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487B1 -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487B1
KR102431487B1 KR1020210136793A KR20210136793A KR102431487B1 KR 102431487 B1 KR102431487 B1 KR 102431487B1 KR 1020210136793 A KR1020210136793 A KR 1020210136793A KR 20210136793 A KR20210136793 A KR 20210136793A KR 102431487 B1 KR102431487 B1 KR 10243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material
fluff
flame
form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1013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Acrylonitrile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Oxi-pan 재료로 형성된 난연부직포의 접합면에 소정 부피의 보플로 구성되는 보플앰보싱층이 형성되는 난연부직포성형단계; 다공성의 흡음효과가 형성되는 재료로 형성된 흡음재의 접합면에 소정깊이의 사선경로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흡음재성형단계; 상기 난연부직포성형단계 및 상기 흡음재 성형단계가 진행된 난연부직포와 상기 흡음재의 접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접착제 도포 및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흡음재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and flame retardant sound-absorbing materials}
본 발명은 경량 난연 흡음재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존 흡음 및 난연 복합재는 흡음소재와 난연소재를 열처리하여 접합하는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열처리된 흡음소재와 난연소재를 압착하여 연처리부위가 고르게 접촉될 수 있도록 처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처리 및 압착공정은 제품의 외관에 직접 접촉되는 압착공정이 적용되며 볼륨이 기존보다 축소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볼륨감이 저감된 복합재는 흡음 성능이 기존보다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10-1526655(2015.06.01 등록)에서 탄소나노튜브 적용 발포 우레탄 폼을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외관 절삭공정을 마지막 단계에 수행될 수 있도록 공정을 개선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526655 (2015.06.01.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열처리 및 압착공정을 대체하여 흡음소재와 난연소재를 접합할 수 있는 흡음재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Oxi-pan 재료로 형성된 난연부직포의 접합면에 소정 부피의 보플로 구성되는 보플앰보싱층이 형성되는 난연부직포성형단계; 다공성의 흡음효과가 형성되는 재료로 형성된 흡음재의 표면에 소정깊이의 사선경로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흡음재성형단계; 상기 난연부직포성형단계 및 상기 흡음재 성형단계가 진행된 난연부직포와 상기 흡음재의 접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접착제 도포 및 결합 단계; 를 포함하는 흡음재 제작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제작방법은 난연재의 일측에 보플앰보싱층을 형성하고 흡음재의 일측에 사선홈을 형성하여 접착제만으로 충분한 접합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성형단계가 진행된 흠음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음재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흠음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제작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흠음재제작방법은 난연부직포성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는 원단형태의 Oxi-pan 소재의 난연부직포(100)를 접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성형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는 난연부직포(100)의 접합면에 보플앰보싱층(110)을 생성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때,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는 사포와 같은 일측이 거친면이 형성된 도구로 난연부직포(100)의 접합면에 마찰을 형성하는 공정이 시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약품으로 표면을 처리하거나 칼날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등 보플앰보싱층(110)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공정도 무방하다.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에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보플앰보싱층(110)은 난연부직포(100)의 일측으로 보플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층이 될 수 있다.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는 보플앰보싱층(110)은 난연부직포(100)의 부피의 30% ~ 50%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흡음재제작방법은 흡음재성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흡음재성형단계(S2)는 흡음재(200)의 일측을 가공하여 표면적을 넓혀 접합력을 증대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흡음재성형단계(S2)에서 가공되는 흡음재(200)는 탄소(C), 산소(O) 및 규소(Si)성분으로 형성되는 스펀지형 흡음재가 될 수 있다. 흡음재성형단계(S2)는 흡음재(200)의 접합면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사선경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을 형성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음재성형단계(S2)가 진행된 흡음재는 접합면의 표면적이 1.2 ~ 1.4배 이상 증가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흡음재성형단계(S2)에 형성되는 홈은 도 2와 같이 사각단면의 형태홈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음재성형단계가 진행된 흠음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변형예에 따른 흡음재성형단계(S2)는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은 요철형태 '凸'형태의 홈이 될 수 있다. 이때, 상부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공간은 앰보싱삽입로(211)가 될 수 있다. 앰보싱삽입로(211)는 보플앰보싱층(110)이 인입되는 입구가 될 수 잇다. 앰보싱삽입로(211)는 보플앰보싱층(110)의 인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이 라운드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은 앰보싱삽입로(211)의 내측 끝단에 접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12)는 앰보싱삽입로(2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된 홈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접착부(212)는 보플앰보싱층(110)이 인입되어 접착제가 도포되어 부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부(212)는 표면이 톱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접착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이 형성된 흠음재(200)는 난연부직포(100)와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흠음재제작방법은 접착제 도포 및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 및 결합단계(S3)는 난연부직포성단계 및 흡음재성형단계가 진행되어 제작된 난연부직포(100)와 흡음재(200)가 결합되는 과정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흡음재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흠음재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과장되어 표현된 부분이 있음을 알려둔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착제 도포 및 결합단계(S3)는 난연부직포(100)와 흡음재(200)의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A)는 난연부직포(100)와 흡음재(200)가 결합이 견고하게 될 수 있는 충분한 양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 및 결합단계(S3)는 난연부직포(100)에 형성된 보플앰보싱층(110)이 결합 시 발생되는 쏠림에 의해 뭉쳐져 돌기형태가 될 수 있다. 돌기형태로 뭉쳐진 보플앰보싱층(110)은 흡음재(200)에 형성된 보플앰보싱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난연부직포(100) 및 흡음재(200)는 서로 적층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난연부직포(100) 및 흡음재(200)는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 내지 흡음재성형단계(시 S2)가 진행되어 접착면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별도의 열처리나 압착과정 없이 충분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제작방법은 난연재의 일측에 보플앰보싱층을 형성하고 흡음재의 일측에 사선홈을 형성하여 접착제만으로 충분한 접합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번위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S1 : 난연부직포성형단계 S2 : 흡음재성형단계
S3 : 접착제 도포 및 결합 단계 100 : 난연부직포
110 : 보플앰보싱층 200 : 흡음재 210 : 보플앰보싱삼입홈 A : 접착제

Claims (5)

  1. Oxi-pan 재료로 형성된 난연부직포(100)의 접합면에 소정 부피의 보플로 구성되는 보플앰보싱층(110)이 형성되는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
    다공성의 흡음효과가 형성되는 재료로 형성된 흡음재(200)의 접합면에 소정깊이의 사선경로로 형성된 복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흡음재성형단계(S2);
    상기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 및 상기 흡음재성형단계(S2)가 진행된 난연부직포(100)와 상기 흡음재(200)의 접합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적층되는 접착제 도포 및 결합 단계(S3); 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성형단계(S2)는
    상기 흡음재(200)에 사선경로로 형성된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보플앰보싱삽입홈(210)은
    요철형태 '凸'형태의 홈으로 형성되고
    요철형태의 상부방향의 외측으로 개방된 공간은 상기 보플앰보싱층(110)이 인입되는 입구로 형성되는 앰보싱삽입로(211); 가 형성되고
    상기 앰보싱삽입로(211)의 내측 끝단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홈형태의 접착부(212);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212)는 표면이 톱날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흡음재 제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부직포성형단계(S1)는
    상기 보플앰보싱층(110)은 상기 난연부직포(100)의 부피의 30%~50% 비율로 형성되는 흡음재 제작방법.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 및 결합단계(S3)는
    상기 보플앰보싱층(110)이 뭉쳐져 돌기형태가 형성되어 상기 보플앰보싱삽입홈(210)에 삽입되고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되는 흡음재 제작방법.
KR1020210136793A 2021-10-14 2021-10-14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KR10243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93A KR102431487B1 (ko) 2021-10-14 2021-10-14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793A KR102431487B1 (ko) 2021-10-14 2021-10-14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487B1 true KR102431487B1 (ko) 2022-08-11

Family

ID=8280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793A KR102431487B1 (ko) 2021-10-14 2021-10-14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4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457B2 (ja) * 2002-05-24 2008-08-20 住江織物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7672A (ja) * 2008-01-15 2009-07-30 Sekisui Chem Co Ltd 防音床下地材
KR20140032776A (ko) * 2012-09-07 2014-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2226A (ko) * 2012-12-24 2014-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655B1 (ko) 2013-03-21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적용 발포 우레탄 폼을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6457B2 (ja) * 2002-05-24 2008-08-20 住江織物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ペ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7672A (ja) * 2008-01-15 2009-07-30 Sekisui Chem Co Ltd 防音床下地材
KR20140032776A (ko) * 2012-09-07 2014-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82226A (ko) * 2012-12-24 2014-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인슐레이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655B1 (ko) 2013-03-21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적용 발포 우레탄 폼을 이용한 자동차용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838B2 (ja) 防音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715163B2 (ja) 防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防音成形体及び防音方法
US7055649B2 (en) Multi-density sound attenu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WO2013035614A1 (ja) 吸気ダクト
JP2005512143A5 (ko)
KR20050018664A (ko) 밀도구배 패딩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
US3087574A (en) High acoustic transmission loss panel and the like
JP2010060048A (ja) 真空断熱材用芯材とそれを用いた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用芯材の製造方法
Nordin et al. Research finding in natural fibers sound absorbing material
KR102431487B1 (ko) 경량 난연 흡음재 제작방법
KR20130102320A (ko) 흡음성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TWM531713U (zh) 用於喇叭振動片之彈性複合結構
TWM259706U (en) Sound-absorptive composite material
Muralidharan Sound absorption behaviour of hybrid multilayer coir structure
KR102495144B1 (ko) 광대역 흡음이 가능한 흡음 패널 및 흡음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
JP3006967B2 (ja) 車両用防音材
JP2008297942A (ja) エンジンカバー
JP2001198906A (ja) 接合用ダボ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8017A (ja) 床材用緩衝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41503B2 (ja) 耐火性に優れた梁柱材
JP3375705B2 (ja) 木質系防音床材
JP2021169379A (ja) グラスウール嵩増し材、グラスウール成形品及びグラスウール成形品の製造方法
WO2019187890A1 (ja) 内装パネル及び内装パネルの製造方法
Bae et al. A Study on Sound Absorption of Polyester Dry-laid Nonwovens
JP2003094583A (ja) ポリエステル繊維製吸・遮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