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912B1 -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 Google Patents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12B1
KR102430912B1 KR1020220049464A KR20220049464A KR102430912B1 KR 102430912 B1 KR102430912 B1 KR 102430912B1 KR 1020220049464 A KR1020220049464 A KR 1020220049464A KR 20220049464 A KR20220049464 A KR 20220049464A KR 102430912 B1 KR102430912 B1 KR 10243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rt
brick
wall
anchor member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현
Original Assignee
중동건설(주)
(주)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동건설(주), (주)마로 filed Critical 중동건설(주)
Priority to KR102022004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3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 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단열 방식에서 치장벽돌벽 시공 시, 후단이 벽체에 정착된 앵커부재가 단열재의 전면으로 돌출된 전단에 가동결합부가 나사 결합되고 가동결합부의 전단에서 상하부 치장벽돌 사이에 벽돌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앵커부재를 따라 가동결합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단열재의 두께나 벽체의 시공 오차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은 벽체의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 전면에 설치되는 치장벽돌벽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후단은 벽체에 정착되고, 전단은 단열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 측으로 절곡되어 단열재의 전면에 박히는 톱니부가 외곽에 형성된 톱니와셔와 상기 톱니와셔의 전면에서 상기 앵커부재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가동결합부; 및 C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톱니와셔의 양측 톱니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의 전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치장벽돌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와이어로 구성되는 벽돌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Seismic retrofit bracket for masonry veneer wall}
본 발명은 외단열 방식에서 치장벽돌벽 시공 시, 후단이 벽체에 정착된 앵커부재가 단열재의 전면으로 돌출된 전단에 가동결합부가 나사 결합되고 가동결합부의 전단에서 상하부 치장벽돌 사이에 벽돌결합부가 결합됨으로써, 앵커부재를 따라 가동결합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여 단열재의 두께나 벽체의 시공 오차와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에 대한 것이다.
건물의 단열 시공을 위해 종래에는 건물의 실내 측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내단열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내단열 공법은 시공이 편리하고 공사비가 저렴하다.
그러나 내단열 방식은 외벽과 슬래브 접합부 등과 같이 부재 간 접합부에서 단열재 결손 부위가 발생하고, 이 부분에서 열교 현상이 일어나 열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제로에너지건축 의무화의 단계적 추진에 따라 건물 외벽의 외부 전체를 단열재로 감싸는 외단열 방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외단열 방식에서는 벽체 외부에 단열재가 부착되고, 단열재 외부에 치장벽돌벽 등 마감재가 시공된다. 이때, 치장벽돌벽 부착을 위해 벽체에 별도의 브래킷을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 치장벽돌벽을 설치하기 위한 조적용 브라켓은 주로 L자형 앵글을 사용하는데, 앵글의 내민 부분이 치장벽돌 사이에 삽입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단열 성능에 대한 규정이 강화되면서 단열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추세이다. 또한, 단열재는 건물이 속하는 지역이나 건물의 용도 등에 따라 두께가 다르게 규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조적 브라켓은 일정한 길이로 생산되므로, 단열재의 두께 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일일이 제작하여야 한다. 이에 제작이 번거롭고, 생산성이나 경제성이 떨어진다.
KR 10-1532709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단열 방식에서 치장벽돌벽 시공 시, 단열재의 두께나 벽체의 시공 오차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벽체의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 전면에 설치되는 치장벽돌벽을 고정하기 위한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열재를 관통하여 후단은 벽체에 정착되고, 전단은 단열재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앵커부재; 상기 앵커부재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 측으로 절곡되어 단열재의 전면에 박히는 톱니부가 외곽에 형성된 톱니와셔와 상기 톱니와셔의 전면에서 상기 앵커부재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가동결합부; 및 C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톱니와셔의 양측 톱니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의 전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치장벽돌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와이어로 구성되는 벽돌결합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단열 방식에서 치장벽돌벽 시공 시, 후단이 벽체에 정착된 앵커부재가 단열재의 전면으로 돌출된 전단에 가동결합부가 나사 결합되고, 가동결합부의 전단에 벽돌결합부가 결합되어 상하부 치장벽돌 사이에 구비되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앵커부재를 따라 가동결합부의 위치 변경이 용이하므로, 단열재의 두께나 벽체의 시공 오차와 상관없이 단일 규격 제품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어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도 9는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1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은 벽체(1)의 외부에 단열재(2)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 전면에 설치되는 치장벽돌벽(3)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열재(2)를 관통하여 후단은 벽체(1)에 정착되고, 전단은 단열재(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앵커부재(5); 상기 앵커부재(5)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는 가동결합부(6); 및 일단은 상기 가동결합부(6)에 결합되고 타단은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되는 벽돌결합부(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단열 방식에서 치장벽돌벽(3) 시공 시, 단열재(2)의 두께나 벽체의 시공 오차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1) 외부에 단열재(2)가 설치되는 외단열 벽체에 치장벽돌벽(3)을 설치하기 위한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에 관한 것이다.
상기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은 앵커부재(5), 가동결합부(6) 및 벽돌결합부(7)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부재(5)는 후단이 단열재(2)를 관통하여 배면의 벽체(1)에 삽입 정착되고, 전단은 단열재(2)의 전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다(도 4).
상기 앵커부재(5)는 세트 앵커, 케미컬 앵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결합부(6)는 앵커부재(5)의 전단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앵커부재(5)가 단열재(2)의 전면으로 돌출된 전단에 가동결합부(6)가 결합된다. 상기 가동결합부(6)는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어 앵커부재(5)에 결합되는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동결합부(6)는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단열재(2) 측으로 이동시켜 단열재(2) 전면에 밀착할 수 있다.
상기 벽돌결합부(7)는 일단이 상기 가동결합부(6)에 결합되고, 타단은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벽돌결합부(7)의 타단은 하부 치장벽돌(30)의 상면에 거치되며(도 1), 하부 치장벽돌(30)의 상면에 모르타르(M)를 시공한 후 상부 치장벽돌(30)을 쌓는다. 이에 따라 상기 벽돌결합부(7)는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치장벽돌(30)을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결합부(6)는 앵커부재(5)를 따라 자유롭게 위치 변경이 가능하고, 벽돌결합부(7)는 상기 가동결합부(6)에 일단이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은 단일 규격의 제품으로 단열재(2)의 두께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재(2)와 치장벽돌(3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가동결합부(6)는 단열재(2)의 전면에서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너트(61)와 상기 조절너트(61)의 전방에서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62)로 구성되고, 상기 벽돌결합부(7)는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61)와 고정너트(62) 사이에서 앵커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결합부(6)를 단열재(2)의 전면에 밀착시켜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벽돌결합부(7)를 설치할 수 있도록 가동결합부(6)는 조절너트(61)와 고정너트(6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절너트(61)는 단열재(2)의 전면에서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어 단열재(2)의 전면에 밀착할 수 있다.
상기 조절너트(61) 전면의 앵커부재(5)에는 고정너트(62)가 나사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벽돌결합부(7)의 일단이 상기 조절너트(61)와 고정너트(62) 사이에서 앵커부재(5)에 결합된다. 즉, 상기 조절너트(61)가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앵커부재(5)가 벽돌결합부(7)의 일단을 관통하도록 벽돌결합부(7)를 설치한 후 앵커부재(5)에 고정너트(62)를 체결하여 벽돌결합부(7)를 가동결합부(6)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너트(61)는 가동결합부(6)의 위치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고, 고정너트(62)는 벽돌결합부(7)를 가동결합부(6)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돌결합부(7)는 상기 조절너트(61)와 고정너트(62) 사이에서 앵커부재(5)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71)와 상기 결합플레이트(71)의 일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상하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돌결합부(7)를 조절너트(61)와 고정너트(62) 사이에 고정하기 위해 벽돌결합부(7)는 결합플레이트(71)와 고정플레이트(72)로 구성되는 L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71)는 벽돌결합부(7)의 수직 부분으로, 앵커부재(5)가 관통하는 관통공(711)이 형성되어 앵커부재(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2)는 벽돌결합부(7)의 수평 부분으로, 결합플레이트(71)의 하단에서 전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단이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72)가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의 모르타르(M)에 견고하게 정착되도록 고정플레이트(72)에는 치장벽돌(30) 위치에 복수의 유동공(7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에 시공되는 모르타르(M)가 상기 유동공(721) 내부에 채워져 고정플레이트(72)가 모르타르(M) 내부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다.
치장벽돌(30) 위치의 상기 고정플레이트(72) 양측에는 상단에 복수의 삽입홈(731)이 형성된 거치편(7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731)에는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철선(8)이 거치될 수 있다.
치장벽돌(30) 시공 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은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의 간격이 치장벽돌(3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은 일부 치장벽돌(30) 상부에만 설치된다.
이에 따라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이 설치되는 치장벽돌(30)과 설치되지 않는 치장벽돌(30)들을 상호 일체화하기 위해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의 모르타르(M)에 매립되는 보강철선(8)을 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도 1).
이때, 상기 보강철선(8)을 벽돌결합부(7)에 고정하여 치장벽돌벽(3)의 면외 방향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벽돌결합부(7)의 고정플레이트(72) 양측을 상향 절곡하여 거치편(7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편(73)의 상단에 복수의 삽입홈(731)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731)에 보강철선(8)을 거치할 수 있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결합부(6)는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본체(631)와 상기 너트본체(63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632)로 구성되는 단열재고정너트(63)를 포함하고, 상기 벽돌결합부(7)는 일단이 상기 단열재고정너트(63)의 날개부(632)에 고정나사(64)에 의해 고정되는 폐단면의 와이어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결합부(6)를 단열재고정너트(63)로 구성하고, 상기 벽돌결합부(7)를 앵커부재(5)가 아닌 단열재고정너트(63)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재고정너트(63)는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본체(631)와 너트본체(631)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632)로 이루어진 나비너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돌결합부(7)는 와이어부재를 절곡하여 폐단면으로 형성하되, 폐단면의 일단을 상기 단열재고정너트(63)의 날개부(63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돌결합부(7)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이 뾰족한 5각형 형태로 형성하여, 돌출된 후단을 단열재고정너트(63)의 날개부(632)에 고정나사(64)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재고정너트(63)의 날개부(632)에는 고정나사(64)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는 체결공(633)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아울러 상기 단열재고정너트(63)가 앵커부재(5)에 체결된 상태에서 단열재고정너트(63)가 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단열재고정너트(63)의 일측에는 앵커부재(5)에 오목와셔(66)가 설치될 수 있다(도 8).
상기 오목와셔(66)는 배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즉, 전면이 볼록), 단열재고정너트(63) 체결 시 외주면이 단열재(2)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목와셔(66)의 외주면은 단열재(2)에 박히고, 탄성에 의해 단열재고정너트(63)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므로 단열재고정너트(63) 체결 후 단열재고정너트(63)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제3실시예에 의한 내진보강용 연결철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평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결합부(6)는 상기 앵커부재(5)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2) 측으로 절곡되어 단열재(2)의 전면에 박히는 톱니부(651)가 외곽에 형성된 톱니와셔(65)와 상기 톱니와셔(65)의 전면에서 앵커부재(5)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고, 상기 벽돌결합부(7)는 일단이 상기 톱니와셔(65)의 톱니부(65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동결합부(6)는 톱니와셔(65)와 고정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와셔(65)는 외주면에 단열재(2) 측으로 절곡된 복수의 톱니부(6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부(651)는 단열재(2)의 전면에 박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톱니와셔(65)의 전면에는 고정너트가 앵커부재(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로 도 11 등에서는 단열재고정너트(63)가 도시되었으나 도 2 등에 도시된 일반적인 고정너트(6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벽돌결합부(7)는 상기 톱니와셔(65)의 톱니부(651)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는 앵커부재(5)에 체결 시 회전이 필요한 반면, 톱니와셔(65)는 회전하지 않고 처음부터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벽돌결합부(7)의 결합이 용이하다.
상기 벽돌결합부(7)는 C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톱니와셔(65)의 양측 톱니부(651)에 형성된 결합공(652)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74)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74)의 전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와이어(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벽돌결합부(7)를 톱니와셔(65)에 고정하기 위해 벽돌결합부(7)는 와이어 형태의 연결와이어(74)와 고정와이어(75)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74)는 고정와이어(75)를 톱니와셔(65)에 연결하고, 고정와이어(75)는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와이어(74)는 C형으로 절곡되어 개방된 측 양단부가 각각 톱니와셔(65)의 양측 톱니부(65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톱니와셔(65)의 톱니부(651)에는 연결와이어(74)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공(6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74)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공(652)을 관통한 연결와이어(74)의 개방된 측 양단부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75)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와이어(74)의 전방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와이어(75)는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와이어(74)는 후단을 톱니와셔(65)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고, 상기 고정와이어(75)는 후단을 절곡하여 연결와이어(74)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이 상하부 치장벽돌(30) 사이와 위치가 다소 일치하지 않더라도 설치가 용이하다.
1: 벽체 2: 단열재
3: 치장벽돌벽 30: 치장벽돌
4: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5: 앵커부재
6: 가동결합부 61: 조절너트
62: 고정너트 63: 단열재고정너트
631: 너트본체 632: 날개부
633: 체결공 64: 고정나사
65: 톱니와셔 651: 톱니부
652: 결합공 66: 오목와셔
7: 벽돌결합부 71: 결합플레이트
711: 관통공 72: 고정플레이트
721: 유동공 73: 거치편
731: 삽입홈 74: 연결와이어
75: 고정와이어 8: 보강철선
M: 모르타르

Claims (7)

  1. 벽체(1)의 외부에 단열재(2)가 구비되는 외단열 벽체 전면에 설치되는 치장벽돌벽(3)을 고정하기 위한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4)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열재(2)를 관통하여 후단은 벽체(1)에 정착되고, 전단은 단열재(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앵커부재(5);
    상기 앵커부재(5)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재(2) 측으로 절곡되어 단열재(2)의 전면에 박히는 톱니부(651)가 외곽에 형성된 톱니와셔(65)와 상기 톱니와셔(65)의 전면에서 상기 앵커부재(5)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로 구성되는 가동결합부(6); 및
    C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톱니와셔(65)의 양측 톱니부(651)에 형성된 결합공(652)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연결와이어(74)와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양단부가 상기 연결와이어(74)의 전면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 치장벽돌(30)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와이어(75)로 구성되는 벽돌결합부(7);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49464A 2022-04-21 2022-04-21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KR10243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64A KR102430912B1 (ko) 2022-04-21 2022-04-21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9464A KR102430912B1 (ko) 2022-04-21 2022-04-21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912B1 true KR102430912B1 (ko) 2022-08-09

Family

ID=8284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464A KR102430912B1 (ko) 2022-04-21 2022-04-21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0040A1 (en) * 2013-03-14 2014-09-18 Mitek Holdings, Inc. Fail-safe anchoring systems for cavity walls
KR101532709B1 (ko) 2015-03-10 2015-07-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60398B1 (ko) * 2018-01-31 2019-07-15 원도연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35876A (ko) * 2018-05-29 2019-12-09 (주)페트라텍 오메가 수평근과 줄눈 록킹재를 통한 벽돌 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 벽체의 시공 방법
KR20200079831A (ko) * 2018-12-26 2020-07-06 김웅회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0040A1 (en) * 2013-03-14 2014-09-18 Mitek Holdings, Inc. Fail-safe anchoring systems for cavity walls
KR101532709B1 (ko) 2015-03-10 2015-07-09 주식회사 탑시스템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60398B1 (ko) * 2018-01-31 2019-07-15 원도연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35876A (ko) * 2018-05-29 2019-12-09 (주)페트라텍 오메가 수평근과 줄눈 록킹재를 통한 벽돌 벽체 내진보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돌 벽체의 시공 방법
KR20200079831A (ko) * 2018-12-26 2020-07-06 김웅회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920B2 (en) Tube-lock curtain wall system
US20070062138A1 (en) Veneer anchoring system
KR10098801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구조
US3300926A (en) Wall paneling system
CA2723473A1 (en) Mounting for paneling elements or a sub-structure for paneling elements
KR102430912B1 (ko) 치장벽돌 내진보강용 연결철물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200423791Y1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EP0225869A1 (en) Tile
KR20200079831A (ko) 건축물의 열교차단파스너를 이용한 외부단열 시공구조
KR20070037737A (ko) 건축 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2104428B1 (ko)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461864B1 (ko) 외장패널용 조정식 연결철물 및 이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JPH0157219B2 (ko)
KR102266180B1 (ko) 타일라인 대체조정구
JP2967816B1 (ja) バルコニーの構造
KR102152847B1 (ko) 모서리 고정부재로 시공성을 높인 건축외장재 구조체
KR200378284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4450744B2 (ja) 外装仕上材の取付構造
RU91091U1 (ru) Плита бетонная фасадная
EP4180610A1 (en) Fixing anchor and a set containing at least one this fixing anchor
JPH08260666A (ja) 取付金具を有するタイル状物および該タイル状物を用いた壁材
JP2954762B2 (ja) 壁体の開口上部構造
JPH0412935Y2 (ko)
KR100478221B1 (ko) 천장 판넬 조립체 및 호형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