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864B1 -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 Google Patents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864B1
KR102429864B1 KR1020210078501A KR20210078501A KR102429864B1 KR 102429864 B1 KR102429864 B1 KR 102429864B1 KR 1020210078501 A KR1020210078501 A KR 1020210078501A KR 20210078501 A KR20210078501 A KR 20210078501A KR 102429864 B1 KR102429864 B1 KR 10242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on
rotation fixing
pos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김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기 filed Critical 김준기
Priority to KR1020210078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8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점 등의 매장에 설치되는 포스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의 방향 전환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POS TERMINAL WITH ROTABLE DISPLAY}
본 발명은 판매점 등의 매장에 설치되는 포스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 식품, 음식 등을 판매하는 매장에는 제품 관리나, 결제 및 매출 관리를 위해 포스 단말기가 설치된다. 포스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하는 단말기로서 매장에 구비된다는 측면에서 키오스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을 판매하는 매장의 경우, 최근 매장에서 취식하지 않고 음식을 포장하는 것이 선호되고, 프라이빗한 이용을 위해 하나의 테이블만을 구비하는 원테이블 레스토랑 등이 유행하면서 소규모의 매장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이다.
매장의 업주들은 매장의 규모가 작아짐에 따라 매장에 구비하는 장치들도 최소한의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 장치들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형 포스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포스 단말기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포스 단말기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도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그런데, 포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가 작은 크기로 구비될 경우, 디스플레이를 통해 나타낼 수 있는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에 비해 적고 한정적일 수 있다.
또한, 포스 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는, 최초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최초 결합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가로 및 세로 방향 폭에 적합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만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 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량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시선의 편의성을 위한 각도 조절일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크기로 인한 크기 측면에서의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25798호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방향 전환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는,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회전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고정부는, 제1회전 고정부; 상기 제1회전 고정부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회전 고정부; 및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를 연결하는 탄성 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고, 상기 회전부는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상기 탄성 복원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고,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는 스위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스위치부가 상기 스위치홈 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 복원부가 인장되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간의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고, 상기 고정 스위치부가 상기 스위치홈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고정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 및 타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의 돌출부 내측에 상기 회전부가 위치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면과 면이 만나는 부위가 둥근 면으로 형성되는 둥근 모서리부; 및, 상기 둥근 모서리부의 일단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스토퍼가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제1호부 및 제2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호부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가지면서 상기 제1호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호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제2호부에 의해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는, 포스 단말기에서 이용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량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알맞은 상태로의 디스플레이의 방향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용하려고 하는 메뉴에 최적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을 전환시켜 디스플레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별도로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회전 고정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방향 전환 동작에 대한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의 포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의 동작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도 5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
도 7은 디스플레이부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회전 동작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9는 도 8의 중앙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폭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의 포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주문을 입력 받고 정산할 수 있으며, 주문 내역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주문을 입력 받고 주문 정보를 다른 전자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 단말기(1000)는 좌측과 같이 다른 포스 단말기(1000)들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다른 포스 단말기(1000)에서 입력 받은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우측과 같이 추가 구성들과 유선 혹은 무선으로 결합하여 그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복수개의 전자장Δ(1000)들과 결합하여 포스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한 개의 포스 단말기(1000)는 포스 단말로서 기능하고, 나머지 포스 단말기(1000)들은 키오스크 단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가 포스 단말로서 사용될 경우, 추가 구성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추가구성들은 포스 단말기(1000)의 단자부(150)의 복수의 단자들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는 HDMI와 같은 영상 단자(151), USB 단자(152), 랜선과 같은 통신선을 연결하는 유선통신단자(153), 직렬포트 단자(154), 전원 단자(1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구성들은 영상 단자(150)에 연결될 수 있고 포스 단말기(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제 혹은 확장하는 모니터(2000), USB 단자(152) 혹은 직렬포트 단자(154)에 연결될 수 있고 서비스 혹은 제품 등의 바코드 혹은 QR 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리더기(3000), USB 단자(152) 혹은 직렬포트 단자(154)에 연결될 수 있고 카드 결제를 위한 카드 결제기(4000), USB 단자(152) 혹은 직렬포트 단자(154)에 연결될 수 있고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서명패드(5000), USB 단자(152) 혹은 직렬포트 단자(154)에 연결될 수 있고 동전 및 지폐를 수납하는 캐쉬 드로워(60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단말기, 디바이스, 전자기기, 포스 단말, 키오스크 단말 등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메모리(1100), 출력부(1200), 프로세서(13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사용자 입력부(1700), 및 프린터부(18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포스 단말기(10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포스 단말기(10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장Δ(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100)
메모리(11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포스 단말기(1000)로 입력되는 정보 또는 포스 단말기(10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110), 터치 스크린 모듈(1120), 알림 모듈(11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110)은, 포스 단말용 혹은 키오스크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이 전자장Δ(1000)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120)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알림 모듈(1130)은 포스 단말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출력부(1200)
*출력부(1200)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1200)는 디스플레이부(1210), 및 음향 출력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포스 단말기(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에 관련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은 포스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키오스크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0)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10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0)는 포스 단말기(10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1220)는 포스 혹은 키오스크 단말용 애플리케이션에 관련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0)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포스 단말기(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1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출력부(1200), 센싱부(1400), 통신부(1500), A/V 입력부(1600), 사용자 입력부(1700), 및 프린터부(18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센싱부(1400)
센싱부(1400)는, 포스 단말기(1000)의 상태 또는 포스 단말기(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프로세서(13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적외선 센서(144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근접 센서(1480), 및 잔량 감지부(14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0), 적외선 센서(1440),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0), 근접 센서(1480)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잔량 감지부(1430)은 감열지의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통신부(1500)
통신부(1500)는, 포스 단말기(1000)가 다른 전자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전자장치(미도시)는 포스 단말기(10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0)는, 근거리 통신부(1510), 이동 통신부(1520), 방송 수신부(153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방송 수신부(1530)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600)*
A/V(Audio/Video) 입력부(160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0)와 마이크로폰(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0)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처된 이미지는 프로세서(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0)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700)
사용자 입력부(1700)는, 사용자가 포스 단말기(10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700)은 물리버튼(1710) 또는 터치스크린(1720)을 포함할 수 있다.
* 프린터부(1800)
프린터부(1800)는 제어부(1300)에서 수신한 인쇄 정보에 기초하여 감열지 상에 주문 내용 혹은 결제 내용을 인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1000)의 동작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10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 고정부(SF)를 포함하는 몸체부(BD)를 도 5의 B-B'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도이고, 도 7은 디스플레이부(DP)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DP)에서 실질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되어 회전부(S)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10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라 함.)는, 회전 고정부(SF)를 포함하는 몸체부(BD) 및 회전 고정부(S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부(S)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D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몸체부(BD)의 내부에 회전 고정부(SF)가 구비되고, 회전부(S)를 통해 회전 고정부(SF)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DP)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면, 몸체부(BD)는, 영수증과 같은 감열지를 구비하는 수용 공간(RS)을 제공하는 제1몸체부(BD1) 및 제1몸체부(BD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수용 공간(RS)을 밀폐하는 제2몸체부(BD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BD1)는 내부에 도 3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 형상이 반원형 단면을 갖는 수용 공간(RS)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RS)에는 감열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몸체부(BD1)는 수용 공간(RS)의 일단에 상기 일단과 연결되는 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수용 공간(RS)의 타단에는 상기 타단과 연결되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는 함몰부(SK)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부(BD1)는 수용 공간(RS)에 의해 전방이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제2몸체부(BD2)는 제1몸체부(BD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수용 공간(RS)을 밀폐할 수 있다. 이 때, 함몰부(SK)는 수용 공간(RS)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부위와 대응되어 제2몸체부(BD2)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전방부(FP)의 돌출 부위와 제1몸체부(BD1)의 함몰부(SK)가 연통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나, 전방부(FP)의 돌출 부위와 제1몸체부(BD1)의 함몰부(SK)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의 외측에서 몸체부(BD)의 내부로 전선을 삽입하여, 디스플레이부(DP)와 쉽게 연결하기 위함일 수 있다.
제1몸체부(BD1)는 수용 공간(RS)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후방면에 의해 후방이 밀폐될 수 있다. 제1몸체부(BD1)의 후방면의 하부에는 제1몸체부(BD1)의 바닥측 하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단자들과 대응되는 단자홈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몸체부(BD1)는 전방에 구비되는 가상의 전방면이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몸체부(BD1)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몸체부(BD2)의 전방면도 경사지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몸체부(BD2)는 전방부(FP) 및 전방부(FP)의 양측으로 연결되는 양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BD2)는 전방부(FP)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후방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BD)는 전방이 개구된 형태를 갖고, 후방이 밀폐된 형태를 갖는 제1몸체부(BD1)의 외측에 후방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 제2몸체부(BD2)를 결합함으로써, 전, 후방면 및 양측면이 모두 밀폐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는 내측 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의 내부는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몸체부(BD2)의 상부의 내부 공간이 상부의 내부 공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BD2)의 상부의 내부 공간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크게 형성됨으로써, 다른 구성(예를 들어, 회전 고정부(SF))을 구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몸체부(BD)는 제2몸체부(BD2)의 내부 공간에 회전 고정부(SF)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몸체부(BD2)의 상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간에 회전 고정부(SF)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몸체부(BD2)의 상부의 내부 공간에는 회전 고정부(SF)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부(FR)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FR)는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교차되게 구비되어 격자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FR)는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교차하면서 형성되는 교차점에 나사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부(FR)의 나사 결합홀은 회전 고정부(SF)에 구비되는 나사 결합홀(BH)과 대응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지지 프레임부(FR)의 나사 결합홀 및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은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타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는 회전 고정부(SF)의 위치 이동에 따라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 고정부(SF)는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를 고정축으로 두고, 나사 결합홀(BH)의 형상을 따라 위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은, 회전 고정부(SF)의 위치 이동시,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회전 고정부(SF)를 가이드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은, 회전 고정부(SF)의 위치 이동 시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한하고, 회전 고정부(SF)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는, 회전 고정부(SF)의 위치 이동 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의 일단 또는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을 구비하므로, 위치 이동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의 일단의 내측 벽면 또는 타단의 내측 벽면에 나사(BT)의 일측이 접촉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의 일단의 내측 벽면 또는 타단의 내측 벽면에 나사(BT)의 일측이 접촉되면 더 이상 위치 이동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회전 고정부(SF)는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은, 도 6 기준,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를 고정축으로 하여 나사(BT)의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여유 폭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SF)는 나사(BT)를 기준으로 나사(BT)의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은 회전 고정부(SF)의 이동 방향을 나사(BT)로부터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회전 고정부(SF)는,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의해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제한되지 않을 경우, 내측에 회전부(S)를 구비하는 배치를 벗어나 회전부(S)의 고정 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 고정부(SF)는,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서 회전부(S)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탄성 복원부(SR)가 인장되면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고정부(SF)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제한되지 않을 경우, 회전 고정부(SF)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 및 거리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고정부(SF)는 회전부(S)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더라도 내측에 회전부(S)를 구비하는 배치로 제대로 복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SF)가 회전부(S)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지 못하여 회전부(S)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는,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을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타원형 형상으로 구비하여 회전 고정부(SF)의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의 세로 방향 단면 폭만큼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에 의해 나사 결합홀(BH)의 형상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의 형상에 따른 이동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에 의해 이동 거리 및 이동 방향이 제한되어 회전부(S)를 제대로 고정하기 위한 배치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고정부(SF)는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서 회전부(S)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어갈 경우, 나사 결합홀(BH)에 의해 회전부(S)를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로 가이드되어 회전부(S)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고정부(SF)는 제2몸체부(BD2)의 상부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부(FR)를 통해 몸체부(BD)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제1회전 고정부(SF1)와, 제1회전 고정부(SF1)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회전 고정부(SF2) 및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사이에 구비되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를 연결하는 탄성 복원부(S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회전 고정부(SF1)의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제2회전 고정부(SF2)의 형상에 대한 설명을 대체한다.
제1회전 고정부(SF1)는 일단 및 타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J)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방향은,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가 서로 이격되게 구비됨으로써 형성되는 이격 거리가 존재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PJ)는 도 6을 기준으로, 제1회전 고정부(SF1)의 일단 및 타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 고정부(SF1)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되는 돌출부(PJ)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회전 고정부(SF1)의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부(PJ)는 타단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 고정부(SF1)의 타단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일단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고정부(SF1)의 일단 및 타단의 각각의 돌출부(PJ)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면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돌출부(PJ)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부(S)의 회전을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때,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수직면은 회전부(S)의 상부 수직면 및 하부 수직면과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돌출부(PJ)의 내측에 위치하는 회전부(S)의 적어도 2개의 면과 면접촉하며 회전부(S)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의 회전부(S)에 대한 고정력은 탄성 복원부(SR)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돌출부(PJ)의 일측에 연결부(CN)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CN)는 돌출부(PJ)의 경사면이 위치하는 타측과 반대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연결부(CN)를 통해서 탄성 복원부(SR)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CN)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구비되는 돌출부(PJ)의 일측에 구비되므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CN)는 도 5의 도면상 동일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연결부(CN)끼리 대응되어 하나의 탄성 복원부(SR)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CN)는 4개가 구비되고, 동일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연결부(CN)가 하나의 탄성 복원부(SR)를 구비하므로, 회전 고정부(SF)는 2개의 탄성 복원부(SR)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복원부(SR)는 일단 및 타단에 걸쇠부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복원부(SR)의 걸쇠부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서로 대응되는 2개의 연결부(CN)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걸쇠부는 나머지 1개의 연결부(CN)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복원부(SR)는, 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원상태의 초기 길이(X0)로 구비될 수도 있고, 초기 길이(X0)에서 'a'만큼 인장된 길이(X1)로 구비될 수도 있다. 탄성 복원부(SR), 바람직하게는, 초기 길이(X0)에서 일정 길이만큼 인장된 길이(X1)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을 크게 하여 회전 고정부(SF)의 회전부(S)에 대한 고정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내측에 회전부(S)가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부(S)의 일정 거리의 위치 이동이 돌출부(PJ) 내에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내측에 회전부(S)가 위치하도록 하여 돌출부(PJ)를 통해 회전부(S)가 회전 고정부(SF)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회전 고정부(SF1)의 일단 및 타단에 형성되는 각각의 돌출부(PJ)간의 가로 방향의 수평 단면 폭은 디스플레이부(DP)의 회전부(S)의 가로 방향의 수평 단면 폭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 내측에 회전부(S)가 위치하였을 때, 회전부(S)와,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 간에 가로 방향으로 여유 폭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S)는 상기 여유 폭에 의해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내측에서 회전을 시작할 때, 회전 동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돌출부(PJ)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결합홀(BH)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 결합홀(BH)은 회전 고정부(SF)의 일단 및 타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부(PJ)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고정부(SF)는 상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나사 결합홀(BH)이 형성되고, 하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J)가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을 통해서 회전 고정부(SF)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FR)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SF)는 나사 결합홀(BH)을 통해서 회전 고정부(SF)의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부(IS)와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 고정부(SF)는 지지 프레임부(FR)와 삽입부(IS)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을 통해 회전 고정부(SF)의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부(IS) 및 회전 고정부(SF)의 하부로 구비되는 삽입부(IS)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스위치홈(SH)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의 회전 고정부(SF)는 일 예로서, 제1, 2 회전 고정부(SF) 모두의 일측에 스위치홈(SH)이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홈(SH)은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스위치부(FS)와 대응되어 고정 스위치부(FS)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BD)의 상부의 전방면에는 디스플레이부(DP)의 회전부(S)가 삽입되는 삽입부(IS)가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BD)의 상부의 전방면은,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에 포함되는 전방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몸체부(BD2)의 전방부(FP)에는 삽입부(IS)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IS)는 회전부(S)가 삽입되는 삽입홈(IH)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IS)는 전방부의 상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IS)는 수평 단면 형상이 원형 링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부의 일측 및 타측과, 하부의 일측 및 타측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IS)는 상기 결합홀(H)이 회전 고정부(SF)의 나사 결합홀(BH)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IS)는 결합홀(H) 및 나사 결합홀(BH)에 구비되는 나사(BT)를 통해서 회전 고정부(SF)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삽입홈(IH)은 삽입부(IS)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원형의 수평 단면 형상으로 삽입부(IS)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IH)은 수평 단면 형상이 원형 단면 형상을 갖되, 상부 및 하부가 특정 형상을 가지며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IS)는 삽입홈(IH)의 함몰되지 않은 부위로부터 삽입부(IS)의 내측 방향인 전방부(FP)의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벽부(EW)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IH)은 상, 하부에 함몰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벽부(EW)는 삽입홈(IH)의 상, 하부를 제외한 양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벽부(EW)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벽부(EW)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연장 벽부(EW)는 상, 하부에 함몰 부위가 형성되는 원형의 수평 단면 형상을 갖는 삽입홈(IH)의 함몰되지 않은 부위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벽부(EW)는 수평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 벽부(EW)는 내측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연장 벽부(EW)는 삽입부(IS)에 삽입된 회전부(S)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S)는 삽입부(IS)에 삽입된 상태일 때, 연장 벽부(EW)보다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삽입부(IS)는 삽입홈(IH)의 함몰 부위를 통해서 회전부(S)가 삽입홈(IH)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IS)는 연장 벽부(EW)를 통해서 삽입홈(IH) 내측으로 삽입된 회전부(S)가 삽입부(IS)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회전부(S)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부(DP)의 형상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DP)는 실질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와, 디스플레이(D)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부(DS) 및 디스플레이(D)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부(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S)는, 면과 면이 만나는 부위가 둥근 면으로 형성되는 둥근 모서리부(RE) 및 둥근 모서리부(RE)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이탈 방지부(PV)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S)는 4개의 수직면과, 각각의 수직면 사이에 개재되는 4개의 둥근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수직면은 둥근 면을 통해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둥근 면으로 형성되는 부위는, 회전부(S)의 둥근 모서리부(RE)일 수 있다. 둥근 모서리부(RE)는 삽입홈(IH)을 통해서 회전부(S)가 삽입되면서 연장 벽부(EW)와 접촉되는 부위일 수 있다. 따라서, 둥근 모서리부(RE) 간의 수평 방향 폭은 삽입홈(IH)의 함몰되지 않은 부위에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벽부(EW)간의 수평 방향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회전부(S)는 둥근 모서리부(RE) 중 적어도 2개의 둥근 모서리부(RE)의 일단에 이탈 방지부(PV)를 구비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PV)는 둥근 모서리부(RE)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PV)는 일 예로서 둥근 모서리부(RE)의 둥근 면을 구성하는 호의 길이와 동일한 호의 길이를 갖는 호로 구성된 수평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탈 방지부(PV)의 높이는 삽입홈(IH)에 회전부(S)를 삽입하였을 때, 연장 벽부(EW)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른 높이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S)는 삽입부(IS)의 삽입홈(IH)으로 삽입될 때, 삽입홈(IH)의 함몰 부위와 이탈 방지부(PV)를 대응시킨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IH)은 상, 하부에 형성되는 함몰 부위를 이탈 방지부(PV)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삽입홈(IH)의 함몰 부위는 이탈 방지부(PV)의 호의 길이와 동일한 호의 길이를 갖는 호로 구성된 수평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탈 방지부(PV)의 수평 단면 폭보다 큰 수평 단면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부(IS)는 삽입홈(IH)의 함몰 부위를 통해 회전부(S)의 이탈 방지부(PV)를 통과시켜 삽입부(IS)로의 회전부(S)의 삽입 과정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삽입부(IS)를 통해 삽입된 회전부(S)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S)는 연장 벽부(EW)보다 일정 길이 돌출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PV)는, 삽입홈(IH)에 회전부(S)를 삽입하였을 때, 연장 벽부(EW)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따른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S)의 이탈 방지부(PV)의 일면은 연장 벽부(EW)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PV)는 전방면이 연장 벽부(EW)의 후방면과 접촉되면서 회전부(S)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S)는 삽입부(IS)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부(S)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H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부(S)의 내측에 스토퍼(ST)가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S)는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서 회전할 때, 걸림부(HU)와 스토퍼(ST)가 접촉됨으로써 회전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ST)는 제1호부(AC1) 및 제2호부(AC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호부(AC2)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가지면서 제1호부(AC1)의 일단 및 타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호부(AC2)는 제1호부(AC1)의 일단 및 타단에서 스토퍼(ST)의 중심축이 존재하는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호부(AC1)는, 제2호부(AC2)가 제1호부(AC1)의 일단 및 타단에서 반경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인해 일단 및 타단에 단턱부(RP)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부(S)의 걸림부(HU)가 제1호부(AC1)의 단턱부(RP)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부(S)의 회전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회전부(S)는 제2호부(AC2)의 중심각과 대응되는 회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호부(AC2)의 중심각에 따라 회전부(S)의 회전 거리 및 회전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부(S)는 걸림부(HU)와 제2호부(AC2)가 대응되게 위치하도록 그 내측으로 스토퍼(ST)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제2호부(AC2)는 일 예로서, 90°의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걸림부(HU)는, 일 예의 90°의 중심각을 갖는 제2호부(AC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ST)는 제1호부(AC1)의 일단 및 타단이면서 제2호부(AC2)의 일단 및 타단에 단턱부(RP)가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걸림부(HU)는 제2호부(AC2)를 따라 이동하다가 단턱부(RP)와 접촉되면서 회전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제2호부(AC2)가 일 예로서 90°의 중심각을 가질 경우, 회전부(S)의 회전 각도는 90°일 수 있고, 회전 거리는 90°의 중심각을 형성하는 호의 길이일 수 있다.
제2호부(AC2)는 바람직하게는, 90°이상~180°이하의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제2호부(AC2)는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의 중심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갖는 제2호부(AC2)를 포함하는 스토퍼(ST)를 구비하여 회전부(S)의 회전 거리를 제한함으로써, 회전 고정부(SF)를 통한 회전부(S)의 고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회전부(S)의 회전 동작이 임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내부가 빈 형태의 스토퍼(ST)를 구비하여, 스토퍼(ST)의 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DP)와 연결되는 전선을 통과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는 스토퍼(ST)의 내부를 통과한 전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방부(FP)의 돌출 부위와 제2몸체부(BD2)의 함몰부(SK)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부(BD2)의 외측에서 삽입된 전선은 제2몸체부(BD2)의 함몰부(SK)와 전방부(FP)의 돌출 부위 및 스토퍼(ST)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디스플레이부(DP)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내부가 빈 형태의 스토퍼(ST)를 구비하여 디스플레이부(DP)가 일정 각도(예를 들어, 90°)를 초과하여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부(DP)와 연결된 전선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위치 이동 가능한 고정 스위치부(FS)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SW) 및 스위치(SW)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PS)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위치부(FS)는 몸체부(BD)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BD)에는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은 삽입부(IS)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BD)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삽입부(IS)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부(BD)의 상부 외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삽입부(IS)의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 고정부(SF)의 상측에 구비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서, 고정 스위치부(FS)는 제1회전 고정부(SF1)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은 몸체부(BD)의 상부 외측면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은 누름부(PS)의 단면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누름부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 삽입홈의 주변에는 스위치(SW)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누름부(PS)가 몸체부(BD)의 내측에 위치하고, 스위치(SW)의 외측이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에 결합될 수 있다. 누름부(PS)는 누름부 삽입홈을 통해 삽입되어 몸체부(BD)의 내측으로 위치하고, 스위치(SW)는 지지부를 통해 지지되어 그 외측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스위치(SW)는 누름부(PS)의 단면 폭보다 큰 폭을 갖는 누름부 삽입홈의 여유 폭에 의해 고정 스위치부 결합홀(FH)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SW)의 위치 이동에 따라 누름부(PS)가 스위치홈(SH)과 대응되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SW)의 위치 이동에 따라 누름부(PS)가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1000)의 디스플레이부(DP) 회전 동작의 원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의 가장 상부에 도시된 도면에서 디스플레이부(DP)의 주변에 도시된 화살표는, 디스플레이부(DP)의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D)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1000)의 디스플레이부(DP) 회전 동작의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 고정부(SF)와, 회전 고정부(SF)의 상부에 결합되는 삽입부(IS)와,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 구비되는 회전부(S)를 포함하여 회전 결합체(SA)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스 단말기(1000)는 이러한 회전 결합체(SA)를 통해서 디스플레이(D)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회전 결합체(SA)는, 회전 결합체(SA)를 후방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이다.
도 8에서는, 가장 상부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DP)가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최초 상태(이하,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라 함.)에서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회전 상태가 되는 회전 동작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다. 도 8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DP)는 일 예로서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할 수 있다. 이는 일 예로서, 스토퍼(ST)의 제2호부(AC2)가 90°의 중심각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DP)의 중앙부에는 회전 결합체(SA)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는 회전 결합체(SA)를 통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도 9은 도 8의 디스플레이부(DP)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회전 결합체(SA)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BD)의 삽입부(IS)의 하부에는 회전 고정부(SF)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의 회전부(S)는 몸체부(BD)의 삽입부(IS)를 통해 삽입되어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S)는 삽입부(IS)의 삽입홈(IH)의 함몰된 부위와 이탈 방지부(PV)가 대응되게 삽입된 다음,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S)는 삽입홈(IH)을 통해 삽입된 다음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되기 전에는, 둥근 모서리부(RE)가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회전부(S)는 적어도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회전부(S)의 상, 하부 수직면이 접촉되는 형태로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부(PV)는 디스플레이부(DP)의 적어도 일방향의 회전에 따라 연장 벽부(EW)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DP)는 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부(S)의 내측에는 스토퍼(ST)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ST)는, 스토퍼(ST)의 제2호부(AC2)와 회전부(S)의 걸림부(HU)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 회전부(S)의 걸림부(HU)는 스토퍼(ST)의 일측의 단턱부(RP)에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도 9의 가장 상부에 도시된 도면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는, 디스플레이부(DP)가 일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최초 상태일 때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회전부(S)는, 상부 수직면 및 하부 수직면이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면과 면접촉되면서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회전부(S)가 고정된 상태일 경우,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홈(SH)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이동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SW)와 회전 고정부(SF)의 스위치홈(SH)이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위치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부(PS)는 회전 고정부(SF)의 외측면의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고정 스위치부(FS)가 스위치홈(SH)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 누름부(PS)가 회전 고정부(SF)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누름부(PS)가 스위치홈(SH)의 외측으로 위치하여 제1회전 고정부(SF1)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 고정부(SF)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S)는 걸림부(HU)와 스토퍼(ST)의 단턱부(RP)가 접촉되고, 상, 하부 수직면이 돌출부(PJ) 사이의 수직면과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 고정부(SF)는 고정 스위치부(FS)에 의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변화하지 않도록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DP)는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최초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의 가장 상부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바로 아래에 도시된 도면에는, 회전부(S)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회전 결합체(SA)가 회전 변형 중인 상태 (이하,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라 함.)를 도시한 도면이 도시된다.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는 디스플레이부(DP)가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로 회전되기 전 회전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의 스위치(SW) 주변에 도시된 화살표는 고정 스위치부(FS)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고정 스위치부(FS)가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이동될 경우, 회전 고정부(SF)는 고정 스위치부(FS)에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고정 스위치부(FS)가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경우, 고정 스위치부(FS)는, 누름부(PS)가 회전 고정부(SF)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않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고정부(SF)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의 변동이 가능한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 주변에 도시된 화살표는 회전 고정부(SF)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회전부(S)는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내측에서 회전을 적어도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회전부(S)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둥근 모서리부(RE)가 돌출부(PJ) 사이의 수직면에 접촉될 수 있다. 회전 고정부(SF)는, 회전부(S)의 둥근 모서리부(RE)가 돌출부(PJ) 사이의 수직면에 접촉됨에 따라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변동될 수 있다.
회전부(S)의 경우, 둥근 모서리부(RE)간의 수평 단면 폭이 상, 하부 수직면간의 수평 단면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S)가 회전하여 둥근 모서리부(RE)가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면, 탄성 복원부(SR)가 인장되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는 커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S)의 회전에 의해 탄성 복원부(SR)가 인장되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는 커질 수 있다.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커지면서 제1회전 고정부(SF1)는 고정 스위치부(FS)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이동되어있는 고정 스위치부(FS)의 누름부(PS)는 스위치홈(SH)상에 위치하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 고정부(SF2)는 제1회전 고정부(SF1)가 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회전 고정부(SF1)가 고정 스위치부(FS)가 위치하는 상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제2회전 고정부(SF2)는 이와 반대되는 하방향으로 위치 이동할 수 있다.
회전부(S)는 적어도 일방향의 일 예인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이 완료될 수 있다. 회전부(S)는 스토퍼(ST)의 제2호부(AC2)의 중심각과 대응되는 회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스토퍼(ST)의 제2호부(AC2)의 중심각은 9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S)는 90°회전 가능할 수 있다.
회전부(S)는,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사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9의 가장 하부에 도시된 도면은, 회전부(S)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이하,'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라 함.)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에서, 회전부(S)는, 둥근 모서리부(RE)가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는 일정 각도를 지나 더 회전하게 되면 상, 하부 수직면이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는 회전부(S)의 상, 하부 수직면은,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지 않는 양측의 수직면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에서,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과 접촉되지 않는 회전부(S)의 양측 수직면은,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과 접촉되는 회전부(S)의 상, 하부 수직면일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의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과 접촉되는 회전부(S)의 상, 하부 수직면은,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의 회전 결합체(SA)의 상태에서,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과 접촉되지 않는 회전부(S)의 양측 수직면일 수 있다.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에서, 회전부(S)는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둥근 모서리부(RE)가 접촉되는 일정 각도를 지나 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와 같이, 회전부(S)의 상, 하부 수직면이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S)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은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에서 인장된 탄성 복원부(SR)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탄성 복원부(SR)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X1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는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의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주변에 도시된 화살표는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한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회전부(S)는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복원부(SR)는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변형 중인 상태에서 회전부(S)의 회전에 따라 둥근 모서리부(RE)가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접촉되는 것에 의해 일정 길이(예를 들어, 'b')만큼 탄성 변형될 수 있다.(X1+b)
그런 다음, 회전부(S)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탄성 복원부(SR)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점차 X1의 길이와 가깝게 복원되면서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는, 다시 X1의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S)는 회전 고정부(SF)의 수직면에 회전부(S)의 상, 하 수직면이 접촉되고, 탄성 복원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 고정 스위치부(FS)는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다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의 스위치(SW) 주변에 도시된 화살표는 고정 스위치부(FS)의 이동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이와 같은 고정 스위치부(FS)의 위치 이동을 통해 누름부(PS)가 회전 고정부(SF)의 외측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회전부(S)는 탄성 복원부(SR)가 인장되면서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커지도록 변동 가능한 상태에서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이 제한될 경우, 회전부(S)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돌출부(PJ) 내측에서 회전 가능한 공간이 확보될 수 없으므로 고정되게 된다.
회전부(S)는 일차적으로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 고정부(SF)의 돌출부(PJ)의 내측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고정 스위치부(FS)가 스위치홈(SH)과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부(FS)는 위치 이동하여 누름부(PS)가 회전 고정부(SF)의 외측면에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S)는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아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형성되며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부(S)는 고정 스위치부(FS)에 의해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서 이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 회전부(S)를 일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는, 고정 스위치부(FS)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의 이동을 제한하여 회전부(S)에 대한 이차적인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부(S)가 회전하는 단계를 거쳐, 회전부(S)의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어가면, 탄성 복원부(SR)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2회전 고정부(SF1, SF2)간의 이격 거리가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의 이격 거리로 복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에서, 회전 단계를 거쳐 회전 완료 상태가 되면 외부에서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회전 고정부(SF)의 내측에서 회전부(S)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 고정부(SF) 내측에서의 회전부(S)의 고정 유지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 스위치부(FS)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DP)가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최초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회전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의 회전 완료 상태에서 회전된 디스플레이부(DP)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회전 고정부(SF)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회전 고정부(SF) 및 스토퍼(ST)의 구조를 통해 디스플레이부(DP)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가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포스 단말기(10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부(DP)의 최초 상태가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인 것으로 하여 디스플레이부(DP)를 세로 방향에서 가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DP)는 회전 결합체(SA)의 회전 동작 원리에 의해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방향 전환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DP)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DP)의 크기가 작더라도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DP)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와 달리, 기존의 포스 단말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는, 최초 결합된 상태로 방향 전환이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는 수평 단면 폭이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도록 고정 결합되거나, 수평 단면 폭이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도록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포스 단말기에서 이용하는 프로그램의 메뉴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일 때,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일 때, 더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문 테이블 도면과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메뉴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가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판매 메뉴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의 디스플레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가 한 번에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는, 포스 단말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메뉴에 따라 보다 더 많은 정보를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적합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가 특정한 형태(예를 들어, 수평 단면 폭이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 및 수평 단면 폭이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로 포스 단말기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될 경우, 프로그램의 모든 메뉴가 동일한 형태에서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한 번에 표시되는 정보량이 한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정한 형태로 고정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기존의 포스 단말기의 경우, 가려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수동적 위치 조정과 같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포스 단말기(1000)에서 이용하려고 하는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량을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알맞은 상태로의 디스플레이(D)의 방향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제조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DP)를 구비하더라도, 이용하려고 하는 메뉴에 최적화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을 전환시켜 디스플레이(D)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주로 무인 주문에 이용되는 키오스크와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려고 할 때, 일 예로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가 방향 전환될 경우, 방향 전환된 상태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이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일 경우, 주문 목록을 표시하는 키오스크와 대응되는 기능이 수행된다고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의 세로 방향을 인식하여 키오스크 모드를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일 예로서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의 디스플레이부(DP)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P)는 적어도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를 갖고, 회전 고정부(SF)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 전환이 가로 방향으로 전환된 것을 인식하여 키오스크 모드에서 포스 단말 모드로 모드 전환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D)에는 포스 단말 모드가 자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D)에 표시되는 모드 전환 버튼을 통하여 세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 및 가로 방향으로 긴 폭을 갖는 형태에서 각각의 형태에 적합하게 키오스크 모드 또는 포스 단말 모드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위와 같이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 전환을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적합한 모드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D)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디스플레이부(DP)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별도의 버튼 조작없이도 적합한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스 단말기(1000)는 포스 단말기(1000) 이용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0: 포스 단말기
BD: 몸체부
FP: 전방부 IS: 삽입부
DP: 디스플레이부
S: 회전부 RE: 둥근 모서리부
PV: 이탈 방지부 HU: 걸림부
SF: 회전 고정부
SF1: 제1회전 고정부 SF2: 제2회전 고정부
PJ: 돌출부 SR: 탄성 복원부
FS: 고정 스위치부
ST: 스토퍼
AC1: 제1호부 AC2: 제2호부
RP: 단턱부

Claims (6)

  1. 회전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회전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고정부는,
    제1회전 고정부;
    상기 제1회전 고정부와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회전 고정부;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를 연결하는 탄성 복원부;
    위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홈;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지고,
    상기 회전부는 회전 각도가 임계값을 넘으면 상기 탄성 복원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스위치부가 상기 스위치홈 상에 위치할 경우,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 복원부가 인장되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간의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고,
    상기 고정 스위치부가 상기 스위치홈의 외측에 위치할 경우, 상기 고정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의 이동이 제한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 및 타단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회전 고정부의 돌출부 내측에 상기 회전부가 위치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스토퍼가 접촉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거리가 제한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제1호부 및 제2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호부는 일정 각도의 중심각을 가지면서 상기 제1호부의 일단 및 타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제1호부의 일단 및 타단에는 상기 제2호부에 의해 단턱부가 형성되는,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KR1020210078501A 2021-02-23 2021-06-17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KR10242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501A KR102429864B1 (ko) 2021-02-23 2021-06-17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22A KR102269013B1 (ko) 2021-02-23 2021-02-23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KR1020210078501A KR102429864B1 (ko) 2021-02-23 2021-06-17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22A Division KR102269013B1 (ko) 2021-02-23 2021-02-23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864B1 true KR102429864B1 (ko) 2022-08-04

Family

ID=765994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22A KR102269013B1 (ko) 2021-02-23 2021-02-23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KR1020210078501A KR102429864B1 (ko) 2021-02-23 2021-06-17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22A KR102269013B1 (ko) 2021-02-23 2021-02-23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90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629A (ko) * 2004-06-26 2004-12-16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0725798B1 (ko) 2004-01-19 2007-06-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os 단말기 장치
KR100731900B1 (ko) * 2005-11-28 2007-06-25 (주)유엔아이 회전힌지장치
KR20080005184U (ko) * 2007-05-02 2008-11-06 밸크리텍주식회사 암스트럭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포스단말기
KR101236390B1 (ko) * 2005-12-01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798B1 (ko) 2004-01-19 2007-06-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os 단말기 장치
KR20040105629A (ko) * 2004-06-26 2004-12-16 주식회사 엠투시스 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회전장치
KR100731900B1 (ko) * 2005-11-28 2007-06-25 (주)유엔아이 회전힌지장치
KR101236390B1 (ko) * 2005-12-01 2013-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KR20080005184U (ko) * 2007-05-02 2008-11-06 밸크리텍주식회사 암스트럭쳐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포스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9013B1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783B1 (ko)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325418B1 (ko) 알림 처리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243486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04745B1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668138B1 (ko) 자동으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이동 장치
KR1020159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159661B (zh) 图标的角标显示方法及装置
CN10223827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3595857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1729658A (zh) 使用投影仪模块的节电移动终端及其方法
CN102541440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227331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2004600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841468B2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operating section for receiving ope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system,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02890540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00015232A (ko) 휴대 단말기
CN10339146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2244698A (zh) 移动终端和在其上显示3d图像的方法
CN103780932A (zh) 移动终端、广播终端及控制方法
CN102387247A (zh) 移动终端以及用于控制其三维显示的方法
KR20090013128A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0451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8408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9864B1 (ko)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포스 단말기
KR2021003024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