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61B1 -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61B1
KR102428661B1 KR1020200175061A KR20200175061A KR102428661B1 KR 102428661 B1 KR102428661 B1 KR 102428661B1 KR 1020200175061 A KR1020200175061 A KR 1020200175061A KR 20200175061 A KR20200175061 A KR 20200175061A KR 102428661 B1 KR102428661 B1 KR 10242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hamber
steaming
discharge lin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0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5195A (en
Inventor
김동우
심상백
박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성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성한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성한과
Priority to KR1020200175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61B1/en
Publication of KR20220085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1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top side
    • A47J2043/04454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 A47J2043/04481Apparatus of counter top type with a mixing unit pivotable on the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설비 내의 수증기 발생을 저감하고 공정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증숙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부가 상부에서 스팀을 공급받아 하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재료를 증숙하고 하측으로 증숙이 완료된 스팀 및 응축된 물을 함께 배출하도록 하는 하향식 증숙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er that enables efficient use of steam while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in a facility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a process, wherein a chamber unit accommodating a material therein is supplied with steam from an upper portion and flows to a lower portion It provides a top-down steamer that steams the material in the process and discharges the steam and condensed water that have been steamed downward together.

Description

하향식 증숙기, 이를 포함하는 당화설비와 증숙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Top-down steamer, saccharification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and steaming method

본 발명은 스팀을 이용하여 재료를 익히거나 식품을 데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팀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설비 내의 수증기 발생을 저감하고 공정의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oking ingredients or blanching food using ste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amer that enables efficient use of steam while reducing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in equipment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rocess will be.

일반적으로 스팀기라고 일컬어지기도 하는 증숙기는 다양한 유형의 식품이나 원재료를 익히거나 데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식품을 살균하기 위한 용도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a steamer, also called a steamer, is used for cooking or blanching various types of food or raw materials, and in recent years, it is also used for sterilizing food.

전통적으로 이러한 증숙기는 떡을 제조하는 방앗간이나 공장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에 떡시루는 토기, 나무, 대나무, 스테인레스 스틸 등으로 제작하고, 이를 스팀 솥 위에 다단형으로 적층하여 뜨거운 증기를 시루속으로 통과시켜 떡을 증숙시키는 방식으로 공정을 진행해왔다. Traditionally, these steamers were often used in mills or factories for making rice cakes. Conventionally, rice cake soup is made of earthenware, wood, bamboo, stainless steel, etc., and stacked in a multi-stage type on a steam pot, and hot steam is passed through the steam to steam the rice cake.

근래에는 생산의 대량화 요구에 맞추어 떡 증숙용 스팀발생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는데 전통적인 방식과 스팀의 적용에 대한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증숙기에 대한 개발과제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양의 떡을 제조할 수 있는지와, 에너지를 어떻게 절감할 수 있는지에 집중되어 왔다. In recent years, various steam generators for steaming rice cakes have been developed to meet the demand for mass production, but the traditional method and the principle of steam application are the same. Development tasks for the steamer have been focused on how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rice cakes in a short time and how to save energy.

시루떡 제조기나 찐빵용 찜기의 경우 소정의 떡시루나 일종의 채반인 트레이에 식품을 얹어놓고 스팀이 발생하는 내부의 공간에서 상방으로 스팀을 자연스럽게 공급하고 이 과정에서 열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스팀이 과도하게 사용되어 대기로 방출되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모가 과도한 문제가 있다. 이는 대량생산이 필요한 제조공정에서는 취약점으로 작용한다. In the case of a rice cake maker or steamer for steamed bread, food is placed on a tray, which is a predetermined rice cake soup or a kind of tray, and steam is naturally supplied upward from the internal space where steam is generated and heat is absorbed in this process. Since this is excessively used and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ere is a problem of excessive consumption of energy. This acts as a weakn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requires mass production.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02732호는 종래기술의 챔버 형태의 증숙기를 제기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0-0002732 proposes a chamber-type steamer of the prior art, and FIG. 1 is a front sectional view thereof.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증숙실(2)과, 상기 증숙실(2)로 콩즙을 공급하는 콩즙공급관(5)과, 다수개의 스팀공(41)을 갖는 스팀관(4)과, 상기 스팀관(4)으로 스팀(S)을 공급하는 보일러(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숙실(2)은 깊이를 갖는 원형 용기형상을 취하는 본체(21)의 상부 개방면으로 뚜껑(22)이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고 있다. 소정의 장치에서 가열된 스팀은 스팀공급공을 통해 스팀관(4)으로 이동하고 스팀공(41)을 통해 증숙실(2)로 분출되어 콩즙공급관(5)을 통해 공급된 콩즙을 순두부로 증숙하도록 기능한다.Specifically, a steaming room 2, a soybean juice supply pipe 5 for supplying soybean juice to the steaming room 2, a steam pipe 4 having a plurality of steam holes 41, and the steam pipe ( It is composed of a boiler (3) that supplies steam (S) to 4). At this time, the steam room 2 has a lid 22 coupled to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main body 21 taking the shape of a circular container having a depth to seal the inside. The steam heated in the predetermined device moves to the steam pipe 4 through the steam supply hole, is ejected into the steaming chamber 2 through the steam hole 41, and the soybean juice supplied through the soybean juice supply pipe 5 is steamed into soft tofu. function to do

이러한 스팀 챔버 형태의 증숙기는 제조의 편리성과 경제성으로 인하여 현재에도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Such a steam chamber type steamer is still being used in a similar form due to the convenience and economic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그런데,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도 스팀이 과도하게 공급될 뿐만 아니라 상부에 수증기의 발생 및 물의 응축 현상으로 인하여 음식물이 고르게 익지 않거나 수분을 과도하게 함유하게 되는 한계를 가진다. However, even in this form, not only is the steam supplied excessively, but also the food is not cooked evenly or contains excessive moisture due to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and the condensation of water in the upper portion.

또한, 증숙 이후의 잔여된 재료 및 응축된 물의 처리에 대한 번거로움과, 오염에 대한 문제를 항상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ways a problem with respect to the processing of the remaining material and condensed water after steaming, and contamin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팀의 적용량을 비약적으로 저감할 수 있으면서도 증숙의 기능을 보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증숙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amer capable of mass production while ensuring a function of steaming while being a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amount of steam appli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팀이 적용되는 고내에 수증기의 발생을 억제하고, 응축된 물로 인하여 식품에 수분이 과도하게 함유되는 등 품질의 균일성을 저해하는 종래 스팀기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in the furnace to which steam is applied, an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steamer that inhibits the uniformity of quality, such as excessive moisture content in food due to condensed water. There is a purpose.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부와, 스팀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스팀이 유입되도록 챔버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공급구와, 재료를 통과하여 증숙이 완료된 스팀과, 스팀이 하향 이동되면서 응축된 물이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챔버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향식 증숙기를 제공한다.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mber for accommodating a material therein, a supply po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so that steam supplied through a steam supply line flows in, and a steaming process through the material. It provides a top-down steamer comprising a discharge port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so that the completed steam and the water condensed as the steam moves downward are discharged together.

상기 챔버부는, 공급구에 공급된 스팀의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어 재료에 하방으로 식품의 무른 정도에 따라 제어된 공급압력(P0)을 제공하는 공급영역(a)과, 재료에 중력 및 스팀의 압력이 적용되면서 공극을 따라 스팀이 하향 이동되는 증숙영역(b,c)과, 챔버부의 저면에 인접되어 응축수가 수집되고 배출구로 스팀에 의하여 안내되어 배출되는 드레인영역(d)으로 내부 공간이 구분될 수 있고, 시간순으로 재료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치우쳐진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면 스팀이 증숙영역의 하층부까지 이동하고, 초기 응축시간 동안 재료의 내부로 침투하여 열교환한 응축수가 스팀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증숙영역의 하층부까지 가열이 진행되면 배출되는 응축수가 줄어들면서 스팀의 배출이 개시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스팀배출라인을 잠가 증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hamber unit includes a supply region (a) in which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supply port are maintained to provide a controlled supply pressure P0 to the material downward according to the softness of the food, and gravity and steam to the material. The internal space is divided into a steaming region (b, c), in which steam moves downward along the air gap as pressure is applied, and a drain region (d), in which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discharged by being guided by the steam to the outlet. When steam is supplied from the top in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biased to the bottom by its own weight in chronological order, the steam moves to the lower layer of the steaming area, and the condensed 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material during the initial condensation time and exchanges heat exchanges with the steam discharge line When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of steam is started when the heating proceeds to the lower layer of the steaming area, steaming can be performed by locking the steam discharge line after a set time.

또한, 상기 챔버부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스팀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hinged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steam supply line is connected.

상기 덮개부는 압력측정부 및 밸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cover part includes a pressure measuring part and a valve part.

또한, 상기 챔버부의 하측에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스팀배출라인이 연결되는 하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plate portion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portion so as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steam discharge line is connected.

상기 챔버부의 배출구측에 구비되고 스팀 및 응축수를 통과하면서 재료의 통과를 방지하는 거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is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hamber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sieving part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materials while passing steam and condensed wat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챔버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제공받아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펠러를 회전하는 교반기부와, 챔버부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체공급라인과, 온수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온수가 챔버부 외벽을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자켓부와, 당화액이 배출되도록 챔버부의 저부에 연결되는 당화액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당화설비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tator unit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unit to the lower side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impeller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water body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unit, and the hot water supply line. Provided is a saccharification facility including a jacket part for allowing supplied hot water to circulate along an outer wall of the chamber part, and a saccharification solution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part so that the saccharification solution is discharged.

추가로, 본 발명은, 챔버부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고 내부를 밀폐하는 단계와, 스팀공급라인을 통하여 챔버부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와, 챔버부 내부의 재료와 스팀이 열교환하면서 응축된 물이 스팀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단계와, 초기 응축시간이 경과하여 스팀배출라인으로 스팀이 배출되기 시작한 이후 스팀배출라인을 폐쇄하고 재료를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숙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ccommodating a material in the chamber part and sealing the inside, supplying steam into the chamber part through a steam supply line, and the material and steam in the chamber part are condensed while heat-exchanging. Provided is a steam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ischarging water to the steam discharge line, and closing the steam discharge line and steaming the material after the initial condensation time has elapsed and steam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상기된 본 발명에 따라, 상부에서 스팀을 공급하고 압력과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중력방향을 거슬러 재료의 증숙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데 특히 종래의 채반 및 상향식의 경우에 비하여 스팀 사용량이 비약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is maximized because it can be used for the steaming of materials against the direction of gravity while supplying steam from the upper part and maintain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mount of steam used can be drastically reduced.

또한, 응축수가 스팀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쌀이 질게 되지 않고 상층과 하층에 균질한 증숙이 가능하면서 별도의 드레인장비에 의하지 않고 스팀과 응축수의 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densed water can be mov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team, the rice does not become tough and homogeneous steaming is possible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and steam and condensate can be discharged without using a separate drain equipment.

또한, 취반 자체가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세척, 가열, 가압, 유지 과정을 모두 챔버부 내부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채반을 사용하지 않고 수증기 배출을 위한 상부 덕트의 구성이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적이며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itself is made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washing, heating, pressurizing, and maintaining processes can all be performed inside the chamber, the process is not only simple, but also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duct for discharging water vapor without using a tray is required. It is economical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maintainability.

또한, 챔버 방식의 적용으로 인하여 취반 및 당화 과정이 대용량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최소한의 공간에서 증기의 발생 및 과열을 위한 효과적인 유동로를 확보하여 열전달의 효율성을 향상하였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가 절감되고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mber method, the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process is possible in a large capacity, so the productivity is dramatically improved, and the efficiency of heat transfer is improved by securing an effective flow path for generation and overheating of steam in a minimum space. It has the effect of saving energy and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도 1은 종래기술의 챔버 형태의 증숙기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하향식 증숙기를 포함하여 당화설비를 구성하는 도면이다.
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a chamber-type steamer of the prior art.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accharification facility including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당화설비와 이를 포함하는 증숙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op-down steamer, a saccharification facility including the same, and a steam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However,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invention, which limi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n't mean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part or device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부가 상부에서 스팀을 공급받아 하부로 유동시키는 과정에서 재료를 증숙하고 하측으로 증숙이 완료된 스팀 및 응축된 물을 함께 배출하도록 하는 하향식 증숙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top-down steamer that allows the material to be steam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steam from the upper part of th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and flowing to the lower part, and to discharge the steam and condensed water to the lower side.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취반을 위하여 쌀, 쌀가루 또는 곡류를 재료의 예로 설명하나 상기 챔버부에 수용되는 재료는 찌는 과정이 필요한 다양한 유형의 원재료는 물론 열을 가하는 과정이 필요한 식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rice, rice flour, or grains are basically described as examples of materials for cooking,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 chamber include various types of raw materials that require a steaming process, as well as foods that require a process of applying heat. do.

여기서 취반이란 쌀에 알맞은 물을 흡수시켜 전분을 호화하고 쌀의 조직을 적당하게 연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취반은 세척, 물조절, 침지, 가열, 뜸들이기 정도의 순으로 진행되나 스팀을 이용하는 경우 최소한 물조절, 침지, 가열 및 뜸들이기를 모두 하나의 장비로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으며, 본 발명의 개념을 적용하는 경우 세척 및 취반과 당화가 하나의 장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Here, cooking refers to absorbing water suitable for rice to make starch gelatinous and to soften the tissue of rice properly. Usually, cooking proceeds in the order of washing, water control, immersion, heating, and steaming, but when using steam, it is convenient to at least perform water control, immersion, heating and steaming with one device, Whe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ashing,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may be performed with one equipment. In this regard, specific example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본 발명의 증숙(蒸熟) 이란 스팀을 통하여 쪄서 익히는 것을 의미하나, 경우에 따라 완제품을 데우기 위한 용도로 스팀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증숙의 개념에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steaming (蒸熟)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steaming and cooking through steam, but in some cases, using steam for heating the finished product is also included in the concept of steam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의 구성도이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챔버부(1100)는 내부에 재료와 스팀을 수용하고 소정의 압력과 온도를 보존할 수 있도록 외부와 어느 정도 격리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챔버부(1100)의 상측에는 스팀공급라인(2110)과 연결되는 공급구(참조번호 미표시)가 구성되고, 하측에는 스팀배출라인(2210)과 연결되는 배출구(참조번호 미표시)가 구성되어 상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스팀이 내부의 재료를 증숙한 이후에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데, 상방에서 하방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재료의 밀도와 공극에 따라 온도와 압력이 저감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하측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함께 배출하므로 별도의 드레인을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The chamber unit 1100 is configured to be isolated from the outside to some extent to accommodate the material and steam therein, and to preserve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temperature. A supply port (reference nu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team supply line 2110 is configur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unit 1100, and an exhaust port (reference number not shown) connect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The steam flowing in from the inside is discharged to the bottom after steaming the material inside, and in the process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will be reduced according to the density and voids of the material. At this time,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lower side is discharged together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a configuration for a separate drain is unnecessary. A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hereto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스팀은 기본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발생할 것이나 경우에 따라 혼합액이나 증류수 등 다양한 유형의 수체의 사용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he steam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generated by heating water, but in some cases, the use of various types of water bodies, such as a mixed solution or distilled water, is not excluded.

상기와 같이 챔버부(1100)는 전체적으로 밀폐 가능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챔버부(1100)는 내부의 고온과 고압에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부(1100)의 상측 및/또는 하측은 개폐 가능한 구조를 구비하여 재료의 배출 및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실시예는 후술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mber unit 110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can be sealed as a who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The chamber unit 1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durable to internal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The upper and/or lower sides of the chamber unit 1100 may have an openable and openable structure to facilitate discharging and cleaning of materials. Example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스팀공급라인(2110)은 상기와 같이 챔버부(1100)의 상측으로 연결되어 외부에 설비되는 스팀공급부(2100)로부터 가열 및 기화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팀공급부(2100)는 전열수단 및 소정의 제어기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eam supply line 2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unit 1100 as described above and may receive heated and vaporized water from the steam supply unit 2100 installed outside. The steam supply unit 2100 may have a known configuration including a heat transfer means and a predetermined controll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챔버부(1100)의 내부 공간은 소정의 상태에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소정의 기능적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최상층은 공급구로부터 직접 스팀을 공급받아 스팀의 고압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공급영역(a)이고, 공급영역(a)의 하한인 재료의 계면으로부터 하측은 실질적으로 스팀에 의하여 증숙이 수행되는 증숙영역(b,c)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증숙영역의 비교적 상부의 영역은 상층부(b), 하부의 영역은 하층부(c)로 정의하고, 배출구에 인접되는 부위는 드레인영역(d)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The inner space of the chamber unit 1100 may be divided into predetermined functional areas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te. The inner uppermost layer is a supply region (a) in which the high pressure of steam can be maintained as it is by receiving steam directly from the supply port, and the lower side from the interface of the material, which is the lower limit of the supply region (a), is substantially steamed. It can be understood as the steaming region (b, c). A relatively upper region of the steaming region is defined as an upper layer (b), a lower region as a lower layer (c), and a region adjacent to the outlet is defined as a drain region (d).

상기 상층부(b)는 하층부(c)에 비하여 자중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공극률이 비교적 높을 것이나,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공급영역(a)에 스팀의 압력이 적용되는 경우 압력에 의한 치밀성이 보완될 수 있다. 즉, 중력의 영향과 압력의 영향으로 어느 정도 밀도를 유지하여 재료를 증숙영역에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층부(c)의 경우는 스팀이 공극을 통하여 유동되는 과정에서 압력의 저하가 발생한다. 드레인영역(d)에서는 물의 응축이 발생하거나, 응축된 물이 수집되는데 이 영역에서는 응축수가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스팀과 함께 배출된다. The upper layer part (b) has a relatively high porosity because it has less influence of its own weight than the lower layer part (c). can That is, the material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eaming area by maintaining a certain degree of density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and pressure. In the case of the lower layer (c), a decrease in pressure occurs in the process of steam flowing through the pores. In the drain region (d), condensation of water occurs or the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In this region,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together with steam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

상기 챔버부(1100)의 스팀공급라인(2110)과 스팀배출라인(2210)의 연결부위는 대략 평면상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후술될 바와 같이 교반이나 온수의 공급 등 추가적인 구성의 배치가 소요되는 경우 축 중심에서 어느 정도 편심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team supply line 2110 and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of the chamber unit 1100 is approximately arranged in the center of a plane, as will be described later, of additional configurations such as stirring or supply of hot water.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some eccentricity from the center of the axis if the arrangement is requir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의 측단면도이다.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챔버부(1100)는 내부에 상기와 같이 재료를 수용하며, 재료는 스팀의 압력 및 자중에 의하여 하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부는 공급영역(a)으로서 이러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부(1200)가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chamber unit 1100 accommodates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rein, and the material is disposed downward by the pressure and weight of the steam. The upper portion is the supply region (a), and the cover portion 1200 may be coupled to be rotatable up and down so as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이러한 덮개부(1200)는 챔버부(1100)의 상단 일측에 상측힌지(1201)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동 동작을 통하여 개폐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덮개부(1200)는 상측내지는 측방에 개폐손잡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1200)는 챔버부(1100)의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과 같은 기밀 수단과, 폐쇄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로킹부(1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수단과 로킹부는 공지의 다양한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cover part 1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hamber part 1100 by an upper hinge 1201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The cover part 1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closing handle (not shown) on the upper side or the side. In addition, the cover part 1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irtight means such as a sealing to maintain the sealed state of the chamber part 1100, and a locking part 1202 to fix the closed state. Since these airtight means and the locking unit can be applied to various well-known devices,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상기 덮개부(1200)는 상측힌지(1201)에 의하여 상하 또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여 챔버부(1100)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덮개부(1200)에는 공급구가 구비되어 스팀공급라인(2110)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 덮개부(1200)는 상하로 관통되는 공급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part 1200 can be rotated up and down or back and forth by the upper hinge 1201 to communic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hamber part 1100 with the outside, and the cover part 1200 is provided with a supply port to provide a steam supply line (2110) may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cover part 1200 may be formed with a supply passage penetrating up and down.

또한, 챔버부(1100) 내부의 압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압력측정부(121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유지보수 및 관리의 편리성을 고려하면 덮개부(1200)에 압력측정부(121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a pressure measuring unit 1210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nitor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unit 1100 .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pressure measuring unit 1210 is provided on the cover unit 1200 .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덮개부(1200)의 밀폐 및 스팀의 공급 내지는 압력의 유지 과정에서 챔버부(1100) 내부의 압력을 일시 해제하거나 스팀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부(1220)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part 1220 is further configured to temporarily release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part 1100 or to discharge a part of the steam during the sealing of the cover part 1200 and the supply of steam or maintaining the pressure. do.

한편, 챔버부(1100)는 상하로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이 선택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이에, 하방으로 개폐 가능한 하판부(13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판부(1300)는 하측힌지(1301)에 의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로킹부와 실링수단이 더 배치될 수 있는데 덮개부(1200)에 대한 설명을 준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hamber unit 1100 has a shape that is opened up and down, and the lower side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selection. Accordingly, the lower plate part 1300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downward may be further configured. The lower plate part 1300 is rotatable up and down by the lower hinge 1301, and additionally, a locking part and a sealing means may be further disposed. The description of the cover part 1200 applies mutatis mutandis.

상기 하판부(1300)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어 배출구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와 스팀을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A discharge passage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300 to discharge condensed water and steam discharged from the outlet side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부(1100) 내부에는 재료들이 수용되어 있고 배출구를 통하여 원하지 않게 재료들이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구측에는 거름부(131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부(1310)는 예를 들어 메시망과 같이 소정의 스팀과 물의 배출이 가능한 개방부위를 가지되 재료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shown, the materials are accommodated inside the chamber unit 1100,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materials are undesirably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through the outlet. To prevent this, a filter unit 1310 is further provided at the outlet side It is preferable to be The filter unit 1310 has an open portion through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steam and water can be discharged, such as a mesh network, but various types of devices capable of preventing material permeation may be applied.

도시된 상태에서 공급영역(a)의 공급압력(P0)과 공급온도(t0)는 상층부(b)에서 어느 정도 유지되고 제1압력(P1)과 제1온도(t1)로서 재료를 증숙하는 데 사용된다. 하층으로 갈수록 이러한 온도와 압력은 점점 저하되며, 하판부(1300) 측에서는 저하된 압력 및 제3온도(t0)에서 스팀이 응축되어 액체 상태의 물로 변환된다. In the illustrated state, the supply pressure P0 and the supply temperature t0 of the supply region (a) are maintained to some extent in the upper layer (b) and are used for steaming the material as the first pressure (P1) and the first temperature (t1). used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lower layer, and on the lower plate part 1300 side, the steam is condensed at the lowered pressure and the third temperature t0 and converted into liquid water.

상기 드레인영역(d)은 하측에서 모이는 물이 거름부(1310)에서 수집이 용이하도록 중심측의 높이가 낮은 라운드진 형태 내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rain region d may be formed in a rounded shape or a wedge shape with a low central height so that water collected at the lower side can be easily collected in the filter 1310 .

한편, 증숙영역이 소정의 높이에 따라 구분되는 경우 높이에 따라 압력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부(b)와 하층부(c)로 구분되는 경우 상층부에는 제1압력(P1)이 적용되고 하층부에는 제2압력(P2)이 적용될 것이다. 공급영역(a)에서 압력을 조절하면 상기 상층부와 하층부(내지는 다층의 영역)에서 높이에 따라 식품의 단단하고 무른 정도의 조절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aming area is divi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it means that the pressur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height. For example, when divided into an upper layer part (b) and a lower layer part (c) as shown, the first pressure P1 is applied to the upper layer part and the second pressure P2 is applied to the lower layer part. When the pressure is adjusted in the supply region (a),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hardness and softness of the food according to the height in the upper and lower layers (or multi-layer regions).

본 발명에서는 상측의 스팀공급부(2100)에서 투입된 스팀이 하방으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재료의 공극을 따라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중간에 발생하는 응축수는 자연스럽게 스팀의 유동과 함께 하향 이동되어 거름부(1310)에서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스팀과 함께 배출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input from the upper steam supply unit 2100 can be evenly distributed along the voids of the material in the process of flowing downward, and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middle is naturally moved downward along with the flow of steam, so that the filter unit 1310 )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to be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steam.

이러한 개념에 따라 취반시 쌀이나 쌀가루가 스팀에 의하여 촉촉해지되 수분을 과도하게 함유하는 부위가 발생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른 증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According to this concept, rice or rice flour is moistened by steam during cooking, but an even steaming is possible as a whole without occurrence of areas containing excessive moisture.

또한, 상측의 공급영역(a)에서 공급압력(P0)과 온도가 유지되어 재료로 접촉이 시작되기 때문에 하방으로 치밀하게 재료를 압축할 수 있으며 이는 재료 사이에 중력의 영향과 함께 공극을 줄이면서도 균질하게 하기 때문에 스팀이 고르게 분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pply pressure (P0) and temperature are maintained in the upper supply region (a) and contact with the material starts, the material can be densely compressed downward, which reduces the voids with the effect of gravity between the materials. Since it is homogeniz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eam can be evenly distributed and discharged.

상기의 본 발명의 하향식 증숙기를 통하여 쌀을 찌는 공정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Let's look at the process of steaming rice through the top-down st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little more detail.

스팀공급부(2100)에서 대략 0.5bar 정도의 스팀 압력을 적용하고 내부를 밀폐하고 스팀배출라인(2210)은 개방한 상태에서 증숙과정을 진행했다. 내부에 충전된 재료들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부로부터 스팀이 침투하는데, 초기에는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스팀이 배출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와 같이 상부의 압력과 온도가 재료가 충전된 하층부까지 적용되기 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A steam pressure of about 0.5 bar was a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2100, the inside was sealed, and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was opened while the steaming process was performed. The materials filled therein are disposed to be biase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steam penetrates from the top, but steam is not initially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 This is understood because it takes time for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upper part to be applied to the lower part filled with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재료의 내부로 침부한 스팀은 열교환하면서 응축되어 물로 변환되고 하부로 유동하여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초기 응축시간 동안에는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스팀은 거의 배출되지 않고 응축수만 배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조건에서 40분 가량 스팀의 배출 없이 응축수만 배출되었다. The steam immersed in the material is condensed during heat exchange, is converted into water, flows downward, and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 During this initial condensing time,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no steam wa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and only condensed water was discharged. In addition, only condensed water was discharged without discharging steam for about 40 minutes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렇게 하층부의 하단측까지 가열이 진행되면서 응축수의 배출은 줄어들면서 스팀이 스팀배출라인(2210)으로 배출되기 시작하며, 이렇세 스팀의 배출이 개시되는 시점 내지는 스팀의 배출시점이 지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부터는 스팀배출라인(2210)을 잠그고 증숙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외부로 스팀이 배출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게 스팀배출라인(2210)에 구성된 밸브를 닫아 내부를 밀폐한 다음 대략 15분 정도면 증숙이 완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s the heating proceeds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layer, steam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while the discharge of condensed water is reduc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rocess of locking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and steaming, steam will no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wa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eaming was completed in about 15 minutes after closing the valve configured in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to seal the inside.

종래의 상향식 공급방식에서는 스팀이 중력에 거슬러 올라가면서 공극을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본 발명의 현상과는 전혀 다른 증숙이 이루어지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특히, 상향식 증숙의 경우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의 공급영역(a)에 대응되는 부위에서 응축이 발생하여 하부로 점차 이동하고 하측에 자중에 의하여 흐른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하부의 재료의 식감이 달라져, 일부를 버려야 하거나, 별도로 드레인을 위한 구조를 구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향식의 경우와 달리 압력을 적용하여 유지할 수 있고 최적화한 온도와 압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스팀의 사용량이 최소화된다. In the conventional bottom-up supply method, it should be noted that stea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steam passes through the pores while going against grav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ottom-up steaming, condensation occurs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ly region (a) on the upper side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and gradually moves to the lower side. Due to this ch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art must be discarded or a structure for the drain must be separately constru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all of these problems. In addition, unlike the case of the bottom-up type, pressure can be applied and maintained, and the use of steam is minimized because the optimized temperature and pressure are utilized.

상기 실험예와 같이 상하부로 스팀의 배출이 사실상 극소량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라 상향식을 적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수증기의 처리를 위한 덕트 등의 시설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Considering that the discharge of steam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is actually made in a very small amount as in the above experimental example, it is economical because facilities such as a duct for treating water vapor are unnecessary compared to the case of applying the bottom-up metho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개념에 따른 하향식 증숙기를 활용한 당화설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4 is a side view showing a saccharification facility using a top-down steamer according to an addition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챔버부(1100)의 상측에 덮개부(1200)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덮개부(1200)에 스팀공급라인(2110)이 연결되고, 하측에 스팀배출라인(2210)이 연결되어 있는 구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교반을 위반 구동부, 임펠러 및 샤프트를 포함하는 교반기부와, 당화액의 배출을 위한 당화액배출라인(2310)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스팀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공급구와 배출구는 중심선에서 다소 편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lid part 12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part 1100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the steam supply line 2110 is connected to the lid part 1200, and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In relation to the above,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irrer unit including the driving unit, impeller and shaft, and the saccharified liquid discharge line 2310 for discharging the saccharified liquid ar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and outlet for inflow and discharge of the steam are central lines It is placed in a slightly eccentric position.

챔버부(1100)는 내부에 취반이 완료된 쌀을 수용하고, 소정의 수체(밥물 및 엿기름)를 혼합하여 교반 및 당화를 거쳐서 조청의 생산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The chamber unit 1100 accommodates the cooked rice therein, mixes a predetermined water body (rice water and malt), and then undergoes stirring and saccharification to proceed with the production process of coarsening.

상기 당화공정을 위하여 교반기부가 장착될 수 있는데, 상기 교반기부는 덮개부(1200)의 상측으로 구동부(3100)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동력을 공급하고 상기 구동부(3100)의 동력에 의하여 챔버부(1100) 내부로 관통되는 샤프트부(3210)가 회전되어 길이방향 및/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임펠러(3220)들을 회전하여 밥을 풀어주고 소정의 수체와 믹싱하도록 한다. For the saccharification process, a stirrer unit may be mounted. The stirrer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3100 above the cover unit 1200 to supply rotational pow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he chamber unit by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3100. (1100) The shaft part 3210 penetrating into the inside is rotated to rotate one or more impellers 3220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or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loosen the rice and mix it with a predetermined water body.

상기 구동부(3100)는 덮개부(1200)에 이미 구성되어 있는 소정의 장착부위에 필요에 따라 장착할 수도 있고, 덮개부(1200)와 일체화되어 덮개부(1200)의 교체에 따라 취반과 당화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하나의 챔버부(1100)에서 취반 및 당화가 함께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unit 3100 may be mounted as needed on a predetermined mounting portion already configured in the cover unit 1200 , and is integrated with the cover unit 1200 to perform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 cover unit 1200 . You might even be able to choos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are performed together in one chamber unit 1100 .

상기 임펠러(3220)는 쌀의 자중 및 배치상태를 고려하면 챔버부(1100)의 하측으로 치우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주로 챔버부(1100)의 하단에서 가라앉아 서로 붙어있는 밥을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mpeller 3220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biased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unit 1100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and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rice, mainly sinking at the lower end of the chamber unit 1100 to release the rice stuck to each other. can be done

한편, 상기 챔버부(1100)에는 내부의 재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과창(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hamber unit 11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mission window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tate of the material in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또한, 덮개부(1200)의 일부 또는 챔버부(1100)의 상측에서는 수체의 공급을 위한 수체공급라인(2410)에 연결되며, 여기서 물이나 엿기름과 같은 조청의 생산에 필요한 액체 상태의 재료를 투입하고 상기 임펠러(3220)에 의하여 교반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 part of the cover part 1200 or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part 1100 is connected to a water body supply line 2410 for supplying a water body, where a liquid material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coarse powder, such as water or malt, is input. and may be stirred by the impeller 3220 .

한편, 당화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챔버부(1100)가 외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챔버부(1100)의 최소한 재료가 배치되는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서 자켓부(410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켓부(4100)는 온수공급라인(4210)을 통하여 공급 및 순환되는 온수가 챔버부(1100) 외벽 및 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수공급라인(42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온수의 가열을 위한 가온장비는 공지의 전열기나 보일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for smooth progress of saccharification, the chamber unit 1100 needs to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at of the outside air.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jacket part 4100 is disposed in a form tha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mber part 1100 where the material is disposed. The jacket part 4100 allows the hot water supplied and circulat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line 4210 to maintain the temperature while moving along the outer wall and the bottom of the chamber part 1100 . As heating equipment for heating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line 4210, a known electric heater or boiler may be appli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챔버부(1100)의 하측 또는 하판부(1300)의 하측으로 당화가 완료된 재료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도록 당화액배출라인(231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당화액배출라인(2310)는 취반 및 당화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배출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개폐를 위한 배출밸브(2320)가 구비된다. In addition, a saccharified solution discharge line 2310 may be configured to facilitate discharging of the saccharified material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unit 1100 or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unit 1300 . The saccharification liquid discharge line 231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2320 for opening and closing since the discharge must be performed after the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processes are completed.

또한, 상기 스팀공급라인(2110), 스팀배출라인(2210), 수체공급라인(2410)의 유통계통의 개폐를 위한 공지의 밸브들이 적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된다.In addition, it is also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well-known valve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tribution system of the steam supply line 2110, the steam discharge line 2210, and the water body supply line 2410 are applied.

상기와 같이 배출되는 당화액은 여과 및 농축이 완료되어 조청을 이루며, 이에 대해서는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여과 및 농축설비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당화설비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accharification solution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is filtered and concentrated to form a crude solution, and a known technique may be applied thereto. In some cases, the filtration and concentration equipment may also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saccharification equip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된 본 발명의 하향식 증숙기는, 상부에서 스팀을 공급하고 압력과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중력방향을 거슬러 재료의 증숙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극대화되는데 특히 종래의 채반 및 상향식의 경우에 비하여 스팀 사용량이 비약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op-down steam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ximizes the efficiency of energy use because it can be used for steaming materials against the direction of gravity while supplying steam from the upper part and maintaining pressure and temperature, especially in the case of conventional trays and bottom-up. Compared t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mount of steam used can be drastically reduced.

이에 더하여 응축수가 스팀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 쌀이 질게 되지 않고 상층과 하층에 균질한 증숙이 가능하고, 별도의 드레인장비에 의하지 않고 스팀과 응축수의 배출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condensed water can be moved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steam, so that the rice is not thickened and the upper and lower layers can be steamed homogeneously, and steam and condensed water can be discharged without using a separate drain equipment.

또한, 취반 자체가 내부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세척, 가열, 가압, 유지 과정을 모두 챔버부 내부에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채반을 사용하지 않아 청소 및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oking itself is made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washing, heating, pressurizing, and maintaining processes can all be performed inside the chamber, the process is not only simple, but also cleaning and maintenance are improved because the tray is not used.

또한, 챔버 방식의 적용으로 인하여 취반 및 당화 과정이 대용량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In addition, 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chamber method, the cooking and saccharification process is possible in a large capacity, so the productivity is dramatically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0...증숙장치 1100...챔버부
1200...덮개부 1201...상측힌지
1202...로킹부 1210...압력측정부
1220...밸브부 1300...하판부
1301...하측힌지 1310...거름부
2100...스팀공급부 2110...스팀공급라인
2210...스팀배출라인 2310...당화액배출라인
2320...배출밸브 2410...수체공급라인
3100...구동부 3210...샤프트부
3220...임펠러 4100...자켓부
4210...온수공급라인
1000...Steam unit 1100...Chamber part
1200...Lid 1201...Upper hinge
1202...Locking part 1210...Pressure measuring part
1220...Valve part 1300...Lower plate part
1301...Lower hinge 1310...Filtration part
2100...Steam supply unit 2110...Steam supply line
2210...Steam discharge line 2310...Saccharified solution discharge line
2320...Discharge valve 2410...Water body supply line
3100...Drive part 3210...Shaft part
3220...Impeller 4100...Jacket part
4210...Hot water supply line

Claims (7)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는 챔버부와,
스팀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스팀이 유입되도록 챔버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공급구와,
재료를 통과하여 증숙이 완료된 스팀과, 스팀이 하향 이동되면서 저하된 온도에 따라 응축된 물이 함께 외부로 배출되도록 챔버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부는,
공급구에 공급된 스팀의 압력과 온도가 유지되어 재료에 하방으로 식품의 무른 정도에 따라 제어된 공급압력(P0)을 제공하는 공급영역(a)과, 재료에 중력 및 스팀의 압력이 적용되면서 공극을 따라 스팀이 하향 이동되는 증숙영역(b,c)과, 챔버부의 저면에 인접되어 응축수가 수집되고 배출구로 스팀에 의하여 안내되어 배출되는 드레인영역(d)으로 내부 공간이 구분되되,
재료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치우쳐진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스팀이 공급되면 스팀이 증숙영역의 하층부까지 이동하고, 초기 응축시간 동안 재료의 내부로 침투하여 열교환한 응축수가 스팀배출라인으로 배출되고, 증숙영역의 하층부까지 가열이 진행되어 배출되는 응축수가 줄어들면서 스팀의 배출이 개시되면, 설정된 시간 이후부터 스팀배출라인을 잠가 증숙이 이루어지는 하향식 증숙기.
A chamber part for accommodating the material therein;
A supply port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unit so that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supply line is introduced;
It is made including an outlet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so that the steam,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material and has been steamed, and the water condens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lowered as the steam moves downward are discharged together to the outside,
The chamber part,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steam supplied to the supply port are maintained and the supply region (a) provides a controlled supply pressure (P0) to the material downward according to the softness of the food, and gravity and steam pressure are applied to the material.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steaming region (b, c) in which steam moves downward along the void, and a drain region (d) in which condensed water is collected and discharged by being guided by steam to an outlet adjacent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part,
When steam is supplied from the upper part in a state where the material is bias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the steam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steaming area, and the condensed water that penetrates into the material during the initial condensation time and exchanges heat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and the steam is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When the discharge of steam is started as heating proceeds to the lower layer of the unit and the discharged condensate decreases, the steam discharge line is locked after a set time to perform steam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상측에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스팀공급라인이 연결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하향식 증숙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op-down steamer further comprising a cover part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part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a steam supply line is connec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압력측정부 및 밸브부를 구비하는 하향식 증숙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ver part,
A top-down steamer having a pressure measuring unit and a valve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하측에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스팀배출라인이 연결되는 하판부를 더 포함하는 하향식 증숙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op-down steamer further comprising a lower plate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and to which the steam discharge lin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배출구측에 구비되고 스팀 및 응축수를 통과하면서 재료의 통과를 방지하는 거름부를 더 포함하는 하향식 증숙기.
According to claim 1,
A top-down steamer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chamber part and further comprising a sieving part for preventing the passage of materials while passing steam and condensed wat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하향식 증숙기를 포함하는 당화장치로서,
상기 챔버부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제공받아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임펠러를 회전하는 교반기부와,
챔버부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체공급라인과,
온수공급라인을 통하여 공급된 온수가 챔버부 외벽을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자켓부와,
당화액이 배출되도록 챔버부의 저부에 연결되는 당화액배출라인을 포함하는 당화장치.
A saccharification apparatus comprising the top-down steamer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 stirrer unit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chamber unit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impeller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water body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chamber;
A jacket part for allowing the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hot water supply line to circulate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hamber part;
A saccha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a saccharification liquid discharge lin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part so that the saccharification liquid is discharg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하향식 증숙기를 이용한 증숙방법으로서,
a) 챔버부 내부에 재료를 수용하고 내부를 밀폐하는 단계;
b) 스팀공급라인을 통하여 챔버부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단계;
c) 챔버부 내부의 재료와 스팀이 열교환하면서 응축된 물이 스팀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단계;
d) 초기 응축시간이 경과하여 스팀배출라인으로 스팀이 배출되기 시작한 이후 스팀배출라인을 폐쇄하고 재료를 증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숙방법.
As a steaming method using the top-down steamer of any one of claims 1 to 5,
a) accommodating the material inside the chamber part and sealing the inside;
b) supplying steam into the chamber through a steam supply line;
c) discharging the condensed water to the steam discharge line while heat exchange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steam inside the chamber;
d) after the initial condensing time elapses and steam starts to be discharged to the steam discharge line, closing the steam discharge line and steaming the material;
KR1020200175061A 2020-12-15 2020-12-15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KR102428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61A KR102428661B1 (en) 2020-12-15 2020-12-15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61A KR102428661B1 (en) 2020-12-15 2020-12-15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95A KR20220085195A (en) 2022-06-22
KR102428661B1 true KR102428661B1 (en) 2022-08-03

Family

ID=8221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61A KR102428661B1 (en) 2020-12-15 2020-12-15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6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995A (en) * 1999-03-09 2000-09-19 Samson Co Ltd Vacuum pressure steam boiling method
KR100866309B1 (en) * 2007-05-04 2008-11-05 박세윤 Boiler
KR101194171B1 (en)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Red ginseng liquid extraction equipment, continuous steam heated mo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289B1 (en) * 2018-12-03 2020-10-30 정광렬 Extractor for Extracting Plant Active Ingredie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3995A (en) * 1999-03-09 2000-09-19 Samson Co Ltd Vacuum pressure steam boiling method
KR100866309B1 (en) * 2007-05-04 2008-11-05 박세윤 Boiler
KR101194171B1 (en) * 2012-06-19 2012-10-24 박성태 Red ginseng liquid extraction equipment, continuous steam heated mo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95A (en)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477B2 (en) Mash/lauter tun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7208902A (en) Heating device
CN101862125A (en) Domestic soymilk grinder
KR102428661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downward type steam applianc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grain syrup having the same
CN106820946A (en) A kind of cooking methods of jet-propelled speed heat multi-purpose pot
CN110916216A (en) Ultrasonic, microwave and frequency conversion-assisted integrated device for centrifugal dehydration pretreatment processing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lication thereof
KR20090004397A (en) A tool of several technical
CN207187169U (en) A kind of Chinese medicine extracting tank
CN207693427U (en) A kind of steam heating and stirring pot
JPH08275749A (en) Squeezer for tofu production and squeezing method
CN110960057B (en) Automatic cooking device and automatic cooking utensil that supply water supply steam
CN211746725U (en) Bamboo shoots boiling device
KR20070006298A (en) Automatic rice cake maker
CN212015285U (en) Rice cooking device
KR0132931Y1 (en) Processing machine for grains
JPH08214816A (en) Steaming kettle for soybean milk stock
US7475629B2 (en) Apparatus for cooking foods
KR20030043130A (en) Auto pressure-coo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19049542U (en) Integrative equipment of dry of decoction piece cooking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SRE39256E1 (en) Drum cooker
CN219479189U (en) Pulp boiling tank
CN217547822U (en) Food processor
CN111040907B (en) Continuous high-pressure cooking method for brewing sorghum
CN212678977U (en) Intermittent quantitative soybean milk separation device
CN212212556U (en) Slurry boiling mechanism in production of slurry-coated bean cu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