradiance simul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