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856B1 -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856B1
KR102431856B1 KR1020200146335A KR20200146335A KR102431856B1 KR 102431856 B1 KR102431856 B1 KR 102431856B1 KR 1020200146335 A KR1020200146335 A KR 1020200146335A KR 20200146335 A KR20200146335 A KR 20200146335A KR 102431856 B1 KR102431856 B1 KR 102431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ensile
holder member
holder
fatigue perform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388A (ko
Inventor
이제명
김희태
정연제
김정대
김슬기
김정현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856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8Performing tests at high or low temper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6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applied through gea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9Fatigue, creep, strain-stress relations or elastic constants
    • G01N2203/0073Fatig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29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using adhesive bond; Glu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58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또는 직물로 제조된 제품 혹은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된 직물 혹은 섬유 상의 시트 형태의 재료를 상온에서부터 -273℃의 극저온 온도 범위에서 인장 및 피로 성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험 시간과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각각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상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하부 지그; 및, 상기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발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Tensile and Fatigue Test Method and Test Device for Textile or Fiber material}
본 발명은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 또는 직물로 제조된 제품 혹은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된 직물 혹은 시트 형태의 복합재료를 상온에서부터 -273℃의 극저온 온도 환경까지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인장 및 피로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상의 재료 혹은 직물 형태의 재료는 물체의 하중을 견디기 위한 소재로 사용되며, 그물, 폐기물 혹은 화물을 벌크 형태로 나르는 마대, 탄소섬유로 제작된 압력 용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된다.
섬유 혹은 직물로 제작된 시트 형태의 재료는 무거운 하중을 운송하는 경우에 작용하는 정적 하중, 고압 용기로 적용되는 경우 내부압력으로 인해 작용하는 막응력, 방탄복과 같이 충격하중등 다향한 형태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시트형태의 얇은 재료는 압축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없으므로 인장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친환경 연료로 각광받는 LNG를 운송하는 LNG 운반선(Liquified Natural Gas Carrier ; LNGC)의 경우에 선박의 동적 하중을 견디고 극저온의 액체 화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독특한 단열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는데, 이 단열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물질은 이차방벽이라고 불리는 유리섬유-알루미늄 박판의 복합재로 제작된 시트 형태의 FSB(Flexible Secondary Barrier), RSB(Rigid Secondary Barrier)이다. 이 두 종류의 이차방벽 재료는 평상시에 -120℃의 온도에 노출되어 열응력이 작용하는 상태에 있으며, 선박의 운항환경에 따라 반복되는 굽힘하중을 받게 된다.
또한, 사고 혹은 LNG 화물창 내부의 액체 화물의 충격현상인 슬로싱으로 인해, 내부 격벽의 손상으로 누출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차방벽이 LNG의 유출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손상이 발생한 선박을 안전한 항구로 이송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시간을 최대 15일로 고려하여, -170℃의 극저온 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 15일간 반복 굽힘하중과 열응력을 견뎌야 한다.
따라서 섬유 혹은 직물로 제작된 시트형태의 재료는 인장성능이 기계적 물성평가의 주요 관심대상이 되며, 특히 LNGC의 이차방벽 재료와 같이 특수한 환경에서 복잡한 하중을 받는 경우에, 이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한 일축 인장시험과 인장 피로시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직물의 강도는 그 재료의 차이에 의해서도 결정되지만, 로빙된 섬유의 직물 제조방법에 따라서도 달라지며, 제조공정의 특성에 의해서 씨실과 날실로 그 강도가 이방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조된 직물 혹은 시트 형태의 재료는 제조 방향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이방성을 평가해야 하며, 제조공정의 변화 혹은 새로운 시트 형태의 재료 개발과 같은 경우에 재료의 기계적 강도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필요하다.
이를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시험방법에서는 섬유 형태의 인장 시험편을 직접적으로 시험지그에 물리고 있는데, 이 경우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와 같이 강도가 높으며 미세한 섬유조직의 얽힘 또는 직물 형태로 제작된 시험편은 시험 지그의 물림부에서 시험 지그 날의 선단부가 미세한 섬유구조를 벗어나며 슬립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에는 시험편의 물림부에 플라이우드와 접착제를 붙힌 후에 플라이우드를 시험지그에 물리는 형태로 시험을 진행한다. 이 때, 극저온 성능평가를 위해서 접착제는 에폭시 접착제 혹은 폴리우레탄계열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하지만 에폭시 접착제의 경우에 -170℃의 극저온 온도에서 접착 계면 파단문제가 발생하며, 이외에도 시트형태의 시험편의 표면이 경화수지 함침 등의 공정에 의해 거칠기가 거의 없는 표면을 가지는 경우에 계면파단이 발생한다.
또한 에폭시와 폴리우레탄계열 접착제 모두 최소 7일간의 긴 경화시간을 요구하여 시험준비에 소모되는 시간이 많으며, 접착표면의 청결도 문제와 경화 과정에서 각 시험편당 10㎏의 무게추를 올려 일주일 간 경화를 시켜야 하므로 시험편의 준비에 필요한 공간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일주일 간의 접착제 경화 이후에 시험의 진행과정에서도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는 시험지그와 시험편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작된 플라이우드의 제작에 있어서의 치수문제와 접착과정에서 플라이우드의 물림부의 선단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으면 인장시험과정에서 플라이우드의 치수문제로 인해서 플라이우드의 미끌림 혹은 재료에 작용하는 하중의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시험결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심각한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온 혹은 저온 실험에서 폴리우레탄 계열의 접착제는 에폭시 계열의 접착제보다 변형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으므로 시험결과에서 접착제의 전단변형이 포함되어 단일 재료물성 값으로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재료물성의 획득에서의 문제점은 특히 높은 하중을 받거나, 큰 변형 혹은 반복적인 하중을 받는 재료의 경우에 더 심각해진다. LNGC의 단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차방벽 재료는 선박의 운동에 의한 반복적인 굽힘 인장하중과 극저온 환경에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인장 열응력, 그리고 좌초 또는 충돌과 같은 사고로 인한 대변형 혹은 높은 국부응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 대한 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재료 시험과정에서 발생한 접착제의 변형을 재료물성을 오인하여 재료의 변형 수용능력을 과대평가하거나, 플라이우드 그립부의 슬립으로 인한 하중 수용능력 감소를 재료 자체에 내재된 결함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섬유 혹은 직물 또는 시트 형태로 제작된 제품의 인장 및 반복하중에 대한 피로성능을 시험함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은 다양한 온도범위에 대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재료 물성결과를 얻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크며 표면 청결도와 접착제의 경화 온도에 예민하여 새로운 재료의 개발과 그 성능평가의 정확성을 확보하는데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시험장치는 하중에 수직한 방향의 하중으로 시험편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장시험을 진행하는데, 시험 그립인 플라이우드가 정확히 선형이 아니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지는 경우, 그 굴곡진 형상부 혹은 그립과 시험지그가 만나는 부위에서 응력집중이 발생, 낮은 하중에서 시험편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금속 시험지그의 경우, 표면의 낮의 조도와 오염, 그리고 넓은 접착면적 확보를 위한 sand blasting에서 잘못된 blaster 재료 및 직영의 선택으로 계면 파단이 발생하여 시험편의 슬립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험 그립의 제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경우에, 플라이우드의 두 개의 그립 선단부가 시험지그 모서리에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험편은 하중축으로부터 뒤틀리거나 편향된 하중을 받아 관심영역 밖에서 파단이 발생하거나 그립부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시험지그의 시험편 그립부의 고정장치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 기존의 홈을 가지는 매끈한 면의 스트랩 지그는 플라이우드 혹은 그립부와의 미세한 슬립이 발생하여 시험도중 하중이 갑자기 떨어지는 stress drop 현상이 자주 발생하며, 극저온 환경에서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stress drop 으로 인한 신율계 탈착 혹은 멈춤 현상이 발생하여 재료시험을 더욱 난해하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891호(2014.05.21.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2893호(2013.05.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섬유 또는 직물로 제조된 제품 혹은 특수한 목적으로 제작된 직물 혹은 섬유 상의 시트 형태의 재료를 상온에서부터 -273℃의 극저온 온도 범위에서 인장 및 피로 성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험 시간과 작업량을 줄일 수 있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각각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상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하부 지그; 및, 상기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발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상기 상부 지그의 일면의 중심부에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하중축 정렬을 위한 진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자부재의 와이어는 상부 지그의 일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자브라켓의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와 시트르산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에 의해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그립유닛은, 상부 지그의 하측 또는 하부 지그의 상측에 상기 상부 홀더부재 또는 하부 홀더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공간부 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부 홀더부재 또는 하부 홀더부재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한 쌍의 그립퍼;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그립퍼 작동부재;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그립퍼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퍼 작동부재는,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의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그립퍼에 형성되어 있는 탭홀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외측 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설치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은,
(S1)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S2)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가 경화한 후, 상부 홀더부재와 하부 홀더부재를 각각 상부 지그의 홀더그립유닛과 하부 지그의 홀더그립유닛에 고정하는 단계; 및,
(S3) 인장력발생부를 구동시켜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S1) 단계에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를 시트르산 경화제를 혼합하여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과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 사이에 도포하는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 단계에서는 진자부재의 와이어를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의 중심축과 피시험체의 중심축에 일치하여 하중축을 정렬한 상태로 상부 홀더부재와 하부 홀더부재를 홀더그립유닛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 혹은 섬유 시트 형태의 재료로 된 피시험체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플라이우드로 된 상부 홀더부재와 하부 홀더부재와 접착시켜 인장 시험을 수행하므로,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화되지 않고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인장 하중에 대해서 큰 변형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인장 및 피로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제의 경화 시간이 짧고 다양한 재료의 계면에 잘 접착하므로 인장 시험의 준비 작업이 용이하고, 시험 준비 과정에서 접착제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진자부재를 이용하여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의 중심축과 피시험체의 중심축을 일치하게 하여 하중축을 정렬함으로써 인장 시험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에 피시험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를 수행하기 위한 피시험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피시험체의 측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 상기 상부 홀더부재(111)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상부 지그(130), 상기 하부 홀더부재(112)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하부 지그(140), 상기 상부 지그(130)와 하부 지그(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10)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는 플라이우드(plywood)와 같이 사각 평판 형태를 갖는 목재 재질로 되어 각각이 피시험체(10)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120)에 의해 결합된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는 상온에서부터 대략 -270℃의 극저온 온도 범위에 대해서 접착제로서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며, 높은 하중에 대해서 큰 변형을 수반하지 않으며, 경화 시간이 짧고 다양한 재료의 계면에 잘 접착하는 특성을 갖는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는 공기 중의 수분과 결합하여 경화하지만, 경화를 더욱 촉진시켜 경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시트르산 경화제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 및 시트르산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120)를 사용함으로써 1~12 시간 정도의 짧은 경화 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극저온 시험 시에도 20kN 이상의 높은 인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피시험체(10)과 상부 홀더부재(111) 및 하부 홀더부재(112) 간에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피시험체(10)에 접착제(120)를 도포하고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를 접착한 후 그 위에 무거운 중량물을 올려 놓고 압착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연 경화되므로 경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이점도 얻을 수 있다.
상부 지그(130)는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를 가지며, 하측에 상부 홀더부재(111)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공간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간부(131)는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부 지그(140)는 상부 지그(130)와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측에 하부 홀더부재(112)가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오목한 홈 형태로 공간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지그(130)와 하부 지그(140)의 공간부(131, 141) 내에는 각각 상부 홀더부재(111) 및 하부 홀더부재(112)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 지그(130)의 홀더그립유닛과 하부 지그(140)의 홀더그립유닛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홀더그립유닛은, 상부 지그(130) 또는 하부 지그(140)의 공간부(131, 141) 내에 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슬라이딩하면서 상부 홀더부재(111) 또는 하부 홀더부재(112)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한 쌍의 그립퍼(151)와, 상기 상부 지그(130) 또는 하부 지그(140)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151)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그립퍼 작동부재와, 상기 상부 지그(130) 또는 하부 지그(140)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151)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그립퍼가이드부재(1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그(130)의 공간부(131) 하측의 전단부와 후단부와, 상기 하부 지그(140)의 공간부(141) 상측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는 상기 그립퍼(15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155)가 수평하게 설치된다.
상기 그립퍼(151)는 공간부(131, 141) 내측에 2개가 한 쌍으로 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로 되어 그립퍼 작동부재에 의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피시험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합된 상부 홀더부재(111) 및 하부 홀더부재(112)를 고정 또는 해제한다. 상기 그립퍼(151)가 피시험체(10)의 면에 밀착되어 고정할 때 그립퍼(151)와 피시험체(10) 간의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립퍼(151)의 내측면에 널링(knurling) 또는 상하로 배열되는 이빨 형태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퍼 작동부재는 상기 상부 지그(130) 또는 하부 지그(140)의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그립퍼(15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탭홀(151a)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축(152)과, 상기 나사축(152)의 외측 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설치된 핸들(153)을 포함한다. 상기 탭홀(151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축(152)의 외면에는 암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153)을 잡고 나사축(152)을 돌리면 나사축(152)의 수나사산과 탭홀(151a)의 암나사산의 작용에 의해 그립퍼(151)가 수평 이동하게 된다.
그립퍼가이드부재(154)는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공간부(131, 141)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설치되어, 그립퍼(151)의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32, 142) 내측으로 삽입되는 샤프트 또는 바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장력발생부(미도시)는 상부 지그(130) 및/또는 하부 지그(14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10)에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으로, 공지의 인장 시험기에 사용하는 인장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장 시험 시 상부 지그(130)와 피시험체(10)과 하부 지그(140)의 중심축이 정확하게 하중축과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지그(130)의 일면의 중심부에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161)와, 상기 와이어(16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162)를 포함하는 진자부재(1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에 피시험체(10)을 장착할 때 상기 진자부재(160)를 통해서 정확하게 하중축을 정렬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진자부재(160)의 와이어(161)가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지그(130)의 중심축 및 하부 지그(140)의 중심축에 소정 형태의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진자부재(160)의 와이어(161)는 금속 재질의 강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지그(130)의 일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베어링(16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자브라켓(164)의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극저온 온도 환경에서 피시험체(10)의 인장 및 피로 성능을 평가하고자 할 경우, 상부 지그(130)와 하부 지그(140) 사이에 피시험체(10)을 장착하고, 이를 극저온챔버 내부에 투입한 상태에서 인장력을 부여하여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시험체(10)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120)를 이용하여 상부 홀더부재(111) 및 하부 홀더부재(112)를 각각 결합한다. 이 때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에 시트르산 경화제를 소정의 배합비로 혼합한 접착제(12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홀더부재(111) 및 하부 홀더부재(112)에 접착제(120)를 도포하고 피시험체(1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밀착시킨 후, 접착제를 상온에서 자연 경화시킬 수도 있으나, 접착제(120)를 다량 도포한 경우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물로 압착한 상태로 경화시킬 수도 있다. 접착제(120)의 경화는 대략 1~2 시간 정도 소요되므로, 기존의 에폭시또는 폴리우레탄 계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대략 7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됨)보다 경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가 경화하여 피시험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가 완전히 부착된 후,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를 각각 상부 지그(130)의 홀더그립유닛과 하부 지그(140)의 홀더그립유닛에 고정한다. 즉, 상부 홀더부재(111)를 상부 지그(130)의 공간부(131) 내측으로 삽입하고, 핸들(153)을 돌려서 그립퍼(151)를 상부 홀더부재(111) 쪽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그립퍼(151) 사이에 상부 홀더부재(111)를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부 홀더부재(112)를 하부 지그(140)의 공간부(141) 내측으로 삽입하고, 핸들(153)을 돌려서 그립퍼(151)를 하부 홀더부재(112) 쪽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그립퍼(151) 사이에 하부 홀더부재(112)를 밀착시켜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때, 상기 진자부재(160)의 와이어(161)를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의 중심축과 피시험체(10)의 중심축을 일치하게 하여 하중축을 정렬한다.
특정한 온도 환경, 예를 들어 극저온 온도 환경에서 피시험체(10)의 인장 및 피로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 피시험체(10)가 고정된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를 저온 챔버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하는 작업을 추가로 수행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피시험체(10)가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에 하중축이 정렬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면, 인장발생부(미도시)를 구동시켜 상부 지그(130) 또는 하부 지그(140)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10)에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는 직물 혹은 섬유 시트 형태의 재료로 된 피시험체(10)를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120)를 이용하여 플라이우드로 된 상부 홀더부재(111)와 하부 홀더부재(112)와 접착시켜 인장 시험을 진행한다. 따라서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접착제(120)의 접착력이 약화되지 않고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인장 하중에 대해서 큰 변형을 수반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인장 및 피로 성능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제(120)의 경화 시간이 짧고 다양한 재료의 계면에 잘 접착하므로 인장 시험의 준비 작업이 용이하고, 시험 준비 과정에서 접착제(120)에서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정확한 시험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진자부재(160)를 이용하여 상부 지그(130) 및 하부 지그(140)의 중심축과 피시험체(10)의 중심축을 일치하게 하여 하중축을 정렬함으로써 인장 시험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피시험편 111 : 상부 홀더부재
112 : 하부 홀더부재 120 : 접착제
130 : 상부 지그 131 : 공간부
132 : 가이드홀 140 : 하부 지그
141 : 공간부 142 : 가이드홀
151 : 그립퍼 152 : 나사축
153 : 핸들 154 : 그립퍼가이드부재
155 : 서포트플레이트 160 : 진자부재
161 : 와이어 162 : 무게추
163 : 베어링 164 : 진자브라켓

Claims (9)

  1.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각각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는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상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홀더부재를 고정하는 홀더그립유닛을 구비하는 하부 지그;
    상기 상부 지그와 하부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력발생부; 및,
    상기 상부 지그의 일면의 중심부에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하중축 정렬을 위한 진자부재;
    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부재의 와이어는 상부 지그의 일면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진자브라켓의 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와 시트르산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에 의해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그립유닛은,
    상부 지그의 하측 또는 하부 지그의 상측에 상기 상부 홀더부재 또는 하부 홀더부재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공간부 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상부 홀더부재 또는 하부 홀더부재의 양측면에 가압 밀착되는 한 쌍의 그립퍼;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그립퍼 작동부재;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에 대해 상기 한 쌍의 그립퍼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그립퍼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 작동부재는, 상기 상부 지그 또는 하부 지그의 양면을 관통하여 상기 그립퍼에 형성되어 있는 탭홀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의 외측 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도록 설치된 핸들을 포함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S1) 직물 또는 섬유 소재로 된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에 시아노아크릴레이트(Cyanoacrylate ; CA)계열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를 각각 결합하는 단계;
    (S2) 상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가 경화한 후, 상부 홀더부재와 하부 홀더부재를 각각 상부 지그의 홀더그립유닛과 하부 지그의 홀더그립유닛에 고정하는 단계; 및,
    (S3) 인장력발생부를 구동시켜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를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시험체에 인장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S2) 단계에서 진자부재의 와이어를 상부 지그 및 하부 지그의 중심축과 피시험체의 중심축에 일치하여 하중축을 정렬한 상태로 상부 홀더부재와 하부 홀더부재를 홀더그립유닛에 고정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시아노아크릴레이트(CA)계열의 접착제를 시트르산 경화제를 혼합하여 피시험체의 상단부 양면 및 하단부 양면과 상부 홀더부재 및 하부 홀더부재 사이에 도포하여 접착하는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방법.
  9. 삭제
KR1020200146335A 2020-11-04 2020-11-04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KR102431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35A KR102431856B1 (ko) 2020-11-04 2020-11-04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335A KR102431856B1 (ko) 2020-11-04 2020-11-04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388A KR20220060388A (ko) 2022-05-11
KR102431856B1 true KR102431856B1 (ko) 2022-08-11

Family

ID=8160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335A KR102431856B1 (ko) 2020-11-04 2020-11-04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8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0095B (zh) * 2023-11-10 2024-02-02 鸿安(福建)机械有限公司 一种碳纤维制品疲劳强度检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851A (ja) * 2000-05-15 2001-11-27 Jsr Corp 被覆ファイバの力学特性試験方法および引張試験機
JP2010145343A (ja) 2008-12-22 2010-07-01 Shinshu Univ 極細繊維把持装置、把持方法および極細繊維試験装置
JP2013181902A (ja)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Rayon Co Ltd ストランド引張試験片
JP2014074655A (ja) 2012-10-04 2014-04-24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長繊維強化金属基複合材料の引張強度試験方法及び引張試験片
KR102026288B1 (ko) 2017-11-30 2019-09-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물성계측을 위한 지그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201Y2 (ko) * 1985-11-21 1992-02-07
JPH0593680A (ja) * 1991-10-02 1993-04-16 Kobe Steel Ltd 合成繊維に樹脂液を含浸させて固化した棒状体の引張試験用治具
IT1273181B (it) * 1994-05-05 1997-07-07 Sip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misura delle proprieta' viscoelastiche di rivestimenti polimerici di fibre ottiche
KR101262893B1 (ko) 2011-10-21 2013-05-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박판 인장 및 피로 시험용 지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박판 인장 및 피로 시험 방법
KR101399891B1 (ko) 2012-11-29 2014-05-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인장시험용 그립장치 및 이를 갖는 인장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8851A (ja) * 2000-05-15 2001-11-27 Jsr Corp 被覆ファイバの力学特性試験方法および引張試験機
JP2010145343A (ja) 2008-12-22 2010-07-01 Shinshu Univ 極細繊維把持装置、把持方法および極細繊維試験装置
JP2013181902A (ja) 2012-03-02 2013-09-12 Mitsubishi Rayon Co Ltd ストランド引張試験片
JP2014074655A (ja) 2012-10-04 2014-04-24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長繊維強化金属基複合材料の引張強度試験方法及び引張試験片
KR102026288B1 (ko) 2017-11-30 2019-09-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강화복합재료의 물성계측을 위한 지그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388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 review of multiaxial/biaxial loading tests for composite materials
US20110000307A1 (en) Test apparatus and method
Bert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composites
KR102431856B1 (ko) 직물 또는 섬유 소재의 인장 및 피로 성능 시험 장치 및 방법
Reis et al. Stress relaxation in delaminated carbon/epoxy composites
EP2293041B1 (en) A test specimen for testing through-thickness properties
Girard et al. Bearing behavior of mechanically fastened joints in composite laminates--Part I: strength and local strains
Zhou et al. Investigation for the reduction of in-plane compressive strength in preconditioned thin composite panels
Craig et al. Poisson's ratios in glass fibre reinforced plastics
Sen et al. Failure response of two serial bolted aluminum sandwich composite plates
Joyce et al. Compression strength reduction in composites with in-plane fiber waviness
Munjal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design allowables for fiber reinforced composites
Alhazmi et al. Notch tensile strength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 plate with a center hole under static and cyclic loading
Grape et al. Failure in carbon/polyimide laminates under biaxial compression
Khamseh et al. Failure mechanisms of composite plates with a circular hole under remote biaxial planar compressive loads
Hong Fatigue and fracture of the FRP-wood interface: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limits
Bang et al. Effect of Aramid Fiber on the Properties of Glass Fiber-Reinforced Composite for Cryogenic Applications
Hadigheh et al. Shear debonding of FRP plates from concrete surface: using modified single lap shear test set-up
Kotik et al. 3D Quasi-Static Strengths and Elastic Constants of Glass Fiber Reinforced Polyester Composite Extracted From a Wind Turbine Blade
Greenhalgh et al. A method to determine propagation direction of compressive fracture in carbon-fibre composites
Carlsson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ace sheet and core materials
Isna et al. Properties Comparison of Open Hole and Non-Hole Carbon UD-Lycal Composite with Vacuum Bagging Manufacturing Method
El-Senussi et al. Critical strain energy release rate during delamination of carbon fibre reinforced plastic laminates
Broughton et al. Through-thickness testing of polymer matrix composites.
Harding Mechanical Behavior of Composite Materials under Impact Loa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