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69B1 -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69B1
KR102431169B1 KR1020200004134A KR20200004134A KR102431169B1 KR 102431169 B1 KR102431169 B1 KR 102431169B1 KR 1020200004134 A KR1020200004134 A KR 1020200004134A KR 20200004134 A KR20200004134 A KR 20200004134A KR 102431169 B1 KR102431169 B1 KR 10243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s
zone
building
wa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0869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갱노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갱노노
Priority to KR102020000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9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복수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외벽선 데이터를 얻되,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와,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DISTRICT}
본 발명은 복수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장치에서 지도 정보를 제공하면서 부수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존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아주는 서비스, 대중 교통의 도착 정보를 지도 상에서 디스플레이해 주는 서비스 등이 존재한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 또한, 지도 정보를 제공하면서 부수되는 다양한 서비스들 중 하나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매물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컴퓨팅 장치의 활용에 능숙한 젊은 층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 온라인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땅을 기준으로, 행정 구역 상의 구분에 해당하는 구역 정보, 재건축 단지 구역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을 뿐, 건물들을 기준으로, 건물들이 점유하고 있는 구역의 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건물의 외벽이 지면과 맞닿아 이루는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함으로써, 건물들의 형상이 최대한 반영된, 상기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벽선을 조정 및 가공함으로써, 연산 속도가 증가된,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외벽선 데이터를 얻되,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와,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복수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점을 모두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의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복수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에 포함된 제1 건물의 외벽선을 복수의 외벽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외벽 구간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역의 외곽선을 구성하도록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건물 중 적어도 일부가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정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들의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정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얻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정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들 만의 외벽선 데이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제1 속성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속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건물 속성과 관련된 검색 조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속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구역과, 종래의 부지 구획선을 기준으로 한 구역을 대비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의 일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상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9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이 일부 변형된 또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은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른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참조될 수 있는 예시적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및/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시스템은 구역 형성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역 형성 시스템은 건물 DB 제공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역 형성 시스템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300)이 복수 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구역 형성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건물 DB 제공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과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물리 서버 또는 가상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구역 형성 장치(100)는 건물 DB 제공 서버(200)로부터 건물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제공된 건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 DB 제공 서버(200)는 국토 교통부 서버일 수 있으며, 건물에 관한 데이터는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일 수 있으며, 구역 형성 장치(100)는 국토 교통부 서버로부터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획득하여,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구역 형성 장치(100)의 동작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건물들의 외벽선을 기준으로 건물 구역(321)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은 후술될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또한, 구역 형성 장치(100)는 형성된 구역을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역 형성 장치(100)는 건물 DB 제공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300)에서 직접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건물 DB 제공 서버(200)는 외부 서버로부터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물 DB 제공 서버(200)는 건물의 위치 데이터 또는 업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건물 DB 제공 서버(200) 또는 구역 형성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기능 및 컴퓨팅 기능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역 형성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복수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나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그 주체에 대한 명시가 없는 경우, 그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01에서,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가 얻어진다. 상기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외벽선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형태로 구성되거나, 각각외 벽선을 표현하는 좌표쌍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모든 건물에 대한 외벽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는 특정 지역의 모든 건물 중 특정 업종과의 적합성이 인정되는 건물들에 대한 외벽선 데이터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가 얻어질 때, 상기 복수 건물의 위치에 대한 데이터도 함께 얻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02에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된다. 즉, 기존의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역 정보가 땅의 구획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구역은 건물의 외벽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제공하는 구역 정보는 건물들의 형상이 최대한 반영된 구역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땅의 구획 정보를 기준으로 형성된 구획 구역(322)이 시각화 되어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획 구역(322)은 건물의 점유 부분과 관계없이 땅의 구획 정보를 기준으로 구획된 것이다. 건물의 점유 부분과 상기 건물이 속한 부지의 차이가 큰 경우, 구획 구역(322)은 건물을 기준으로 위치 정보 등을 인식하는 사용자의 관념과 동떨어진 구역이 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건물 구역(321)은 구역을 구성하는 복수 건물들의 외벽선을 기준으로 형성된 것이다. 건물 구역(321)은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하여 구역을 형성함으로써, 건물을 기준으로 위치 정보 등을 인식하는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복수 건물들의 외벽선을 기준으로 건물 구역(321)이 형성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건물들(311)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형성된 최외벽선을 이용하여 건물 구역(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복수 건물에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으로 직감하는 것에 가장 가까운 건물 구역(321)이 형성되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복수 건물(311) 각각의 외벽선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이용되어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건물(311) 각각의 외벽선 중 적어도 일부는 형성된 구역의 외곽선 중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건물 구역(321)의 형성 방법이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건물들의 외벽선을 기준으로 건물 구역(321)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은 후술될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02에서 형성된 구역은 디지털 지도 상에 시각화 되어 오버레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 구역(321)을 형성하기 전에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에 대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1에서, 상기 외벽선 데이터가 외벽선이 평탄화 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평탄화는 개별 건물의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꼭지점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꼭지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복잡한 개별 건물의 외벽선을 기본 도형으로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꼭지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볼록한 꼭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평탄화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적용될 수 있다. 외벽선이 평탄화 되도록 데이터를 조정함에 따라 개별 건물의 외벽선을 그대로 이용할 때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벽선 데이터의 조정을 통해 기본 도형에 가깝게 외벽선이 평탄화 됨으로써, 건물의 세세한 디테일을 기준으로 건물의 구역을 기억하지 않는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12에서, 조정된 외벽선 데이터가 이용되어,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된다. 복수 건물의 외벽선이 이용되는 S102 단계와 달리, 복수 건물의 조정된 외벽선 데이터가 이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설명한 바, 조정된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 형성된 구역은 복잡한 건물의 세세한 디테일을 기준으로 구역을 기억하지 않고, 기본 도형으로 관념화 하여 구역을 기억하는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는, 기존의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역 정보가 땅의 구획 정보를 기준으로 하는 것과 달리, 건물의 조정된 외벽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점에서, 건물의 형상 또한 최대한 반영된 구역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6을 참조하여, 조정 필요 건물(312)의 외벽선이 평탄화 되도록 조정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평탄화는 건물의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꼭지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나아가, 다각형의 꼭지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볼록한 꼭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조정 필요 건물(312)은 육각형의 건물에 해당한다. 볼록한 양 꼭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조정된 외벽선(331)을 형성한다. 조정된 외벽선(331)은 오각형에 해당하여, 앞서 정의한 외벽선의 평탄화에 해당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조정 필요 건물(312)의 외벽선이 평탄화 되도록 조정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상기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꼭지점의 개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복잡한 개별 건물의 외벽선을 기본 도형으로 변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조정 필요 건물(312)은 오목한 홈을 가진 팔각형 모양의 외벽선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다. 오목한 홈 부분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조정을 거칠 수 있다. 조정된 외벽선(331)은 기본 도형인 사각형에 해당하여, 앞서 정의한 외벽선의 평탄화에 해당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조정된 외벽선(331)에 의해 형성된 조정 구역(323)이 시각화 되어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정 구역(323)은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구역은 디지털 지도 상에 확대되어 표시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선이 반영된 형상의 구역을 표시하면서도, 사용자가 구역의 형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 모두를 포함하는 오목 선체가 확대되어 디지털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확대 비율은 상기 오목 선체 내부에 포함된 건물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되거나, 상기 오목 선체 내부에 포함된 상기 대표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지도에 대한 줌-아웃(zoom-out) 조작에 따라 축적 레벨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되면, 어차피 구역의 형태를 식별하기 어렵게 되므로, 상기 형성된 구역을 단순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형성된 구역을 원형 또는 정사각형, 정삼각형 등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구역이 단순화 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 지정된 형상으로 치환되어 표시된 구역 표시의 색상을 통하여, 상기 구역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역 내부의 건물 수에 따라 상기 구역 표시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구역의 넓이에 따라 상기 구역 표시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 구역(321)을 형성하기 전에 건물의 대표점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대표점은 외벽선을 구성하는 외벽 직선 상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벽 직선을 얻기 위해 외벽선을 이루는 각 외벽 직선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벽선을 외벽 직선이 아닌 외벽선을 이루는 각 외벽 구간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외벽선을 분할 또는 구분하는 단계는 대표점을 설정하기 위한 사전 단계에 해당한다. 다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외벽선을 구성하는 외벽 직선 또는 외벽 구간 상에 대표점을 설정하기 위한 모든 사전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21에서, 외벽 직선 상에 위치한 대표점이 설정된다. 상기 대표점은 건물의 외벽 직선 상에 단일한 외벽 직선의 중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대표점은 건물의 외벽 직선 상에 복수가 설정될 수 있다. 대표점 설정에 있어서, 외벽 직선 각각에 대하여 부여되는 가중치에 기반하여 대표점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대표점의 개수를 결정하는 가중치는 외벽 직선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수록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외벽 직선 상에 위치한 대표점을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은 후술될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다음으로, 단계 S122에서, 상기 대표점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된다. 즉, 외벽선 자체를 건물의 구역 정보로 제공하는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는 구역은 건물의 대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점에서,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대표점을 설정하는 경우,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외벽 직선 상의 대표점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가중치는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잡을 수 있는 절충적 방안에 해당한다.
대표점(332)을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S122)는, 모든 대표점(332)을 포함하는 오목 선체를 획득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오목 선체가 곧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 선체를 구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는 "A New Concave Hull Algorithm and Concaveness Measure for n-dimensional Datasets", JIN-SEO PARK et al.,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28, 587-600 (2012) 등의 공개된 문헌이 참조될 수 있다.
다만, 대표점을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S122)는 오목 선체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볼록 선체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구역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대표점(332)을 기준으로 형성된 대표점 건물 구역(324)은 대표점(332)을 이용함으로써, 건물의 형상을 반영하면서도, 컴퓨팅 장치의 연산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복수 건물이 점유하고 있는 구역에 대한 시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대표점(332)이 외벽 직선의 중점에 해당하는 경우, 이를 기준으로 형성된 대표점 건물 구역(324)이 도시된다. 복수 건물(311)의 외벽선을 이루는 모든 외벽 직선의 중점에 대표점(332)이 설정되어, 건물의 구역 정보를 전달한다. 복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벽선 데이터를 그 자체로 이용하지 않음에도, 외벽 직선 상의 하나의 대표점(332)을 이용해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표점(332)에 의해 형성된 대표점 건물 구역(324)은 각 건물의 외벽선이 이루는 도형의 무게 중심점을 전부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신뢰성 높은 건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대표점(332)이 설정되어, 이를 기준으로 형성된 대표점 건물 구역(324)이 도시된다. 외벽 직선 상에 설정되는 대표점(332)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건물의 형상이 최대한 반영되는 구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 건물(311)의 외벽선 꼭지점이 대표점(332)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복수 건물(311)의 점유 위치가 규칙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특정 구역의 경우, 꼭지점을 대표점(332)으로 설정함으로써,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건물의 형상이 반영된 구역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대표점(332) 설정에 있어서, 외벽 직선 상의 대표점(332)의 개수를 결정하는 가중치가 고려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벽 직선 상의 가중치를 설정함에 따라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하면서도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절충적인 방안이다. 가중치를 설정함에 있어서, 도 12에서와 같이 건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외벽 직선 상의 대표점의 개수가 많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될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업종이 밀집한 건물의 경우, 상기 건물의 외벽 직선에 다수의 대표점(332)이 설정되는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건물의 중요도를 가중치로 고려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구역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중요 건물의 형상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도 13에서와 같이 도로와 근접한 외벽 직선에 다수의 대표점(332)이 설정될 수 있다. 도로와 근접한 외벽 직선의 경우, 대표점 건물 구역(324)의 외곽이 될 수 있고, 구역의 외곽에서 건물의 형상이 최대한 반영됨으로써, 건물을 기준으로 위치 정보 등을 인식하는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서와 같이 외벽 직선의 길이가 외벽 직선 상에 설정될 대표점(332)의 개수를 결정하는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외벽 직선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수록 가중치가 높게 형성됨으로써, 건물의 절대적 크기가 구역 형성에 반영되어, 건물의 형상에 부합하는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건물의 크기는 중점적으로 인식되는 관념에 해당하므로, 외벽 직선의 길이를 가중치로 고려함에 따라, 이러한 사용자의 관념에 부합한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최근접 건물과 마주하는 외벽 직선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외벽 직선 상에 설정될 대표점의 개수를 결정하는 고려 요소가 될 수 있다. 최근접 건물과 마주하는 외벽 직선의 경우, 대표점 건물 구역(324)의 외곽에 해당할 수 없으므로, 감산치를 두어 외벽 직선 상의 대표점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불필요한 대표점(332)을 삭제함으로써, 컴퓨팅 장치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22에서 형성된 구역은 디지털 지도 상에 시각화 되어 오버레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의 위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이용하여,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단계 S131에서, 복수 건물의 위치 데이터가 얻어진다. 상기 복수 건물의 위치 데이터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고, 저장 수단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위치 데이터는 외벽선 데이터로부터 얻어질 수도 있다. 별도의 위치 데이터를 얻을 필요 없이 외벽선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는 이미지 형태로 구성되거나, 각각의 위치를 표현하는 좌표쌍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단계 S132에서, 상기 복수 건물 각각의 위치 대표점이 산출된다. 위치 대표점은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무게중심이 될 수 있다. 위치 대표점을 산출함으로써, 건물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대표점을 외벽선이 이루는 다각형의 무게중심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인식하는 관념에 부합한 건물과 건물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위치 대표점은 무게중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일관되어 정의된 위치 대표점의 경우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3에서,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건물들의 그룹을 구성(S134)한다.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건물들은 그룹을 구성하지 않는다. 상기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는 건물의 위치 대표점에 해당하는 외벽선이 이루는 도형의 무게중심 사이의 거리가 해당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는 외벽선 간의 최단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5에서, 상기 그룹에 포함된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제공하는 구역 정보는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가 이용되는 것에 더하여, 건물의 위치 데이터가 이용됨으로써, 기준 거리 내에 그룹화 할 수 있는 건물들의 점유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건물의 위치 데이터를 얻어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그룹의 그룹 건물 구역(325)이 형성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내 복수 건물(311) 외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구역 외 건물(313)은 그룹 건물 구역(325)에 포함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기준 거리 내에 그룹화 할 수 있는 건물들의 점유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지역 내 복수 건물 밀집 구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135에서 형성된 구역은 디지털 지도 상에 시각화 되어 오버레이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 위치 데이터에 더해, 건물에 소재하는 점포의 업종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건물들의 그룹을 구성함에 있어, 최근접 건물은 특정 업종과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이 될 수 있다. 단계 S133 내지 단계 S135에서, 건물에 소재한 업종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기준 거리내 동종 업종이 종사하는 건물을 그룹화하여 점유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지역 내 동종 업종이 소재한 복수 건물 밀집 구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지역 내 학원이 소재한 건물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형성하는 구역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역 정보는 학원의 구역 분포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대하여 특정 상권의 구역 분포를 얻을 수 있다. 특정 업종의 구역 분포는 사용자의 생활 주거 전반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보에 해당함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 업종에 관련된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만을 얻어 위와 같은 구역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얻는 단계 및 건물의 업종 데이터를 얻는 단계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업종과 관련 있는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구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업종과 관련성이 부정되는 지형 지물의 영역이 삭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단계 S141에서, 특정 업종과 관련성이 부정되는 지형 지물의 영역이 형성된 구역에서 삭제된다. 삭제되는 지형 지물의 영역은 마찬가지로, 지형 지물의 외벽선이 이용될 수 있다. 외벽선을 기준으로 구역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은 후술될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복수 건물(311)이 점유하는 건물 구역(321)내 복수 건물(311)과 업종 관련성이 없는 건물(314)이 도시된다. 업종 관련성이 없는 건물(314)이 차지하는 구역(326)은 형성된 건물 구역(321)에서 삭제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동종 업종에 관련된 건물들의 그룹이 형성하는 구역 내에 업종과 관련 없는 건물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원 건물들을 기준으로 그룹화한 경우, 해당 그룹의 점유 구역 내에 유흥업에 종사하는 건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업종의 건물 또는 원하는 업종과 무관한 자연 지형 등을 제거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업종이 소재한 건물만으로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종 업종의 구역 분포는 사용자의 생활 주거 전반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보에 해당하므로, 특정 업종의 소재 정보만이 선별적으로 선택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업종의 구역 분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업종과 관련성이 인정되는 지형 지물의 영역이 형성된 구역에 편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151에서, 형성된 구역 외의 특정 지형 지물의 영역이 편입된다. 편입되는 공공 건물의 구역은 공공 건물의 외벽선이 이용될 수 있다. 외벽선을 기준으로 구역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은 후술될 몇몇 실시예들을 참조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동종 업종에 해당하는 건물에 관련성이 인정되는 공공 건물이 포함되어, 해당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복수 건물(311)이 점유하는 건물 구역(321) 외 복수 건물(311)과 업종 관련성이 있는 공공 건물(315)이 도시된다. 업종 관련성이 있는 공공 건물(315)은 복수 건물 그룹에 편입되어 공공 건물이 포함된 구역(327)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학원 건물들을 기준으로 그룹화한 경우, 해당 그룹의 점유 구역 외의 업종 관련성이 인정되는 공공 건물은 학교 건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학원 건물 그룹뿐만 아니라 학교 건물이 해당 그룹에 포함되어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업종의 건물 및 해당 업종과 관련된 공공 건물이 포함된 그룹의 구역을 형성함으로써, 특정 업종뿐만 아니라 해당 업종에 관련 있는 공공 건물이 포함된 구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동종 업종 및 그와 관련된 공공 기관 건물의 구역 분포는 사용자의 생활 주거 전반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정보에 해당하므로, 하나의 범주로 묶을 수 있는 건물 분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건물의 속성에 해당하는 복수의 입력을 받아, 해당 속성 간의 논리 관계를 포함하는 조건식을 추가적으로 입력 받고, 개별 속성에 의해 형성되는 구역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속성 및 제2 속성의 논리 관계 조건식을 만족하는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건물을 기준으로 제1 속성 및 제2 속성에 관한 논리 관계의 조건식에 따라 조건식을 만족하는 해당 속성 건물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건물의 점유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제1 속성을 만족하는 제1 구역과 제2 속성을 만족하는 제2 구역을 별도로 형성하여 논리 관계의 조건식에 따라 조건식을 만족하는 해당 구역을 조정하여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적용 단계 순서 차이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건물의 속성에는 건물의 업종 정보, 건물의 용도 정보, 건물의 층수 정보, 건물의 연면적 정보, 건물의 평당 가격 정보, 건물의 임대료 정보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에 관한 모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해당하는, 건물의 속성 중 업종 정보를 기준으로 자세히 설명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의 업종 및 해당 업종 간의 논리 관계를 포함하는 조건식을 추가적으로 입력 받아, 개별 업종에 의해 형성되는 구역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단계 S191에서, 제1 업종, 제2 업종 및 제1 업종과 제2 업종 간의 논리 관계를 포함하는 조건식이 입력된다. 입력되는 논리 관계는 논리 회로의 논리식일 수 있다. 대표적으로 AND 또는 OR가 입력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든 논리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92에서, 제1 업종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제1 구역 및 제2 업종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제2 구역이 조정된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업종 및 제2 업종의 논리 관계 조건식을 만족하는 건물들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들의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건물을 기준으로 제1 업종 및 제2 업종에 관한 논리 관계의 조건식에 따라 조건식을 만족하는 해당 업종 건물 중,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는 건물의 점유 구역을 형성하는 방법 및 제1 업종을 만족하는 제1 구역과 제2 업종을 만족하는 제2 구역을 별도로 형성하여 논리 관계의 조건식에 따라 조건식을 만족하는 해당 구역을 조정하여 형성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적용 단계 순서 차이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4 내지 26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구역(328A), 제2 구역(328B) 및 조정된 구역(328C)이 도시된다. 제2 구역 내의 건물(317A 및 317B)과 제1 구역 내의 건물(316)은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으로 구역이 분리되어 있다. 구역을 조정하는 단계(S191)에 의해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에 포함된 모든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제1 구역(328A), 제2 구역(328B) 및 조정된 구역(328C)이 도시된다. 제2 구역 내의 건물(317B)과 제1 구역 내의 건물(316)은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으로 구역이 분리되어 있고,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모두 포함된 건물(317A)은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구역을 조정하는 단계(S191)에 의해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에 모두 포함된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6를 참조하면, 제1 구역(328A), 제2 구역(328B) 및 조정된 구역(328C)를 도시하고 있다. 제2 구역 내의 건물(317B)과 제1 구역 내의 건물(316)은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으로 구역이 분리되어 있고, 제1 구역 및 제2 구역에 모두 포함된 건물(317A)은 제1 구역(328A) 및 제2 구역(328B)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구역을 조정하는 단계(S191)에 의해 제1 구역(328A)의 건물 중 제2 구역(328B)에 포함되지 않은 건물(316)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서 예시된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에 지나지 않는다. 제1 업종 및 제2 업종의 논리 관계 조건식을 만족하는 건물 그룹이 점유하는 구역이 전부 포함될 수 있다. 제1 구역과 제2 구역을 조정하는 단계(S191)는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구역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원과 유흥 업종을 선택한 경우, 제1 구역인 학원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 내에 제2 구역 내의 건물인 유흥 업종이 소재한 건물을 제거한 학원 건물 점유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원과 학교를 선택한 경우, 제1 구역인 학원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과 제2 구역인 학교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모두 포함하는 구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7 내지 28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업종 선택 화면 및 구역 정보에 더불어 전달할 수 있는 구역의 수치 정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건물의 업종 데이터 제공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61) 및 업종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6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건물의 업종 데이터 제공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S161)에서, 업종을 선택하는 버튼(340)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업종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6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종을 표시하는 버튼(341)이 선택되지 않은 버튼과 색상을 달리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업종이 소재한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가 이용되어,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학원업을 선택한 결과, 학원이 소재한 최근접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학원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원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342)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은 형성된 구역의 수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구역의 수치 정보를 제공하는 GUI(350)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원업을 선택한 경우, 구역의 수치 정보를 제공하는 GUI(350)는 학원가의 규모 또는 비용 등 구역의 수치 정보를 선택하는 버튼(351)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규모 또는 비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역의 다양한 수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수치 정보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구역의 수치 정보가 제공되는 GUI(350) 내에 색상 띠(352)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복수의 구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학원업을 선택한 경우, 최근접 학원 건물 사이의 거리가 기준치 이하인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한 제3 구역(353)과 제4 구역(354)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구역의 수치 정보가 문자 태그(355)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태그(355)는 당해 지역내 업종 규모 또는 서비스 시간당 비용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구역의 다양한 수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구역의 수치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건물의 형상을 이용한 구역의 점유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구역의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된 컴퓨터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2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컴퓨팅 장치 및 상기 제2 컴퓨팅 장치는, 서버 장치,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DVD-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이하, 도 2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방법을 수행하는 구역 형성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역 형성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20), 버스(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만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구역 형성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9에 도시된 구역 형성 장치(100)는 하나의 프로세서(11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50)로부터 프로그램을 로드할 수 있다. 메모리(120)에 프로그램이 로드되면, 프로세서(110)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구역 형성 장치/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30)는 구역 형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30)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구역 형성 장치(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스토리지(150)는 프로그램을 비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구역 형성 장치(100)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및 조작하는 경우, 스토리지(150)는 실행 및 조작에 따라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50)는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조작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을 요청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50)는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메모리(120)에 로드 될 때 프로세서(110)로 하여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방법/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복수 건물의 외벽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121) 및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인스트럭션(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그램은 외벽선 데이터를 얻되, 상기 외벽선 데이터는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외벽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대표점을 설정하되, 상기 대표점은 상기 외벽선 상에 위치하는 것인, 인스트럭션 및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상기 대표점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2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8)

  1.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건물의 외벽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건물의 외벽선 상에 위치하는 대표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건물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특정 외벽선 상에 위치하는 대표점의 개수는,
    상기 특정 외벽선의 길이가 길수록 더 많게 결정되고,
    상기 특정 외벽선이 최근접 건물과 마주하는 외벽선인 경우에는 동일 길이의 다른 외벽선에 비해 더 적게 결정되는,
    구역 형성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복수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점을 모두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의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상에 복수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에 포함된 제1 건물의 외벽선을 복수의 외벽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외벽 구간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건물 각각의 외벽선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역의 외곽선을 구성하도록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지정 업종과의 관련성이 인정되는 건물들이 점유하는 구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6. 삭제
  7. 삭제
  8.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1 업종, 상기 제1 업종과 구별되는 제2 업종 및 조건식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조건식은, 상기 제1 업종과 상기 제2 업종 사이의 논리 관계를 나타내는 연산자임 - ;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업종, 상기 제2 업종, 및 상기 조건식을 이용한 연산의 결과로서 도출되는 검색 조건을 만족하는 복수의 건물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식별된 복수의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하여 형성된 구역을 디지털 지도 상에 오버레이 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역 형성 방법.
KR1020200004134A 2020-01-13 2020-01-13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KR10243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4A KR102431169B1 (ko) 2020-01-13 2020-01-13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134A KR102431169B1 (ko) 2020-01-13 2020-01-13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869A KR20210090869A (ko) 2021-07-21
KR102431169B1 true KR102431169B1 (ko) 2022-08-10

Family

ID=7714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134A KR102431169B1 (ko) 2020-01-13 2020-01-13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54B1 (ko) * 2010-01-12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맵 브라우징 장치 및 방법
KR101797325B1 (ko) * 2015-12-31 2017-11-14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 객체에 대한 다축척 모델 기반의 지도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0869A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0842B2 (en) Geographic population health information system
CN108960694B (zh) 配送区域确定方法和装置
US2021040990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splaying a heat map and providing heat data
US20110317016A1 (en) Camera layout determination support device
US9165311B1 (en) Navigation-based AD units in street view
JP694259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6671B1 (ko) 건물의 외벽선을 이용한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US8976169B1 (en) Rendering terrain patches
CA3163478A1 (en) Method of generating delivery range,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5132539A (ja) 日照量計算装置、経路提案装置および日照量計算方法
US200902313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phically displaying data
WO2020043070A1 (zh) 客流动线以及客流热区确定方法及装置
KR102431169B1 (ko) 구역 형성 방법 및 장치
JP7422682B2 (ja) 改良された地理的指標付け
US20190311509A1 (en) Generation and presentation of distance cartograms
CN116744231A (zh) 电子围栏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943407A (zh) 区域规划方法、装置、设备、可读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1738539B (zh) 一种拣货任务分配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7801418A (zh) 利用地图检索记录的流动人口推算装置及方法
CN113240306B (zh) 基于人工智能和大数据的商场选址方法及系统
KR20210094799A (ko) 부동산 클러스터를 시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51593B1 (ko) 단독건축물 자동건축설계 장치 및 방법
JP7390126B2 (ja) 軌跡データ分析システム
KR102561469B1 (ko) 부동산의 개발 또는 정비 사업에 관한 시각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7332994B (zh) 酒店多媒体资源分配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