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414B1 -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414B1
KR102428414B1 KR1020170147385A KR20170147385A KR102428414B1 KR 102428414 B1 KR102428414 B1 KR 102428414B1 KR 1020170147385 A KR1020170147385 A KR 1020170147385A KR 20170147385 A KR20170147385 A KR 20170147385A KR 102428414 B1 KR102428414 B1 KR 10242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er
terminal
access
terminal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567A (ko
Inventor
권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70147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4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은 부하관리장치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접속로그수신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하고, 상기 분석기간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하는 부하분석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 및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이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상기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분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Apparatus for controlling load of a service serv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의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WEB) 서버나 왑(WAP) 서버 등 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들의 접속이 짧은 시간 내에 갑자기 폭주하면, 접속 처리가 지연되거나 심지어는 동작하지 않고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는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된 부하분산 로직을 이용하여 부하를 분산하도록 하였으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는 등 예측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을 이용하는 부하분산방식은, 서버가 더 이상 요청을 받아들일 수 없는 장애상황이 되면 부하통제력을 잃을 수 있는 심각한 취약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출원은, 단말의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단말에 전송하는 푸시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설정을 제어할 수 있는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서비스 서버측에서 단말의 스케줄링 설정을 강제로 제어하여 부하를 분산하는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단말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최초접속시점을 제어하여 부하를 분산할 수 있는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은, 부하관리장치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접속로그수신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하고, 상기 분석기간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하는 부하분석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추출하는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 및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이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상기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분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로그는,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분석기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한 접속시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기 설정된 스케줄링 설정에 따라, 최초접속시점부터 기 설정된 접속주기마다 반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최초접속시점은 기 설정된 반복주기마다 주기적으로 도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때부터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반복주기 내에 상기 마케팅 메시지의 수신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수신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에 도달하면,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는, 상기 분석기간 동안 상기 동시접속수들의 평균값인 평균접속수를 상기 한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상기 동시접속수가 상기 평균접속수 이하인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로 변경하도록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추출된 상기 목표시간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자수가 적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를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text) 형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는 상기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초과접속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는 최초접속시점인 목표시간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에 최초접속시점이 포함되도록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접속정보수신부;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하고, 상기 분석기간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하는 부하분석부;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초과접속단말추출부; 및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이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상기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측에서 부하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단말들의 접속요청이 집중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 측에서 단말들의 스케줄링 설정을 강제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서버의 대량접속 장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와 별도로 구비되는 부하관리장치를 이용하므로 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부하관리장치를 이용하여 단말들의 접속을 제어하므로, 서비스 서버에 대한 추가적인 부하없이 단말들의 부하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에 의하면, 단말에 전송하는 푸시메시지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단말들에 대한 부하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비스 서버의 부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시스템은 단말(1), 서비스 서버(10) 및 부하관리장치(100)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단말(1)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은 Wibro(Wireless Broadban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통신기술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종류의 핸드핼드(hand-held) 단말이 상기 단말(1)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1)을 통하여 서비스 서버(10) 등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단말(1)은 서비스 서버(10)와의 통신을 통하여, 단말(1)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단말(1)들은 개별적으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므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단말(1)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서비스 서버(10)의 부하는 증가할 수 있다.
단말(1)은 서비스 서버(10)로 접속하는 스케줄링 설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케줄링 설정은, 단말(1)이 서비스 서버(10)에 최초로 접속하는 시점인 최초접속시점과, 단말(1)이 최초접속시점부터 반복하여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접속주기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단말 A는 매일 오전 09시01분에 최초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고, 이후 매 5분마다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자신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정보를 요청하도록 스케줄링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최초접속시점은 매 반복주기마다 도래하는 것으로, "매일"은 반복주기이고 "오전09시01분"이 최초접속시점에 해당한다. 여기서는 최초접속시점이 매일 도래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2일에 한번씩 반복주기가 도래하거나, 하루에 두번씩 반복주기가 도래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1)이 서비스 서버(10)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단말(1)은 서비스 서버(10)에 대한 접속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1)이 반복주기 내에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서비스 서버(10)에 대한 접속을 중단하고, 이후 다음 반복주기가 도래하여 최초접속시점이 되면 다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반복주기 내에 마케팅 메시지가 1회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0)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3회, 4회 등 제한횟수를 미리 설정한 후, 마케팅 메시지가 제한횟수만큼 수신되면 서비스 서버(10)로의 접속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복주기 내에 종료시점을 미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종료시점이 도래하면 단말(1)은 서비스 서버(10)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으며, 이후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하면 다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매일 오전 09시01분을 최초접속시점으로 설정하고, 매일 오후 11시59분을 종료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은 매일 오전 09시01분부터 오후 11시 59분까지 서비스 서버(10)에 5분 간격으로 접속할 수 있으며, 오후 11시 59분부터 다음날 오전 09시01분까지는 단말(1)이 서비스 서버(10)로 접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이 제한횟수이상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종료시점이 도래하기 전이라도, 단말(1)이 서비스 서버(10)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1)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단말(1)이 서비스 서버(10)로의 접속 및 마케팅 메시지 수신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은 단말(1)의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단말(1)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단말(1)과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말(1)에게 위치기반의 마케팅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단말(1)과의 통신을 통하여, 단말(1)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1)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정보 등은 가맹점들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한 것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는, 단말(1)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정보가 존재하면, 해당 마케팅 정보를 포함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1)이 전송하는 위치정보는 단말(1)의 현재위치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가 전송하는 마케팅 메시지는 음식점, 카페, 편의점 등 가맹점이 제공하는 마케팅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로, 푸시 메시지(push message)의 형태로 단말(1)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커피의 10% 할인 쿠폰이나, 행사 중인 점심특선메뉴에 대한 광고 등이 마케팅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마케팅 메시지는 단말(1)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단말(1)의 디스플레이부에 푸시 메시지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하는 도중에 단말(1)은 서비스 서버(10)로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는 단말(1)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를 단말(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단말(1)을 통하여 마케팅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마케팅 메시지에 나타난 다양한 혜택 등을 받기 위하여 대응하는 가맹점에 방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하는 가맹점들에 대한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마케팅 메시지를 받은 즉시 해당 가맹점을 용이하게 방문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의 입장에서도 가맹점 인근에 위치하는 사용자들에게 선택적으로 마케팅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높은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서비스 서버(10)가 각각의 단말(1)들에게 위치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말(1)들이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여 단말(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야 하고, 서비스 서버(10)는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정보를 검색하여 단말(1)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여기서, 단말(1)의 접속주기가 긴 경우에는, 단말(1)이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사용자가 이미 해당 가맹점들을 지나쳐서 가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마케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말(1)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접속주기를 가능한 짧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10)가 처리해야하는 부하의 양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즉, 서비스 서버(10)로 위치기반의 마케팅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1)의 개수가 증가하거나, 각 단말(1)들이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접속주기가 짧아지는 경우 등에는, 서비스 서버(10)에 대한 접속요청이 폭주하여 서비스 서버(10)가 더 이상 단말(1)들의 접속요청에 응답하지 못하는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로 접속하는 단말(1)들의 접속요청이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하여, 서비스 서버(10)가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부하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부하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0)의 부하 증가에 따른 서비스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10)에 대한 부하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1)들의 스케줄링 설정을 강제로 재설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10)의 부하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관리장치(100)는 먼저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단말(1)들의 접속기록인 접속로그를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접속로그는 기 설정된 분석기간동안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한 단말(1)들의 접속기록으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한 단말(1)들의 식별정보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1)들의 접속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의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일 수 있다.
이후, 부하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접속로그를 분석하여 서비스 서버(10)에 대한 부하를 확인할 수 있다. 도4와 같이, 접속로그를 활용하면, 단위시간동안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단말(1)들의 개수를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부하가 집중되는 분산대상시간영역이나 상대적으로 부하가 적은 목표시간영역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부하관리장치(100)는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1)들이 목표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강제하여, 서비스 서버(10)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부하관리장치(100)는 접속로그를 통하여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1)들을 추출한 후, 추출한 단말(1)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목표시간영역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부하관리장치(100)는 각각의 단말(1)들에게 푸시 메시지의 형식으로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설정변경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들은 설정변경메시지에 따라 최초접속시점 등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관리장치(100)는 푸시 메시지를 활용하므로, 단말(1)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나 개인정보 이용에 대한 동의 등이 없이도 용이하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설정변경메시지 내에는 스케줄링 설정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어와, 단말(1)의 식별정보, 단말(1)이 변경해야하는 목표시간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명령어나 식별정보, 목표시간영역 등은 텍스트 형식으로 기재될 수 있으며, 단말(1)은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parsing)하여 설정변경메시지의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1)은 파싱을 통하여 추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스케줄링 설정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0)와 단말(1) 사이의 통신연결과는 분리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와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부하관리장치(100)는 서비스 서버(10)에 부하가 집중되는 등의 경우에도 서비스 장애 등이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는 접속정보수신부(110), 부하분석부(120), 초과접속단말추출부(130) 및 부하분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를 설명한다.
접속정보수신부(11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서비스 서버(10)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1)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할 수 있다. 접속로그는 기 설정된 분석기간동안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한 단말(1)들의 접속기록으로, 접속한 단말(1)들의 식별정보와, 접속한 단말(1)들의 접속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의 식별정보는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예를들어, 접속로그는 직전 24시간동안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한 단말(1)들의 접속기록으로, 각각의 단말(1)별로 접속한 시간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로그에는 각 단말(1)들이 최초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최초접속시점과, 각 단말(1)이 마지막으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최종접속시점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속정보수신부(110)가 서비스 서버(10)로부터 가공전의 접속로그들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가공하여 접속로그를 단말(1)들의 최초접속시점을 기준으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는 접속정보수신부(110)가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단말(1)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10)의 부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후 실시간으로 부하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부하분석부(120)는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하는 단말(1)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접속로그를 이용하면 단위시간(예를들어, 1분) 동안 서비스 서버(10)로 접속하는 단말(1)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단말(1)의 개수를 합산하여 단위시간동안의 동시접속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전체 분석기간에 대하여 각각의 단위시간마다 수행하면, 분석기간 전체에 대한 단말(1)의 동시접속수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분석부(120)가 추출한 분석기간 동안의 동시접속수들은 도4의 그래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부하분석부(120)는, 분석기간 중에서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즉, 부하분석부(120)는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단말(1)의 동시접속수를 한계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한계값 이상의 동시접속수를 가지는 시간영역을 분산대상시간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1)들에 대하여 부하분산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한계값은 전체 분석기간동안 동시접속수들의 평균값인 평균접속수로 설정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분석부(120)는 분석기간 동안의 단말(1)들의 동시접속수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0)에 인가되는 부하를 확인할 수 있으며, A와 같이, 동시접속수가 평균접속수 이상인 영역을 분산대상시간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특히, 분산대상시간영역 중에서 가장 동시접속수가 많은 시간영역은 최우선 분산대상시간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초과접속단말추출부(130)는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1)들 중에서,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초과접속단말추출부(130)는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1)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분산대상시간영역에서의 동시접속수에서 한계값을 뺀 값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단말(1)들을 추출하여 초과접속단말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초과접속단말추출부(130)는 초과접속단말을 임의로 추출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최초접속시점으로 설정한 단말(1), 단말(1)의 위치정보가 기 설정된 반경 이내에서 변동이 없는 단말(1),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마케팅 메시지의 수신횟수가 적은 단말 등을 우선적으로 초과접속단말로 추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초과접속단말들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하분산부(140)는 초과접속단말들이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부하분산부(140)는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여 초과접속단말들의 스케줄링 설정을 강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설정변경메시지는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분산부(140)는 동시접속수가 평균접속수 이하인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목표시간영역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분산부(140)가 추출한 목표시간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동시접속자수가 가장 적은 목표시간영역으로 먼저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를 목표시간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특히 동시접속수가 가장 적은 B에 우선적으로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B의 동시접속자수가 한계값에 도달하면, 나머지 초과접속단말들은 다음으로 동시접속자수가 적은 영역으로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을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부하분산부(140)는 단말(1)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설정변경메시지는 푸시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에는 스케줄링 설정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어,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 초과접속단말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할 목표시간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를 수신한 단말(1)은,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으며, 파싱을 통하여 스케줄링 설정 변경에 대한 명령을 추출하고, 그에 따라 최초접속시점이 목표시간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변경메시지가 푸시 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단말(1)은 해당 설정변경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1)이 푸시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1)은 푸시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알림음 또는 진동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푸시메시지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설정변경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없으므로, 설정변경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에 대하여는 푸시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을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하분산부(140)는 설정변경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메시지를 별도의 푸시서버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설정변경메시지는 서비스 서버(10)를 통하여 전송되지 않으므로, 설정변경메시지의 전송시 서비스 서버(10)에는 추가적인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비스 서버(10)에 부하가 집중되는 경우에도 설정변경메시지를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부하관리장치(100)가 서비스 서버(10)에게 접속로그를 요청할 수 있으며(S1), 서비스 서버(10)는 부하관리장치(100)에게 접속로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1)에 설정된 스케줄링 설정에 따라 서비스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는 단말(1)의 접속을 기록하여 접속로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로그에는 단말(1)이 식별정보 및 접속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부하관리장치(100)는 수신한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서비스 서버(10)의 부하를 분석할 수 있다(S3). 즉,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별로 서비스서버에 접속하는 단말들의 개수인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의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한계값 이상의 동시접속수를 가지는 시간영역을 분산대상시간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부하관리장치(100)는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한 후, 한계값 이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을 초과접속단말로 추출할 수 있으며(S4), 추출한 초과접속단말들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에는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와, 초과접속단말의 최초접속시점으로 변경할 목표시간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설정변경메시지는 푸시메시지의 형태로 단말(1)에게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하관리장치(100)가 푸시서버에게 해당 푸시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고, 푸시서버가 각각의 초과접속단말들로 푸시메시지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하관리장치(100)로부터 설정변경메시지를 수신한 초과접속단말들은,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으며(S6), 파싱을 통하여 설정변경메시지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다. 즉, 파싱을 통하여 설정변경메시지에 포함된 설정변경 명령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할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초과접속단말(1)은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에 따라 초기접속시점을 목표시간영역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다(S7).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은 접속로그수신단계(S10), 부하분석단계(S20),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S30) 및 부하분산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하관리방법을 설명한다.
접속로그수신단계(S10)에서는, 부하관리장치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할 수 있다. 접속로그는 기 설정된 분석기간동안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의 접속기록으로, 접속한 단말들의 식별정보와, 접속한 단말들의 접속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식별정보는 단말의 전화번호 또는 MAC 주소 등일 수 있다.
단말은 자체적으로 설정된 스케줄링 설정이 있을 수 있으며, 스케줄링 설정에 따라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케줄링 설정은, 최초접속시점부터 기 설정된 접속주기마다 반복하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최초접속시점은 기 설정된 반복주기마다 주기적으로 도래하는 것일 수 있다. 단말은 주기적으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단말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서버에 제공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하여 서비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으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반복주기 내에 마케팅 메시지의 수신횟수를 카운팅하고, 수신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에 도달하면,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하분석단계(S20)에서는, 부하관리장치가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할 수 있다. 접속로그를 이용하면 단위시간(예를들어, 1분) 동안 서비스 서버에 접속한 단말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들 단말의 개수를 합산하여 단위시간동안의 동시접속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전체 분석기간에 대하여 단위시간별로 수행하면, 분석기간 전체에 대한 단말의 동시접속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분석기간 중에서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에 서비스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단말의 동시접속수를 한계값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한계값 이상의 동시접속수를 가지는 시간영역을 분산대상시간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에 대하여 부하분산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한계값은 전체 분석기간동안 동시접속수들의 평균값인 평균접속수일 수 있다.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S30)에서는, 부하관리장치가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분산대상시간영역의 동시접속수에서 한계값을 뺀 값에 해당하는 수만큼의 단말을 초과접속단말로 추출할 수 있다. 초과접속단말들은 랜덤(random)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부하분산단계(S40)에서는, 부하관리장치가 초과접속단말들이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부하관리장치는 초과접속단말들의 스케줄링 설정을 강제로 변경할 수 있으며, 특히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하관리장치는 동시접속수가 평균접속수 이하인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할 수 있으며,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여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이 목표시간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추출한 목표시간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동시접속자수가 가장 적은 목표시간영역으로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우선적으로 동시접속수가 가장 적은 목표시간영역으로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고, 이후 목표시간영역의 동시접속자수가 증가하여 한계값에 도달하면, 나머지 초과접속단말들은 다음으로 동시접속자수가 적은 영역으로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을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부하분산딘계(S40)에서는 단말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정변경메시지는 푸시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에는 스케줄링 설정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어,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 초과접속단말의 최초접속시점을 변경할 목표시간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설정변경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할 수 있으며, 파싱을 통하여 스케줄링 설정 변경에 대한 명령을 추출하고, 그에 따라 최초접속시점이 목표시간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변경메시지가 푸시 메시지의 형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해당 설정변경메시지의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부하관리장치는 설정변경메시지를 포함하는 푸시메시지를 단말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푸시서버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설정변경메시지는 서비스 서버 등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전송되므로, 설정변경메시지를 안정적으로 전송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단말 10: 서비스 서버
100: 부하관리장치 110: 접속정보수신부
120: 부하분석부 130: 초과접속단말추출부
140: 부하분산부 S10: 접속로그수신단계
S20: 부하분석단계 S30: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
S40: 부하분산단계

Claims (12)

  1. 부하관리장치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접속로그수신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하고, 상기 분석기간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하는 부하분석단계;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추출하는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 및
    부하관리장치가,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이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상기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분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를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text) 형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는 상기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초과접속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는 최초접속시점인 목표시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에 최초접속시점이 포함되도록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로그는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상기 분석기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한 접속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기 설정된 스케줄링 설정에 따라, 최초접속시점부터 기 설정된 접속주기마다 반복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최초접속시점은 기 설정된 반복주기마다 주기적으로 도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마케팅 메시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마케팅 메시지를 수신한 때부터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반복주기 내에 상기 마케팅 메시지의 수신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수신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에 도달하면, 다음 최초접속시점이 도래할 때까지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과접속단말추출단계는
    상기 분석기간 동안 상기 동시접속수들의 평균값인 평균접속수를 상기 한계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상기 동시접속수가 상기 평균접속수 이하인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로 변경하도록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분산단계는
    추출된 상기 목표시간영역이 복수개인 경우, 상기 동시접속수가 적은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의 최초접속시점을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는 단말들의 접속로그를 수신하는 접속정보수신부;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단위시간동안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단말들의 동시접속수를 기 설정된 분석기간에 대하여 추출하고, 상기 분석기간 중에서 상기 동시접속수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상인 분산대상시간영역을 추출하는 부하분석부;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에 접속하는 단말들 중에서, 상기 한계값을 초과하여 접속하는 초과접속단말들을 상기 접속로그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초과접속단말추출부; 및
    상기 초과접속단말들이 상기 분산대상시간영역 이외의 시간영역에 접속하도록 상기 초과접속단말에게 설정변경메시지를 전송하는 부하분산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부하분산부는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를 푸시 메시지(push message) 내에 포함되는 텍스트(text) 형식으로 전송하며, 상기 설정변경메시지는 상기 초과접속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초과접속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접속하는 최초접속시점인 목표시간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수신한 설정변경메시지를 파싱하여, 상기 목표시간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목표시간영역 내에 최초접속시점이 포함되도록 스케줄링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관리장치.
KR1020170147385A 2017-11-07 2017-11-07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KR10242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85A KR102428414B1 (ko) 2017-11-07 2017-11-07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85A KR102428414B1 (ko) 2017-11-07 2017-11-07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67A KR20190051567A (ko) 2019-05-15
KR102428414B1 true KR102428414B1 (ko) 2022-08-02

Family

ID=6657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85A KR102428414B1 (ko) 2017-11-07 2017-11-07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6067A (zh) * 2022-11-24 2023-03-28 吉林亿联银行股份有限公司 日志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8879A1 (ja) * 2012-10-31 2014-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配信装置、通信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および負荷分散プログラム
JP2015173363A (ja) * 2014-03-11 2015-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接続先決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251A (ko) * 2002-01-03 2002-03-28 김준연 이동통신을 이용한 주문형 광고 제공방법
KR102090628B1 (ko) * 2013-10-16 2020-03-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한도 정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8879A1 (ja) * 2012-10-31 2014-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配信装置、通信システム、負荷分散方法および負荷分散プログラム
JP2015173363A (ja) * 2014-03-11 2015-10-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接続先決定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67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1110A1 (en) Managing data transfers over network connections based on priority and a data usage plan
US10567841B2 (en) Information intercep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5320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message notification timing based on electronic content consumption associated with a geographic location
CN104754073A (zh) 一种资源访问方法及装置
CN105491539A (zh) 消息推送管理方法和装置
CN108134816B (zh) 对远程设备上的数据的访问
US9247314B1 (en) Cross-platform electronic shopping cart
CN104158818A (zh) 一种单点登录方法及系统
CN112187908A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和接口服务平台
CN103581111A (zh) 一种通信方法及系统
US10887379B2 (en) Dynamically determining a content delivery network from which to receive content
KR20160011304A (ko) 와이파이 망을 이용한 웹기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50172899A1 (en) Sponsoring data usage and usage of content provider web sites and applications
CN113420007A (zh) 数据库访问的审计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991407B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及处理服务器
CN105530232B (zh) 一种账号登录方法和装置
KR102428414B1 (ko) 부하관리장치 및 부하관리방법
KR102390937B1 (ko) 네트워크 활용 최적화
KR102482444B1 (ko) 광고차단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900756B2 (en) Dynamically updating policy controls for mobile devices and applications via policy notifications
EP3332562A1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CN106302553A (zh) 推送信息服务的方法和系统
US201503393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eployment
CN105450695A (zh) 基于云计算的数据备份控制系统及方法
KR20080086142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