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728B1 -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Google Patents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0728B1 KR102430728B1 KR1020170073865A KR20170073865A KR102430728B1 KR 102430728 B1 KR102430728 B1 KR 102430728B1 KR 1020170073865 A KR1020170073865 A KR 1020170073865A KR 20170073865 A KR20170073865 A KR 20170073865A KR 102430728 B1 KR102430728 B1 KR 102430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ffold
- alveolar bone
- implantation
- main
- reinforc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61C13/0019—Production methods using three dimensional prin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은,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되는 메인 식립부; 및 일측은 상기 메인 식립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메인 식립부에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발치와 주변의 소실된 치조골에 대응되는 스캐폴드에 결합되는 보강 식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실된 치조골의 재생을 위해 그 소실된 부위에 설치되는 임플란트와 스캐폴드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고, 그 임플란트와 스캐폴드의 제조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손상된 치아의 수복을 위해 사용되는 치아수복물로는,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인 임플란트 및 그 임플란트에 어버트먼트를 통해 지지되고 환자의 치아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는 보철물(크라운)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치아수복물 중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골소실이 발생한 경우(도 2의 a)에 그 소실된 부위의 재생을 위해 스캐폴드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 2의 (b)와 같이, 상기 골소실이 발생한 부분에 설치되고 채워지는 임플란트와 스캐폴드 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흔들림이 발생하거나 서로 분리됨에 따라,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발생하고 재시술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1181호(2011.10.10.)'가 있다.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1181호(2011.10.10.)'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소실된 부위에 설치되는 임플란트와 스캐폴드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은,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되는 메인 식립부; 및 일측은 상기 메인 식립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메인 식립부에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발치와 주변의 소실된 치조골에 대응되는 스캐폴드에 결합되는 보강 식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식립부와 보강 식립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게 하는 나사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식립부와 스캐폴드의 결합면은,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식립부는, 상기 스캐폴드와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그 스캐폴드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치조골에 대응되는 스캐폴드는, 상기 보강 식립부에 결합되는 연결용 스캐폴드와, 상기 연결용 스캐폴드가 차지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치조골 부분에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용 스캐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 식립부와 보강 식립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3D 프린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은, 메인 식립부와 스캐폴드 사이에 보강 식립부를 배치하여 두고, 메인 식립부를 원래의 임플란트와 같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시키고, 보강 식립부를 스캐폴드와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메인 식립부와 스캐폴드 간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양 요소의 흔들림에 의한 염증 유발을 억제시킬 수 있고, 시술후유증에 따른 의료행위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치조골 소실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Ⅱ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임플란트와 스캐폴드의 배치 구조 및 이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스캐폴드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스캐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것으로, 종래기술에 의한 임플란트와 스캐폴드의 배치 구조 및 이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스캐폴드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스캐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스캐폴드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은, 종래기술에 의한 임플란트가 하나의 재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식립부(12)는,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되는 부분으로, 내측에 어버트먼트(A)가 체결될 스크류홈(12b)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에는 나사결합이 가능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기존 임플란트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강 식립부(14)는, 상기 메인 식립부(12)와 스캐폴드(16) 사이에 배치되어서, 그 메인 식립부(12)와 스캐폴드(16)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보강 식립부(14)의 일측은, 상기 메인 식립부(12)를 감싸는 형태로 그 메인 식립부(12)에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스캐폴드(16)에 결합된다.
여기서, 스캐폴드(16)는, 상기 발치와 주변의 소실된 치조골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치조골 부분에 배치되는 것으로, 자연 치조골이 재생될 때까지 치아의 뿌리부분에 해당하는 임플란트를 견고히 지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캐폴드(16)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나, 예컨대, 환자의 소실된 치조골 형상을 기초로 3D 프린팅 방식에 의해 성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은, 메인 식립부(12)와 스캐폴드(16) 사이에 보강 식립부(14)를 배치하여 두고, 메인 식립부(12)를 원래의 임플란트와 같이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시키고, 보강 식립부(14)를 스캐폴드(16)와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재질로 형성시킴으로써, 메인 식립부(12)와 스캐폴드(16) 간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양 요소의 흔들림에 의한 염증 유발을 억제시킬 수 있고, 시술후유증에 따른 의료행위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게 하는 나사결합부(12a)(14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 간의 결합 및 분리가 원활하여 환자의 치조골 상태에 따른 적절한 상대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그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 간의 결합력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상기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나사결합 방식이 아니라 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3D 프린팅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식립부(14)와 스캐폴드(16)의 결합면은,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부(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철부(14b)는, 상기 보강 식립부(14)와 스캐폴드(16) 간의 접합시에 그 접합면의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하여, 보강 식립부(14)와 스캐폴드(16)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채용된 보강 식립부(14)는, 상기 스캐폴드(16)와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스캐폴드(16)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메인 식립부(12)와는 별도로 보강 식립부(14)를 마련하여 두고 그 보강 식립부(14)를 스캐폴드(1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메인 식립부(12)의 강성을 원래대로 유지하면서 보강 식립부(14)와 스캐폴드(16) 간의 접합을 통한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A는 메인 식립부와 크라운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어버트먼트이고, B는 상기 어버트먼트(A)를 통해 메인 식립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람의 치아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크라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식립부(14)와 스캐폴드(16)가 별개로 제작된 후 결합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보강 식립부와 스캐폴드를 3D 프린팅 혹은 이중사출과 같은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하고, 그 일체로 형성된 보강 식립부와 스캐폴드를 메인 식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채용되는 스캐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메인 식립부(12)와 보강 식립부(14)의 구조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나, 스캐폴드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스캐폴드는, 연결용 스캐폴드(16a)와 적어도 하나의 채움용 스캐폴드(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용 스캐폴드(16a)는, 상기 보강 식립부(14)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채움용 스캐폴드(16b)는, 상기 연결용 스캐폴드(16a)가 차지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치조골 부분에 채워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스캐폴드를 연결용 스캐폴드(16a)와 채움용 스캐폴드(16b)로 분할 형성하여 줌으로써, 굴곡진 치조골에 스캐폴드를 원활하게 배치시킬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보강 식립부(24)가 메인 식립부(22)에 코팅 후 경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 식립부(24)를 스캐폴드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그 보강 식립부(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메인 식립부(22)와 스캐폴드 간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식립부(22)와 스캐폴드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메인 식립부의 외면을 코팅함으로써 보강 식립부(24;코팅층)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메인 식립부의 표면 처리를 통해 그 메인 식립부의 외면에 보강 식립부(표면처리층)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2:메인 식립부 12a:나사결합부
12b:스크류홈 14:보강 식립부
14a:나사결합부 14b:요철부
16:스캐폴드 A:어버트먼트
B:크라운
12b:스크류홈 14:보강 식립부
14a:나사결합부 14b:요철부
16:스캐폴드 A:어버트먼트
B:크라운
Claims (6)
- 치아의 뿌리부분을 재현하기 위하여 발치와 부분에 식립되는 메인 식립부; 및
일측은 상기 메인 식립부를 감싸는 형태로 그 메인 식립부에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발치와 주변의 소실된 치조골에 대응되는 스캐폴드에 결합되는 보강 식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치조골에 대응되는 스캐폴드는, 상기 보강 식립부에 결합되는 연결용 스캐폴드와, 굴곡진 치조골에 스캐폴드를 원활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용 스캐폴드가 차지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치조골 부분에 채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채움용 스캐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채움용 스캐폴드는, 상기 나머지 치조골 부분에 적층된 형태로 채워지며,
상기 보강 식립부와 스캐폴드의 결합면은, 결합력 향상을 위한 요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철부는, 복수로 이루어져서 서로 이격되어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간격에 연결용 스캐폴드가 채워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식립부와 보강 식립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게 하는 나사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식립부는, 상기 스캐폴드와의 접합이 용이하도록, 그 스캐폴드와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식립부와 보강 식립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고, 3D 프린팅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865A KR102430728B1 (ko) | 2017-06-13 | 2017-06-13 |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3865A KR102430728B1 (ko) | 2017-06-13 | 2017-06-13 |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5620A KR20180135620A (ko) | 2018-12-21 |
KR102430728B1 true KR102430728B1 (ko) | 2022-08-08 |
Family
ID=6495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3865A KR102430728B1 (ko) | 2017-06-13 | 2017-06-13 |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072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4405B1 (ko) * | 2019-03-29 | 2021-05-21 | 주식회사 덴티움 | 개인 맞춤형 임플란트 고정체, 그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임플란트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48718A1 (ko) * | 2013-03-20 | 2014-09-25 | (주) 셀인바이오 | 골형성 유도 화합물 및 이의 응용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16174A (ja) * | 1993-10-26 | 1995-05-09 | Nikon Corp |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及び雄ネジ |
KR100545852B1 (ko) * | 2002-10-17 | 2006-01-31 | (주) 코웰메디 | 브리지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
KR20110111181A (ko) * | 2010-04-02 | 2011-10-10 | 박은규 | 임플란트 고정장치 |
KR20160041606A (ko) * | 2014-10-08 | 2016-04-18 | 주식회사 이덴테크 | 임플란트 |
-
2017
- 2017-06-13 KR KR1020170073865A patent/KR1024307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48718A1 (ko) * | 2013-03-20 | 2014-09-25 | (주) 셀인바이오 | 골형성 유도 화합물 및 이의 응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5620A (ko) | 2018-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70056135A1 (en) | Fixtures for dental implants | |
KR101139962B1 (ko) | 플레이트를 가진 치과용 임플란트 | |
DK2436336T3 (en) | Dental Implant System | |
KR101669893B1 (ko) |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 |
JP2018502681A (ja) | 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とクラウンの結合構造 | |
KR200489041Y1 (ko) | 치과용 임플란트 | |
KR100842318B1 (ko) |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 |
KR101540559B1 (ko) |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지지플레이트 | |
KR102430728B1 (ko) | 치조골 재생용 임플란트 유닛 | |
US9668831B2 (en) | Dental prosthesis, in particular on implants, optionally for the replacement of an entire dental arch, method and kit for making it | |
KR101707596B1 (ko) |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 |
US20060204931A1 (en) | Dental prosthesis and method | |
KR101025225B1 (ko)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
KR102062575B1 (ko) |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 |
US10980620B2 (en) | Reinforced resin-retained bridge | |
KR20110064402A (ko) |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 |
KR102002218B1 (ko) | 임플란트 조립체 | |
KR100756289B1 (ko) | 치과용 보철물 및 보철물 결합방법 | |
KR200398423Y1 (ko) | 치과용 보철물 | |
KR20150060359A (ko) |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 |
KR101879160B1 (ko) | 맞춤형 인공치아 | |
KR200426910Y1 (ko) | 임플란트용 지지대 | |
KR101879064B1 (ko) | 맞춤형 인공치아 | |
KR20200016124A (ko) | 차폐시트 일체형 치경부 보철 | |
KR102442217B1 (ko) | 치아 임플란트, 특히 보조 수술에서 치아 인터벤션을 위한 어버트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