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12B1 -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12B1
KR102432112B1 KR1020220014296A KR20220014296A KR102432112B1 KR 102432112 B1 KR102432112 B1 KR 102432112B1 KR 1020220014296 A KR1020220014296 A KR 1020220014296A KR 20220014296 A KR20220014296 A KR 20220014296A KR 102432112 B1 KR102432112 B1 KR 10243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haft
disposed
fixing
trans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정갑용
서동진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코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윈테크 filed Critical (주)코윈테크
Priority to KR102022001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3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cantilever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8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actuator movable in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71Handling web roll
    • B65H2301/4175Handling web roll involving c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릴(Reel) 형태로 권취된 재료를 공정간 이송하기 위한 릴 이송용 운반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이 없이도 릴의 인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되 특히 인입된 릴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공정간 릴의 이송 및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릴 이송용 운반차에 결합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포스트를 포함한 메인 프레임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포스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송 대상물인 릴(Reel)이 인입 또는 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작동공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공에 출입하는 락킹핀을 통해 상기 샤프트로 인입된 릴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릴을 샤프트에서 해제하는 릴 취출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Automated device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reel of the reel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 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릴(Reel) 형태로 권취된 재료를 공정간 이송하기 위한 릴 이송용 운반차에 구비되어 작업자의 수작업이 없이도 릴의 인입 및 분리가 이루어지되 특히 인입된 릴의 분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공정간 릴의 이송 및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2차 전지, 반도체 등을 생산하는 공정에서 2차 전지 또는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부품이 중앙이 빈 코어에 권취된 릴(Reel) 형태로 공급되는데, 이때 부품이 다수회 감긴 형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릴 1개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송용 운반차를 이용하여 릴을 공정간 이동하고 있다.
일반적인 이송용 운반차는 릴을 구성하는 코어가 삽입되는 원형의 봉이 구비되고, 상기 원형의 봉에 릴을 거치한 상태로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릴의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이동 과정에서 원형의 봉에서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용 클램프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릴을 고정한 상태로 운행된다.
종래의 릴을 공정간 이동하는 과정에서 릴을 이송용 운반차에 구비된 원형의 봉에 고정하기 위한 과정과 필요한 지점에 도착한 이후 원형의 봉에서 분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상기의 과정은 모두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릴을 운반하는 전체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은 물론 운반 과정에서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릴이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추락한 릴은 부품의 손상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원인이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7347호(2017.12.0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권취된 릴을 운반하기 위한 이송용 운반차에 배치되어 인입된 릴의 고정 및 분리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릴의 운반 및 공급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운반 및 공급 과정 중 릴의 추락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 권취된 재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릴 이송용 운반차에 결합하는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포스트를 포함한 메인 프레임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포스트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송 대상물인 릴(Reel)이 인입 또는 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작동공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공에 출입하는 락킹핀을 통해 상기 샤프트로 인입된 릴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릴을 샤프트에서 해제하는 릴 취출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릴 취출모듈은,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 개의 출입공과, 상기 출입공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출입홈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로드바와, 상기 로드바의 길이 방향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복원수단과, 일단은 상기 고정관의 출입공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공에 배치된 일단이 출입하면서 샤프트에 인입된 릴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락킹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락킹수단은, 일단은 상기 고정관의 출입공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의 삽입홈에 삽입된 락킹핀과, 상기 락킹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드바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공과, 상기 이동공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로드바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락킹롤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로드바의 일단에 형성된 요입홈에 인입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요입홈에서 지지바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로드바의 이동시 상기 요입홈을 형성하는 내벽이 맞닿거나 이격하는 걸림구와, 상기 지지바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관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폐쇄하는 커버에 고정되는 지지소켓과, 상기 지지바를 감싸며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로드바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지지소켓에 맞닿아 상기 지지바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복원수단에는, 상기 지지소켓에 결합되는 연결바디와, 상기 연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바와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한 수동해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상태로 제조 공정간 이동하는 릴의 안정적인 운반 및 공급이 가능하고, 운반 및 공급 과정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여 운반 및 공급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공급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릴의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샤프트에 인입된 릴의 고정 및 분리를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샤프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릴 취출모듈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고정관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로드바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탄성복원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락킹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동해제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릴 취출모듈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릴 이송용 운반차에 결합하는 메인플레이트(1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1)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포스트(12)를 포함한 메인 프레임(10)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22)이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포스트(12)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송 대상물인 릴(Reel)이 인입 또는 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작동공(23)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공(23)에 출입하는 락킹핀(351)을 통해 상기 샤프트로 인입된 릴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릴을 샤프트에서 해제하는 릴 취출모듈(3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0)은 이송용 운반차(도면 중 미도시됨)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볼트 조립 또는 용접 결합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이송용 운반차에 결합되는 메인플레이트(1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1)에 배치되는 수직 포스트(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12)는 상기 메인플레이트(11)의 일측에 수직하게 배치된 것으로, 후술하는 샤프트(20)의 길이 방향 일측이 결합되며 결합된 샤프트(2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포스트(12)에는 상기 샤프트(20)의 일측이 삽입 후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샤프트와 수직 포스트의 결합은 용접을 통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샤프트(20)의 유지 및 보수 또는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인입되는 리의 직경에 따라 샤프트의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릴을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릴을 인입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이루어져 릴을 구성하는 코어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20)는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수직 포스트(12)에 결합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에 인입 또는 배출되는 릴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한 다수 개의 이동용 롤러(21)가 배치된다.
상기 이동용 롤러(21)는 상기 샤프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을 구성하는 코어가 맞닿아 릴의 이동 과정에서 고하중의 릴을 안정적이며 적은 힘으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용 롤러(21)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개수는 샤프트(20)의 길이, 직경 그리고 샤프트(20)에 인입되는 릴의 부피 및 하중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20)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의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후술하는 릴 취출모듈(30)이 배치되는 내부 수용공간(22)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샤프트(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작동공(23)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공(23)은 상기 내부 수용공간(2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으로, 후술하는 릴 취출모듈(30)을 구성하는 락킹수단(35)을 구성하는 락킹핀(351)이 출입하면서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의 코어 단부가 맞닿아 릴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상기 작동공(23)은 후술하는 릴 취출모듈(30)을 구성하는 락킹핀(351)이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락킹핀(351)의 일단부가 작동공(23)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릴의 코어 단부가 맞닿아 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고, 반대로 락킹핀(351)의 일단부가 작동공(23)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릴이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다.
상기 릴 취출모듈(30)은 상기 샤프트(20)의 내부 수용공간(22)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20)에 형성된 작동공(23)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된 락킹핀(351)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을 고정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해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릴 취출모듈(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20)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 개의 출입공(312)과, 상기 출입공(3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홈(313)이 형성된 고정관(31)과, 상기 고정관(3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출입홈(33)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로드바(32)와, 상기 로드바(32)의 길이 방향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복원수단(34)과, 일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출입공(31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공(312)에 배치된 일단이 출입하면서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락킹수단(35)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3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0)의 내부 수용공간(22)에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동작공간(311)이 형성된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샤프트(20)에 형성된 작동공(23)과 연통되는 각각의 위치에 출입공(312)이 형성되고, 상기 동작공간(311)의 내부에서 상기 출입공(3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출입공(312)과 삽입홈(313)은 후술하는 락킹수단(35)의 락킹핀(351)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출입공(312)과 상기 삽입홈(313)은 상기 동작공간(311)을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되, 상기 출입공(312)은 외부와 상기 동작공간(311)을 연통시키도록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13)은 상기 동작공간(311)과만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31)의 내부 동작공간(311)에는 상기 동작공간에 배치되는 로드바(32)의 이동 안정성 및 이동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 개의 지지롤러(314)가 구비된다. 그리고 내부 동작공간(311)에는 다수 개의 지지롤러(314) 이외에도 로드바(32)의 이동 안정성 및 이동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 개의 지지관(31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관(3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각각 상기 내부 동작공간(311)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315)가 구비되어 외부 이물질 및 습기 등이 동작공간(311)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로드바(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관(31)의 동작공간(311)에 배치된다.
상기 로드바(32)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출입홈(33)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홈(33)은 후술하는 락킹수단(35)의 락킹롤러(353)가 출입한다.
여기서 상기 출입홈(33)은 상기 락킹롤러(353)가 일방향으로만 출입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5의 확대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킹롤러(353)가 출입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출입면(331)과, 상기 출입면(331)의 단부에 형성되어 인입된 락킹롤러(353)가 대기하는 대기면(332)과, 상기 대기면(332)의 단부에서 절곡 형성되어 인입된 락킹롤러(353)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면(333)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출입홈(33)은 로드바(32)가 이동하면서 락킹롤러(353)가 출입면(331)을 따라 이동하면서 대기면(332)에 배치되면 락킹핀(351)이 샤프트(20)의 작동공(23) 외부로 노출되어 샤프트에 인입된 릴을 고정하고, 상기 로드바(32)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락킹롤러(353)가 대기면(332)에서 빠져 나와 출입면(331)을 따라 이동한 후 로드바(32)의 외면에 배치되면 락킹핀(351)이 샤프트(20)의 작동공(23) 내부로 인입되면서 릴이 샤프트에서 이동 가능하게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바(32)에는 후술하는 탄성복원수단(34)을 구성하는 지지바(341)가 인입되는 요입홈(321)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복원수단(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로드바(32)의 일단에 형성된 요입홈(321)에 인입되는 지지바(341)와, 상기 지지바(34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요입홈(321)에서 지지바(341)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로드바(32)의 이동시 상기 요입홈(321)을 형성하는 내벽이 맞닿거나 이격하는 걸림구(342)와, 상기 지지바(341)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관(31)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폐쇄하는 커버(315)에 고정되는 지지소켓(343)과, 상기 지지바(341)를 감싸며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걸림구(342)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지지소켓(343)에 맞닿아 상기 지지바(34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4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4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상기 로드바(32)에 형성된 요입홈(321)에 인입되고, 상기 요입홈(321)에 인입된 일단에 상기 걸림구(34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342)는 상기 로드바(32)에 형성된 요입홈(321)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 일단부가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소켓(343)은 상기 지지바(341)의 길이 방향 타측을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고정관(31)의 길이 방향 단부를 폐쇄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커버(315)중 상기 수직 포스트(12)측에 배치된 커버(315)에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소켓(343)은 상기 커버(3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중앙에 관통된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341)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344)는 상기 지지바(341)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로드바(32)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지지소켓(343)에 맞닿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구(342)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로드바(32)가 제조 공정 라인에 배치된 제조장치에 도킹(Docking)한 상태에서 전달된 압력에 의하여 이동하면 압축되고, 도킹이 해제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로드바(32)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락킹핀(351)이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릴을 고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락킹수단(35)은, 상기 로드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서 출입하면서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을 샤프트에 고정하여 이동을 제한하거나 해제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락킹수단(3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출입공(31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락킹핀(351)과, 상기 락킹핀(35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드바(32)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공(352)과, 상기 이동공(352)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로드바(32)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락킹롤러(353)를 포함한다.
상기 락킹핀(351)은 일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출입공(31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출입공(312)에 배치된 타단이 샤프트(20)에 형성된 작동공(23)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배치된 일단은 스프링(354)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데, 로드바(32)가 이동하면서 락킹핀(351)이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354)이 압축되고, 상기 로드바(32)가 이동하면서 락킹핀(351)의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354)이 복원되면서 락킹핀(351)을 탄성 지지한다.
상기 이동공(352)은 상기 락킹핀(35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드바(32)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락킹핀(35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락킹롤러(353)는 상기 이동공(35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공(35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바(32)에 맞닿으면서 회전하고, 로드바(32)에 외주면 또는 출입홈(33)에 배치되면서 락킹핀(351)이 샤프트(20)에 형성된 작동공(23)에서 위치 변위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에 다수 개의 릴을 인입한 상태에서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 배치된 락킹핀(351)이 인입된 릴을 고정한 상태에서 이송용 운반차가 공정 라인에 배치된 제조 장치에 근접하면 해당 제조장치에 구비된 도킹장치가 로드바(32)의 일단과 맞닿아 이를 밀어낸다.
상기 로드바(32)는 도킹장치로부터 전달된 압력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면 락킹수단(35)의 락킹롤러(353)가 로드바(32)에 형성된 출입홈(33)에서 이탈하면서 락킹핀(351)을 샤프트(20)의 작동공(2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되면서 샤프트(20)에 고정되었던 릴이 이동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로드바(32)는 도킹장치에 의해 가압될 때 로드바(32)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복원수단(34)이 구비되어 릴의 인입 또는 인출의 공정이 완료된 후 도킹장치가 로드바(32)에 가하던 압력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탄성체(344)가 복원되면서 로드바(32)를 이동시키며 이를 통해 락킹롤러(353)가 로드바(32)의 출입홈(33)에 배치되면서 락킹핀(351)이 샤프트(20)의 작동공(23)에서 노출되면서 릴의 코어 단부가 맞닿아 릴의 위치 이동을 제한한다.
한편 상기 탄성복원수단(34)에는 상기 락킹핀(351) 또는 로드바(32)의 걸림에 의하여 릴의 잠금 또는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작업자가 상기 로드바(32)를 조작하기 위한 수동해제수단(36)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수동해제수단(3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소켓(343)에 결합되는 연결바디(361)와, 상기 연결바디(36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바(341)와 결합된 손잡이(362)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수동해제수단(36)은 락킹핀(351) 또는 로드바(32)가 동작하는 과정 중 오동작이 발생하거나 락킹핀(351)의 걸림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362)를 파지한 상태에서 수직 포스트(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를 당기고, 상기 손잡이(362)에 결합된 지지바(341)가 최종적으로 로드바(32)를 당긴다.
이때 상기 탄성복원수단(34)을 구성하는 탄성체(344)가 압축되고 작업자가 손잡이를 놓거나 샤프트측으로 밀어서 로드바(32)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샤프트에 인입된 릴을 고정한다.
이러한 수동해제수단(36)은 로드바가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동시에 락킹핀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림 현상이 발생한 락킹핀 등의 오류를 해제할 수 있고, 로드바(32)의 일단을 가압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제조 공정 장치에 릴을 전달할 때 샤프트에 고정된 릴을 수작업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10 : 메인 프레임
11 : 메인플레이트 12 : 수직 포스트
20 : 샤프트
21 : 이동용 롤러 22 : 내부 수용공간
23 : 작동공
30 : 릴 취출모듈
31 : 고정관 32 : 로드바
33 : 출입홈 34 : 탄성복원수단
35 : 락킹수단 36 : 수동해제수단
311 : 동작공간 312 : 출입공
313 : 삽입홈 314 : 지지롤러
315 : 커버 316 : 지지관
321 : 요입홈
331 : 출입면 332 : 대기면
333 : 걸림면
341 : 지지바 342 : 걸림구
343 : 지지소켓 344 : 탄성체
351 : 락킹핀 352 : 이동공
353 : 락킹롤러 354 : 스프링
361 : 연결바디 362 : 손잡이

Claims (5)

  1.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져 릴 이송용 운반차에 결합하는 메인플레이트(11)와, 상기 메인플레이트(11)의 일측에서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포스트(12)를 포함한 메인 프레임(1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수용공간(22)이 형성된 봉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포스트(12)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송 대상물인 릴(Reel)이 인입 또는 인출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작동공(23)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공(23)에 출입하는 락킹핀(351)을 통해 상기 샤프트로 인입된 릴을 고정하거나 고정된 릴을 샤프트에서 해제하는 릴 취출모듈(30);을 포함하되,
    상기 릴 취출모듈(30)은,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샤프트(20)의 내부에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 개의 출입공(312)과, 상기 출입공(312)에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홈(313)이 형성된 고정관(31)과,
    상기 고정관(3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외면에 다수 개의 출입홈(33)이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로드바(32)와,
    상기 로드바(32)의 길이 방향 일단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복원수단(34)과,
    일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출입공(31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삽입되어 상기 로드바(3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출입공(312)에 배치된 일단이 출입하면서 샤프트(20)에 인입된 릴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락킹수단(35)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35)은,
    일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출입공(312)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관(31)의 삽입홈(313)에 삽입되는 락킹핀(351)과,
    상기 락킹핀(35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로드바(32)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공(352)과,
    상기 이동공(352)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로드바(32)의 외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락킹롤러(35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수단(3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로드바(32)의 일단에 형성된 요입홈(321)에 인입되는 지지바(341)와,
    상기 지지바(34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요입홈(321)에서 지지바(341)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로드바(32)의 이동시 상기 요입홈(321)을 형성하는 내벽이 맞닿거나 이격하는 걸림구(342)와,
    상기 지지바(341)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관(31)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폐쇄하는 커버(315)에 고정되는 지지소켓(343)과,
    상기 지지바(341)를 감싸며 배치되되 일단은 상기 로드바(32)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지지소켓(343)에 맞닿아 상기 지지바(34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수단(34)에는,
    상기 지지소켓(343)에 결합되는 연결바디(361)와,
    상기 연결바디(36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바(341)와 결합된 손잡이(362)를 포함한 수동해제수단(3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KR1020220014296A 2022-02-03 2022-02-03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KR10243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96A KR102432112B1 (ko) 2022-02-03 2022-02-03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296A KR102432112B1 (ko) 2022-02-03 2022-02-03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112B1 true KR102432112B1 (ko) 2022-08-12

Family

ID=8280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296A KR102432112B1 (ko) 2022-02-03 2022-02-03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19B1 (ko) * 2023-05-22 2023-11-16 주식회사 에스케이와이에프에이 배터리용 릴보빈 이송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89B1 (ko) * 2006-11-28 2008-04-11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롤이송 핸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JP2010120649A (ja) * 2008-11-17 2010-06-03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 Ltd 包装装置
KR20150087810A (ko) * 2014-01-22 2015-07-30 가부시키가이샤 토신 시트 권취축(卷取軸), 저장력(低張力) 시트 권취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피스톤의 기밀 구조
KR101857347B1 (ko) 2016-05-27 2018-06-20 이규상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JP2019018939A (ja) * 2017-07-12 2019-02-07 萩原工業株式会社 シート巻取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589B1 (ko) * 2006-11-28 2008-04-11 로지스솔루션 주식회사 롤이송 핸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JP2010120649A (ja) * 2008-11-17 2010-06-03 Tokyo Automatic Machinery Works Ltd 包装装置
KR20150087810A (ko) * 2014-01-22 2015-07-30 가부시키가이샤 토신 시트 권취축(卷取軸), 저장력(低張力) 시트 권취 방법, 및 상기 방법의 실시에 사용되는 피스톤의 기밀 구조
KR101857347B1 (ko) 2016-05-27 2018-06-20 이규상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JP2019018939A (ja) * 2017-07-12 2019-02-07 萩原工業株式会社 シート巻取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19B1 (ko) * 2023-05-22 2023-11-16 주식회사 에스케이와이에프에이 배터리용 릴보빈 이송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72B1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수 커넥터 이송 주행장치
KR102040713B1 (ko) 고압가스통 자동교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2112B1 (ko) 릴 이송용 운반차의 릴 고정 및 해제 자동화장치
KR101894482B1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자동 삽입 시스템
KR20180002238A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수 커넥터 탑재 지지장치
TW201304888A (zh) 進給緊固件之方法及裝置
KR20120007578U (ko) 롤러 조립장치
JP5629342B2 (ja) リベット挿入装置
KR101969466B1 (ko) 케미컬 공급 설비의 필터 교체 장치
ITUD980044A1 (it) Dispositivo per agganciare automaticamente un albero porta bobina ad un mandrino di una macchina
CN112621181B (zh) 一种摆轮座装配轴承自动化设备
KR20210151483A (ko)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장치용 엔드캡 분리/체결모듈
US20220270771A1 (en) Boiling water reactor blade guide and exchange tool
KR20180002239A (ko) 케미컬을 이송하는 자동 청정 접속장치의 커넥터 폐쇄장치
KR101793001B1 (ko) 파이프 업 로딩장치
KR102311339B1 (ko) 케미컬 이송용 자동 접속장치
CN109500086B (zh) 穿孔机顶头更换装置及方法
KR102345569B1 (ko) 가스실린더의 가스자동공급시스템용 얼라인 가이드 장치
CN115026471B (zh) 基于铜环焊接的定位装置
CN219652250U (zh) 转运工装、转运装置及电池生产系统
CN219769974U (zh) 一种可对接定位的小车系统
US20090096182A1 (en) Machine base docking system
KR102538838B1 (ko) 자동 청정 접속장치 및 방법
US20240097105A1 (en) Electrode plate reel holding apparatus of electrode plate slitting machine for secondary battery
CN114030837B (zh) 一种全自动装配生产线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