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006B1 -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 Google Patents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006B1
KR102430006B1 KR1020177027113A KR20177027113A KR102430006B1 KR 102430006 B1 KR102430006 B1 KR 102430006B1 KR 1020177027113 A KR1020177027113 A KR 1020177027113A KR 20177027113 A KR20177027113 A KR 20177027113A KR 102430006 B1 KR102430006 B1 KR 102430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asn
parameters
delete delete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2175A (ko
Inventor
슈테판 윌리엄 엣지
안드레아스 클라우스 바흐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6Notations for structuring of protocol data, e.g. abstract syntax notation one [ASN.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위한 프로토콜들이 개시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에 대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에서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함으로써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러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메시지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는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됨 ―; 및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서브세트에 있지 않은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함으로써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0001] 본 출원은, "Support of Location Services Using A Positioning Protocol"이라는 명칭으로 2015년 3월 27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2/139,46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는, "Support of Location Services Using A Positioning Protocol"이라는 명칭으로 2015년 9월 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 14/849,46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 둘 모두는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다. 이로써 전술된 미국 특허 출원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내용은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포지셔닝(positioning) 프로토콜들에 관한 것이다.
[0003] 네트워크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로케이션(location) 또는 포지션(position)을 아는 것은 종종 바람직하며 때로는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는 응급 상황에 대한 응답으로 응급 호출을 행할 수 있다. 응급 센터에 모바일 스테이션의 정확한 로케이션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웹사이트 이곳저곳을 브라우징(browse)할 수 있고, 로케이션 민감 컨텐츠(location sensitive content)를 클릭할 수 있다. 그 다음, 웹 서버는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에 대하여 홈(home) 네트워크 또는 서빙(serving) 네트워크에 질의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의 포지션을 확인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와 포지션 프로세싱을 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포지션 추정을 웹 서버로 리턴(return)할 수 있으며, 웹 서버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포지션 추정을 사용할 수 있다.
[0004] 로케이션 서비스들로 또한 지칭되는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추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부가적인 서비스들, 이를테면 방향 찾기, 내비게이션, 친구, 동료, 또는 친척을 로케이팅하는 것, 또는 사용자, 엔티티(entity), 또는 몇몇 귀중한 자산에 대한 로케이션 이력을 유지하는 것의 지원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또는 외부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결정된 로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0005] 특정 예에서,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이를테면 셀룰러 텔레폰 또는 다른 유사한 모바일 단말에 대한 로케이션 좌표들을 추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들을 지원하는데 이용가능한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SPS(Satellite Positioning System), 이를테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또는 다른 유사한 시스템들이 모바일 단말의 로케이션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06] 포지션 결정 프로세스를 지원함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거나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액세스가능한 로케이션 서버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되는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 또는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되는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과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결정을 보조하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로케이션 서버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포지셔닝 방법들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포지셔닝 방법들의 예들은, 몇몇 잘 알려진 예들을 들자면, A-GPS(Assisted GPS), A-GNSS(Assiste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ECID(Enhanced Cell ID),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포지셔닝을 포함한다. 포지셔닝 프로토콜이 LPP에 대한 경우와 같이 적어도 수 개(예컨대, 3개 또는 그 초과)의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을 지원하거나 LPPe에 대한 경우와 같이 많은(예컨대, 한 다스(dozen) 초과) 포지셔닝 방법들을 지원하는 경우, 로케이션 서버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의 지원이 복잡해질 수 있는데, 이는 하나 또는 2개의 포지셔닝 방법들만을 지원하도록 전용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의 경우에서보다 더 많은 리소스들(예컨대, 메모리 및 프로세싱)의 사용, 더 많은 구현, 및 더 많은 테스팅을 초래한다. 리소스 사용, 구현, 및/또는 테스팅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결과적인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보조하거나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더 복잡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예컨대, LPP 및 LPPe)을 단순화하기 위한 수단이 유익할 수 있다.
[0007]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string)에 임베딩(embed)함으로써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08]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고,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할 수 있다.
[0009] 몇몇 구현들에서, 메시지의 인코딩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한다.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메시지 내에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octet) 스트링, ASN.1 16진수(hexadecimal) 스트링, ASN.1 문자(character)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가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예컨대, 전부 옥텟 스트링을 사용할 수 있음). 대안적으로,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상이한 ASN.1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포지션 방법(예컨대, A-GNSS)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일 수 있는 반면, 제 2 포지션 방법(예컨대, OTDOA)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비트 스트링일 수 있다.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메시지의 선택적 ASN.1 파라미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코딩된 스트링들 또는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는 의무적(mandatory) ASN.1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된 포함된 파라미터의 부재는, 제로(zero) 길이 또는 단위 길이(unitary length)의 인코딩된 스트링을 포함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ASN.1 옥텟 스트링인 인코딩된 스트링의 경우, 각각 제로 옥텟들 또는 1 옥텟을 포함함).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SUPL SLP 또는 E-SMLC)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일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또한 가능하다.
[0010]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장치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함으로써 메시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코더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0011]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는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됨 ―; 및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서브세트에 있지 않은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함으로써 메시지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2]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고,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또는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다.
[0013] 몇몇 구현들에서, 메시지의 디코딩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할 수 있다.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메시지 내에 정의될 수 있다.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 ASN.1 16진수 스트링, ASN.1 문자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스트링들 모두는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상이한 ASN.1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포지션 방법(예컨대, A-GNSS)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일 수 있는 반면, 제 2 포지션 방법(예컨대, OTDOA)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비트 스트링일 수 있다.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선택적 ASN.1 파라미터 또는 의무적 ASN.1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의무적 ASN.1 파라미터의 경우,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된 포함된 파라미터의 부재는, 제로 길이 또는 단위 길이의 인코딩된 스트링을 포함함으로써(예컨대, ASN.1 옥텟 스트링인 인코딩된 스트링의 경우, 각각 제로 옥텟들 또는 1 옥텟을 포함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 Protocol),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일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또한 가능하다.
[0014]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는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됨 ―; 및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서브세트에 있지 않은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함으로써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디코더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5] 본 개시내용의 전술된 특성들 및 이점들뿐만 아니라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특성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도면들의 비-제한적이고 그리고 총망라적인 것이 아닌 양상들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들을 읽은 이후에 더 명확하게 이해가능해질 것이다.
[0016]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을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한다.
[0017]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따른 예시적인 통신들을 예시한다.
[0018]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통신들을 예시한다.
[0019]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통신들을 예시한다.
[0020] 도 5a-5b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들을 예시한다.
[0021]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를 예시한다.
[0022]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0023]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을 사용하기 위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다음의 설명들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내용을 사용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시된다. 특정한 실시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의 설명들은 단지 예들로서 제공된다. 본원에 설명된 예들의 다양한 수정들 및 결합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예들 및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설명되고 도시된 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특성들과 일치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단어 "예시적인" 또는 "예"는,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또는 "예"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양상 또는 실시예는, 다른 양상들 또는 실시예들에 비해 반드시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0024] 용어들 "로케이션", "포지션", "로케이션 추정", 및 "포지션 추정"은 동의어인 것으로 고려되며, 무선 디바이스 스스로에 의해 또는 로케이션 서버와 같은 몇몇 다른 엔티티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계산될 수 있거나 달리 추정될 수 있는 지리적 로케이션(예컨대, 위도, 경도, 및 선택적으로 고도) 또는 씨빅(civic) 로케이션(예컨대, 거리 주소 또는 잘-알려진 장소 명칭)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지리적 또는 씨빅 로케이션은 고정된 포인트, 고정된 영역, 또는 고정된 볼륨(volume)(예컨대, 이를테면 고정된 포인트의 경우, 위도, 경도, 및 선택적으로는 고도에 의해 제공됨)에 대응하는 경우 "절대적"이라고 지칭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려진 절대적 로케이션을 갖는 고정된 포인트의 북쪽 또는 남쪽, 동쪽 또는 서쪽, 그리고 선택적으로 위 또는 아래로의 거리들을 특정함으로써) 절대적 로케이션에 대한 변위 또는 오프셋으로서 표현되는 경우 "상대적"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0025]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100)을 예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타겟(target) 디바이스(104)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타겟 디바이스(104)는, 셀룰러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디바이스(예컨대, 셀 폰, 스마트 폰), 개인 통신 시스템 디바이스, 개인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개인 정보 관리자,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랩톱, 태블릿, 또는 무선 통신 및/또는 내비게이션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는, 사용자 장비(UE), 모바일 스테이션(MS), 모바일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단말, 스테이션(예컨대, IEEE 802.11 가능 스테이션), SET(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Enabled Terminal), 또는 몇몇 다른 명칭으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 있다.
[0026] 예시적인 환경(100)에서, 무선 통신 환경 내에 있고 타겟 디바이스(104) 인근에 로케이팅되는, 각각 106, 108, 및 110으로 표시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라디오 비컨(beacon)들(M1, M2, 및 M3)(이를테면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들)이 존재한다. 모바일 액세스 포인트들은 소형이고 휴대가능하며(예컨대, WiFi 액세스 포인트들일 수 있음),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때로는 새로운 로케이션들로 이동될 수 있다. 부가하여, 타겟 디바이스(104) 근처에 로케이팅되는, 각각 112, 114, 및 116으로 표시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B1, B2, 및 B3)(이를테면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 및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은, 기지국, 펨토셀들, Bluetooth® 노드들, 홈 기지국들, 소형 셀들, 및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AP)들의 임의의 결합들일 수 있다. 모바일 및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은, (i)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정의되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들; (ii)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에 의해 정의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1xRTT 및 EvDO 표준들; (iii) IEEE에 의해 정의되는 802.11 WiFi 또는 802.16 WiMax 표준들; 또는 (iv) 몇몇 다른 표준과 같은 무선 표준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는, 모바일 및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 지원되는 것과 동일한 무선 표준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타겟 디바이스(104)는,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지원되고 모바일 및/또는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표준들에 대한 다운링크 신호들을 포착 및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신호 측정들의 예들은, 신호 강도, 신호 품질(예컨대, 신호 대 잡음 비(S/N)), 신호 RTT(round trip propagation time), 신호 TOA(time of arrival), 및 신호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의 측정들을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104)는 또한, 미국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러시아의 GLONASS 시스템, 유럽의 Galileo 시스템 또는 중국의 Beidou 시스템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의 일부일 수 있는 위성들(122, 124, 126, 및 128)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성 신호들에 대해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행해지는 측정들의 예들은 의사범위(pseudorange), 코드 위상, 캐리어 위상, 및/또는 Doppler의 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27] 예시적인 환경(100)은,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해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118)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18)는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서빙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118)는 추가로 또는 그 대신,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홈 네트워크일 수 있고, 타겟 디바이스(104)의 사용자가 가입한 운영자에 의해 소유되고 운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118)는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홈 네트워크가 아닌 방문된 네트워크일 수 있고,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홈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밖에 있는 경우에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해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118)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 있고, GSM, WCDMA, LTE, CDMA 1xRTT, CDMA EvDO, WiFi, WiMax, 및/또는 몇몇 다른 무선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118)는 또한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예컨대, DSL 또는 패킷 케이블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음).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 108, 110) 및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112, 114, 116)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네트워크(118)의 일부일 수 있거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몇몇 다른 네트워크의 일부일 수 있다.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 108, 110)이 네트워크(118)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118)의 잔여부와의 백홀(backhaul) 시그널링 및 데이터/보이스 전송은 무선 수단(예컨대, 네트워크(118)에 속하는 고정형 기지국들에 의해 지원되는 무선 기술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파, 위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0028] 타겟 디바이스(104)는, 네트워크(118)의 일부이거나 그에 결부(attach)된 또는 네트워크(118)로부터 액세스가능한(예컨대, 네트워크(118)가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홈 네트워크가 아닌 방문된 네트워크인 경우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홈 네트워크의 일부인) 로케이션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는, 3GPP에 의해 정의되는 SMLC(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SAS(Standalone SMLC), 또는 E-SMLC(Enhanc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일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는 또한, OMA(Open Mobile Alliance)에 의해 정의되는 SLP(SUPL(Secure User Plane Location) Location Platform) 또는 3GPP2에 의해 정의되는 PDE(Position Determining Entity)일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는 타겟 디바이스(104)를 대신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120)는 타겟 디바이스(104)에 보조 데이터 - 예컨대, (i) 타겟 디바이스(104)가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 108, 110),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112, 114, 116), 및/또는 위성들(122, 124, 126, 128)로부터의 신호들을 포착 및 측정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데이터 및/또는 (ii) 타겟 디바이스(104)가 이들 측정들로부터 자신의 로케이션을 컴퓨팅하는 것을 돕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는 또한, 타겟 디바이스(104)로부터 측정들 또는 로케이션 추정을 수신(및 예컨대, 요청)할 수 있고, 수신된 임의의 측정들을 사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로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 및 타겟 디바이스(104)는 또한 서로의 포지셔닝 능력들 - 예컨대, 상이한 타입들의 보조 데이터, 상이한 타입들의 로케이션 관련 측정들을 전송 또는 수신하고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을 지원하는 능력들을 수신(및 예컨대, 요청)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 및 로케이션 서버(120)는, 로케이션 관련 정보를 통신하기 위해(이를테면, (i) 보조 데이터를 로케이션 서버(120)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04)로 전달하고, (ii) 보조 데이터에 대한 요청을 타겟 디바이스(104)로부터 로케이션 서버(120)로 전달하고, (iii) 측정들 또는 로케이션 추정을 타겟 디바이스(104)로부터 로케이션 서버(120)로 전달하고, (iv) 측정들 또는 로케이션 추정에 대한 요청을 로케이션 서버(120)로부터 타겟 디바이스(104)로 전달하고, (v) 포지셔닝 능력들을 로케이션 서버(120) 또는 타겟 디바이스(1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엔티티로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vi) 포지셔닝 능력들에 대한 요청을 로케이션 서버(120) 또는 타겟 디바이스(104)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의 엔티티로 전달하는 것을 위해)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을 이용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 및 로케이션 서버(120)에 의해 이용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추가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되는 임의의 로케이션 관련 정보에 대한 컨텐츠, 포맷, 및 인코딩을 정의하고(예컨대, ASN.1 또는 XML 메시지 및 파라미터 컨텐츠 및 인코딩을 정의할 수 있음), 로케이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예컨대, 이를테면 IP 또는 TCP/IP를 통해 전송함)을 정의하고, 그리고/또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절차들 및 포지셔닝 방법들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프로토콜 절차들은,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에 대해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되거나 통신되지 않을 수 있는 로케이션 정보의 타입들, 수신된 로케이션 정보가 처리될 수 있거나 처리되어야만 하는 방식, 특정 로케이션 정보가 전송될 수 있거나 전송되어야만 하는 때, 및 에러 조건들 및 다른 이상(abnormality)들이 처리될 수 있거나 처리되어야만 하는 방식을 정의할 수 있다.
[0029]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의 예들은, (i)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36.355에서 3GPP에 의해 정의되는 LPP(LTE Positioning Protocol), (ii) OMA TS들 OMA-TS-LPPe-V1_0, OMA-TS-LPPe-V1_1 및 OMA-TS-LPPe-V2_0에서 OMA에 의해 정의되는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iii) LPP 및 LPPe 둘 모두가 결합된 것, 및 (iv) 3GPP TS 44.031에서 정의되는 RRLP(Radio Resource Location Services Protocol)일 수 있다.
[0030] 로케이션 서버(120)는, 위성들(122, 124, 126, 128)에 대한 정보(예컨대, 천문력(ephemeris), 얼머낵(almanac), 및 타이밍 데이터),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 108, 110) 및/또는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112, 114, 116)에 대한 정보(예컨대,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의 로케이션 좌표들,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의 로케이션 좌표들, 안테나 특성들, 송신 전력, 다른 라디오 비컨들에 대한 또는 위성들(122, 124, 126, 128)에 대한 송신 타이밍)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로케이션 서버(120)는, 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한 요청 시, 또는 로케이션 서버(120)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몇몇 외부 클라이언트 대신에 타겟 디바이스(104)의 로케이션을 획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을 사용하여 보조 데이터로서 이러한 정보(예컨대, 인근 라디오 비컨들에 대한 정보) 중 일부를 타겟 디바이스(104)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31] 로케이션 서버(120) 및 타겟 디바이스(104)는, 로케이션을 결정하거나 로케이션 결정을 보조하기 위한 제어 평면 솔루션의 일부로서 또는 사용자 평면 로케이션 솔루션의 일부로서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평면 솔루션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에 의해 전달되는 것과 같은 시그널링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또는 보이스 트래픽보다는 시그널링을 지원하도록 정의되는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118))에 의해 지원되는 프로토콜들 및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전달된다. 사용자 평면 솔루션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에 의해 전달되는 것과 같은 시그널링은 통상적으로, 데이터 및/또는 보이스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의도되는 프로토콜들 및 리소스들(예컨대, TCP 또는 TCP/IP)에 의해 전달된다. 제어 평면 로케이션 솔루션의 예들은 3GPP TS들 23.271, 43.059, 25.305 및 36.305에서 정의되는 3GPP 솔루션들이다. 사용자 평면 솔루션의 예는 OMA에 의해 정의되는 SUPL 솔루션이다. 제어 평면 솔루션의 경우, 로케이션 서버(120)는 SMLC, E-SMLC, SAS 또는 PDE일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솔루션의 경우, 로케이션 서버는 SLP, 이를테면 H-SLP(home SLP), D-SLP(Discovered SLP), 또는 E-SLP(Emergency SLP)일 수 있다.
[0032] 타겟 디바이스(104)는, 네트워크(118)에 속하거나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몇몇 다른 네트워크에 속하는 기지국들, 홈 기지국들, 또는 WLAN AP들을 통해 로케이션 서버(1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들 기지국들, 홈 기지국들, 및 WLAN AP들은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 108, 110) 및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112, 114, 116)을 포함할 수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003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스템은, 타겟 디바이스(104)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것을 보조하거나 포지션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접근법에서, 타겟 디바이스의 포지션은,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M1, M2, 및 M3)로부터 그리고/또는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B1, B2, 및 B3)로부터 송신되는 라디오 신호들에 대해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행해진 측정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측정들은 신호 강도, 신호 품질(예컨대, S/N), 신호 전파 지연(예컨대, RTT), 또는 절대적 타이밍을 포함하는 신호 타이밍(예컨대, TOA) 및 하나의 라디오 비컨 대 다른 라디오 비컨의 상대적 타이밍(예컨대, TDOA)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는, 이들 측정들로부터 로케이션 추정을 컴퓨팅하거나, 로케이션 추정을 컴퓨팅하기 위해 (예컨대,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버(120)에 측정들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지상 기반 포지션 방법들, 예를 들어, 3GPP TS 36.355에서 LTE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3GPP에 의해 정의되는 OTDOA(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포지션 방법, 3GPP TS 25.331에서 WCDMA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3GPP에 의해 정의되는 OTDOA, 3GPP2 TS C.S0022에서 CDMA 1x 및 EvDO 라디오 액세스에 대해 3GPP2에 의해 정의되는 AFLT(Advanced Forward Link Trilateration) 방법, WiFi 라디오 액세스에 대한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과 연관되어 OMA에 의해 정의되는 WLAN 포지셔닝 방법, 및 LPP 및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들과 연관되어 다양한 무선 액세스 타입들에 대해 3GPP 및 OMA에 의해 정의되는 ECID(Enhanced Cell ID) 방법들이 타겟 디바이스(104)의 로케이션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34] 타겟 디바이스(104)는 또한, 로케이션 및/또는 속도, 가속도, 또는 다른 로케이션 관련 파라미터들, 이를테면 기압 및/또는 온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 또는 로케이션 서버(120)는, 이들 센서 측정들을 이용하여 타겟 디바이스(104)에 대한 새로운 절대적 로케이션을 결정하거나 또는 (예컨대,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M1, M2, 및 M3) 및/또는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B1, B2, 및 B3)의 이전 측정들로부터 획득되는) 이전에 알려진 절대적 로케이션에 기초하여 상대적 로케이션을 결정할 수 있다. 부가하여, 타겟 디바이스(104)의 포지션은, 위성들(122, 124, 126, 및 128)로부터의 라디오 신호들에 대해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행해진 측정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104) 및 로케이션 서버(120)는 또한, (예컨대,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다른 포지션 방법들, 이를테면 SRN(short range node) 포지셔닝(예컨대, Bluetooth 비컨들을 사용함), PDR(pedestrian dead reckoning)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및/또는 IRB(image recognition based) 포지셔닝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WLAN 또는 SRN 포지셔닝과 같은 몇몇 포지셔닝 방법들의 경우, 로케이션 서버(120)는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을 사용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라디오 히트 맵(heat map)들을 보조 데이터로서 타겟 디바이스(104)에 제공할 수 있는데,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히트 맵들은, 타겟 디바이스(104)가 라디오 패턴 매칭으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로케이션을 컴퓨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방향 그리드에서 1 미터 또는 2 미터쯤 이격된 로케이션들과 같은 상이한 정의된 로케이션들에서 모바일 라디오 비컨들(106-110) 또는 고정형 라디오 비컨들(112-116)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예상되는(예컨대, 계산되거나 앞서 측정된) 신호 강도들 또는 왕복(round trip) 신호 전파 시간들을 포함한다.
[0035]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도 1의 포지셔닝 프로토콜(130)과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예시적인 통신(200)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단계 1에서,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또는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 엔드포인트(Endpoint) A(202)는, 초기 LPP 트랜잭션(transaction) j에 대한 LPP 메시지를, 엔드포인트 A(202)에 대한 상보적인 역할을 갖는 엔드포인트 B(204)(예컨대, 엔드포인트 A(202)가 로케이션 서버이면 타겟 디바이스, 이를테면 타겟 디바이스(104)일 수 있음)에 전송함으로써 LPP 프로토콜에 대한 세션을 개시할 수 있다. 선택적 단계 2에서, 엔드포인트 A(202) 및 엔드포인트 B(204)는 단계 1에서 시작된 트랜잭션을 계속하기 위해 추가적인 LPP 메시지들을 교환할 수 있다. 선택적 단계 3에서, 어느 엔드포인트든 부가적인 LPP 메시지들을 전송함으로써 추가적인 트랜잭션들에 착수하게(instigate) 할 수 있다. 단계 4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PP 메시지들이 2개의 엔드포인트들 간에 교환될 최종 트랜잭션 N에 의해, 세션이 종결될 수 있다.
[0036] 통신(200)의 각각의 LPP 트랜잭션 내에서, 모든 구성(constituent) LPP 메시지들은 동일한 트랜잭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1 및 단계 2의 경우 트랜잭션 식별자는 J일 수 있는 반면, 단계 3 및 단계 4의 경우 트랜잭션 식별자는 각각 k 및 N일 수 있다. 각각의 트랜잭션에서 전송되는 마지막 LPP 메시지는 트랜잭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병렬로 발생하는 트랜잭션들은 상이한 트랜잭션 ID들을 사용할 수 있고, 완료된 트랜잭션들에 대한 트랜잭션 ID들은, 완료된 트랜잭션의 최종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알려진 후에는 언제든 재사용될 수 있다.
[0037] 도 2에 도시된 통신(200)은 또한,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LPP 메시지가, 결합된 LPP/LPPe 메시지(이는, 일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LPP 메시지가, 임베딩된 LPPe 메시지를 포함하면 발생할 수 있음)로 대체되는 경우 유효할 수 있다. 결합된 LPP/LPPe 메시지의 경우, 그 메시지의 컨텐츠에 대한 본원에서의 참조는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LPP 메시지의 컨텐츠 또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의 컨텐츠를 지칭할 수 있다.
[0038] 통신(200)의 단계 1 내지 단계 4에 도시된 LPP 메시지들은 3GPP TS 36.355에서 LPP에 대해 정의된 임의의 LPP 메시지들, 이를테면 이후 표 1에서 본원에 도시된 메시지들 중 임의의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2에 도시된 LPP 메시지가, 결합된 LPP/LPPe 메시지로 대체되는 경우, LPP 메시지는 이후의 표 1에서 도시된 임의의 LPP 메시지일 수 있고, 임베딩된 LPPe 메시지는, 표 1과 연관되어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LPPe 메시지가 임베딩된 LPP 메시지에 대응하는 LPPe 메시지일 수 있다.
[0039]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도 1의 포지셔닝 프로토콜(130)과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다른 예시적인 통신(300)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302)(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와 서버(304)(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간의 통신은 LPPe 프로토콜과 결합된 LP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다. 통신(300)의 단계 1에서, 서버(304)는, 일부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1을 사용하여, 임베딩된 LPP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타겟(302)에 전송한다. 단계 1에서의 메시지(예컨대, 임베딩된 LPPe 메시지)는, 주기적/트리거링된(triggered) 세션 ID S(예컨대, 타겟(302)과 서버(304) 사이에서 현재 사용 중인 임의의 다른 LPPe 주기적/트리거링 세션 ID와 상이함), 메시지가 Periodic/Triggered Location Information 전달에 대한 초기 요청이라는 표시, 및 요청되는 로케이션 정보의 타입,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트리거링 또는 주기성 조건들, 및 로케이션 정보 전달을 종료하기 위한 지속기간 또는 다른 특정 조건들을 식별하는 LPPe 제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40] 단계 2에서, 타겟(302)은, 임베딩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서버(304)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단계 2에서의 메시지는 단계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트랜잭션 ID T1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트랜잭션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에 대한 메시지(예컨대, 임베딩된 LPPe 메시지)는, 단계 1로부터의 주기적/트리거링된 세션 ID S, 메시지가 초기 요청에 대한 응답이라는 표시, 및 단계 1에서의 요청이 지원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LPPe 제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에서의 요청이 지원될 수 있으면, LPPe 제어 파라미터들은, 이후 단계들(예컨대, 단계 3 및 단계 4)에서 전송될 로케이션 정보의 타입, 로케이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트리거링 또는 주기성 파라미터들, 및 로케이션 정보 전달을 종료하기 위한 지속기간 또는 다른 조건들을 명시적으로 확인하거나 재정의할 수 있다. 전달될 로케이션 정보의 추가적인 특성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절차가 지원될 수 없으면, 단계 2에서, 에러 이유가 LPPe 레벨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나머지 단계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0041] 단계 2에서 확인 또는 정의된 제 1 트리거링 또는 주기성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 3에서, 타겟(302)은, 임베딩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미요청(unsolicited)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서버(304)에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예컨대, 임베딩된 LPPe 메시지)는, 단계 1로부터의 주기적/트리거링된 세션 ID S, 메시지가 주기적/트리거링된 로케이션 정보 전달이라는 표시, 및 단계 2에서 확인 또는 정의된 로케이션 정보의 타입을 포함하는 LPPe 데이터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는, T1과 상이할 수 있는, 일부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2를 사용할 수 있다.
[0042] 단계 4에서, 타겟(302)은, 단계 3과 유사하게, 각각의 부가적인 트리거링 또는 주기성 조건들이 발생하는 경우, 단계 2에서 확인 또는 재정의된 로케이션 정보의 타입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들을 서버(304)에 계속 전송할 수 있다.
[0043] 선택적 단계인 단계 5에서, 세션이 종료될 것을 요구하는 에러 조건이 서버(304)에서 발생하면, 서버(304)는, 단계 3 및 단계 4의 트랜잭션 T2 동안, 선택적으로 LPP 및/또는 LPPe 에러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LPP Abort를 타겟(302)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나머지 단계들은 생략될 수 있다. 단계 5에서 중단을 유발할 수 있는 에러 조건들은, 로케이션 정보 전달을 업데이트하려는 서버(304) 또는 타겟(302) 중 어느 하나에 의한 시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타겟(302)에 의해 제공되는 최종 제어 파라미터들은 서버(304)에게 수용가능하지 않다.
[0044] 선택적 단계인 단계 6에서, 추가적인 로케이션 정보의 전달 없이 세션이 종료될 것을 요구하는 에러 조건이 타겟(302)에서 발생하면, 타겟(302)은, 단계 3 및 단계 4의 트랜잭션 T2 동안, 선택적으로 LPP 및/또는 LPPe 에러 코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LPP Abort를 서버(304)에 전송할 수 있다. 그 다음, 나머지 단계들은 생략될 수 있다.
[0045] 단계 7에서, 로케이션 정보 전달을 종료하기 위한 지속기간 또는 다른 조건들이 발생한 경우, 타겟(302)에 의해 서버(304)로 전달되는 마지막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는 단계 3 및 단계 4에서 사용되는 트랜잭션 T2의 종료를 표시한다.
[0046]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도 1의 포지셔닝 프로토콜(130)과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2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다른 예시적인 통신(400)을 예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402)(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제어 서버(404)(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및 데이터 서버(406)(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또는 로케이션 서버(120)와 유사한 다른 로케이션 서버) 간의 통신은, 타겟 디바이스(402)에 의한, 로케이션 관련 데이터의 데이터 서버(406)로의 크라우드소싱을 지원하기 위해 발생할 수 있다. 통신(400)의 단계 1에서, 제어 서버(404)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고 일부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1을 사용하는 LPP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402)에 전송한다. 단계 1에서의 메시지(예컨대, 임베딩된 LPPe 메시지)는, 타겟 디바이스(402)에 대해 고유할 수 있거나 제로의 익명(anonymous) 값으로 셋팅될 수 있는 크라우드소싱 세션 ID S, 메시지가 크라우드소싱에 대한 요청이라는 표시 및 요청된 크라우드소싱 측정들의 표시, 및 측정들을 획득 및 리포팅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에서의 메시지는 또한, 크라우드소싱 측정들이 (예컨대, 단계 3 및 단계 4)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서버(406)의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6)가 표시되지 않으면, 데이터 서버(406)는 제어 서버(404)와 동일할 수 있다.
[0047] 통신(400)의 단계 2에서, 타겟 디바이스(402)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제어 서버(404)에 전송함으로써 응답할 수 있다. 메시지는 단계 1에서와 동일한 트랜잭션 ID T1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트랜잭션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는, 단계 1에서와 동일할 수 있거나 익명 리포팅을 표시하기 위해 제로일 수 있는 세션 ID S, 메시지가 크라우드소싱의 확인이라는 표시, 및 크라우드소싱될 측정들의 표시, 및 측정들을 획득 및 리포팅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에서 표시된 측정들 및 제어 파라미터들은 단계 1에서와 동일할 수 있거나 단계 1에서의 것들의 서브세트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어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는 단계 1에서의 소정의 파라미터들이 생략되어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단계 1에서보다 낮은 측정 및/또는 리포팅의 빈도 및/또는 낮은 측정 및/또는 리포팅의 지속기간을 표시하는 단계 1로부터의 소정의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타겟 디바이스(402)에 의해 크라우드소싱 절차가 지원될 수 없으면, 단계 2의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는 대신 크라우드소싱의 거절의 표시 뿐만 아니라 에러 이유 및 그에 따라 측정들 및 제어 파라미터들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표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400)의 후속 단계들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0048] 통신(400)의 단계 3에서, 타겟 디바이스(402)는, 단계 2의 제어 및 측정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되는 크라우드소싱 측정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제 1 세트의 측정들이 단계 2의 제어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전송될 필요가 있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측정 데이터를,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임베딩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각각이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들로 어셈블링(assemble)할 수 있다. 하나의 메시지만이 존재하면, 타겟 디바이스(402)는 단계 3을 스킵(skip)하고 단계 4로 진행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 3에서, 타겟 디바이스(402)는, 크라우드소싱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가장 빠른 시간(들)에 획득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서 제 1 배치(batch)의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406)에 전송한다. 단계 3에서의 메시지는, 단계 1 및 단계 2에서 사용되는 T1과 상이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2를 포함할 수 있고, 단계 2에서 사용되는 세션 ID S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402)는, (예컨대, 점진적으로 더 나중 시간들에서 획득되는) 각각의 연속적인 측정 데이터 세트를, 마지막 측정 데이터 세트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서 데이터 서버(406)에 전송하기 위해 단계 3을 반복할 수 있다.
[0049] 단계 4에서, 마지막 측정 데이터 세트의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단계 3에서와 같지만 트랜잭션의 종료가 또한 표시되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데이터 서버(406)에 전송할 수 있다. 부가하여, 타겟 디바이스(402)는, 단계 2에서 합의된 임의의 지속기간이 종료되거나 타겟 디바이스(402)가 다른 이유들(예컨대, 리소스들의 결여 또는 사용자의 개입)로 인해 세션을 종료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경우, 크라우드소싱 세션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3 및 단계 4는, 단계 2의 제어 파라미터들에 의해 결정된 후속 측정들의 세트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후의 리포팅 시간들에서 반복될 수 있다. 단계 3 및 단계 4에 따른 크라우드소싱 전달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타겟 디바이스(402)와 데이터 서버(406) 간의 세션 또는 연결이 실패하거나 해제되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세션 또는 연결을 재설정하고 전달을 재개하려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전송 레벨에서 어떠한 수신 확인도 존재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앞서 단계 3 또는 단계 4에서 완전히 전송된 임의의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재전송하지 않을 수 있지만, 대신, 아직 데이터 서버(406)에 전송되지 않았거나 완전히 전송되지 않은 LPP/LPPe 메시지들의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LPP/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익명의 크라우드소싱에 대해 발생할 수 있거나 각각의 타겟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크라우드소싱 메시지들의 기록을 데이터 서버(406)가 유지하지 않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미검출 메시지 중복을 회피할 수 있다.
[0050] 통신(400)의 선택적 단계 5에서, 세션이 종료될 것을 요구하는 에러 관련 조건이 제어 서버(404)에서 발생하는 경우, 제어 서버(404)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3을 사용하고 단계 2로부터의 세션 ID S를 포함할 수 있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Ab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Abort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402)에 전송할 수 있다.
[0051] 통신(400)의 선택적 단계 6에서, 세션이 종료될 것을 요구하는 에러 관련 조건이 데이터 서버(406)에서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서버(406)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4를 사용하고 단계 3 또는 단계 4에서 수신되는 세션 ID S를 포함할 수 있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Abort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Abort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402)에 전송할 수 있다.
[0052] 통신(400)의 선택적 단계 7에서,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가 타겟 디바이스(402)에서의 크라우드소싱의 상태를 질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는, 일부 이용가능한 트랜잭션 ID T5를 사용하여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타겟 디바이스(402)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7에서의 메시지는,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가 타겟 디바이스(402)와의 활성 세션을 인지하는 경우, 크라우드소싱 세션 ID S(예컨대, 단계 2, 단계 3, 또는 단계 4로부터의 세션 ID S)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세션 ID S는 생략될 수 있다.
[0053] 통신(400)의 선택적 단계 8에서, 그리고 단계 7에 대한 응답으로, 타겟 디바이스(402)가 단계 7에서 포함된 세션 ID S를 단계 7에서의 메시지의 전송자(예컨대,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에 대한 활성 크라우드소싱 세션에 매칭할 수 있는 경우, 또는 이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으면, 타겟 디바이스(402)가 임의의 세션 ID를 이용하여 이러한 전송자에 대한 활성 크라우드소싱 세션을 결정할 수 있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전송자(예컨대,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로 리턴할 수 있다. 단계 8에서의 메시지는 단계 7로부터의 트랜잭션 ID T5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트랜잭션의 종료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8에서의 메시지는 크라우드소싱 상태 응답을 표시할 수 있고, 단계 7에서 수신된 세션 ID S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단계 7에서의 메시지의 전송자(예컨대,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와의 활성 크라우드소싱 세션에 대한 세션 ID S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8에서의 메시지는 또한, 단계 8에서 표시된 크라우드소싱 세션에 대한, 단계 2에서 리턴된 사용 중인 제어 파라미터들 및 획득되는 측정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8에서의 메시지는 또한, 타겟 디바이스(402)에 대해 이용가능한 경우 크라우드소싱 세션에 대한 통계를 제공할 수 있다. 타겟 디바이스(402)가 단계 7에서의 메시지의 전송자(예컨대,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에 대한 활성 크라우드소싱 세션을 발견할 수 없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402)는, 단계 7로부터의 트랜잭션 ID T5, 트랜잭션의 종료 표시, 크라우드소싱 상태 응답의 표시, 및 어떠한 활성 세션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갖는, 임베딩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단계 7에서의 메시지의 전송자(예컨대, 제어 서버(404) 또는 데이터 서버(406))로 리턴할 수 있다.
[0054] 수신된 LPP/LPPe 메시지에 의해 표시된 트랜잭션이 크라우드소싱에 관련되고 그리고 여전히 개방되어 있는 통신(400)에서 프로토콜 에러들을 검출하는, LPP 또는 LPP/LPPe 메시지의 수신기의 경우, 수신기는 LPP Error 메시지를 리턴할 수 있고 트랜잭션을 폐쇄된 것으로 고려할 수 있다. 에러를 야기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는 폐기될 수 있고, 이에 포함된 임의의 요청은, 임의의 진행 중인 크라우드소싱 세션이 종결될 수 있는 중단 또는 종결 요청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를 제외하고, 에러가 있는 수신된 LPP 또는 LPP/LPPe 메시지가 참조했을 수 있는 임의의 크라우드소싱 세션은 계속될 수 있다.
[0055]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LPP 또는 LPPe와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다수의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예컨대, A-GNSS, OTDOA, ECID, WLAN, SRN)을 지원할 수 있고, 다수의 상이한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예컨대, LPP 및 LPPe의 경우,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은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및 Abort)을 정의할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메시지들 및 메시지 파라미터들의 컨텐츠, 포맷, 및 인코딩을 정의할 수 있다. 3GPP TS 36.355에 정의된 LPP 포지셔닝 프로토콜의 경우, 표 1에 도시된 메시지 타입들이 정의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1
[0056] OMA에 의해 정의된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의 경우, LPPe 메시지 타입들은 LPP에 대해 표 1에 도시된 것들 각각에 대응하게 정의된다. LPP 및 LPPe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결합된 LPP/LPPe 메시지는, 표 1에 도시된 LPP 메시지 타입들 중 하나(동일한 타입의 하나의 임베딩된 LPPe 메시지를 포함함)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서 예를 든 LPP/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는, 하나의 임베딩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LPP/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는, 하나의 임베딩된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LPP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를 포함한다. LPP 및 LPPe 메시지들을 결합시키는 이러한 방법은, 표 1에 도시된 다른 LPP 메시지 타입들에 대해 반복된다. 각각의 LPP 및 LPPe 메시지 타입은, 메시지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 각각에 대한 개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NSS 및 OTDOA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측정들을 포함하는,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에 의해 전송되는 LPP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는, A-GNSS 측정들을 포함하는 메시지 내의 일 파라미터 및 OTDOA 측정들을 포함하는 다른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A-GNSS, ECID 및 WLAN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로 전송되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이는 통상적으로 LPP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 내에 임베딩될 것임)는, A-GNSS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 내의 제 1 파라미터, ECID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2 파라미터, 및 WLAN 포지셔닝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 3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파라미터"는 단일 데이터 항목(예컨대, 정수, Boolean, 비트 스트링 또는 옥텟 스트링)을 지칭할 수 있거나, 함께 그룹화되어 단일 유닛으로서 정의되는 데이터 항목들의 집합(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정수들, Boolean들, 비트 스트링들 및/또는 옥텟 스트링들)을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0057] LPP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중 몇몇은 또한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및 확장)된다. 이들 포지션 방법들 중 임의의 포지션 방법이, 결합된 LPP/LPPe 메시지에 의해 지원되는 경우, 각각의 이러한 포지션 방법에 대한 파라미터는 LPP 메시지에 그리고/또는 LPP 메시지에 임베딩되는 LPPe 메시지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GNSS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결합된 LPP/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가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로 전송되는 경우, A-GNSS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LPP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 내의 하나의 파라미터, 및/또는 LPP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에 임베딩되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 내의 A-GNSS에 대한 (예컨대, 상이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파라미터가 존재할 수 있다. 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는 몇몇 다른 포지션 방법들은 LPP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다. 이러한 포지션 방법들의 예들은 WLAN 포지셔닝, SRN 포지셔닝, 및 센서 포지셔닝을 포함한다. 이들 다른 포지션 방법들 중 임의의 것을 지원하는 결합된 LPP/LPPe 메시지는, LPP 메시지에 임베딩된 LPPe 메시지에서 각각의 이러한 다른 포지션 방법에 대한 하나의 파라미터를 포함할 것이지만, LPP 메시지 그 자체 내에는 각각의 이러한 다른 포지션 방법에 대한 어떠한 파라미터도 포함하지 않을 것이다.
[0058] 표 2는 LPP 및 LPPe 버전 2.0에 의해 지원되는 상이한 포지셔닝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표 내의 "예" 엔트리는 지원을 의미하고 "아니오" 엔트리는 지원의 결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UMTS에 대한 ECID(행 7)는 LPP에 의해 지원되지 않지만 LPPe 버전 2.0에 의해 지원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공통 포지셔닝(표 2의 행 2)은, 다른 포지션 방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대한 정보를 보충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포지션 방법들과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정보(예컨대, 보조 데이터 또는 측정들)를 지칭함을 유의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2
[0059] 표 2는, LPP 메시지(예컨대, LPP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가 표 2에 도시된 처음 4개의 포지션 방법들을 지원하기 위한 최대 4개의 개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표 2는 또한, LPPe 메시지(예컨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가 16개의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 전부를 지원하기 위한 최대 16개의 개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표 2에 도시된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 중 몇몇은 서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LPPe 메시지 내의 개별 파라미터들의 최대 개수는 16개 미만일 수 있다.
[0060] 표 3 내지 표 6은 4개의 상이한 타입들의 LPPe 메시지에 대해 OMA LPPe 2.0 TS에서 정의되는 인코딩들을 도시한다. 인코딩들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한다. 표 3은 LPPe Request Assistance Data 메시지의 인코딩을 도시하고; 표 4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의 인코딩을 도시하고; 표 5는 LPPe Request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의 인코딩을 도시하며; 그리고 표 6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의 인코딩을 도시한다. LPPe Request Capabilities 메시지 및 LPPe Provide Capabilities 메시지(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인코딩들은 표 3 내지 표 6에 도시된 인코딩들과 유사한 패턴을 따른다. LPPe Abort 메시지 및 LPPe Error 메시지(또한 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인코딩들은, 이들 2개의 메시지들이 더 적은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표 3 내지 표 6에 도시된 인코딩들보다 단순하다. ASN.1 인코딩의 경우, ASN.1 파라미터 명칭들이 각각의 라인 상의 좌측에 나타나는 한편, 대응하는 ASN.1 데이터 타입들이 우측 상에 나타남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LPPe Request Assistance Data 메시지의 ASN.1 인코딩을 도시하는 표 3에서, 메시지 내의 제 1 선택적 ASN.1 파라미터는, 데이터 타입이 아이덴티티(identity) OMA-LPPe-CommonIEsRequestAssistanceData를 갖는 commonIEsRequestAssistanceData 파라미터이다. 데이터 타입은 파라미터의 컨텐츠 및 인코딩을 정의하고, LPPe 2.0 TS(여기에 도시되지 않음)의 다른 곳에서 정의된다. 몇몇 공통 메시지 헤더 컨텐츠(LPPe 메시지들의 일부 서브세트 또는 전부에 대해 공통일 수 있음)는 간략화를 위해 표 3 내지 표 6에서 생략됨을 유의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3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4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5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6
[0061] 표 3 내지 표 6에 도시된 메시지 인코딩들은 선택적 파라미터들의 ASN.1 시퀀스로서 각각의 LPPe 메시지를 인코딩하며, 여기서, 각각의 선택적 파라미터는 정의된 LPPe 메시지 타입에 대응하는 특정 LPPe 메시지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존재한다면, 명칭 또는 아이덴티티가 파라미터 명칭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하나의 포지셔닝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인코딩이 표 4에 도시된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의 경우, agnss-ProvideAssistanceData 파라미터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고, 존재하는 경우, A-GNSS 포지션 방법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할 것이다.
[0062]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LPPe 메시지는 LPPe 메시지에서 지원되는 각각의 포지션 방법에 대한 개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표 3 내지 표 6에 도시된 인코딩들은 이들 개별 파라미터들을 지원하는데 사용되는 ASN.1 인코딩을 도시하며, 예로서, 공통 포지셔닝, A-GNSS 및 WLAN 포지셔닝에 대한 보조 데이터를 포함하지만 임의의 다른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보조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가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에 의해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로 전송되면,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는 표 4에 도시된 ASN.1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것이고, 이는 commonIEsProvideAssistanceData, agnss-ProvideAssistanceData 및 wlan-ap-ProvideAssistanceData ASN.1 파라미터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ASN.1 파라미터들은 포함하지 않는다(예컨대, otdoa-ProvideAssistanceData ASN.1 파라미터는 포함되지 않을 것임).
[0063] LPPe 메시지들에 대한 표 3 내지 표 6에 도시된 메시지 인코딩은, LPP 및 RRLP와 같은 다른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에 대해 사용되는 ASN.1 메시지 인코딩과 유사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는, 표 3 내지 표 6에서 LPPe에 대해 본원에 예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 ASN.1 파라미터들의 시퀀스로서 인코딩된 파라미터들을 갖는 메시지에서 지원되는 각각의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셔닝 기능에 대한 개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코딩 방법에 대한 문제점은,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의 수신기가, 메시지에 포함된 모든 파라미터들을 비롯하여 이들 파라미터들 각각에 대한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전체 메시지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수신된 메시지에 파라미터가 포함된 각각의 포지션 방법에 대한 지원을 수신기가 구현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에 대해 허용되는 모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를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로부터 수신하는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는, ASN.1 디코더를 사용하고 그리고 작은 부분이 표 4에 도시되는 OMA LPPe 2.0 TS에서 정의되는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에 대한 ASN.1 파라미터 인코딩의 정보에 기초하여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들 전부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타겟 디바이스가 단지 LPPe Provide Assistance Data 메시지에서 보조 데이터가 제공되는 포지션 방법들 중 몇몇 또는 오직 하나만을 지원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로서, 타겟 디바이스가 WLAN 포지셔닝만을 지원하는 경우, 타겟 디바이스는, WLAN 포지셔닝에 대한 포함된 파라미터 뿐만 아니라 다른 포지션 방법들(예컨대, 이를테면 공통 포지셔닝, A-GNSS, OTDOA 등)에 대한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에서, 타겟 디바이스는 표 4에 도시된 다음의 ASN.1 파라미터들: commonIEsProvideAssistanceData, agnss-ProvideAssistanceData, otdoa-ProvideAssistanceData, eotd-ProvideAssistanceData, otdoa-utra-ProvideAssistanceData, ecid-lte-ProvideAssistanceData, ecid-gsm-ProvideAssistanceData, ecid-utra-ProvideAssistanceData, wlan-ap-ProvideAssistanceData, sensor-ProvideAssistanceData, srn-ProvideAssistanceData 및 ver2-0-pdr-ProvideAssistanceData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은 ver2-0-pdr-ProvideAssistanceData 파라미터를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이것이 ASN.1 규칙들에 따라 무시하는 것이 허용되는 확장으로 나타나기 때문임을 유의한다. 이러한 예에서, 모든 파라미터들(또는 거의 모든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면,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WLAN 포지셔닝 방법을 제외한 모든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 전부를 폐기 또는 무시할 수 있다. (wlan-ap-ProvideAssistanceData ASN.1 파라미터에 의해 전달되는) WLAN 포지셔닝 방법에 대한 디코딩된 보조 데이터는, WLAN 포지셔닝을 보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해(예컨대, WLAN AP들로부터의 신호들의 측정들을 행하고 그리고/또는 이러한 측정들을 사용하여 타겟 디바이스에 대한 로케이션을 컴퓨팅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리테이닝(retain)될 수 있다.
[0064] 수신된 LPPe 메시지에서 지원되는 포지셔닝 방법들 중 단지 몇몇 또는 하나만을 지원하는 위의 예에서의 타겟 디바이스가, 포함된 파라미터들 전부(또는 거의 전부)를 디코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이유는, LPPe 메시지가 정확하게 코딩되었는지(예컨대, 메시지를 무효화할 수 있는 ASN.1 에러들을 포함하지 않는지)를 검증하고 그리고 타겟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비트 시퀀스들을 메시지에서 로케이팅하기 위해서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이것은, 지원되는 WLAN 포지셔닝 방법에 대한 wlan-ap-ProvideAssistanceData를 인코딩하는 비트 시퀀스가 메시지 내의 어디쯤에 로케이팅되는지를 타겟 디바이스가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수신된 LPPe 메시지를 디코딩함을 의미한다.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에 대응하는 수신된 LPPe 메시지 내의 파라미터들을 타겟 디바이스가 디코딩하지 않으면, 타겟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메시지에서 로케이팅할 수 없을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표준 X.691에서 정의되는) ASN.1 PER(packed encoding rules)을 LPPe에서 사용한 결과일 수 있으며, 여기서, ASN.1 시퀀스 내의 파라미터들은, 서로 이어지는 비트 스트링들로서 인코딩되며, 수신기가 비-지원 파라미터들을 스킵 오버(skip over)하는 것을 허용할 길이 표시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수신기는, 메시지의 어디쯤에서 파라미터가 종료되는지, 그리고 이에 의해, 메시지의 어디쯤에서 메시지의 다음 파라미터가 시작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임의의 파라미터에 대한 대부분의 비트들 또는 비트들 전부를 디코딩해야 할 수 있다.
[0065] LPPe 메시지와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에서 상이한 포지셔닝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에 대응하는 잠재적으로 모든 또는 대부분의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지원할 필요성은, 디코딩을 구현(예컨대, 디코딩 템플릿(template)을 컴파일(compile))하고 상이한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 상에서 디코딩이 정확하게 작동하는지를 테스트할 필요성의 관점들에서 수신 엔티티(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또는 로케이션 서버(120))의 구현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부가하여, 디코딩은 수신 엔티티의 프로세싱 리소스들을 소비할 수 있고, 디코딩 템플릿을 저장하고 임의의 디코딩의 결과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요구할 수 있다. 디코딩의 구현이 시간을 덜 소모하게 되고 디코딩 그 자체가 덜 리소스 집약적(intensive)이 되도록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단순화하는 것이 이점이 될 수 있다.
[0066]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의 디코딩을 단순화하기 위해, 임의의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 내의 개별 파라미터들 각각은 옥텟들, 비트들, 문자들, 정수들, 또는 몇몇 다른 ASN.1 데이터 타입의 시퀀스들로 정의될 수 있다. 그 다음, 이들 시퀀스들 각각은, 개별 파라미터를 정의하기 위해 앞서 사용된 ASN.1 데이터 타입을 포함 또는 임베딩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의 예는, 표 6에 도시된 LPP 2.0에 대해 현재 정의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하여 표 7 및 표 8에서 도시된다. 표 7 및 표 8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 대한 새로운 인코딩들을 도시하며, 여기서, 좌측 상에 도시된 (이러한 LPPe 메시지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에 대한) ASN.1 파라미터들은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된 오리지널 메시지에 대한 것과 같이 유지되지만, (우측 상에 도시된) 파라미터들 각각에 대한 ASN.1 데이터 타입 각각은 가변 길이의 ASN.1 옥텟 스트링으로 대체된다. 표 7은 어떠한 ASN.1 코멘트(comment)들도 없는 이러한 데이터 타입 대체를 도시하는 반면, 표 8은, 각각의 ASN.1 코멘트 위의 라인 상에 정의된 옥텟 스트링들 각각에 대한 의도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ASN.1 코멘트들을 표 7의 정의에 부가한다. ASN.1 코멘트는 이중 하이픈 "--"으로 시작하여 라인의 끝까지 진행됨을 유의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7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8
[0067]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 내의 각각의 파라미터는 여전히 표 6에 따라 그것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ASN.1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ASN.1 데이터 타입은 이제 ASN.1 옥텟 스트링 내에 포함된다. 예로서, WLAN 포지션 방법에 대한 측정들을 타겟 디바이스(104)로부터 로케이션 서버(120)로 전달하기 위한 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파라미터가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 존재하는 경우, 파라미터는 일반적으로, 표 6에 도시된 LPPe 2.0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에 따라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으로서 인코딩될 것이다. 표 7 및 표 8에 도시된 새로운 인코딩을 이용하여, 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파라미터는 가변 길이 ASN.1 옥텟 스트링으로서 인코딩될 것이지만, 이러한 옥텟 스트링은 이전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을 포함할 것이며, 이는 표 8에서 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파라미터에 대한 ASN.1 코멘트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이제 옥텟 스트링 내에 임베딩된다. 이러한 정의를 이용하여, 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파라미터는, 표 6의 오리지널 인코딩에 대한 것과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임베딩된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ASN.1 옥텟 스트링으로서 정의된다. 임베딩은 통상적으로, 전체 옥텟 스트링 또는 최종 옥텟 내의 일부 최종 비트들을 제외한 전체 옥텟 스트링을, 임베딩되는 ASN.1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에 대한 ASN.1 PER 인코딩으로 채우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한 파라미터 컨텐츠(예컨대, 앞의 예에서의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에 대한 파라미터 컨텐츠)를 임베딩하기 위해 ASN.1 옥텟 스트링을 사용하는 것의 이점은, WLAN 포지셔닝을 지원하지 않는 수신기가 메시지에서 파라미터가 종료되는 곳 및 다음 파라미터(예컨대, ecid-wimax-ProvideLocationInformation 파라미터)가 시작되는 곳을 알기 위해 이 파라미터에 대한 ASN.1 옥텟 스트링 인코딩만을 디코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수신기는, 수신기가 WLAN 포지셔닝을 지원하지 않으면 옥텟 스트링에 임베딩된 OMA-LPPe-WLAN-AP-ProvideLocationInformation 데이터 타입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다. 또한, LPPe 메시지에 대해 정의된 각각의 ASN.1 파라미터(이제, 옥텟 스트링과 연관된 특정 포지션 방법에 대응하는 임베딩된 ASN.1 데이터 타입을 포함하는 ASN.1 옥텟 스트링으로서 정의됨)는 여전히 선택적으로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연관된 포지션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LPPe 메시지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각각의 ASN.1 파라미터와 연관된 포지션 방법은 (전과 같이) 여전히 파라미터의 명칭에 의해(그리고 표 8에서와 같이, 파라미터의 옥텟 스트링 인코딩에 임베딩되도록 정의되는 ASN.1 데이터 타입의 명칭에 의해) 식별된다.
[0068] 표 7 내지 표 8에서 예를 든 기술은 다른 LPPe 메시지 타입들 각각에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표 3 내지 표 5에 도시된 것들, 및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에 대해 ASN.1을 사용하여 파라미터 컨텐츠를 정의하는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는 LPP 및 RRLP와 같은 다른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에 대한 메시지들에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추가로, 단순화된 포지셔닝 프로토콜 메시지들은, 정의가 메시지 인코딩에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정보 컨텐츠, 포지셔닝 프로토콜 절차들 또는 포지션 방법 지원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포지셔닝을 지원 또는 보조하는데 있어서 오리지널 메시지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에서의 임의적인 포지셔닝 프로토콜(130)의 사용 또는 도 2 내지 도 4의 경우에서의 LPP 또는 LPP/LPPe의 사용을 사용하여 도시한 예시적인 도 1 내지 도 4는, 연관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이 도 7 내지 도 8과 연관되어 설명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경우 유효하게 유지된다.
[0069]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셔닝 기능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은 ASN.1 옥텟 스트링 외에 ASN.1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예컨대, 표 7 내지 표 8의 예의 경우에서) ASN.1 비트 스트링, ASN.1 16진수 스트링, ASN.1 문자 시퀀스,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를 사용하는 인코딩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경우들에서, 임베딩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관례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스트링의 경우, 임베딩은 통상적으로, 임베딩되는 ASN.1 데이터 타입에 대한 ASN.1 PER 인코딩으로 전체 비트 스트링을 채우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문자 스트링의 경우, 임베딩은, 옥텟 스트링으로서 문자 스트링을 처리 및 인코딩하고 옥텟 스트링에 관해 임베딩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수들의 시퀀스의 경우, (예컨대, 옥텟을 생성을 필요가 있는 경우, 상위 비트(more significant bit) 포지션들에서 부가적인 바이너리 제로들로, 바이너리로 표현되는 정수 값을 패딩(pad)하고, 옥텟으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 역으로 행함으로써) 정수들과 옥텟들 간의 일 대 일 맵핑을 허용하는 각각의 정수에 대한 값들의 공통 범위(예컨대, 제로(0) 내지 255 범위)가 정의될 수 있다. 그 다음, ASN.1 데이터 타입에 대한 ASN.1 PER 인코딩이 먼저 옥텟 스트링에 임베딩될 수 있고, 옥텟 스트링은 그 후 등가의 정수들의 시퀀스로 변환된다. 16진수 스트링의 경우, 각각의 16진수 디지트(digit)는 절반 옥텟으로 처리 및 인코딩될 수 있으며, 이는, 옥텟 스트링에 대한 임베딩과 유사하지만 임베딩되는 데이터 타입에 대한 ASN.1 PER 인코딩에 대응하는 절반 옥텟들의 시퀀스를 임베딩하는 것에 기초하는 임베딩을 가능하게 한다.
[0070] 도 5a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500)를 예시한다. 제 1 디바이스는 UE(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타겟(302), 타겟(4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서버(304), 제어 서버(404), 데이터 서버(406))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의 역할들은, 제 1 디바이스가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서버(304), 제어 서버(404), 데이터 서버(406))에 대응하고 제 2 디바이스가 UE(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타겟(302), 타겟(402))에 대응하는 것으로 반전될 수 있다. 블록(502)에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며, 여기서,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블록(504)에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함으로써 메시지를 인코딩한다. 블록(506)에서, 방법은, 인코딩된 메시지를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0071] 흐름도(500)의 예로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e일 수 있고, 블록(502)에서 생성된 메시지는, 인코딩 및 디코딩이 표 7 및 표 8과 연관되어 앞서 설명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블록(50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파라미터 명칭들이 좌측 상에 나타나고 대응하는 ASN.1 데이터 타입이 우측 상에 나타나는 표 7 및 표 8에 도시된 일 세트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다면, 블록(502)에서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허용된 파라미터들의 임의의 서브세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블록(504)에서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표 7 및 표 8에서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ASN.1 데이터 타입으로서 도시된 ASN.1 옥텟 스트링에 대응할 수 있고, 블록(504)에서의 임베딩은 표 7 및 표 8에 대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그렇다면, 블록(506)에서의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의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의 송신은 통신(300)에 대한 단계들 2, 3, 4, 7 중 임의의 단계 또는 통신(400)에 대한 단계들 2, 3, 4, 8 중 임의의 단계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다.
[0072]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블록(50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고, 블록(502)에서의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표 7 및 표 8에 의해 제공되는 예에서, 별개의 포지션 방법들 및 별개의 포지션 기능들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들 파라미터들의 명칭들에 의해 표시되는 표 7 및 표 8에 도시된 파라미터들 각각에 대한 별개의 포지션 방법들 및 별개의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블록(502)에서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이들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이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예컨대, 표 7 및 표 8에 의해 제공되는 예에서의 옥텟 스트링)만을 디코딩함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인코딩된 스트링의 디코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가,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블록(502)에서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로케이팅 및 디코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0073] 몇몇 구현들에서, 블록(504)에서의 메시지의 인코딩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한다. 블록(50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메시지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블록(504)에서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 옥텟 스트링, ASN.1 16진수 스트링, ASN.1 문자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가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예컨대, 전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옥텟 스트링을 사용할 수 있음). 대안적으로,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상이한 ASN.1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포지션 방법(예컨대, A-GNSS)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일 수 있는 반면, 제 2 포지션 방법(예컨대, OTDOA)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비트 스트링일 수 있다.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메시지의 선택적 ASN.1 파라미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코딩된 스트링들 또는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는 의무적 ASN.1 파라미터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된 포함된 파라미터의 부재는, 제로 길이 또는 단위 길이의 인코딩된 스트링을 포함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ASN.1 옥텟 스트링인 인코딩된 스트링의 경우, 각각 제로 옥텟들 또는 1 옥텟을 포함함).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 프로토콜,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SUPL SLP 또는 E-SMLC)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일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또한 가능하다.
[0074] 도 5b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흐름도(520)를 예시한다. 제 1 디바이스는 UE(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타겟(302), 타겟(402))에 대응할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서버(304), 제어 서버(404), 데이터 서버(406))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의 역할들은, 제 1 디바이스가 로케이션 서버(예컨대, 로케이션 서버(120), 서버(304), 제어 서버(404), 데이터 서버(406))에 대응하고 제 2 디바이스가 UE(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타겟(302), 타겟(402))에 대응하는 것으로 반전될 수 있다. 블록(522)에서, 그리고 제 1 디바이스에서, 방법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며, 여기서,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는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된다. 블록(524)에서,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서브세트에 있지 않은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함으로써 메시지를 디코딩한다.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의 디코딩은,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으로부터, 포함된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75] 흐름도(520)의 예로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e일 수 있고, 블록(522)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인코딩 및 디코딩이 표 7 및 표 8과 연관되어 앞서 설명된 LPPe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메시지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블록(52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파라미터 명칭들이 좌측 상에 나타나고 대응하는 ASN.1 데이터 타입이 우측 상에 나타나는 표 7 및 표 8에 도시된 일 세트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다면, 블록(522)에서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의 임의의 서브세트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블록(522)에서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표 7 및 표 8에서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한 ASN.1 데이터 타입으로서 도시된 ASN.1 옥텟 스트링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524)에서, 제 1 디바이스는,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다른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이들 다른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이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예컨대, 표 7 및 표 8에 의해 제공되는 예에서의 옥텟 스트링)만을 디코딩함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인코딩된 스트링의 디코딩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가, 블록(524)에서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로케이팅 및 디코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0076]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블록(52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 도시된 파라미터들로 예를 든 바와 같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고, 블록(522)에서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524)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되는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또는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서브세트에 있지 않고 블록(524)에서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이 생략되는 다른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또는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다. 표 7 및 표 8과 연관되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는 이들 다른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할 필요가 없을 수 있는데, 이는, 단지 이들 다른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이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만을 디코딩하는 것이,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로케이팅하고 그에 의해 디코딩하기에 충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77] 몇몇 구현들에서, 블록(524)에서의 메시지의 디코딩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할 수 있다. 블록(522)에서의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메시지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블록(522)에서의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ASN.1 옥텟 스트링, ASN.1 16진수 스트링, ASN.1 문자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가 (예컨대, 전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메시지의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상이한 ASN.1 데이터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1 포지션 방법(예컨대, A-GNSS)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일 수 있는 반면, 제 2 포지션 방법(예컨대, OTDOA)에 대응하는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비트 스트링일 수 있다.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선택적 ASN.1 파라미터 또는 의무적 ASN.1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의무적 ASN.1 파라미터의 경우,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된 포함된 파라미터의 부재는, 제로 길이 또는 단위 길이의 인코딩된 스트링을 포함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예컨대, ASN.1 옥텟 스트링인 인코딩된 스트링의 경우, 각각 제로 옥텟들 또는 1 옥텟을 포함함).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 Protocol), (예컨대,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은)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일 수 있고,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일 수 있으며, 그 반대가 또한 가능하다.
[0078]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예컨대, UE에 대한 로케이션 추정을 획득하거나, UE가 자신의 로케이션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를 UE에 제공함)하기 위해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는, ASN.1 인코딩을 사용할 수 있는 표 9에 도시된 형태일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공통 정보 엘리먼트들(예컨대, 하나 초과의 포지션 방법에 적용가능한 정보)은 ENCODED-STRING-0으로 인코딩될 수 있고; 제 1 포지션 방법(예컨대, A-GNSS)에 대한 정보(예컨대, 로케이션 측정들)는 ENCODED-STRING-1로 인코딩될 수 있고, 제 2 포지션 방법(예컨대, OTDOA)에 대한 정보(예컨대, 로케이션 측정들)는 ENCODED-STRING-2로 인코딩될 수 있으며, 제 N 포지션 방법(예컨대, WLAN 포지셔닝)에 대한 정보(예컨대, 로케이션 측정들)를 갖는 다른 포지션 방법들은 ENCODED-STRING-N으로 인코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표 9에서 예를 든 메시지 내에 정의되는 복수의 인코딩된 스트링들의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ENCODED-STRING-0, ENCODED-STRING-1 등)은 동일한 포맷을 가질 수 있거나(예컨대, 일 예에서, 각각이 ASN.1 옥텟 스트링일 수 있음), 상이한 포맷들을 가질 수 있음(예컨대, 일 예에서, 일부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ASN.1 옥텟 스트링들이고 다른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ASN.1 비트 스트링들임)을 유의한다. 몇몇 구현들에서, 인코딩된 스트링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의무적일 수 있다(예컨대, 표 9의 ENCODED-STRING-0). 몇몇 구현들에서, 인코딩된 스트링들 전부 또는 일부(예컨대, 표 9의 ENCODED-STRING-0 외의 인코딩된 스트링들)가 선택적일 수 있는데, 일부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되는 경우 임의의 선택적 인코딩된 스트링만이 메시지에 포함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09
[0079] 위에서 사용된 용어 "인코딩된 스트링" 및 표 9에서 사용된 대응하는 용어 "ENCODED-STRING-n"(예컨대, n = 0, 1, 2 ...)은, 몇몇 또는 많은 상이한 파라미터 타입들, 예컨대, ASN.1을 사용하여 정의 및 인코딩된 메시지의 경우, 옥텟 스트링, 비트 스트링, 16진수 스트링, 또는 문자 스트링 중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도록 의도됨을 유의한다. 따라서, 인코딩된 스트링은 다수의 상이한 파라미터 타입들 중 임의의 타입에 대응할 수 있고, 그렇다면, 임의의 실제 ASN.1 메시지 정의에서 대응하는 파라미터 타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9의 인코딩된 스트링들 각각이 ASN.1 옥텟 스트링에 대응하면, 표 9가 예시인 실제의 메시지 정의에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용어 "OCTET STRING"으로 대체될 수 있다(예컨대, 표 9의 "ENCODED-STRING-2"는 용어 "OCTET STRING"으로 대체될 것임). 대안으로서, 표 9의 예에서의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별개로 정의되고(표 9에 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정의가 예컨대 옥텟 스트링, 비트 스트링, 16진수 스트링 등을 포함 또는 구비할 수 있는 ASN.1 데이터 타입의 명칭으로 대체될 수 있다.
[0080] 표 10 내지 표 12는, 표 9의 메시지 예에 적용되는 경우의 상이한 타입들의 인코딩된 스트링의 몇몇 예들을 제공한다. 표 10에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 스트링이다. 표 11에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비트 스트링이다. 표 12에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문자 스트링이다. 표 10 내지 표 12 각각에서, 각각의 파라미터는, 표 9에서 각각이 의무적이었는지 또는 선택적이었는지에 따라 의무적 또는 선택적으로 유지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10
Figure 112017093532251-pct00011
Figure 112017093532251-pct00012
[0081]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 및/또는 상이한 포지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하는 파라미터들(또는 데이터 타입들)이 앞서 예를 든 ASN.1 옥텟 스트링, 비트 스트링 또는 16진수 스트링과 같은 단순한 데이터 타입들(그러나, 임베딩되는 데이터 타입을 식별하는 부가적인 정보를 가짐)에 임베딩될 수 있는 다른 구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정보는 그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식별부와 함께 일 데이터 타입(예컨대, ASN.1 옥텟 스트링)에 임베딩될 수 있다. 식별부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임베딩된 정보에 선행하거나 후속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정보가 ASN.1 옥텟 스트링에 임베딩되는 경우, 첫 번째 옥텟 또는 처음 몇몇 옥텟들 또는 마지막 옥텟 또는 마지막 몇몇 옥텟들을 점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식별부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을 식별하도록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값(예컨대, 하나 초과의 옥텟을 점유하는 옥텟 값 또는 바이너리 값)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식별부는, 식별부에 의해 표현되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임베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스트링과 결합된 별개의 데이터 타입(예컨대, ASN.1 열거형(enumerated)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은,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 및 상이한 포지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키기 위해 동일한 파라미터들을 사용함으로써, 표 3 내지 표 12에서 예를 든 것보다 더 축약된 형태로 메시지가 정의 및/또는 인코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의 예는, 각각의 포지션 방법 및 포지션 기능의 식별부가 인코딩된 스트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표 13에서, 그리고 각각의 포지션 방법 및 포지션 기능의 식별부가 별개의 데이터 타입에 포함되는 경우에 관하여 표 14에서 도시된다.
Figure 112017093532251-pct00013
Figure 112017093532251-pct00014
[0082] 표 13에 도시된 예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는 옥텟 스트링들의 시퀀스로서 인코딩되며, 여기서, 시퀀스 내의 옥텟 스트링들의 수는 1 내지 몇몇 개 N일 수 있다(예컨대, 여기서 N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한 허용된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수에 대응함). 각각의 옥텟 스트링은 임의의 하나의 포지션 방법 또는 임의의 하나의 포지션 기능(예컨대, A-GNSS, OTDOA, 크라우드소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및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는 ASN.1의 경우에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여)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해 정의된 바와 같이 인코딩될 수 있다. 그 다음, 인코딩된 정보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의 식별부와 함께 옥텟 스트링들 중 임의의 하나에 (예컨대, 옥텟 스트링의 첫 번째 옥텟, 처음 몇몇 옥텟들, 마지막 옥텟, 또는 마지막 몇몇 옥텟들에) 임베딩될 수 있다. 그 다음, 메시지의 수신기는, 인코딩된 정보가 각각의 옥텟 스트링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의 식별부를 (예컨대, 식별부를 포함하는 첫 번째 옥텟, 처음 몇몇 옥텟들, 마지막 옥텟, 또는 마지막 몇몇 옥텟들을 추출함으로써)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식별부 및 수신기가 어느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을 지원하는지의 (예컨대, 수신기에서 구성된) 정보로부터 수신기가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기가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수신기는 옥텟 스트링의 잔여부로부터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예컨대, 정보가 인코딩된 방식에 관한 구성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디코딩할 수 있다. 수신기가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는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특정 포지션 기능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추출 및 디코딩할 필요가 없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신기는,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기능들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의 디코딩을 지원할 필요가 없다.
[0083] 표 14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포지션 방법 및 포지션 기능의 식별부는 더 이상 표 13에서와 같이 옥텟 스트링 내에 임베딩되지 않지만, 별개의 파라미터(이러한 예에서는, ASN.1 열거형 데이터 타입을 갖는 positionMethodIdentification이라는 명칭의 파라미터)로 인코딩된다. 이러한 별개의 파라미터는, 동일한 ASN.1 SEQUENCE의 일부이기 때문에, 식별된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한 인코딩된 정보를 포함하는 옥텟 스트링과 연관된다. 표 14에 도시된 메시지의 수신기의 동작들은, 표 14에 도시된 메시지의 수신기가, 인코딩된 정보가 몇몇 옥텟 스트링에 임베딩된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을, 연관된 파라미터(이러한 예에서는, positionMethodIdentification이라는 명칭의 파라미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식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 13에 도시된 메시지의 수신기에 대해 위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표 13 및 표 14에 도시된 것들에 대한 유사한 예들이 옥텟 스트링 대신 다른 타입들의 인코딩된 스트링, 이를테면 비트 스트링, 16진수 스트링 또는 문자 스트링을 사용하여 가능하다.
[0084] 포지셔닝 프로토콜이,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들에서 상이한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인코딩 및 디코딩함에 있어 표 7 내지 표 14에서 예를 든 방법을 지원하는 경우, 소정의 포지션 방법들 및/또는 소정의 포지션 기능들을 지원하지 않는 전송자 또는 수신기(예컨대, UE 또는 로케이션 서버)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들에서의 이들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한 정보의 인코딩 및/또는 디코딩에 관련된 정보에 대해 구성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구성할 필요성의 결여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에 대한 각각의 포지션 방법 및 각각의 포지션 기능에 대한 정보의 컨텐츠 및 인코딩의 정의를 별개의 모듈에 포함시킴으로써, 포지셔닝 프로토콜의 정의에서 공식적으로 명시될 수 있다. ASN.1 인코딩의 경우, 각각의 모듈은, 명시적 시작 표시, 명시적 종료 표시, 및 모듈 명칭을 포함하는 ASN.1 모듈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엔티티(예컨대, UE(104) 또는 로케이션 서버(120))에 대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 또는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기능에 대한 정보 컨텐츠 및 인코딩이 포함된 ASN.1 모듈은 무시될 수 있다(예컨대, 엔티티의 설계 및 구현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음). 이것은 엔티티의 구현을 단순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엔티티 내에서 더 적은 리소스들(예컨대, 메모리 및/또는 프로세싱)의 전용(dedication) 또는 더 고속의 구현 및 프로비전(provision)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85]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도 1의 포지셔닝 프로토콜(130) 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예를 든 LPP, LPPe, 또는 LPP/LPPe 포지셔닝 프로토콜들과 같은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600)를 예시한다. 장치(600)는, 타겟 디바이스(104), 로케이션 서버(120), 엔드포인트들(202 및 204), 타겟(302 및 402), 및/또는 서버(304, 404, 및 406)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내거나 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장치(6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 데이터베이스(606), 포지셔닝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 모듈(608), 메모리(6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2)은, 장치(600)의 동작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는 (도 1과 연관되어 설명된)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상의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의 일부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송신기들 및 수신기들)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서버들, 컴퓨터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6)는, 센서 측정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들, 포지셔닝 추정들, 이미지들, 인코딩 및 디코딩 정보,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의 지원과 관련된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2) 및/또는 포지셔닝 인코더/디코더 모듈(608)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 모듈(608)은, 프로세서(들)(602)와 함께 작동하여, 도 1, 도 2 내지 도 4, 도 5a 내지 도 5b, 및 표 7 내지 표 14와 연관되어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구현들에서, 인코더/디코더 모듈(608)은 전용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구현들에서, 인코더/디코더 모듈(608)은 프로세서(들)(602) 상에서 실행되고 가능하게는 메모리(610)에 저장된 코드에 따라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그램, 프로세스 또는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다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일 수 있다.
[0086] 메모리(610)는 장치(600)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명령들, 및 데이터(예컨대, 표 7 내지 표 14 및 도 5a 내지 도 5b와 연관되어 본원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방법들에 따른 메시지 인코딩 및 디코딩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612)는, 장치(600)와 사용자 사이의 상호작용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장치(600)는, 서버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은, 서버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로 통신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들에 따르면, 장치(600)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구현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서버들로 통신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들에서, 장치(600)의 몇몇 블록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 장치(600)의 몇몇 블록들은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이들 구현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0087]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도 1 내지 도 6과 연관되어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예컨대, 타겟 디바이스(104), 타겟(302), 타겟(40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네트워크(118)와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무선 안테나(들)(722)를 통해 무선 신호들(723)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트랜시버(721)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721)는, 무선 트랜시버 버스 인터페이스(720)에 의해 버스(701)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 버스 인터페이스(720)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무선 트랜시버(72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IEEE 표준 802.11의 버전들, CDMA, WCDMA, LTE, UMTS, GSM, AMPS, Zigbee 및 Bluetooth® 등과 같은 대응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무선 트랜시버들(721) 및 무선 안테나들(722)을 포함할 수 있다.
[0088]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무선 트랜시버(721)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공통 회로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 회로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또한, SPS 안테나(758)를 통해 SPS 신호들(759)을 수신 및 포착할 수 있는 SPS 수신기(755)를 포함할 수 있다. SPS 수신기(755)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로케이션을 추정하기 위해, 포착된 SPS 신호들(759)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포착된 SPS 신호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프로세싱하고 그리고/또는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계산하기 위해, SPS 수신기(755)와 함께, 프로세서(들)(711), 포지션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715), 메모리(740), DSP(들)(712), 및/또는 특수화된 프로세서들(도시되지 않음)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포지셔닝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SPS 또는 다른 신호들의 저장은, 메모리(740) 또는 레지스터들(도시되지 않음)에서 수행될 수 있다.
[0089]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버스(701)에 연결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712), 버스(701)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들)(711), 및 메모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DSP(들)(712), 프로세서(들)(711), 및 메모리(740)와 통합될 수 있거나 별개일 수 있다(도 7에 도시되지 않음).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기능들은, 단지 몇몇 예를 들자면, RAM, ROM, FLASH,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메모리(740)에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머신-판독가능 명령들의 실행에 대한 응답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은, 프로세서(들)(711), 특수화된 프로세서들, 또는 DSP(들)(712)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은, 도 5a 내지 도 5b 및 표 7 내지 표 14와 연관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본원에서 설명된 기술들의 지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메모리(740)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들)(711) 및/또는 DSP(들)(712)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프로그래밍 코드, 명령들 등)를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프로세서-판독가능 메모리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무선 트랜시버(721)는 버스 인터페이스(720) 및 버스(701)를 통해 프로세서(들)(711) 및/또는 DSP(들)(712)와 통신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700)가 위에 논의된 무선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711), DSP(들)(712), 및/또는 포지셔닝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715)는, 명령들을 실행하여 도 5a 내지 도 5b와 관련하여 위에 논의된 프로세스들/방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실행할 수 있다. 구현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715)는 장치(600)의 포지셔닝 프로토콜 인코더/디코더(608)에 대응(예컨대,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90]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35)는, 예를 들어, 스피커, 마이크로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진동(vibration) 디바이스, 키보드,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수 개의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735)는, 모바일 디바이스(700) 상에 호스팅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사용자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35)의 디바이스들은, 사용자로부터의 동작에 대한 응답으로 DSP(들)(712) 또는 프로세서(711)에 의해 추가로 프로세싱되도록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들을 메모리(74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700) 상에 호스팅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출력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들을 메모리(74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전용 스피커, 마이크로폰, 디지털 투 아날로그(digital to analog) 회로, 아날로그 투 디지털(analog to digital) 회로, 증폭기들, 및/또는 이득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용 오디오 입력/출력(I/O) 디바이스(7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 상의 압력 또는 이를 터치하는 것에 응답하는 터치 센서들(762)을 포함할 수 있다.
[0091]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또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캡쳐하기 위한 전용 카메라 디바이스(76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용 카메라 디바이스(764)는, 예를 들어, 이미징 센서(예컨대, 전하 결합(charge coupled) 디바이스 또는 CMOS 이미저(imager)), 렌즈, 아날로그 투 디지털 회로, 프레임 버퍼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캡쳐된 이미지들을 표현하는 신호들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세싱, 컨디셔닝, 인코딩, 또는 압축이 프로세서(711) 또는 DSP(들)(712)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캡쳐된 이미지들을 표현하는 신호들에 대한 컨디셔닝, 인코딩, 압축, 또는 조작을 전용 비디오 프로세서(768)가 수행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용 비디오 프로세서(768)는,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압축해제할 수 있다.
[0092]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또한 버스(701)에 커플링되는 센서들(76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관성 센서들 및 환경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760) 중 관성 센서들은, 예를 들어, 가속도계들(예컨대, 3차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가속도에 집합적으로 응답함),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자이로스코프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자력계들(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퍼스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것임)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700)의 환경 센서들은, 단지 몇몇 예를 들면, 이를테면 온도 센서들, 대기압 센서들, 주변광 센서들 및 카메라 이미저들, 마이크로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들(760)은, 예를 들어, 포지셔닝 또는 내비게이션 동작들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여 메모리(740)에 저장되고 그리고 DPS(들)(712) 또는 프로세서(711)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0093] 특정한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700)는, 무선 트랜시버(721) 또는 SPS 수신기(755)에서 수신되고 그리고 하향-변환되는 신호들의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는 전용 모뎀 프로세서(76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용 모뎀 프로세서(766)는, 무선 트랜시버(721)에 의한 송신을 위해 상향-변환될 신호들의 기저대역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전용 모뎀 프로세서를 갖는 대신, 기저대역 프로세싱은 프로세서 또는 DSP(예컨대, 프로세서(711) 또는 DSP(들)(71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94] 도 1, 도 5a, 도 6, 도 7, 표 7 내지 표 14, 및 이들의 대응하는 설명들은, 장치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일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함 ―;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함으로써 메시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을 유의한다.
[0095] 도 1, 도 5b, 도 6, 도 7, 표 7 내지 표 14, 및 이들의 대응하는 설명들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 ― 메시지는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로부터의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는 인코딩된 스트링에 임베딩됨 ―; 및 복수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서브세트를 디코딩하고 서브세트에 있지 않은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함으로써 메시지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및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인코딩된 스트링으로부터 포함된 파라미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을 유의한다.
[0096]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은, 특정 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에 의존하는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디바이스 유닛들, 또는 이들의 결합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0097] 본원에 포함된 상세한 설명의 몇몇 부분들은, 특정한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바이너리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기호적 표현들의 관점들에서 제시되어 있다. 본 특정한 명세서의 맥락에서, 용어 특정한 장치 등은, 범용 컴퓨터가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 특정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면, 이러한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 설명들 또는 기호적 표현들은, 자신들의 작업의 본질을 본 기술분야의 다른 당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기술 분야들에서의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들의 예들이다. 알고리즘은, 본원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유도하는 동작들 또는 유사한 신호 프로세싱의 자기-부합적(self-consistent) 시퀀스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적 양들의 물리적 조작을 수반한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그러한 양들은, 저장, 전달, 결합, 비교,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때로는, 주로 일반적인 용법의 이유들로, 그러한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옥텟들, 정수들, 심볼들, 문자들, 항들, 숫자들, 수치들 등으로 지칭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또는 유사한 용어들 전부가 적절한 물리적 양들과 연관되어야 하고, 단지 편리한 라벨들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본원의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논의들 전체에 걸쳐, "프로세싱", "컴퓨팅", "계산", "결정" 등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는 것은 특정한 장치, 예컨대, 특수 목적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동작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지칭함이 인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디바이스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서 통상적으로 물리적 전자 또는 자기 양들로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작하거나 또는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0098] 본원에서 설명된 무선 통신 기술들은,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 관련될 수 있다. 용어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본원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WWAN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또는 위의 네트워크들의 임의의 결합 등일 수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단지 몇몇 라디오 기술들을 들자면, cdma2000, "WCDMA(Wideband-CDMA)"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RAT(radio access technology)들"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cdma2000은, IS-95, IS-2000 및 IS-856 표준들에 따라 구현되는 기술들을 포함할 수 있다. TDMA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AMPS(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또는 몇몇 다른 RAT를 구현할 수 있다. GSM 및 WCDMA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칭된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은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명칭된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헌들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일 양상에서, 청구된 요지에 따라 4G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네트워크들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은 IEEE 802.11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WPAN은 Bluetooth 네트워크, IEEE 802.15x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무선 통신 구현들은 또한, WWAN, WLAN, 또는 WPAN의 임의의 결합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99] 다른 양상에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송신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셀룰러 텔레폰 서비스를 비지니스 또는 홈과 같은 작은 영역으로 확장하는데 활용되는, "소형 셀" 또는 "홈 기지국"으로 또한 알려져 있는 펨토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또는 LTE를 통해 펨토셀과 통신할 수 있고, 펨토셀은 인터넷과 같은 다른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에 의해 더 대규모 셀룰러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00100]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은 몇몇 GNSS 중 임의의 GNSS 및/또는 GNSS의 결합들을 포함하는 SPS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은 "의사 위성(pseudolite)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송신기들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GNSS 시스템들에 대한 SV(space vehicle)들과 이러한 지상 송신기들의 결합을 활용하는 포지셔닝 시스템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지상 송신기들은, 예를 들어, PN 코드 또는 (예컨대, GPS 또는 CDMA 셀룰러 신호와 유사한) 다른 레인징 코드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지상-기반 송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송신기는 원격 수신기에 의한 식별을 허용하기 위해 고유 PN 코드를 할당받을 수 있다. 지상 송신기들은, 예를 들어, 터널들, 광산들, 건물들, 어번 캐니언(urban canyon)들 또는 다른 폐쇄된 영역들과 같이, 궤도 SV로부터의 SPS 신호들이 이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들에서 SPS를 증강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의사 위성들의 다른 구현은 라디오-비컨들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SV"는, 의사 위성들, 의사 위성들의 등가물들 및 가능하게는 다른 것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송신기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SPS 신호들" 및/또는 "SV 신호들"은 의사 위성들 또는 의사 위성들의 등가물들로서 동작하는 지상 송신기들을 포함하여, 지상 송신기들로부터의 SPS 유사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01]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및" 그리고 "또는"은 이것이 사용되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좌우될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또는"이 A, B 또는 C와 같이 리스트를 연관시키는데 사용되면, 여기서는 배타적인 뜻으로 사용되는 A, B 또는 C 뿐만 아니라, 여기서는 포괄적인 뜻으로 사용되는 A, B 그리고 C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의도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일 예" 또는 "예"에 대한 언급은,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성, 구조 또는 특징이 청구된 요지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들에서 "일 예에서" 또는 "예"라는 문구의 출현들이 모두 반드시 동일한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한 특성들, 구조들 또는 특징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들로 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예들은 디지털 신호들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기계들, 디바이스들, 엔진들 또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신호들은 로케이션들 간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신호들, 광학 신호들, 전자기 신호들 또는 임의의 형태의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
[00102] 예시적인 특성들인 것으로 현재 고려되는 것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다른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고 등가물들이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청구된 요지의 교시들에 특정한 상황을 적응시키도록 많은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요지는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지만, 그러한 청구된 요지들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양상들 및 이의 등가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48)

  1.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positioning)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location)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와 상기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해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기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string)에 임베딩(embed)함으로써 상기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하며,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단계는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 내에 정의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상기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octet) 스트링, ASN.1 16진수(hexadecimal) 스트링, ASN.1 문자(character)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선택적 ASN.1 파라미터인,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하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이거나,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인,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방법.
  9. 장치로서,
    상기 장치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해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기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string)에 임베딩(embed)함으로써 상기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하며,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상기 장치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인코딩하는 것은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one)에 기초하는,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은, ASN.1 SEQUENCE 또는 ASN.1 SET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메시지 내에 정의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포함된 파라미터가 임베딩되는 상기 인코딩된 스트링은, ASN.1 옥텟(octet) 스트링, ASN.1 16진수(hexadecimal) 스트링, ASN.1 문자(character) 스트링, ASN.1 비트 스트링 또는 정수들의 ASN.1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인코딩된 스트링들은 동일한 ASN.1 데이터 타입을 사용하는,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인코딩된 스트링은 선택적 ASN.1 파라미터인,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은 LPP(LTE(Long Term Evolution) Positioning Protocol), LPPe(LPP Extensions) 프로토콜 또는 LPP와 LPPe의 결합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로케이션 서버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비(UE)이거나, 상기 장치는 사용자 장비(UE)이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버인, 장치.
  17.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 사이에서의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해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중에서 상기 한 세트의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서 상기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을 인코딩된 스트링(string)에 임베딩(embed)함으로써 상기 메시지를 인코딩하기 위한 명령들; 및
    인코딩된 메시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를 지원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의 서브세트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디코딩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포지션 방법들 및 포지션 기능들에 대응하는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의 디코딩을 생략하며,
    상기 복수의 허용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별개의 포지션 방법 또는 별개의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며,
    상기 포함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포지션 방법 또는 포지션 기능에 대응하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KR1020177027113A 2015-03-27 2016-03-04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KR102430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9467P 2015-03-27 2015-03-27
US62/139,467 2015-03-27
US14/849,460 2015-09-09
US14/849,460 US10313487B2 (en) 2015-03-27 2015-09-09 Support of location services using a positioning protocol
PCT/US2016/020911 WO2016160268A1 (en) 2015-03-27 2016-03-04 Support of location services using a positioning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175A KR20170132175A (ko) 2017-12-01
KR102430006B1 true KR102430006B1 (ko) 2022-08-04

Family

ID=5697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113A KR102430006B1 (ko) 2015-03-27 2016-03-04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13487B2 (ko)
EP (1) EP3275219B1 (ko)
JP (1) JP6636538B2 (ko)
KR (1) KR102430006B1 (ko)
CN (1) CN107431895B (ko)
AU (1) AU2016243972B2 (ko)
BR (1) BR112017020570A2 (ko)
TW (1) TWI723011B (ko)
WO (1) WO2016160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8278B1 (en) 2015-11-19 2020-12-30 Veniam, Inc. Delay tolerant network of moving things including autonomous vehicles
US9749810B1 (en) * 2016-02-23 2017-08-29 At&T Mobility Ii Llc User equipment assisted indoor small cell location determination
CN109983307A (zh) 2016-09-22 2019-07-05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用于通过lte信号进行导航的sdr
US10278016B2 (en) * 2017-02-03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 estimation using proximity devices
US20180227703A1 (en) * 2017-02-03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 estimation using proximity devices
CN110446257B (zh) * 2019-08-21 2021-09-28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基于移动终端的定位方法及定位装置
CN110691132B (zh) * 2019-09-27 2021-11-12 武汉云上楚地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信号输出可配置统一接入物联网的方法和系统
US10805807B1 (en) * 2019-12-05 2020-10-13 Loon Llc Coordination of spectrum allocation and interference avoidance among high-altitude networks
EP4165919A1 (en) * 2020-06-10 2023-04-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pdating user equipment's positioning capabilities during positioning sess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1928A1 (en) * 2008-11-07 2010-05-13 Penang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locating and indicating trustworthiness of secure communications
US20100214166A1 (en) * 2008-01-14 2010-08-26 Remondi Benjamin Double-nudged broadcast orbit drift correction
US20130148778A1 (en) * 2007-11-20 2013-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n start and/or end position identifi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5598A (en) * 1969-07-24 1971-06-15 Amp Inc Alphanumeric,variable word length,channel scanning selective signalling system
US6978313B1 (en) * 1999-07-30 2005-12-20 Telcordi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generic data messages over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to customer premises equipment without establishing a call
US7454785B2 (en) * 2002-12-19 2008-11-18 Avocent Huntsville Corporation Proxy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wireless administration of managed entities
US8599957B2 (en) * 2005-05-13 2013-12-03 Em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 digital signal
US8870478B2 (en) * 2007-05-30 2014-10-28 Zih Corp. Media processing system and associated spindle
IT1393713B1 (it) * 2008-10-21 2012-05-08 S I R I Société Internationale De Rech Ind S A Sistema per codificare e decodificare immagini stereoscopiche
US8301972B2 (en) * 2009-05-27 2012-10-30 Seagate Technology Llc Apparatus for correcting single bit insertion or deletion in a data payload with a checksum corrector
US8463294B2 (en) * 2010-04-06 2013-06-11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porting positioning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9374798B2 (en) * 2010-05-26 2016-06-21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of multiple positioning protocols
US8442557B2 (en) * 2011-08-23 2013-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expected signal data to a mobile station
US9594149B2 (en) * 2011-10-28 2017-03-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ingerprinting with radio channel related information
US10003815B2 (en) * 2013-06-03 2018-06-19 Qualcomm Incorporated Hypothetical reference decoder model and conformance for cross-layer random access skipped pictures
CN104349372B (zh) * 2013-08-08 2018-09-11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定位能力调用方法和系统以及位置服务网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48778A1 (en) * 2007-11-20 2013-06-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n start and/or end position identifier
US20100214166A1 (en) * 2008-01-14 2010-08-26 Remondi Benjamin Double-nudged broadcast orbit drift correction
US20100121928A1 (en) * 2008-11-07 2010-05-13 Penango,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llocating and indicating trustworthiness of secur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13487B2 (en) 2019-06-04
TW201635812A (zh) 2016-10-01
EP3275219A1 (en) 2018-01-31
EP3275219B1 (en) 2019-07-10
AU2016243972B2 (en) 2020-05-21
JP2018519684A (ja) 2018-07-19
KR20170132175A (ko) 2017-12-01
TWI723011B (zh) 2021-04-01
US20160286009A1 (en) 2016-09-29
CN107431895A (zh) 2017-12-01
WO2016160268A1 (en) 2016-10-06
JP6636538B2 (ja) 2020-01-29
AU2016243972A1 (en) 2017-09-07
CN107431895B (zh) 2020-06-02
BR112017020570A2 (pt)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006B1 (ko) 포지셔닝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케이션 서비스들의 지원
US999887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turning an early positioning fix
US1181230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gmentation of positioning protocol messages
EP3944643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network-based measurements for user equipment-based positioning
US934499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sponding to handover events during positioning sessions
EP2654267A1 (en) SUPL 3.0 Concept
EP3434044B1 (en) Abort messages for position location message flows
US10313825B2 (en) Control plane LCS solution for improving multiple reporting LPP messaging
CN108605204B (zh) 用于识别定位协议、定位方法或定位能力的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