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312B1 -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312B1
KR102430312B1 KR1020200061697A KR20200061697A KR102430312B1 KR 102430312 B1 KR102430312 B1 KR 102430312B1 KR 1020200061697 A KR1020200061697 A KR 1020200061697A KR 20200061697 A KR20200061697 A KR 20200061697A KR 102430312 B1 KR102430312 B1 KR 10243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unit
space
energy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396A (ko
Inventor
이성재
박현식
배황
류성욱
이선일
양진화
전병국
방윤곤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3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9/00Arrangements to provide heat for purposes other than conversion into power, e.g. for heating building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02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passages in which heat is transferred to the coolant; Coolant flow control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5/00Arrangements of reactor and engine in which reactor-produced heat is converted into mechanical energy
    • G21D5/04Reactor and engine not structurally combined
    • G21D5/08Reactor and engine not structurally combined with engine working medium heated in a heat exchanger by the reactor coolant
    • G21D5/10Liquid working medium partially heated by reactor and vaporised by heat source external to the core, e.g. with oil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tructure Of Emergency Protection For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원자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격납 용기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해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로서, 격납 용기 내부에 배치되며,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내부의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기화된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는 열방출 전열부; 열흡수 전열부로부터 열방출 전열부로 기화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증기 유동관; 열방출 전열부로부터 열흡수 전열부로 응축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응축액체 유동관 및 증기 유동관에 설치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고, 열방출 전열부에서의 열 방출에 의해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되어 외측에 미생물 부착이 억제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MICROBIAL ADHESION SUPPRESSION DEVICE AND PASSIVE COOLING STRUCTURE OF THE REA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해수에 포함된 미생물이 부착하는 것을 억제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핵분열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해 터빈을 운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시키는 방식으로서, 발전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아니하며 적은 연료로서 막대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여러 국가에서 발전방식 중 하나로 채택 운용 되고 있다.
이러한 원자력 발전은 막대한 열이 발생함으로 인해 냉각이 필수적인데,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용기(10) 내의 원자로 노심(20)이 핵분열함에 따라 발생된 엄청난 열에너지가 원자로 용기(10) 내의 냉각제로 전달되며, 냉각제는 열교환기(30)에서 열을 교환한 뒤에 다시 원자로 용기(10) 내로 순환된다. 또한 상기 냉각제와는 독립된 경로로서 구동계통(50)의 물을 순환시키며, 상기 열교환기(30)에서는 상기 냉각제로부터 흡수한 열로서 구동계통(50)에 증기를 발생시기고, 이를 통해 터빈(52)을 돌려 발전기(54)로 전기에너지로 전환된 후에 다시 물로 응축되어 열교환기(30)로 순환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원자력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 중 일부는 경우에 따라 해안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원자력 발전 설비 중 일부는 해수에 노출될 수 있는데, 해수에는 다수의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미생물은 해수에 노출되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으며, 때로는 증식을 통해 그 개체수가 점차 증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의 부착과 증식은 원자력 발전 설비의 열전달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한 영역의 해수를 가열함으로써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자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격납 용기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해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로서, 상기 격납 용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내부의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기화된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는 열방출 전열부;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 상기 기화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증기 유동관;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 상기 응축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응축액체 유동관 및 상기 증기 유동관에 설치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방출 전열부에서의 열 방출에 의해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되어 상기 외측에 미생물 부착이 억제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격납 용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중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열방출 전열부는 상기 열흡수 전열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보다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방출 전열부의 열이 가열하는 해수 영역을 제한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유체는 상기 열흡수 전열부 및 상기 열방출 전열부 사이를 순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기 유동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납 용기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축액체 유동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상기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자로 노심이 수용된 원자로 용기가 수용되고 에너지 방출공간을 가지는 제 1 격납용기; 상기 제 1 격납용기와 구획되는 제 2 격납용기로서, 열매체가 수용되고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의 압력이 전달되는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자로 용기에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며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에너지 전달 공간을 구비하는 제 2 격납용기;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제 2 격납용기 내에 구비되는 제 1 분리벽;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과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의 압력을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으로 전달하는 압력평형관;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압력평형관에 의해 가압된 에너지 흡수공간의 열매체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분사관 및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에 해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상기 제 1 격납용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내부의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기화된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는 열방출 전열부;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 상기 기화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증기 유동관;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 상기 응축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응축액체 유동관 및 상기 증기 유동관에 설치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방출 전열부에서의 열 방출에 의해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과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되어 상기 외측에 상기 미생물의 부착이 억제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원자로 용기의 열을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으로 전달하는 제 1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열매체가 수용되고,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의 상기 열매체의 수위는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압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냉각 유로는, 상기 원자로 용기의 열을 흡수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로부터 흡수한 열을 상기 열매체로 전달하는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열을 상기 제 2 격납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냉각 유로는,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열매체의 열을 흡수하는 제3열교환기; 및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열을 흡수하는 제4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여 이를 통해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의 해수를 가열함으로써, 열유체 순환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 없이 안정적으로 미생물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므로, 해수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원을 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격납 용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비상 시 안정적으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해수를 유출입 시키는 취수 설비가 포함된 원자력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 격납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를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의 에너지 흡수공간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해수와 접촉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는 영역의 해수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외측에 미생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해수와 접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에 미생물이 부착하여 증식할 경우, 원자력 발전 시스템의 안전 및 성능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격납 용기 내부의 원자로 용기 주변 폐열을 흡수하여 원자력 발전 설비 중에서 미생물의 부착이 우려되는 곳에 전달함으로써 미생물의 부착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해수를 유출입 시키는 취수 설비가 포함된 원자력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 격납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를 별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원자로 용기(122)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흡수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을 위한 격납 용기(100)에 수용된 원자로 용기(122)에는 원자로 노심(124)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격납 용기(100) 내부의 에너지 방출공간(110)에는 원자로 노심(124)으로부터 발생된 열이 원자로 용기(122)의 외벽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열흡수 전열부(310)는 이러한 원자로 용기(122)의 외벽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열흡수 전열부(310)는 열전도율이 우수하며, 내부에서 열유체의 상전이(Phase transition) 현상이 발생하는 히트 파이프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로 용기(122)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열흡수 전열부(310)로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열흡수 전열부(310) 내부의 열유체가 열을 흡수하여 증기 상태로 기화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기화된 증기 상태의 열유체는 후술될 증기 유동관(320)을 따라 후술될 열방출 전열부(3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열흡수 전열부(310)로부터 이동된 증기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될 수 있는 열방출 전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열방출 전열부(330)도 열흡수 전열부(310)와 마찬가지로 히트 파이프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열방출 전열부(330)는 열흡수 전열부(310)와는 달리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부에서 해수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해수는 증기 상태의 열유체와 비교하여 저온을 가지므로, 열방출 전열부(330)를 유동하는 증기 상태의 열유체는 저온의 해수와 열교환함으로써 응축될 수 있다. 이 때 방출되는 열에 의해 열방출 전열부(330)와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열방출 전열부(330)가 해수와 접하는 격납 용기(100)의 외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열방출 전열부(330)의 설치가 격납 용기(100)의 외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2는 단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의 열방출 전열부(330)가 설치될 수 있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일례로서 격납 용기를 도시하였을 뿐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의 열방출 전열부(330)는 해수와 접하는 것이라면, 원자력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 중 어떠한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원자력 발전 시스템에서 구동 계통 중 터빈(52) 배기를 냉각하여 복수하기 위해 해수를 공급하는 해수 취수 설비(60)의 외측에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2에서 격납 용기(100)의 일부는 토양(L) 내에 위치하며, 나머지 부분은 해수(S)에 잠긴 상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설치될 수 있는 격납 용기(100)의 일 형태에 불과하며, 격납 용기(100)의 형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열흡수 전열부(310)와 열방출 전열부(330)의 사이에 열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관체로서, 증기 유동관(320)과 응축액체 유동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열흡수 전열부(310)의 제 1 단부(311)로부터 열방출 전열부(330)의 제 1 단부(331)까지 연장되는 증기 유동관(320)을 통해 열흡수 전열부(310)으로부터 열방출 전열부(330) 측으로 증기 상태의 열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열방출 전열부(330)의 제 2 단부(332)로부터 열흡수 전열부(310)의 제 2 단부(312)까지 연장되는 증기 유동관(320)을 통해 열방출 전열부(330)으로부터 열흡수 전열부(310) 측으로 응축액체 상태의 열유체가 이동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에서 열유체는 도 3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열흡수 전열부(310)-증기 유동관(320)-열방출 전열부(330)-응축액체 유동관(340)-열흡수 전열부(310) 순으로 이동되며 상전이를 반복하며 순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흡수 전열부(310)으로부터 흡수된 열을 열방출 전열부(330)와 인접한 해수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도 2를 참조하면, 증기 유동관(320)은 일부가 격납 용기(10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방향을 전환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증기 유동관(320)을 연장하여 증기 상태의 열유체가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응축액체 유동관(340)의 경우, 효과적인 미생물 부착 억제를 위해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를 위해 응축액체 유동관(340)의 일부가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이 만곡된 부분을 포함할 경우, 응축액체 유동관(340)도 이에 대응하여 만곡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열흡수 전열부(310)와 열방출 전열부(330)를 연결하는 부분을 증기 유동관(320) 또는 응축액체 유동관(340)으로 지칭하였지만, 이러한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열흡수 전열부(310)와 증기 유동관(320), 또는 열방출 전열부(330)와 응축액체 유동관(340)은 각각 연속된 관체이므로 그 경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증기 유동관(320)에서 열유체가 기화될 수도 있고, 또는 응축액체 유동관(340)에서 열유체가 응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력 방향 높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열방출 전열부(330)는 열흡수 전열부(310)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열방출 전열부(330)가 열흡수 전열부(310) 보다 h 만큼 높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이는 열수력적 원리를 고려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중력의 영향을 크게 받는 응축액체 상태의 열유체 순환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환언하면, h가 클수록 열유체의 순환 유동이 더욱 빨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전술한 열유체의 순환을 정지시킬 수 있는 제 1 밸브(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밸브(350)는 격납 용기(100)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공기 구동 밸브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밸브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증기발생기 세관 파단사고와 같이 노심 손상을 동반하는 중대 사고가 발생될 경우, 격납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처럼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에 의해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 영역에서 가열이 발생되는 것은 자칫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중대 사고 발생시, 2차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격납 용기(100) 내부 압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폐쇄될 수 있는 제 1 밸브(350)를 구비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전술한 열방출 전열부(3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격벽(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격벽(400)은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덕트 구조물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열방출 전열부(330)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의 범위를 공간적으로 제한함으로써, 가열에 의한 해수 온도의 상승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보다 고온의 해수일수록 미생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로서, 원자로의 피동 무한 냉각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가 설치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의 에너지 흡수공간이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다양한 원자력 발전 설비 중 일례로서, 원자로의 피동냉각 무한 구조체(100, 2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될 수 있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는 제 1 격납용기(100), 제 2 격납용기(200), 제 1 분리벽(201), 압력평형관(214), 분사관(228)을 구비한다.
제 1 격납용기(100)는 원자로 용기(122)가 수용되는 에너지 방출공간(110)(ERS; Energy Release Space)을 가진다. 제 1 격납용기(100)는 원자로 용기(122)에서 방출된 고온고압의 증기 또는 비응축기체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을 견디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제 1 격납용기(100)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격납용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폭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1 격납용기(100)는 특정한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원자로 용기(122)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추면 족하나,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격납용기(100)는 설치되는 장소가 지상이나 지하에 구애 받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지하에 매립되거나 토양(L)에 의해 둘러싸인다.
제 1 격납용기(100)에 수용된 원자로 용기(122)에는 원자로 노심(124)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에너지 방출공간(110)에는 원자로 노심(124)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증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원자로 용기(122)에는 증기를 외부의 터빈(미도시)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증기 발생기 및 유로를 포함하는 원자로 구동 계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격납용기(200)는 제 1 격납용기(100)와 연결되면서 제 1 격납용기(100)와 구획될 수 있다. 제2격납 용기(200)는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압력을 전달받는 에너지 흡수공간(210)(EAS; Energy Absorbing Space) 및 원자로 용기(122)로부터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로 방출하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ETS; Energy Transfer Space)을 가질 수 있다. 제 2 격납용기(200)는 에너지 방출공간(110)에서 전달받은 고온고압의 증기 또는 비응축기체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을 견디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제 2 격납용기(200)는 제 1 격납용기(100)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격납용기(200)는 콘크리트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폭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 2 격납용기(200)는 특정한 형태에 구애 받지 않고 원자로 용기(122)로부터 방출된 증기를 냉각시키기 충분한 양의 열매체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를 갖추면 족하나, 일반적으로 원통형 모양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격납용기(100)와 제 2 격납용기(200)가 전체로서 하나의 원통형 모양의 형태를 갖되 격벽으로 구획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격납용기(200)는 설치되는 장소가 지상이나 지하 또는 수중에 구애 받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물(S)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수중에 배치되고, 제 1 격납용기(100) 근처에 설치된다. 이 때, 물은 해수일 수 있다.
제 2 격납용기(200)에 구비되는 에너지 흡수공간(210)은 에너지 방출공간(110)과 구획되면서 열매체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열매체는 물일 수 있다.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열매체의 수위는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압력에 따라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공간(210)은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압력을 전달받아 사이펀 효과를 이용하여 에너지 흡수공간(210)에 수용된 열매체를 에너지 전달 공간(220)으로 이동시키면서, 에너지 방출공간(110) 내부의 급격한 압력상승을 완화한다.
에너지 흡수공간(210) 상측에 구비되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은 에너지 방출공간(110)과 구획되면서 에너지 흡수공간(210)과 구획된다. 이 때, 제 1 분리벽(201)을 통하여 에너지 흡수공간(210)과 구획된다. 에너지 전달 공간(220)의 압력은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압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압력평형관(214)을 통해 에너지 방출공간(110)과 에너지 흡수공간(210)을 연결하여 에너지 방출공간(110)과 에너지 흡수공간(210)은 압력이 서로 잘 전달된다.
한편, 제 1 분리벽(201)은 에너지 전달 공간(220)과 에너지 흡수공간(210)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격납용기(200)와 마찬가지로 고온고압의 증기 또는 비응축기체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온고압을 견디도록 제조된다.
한편, 압력평형관(214)은 역 U자형으로 형성되어,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열매체가 압력평형관(214)을 통해 에너지 방출공간(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평형관(214)의 상측은 에너지 전달 공간(210)의 상측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압력이 증가하면, 증가된 압력은 압력평형관(214)을 통해 에너지 흡수공간(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자로 용기(122)가 과열되어 에너지 방출공간(110)의 온도가 증가하면, 증가한 온도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며, 증가한 압력은 압력평형관(214)을 통해 에너지 흡수공간(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압력이 증가하면, 에너지 흡수공간(210)에 수용된 열매체를 가압할 수 있다.
분사관(228)는 압력평형관(214)에 의해 가압된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열매체를 에너지 전달 공간(220)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분사관(228)는 열매체를 에너지 전달 공간(220)으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유동시킬 수 있으며, 분사관(228)의 에너지 전달 공간(220)측 일단이 노즐 형태를 갖거나, 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는 제1 냉각 유로(130)를 구비한다.
제1 냉각 유로(130)는 원자로 용기(122)의 열을 에너지 전달 공간(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냉각 유로(130)에는 열흡수매체가 이동될 수 있다. 열흡수매체는 물일 수 있다. 제1 냉각 유로(130)에는 원자로 용기(122)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제1열교환기(132) 및 흡수한 열을 방열하는 제2열교환기(134)가 설치될 수 있다. 열흡수매체는 제1열교환기(132)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제2열교환기(134)에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열교환기(132)는 전술한 원자로 구동 계통의 증기 발생기일 수 있다. 제1열교환기(132)가 원자로 구동 계통의 증기 발생기인 경우, 제1 냉각 유로(130)는 원자로 구동 계통의 유로 배관의 어느 지점에서 분기되거나 합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열교환기(32)는 증기 발생기와 다른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에 배치되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 및 기준기압챔버(227)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는 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222)에는 열매체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는 분사관(228)과 연결될 수 있다.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는 분사관(228)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기준기압챔버(227)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기압챔버(227)는 열매체를 수용할 수 있다. 기준기압챔버(227)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하측과 연통될 수 있다. 기준기압챔버(227)의 열매체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의 압력을 받으면서 동시에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열매체의 압력을 받을 수 있다. 기준기압챔버(227)의 열매체의 수위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의 압력과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열매체의 압력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압력이 증가하면,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열매체가 기준기압챔버(227)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압력이 감소하면, 기준기압챔버(227)의 열매체가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가 적용된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는 제2 냉각 유로(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231)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 내에 구비되며, 에너지 전달 공간(220) 내의 열을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231)의 일단(236)은 제 2 격납용기(2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의 냉각수는 제2 냉각 유로의 일단(236)을 통해 제2 냉각 유로(231)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231)의 타단(238)은 제2 냉각 유로의 일단(236)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의 타단(238)은 제 2 격납용기(200)의 상측을 관통하여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231)의 냉각수는 제2 냉각 유로(231)의 타단(238)을 통해 제 2 격납용기(200)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냉각 유로(231)에는 제3열교환기(232) 및 제4열교환기(23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열교환기(232)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열교환기(232)는 에너지 전달 공간(220)의 열을 제2 냉각 유로(231)의 냉각수로 전달할 수 있다.
제4열교환기(233)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내부(222)에 배치될 수 있다. 제4열교환기(233)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의 열을 제2 냉각 유로(231)의 냉각수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냉각 유로(231)의 냉각수가 제2 냉각 유로의 타단(238)을 통해 제 2 격납용기(200)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제2 냉각 유로(231)는 에너지전달 공간(220)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 유로(130)에는 증기방출밸브(138)가 설치될 수 있다. 증기방출밸브(138)는 에너지 방출공간(110)으로 제1 냉각유로(130)를 통해 흐르는 열흡수매체(예: 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에서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압력이 증가하면, 에너지 흡수공간(210)의 열매체는 분사관(228)을 통해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로 이동되어 수위가 낮아진다. 그리고, 포화증기압 냉각챔버(226)로 이동된 열매체는 기준기압챔버(227)를 통해 에너지 전달 공간(220)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의 적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흡수 전열부(310)는 제 1 격납 용기(100) 내부에 배치되어 원자로 용기(122)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열방출 전열부(330)는 제 2 격납 용기(200)의 외측에 인접하되, 해수에 잠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열방출 전열부(330)는 열흡수 전열부(310)로부터 이동된 열유체가 응축됨으로써 방출되는 열에 의해 제 2 격납 용기(200)의 외측 주변의 해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제 2 격납 용기(200)에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열방출 전열부(330)와 인접하여 열방출 전열부(3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격벽(400)이 배치됨으로써 열방출 전열부(330)에 의해 가열되는 해수의 영역을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고온의 해수를 제 2 격납 용기(200)의 외측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열흡수 전열부(310)와 열방출 전열부(330) 사이에 존재하는 증기 유동관(320)에는 제 1 격납 용기(100) 내부의 압력 상승과 같이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열유체의 순환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제 1 밸브(3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냉각 유로(130)에는 증기방출밸브(138)를 통해 증기가 다량 배출됨에 따라 제 1 격납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 때, 제 1 밸브(350)는 압력 상승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제 1 밸브(350)의 폐쇄에 따라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 내부의 열유체의 순환이 정지되면, 제 2 격납 용기(200)의 외측은 해수의 자연대류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을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300)는 격납 용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이를 통해 열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미생물 부착이 우려되는 원자력 발전 설비 외측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열유체 순환을 위해 펌프와 같은 별도의 동력 공급원이 없이 열수력적 원리를 이용한 간결한 장치만으로, 미생물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원자로 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 공급을 요하지 않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제 1 격납용기 110 에너지 방출공간
122 원자로 용기 124 원자로 노심
138 증기방출밸브 200 제 2 격납용기
210 에너지 흡수공간 220 에너지 전달공간
220 에너지 전달공간 300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310 열흡수 전열부 320 증기 유동관
330 열방출 전열부 340 응축액체 유동관
350 제 1 밸브 400 격벽

Claims (14)

  1. 원자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격납 용기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에 해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로서,
    상기 격납 용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내부의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기화된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는 열방출 전열부;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 상기 기화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증기 유동관;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 상기 응축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응축액체 유동관 및
    상기 증기 유동관에 설치되며, 상기 격납 용기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방출 전열부에서의 열 방출에 의해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과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되어 상기 외측에 미생물 부착이 억제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중력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열방출 전열부는 상기 열흡수 전열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보다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열방출 전열부의 열이 가열하는 해수 영역을 제한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체는 상기 열흡수 전열부 및 상기 열방출 전열부 사이를 순환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유동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격납 용기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방향을 전환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액체 유동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자력 발전 설비의 상기 외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8. 원자로 노심이 수용된 원자로 용기가 수용되고 에너지 방출공간을 가지는 제 1 격납용기;
    상기 제 1 격납용기와 구획되는 제 2 격납용기로서, 열매체가 수용되고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의 압력이 전달되는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원자로 용기에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며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에너지 전달 공간을 구비하는 제 2 격납용기;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제 2 격납용기 내에 구비되는 제 1 분리벽;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과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에너지 방출공간의 압력을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으로 전달하는 압력평형관;
    상기 에너지 흡수공간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을 연결하여, 상기 압력평형관에 의해 가압된 에너지 흡수공간의 열매체를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분사관 및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에 해수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는,
    상기 제 1 격납용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자로 용기의 외벽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내부의 열유체가 기화되는 열흡수 전열부;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과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기화된 상태의 열유체가 열을 방출하여 응축되는 열방출 전열부;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 상기 기화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증기 유동관;
    상기 열방출 전열부로부터 상기 열흡수 전열부로 상기 응축된 열유체가 유동되는 응축액체 유동관 및
    상기 증기 유동관에 설치되며, 상기 격납 용기 내부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방출 전열부에서의 열 방출에 의해 상기 제 2 격납용기의 외측과 인접하는 해수가 가열되어 상기 외측에 상기 미생물의 부착이 억제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용기의 열을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으로 전달하는 제 1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열매체가 수용되고, 상기 분사관과 연결되는 포화증기압 냉각챔버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의 상기 열매체의 수위는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압력에 따라 변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유로는,
    상기 원자로 용기의 열을 흡수하는 제 1 열교환기;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로부터 흡수한 열을 상기 열매체로 전달하는 제 2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열을 상기 제 2 격납 용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 2 냉각 유로를 더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 유로는,
    상기 포화증기압 냉각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열매체의 열을 흡수하는 제3열교환기; 및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에너지 전달 공간의 열을 흡수하는 제4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KR1020200061697A 2020-05-22 2020-05-22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KR102430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97A KR102430312B1 (ko) 2020-05-22 2020-05-22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697A KR102430312B1 (ko) 2020-05-22 2020-05-22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96A KR20210144396A (ko) 2021-11-30
KR102430312B1 true KR102430312B1 (ko) 2022-08-08

Family

ID=7872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697A KR102430312B1 (ko) 2020-05-22 2020-05-22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3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96B1 (ko) * 2015-04-17 2016-09-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자가진단 사고대처 무인 원자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751B1 (ko) * 2012-07-17 2014-03-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기유체를 이용한 잔열제거시스템과 잔열제거시스템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96B1 (ko) * 2015-04-17 2016-09-07 한국원자력연구원 자가진단 사고대처 무인 원자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96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881B1 (ko) 원자로 설비
JP6442489B2 (ja) 受動的反応炉冷却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54096B1 (ko) 자가진단 사고대처 무인 원자로
KR101619075B1 (ko) 포화증기압을 이용한 분사식 냉각계통을 포함하는 원자로
JP5690202B2 (ja) 原子炉の崩壊熱除去装置
CN104916334A (zh) 压水堆核电站分离式热管式非能动余热排出系统
KR101743911B1 (ko) 냉각재 분실 사고 원자로 냉각시스템
KR101374751B1 (ko) 유기유체를 이용한 잔열제거시스템과 잔열제거시스템의 구동방법
JP2013057559A (ja) 水冷式原子力発電設備及びその非常時停止方法
CN214377694U (zh) 反应堆的应急余热排出系统
KR102430312B1 (ko) 미생물 부착 억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로의 피동냉각 구조체
JP6771402B2 (ja) 原子力プラント
CN105448357B (zh) 一种浮动核电站的安全壳冷却系统
KR101677981B1 (ko) 원전안전계통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2369045B1 (ko) 원자로 냉각 구조체
CN109712726B (zh) 一种海洋核动力平台反应堆余热排出系统
KR102352037B1 (ko) 과압방지부가 구비되는 원자로의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JPH08184691A (ja) 熱交換制御装置の熱バルブ
KR102391857B1 (ko) 공동을 이용한 원자로 격납용기 외벽 냉각장치
CN113593733A (zh) 一种非能动钢制安全壳热量导出系统
KR102363832B1 (ko) 원자로의 격납 용기 냉각 시스템 및 그 냉각 방법
KR102574058B1 (ko) 원자로의 피동무한냉각 구조체 및 그 작동방법
KR102341084B1 (ko) 이물질 부착 방지 시스템이 구비된 원자로 피동무한 냉각 구조체
KR102360746B1 (ko) 분사 노즐 구조체
KR102364895B1 (ko) 원자로 냉각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