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75B1 - 비누 재활용장치 - Google Patents

비누 재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75B1
KR102432175B1 KR1020200115995A KR20200115995A KR102432175B1 KR 102432175 B1 KR102432175 B1 KR 102432175B1 KR 1020200115995 A KR1020200115995 A KR 1020200115995A KR 20200115995 A KR20200115995 A KR 20200115995A KR 102432175 B1 KR102432175 B1 KR 102432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ainer
soap
recycling devi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749A (ko
Inventor
조준규
Original Assignee
조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규 filed Critical 조준규
Priority to KR1020200115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6Time, i.e. duration, of at least one parameter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비누 재활용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각비누를 녹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container); 용기부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된 덮개부(lid); 덮개부에 결합되며 용기부 내에서 회전(rotation)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교반부(stirring unit); 용기부에 용액을 투입하기 위해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용액투입부(solution inlet); 교반부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전기모터부(electric motor unit); 용기부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배치된 가열부를 포함하는 비누 재활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누 재활용장치{Soap Recycling Device}
본 개시는 비누 재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공공화장실과 개인화장실 여부를 불문하고 고체의 비누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곳이 많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 비누의 경우 그 크기가 작아지면 버리고 새 고체 비누로 교체하게 되는데, 버려지는 조각비누들이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킨다. 일반 가정집보다 특히 호텔과 같이 비누를 대량 배치하고 자주 교체하는 곳에서 큰 환경문제를 발생시킨다.
오늘날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이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조각비누로 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문제 또한 큰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친환경 비누들이 등장하지만 일반 비누에 비해 가격이 비싸며 비누를 대량 사용하는 호텔과 같은 곳에서는 그 비용부담이 더욱 커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개시는 조각비누를 이용하여 큰 부피의 비누로 재제조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휴대 가능한 크기로 설계하여 가정용으로도 활용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각비누를 녹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container); 용기부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된 덮개부(lid); 덮개부에 결합되며 용기부 내에서 회전(rotation)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교반부(stirring unit); 용기부에 용액을 투입하기 위해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용액투입부(solution inlet); 교반부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전기모터부(electric motor unit); 용기부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배치된 가열부를 포함하는 비누 재활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용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부 및 용기부의 내부 온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는 가열부 및 전기모터부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에서 용액은 알코올일 수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는 시간조절부를 이용하여 설정한 작동 시간이 도과하면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는 용기부 내부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용기부의 하부에 배치된 무게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무게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용기부 내부에 투입된 조각비누의 무게를 파악하여, 조각비누의 무게에 따른 적정 교반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비누 재활용장치는 조각비누를 모아서 새로운 큰 부피의 비누를 재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를 휴대 가능한 크기로 설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가정용으로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누 재활용장치를 사용하여 조각비누를 새로운 큰 부피의 비누로 재제조하여 사용함으로써 비누 사용자로 하여금 비누 구매 비용을 절약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누 재활용장치(soap recycling device)는 용기부(container, 11), 덮개부(lid, 12), 교반부(stirring unit, 13), 용액투입부(solution inlet, 14), 전기모터부(electric motor unit, 15), 가열부(heating unit, 미도시) 및 하단부재(bottom member, 16)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용기부(11)는 조각비누(sculpture soap)를 녹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용기부(11)는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부(11)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hollow)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부(11)에는 용기 내 조각비누를 담았을 때 용기에 담긴 조각비누의 부피(volume)를 알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용기부(11)의 모양은 도 1에 개시된 실시예인 원통(cylinder)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기부(11)의 상단에는 용융된(molten) 조각비누들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구(24)가 형성되어있다. 용기부(1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및 유리(glass)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덮개부(12)는 용기부(11)의 개구부(opening unit)를 개폐할 수 있도록 용기부(11)의 상부에 배치된다. 덮개부(12)는 용기부(11)와 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용기부(11) 내에 배치된 제어부(41, 도4 참조) 또는 전원부(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덮개부(12) 내에 배치된 전기모터부(15)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교반부(13)는 덮개부(12)의 중앙부분에 결합되며, 용기부(11)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기모터부(15)는 덮개부(12) 내에, 교반부(13)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모터부(15)의 회전력이 직접적으로 교반부(13)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기모터부(15)는 교반부(13)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되지만,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기모터부(15)는 하단부재(16)에 배치되어 있고, 교반부(13)는 전기모터부(15)와 전선으로 이어져 있어 전기모터부(15)의 작동에 의해 교반부(13)가 회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용액투입부(14)는 용기부(11)에 용액을 투입하기 위해 덮개부(1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용액투입부(14)가 덮개부(12)를 관통하는 모양은 덮개부(12)의 상부에서 덮개부(12)의 하부로 갈수록 원모양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용액은 알코올일 수 있고, 그 밖에 특수 용액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누 재활용장치는 용액조절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액조절부(31)는 덮개부(12)와 용기부(11)가 결합되는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어,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용액조절부(31)는 용액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량 분할하여 투입하기 위해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비누 재활용장치는 용액조절부(31)를 이용하여 용기부(11) 내에서 조각비누가 교반되는 동안 용액을 골고루 뿌려줄 수 있다.
가열부(미도시)는 용기부(11)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하단부재(16) 내에 배치된다. 용기부(11)와 하단부재(16) 사이에는 열의 전달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있다. 가열부(미도시)는 용기부(11)의 하단을 가열할 수도 있고, 용기부(11)가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이중벽 내부에 물과 같은 열 매체가 수용되어 열 매체를 가열할 수도 있다. 용기부(11)는 이중벽 내부의 열 매체에 의해 가열될 경우 중탕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미도시)는 용기부(11) 내의 온도를 40도 내지 2000도로 조절할 수 있다. 용기부(11)에는 용기부(11)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42)가 배치될 수 있다.
하단부재(16)는 용기부(11)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하단부재(16)는 내부가 빈 구조의 하우징(housing)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재(16) 내에는 제어부(41), 가열부(미도시), 온도감지센서(42), 무게감지센서(4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단부재(16)의 외부면에는 전원부(17)와 시간조절부(18)가 배치되어, 비누 재활용장치의 이용자로 하여금 비누 재활용장치의 전원과 교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41)는 무게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용기부 내에 투입된 조각비누의 무게를 연산하고 그에 따라 교반부(13)의 회전속도 및 비누 재활용장치의 작동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42)로 용기부(11)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가열부(미도시)를 조절할 수 있다. 감지된 온도는 상태표시부(19)에 표시된다.
상태표시부(19)는 용기부 내의 온도뿐만 아니라 비누 재활용장치의 작동완료시까지 남은 시간 등이 표시되어 이용자에게 비누 재활용장치의 작동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재활용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누 재활용장치는 전원부(power unit, 17), 시간조절부(time setting unit, 18), 제어부(control, 41) 온도감지센서(temperature sensor, 42), 데이터저장부(data storage unit, 43), 알람부(alarm unit, 44), 무게감지센서(weight sensor, 45) 및 상태표시부(status display unit, 19)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누 재활용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구성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전원부(17)로부터 작동 신호를 수신하고, 시간조절부(18)로부터 작동 시간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비누 재활용장치를 작동시킨다. 제어부(41)는 데이터저장부(43)로부터 비누 재활용장치의 작동에 관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데, 데이터저장부(43)는 용기부(11)에 투입된 조각비누의 양에 따른 작동 시간(operating time), 적정 가열 온도(proper heating temperature) 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41)는 비누 재활용장치가 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되어 작동되는 동안, 온도감지센서(42)로부터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열부(미도시)의 가열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온도감지센서(42)로부터 온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태표시부(19)에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1)는 비누 재활용장치의 작동을 마친 경우, 알람부(44)를 이용하여 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용기부 12: 덮개부
13: 교반부 14: 용액투입부
15: 전기모터부 16: 하단부재
17: 전원부 18: 시간조절부
19: 상태표시부 41: 제어부

Claims (6)

  1. 조각비누를 녹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용기부(container);
    상기 용기부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배치된 덮개부(lid);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며 상기 용기부 내에서 회전(rotation)이 가능하도록 배치된 교반부(stirring unit);
    상기 용기부에 용액을 투입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용액투입부(solution inlet);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도록 배치된 전기모터부(electric motor unit);
    상기 용기부의 내부 공간을 가열하도록 배치된 가열부;
    상기 용기부에 투입된 조각비누의 양에 따른 작동 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data storage unit);
    이용자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전기모터부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간조절부(time setting unit);
    상기 시간조절부로부터 수신한 작동 시간에 관한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부 및 상기 전기모터부의 작동 시간(operating time)을 조절하는 제어부(control unit);
    상기 작동 시간이 도과하면 알림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alarm unit); 및
    상기 작동 시간이 도과될 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되는 상태표시부(status display unit)
    를 포함하는 비누 재활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용기부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부(temperature senso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부 온도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재활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알코올(alcoh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재활용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부의 무게를 감지하도록 상기 용기부의 하부에 배치된 무게감지센서(weight sensor)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무게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용기부 내부에 투입된 상기 조각비누의 무게를 파악하여, 상기 조각비누의 무게에 따른 적정 교반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재활용장치.
KR1020200115995A 2020-09-10 2020-09-10 비누 재활용장치 KR102432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95A KR102432175B1 (ko) 2020-09-10 2020-09-10 비누 재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95A KR102432175B1 (ko) 2020-09-10 2020-09-10 비누 재활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49A KR20220033749A (ko) 2022-03-17
KR102432175B1 true KR102432175B1 (ko) 2022-08-11

Family

ID=8093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95A KR102432175B1 (ko) 2020-09-10 2020-09-10 비누 재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959B1 (ko) * 2006-06-19 2008-01-02 하경호 가정용 비누 제조장치
KR101091925B1 (ko) * 2009-07-22 2011-12-13 이현우 폐비누 재생기
KR101806194B1 (ko) * 2015-02-26 2017-12-07 윤혜정 비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49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855B2 (en) Circulator cooker with alarm system
CN202981697U (zh) 一个用于搅拌液体食物或饮料的可拆卸式装置
WO2006044782A2 (en) Fluid level measuring device for a beverage dispenser
CN204071756U (zh) 一种自动控制水量、水温的泡茶装置
KR102432175B1 (ko) 비누 재활용장치
JP2008188277A (ja) 加熱調理装置
WO2019153767A1 (zh) 旋转下粉装置及智能冲奶机
CN100515220C (zh) 巧克力加工机
KR101930534B1 (ko) 탄소발열체를 적용한 텀블러
CN202270581U (zh) 连续式恒温恒流量加药装置
KR101806194B1 (ko) 비누 제조장치
CN206062974U (zh) 一种破壁机
CN105852648A (zh) 一种超声波震动组件产生震动使液体产生泡沫的装置或方法
JP5617356B2 (ja) 電気ケトル
JP2015208395A (ja) 飲料製造装置
JPS61146215A (ja) 炊飯器
JP2016217701A (ja) 加熱調理器
CN215463612U (zh) 一种化妆品乳化设备
CN215029941U (zh) 厨余垃圾处理器
CN214309162U (zh) 一种可折叠不锈钢温度计
CN210694408U (zh) 一种可调节温控热得快
CN210419198U (zh) 一种具有温度检测装置的碱液灌装机
CN210961506U (zh) 一种将水快速烧开后快速降温为即时饮用的水装置
CN106308486B (zh) 水开记忆指示装置和具有它的水壶
CN205375069U (zh) 一种智能控制振荡型恒温金属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